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535B1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4535B1 KR101364535B1 KR1020060123377A KR20060123377A KR101364535B1 KR 101364535 B1 KR101364535 B1 KR 101364535B1 KR 1020060123377 A KR1020060123377 A KR 1020060123377A KR 20060123377 A KR20060123377 A KR 20060123377A KR 101364535 B1 KR101364535 B1 KR 1013645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er
- temporary storage
- release button
- stored
- storage memo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055 memory stor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21 facial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87 quadratic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593989 Scardinius erythrophthalm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111 ocular hyper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3—File access structures, e.g. distributed indic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51—Erasing data on the record carri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4—Memory
- H01L2924/1435—Random access memory [RAM]
- H01L2924/1436—Dynamic random-access memory [DRAM]
- H01L2924/14361—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D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의 셔터 릴리즈 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것으로, (a)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의 온(ON) 신호에 의하여 임시 저장 메모리에 상기 정지 영상의 사진들이 연속하여 저장되는 단계; 및 (b)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의 오프(OFF) 신호에 의하여 상기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들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till image can be continuously captured by one operation of a shutter release button and stored in a storage medium. (A)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can be stored in a temporary storage memory by an ON signal of the shutter release button. Storing pictures of the still image in succession; And (b) storing the pictur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on the storage medium by the OFF signal of the shutter release butt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뒷면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일회의 셔터 릴리즈 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ly capturing at least one or more still images and storing them in a storage mediu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4는 도 3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연속 촬영되어 임시 저장 메모리에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사진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pictures that are continuously taken by the control method of FIG. 3 and temporarily stored in a temporary storage memor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23: 셔터 릴리즈 버튼, 24: 모드 다이얼,23: shutter release button, 24: mode dial,
504: DRAM, 505: EEPROM,504: DRAM, 505: EEPROM,
506: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507: 디지털 신호 처리기,506: memory card interface, 507: digital signal processor,
512: 마이크로제어기. 512: microcontroller.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회의 셔터 작동에 의하여 복수 개의 정지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저장하는 연사 촬영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and a devi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continuous shooting function for photograph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still images continuously by one shutter operation. And to the apparatus.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란,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동작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원하는 영상을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을 영상 표시소자에 표시하여 보여주고, 사용자의 촬영 선택에 의하여 영상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한다. Typicall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ll devices that process images of a digital camera,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hone camera, a PC camera, or the like, or use motion recognition sensors.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receives a desired image through the image pickup device, displays the input image on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stores the image as an image fil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the image.
연사 촬영은 일회의 셔터 작동에 의하여 복수 개의 정지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저장한다. 연사촬영 모드를 이용하면 움직이는 물체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으며, 표정의 변화를 포착할 수 있다.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촬영할 때, 싱글 촬영으로는 피사체가 앵글에 들어오기 전에 촬영이 이루어지거나, 물체가 지나간 후에 촬영이 되어서 텅 빈 공간이 찍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Continuous shooting photographs and stores a plurality of still images continuously by one shutter operation. Continuous shooting mode lets you capture the appearance of moving objects and capture changes in facial expressions. When shooting a fast moving object, single shooting may take a picture before the subject enters the angle, or a blank space may be taken after the object is taken.
이 경우, 연사촬영 기능을 이용하면 원하는 물체에 대한 좋은 사진을 얻을 확률이 그만큼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순간순간 변하는 아기의 표정을 촬영하거나 스포츠와 같이 연속적인 동작을 촬영하여 연구해야 할 경우에도, 연사 촬영은 대단히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inuous shooting function may increase the probability of obtaining a good picture of the desired object. In addition, even when shooting a facial expression of a baby changing instantaneously, or if you need to study by shooting a continuous motion, such as sports, continuous shooting can be very useful.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에서는 셔터가 셔터 1과 셔터 2를 포함하여 2단으로 이루어진다. 셔터의 일단을 누르면 촬영 알고리즘이 시작되고, 셔터의 이단을 누르면 표시소자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저장소자에 저장된다. In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conventional digital camera, a shutter includes two shutters, including a shutter 1 and a shutter 2. When one end of the shutter is pressed, a photographing algorithm is started, and when the second step of the shutter is pressed,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stored in the reservoir.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의 연속 촬영 기능(continuous shot)은 고속의 임시 저장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매수만큼의 사진이 저장되고, 미리 설정된 매수만큼의 사진들이 임시 저장 메모리에의 저장이 완료되면,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들이 저속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연속 촬영이 종료된다. 이때, 메모리 카드에의 저장 시점이 셔터 2가 눌려지는 시점에 의하여 결정된다. A continuous shot function of a conventional digital camera stores a preset number of pictures in a high speed temporary storage memory, and when the preset number of pictures i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it i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The stored pictures are saved on the slow memory card, and continuous shooting ends. At this time, the storage time to the memory card is determined by the time when the shutter 2 is pressed.
