[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71854B1 -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누전진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누전진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854B1
KR101371854B1 KR1020120084299A KR20120084299A KR101371854B1 KR 101371854 B1 KR101371854 B1 KR 101371854B1 KR 1020120084299 A KR1020120084299 A KR 1020120084299A KR 20120084299 A KR20120084299 A KR 20120084299A KR 101371854 B1 KR101371854 B1 KR 101371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sulation resistance
high voltage
value
insul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783A (ko
Inventor
권범주
박현수
안오영
김경호
최명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854B1/ko
Priority to US13/676,442 priority patent/US8831816B2/en
Priority to CN201210495939.0A priority patent/CN103576042B/zh
Publication of KR2014001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8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8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 B60T8/885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using electrical circui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고전압배터리와 섀시간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출력하기 위한 절연저항측정센서; 외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전압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량의 전장부하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메인스위칭부; 및 상기 절연저항측정센서로부터 출력된 제1 절연저항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차량의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구동부의 동작이 중지된 후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고전압배터리로부터 차량의 전장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메인스위칭부를 오프(OFF)하여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배터리전력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절연저항에 의한 누전이 감지된 경우 고전압회로의 무조건 차단에 의한 2차적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누전진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Electric leakage diagnosis apparatus for vehicle using insulation resistance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에서 고전압배터리의 누전여부를 측정하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는 절연파괴 유무를 감지하여 누전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고전압 배터리가 적용되는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전기자동차에 적용된다.
이러한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는 먼저 주행/정차 중 절연저항을 모니터링하고, 이 모니터링된 절연저항의 값이 임계 절연저항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경고와 함께 고전압배터리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킴으로써 누전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그러나 종래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도 절연저항이 파괴된 경우에는 고전압회로를 무조건 차단함으로써, 차량이 제어불능 상태가 되어 2차적인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KR 10-2012-0030198 A, 2012. 03. 28, 도면 1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저항이 파괴된 경우 어느 고전압 부품에서 절연이 파괴되었는지 유형별로 파악할 수 있는 로직을 통해 적절한 림프홈(Limp-Home) 모드를 운용할 수 있어 고전압회로의 무조건 차단에 의한 2차적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절연파괴를 일으킨 고전압 부품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어 진단 및 정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는 차량의 고전압배터리와 섀시간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출력하기 위한 절연저항측정센서; 외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전압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량의 전장부하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메인스위칭부; 및 상기 절연저항측정센서로부터 출력된 제1 절연저항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차량의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구동부의 동작이 중지된 후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고전압배터리로부터 차량의 전장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메인스위칭부를 오프(OFF)하여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배터리전력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상기 절연저항측정센서로부터 출력된 제1 절연저항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전에 차량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1 고장코드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상기 메인스위칭부를 오프(OFF)하여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킨 후 상기 구동부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2 고장코드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상기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차량의 전장부하 중 상기 구동부를 제외한 고전압 부품들 중 하나인 제1 고전압 부품을 선택하여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선택된 제1 고전압 부품의 동작이 중지된 후 상기 절연저항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전압 부품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고전압 부품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동작이 중지된 구동부를 다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상기 제1 고전압 부품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동작이 중지된 구동부를 다시 동작시키기 전에 상기 제1 고전압 부품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3 고장코드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차량의 전장부하 중 상기 구동부를 제외한 고전압 부품들에 대해 차례로 동작을 중지시키고 중지된 후 해당 고전압 부품에 대한 상기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고전압배터리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한 후 상기 절연저항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제4 절연저항을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제4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여 상기 고전압배터리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상기 고전압배터리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킨 후에 상기 고전압배터리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4 고장코드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상기 제4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차량의 전장부하 중 전기적 제어에 의해 고전압회로의 차단이 불가한 기타 장치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상기 기타 장치들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킨 후에 상기 기타 