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6264B1 - 데이터 전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264B1
KR101366264B1 KR1020070086993A KR20070086993A KR101366264B1 KR 101366264 B1 KR101366264 B1 KR 101366264B1 KR 1020070086993 A KR1020070086993 A KR 1020070086993A KR 20070086993 A KR20070086993 A KR 20070086993A KR 101366264 B1 KR101366264 B1 KR 101366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carriers
subchannel
data
subcarrier
pil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010A (ko
Inventor
최진수
곽진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264B1/ko
Priority to US12/733,262 priority patent/US8588202B2/en
Priority to PCT/KR2008/004702 priority patent/WO2009028814A2/en
Publication of KR20090022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26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데이터 전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즉, 특정 송신측이 저속 송신측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모드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파일럿의 전송 횟수를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개선된 서브채널 구조 및 보호 구간을 조정한 개선된 시스템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서브채널, 빈

Description

데이터 전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Data Transmiss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특정 사용자 기기(UE)가 AMC 모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파일럿의 수를 효과적으로 줄여 데이터 전송 양을 증가시켜 줄 수 있는 효과적인 데이터 및 파일럿을 포함한 신호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e 시스템에서의 저속의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이하 "UE")에 적용되는 AMC 모드(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Mode)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IEEE 802.16e 시스템에서 AMC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서브채널을 이루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가로축은 시간 축, 세로축은 주파수 축을 의미한다. 도 1에 있어서 시간 축으로는 OFDM 심볼들을, 새로 축으로는 각 서브캐리어들을 매핑시켜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IEEE 802.16e 시스템에서는 특정 송신측이 AMC 모드로 신호를 전송할 경우, 빈(bin)이라는 기본 단위 구조를 사용한다. 하나의 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서브캐리어(Subcarrier)로 구성되어 있고, 이는 8개의 데이터 서브캐리어와 1개의 파일럿 서브캐리어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데이터 서브캐리어"는 시간 축으로 하나의 OFDM 심볼 내에서 주파수 축으로 하나의 서브캐리어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 단위를, "파일럿 서브캐리어"는 동일한 영역에 해당하는 파일럿 전송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IEEE 802.16e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의 가장 기본 단위인 서브채널(Subchannel)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빈으로 구성이 되며, 서브채널을 이루는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는 48개(=6*8)가 된다. 도 1은 서브채널이 주파수 축으로 2개의 빈과 3개의 OFDM 심볼 영역으로 구성되는 예(즉, 2 빈 * 3 OFDM 심볼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서브채널을 구성하는 6개의 빈은 이와 달리 다양하게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빈으로 구성되는 서브채널은 1 빈 * 6 OFDM 심볼, 2 빈 * 3 OFDM 심볼, 3 빈 * 2 OFDM 심볼, 6 빈 * 1 OFDM 심볼과 같은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IEEE 802.16e 시스템을 포함한 일반적인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의 송신단은 데이터 및 파일럿의 전송시 부반송파로 적절히 할당한 뒤 전송 신호에 역 패스트퓨리에 변환(이하 "IFFT")을 수행하여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 및 매핑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부반송파로 할당하는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의 표 1은 IEEE 802.16e 시스템에서 FFT 크기가 2048인 경우, OFDMA 시스템 파라미터를 나타낸 표이다.
파라미터
(Parameter)

(Value)

DC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C Subcarriers)

1 (인덱스 1024, 0으로부터 카운트)

가드 서브캐리어의 수, 좌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s, left)

160

가드 서브캐리어의 수, 우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s, right)

159

Nused, (DC 서브 캐리어를 포함하여)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수
(Nused, Number of Used Subcarriers (which includes the DC subcarrier))

1729

전체 서브캐리어의 수
(Total Number of Subcarriers)

2048

파일럿의 수
(Number of Pilots)

192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ata Subcarriers)

1536

물리 대역의 수
(Number of Physical Bands)

48

물리 대역당 빈의 수
(Number of Bins per Physical Band)

4

슬롯 당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ata Subcarriers per slot)

48
상기 표 1에서 전체 2048개의 서브캐리어는 좌우측 각각의 160, 159개의 보호 서브캐리어(Guard Subcarrier)들과 1729개의 이용되는 서브캐리어(Used Subcarrier)들을 포함한다. 또한, 1729개의 이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은 1개의 DC 서브캐리어, 1536 개의 데이터 서브캐리어, 192 개의 파일럿 서브캐리어를 포함한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2048 크기의 FFT 이외에도 FFT 크기는 1024, 512, 128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FFT 크기가 1024, 512, 128인 경우 각각의 OFDM 시스템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파라미터
(Parameter)

(Value)
노트
(Note)

DC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C Subcarriers)

1

-

가드 서브캐리어의 수, 좌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s, left)