즉, 연속촬영 모드에 연속하여 촬영되는 사진의 매수가 설정되어 있고, 연속촬영 모드에서 셔터 2가 눌려지면 촬영이 시작되어 각각의 사진이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때, 미리 설정된 매수의 사진 촬영이 완료되면 사진 촬영이 종료되고,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촬영 사진들이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다. That is, the number of pictures continuously taken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is set, and when the shutter 2 is pressed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shooting is started and each picture i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At this time, when the preset number of pictures is taken, the picture taking ends, and the continuous pictur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is stored in the memory card.
하지만, 이처럼 저장 시점이 셔터 2가 눌려지는 시점에 의하여 결정되는 방식에서는 원하는 시점이 원하는 시간 안에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사진 촬영에 실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원하는 시점에 셔터를 누르면 셔터 랙에 의해 원하는 영상의 촬영이 어려워지고, 미리 누르고 있으면 연속촬영 가능 매수의 한계로 원하는 시점 전에 연속촬영이 종료되어 원하는 촬영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manner in which the storage time is determined by the time when the shutter 2 is pres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hotographing fails when the desired time point does not occur within a desired time. In other words, when the shutter is pressed at a desired time point, it becomes difficult to shoot a desired image by the shutter rack, and when it is pressed in advance, continuous shooting ends before the desired time point as a limit of the number of continuous shooting possibl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take a desired picture.
본 발명은, 연속 촬영 모드에서 셔터가 떨어지는 순간에 고속의 임시 저장 메모리에 임시 저장되는 사진들이 저속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한 정된 임시 저장 메모리 공간으로도 원하는 순간을 포착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utter is released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the pictures temporarily stored in the high speed temporary storage memory are stored on a low speed memory card, thereby capturing a desired moment even in a limited temporary storage memory spa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일회의 셔터 릴리즈 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것으로, (a)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의 온(ON) 신호에 의하여 임시 저장 메모리에 상기 정지 영상의 사진들이 연속하여 저장되는 단계; 및 (b)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의 오프(OFF) 신호에 의하여 상기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들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till image can be continuously captured by one operation of a shutter release button and stored in a storage medium. (A)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can be stored in a temporary storage memory by an ON signal of the shutter release button. Storing pictures of the still image in succession; And (b) storing the pictur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on the storage medium by the OFF signal of the shutter release button.
상기 사진들이 상기 임시 저장 메모리에 촬영 순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설정 개수까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ictures ar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up to a preset number in a shooting order.
상기 사진들이 상기 설정 개수까지 상기 촬영 순서에 따라 상기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후에 촬영되는 사진들이, 상기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들 중에서 먼저 저장된 순서에 따라 사진들이 지워진 후에, 상기 임시 저장 메모리에 상기 촬영 순서에 따라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the pictures ar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according to the shooting order up to the set number, the pictures are deleted in the first storage order among the pictur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and then the pictures ar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It is preferably stored in order.
상기 설정 개수가 상기 임시 저장 메모리가 꽉 차는 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t number is a number that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is full.
상기 저장매체가, CD 디스크, DVD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 중의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torage medium is one of a CD disk, a DVD disk, a hard disk, or a memory card.
상기 임시 저장 메모리가 SDRAM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is SDRAM.