장치들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5 고장코드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방법은 (a) 차량의 고전압배터리와 섀시사이에서 측정된 제1 절연저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제1 절연저항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차량의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c) 상기 구동부의 동작이 중지된 후 측정된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 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구동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고전압배터리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방법은, (c1) 상기 (c)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차량의 전장부하 중 상기 구동부를 제외한 고전압 부품들 중 하나인 제1 고전압 부품을 선택하여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c2) 상기 선택된 제1 고전압 부품의 동작이 중지된 후 측정된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c3) 상기 (c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전압 부품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c4) 상기 제1 고전압 부품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b)단계에서 동작이 중지된 구동부를 다시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방법은, 차량의 전장부하 중 상기 구동부를 제외한 고전압 부품들 모두에 대해 상기 (c1)단계 및 (c2)단계를 차례로 수행한 결과 상기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고전압배터리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한 후 측정된 제4 절연저항의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4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4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고전압배터리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전압배터리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방법은, 상기 제4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차량의 전장부하 중 전기적 제어에 의해 고전압회로의 차단이 불가한 기타 장치들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타 장치들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절연저항이 파괴된 경우 어느 고전압 부품에서 절연이 파괴되었는지 장치별로 파악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과 관련이 없는 고전압 부품의 절연 파괴의 경우에는 림프홈 모드를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절연저항에 의한 누전이 감지된 경우 고전압회로의 무조건 차단에 의한 2차적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D), 에어컨컴프레셔(A/Comp), PTC히터(PTC)와 같은 고전압 계통과 관련된 기기에 대해 장치별로 누전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장치별 누전 경고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중 구동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된 경우의 제어절차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중 고전압 부품 중 하나에서 절연파괴가 발생된 경우의 제어절차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중 고전압 부품 중 또 다른 하나에서 절연파괴가 발생된 경우의 제어절차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중 고전압배터리 또는 기타 장치에서 절연파괴가 발생된 경우의 제어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1)는 고전압배터리(10), 절연저항측정센서(20), 메인스위칭부(30), 배터리전력관리부(4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차량의 전장부하 중 고전압 부품의 일 예로서 구동부(D)를 포함한 에어컨컴프레셔(A/Ccomp),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히터(PTC)가 도시되어 있다.
고전압배터리(10)는 배터리전력관리부(4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구동부(D)를 포함한 에어컨컴프레셔(A/Ccomp), PTC히터(PTC)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전기자동차의 사용되는 고전압원은 차량의 저전압원과 절연되어야 한다.
절연저항측정센서(20)는 차량의 고전압배터리(10)와 차량의 섀시간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배터리전력관리부(40)로 출력한다. 즉 절연저항측정센서(20)는 고전압배터리(10)의 누전여부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스위칭부(30)는 배터리전력관리부(40)의 제어에 의해 고전압배터리(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량의 전장부하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릴레이 소자로 이루어져 있다.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차량의 상위제어부와 연동하고, 상위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고전압배터리(10)를 관리하고 차량의 전장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절연저항측정센서(20)를 이용한 차량이 진단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기능은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1) 중 구동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된 경우의 제어절차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절연저항측정센서(20)에 의해 차량의 고전압배터리(10)와 차량의 섀시간의 제1 절연저항이 측정되어 배터리전력관리부(40)로 전달된 경우(S205),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전달된 제1 절연저항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값 보다 작은 지 판단한다(S210).
S210단계의 판단결과 제1 절연저항의 값이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차량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1 고장코드(Diagnostics Trouble Code, DTC)를 발생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1)에 따른 진단알고리즘을 개시한다(S215).
다음,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D)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3상(U,V,W) 제어의 중지요청 신호를 구동부(D)로 전달한다(S220). 이 경우 차량은 타력 운행될 수 있다.
다음,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구동부(D)의 동작이 중지된 후 측정된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 판단한다(S230). 이 판단결과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에 의한 제어절차를 수행한다.
S230단계의 판단결과,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구동부(D)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S240). 이 경우 차량은 림프홈(Limp-Home)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어렵다.
다음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구동부(D)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메인스위칭부(30)를 오프(OFF)하여 고전압배터리(10)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차량 운행을 중지시키며, 구동부(D)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2 고장코드를 발생한다(S250).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성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의 고전압 부품 중 하나인 에어컨컴프레셔에서 절연파괴가 발생된 경우의 제어절차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1) 중 고전압 부품 중 또 다른 하나인 PTC히터에서 절연파괴가 발생된 경우의 제어절차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S230단계에서,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차량의 전장부하 중 구동부를 제외한 고전압 부품들 중 하나인 제1 고전압 부품을 선택하여 동작을 중지시킨다(S320). 도 3은 고전압 부품들 중 에어컨컴프레셔(A/Comp)가 선택된 경우의 제어 절차도이다.