80

-

가드 서브캐리어의 수, 우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s, right)

79

-

(모든 가능한 할당 파일럿 및 DC 서브 캐리어를 포함하여)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수(Nused)
(Number of Used Subcarriers(Nused) (including all posible allocated pilots and the DC subcarrier))

865

-

파일럿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Pilot Subcarriers)

96

-

파일럿 서브캐리어 인덱스
(Pilot Subcarrier Index)

9k+3m+1, for k=0, 1, ..., 95, and
m= [symbol index] mod 3

파일럿 서브캐리어 인덱스 내의 심볼 인덱스 0은 현재 영역의 첫번째 심볼이어야 한다. m은 프리엠블, 안전 영역, 사운딩 심볼, 미드엠블 등을 제외한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만 증가한다.
파일럿 서브캐리어 인덱스가 좌측 수식에 의해 계산될 때, DC 서브캐리어는 제외된다.
(Symbol of index 0 in pilot subcarrier index should be the first symbol of the current zone. m is incremented only for data symbols, excluding preambles, safty zones, sounding symbols, midambles, ets.
DC subcarrier is excluded when the pilot subcarrier index is calculated by the equation)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ata Subcarriers)

768

-

물리 대역의 수
(Number of Physical Bands)

24

-

물리 대역당 빈의 수
(Number of Bins per Physical Band)

4

-

슬롯 당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ata Subcarriers per slot)

48

-
파라미터
(Parameter)

(Value)
노트
(Note)

DC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C Subcarriers)

1

-

가드 서브캐리어의 수, 좌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s, left)

40

-

가드 서브캐리어의 수, 우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s, right)

39

-

(모든 가능한 할당 파일럿 및 DC 서브 캐리어를 포함하여)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수(Nused)
(Number of Used Subcarriers(Nused) (including all posible allocated pilots and the DC subcarrier))

433

-

파일럿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Pilot Subcarriers)

48

-

파일럿 서브캐리어 인덱스
(Pilot Subcarrier Index)

9k+3m+1, for k=0, 1, ..., 47, and
m= [symbol index] mod 3

파일럿 서브캐리어 인덱스 내의 심볼 인덱스 0은 현재 영역의 첫번째 심볼이어야 한다. m은 프리엠블, 안전 영역, 사운딩 심볼, 미드엠블 등을 제외한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만 증가한다.
파일럿 서브캐리어 인덱스가 좌측 수식에 의해 계산될 때, DC 서브캐리어는 제외된다.
(Symbol of index 0 in pilot subcarrier index should be the first symbol of the current zone. m is incremented only for data symbols, excluding preambles, safty zones, sounding symbols, midambles, ets.
DC subcarrier is excluded when the pilot subcarrier index is calculated by the equation)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ata Subcarriers)

384

-

물리 대역의 수
(Number of Physical Bands)

12

-

물리 대역당 빈의 수
(Number of Bins per Physical Band)

4

-

슬롯 당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ata Subcarriers per slot)

48

-
파라미터
(Parameter)

(Value)
노트
(Note)

DC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C Subcarriers)

1

-

가드 서브캐리어의 수, 좌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s, left)

10

-

가드 서브캐리어의 수, 우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s, right)

9

-

(모든 가능한 할당 파일럿 및 DC 서브 캐리어를 포함하여)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수(Nused)
(Number of Used Subcarriers(Nused) (including all posible allocated pilots and the DC subcarrier))

109

-

파일럿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Pilot Subcarriers)

12

-

파일럿 서브캐리어 인덱스
(Pilot Subcarrier Index)

9k+3m+1, for k=0, 1, ..., 11, and
m= [symbol index] mod 3

파일럿 서브캐리어 인덱스 내의 심볼 인덱스 0은 현재 영역의 첫번째 심볼이어야 한다. m은 프리엠블, 안전 영역, 사운딩 심볼, 미드엠블 등을 제외한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만 증가한다.
파일럿 서브캐리어 인덱스가 좌측 수식에 의해 계산될 때, DC 서브캐리어는 제외된다.
(Symbol of index 0 in pilot subcarrier index should be the first symbol of the current zone. m is incremented only for data symbols, excluding preambles, safty zones, sounding symbols, midambles, ets.
DC subcarrier is excluded when the pilot subcarrier index is calculated by the equation)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ata Subcarriers)

96

-

물리 대역의 수
(Number of Physical Bands)

3

-

물리 대역당 빈의 수
(Number of Bins per Physical Band)

4

-

슬롯 당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ata Subcarriers per slot)