상기 (a) 단계가, (a1)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의 온(ON)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2) 상기 정지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정지 영상에 해당하는 사진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a3) 상기 사진 파일을 상기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tep (a), (a1) determining whether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on (ON) state; (a2) photographing the still image to generate a photo file corresponding to the still image; And (a3) storing the photo file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상기 (b) 단계가, (b1) 현재의 촬영모드가 연속촬영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이 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3)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상기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들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tep (b), (b1)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shooting mode is a continuous shooting mode; (b2) determining whether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in an OFF state; And (b3) storing the pictur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in the storage medium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in an OFF state.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이 셔터 1과 셔터 2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 1의 온(ON)에 의하여 촬영을 위한 준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셔터 2의 온(ON)에 의하여 상기 (a) 단계가 수행되고, 셔터 2의 오프(OFF)에 의하여 상기 (b)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hutter release button includes a shutter 1 and a shutter 2, performs a preparation operation for photographing by turning on the shutter 1, and performs step (a) by turning on the shutter 2 Preferably, step (b) is performed by turning off the shutter 2.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일회의 셔터 릴리즈 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apparatus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ly capturing at least one or more still images by a single operation of a shutter release button and storing the same in a storage medium.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 촬영 모드에서 셔터가 떨어지는 순간에 고속의 임시 저장 메모리에 임시 저장되는 사진들이 저속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임시 저장 메모리 공간으로도 원하는 순간을 포착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ctures stored temporarily in the high-speed temporary storage memory at the moment the shutter is released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to be stored in the low-speed memory card, so that you can capture a desired moment even with limited temporary storage memory space ha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뒷면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뒤쪽에는 방향 버튼(21), 메뉴-OK 버튼(22),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W), 망원(Telephoto)-줌(Zoom) 버튼(T), 모드 다이얼(24), 디스플레이 패널(25), 스피커(SP) 등이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ar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방향 버튼(21)에는 상향 버튼(21a), 하향 버튼(21b), 좌향 버튼(21c), 우향 버튼(21d)의 총4개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방향 버튼(21)과 메뉴-OK 버튼(22)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하는 키이다. 또한, 방향 버튼(21)과 메뉴-OK 버튼(22)은 노출을 제어할 수 있는 노출영역을 활성화 또는 선택하거나 노출영역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The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은 그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진다.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사용도리 수 있다. 이때, 광각-줌 버튼(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Wide angle-zoom button W or telephoto-zoom button T widens the view angle or narrows the view angle depending on the input. In particular, it can be used to change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At this time, when the wide-angle zoom button W is input,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is reduced, and when the telephoto-zoom button T is input,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may be enlarged.
모드 다이얼(24)은, 각종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재생 모드, 컴퓨터 연결 모드, 연속촬영 모드, 및 시스템 설정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모드 지시 램프(24L)는 모드 다이얼(24)의 선택 모드를 가리킨다. The
모드 다이얼(24)을 연속촬영 모드에 설정하고서 촬영을 수행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연속촬영을 할 수 있다. When shooting is performed while the
디스플레이 패널(25)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영상 표시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As the
한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앞면 또는 윗면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23), 플래시, 전원 스위치, 렌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앞면과 뒷면에는 뷰 파인더의 대물 렌즈와 접안 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
셔터 릴리즈 버튼(23)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촬상 소자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힌다. 또한, 셔터 릴리즈 버튼(23)은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촬상 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The
셔터 릴리즈 버튼(23)은 셔터 1과 셔터 2를 구비하여 이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셔터 1의 온(ON)에 의하여 촬영 준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셔터 2의 온(ON) 및 오프(OFF)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The
플래시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뷰 파인더의 대물 렌즈부는 촬영할 피사체를 보고 구도를 설정하기 위한 카메라의 작은 창이다. When shooting in a dark place, the flash is used to instantly illuminate bright light, and flash modes include auto flash, forced flash, flash off, red-eye reduction, and slow synchro. The objective lens section of the viewfinder is a small window of the camera for viewing and composing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4/0130650호(명칭: 카메라의 이차함수를 이용한 자동 포커싱 방법,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출원에 개시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s an embodiment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 digital camera, a control apparatus thereof,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4/0130650 (titled: automatic using a quadratic function of a camera A focusing method, a focusing method, and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 The digital camera, its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U.S. application are incorpora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n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a lens unit and a filter unit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The lens unit of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When the user presses the wide-zoom button W or telephoto-zoom button T included in the user input unit INP, a corresponding signal is input to the micro controller 512. [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줌 버튼(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줌 버튼(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Accordingly, as the micro controller 512 controls the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Meanwhile, in the auto focus mode, the main controller incorporated in the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In the filter section of the optical system (OPS), an optical low pass filter removes optical noise of a high frequency component. Infra-red cut filter blocks the infrared component of incident light.