다음,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선택된 제1 고전압 부품인 에어컨컴프레셔(A/Comp)의 동작이 중진된 후 절연저항측정센서(20)에 의해 측정된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330).
S330단계의 판단결과,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고전압 부품인 에어컨컴프레셔(A/Comp)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S340). 이 경우 구동부(D)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차량의 림프홈(Limp-Home)모드의 진입이 가능하다.
다음,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제1 고전압 부품인 에어컨컴프레셔(A/Comp)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고전압 부품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3 고장코드를 발생한다(S350). 이 경우 차량은 림프홈(Limp-Home) 모드로 주행이 가능하다(S360).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제어절차는 구동부(D)를 제외한 고전압 부품들 모두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1) 중 고전압 부품 중 PTC히터에서 절연파괴가 발생된 경우의 제어절차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S330단계에서, 제1 고전압 부품인 에어컨컴프레셔(A/Comp)가 중지된 경우 측정된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2개의 고전압 부품들 중 나머지인 PTC히터(PTC)를 선택하여 동작을 중지시킨다(S420).
다음,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선택된 제1 고전압 부품인 PTC히터(PTC)의 동작이 중지된 후 절연저항측정센서(20)에 의해 측정된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430).
S430단계의 판단결과,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PTC히터(PTC)의 동작이 중지된 후 측정된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PTC히터(PTC)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S440). 이 경우 구동부(D)의 동작이 가능하여 차량의 림프홈(Limp-Home)모드의 진입이 가능하다.
다음,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제1 고전압 부품인 PTC히터(PTC)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PTC히터(PTC)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3 고장코드를 발생한다(S450). 이 경우 차량은 림프홈(Limp-Home) 모드로 주행될 수 있다(S460).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1) 중 고전압배터리 또는 기타 장치에서 절연파괴가 발생된 경우의 제어절차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위의 S330단계 및 S430단계에서 에어컨컴프레셔(A/Comp)의 동작이 중지된 후 측정된 제3 절연저항의 값과 PTC히터(PTC)의 동작이 중지된 후 측정된 제3 절연저항의 값들 각각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메인스위칭부(30)를 오프(OFF)하여 고전압배터리(10)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한 후 절연저항측정센서(20)에 의해 측정된 제4 절연저항의 값을 수신한다(S520).
다음,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수신된 제4 절연저항의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 판단한다(S530). 이 판단결과 제4 절연저항의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고전압배터리(10)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S540). 이 경우 구동을 위한 전원의 사용이 불가하기 때문에 림프홈(Limp-Home) 모드의 진입은 어려울 수 있다.
다음,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고전압배터리(10)의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키고 고전압배터리(10)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4 고장코드를 발생한다(S550).
한편, S530단계의 판단결과 제4 절연저항의 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차량의 전장부하 중 전기적 제어에 의해 고전압회로의 차단이 불가한 기타 장치들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S570). 기타 장치는 케이블과 같이 차량의 전장부하 중 전기적 제어에 의해 고전압배터리(10)의 전압공급을 차단할 수 없는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림프홈 모드의 진입은 어려울 수 있다.