48

-
상술한 바와 같이 IEEE 802.16e 시스템에서의 하나의 서브채널은 6개의 빈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빈은 9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이 되어 있다. 그리고 시간 영역으로 매 OFDM 심볼마다 각 빈당 파일럿이 존재하여 채널 추정시 사용이 된다. 이는 주파수 축으로 9개의 서브캐리어가 비슷한 채널을 겪고, 시간 축으로는 매 OFDM 심볼마다 비슷한 채널을 겪는다는 것이 반영된 구조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서브채널은 신호 전송의 가장 작은 기본 단위로서 동일한 UE에게 할당한 하나(혹은, 하나 이상의) 서브채널은 AMC 모드로 동작 시 비슷한 채널 환경을 겪으면서 전송되는 것을 가정한다.
한편, 데이터 전송시 상술한 AMC 모드는 저속의 UE에게 적용되는 방식이다. 이는 데이터 전송시 고속 UE에게 적용되는 PUSC (Parrallel Usage of SubCarrier) 모드와 구분된다. 따라서, 특정 UE가 AMC 모드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매 OFDM 심볼마다 파일럿을 심어 주는 것은 매 OFDM 심볼마다 파일럿을 심어주지 않았을 경우 대비하여 큰 성능의 향상이 없다. 또한, AMC 모드에서 매 OFDM 심볼마다 파일럿을 심어주었을 경우, 그만큼 데이터 서브캐리어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측면에서 오버헤드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파일럿의 개수를 줄이고,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전체 전송율을 생각하였을 때 더 효율적인 구조일 수 있으나, 상술한 IEEE 802.16e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인식이 제기되지 않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시스템 성능을 유지 또는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파일럿 전송 횟수를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신호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개선된 빈 구조, 서브채널 구조 등 전송 신호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신호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FFT 크기에 따른 개선된 시스템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 전송을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은 시간 주파수 공간상의 서브채널(subchannel)을 통해 특정 송신측이 데이터 및 파일럿을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송신측에 소정 속도 이하의 이동성을 가지는 송신측에 적용되는 제 1 신호 전송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특정 송신측은 상기 소정 속도 이상의 이동성을 가지는 송신측에 적용되는 제 2 신호 전송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서브채널당 파일럿 전송 횟수를 감소시켜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 1 신호 전송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은 AMC 모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전송 단계에서, 상기 특정 송신측은 상기 파일럿을 상기 서브채널의 시간 영역에서 2개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al Multiplexing) 심볼마다 전송할 수 있다. 즉, IEEE 802.16e 시스템에서 AMC 모드의 경우에도 매 OFDM 심볼마다 파일럿을 전송하는 것과 달리 저속 UE에게 적용되는 AMC 모드의 경우 2개의 OFDM 심볼마다 파일럿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채널 추정에 미치는 성능 차이는 미미한 반면,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신호 전송 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브 채널의 구조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브 채널은 소정 개수의 빈(bin)을 포함하며, 상기 빈 하나에 포함된 서브캐리어(subcarrier)의 개수는 상기 서브 채널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가 상기 특정 송신측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모드에 관계 없이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이 기존 통신 방식에서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경우, 기존 시스템의 통신 방식과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빈 하나에 포함된 서브캐리어의 개수를 13개, 그리고 상기 서브채널이 4개의 빈을 포함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하나의 빈에 포함된 서브캐리어의 개수 및 하나의 서브채널이 포함하는 빈의 수는 기존 시스템에서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OFDM 심볼당 하나의 파일럿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하게 기존 시스템에서 하나의 서브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를 유지하면서도, 전송되는 파일럿의 수를 감소시켜 동일한 데이터 처리 범위 내에서의 데이터 전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서브 채널은 4개의 빈을 포함하고, 상기 빈 하나에 포함된 서브캐리어의 개수는 13개인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상술한 신호 전송 단계에서, 상기 특정 송신측은 상기 파일럿을 상기 서브채널의 시간 영역에서 매 OFDM 심볼마다 전송하되, 상기 빈당 하나의 파일럿을 전송하여, 데이터 전송을 증가시키면서도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를 기존 시스템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신호 전송 이전에, 상기 신호의 역 패스트 퓨리에 변환(Inverse Fast Furrier Transform: IFFT)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패스트 퓨리에 변환을 수행하는 단위 신호 크기에 따른 보호 서브캐리어(Guard Subcarrier)의 수는 상기 특정 송신측에 상기 제 2 신호 전송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의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이상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호 구간 증가에 따른 엘리어싱(Aliasing)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속 UE의 신호 전송에 있어 파일럿 전송 감소에 따른 채널 추정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파일럿 전송 감소에 따라 데이터 전송량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서브채널 구조를 통해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를 기존 통신 방식에서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보호 구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엘리어싱(Aliasing)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공되는 서브채널 구조 및 시스템 파라미터를 이용한 데이터 및 파일럿을 포함한 신호 전송 방법의 관점에서 중점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와 같은 서브 채널 구조 및 시스템 파라미터 등을 구성하고 이용하는 한 다양한 방법 및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은 기존 시스템의 일례로서 IEEE 802.16e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3GPP, 3GPP2 등의 다양한 시스템에서 저속 UE의 데이터 전송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할 서브채널의 구조 및 시스템 파라미터들을 규정하는 구체적인 수치는 시스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각각의 수치를 유도하는 구체적인 원리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성능을 유지 또는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파일럿 전송 횟수를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와 같은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브채널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간 주파수 공간상의 서브채널을 통해 특정 송신측(예를 들어, UE)이 데이터 및 파일럿을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AMC 모드 등이 적용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 OFDM 심볼마다 파일럿을 전송하지 않고, 이와 같은 파일럿 전송 횟수를 감소시켜, 구체 적으로 2 OFDM 심볼 단위로 파일럿을 전송하는 것을 제안한다. 여기서, 2 OFDM 심볼 간격은 AMC 모드와 같이 저속 UE의 상황에서 파일럿이 이와 같은 간격으로 삽입되어도 채널 추정에 문제가 없는 적절한 심볼 간격을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가 기존 시스템에서와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제안한다. 기존 IEEE 802.16e 시스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빈당 8개씩 6개의 빈에 걸쳐 48개의 데이터 서브캐리어가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라 단순히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OFDM 심볼 간격으로 파일럿을 전송하는 경우,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는 48개보다 많게 되어 이에 따라 시스템 변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데이터 전송을 증가시키기 위한 개선된 서브채널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Figure 112007062917017-pat00001