광전 변환부(OEC)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may include an image pickup device such a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or a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converts light from the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analog-to-digital conversion unit may include a CDS-ADC (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processes the analog signal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removes the high-frequency noise, adjusts the amplitude, and converts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Here, the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real-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모드 지시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 방향 버튼(21), 광각-줌 버튼(W) 및 망원-줌 버튼(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 self-timer lamp, an auto-focus lamp, a mode indicating lamp, a flash standby lamp, and the like are provided 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LAMP) driven by the microcontroller 512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incorporated in the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및 키 입력 프로그램 등과 같은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A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RAM(504)은 본 발명에 따라 연속 촬영되는 사진들이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임시 저장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즉, 빠른 속도로 촬영되는 사진들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므로, 일회의 셔터 릴리즈 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연속 촬영되는 사진들이 임시 저장하는데 적당하다. 특히, 더욱 빠른 속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동기식 동적 메모리에 해당하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 사용될 수 있다. The
메모리 카드는 본 발명에 따라 연속 촬영되어 SDRAM에 임시 저장된 사진들이 저장되는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저장매체는 전원이 공급되지 아니하여도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 실시예로서 SD 카드 (Secure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 카드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 정되지 아니하고, 이러한 저장매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CD 디스크, DVD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이 저장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The memory card may be a storage medium in which photographs are taken continuously and temporarily stored in the SD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hat a storage medium can maintain stored data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For example, the storage medium may be a memory card such as an SD car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CD disk, a DVD disk, a hard disk, or the like, which can perform a function as the storage medium, may be used as the storage medium.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3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3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509) 및 비디오 출력부(3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The
본 발명에 따라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회의 셔터 릴리즈 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위한 제어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제어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제어장치 내의 주변 구성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마이크로제어기(512)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ly capturing at least one or more still images and storing them in a storage medium by operat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illustrated in FIGS. 3 to 4 is illustrated in FIG. 2. The same may be performed inside a control device for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t this time, the main algorithm of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performed inside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일회의 셔터 릴리즈 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저장매체에 저 장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연속 촬영되어 임시 저장 메모리에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사진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ly storing at least one or more still images and storing them in a storage mediu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pictures that are continuously taken by the control method of FIG. 3 and temporarily stored in a temporary storage memory.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100)은 일회의 셔터 릴리즈 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것으로, 임시 메모리 저장단계(S106 내지 S108)와 저장매체 저장단계(S109 내지 S111)를 구비한다. 임시 메모리 저장단계(S106 내지 S108)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의 온(ON) 신호에 의하여 임시 저장 메모리 예를 들어 SDRAM에 정지 영상의 사진들이 연속하여 저장된다. 저장매체 저장단계(S109 내지 S111)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의 오프(OFF) 신호에 의하여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들이 저장매체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trol method (S1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ntinuously recording at least one or more still images by one operation of the shutter release button, and storing them in a storage medium. (S106 to S108) and the storage medium storage step (S109 to S111). In the temporary memory storage steps S106 to S108, pictures of still images are continuously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for example, SDRAM, by the ON signal of the shutter release button. In the storage medium storage steps S109 to S111, pictur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are stored in a storage medium, for example, a memory card by an OFF signal of the shutter release button.
임시 메모리 저장단계(S106 내지 S108)와 저장매체 저장단계(S109 내지 S111)가 수행된다. Temporary memory storage steps S106 to S108 and storage medium storage steps S109 to S111 are performed.
임시 메모리 저장단계(S106 내지 S108)는 셔터 릴리즈 버튼의 온(ON)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6), 정지 영상을 촬영하여 정지 영상에 해당하는 사진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107), 및 영상 파일을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108)를 포함한다. In the temporary memory storing step (S106 to S10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in an on state (S106), taking a still image to generate a photo file corresponding to the still image (S107), and an image. And storing the file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S108).