다음, 배터리전력관리부(40)는 기타 장치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키고 기타 장치들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5 고장코드를 발생한다(S58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1) 및 이의 제어방법은 절연저항이 파괴된 경우 어느 고전압 부품에서 절연이 파괴되었는지 장치별로 파악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과 관련이 없는 고전압 부품의 절연 파괴의 경우에는 림프홈 모드를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절연저항에 의한 누전이 감지된 경우 고전압회로의 무조건 차단에 의한 2차적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1) 및 이의 제어방법은 구동부(D), 에어컨컴프레셔(A/Comp), PTC히터(PTC)와 같은 고전압 계통과 관련된 기기에 대해 장치별로 누전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장치별 누전 경고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10: 고전압배터리
20: 절연저항측정센서
30: 메인스위칭부
40: 배터리전력관리부
A/Comp: 에어컨컴프레셔
PTC: PTC히터
D: 구동부

Claims (13)

  1. 차량의 고전압배터리와 섀시간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출력하기 위한 절연저항측정센서;
    외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전압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량의 전장부하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메인스위칭부; 및
    상기 절연저항측정센서로부터 출력된 제1 절연저항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차량의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구동부의 동작이 중지된 후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고전압배터리로부터 차량의 전장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메인스위칭부를 오프(OFF)하여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배터리전력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상기 절연저항측정센서로부터 출력된 제1 절연저항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전에 차량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1 고장코드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상기 메인스위칭부를 오프(OFF)하여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킨 후 상기 구동부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2 고장코드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상기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차량의 전장부하 중 상기 구동부를 제외한 고전압 부품들 중 하나인 제1 고전압 부품을 선택하여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선택된 제1 고전압 부품의 동작이 중지된 후 상기 절연저항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전압 부품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고전압 부품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동작이 중지된 구동부를 다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상기 제1 고전압 부품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동작이 중지된 구동부를 다시 동작시키기 전에 상기 제1 고전압 부품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3 고장코드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차량의 전장부하 중 상기 구동부를 제외한 고전압 부품들에 대해 차례로 동작을 중지시키고 중지된 후 해당 고전압 부품에 대한 상기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고전압배터리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한 후 상기 절연저항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제4 절연저항을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제4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여 상기 고전압배터리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상기 고전압배터리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킨 후에 상기 고전압배터리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4 고장코드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상기 제4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차량의 전장부하 중 전기적 제어에 의해 고전압회로의 차단이 불가한 기타 장치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력관리부는 상기 기타 장치들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킨 후에 상기 기타 장치들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제5 고장코드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장치.
  10. (a) 차량의 고전압배터리와 섀시사이에서 측정된 제1 절연저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제1 절연저항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차량의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c) 상기 구동부의 동작이 중지된 후 측정된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구동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고전압배터리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c1) 상기 (c)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2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차량의 전장부하 중 상기 구동부를 제외한 고전압 부품들 중 하나인 제1 고전압 부품을 선택하여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c2) 상기 선택된 제1 고전압 부품의 동작이 중지된 후 측정된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c3) 상기 (c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전압 부품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c4) 상기 제1 고전압 부품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b)단계에서 동작이 중지된 구동부를 다시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차량의 전장부하 중 상기 구동부를 제외한 고전압 부품들 모두에 대해 상기 (c1)단계 및 (c2)단계를 차례로 수행한 결과 상기 제3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고전압배터리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한 후 측정된 제4 절연저항의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4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4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고전압배터리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전압배터리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절연저항의 값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차량의 전장부하 중 전기적 제어에 의해 고전압회로의 차단이 불가한 기타 장치들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타 장치들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진단방법.
KR1020120084299A 2012-08-01 2012-08-01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누전진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ctive KR101371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299A KR101371854B1 (ko) 2012-08-01 2012-08-01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누전진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3/676,442 US8831816B2 (en) 2012-08-01 2012-11-14 Electrical leakage diagnosis apparatus for vehicle using insulation resistance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210495939.0A CN103576042B (zh) 2012-08-01 2012-11-28 使用绝缘电阻传感器的车辆用漏电诊断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299A KR101371854B1 (ko) 2012-08-01 2012-08-01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누전진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783A KR20140017783A (ko) 2014-02-12
KR101371854B1 true KR101371854B1 (ko) 2014-03-24

Family

ID=5002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299A Active KR101371854B1 (ko) 2012-08-01 2012-08-01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누전진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31816B2 (ko)
KR (1) KR101371854B1 (ko)
CN (1) CN10357604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556A1 (ko) * 2017-12-15 2019-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누전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9516B2 (ja) * 2011-07-29 2016-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モータ駆動回路、モータ装置、および移動体
US9393920B2 (en) * 2013-05-20 2016-07-19 General Motors Llc Telematics-based system for protecting against vehicle battery drain
GB2517184B (en) * 2013-08-14 2016-01-20 Jaguar Land Rover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isolated HV circuit
US10591387B2 (en) * 2013-08-22 2020-03-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gnal classification
US10279218B2 (en) 2013-09-03 2019-05-07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JP6146332B2 (ja) * 2013-09-11 2017-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レーの固着判別システム
CN104037842A (zh) * 2014-05-20 2014-09-10 上海同灿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用软下电电池管理系统
KR20160046420A (ko) * 2014-10-20 2016-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릴레이 재접속 방법
KR101664594B1 (ko) 2014-11-26 2016-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부품 절연파괴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7768B1 (ko) 2014-12-08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절연파괴 고장 부품 진단 및 안내 방법
MX360689B (es) 2015-03-20 2018-11-14 Nissan Motor Dispositivo de control de vehículo de vehículo híbrido.