여기서, DS는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I는 파일럿이 전송되는 OFDM 심볼 간격, Sb는 빈당 서브캐리어의 총 수, Db는 파일럿이 포함된 빈에 포함된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그리고 B는 동일 OFDM 심볼 영역에서의 빈 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DS가 48로, I가 2로 설정된 것을 가정하여, 상기 수학식 1에서 나머지 파라미터들의 설정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능한 조합을 모두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Sb는 1 내지 20의 범위에서, 상기 B는 1 내지 FFT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되는 특정 수의 범위에서 각각 적절한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Db는 상기 Sb에서 파일럿의 수에 해당하는 1 내지 2가 감소된 수로 설정될 수 있음을 가정하여 가능한 조합을 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합으로서 Sb가 13, Db가 11, B가 1인 서브채널 구조를 제안하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개선된 서브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존 IEEE 802.16e 시스템에서 빈을 이루는 서브캐리어의 수가 9개이고, 하나의 서브채널이 6개의 빈으로 이루어져 있던 반면,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브채널은 하나의 빈에 포함된 서브캐리어의 수(즉, 상기 Sb)가 13개이고, 시간 축으로 4개의 OFDM 심볼에 걸쳐 4개의 빈으로 구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서브채널 구조에서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빈의 구조는 서로 다르며, 홀수 번째 빈은 데이터 서브캐리어와 파일럿 서브캐리어가 각 기 11개, 2개로 이루어져 있고, 짝수 번째 빈은 13개의 데이터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실시형태에서 도 2와 달리 짝수 번째 빈에 데이터 서브캐리어와 파일럿 서브캐리어를 각각 11개, 2개씩 포함하며, 홀수 번째 빈에 데이터 서브캐리어만 13개를 포함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도 2에서 4개의 OFDM 심볼의 인덱스를 순차적으로 0, 1, 2, 3이라 할 때, 0, 1에 해당하는 OFDM 심볼에서의 빈은 파일럿을 포함하고, 2, 3에 해당하는 OFDM 심볼에서의 빈은 파일럿을 포함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의 설정도 가능하다. 아울러, 파일럿 서브캐리어가 포함되는 빈에서 파일럿 서브캐리어는 채널 추정에 있어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 위치라면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에서 하나의 서브채널은 4개의 빈으로 구성되며, 1빈 * 4 OFDM 심볼 구조를 가지는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해 기존 IEEE 802.16e 시스템과 동일하게 48개의 데이터 서브캐리어가 전송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브채널 구조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기존 IEEE 802.16e 시스템에서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파일럿의 수를 6개에서 4개로 감소시키기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한 파일럿 전송량의 감소는 이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동일 FFT 크기에 따른 시스템 파라미터를 비교할 때, 전체적으로 파일럿 전송량의 감소를 야기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와 같은 서브채널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서브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파일럿의 수는 감소하지만 이에 따른 채널 추정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저속 UE에게 매 OFDM 심볼 단위로 전송되던 파일럿을 2 OFDM 심볼 간격으로 전송한다 하더라도 하나의 OFDM 심볼에 해당하는 시간에서의 채널 변화량은 크지 않기 때문에 채널 추정에서의 성능 저하는 미미하다. 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브채널 구조에서 주파수 영역에서 파일럿이 전송되는 간격은 오히려 도 1의 서브채널 구조에 비해 감소하여 주파수 영역으로의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채널당 전송되는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를 48로 맞추기 위해, 좀더 구체적으로 하나의 빈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의 총 개수를 "13개"로 맞추기 위해 다음과 같이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를 조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이와 같은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조정과 아울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형태로서 각각의 FFT 크기에 따른 개선된 시스템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이에 대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먼저 FFT 크기가 128인 경우를 예를 들어 먼저 설명한다.
FFT 크기가 128인 경우 기존 IEEE 802.16e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파라미터를 나타낸 표 4에서 DC 서브캐리어를 포함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수(Nused)는 109개이며, DC 서브캐리어를 제외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수를 구할 경우 108개가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DC 서브캐리어를 제외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개수 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빈에 포함된 서브캐리어의 개수로서 13개의 서브캐리어의 배수에 해당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 따른 DC 서브캐리어를 제외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개수는 기존 IEEE 802.16e 시스템에서의 상기 108개에 비해 크게도, 작게도 설정될 수 있다. 만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DC 서브캐리어를 제외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개수를 기존 IEEE 802.16e 시스템에서의 상기 108개보다 크게 설정하는 경우, 이에 따라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는 기존 IEEE 802.16e 시스템에 비해 감소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108개보다 작게 설정하는 경우, 이에 따라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는 기존 IEEE 802.16e 시스템에 비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를 기존 IEEE 802.16e 시스템에 비해 증가시켜, 신호 전송시 엘리어싱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DC 서브캐리어를 제외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개수를 기존 IEEE 802.16e 시스템에서의 상기 108개보다 작게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128 FFT 크기에서 DC 서브캐리어를 제외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개수를 104개, 즉 해당 빈의 개수를 8개로 설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해당 FFT 크기에서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는 4만큼 증가하게 된다.
또한, 도 2의 서브채널 구조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구간에서 평균적으로 하나의 OFDM 심볼 당 파일럿의 수는 상기 빈의 개수와 동일하게 8로 설정된다. 아울러, 하나의 OFDM 심볼당 전체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서 2개의 OFDM 심볼을 그룹핑하여 OFDM 심볼 1개당 평균 값을 통해 산정할 경 우, 96개 (= 104*2-8*2)/2)로 설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 128 FFT 크기에 따른 시스템 파라미터를 기존 IEEE 802.16e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파라미터와 비교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파라미터
(Parameter)
IEEE 802.16e 본 실시형태