저장매체 저장단계(S109 내지 S111)는 현재의 촬영모드가 연속촬영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9), 셔터 릴리즈 버튼이 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 및 셔터 릴리즈 버튼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임시 저장 메모 리에 저장된 사진들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S111)를 포함한다. Storage medium storage step (S109 to S111)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shooting mode is a continuous shooting mode (S109),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OFF (S110), and shutter release And storing the pictur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in the storage medium when the button is in the OFF state (S111).
임시 메모리 저장단계(S106 내지 S108)에 사진들이 임시 저장 메모리에 촬영 순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설정 개수까지 저장된다. 이때, 설정 개수는 임시 저장 메모리가 꽉 차는 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 가능한 공간의 크기가 계산되고, 저장 가능한 공간의 크기를 현재 설정된 저장될 사진의 크기로 나누어 계산된 개수가 상기 설정 개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temporary memory storage steps S106 to S108, pictures ar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up to a preset number of settings according to the shooting order. In this case, the set number is preferably a number in which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is full.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space that can b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is calculated, and the number calculated by dividing the size of the storage space by the size of the photo to be stored currently is the set number.
임시 메모리 저장단계(S106 내지 S108)에 사진들이 설정 개수까지 촬영 순서에 따라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개수까지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후에 촬영되는 사진들은, 임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들 중에서 먼저 저장된 순서에 따라 사진들이 지워진 후에 확보된 임시 저장 메모리의 저장 공간에 새로이 촬영되는 촬영 순서에 따라 저장된다. In the temporary memory storage steps S106 to S108, pictures ar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order up to the set number.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pictures taken after being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up to the set number are newly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secured after the pictures are erased in the order of first storage among the pictur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It is stored according to the shooting sequence to be taken.
즉, 셔터 릴리즈 버튼이 눌리는 순간부터 사진을 찍어 촬영된 순서에 따라 사진1부터 사진5까지 임시 저장 메모리인 SDRAM에 저장하기 시작한다. 먼저 도 4의 (a)에서와 같이 사진5까지 저장되어 저장 공간이 가득 차고, 계속하여 연속촬영 모드로 촬영이 진행되면, 계속하여 촬영되는 사진의 개수만큼 SDRAM에 저장된 사진들이 먼저 저장된 순서로 지워진다. That is, from the moment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pressed, pictures are taken and stored in the SDRAM, which is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from the pictures 1 to the 5 in the order in which the pictures were taken. First, as shown in (a) of FIG. 4, the storage space is filled up to 5, and when shooting is continuously performed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the pictures stored in the SDRAM are erased in the order of storing the number of pictures continuously taken. .
연속촬영 모드로 촬영이 계속되면, SDRAM에 저장되었던 순서에 따라 사진1에서 사진 5의 순서로 사진이 지워진다. 따라서, SDRAM이 가득 찬 후에 연속촬영 모드로 촬영되어 저장되는 사진인 사진6은 사진1이 지워지고 새로이 그 자리에 저장되고(도 4의 (b)), 다음에 저장되는 사진인 사진7은 사진2가 지워지고 새로이 그 자리에 저장된다(도 4의 (c)). When shooting continues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pictures are deleted from picture 1 to picture 5 in the order they were stored in the SDRAM. Therefore, Photo 6, which is a photograph taken and stored in continuous shooting mode after the SDRAM is full, Photo 1 is erased and newly stored in its place (Fig. 4 (b)), and Photo 7, which is the next stored photo, is Photo 2 Is erased and newly stored in its place (Fig. 4 (c)).
이때, 사용자는 셔터 릴리즈 버튼을 눌러 연속촬영 모드로 촬영을 시작하여 원하는 영상이 포착될 때까지 촬영을 계속하다가, 원하는 영상이 포착되면 셔터 릴리즈 버튼을 놓는다. 따라서, 한정된 임시 저장 메모리 공간 하에서도 촬영자가 원하는 영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게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촬영 모드 촬영 시에 원하는 순간 포착과 매체의 저장 용량의 절약을 동시에 이룰 수 있게된다. At this time, the user starts shooting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by pressing the shutter release button and continues shooting until a desired image is captured, and when the desired image is captured, releases the shutter release button. Therefore, the photographer can easily capture a desired image even under the limited temporary storage memory space.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achieve the desired instant capturing and the saving of the storage capacity of the medium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shooting.