DE102015207222A1 (de) * 2015-04-21 2016-10-2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ein Hochvolt-Energiesystem eines Fahrzeugs
JP6637749B2 (ja) * 2015-12-04 2020-01-29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絶縁異常検知装置及び絶縁異常検知方法
KR101836651B1 (ko) * 2016-06-13 2018-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차량의 절연저항 측정 시스템 및 방법
US10168372B2 (en) 2016-12-14 2019-01-0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leakage current and fault location detection in electric vehicle DC power circuits
CN107444126A (zh) * 2017-06-30 2017-12-08 中车大连机车车辆有限公司 内燃机车接地保护系统
CN108398613A (zh) * 2018-03-02 2018-08-14 蔚来汽车有限公司 电池与车身连接状态的检测方法及装置、控制器和介质
KR102256096B1 (ko) 2018-08-27 2021-05-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팩과 접지 간의 절연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US11598812B2 (en) * 2018-11-15 2023-03-07 Lear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diagnostic processes with reduced processing time
US10852340B2 (en) * 2018-11-20 2020-1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electronics high-resistance fault detection and isolation
US11713129B2 (en) 2019-03-01 2023-08-01 Pratt & Whitney Canada Corp. Normal mode operation of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s
WO2020180381A1 (en) 2019-03-01 2020-09-10 United Technologies Advanced Projects, Inc. Indicators for hybrid electrical powerplants
CA3132269A1 (en) 2019-03-01 2020-09-10 Pratt & Whitney Canada Corp. Degraded mode operation of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s
EP3927620B1 (en) 2019-04-25 2024-08-28 Pratt & Whitney Canada Corp. Control systems for hybrid electric powerplants
US20210063459A1 (en) * 2019-08-30 2021-03-0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cause of failure due to dielectric breakdown on basis of big data
EP3875300A1 (en) 2020-03-06 2021-09-08 Volvo Car Corporation Limp home mode for a battery electric vehicle
US11958622B2 (en) 2020-05-15 2024-04-16 Pratt & Whitney Canada Corp. Protection functions
US11794917B2 (en) 2020-05-15 2023-10-24 Pratt & Whitney Canada Corp. Parallel control loops for hybrid electric aircraft
US11958590B2 (en) * 2021-03-10 2024-04-16 Beta Air, Llc System and a method for a battery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aircraft
CN114035108B (zh) * 2021-10-25 2024-08-23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漏电诊断装置及方法
CN115384311B (zh) * 2022-08-24 2025-03-04 重庆长安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诊断动力电池绝缘故障方法、系统、车辆及存储介质
KR20240038502A (ko) 2022-09-16 2024-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절연 진단 모듈
CN118501746B (zh) * 2024-06-18 2025-03-21 深圳市卡莱福科技有限公司 汽车应急电源实时检测方法、系统、存储介质及程序产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4138A (ja) 2004-04-08 2005-10-27 Toyota Motor Corp モータ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599Y1 (ko) 1997-12-16 2001-05-02 이계안 전기 자동차의 누설전류 검출장치
JP4082676B2 (ja) * 2003-05-29 2008-04-30 株式会社デンソー 漏電検出装置の検査システム
JP4198019B2 (ja) * 2003-10-07 2008-12-17 矢崎総業株式会社 状態検出方法及び絶縁抵抗低下検出器
KR100572624B1 (ko) 2004-02-11 2006-04-19 김순 전선용량 과부하 감지회로 및 이를 내장한 전원차단장치
JP4430501B2 (ja) 2004-09-29 2010-03-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4225281B2 (ja) * 2005-02-09 2009-0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4238835B2 (ja) * 2005-03-18 2009-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及びその制御方法
JP3927584B2 (ja) * 2005-10-26 2007-06-13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車用動力制御装置
JP4635890B2 (ja) * 2006-02-03 2011-0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0844648B1 (ko) 2006-10-02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차량의 감전방지용 안전보호장치
JP4179378B2 (ja) * 2007-01-04 2008-1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駆動制御装置、および、車両