DC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C subcarrier)

1

1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좌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left)

10

12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우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right)

9

11
(좌우 총 21% 증가)

DC 서브캐리어를 포함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used subcarrier, including DC subcarrier)

109

105

전체 서브캐리어의 수
(Total number of subcarriers)

128

128

1 OFDM 심볼당 파일럿의 수
(Number of pilots per 1 OFDM symbol)

12

8

1 OFDM 심볼당 전체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total data subcarriers per 1 OFDM symbol)

96

96
한편, FFT 크기가 2048, 1024, 512인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보호 구간 조정 및 시스템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라 개선된 시스템 파라미터들을 FFT 크기가 2048, 1024, 512인 순서로 각각 기존 IEEE 802.16e 시스템과 비교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파라미터
(Parameter)
IEEE 802.16e 본 실시형태

DC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C subcarrier)

1

1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좌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left)

160

166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우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right)

159

165
(좌우 총 3.8% 증가)

DC 서브캐리어를 포함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Number of used subcarrier, including DC
subcarrier)

1729

1717

전체 서브캐리어의 수
(Total number of subcarriers)

2048

2048

1 OFDM 심볼당 파일럿의 수
(Number of pilots per 1 OFDM symbol)

192

132

1 OFDM 심볼당 전체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total data subcarriers per 1 OFDM
symbol )

1536

1584 (3.13% 증가)
파라미터
(Parameter)
IEEE 802.16e 본 실시형태

DC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C subcarrier)

1

1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좌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left)

80

83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우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right)

79

82
(좌우 총 3.8% 증가)

DC 서브캐리어를 포함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Number of used subcarrier, including DC
subcarrier)

865

859

전체 서브캐리어의 수
(Total number of subcarriers)

1024

1024

1 OFDM 심볼당 파일럿의 수
(Number of pilots per 1 OFDM symbol)

96

66

1 OFDM 심볼당 전체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 Number of total data subcarriers per 1 OFDM
symbol)

768

792 (3.13% 증가)
파라미터
(Parameter)
IEEE 802.16e 본 실시형태

DC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C subcarrier)

1

1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좌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left)

40

41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우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right)

39

41
(좌우 총 3.8% 증가)

DC 서브캐리어를 포함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Number of used subcarrier, including DC
subcarrier)