한편, 셔터 릴리즈 버튼(도 1의 23)이 셔터 1과 셔터 2를 구비하여 이단으로 이루어지고, 셔터 1의 온(ON) 작동에 의하여 촬영을 위한 준비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셔터 2의 온(ON) 작동에 의하여 임시 메모리 저장단계(S106 내지 S108)가 수행된다. 또한, 셔터 2의 오프(OFF) 작동에 의하여 저장매체 저장단계(S109 내지 S111)가 수행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hutter release button (23 in Fig. 1) is provided in two stages with the shutter 1 and the shutter 2, and performs a preparation operation for shooting by the ON operation of the shutter (1). At this time, the temporary memory storage steps S106 to S108 are performed by the ON operation of the shutter 2. In addition, the storage medium storage steps S109 to S111 are performed by the OFF operation of the shutter 2.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100)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이루어지는 촬영 알고리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S1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a photographing algorithm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3.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셔터 릴리즈 버튼(도 1의 23)은 2단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W) 및 망원-줌 버튼(T)을 조작한 후, 셔터 릴리즈 버튼(23)을 1단만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23)으로부터의 S1 신호가 온(On)되고, 2단까지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23)으로부터의 S2 신호가 온(On)된다. 따라서, 촬영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23)을 1단으로 누르면 시작된다(S101). 여기서, 줌 렌즈의 현재 위치는 이미 설정된 상태이다. The
먼저, 촬영 조건의 설정을 위하여 촬영 정보가 판독된다(S102). 다음에, 메모리 카드의 잔량이 검사되어(S103), 디지털 영상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용량인지 확인된다(S104). 기록 가능한 용량이 아닌 경우, 메모리 카드의 용량이 부족함이 표시된다(S112). 기록 가능한 용량인 경우, 아래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First, shooting information is read for setting shooting conditions (S102). Nex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memory card is examined (S103), and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capacity of the digital video signal can be recorded (S104). If it is not a recordable capacity, it is indicated that the capacity of the memory card is insufficient (S112). In the case of recordable capacity, the following steps are performed.
먼저, 촬영 정보 판독 단계(S102)에서 판독된 촬영 정보에 따라 촬영정보가 설정된다(S105). 이때, 촬영정보의 설정은 자동 백색 균형(AWB, Automatic White Balance) 모드, 자동 노출(AE, Automatic Exposure) 모드, 자동 포커싱(AF, Automatic Focusing) 모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irst, the shooting information is set according to the shooting information read in the shooting information reading step S102 (S105). In this case, the setting of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may include an automatic white balance (AWB) mode, an automatic exposure (AE) mode, an automatic focusing (AF) mode, and the like.
먼저, 촬영 정보 판독 단계(S102)에서 판독된 촬영 정보에 따라 자동 백색 균형(AWB, Automatic White Balance) 모드가 수행되어 관련 파라미터들이 설정된다. 다음에, 촬영 정보 판독 단계(S102)에서 판독된 촬영 정보에 따라 자동 노출(AE, Automatic Exposure) 모드가 수행되어, 입사 휘도에 대한 노광량이 계산되고, 계산된 노광량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가 구동된다. 다음에, 촬영 정보 판독 단계(S102)에서 판독된 촬영 정보에 따라 자동 포커싱(AF, Automatic Focusing) 모드가 수행되어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설정된다. First, an automatic white balance (AWB) mod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read out in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reading step S102 to set relevant parameters. Next, an automatic exposure (AE) mod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hooting information read out in the shooting information reading step S102, so that the exposure amount for incident luminance is calculated, and the aperture driving motor MA according to the calculated exposure amount. Is driven. Next, an automatic focusing (AF) mod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hooting information read in the shooting information reading step S102 to se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focus lens.