KR20090012456A (ko) 2007-07-30 2009-0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사용 차량의 절연내력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2009085830A (ja) 2007-10-01 2009-04-23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における絶縁抵抗低下検出装置
JP5072727B2 (ja) 2008-06-17 2012-11-14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絶縁抵抗検出装置および絶縁抵抗検出方法
KR101114316B1 (ko) 2009-03-23 2012-02-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절연저항 측정회로
JP4937293B2 (ja) * 2009-03-31 2012-05-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地絡検知システムを備える電気自動車
JP5323561B2 (ja) * 2009-03-31 2013-10-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地絡検出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備える電気自動車
DE102009002991A1 (de) * 2009-05-11 2010-11-18 Robert Bosch Gmbh Steuergerät, insbesondere für ein Hybridfahrzeug mit einem elektrischen Antrieb und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bridfahrzeugs
CN101722859A (zh) * 2009-12-15 2010-06-09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混合动力汽车的高压安全系统
KR20120030198A (ko) 2010-09-17 2012-03-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절연저항 감지 장치
CN102407778B (zh) * 2010-09-21 2014-01-15 江苏春兰清洁能源研究院有限公司 一种实时防串扰互补式车载漏电检测系统
KR101101270B1 (ko) 2010-12-07 2012-01-04 한국 전기안전공사 친환경 자동차의 절연저항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205800B (zh) * 2011-02-25 2014-09-17 南京华博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动车电池管理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4138A (ja) 2004-04-08 2005-10-27 Toyota Motor Corp モータ駆動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556A1 (ko) * 2017-12-15 2019-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누전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72272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누전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985553B2 (en) 2017-12-15 2021-04-20 Lg Chem,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attery leakage
KR102259382B1 (ko) 2017-12-15 2021-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누전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39740A1 (en) 2014-02-06
US8831816B2 (en) 2014-09-09
KR20140017783A (ko) 2014-02-12
CN103576042B (zh) 2018-02-06
CN103576042A (zh)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854B1 (ko)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누전진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5938171B (zh) 使用dc总线泄漏硬件的ac牵引马达故障检测
KR101241226B1 (ko) 친환경 차량의 메인 릴레이 모니터링장치 및 방법
KR101332871B1 (ko) 전기 자동차의 릴레이 접점 진단 장치 및 방법
CN106654403B (zh) 一种防止电池故障误报的方法和装置
KR101664594B1 (ko) 차량 부품 절연파괴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US9057750B2 (en) Test of a testing device for determining a voltage state of a high-voltage vehicle electrical system
KR20160046420A (ko) 차량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릴레이 재접속 방법
JP5434388B2 (ja) リレー故障診断装置
CN107438534A (zh) 用于车辆的高压能量系统的方法和装置
CN104833890A (zh) 电动汽车及其高压回路检测控制装置、检测控制方法
CN106274497B (zh) 一种新能源汽车故障自检的方法
KR101574429B1 (ko) 친환경 자동차의 절연저항 검출장치 및 그 방법
CN113043849A (zh) 燃料电池汽车的绝缘故障控制方法和控制装置
JP2010154594A (ja) 電子制御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CN104863684A (zh) 车辆及其冷却风扇电机的监控方法和监控系统
KR101428288B1 (ko) 차량용 사이드 스텝 장치의 진단 방법
KR102819317B1 (ko) 배터리 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28630A1 (e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us of a power system in a vehicle using the measurement system
CN115959061A (zh) 一种车辆静态电流的控制方法、装置、系统及车辆
KR101734577B1 (ko) 전기자동차 냉각계 및 그 운영방법
KR101603248B1 (ko) 비상 발전기의 구동 방법 및 장치
CN109094489B (zh) 用于运行车载电网的方法
KR102710358B1 (ko)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및 제어 장치, 그리고 그 전기 시스템
JP2012065439A5 (ja)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故障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