433

430

전체 서브캐리어의 수
(Total number of subcarriers)

512

512

1 OFDM 심볼당 파일럿의 수
(Number of pilots per 1 OFDM symbol)

48

33

1 OFDM 심볼당 전체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total data subcarriers per 1 OFDM
symbol)

384

396 (3.13% 증가)
상술한 표 5 내지 표 8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를 경우, 기존 IEEE 802.16e 시스템에 비해 보호 구간을 더 넓게 가져서 엘리어싱 문제를 더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는 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단, 128 FFT 크기의 경우에는 동일함).
즉, 상술한 AMC 모드는 저속에서 활용하는 기법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파일럿을 적게 가져도 채널 추정에 큰 무리가 없으며, 이러한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를 늘려주어 전송율을 높여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형태를 바탕으로, 각각의 구성을 다소 변경하여 상이한 또는 추가적인 효과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시스템 파라미터에서 보호 구간을 조정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추가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인 보호 구간 조정 및 이에 따른 데이터용 서브캐리어 개수의 증가는 2048, 1024, 512, 128 FFT 크기에 대해 순차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파일럿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하다.
파라미터
(Parameter)
IEEE 802.16e 본 실시형태

DC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C subcarrier)

1

1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좌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left)

160

159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우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right)

159

159

DC 서브캐리어를 포함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Number of used subcarrier, including DC
subcarrier)

1729

1729

전체 서브캐리어의 수
(Total number of subcarriers)

2048

2048

1 OFDM 심볼당 파일럿의 수
(Number of pilots per 1 OFDM symbol)

192

133

1 OFDM 심볼당 전체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total data subcarriers per 1 OFDM
symbol)

1536

1596
파라미터
(Parameter)
IEEE 802.16e 본 실시형태

DC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C subcarrier)

1

1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좌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left)

80

76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우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right)

79

76

DC 서브캐리어를 포함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Number of used subcarrier, including DC
subcarrier)

865

872

전체 서브캐리어의 수
(Total number of subcarriers)

1024

1024

1 OFDM 심볼당 파일럿의 수
(Number of pilots per 1 OFDM symbol)

96

66

1 OFDM 심볼당 전체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total data subcarriers per 1 OFDM
symbol)

768

804
파라미터
(Parameter)
IEEE 802.16e 본 실시형태

DC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C subcarrier)

1

1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좌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left)

40

35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우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right)

39

34

DC 서브캐리어를 포함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Number of used subcarrier, including DC
subcarrier)

433

443

전체 서브캐리어의 수
(Total number of subcarriers)

512

512

1 OFDM 심볼당 파일럿의 수
(Number of pilots per 1 OFDM symbol)

48

33

1 OFDM 심볼당 전체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Number of total data subcarriers per 1 OFDM
symbol)

384

408
파라미터
(Parameter)
IEEE 802.16e 본 실시형태

DC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C subcarrier)

1

1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좌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left)

10

5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우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right)

9

5

DC 서브캐리어를 포함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Number of used subcarrier, including DC
subcarrier)

109

118

전체 서브캐리어의 수
(Total number of subcarriers)