먼저, S2 신호가 온(On) 상태인지 확인된다(S106). S2 신호가 온(On) 상태가 아니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릴리즈 버튼(23)의 2단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다음 단계로 진행되지 아니하고 대기한다. First, it is checked whether the S2 signal is on (S106). If the S2 signal is not On, the user does not press the second stage of the
S2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릴리즈 버튼(23)의 2단을 누른 상태이므로, 촬영 동작이 수행된다(S107). 즉, 디지털 신호 처리 기(507)가 타이밍 회로(502)의 동작을 제어함에 의하여 광전 변환부(OEC)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가 동작한다. 이때, 촬영 동작이 수행되어, 촬영된 정지 영상에 해당하는 사진 파일이 생성된다. 사진 파일은 영상 데이터가 압축되어 생성된다. If the S2 signal is on, the user presses the second stage of the
다음에, 촬영되어 변화된 사진 파일을 임시 저장 메모리인 SDRAM에 저장한다(S108). 이때, 생성된 사진 파일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를 통하여 사용자의 저장매체에 해당하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다. Next, the photographed and changed photo file is stored in SDRAM which is a temporary storage memory (S108). In this case, the generated photo file is stored in the memory card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medium of the user from the
또한, 현재의 촬영모드가 연속촬영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9). 현재의 촬영모드가 연속촬영 모드이면 다음 단계(S110)로 진행하고, 연속촬영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SDRAM에 저장된 사진을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고(S111) 종료한다.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shooting mode is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S109). If the current shooting mode is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S110. If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is not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the picture stored in the SDRAM is stored in the memory card (S111).
다음에, S2 신호가 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S2 신호가 오프(OFF) 상태이면, 연속촬영 모드에서 촬영되어 SDRAM에 저장된 사진들을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고(S111) 종료한다. S2 신호가 오프(OFF) 상태가 아니면, 계속하여 연속촬영 모드의 촬영(S107 내지 S109)을 수행한다.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2 signal is in an OFF state (S110). If the S2 signal is in an OFF state, pictures taken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and stored in the SDRAM are stored in the memory card (S111), and the process ends. If the S2 signal is not in the OFF state, shooting (S107 to S109)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is continuously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연속 촬영 모드에서 셔터가 떨어지는 순간에 고속의 임시 저장 메모리에 임시 저장되는 사진들이 저속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임시 저장 메모리 공간으로도 원하는 순간을 포착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mited temporary storage memory by allowing the pictures stored temporarily in the high-speed temporary storage memory at the moment the shutter is released in the continuous shooting mode, stored in the low-speed memory card Even in space, you can capture the moment you want to take pictures.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 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You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3377A KR101364535B1 (en) | 2006-12-06 | 2006-12-06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3377A KR101364535B1 (en) | 2006-12-06 | 2006-12-06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1761A KR20080051761A (en) | 2008-06-11 |
KR101364535B1 true KR101364535B1 (en) | 2014-02-18 |
Family
ID=3980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3377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4535B1 (en) | 2006-12-06 | 2006-12-06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4535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88761A (en) * | 1994-04-15 | 1995-10-31 | Fuji Photo Film Co Ltd | Electronic still camera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
JPH11308560A (en) * | 1998-04-23 | 1999-11-05 | Casio Comput Co Ltd | Electronic camera device |
-
2006
- 2006-12-06 KR KR1020060123377A patent/KR10136453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88761A (en) * | 1994-04-15 | 1995-10-31 | Fuji Photo Film Co Ltd | Electronic still camera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
JPH11308560A (en) * | 1998-04-23 | 1999-11-05 | Casio Comput Co Ltd | Electronic camera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1761A (en) | 2008-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6409B1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photographing user set continuous shutter mode and device therefor | |
KR101058025B1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dual thumbnail mode | |
KR100548006B1 (en) |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 |
KR101156115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KR101080404B1 (en) | Method for converting moving image into still image and triming the still image | |
KR101364535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 |
KR20100077719A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101364537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 |
KR101457412B1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411318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20090077486A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 |
KR100651811B1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page-based image deletion and device therefor | |
KR100651814B1 (en) | Photographing device with rotary display | |
KR101288914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 |
KR101378330B1 (en) | Apparatus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100702954B1 (en) | How to Highlight Highlights in an Image in a Digital Image Processing Unit | |
KR100651812B1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by setting key combination shortcut key and device therefor | |
KR20100056279A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101436834B1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873042B1 (en) | Control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device therefor | |
KR100548005B1 (en) |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 |
KR101362769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20110056102A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 |
KR20080041463A (en) | Image trimming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 |
KR20100076796A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9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3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3101007935 Request date: 20131104 Patent event date: 2013110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9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1212 Appeal identifier: 2013101007934 Request date: 20131104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110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0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05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1312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20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J501 |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 ||
PJ0501 |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31104 Appeal identifier: 201310100793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