128

128

1 OFDM 심볼당 파일럿의 수
(Number of pilots per 1 OFDM symbol)

12

8

1 OFDM 심볼당 전체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total data subcarriers per 1 OFDM
symbol)

96

108
상기 표 9 내지 표 1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를 경우, 상기 표 5 내지 표 8과 관련하여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보다 데이터 전송률을 추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128 FFT 크기에서도 기존 IEEE 802.16e 시스템에 비해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서브채널 구조에서와 같이 매 OFDM 심볼마다 빈 구조가 상이한 구조가 아닌, 매 OFDM 심볼마다 동일한 빈 구조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 역시 하나의 서브채널은 4개의 빈을 포함하고, 빈 하나에 포함된 서브캐리어의 개수는 13개로 유지한다. 다만, 매 OFDM 심볼 영역에서 빈 구조는 12개의 데이터 서브캐리어와 1개의 파일럿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동일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매 OFDM 심볼 영역에서 동일한 빈 구조를 가지도록 설정한 서브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브채널은 도 2에 도시된 서브채널 구조와 동일한 개수의 데이터 서브캐리어 및 파일럿 서브캐리어를 포함한다. 즉, 이와 같은 서브채널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신호 전송을 수행하는 특정 송신측은 매 OFDM 심볼 마다 파일럿을 전송하되, 도 2의 경우와 달리 매 빈당 하나의 파일럿을 전송하게 된다.
한편, 빈 내에서 파일럿이 전송되는 위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위치 이외에도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는 어느 위치를 통해서도 파일럿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서브채널 구조 역시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해 48개의 데이터 서브캐리어가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들에 대한 설명은 서브채널이 1 빈 * 4 OFDM 심볼 구조를 가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들로서 서브채널 구조를 2 빈 * 2 OFDM 심볼 구조, 4 빈 * 1 OFDM 심볼 구조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서브채널 구조 및 각 FFT 크기별로 보호 구간의 변경의 필요 여부 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각각 서브채널 구조를 2 빈 * 2 OFDM 심볼, 4 빈 * 1 OFDM 심볼 형태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의 경우 모두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해 48개의 데이터 서브캐리어가 전송되며, 하나의 빈에는 13개의 서브캐리어가 포함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빈 * 2 OFDM 심볼 구조를 가지도록 서브채널을 구성하는 각각의 빈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서브채널 구조와 같이 하나의 OFDM 심볼에 해당하는 빈에는 13개의 데이터 서브캐리어만 포함되고, 다음 OFDM 심볼에 해당하는 빈에는 11개의 데이터 서브캐리어와 2개의 파일럿 서브캐리어가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도 5는 이러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2빈 * 2 OFDM 심볼 구조를 가지는 서브채널 구조에 있어서, 하나의 빈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12개의 데이터 서브캐리어 및 1개의 파일럿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4빈 * 1 OFDM 심볼 구조의 경우 하나의 OFDM 심볼 영역에만 4개의 빈이 위치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FDM 심볼 별로 빈의 구조를 상이하게 설정하기는 어려우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빈에 12개의 데이터 서브캐리어와 1개의 파일럿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채널 구조가 2빈 * 2OFDM 심볼 구조를 가지는 경우, 2048, 1024, 128 FFT 크기에 대해 보호 구간의 변형 없이 상술한 시스템 파라미터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 5와 관련하여 128 FFT 크기에서의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조절의 내용에 있어, 2 빈 * 2 OFDM 심볼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기 8개의 빈들은 2개씩 주파수 축으로 묶인 서브채널 묶음이 4개 생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512 FFT 크기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시스템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라미터
(Parameter)
IEEE 802.16e 본 실시형태

DC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DC subcarrier)

1

1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좌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left)

40

48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우측
(Number of Guard subcarrier, right)

39

47

DC 서브캐리어를 포함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Number of used subcarrier, including DC
subcarrier)

433

417

전체 서브캐리어의 수
(Total number of subcarriers)

512

512

1 OFDM 심볼당 파일럿의 수
(Number of pilots per 1 OFDM symbol)

48

33

1 OFDM 심볼당 전체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수
(Number of total data subcarriers per 1 OFDM
symbol)

384

384
또한, 4빈 * 1 OFDM 심볼의 경우 역시 2048, 128 FFT 크기에서는 시스템 파라미터의 변경 없이 상술한 시스템 파라미터들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브채널 구조를 다중 안테나 통신 방식에 적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MIMO SDMA 방식에서 송신 안테나의 개수가 2개(이를 Tx1, Tx2 라 함)인 경우, 각 안테나의 파일럿이 전송되는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브채널 구조에서 매 OFDM 심볼마다 서로 상이한 안테나를 통해 파일럿이 전송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서브채널 구조, 보호 구간 설정 등의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파라미터 등은 기존 IEEE 802.16e 시스템에 대한 개선을 논의 중인 IEEE 802.16m 시스템 등에 이용되기에 적합하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저속 환경하에서 파일럿 전송을 줄이고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의 신호 전송 방법의 기본 원리는 3GPP, 3GPP2, 3GPP LTE 등을 포함하여, 이동성이 가변적인 송신측이 데이터 및 파일럿을 포함한 신호를 전송하는 임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IEEE 802.16e 시스템에서 AMC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서브채널을 이루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개선된 서브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매 OFDM 심볼 영역에서 동일한 빈 구조를 가지도록 설정한 서브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각각 서브채널 구조를 2 빈 * 2 OFDM 심볼, 4 빈 * 1 OFDM 심볼 형태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브채널 구조를 다중 안테나 통신 방식에 적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7)

  1. 시간 주파수 공간상의 서브채널(subchannel)을 통해 특정 송신측이 데이터 및 파일럿을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송신측에 소정 속도 이하의 이동성을 가지는 송신측에 적용되는 제 1 신호 전송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특정 송신측은 상기 소정 속도 이상의 이동성을 가지는 송신측에 적용되는 제 2 신호 전송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서브채널당 파일럿 전송 횟수를 감소시켜 상기 신호를 전송하며,
    보호 서브캐리어의 개수는, DC(Direct Current) 서브캐리어를 제외한 서브캐리어 개수를 하나의 빈(bin)에 포함된 서브캐리어의 정수배로 세팅함으로써 증가되며,
    상기 제 1 신호 전송 모드의 서브채널은 Ds=I×(Sb×B+Db×B)를 만족하며, Ds는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개수, I 는 파일럿이 전송되는 OFDM 심볼의 간격, Sb 는 빈 당 서브캐리어의 총 개수, Db 는 파일럿을 포함하는 빈에 포함된 데이터 서브캐리어의 개수, B 는 동일한 OFDM 심볼 영역에서 빈의 개수인, 신호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단계에서,
    상기 특정 송신측은 상기 파일럿을 상기 서브채널의 시간 영역에서 2개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al Multiplexing) 심볼마다 전송하는, 신호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채널은 소정 개수의 빈(bin)을 포함하며,
    상기 빈 하나에 포함된 서브캐리어(subcarrier)의 개수는 상기 서브 채널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가 상기 특정 송신측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모드에 관계 없이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이전에, 상기 신호의 역 패스트 퓨리에 변환(Inverse Fast Furier Transform: IFFT)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역 패스트 퓨리에 변환을 수행하는 단위 신호 크기에 따른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는 상기 특정 송신측에 상기 제 2 신호 전송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의 보호 서브캐리어의 수 이상으로 설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KR1020070086993A 2007-08-29 2007-08-29 데이터 전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 전송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366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993A KR101366264B1 (ko) 2007-08-29 2007-08-29 데이터 전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 전송 방법
US12/733,262 US8588202B2 (en) 2007-08-29 2008-08-13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data transmission
PCT/KR2008/004702 WO2009028814A2 (en) 2007-08-29 2008-08-13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data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993A KR101366264B1 (ko) 2007-08-29 2007-08-29 데이터 전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010A KR20090022010A (ko) 2009-03-04
KR101366264B1 true KR101366264B1 (ko) 2014-02-20

Family

ID=40387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9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6264B1 (ko) 2007-08-29 2007-08-29 데이터 전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88202B2 (ko)
KR (1) KR101366264B1 (ko)
WO (1) WO20090288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5323A1 (en) * 2011-04-24 2013-11-28 Broadcom Corporation Traveling pilots within single user,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967A (ko) * 2003-08-12 2006-07-21 마쓰시다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무선 통신 장치 및 파일럿 심볼 전송 방법
US20060171354A1 (en) 2005-02-02 2006-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 multi-channel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reless network
US20070159959A1 (en) 2006-01-11 2007-07-12 Kee-Bong Song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hannel estimation for ofdm-based signals with variable pilot subcarrier spac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400370D0 (sv) * 2004-02-13 2004-02-13 Ericsson Telefon Ab L M Adaptive MIMO architecture
KR101059876B1 (ko) * 2004-06-16 2011-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데이터전송량 선택 방법
KR101314926B1 (ko) * 2006-12-07 2013-10-04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트레이닝 신호와 정보 비트들을 할당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967A (ko) * 2003-08-12 2006-07-21 마쓰시다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무선 통신 장치 및 파일럿 심볼 전송 방법
US20060171354A1 (en) 2005-02-02 2006-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 multi-channel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reless network
US20070159959A1 (en) 2006-01-11 2007-07-12 Kee-Bong Song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hannel estimation for ofdm-based signals with variable pilot subcarrier spac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8814A2 (en) 2009-03-05
US8588202B2 (en) 2013-11-19
US20100157787A1 (en) 2010-06-24
WO2009028814A3 (en) 2009-04-23
KR20090022010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667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파일럿 부반송파 할당 방법
US8675570B2 (en) Scalable OFDM and OFDMA bandwidth allo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KR100640461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EP19850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51445B1 (en) Carrier aggregation
KR101475643B1 (ko) 이동국 장치,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1892688B1 (ko) 다중 안테나를 위한 제어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EP181911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transmission resources and signaling the allocated transmission resources for frequency diversity
US9137803B2 (en) Radio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US9801159B2 (en)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8843149B2 (en) Scheduling method and control station apparatus
US20140362818A1 (en) Backward compatible bandwidth extension
KR101481590B1 (ko) 하향링크 mimo시스템에 있어서 rs 전송 방법
KR100735433B1 (ko)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파일럿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CN104620655A (zh) 无线通信系统、基站装置、移动终端装置、以及干扰测定方法
WO2017003962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0504970A (ja) 位相追跡挿入のための参照信号
JPWO2008020623A1 (ja) 無線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制御チャネル配置方法
EP3535937B1 (en) Techniques for transmission based on numerology selection
WO2009069938A1 (en)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61953B1 (ko) 이종 모드 및 tdd/fdd 지원에 유연한 프레임 및 이를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KR101366264B1 (ko) 데이터 전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 전송 방법
US9225414B2 (en)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using space-frequency transmission diversity
KR20080097682A (ko) 직교주파수다중접속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리소스지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26996B1 (ko)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가진 시스템에서의 파일롯 신호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8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