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389B1 - 케이블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케이블형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3389B1 KR101363389B1 KR1020120146127A KR20120146127A KR101363389B1 KR 101363389 B1 KR101363389 B1 KR 101363389B1 KR 1020120146127 A KR1020120146127 A KR 1020120146127A KR 20120146127 A KR20120146127 A KR 20120146127A KR 101363389 B1 KR101363389 B1 KR 1013633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mer
- secondary battery
- type secondary
- electrolyte
- current coll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5—Wires, rods or strip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01M6/44—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of tubular or cup-shaped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4—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products, e.g. coat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 막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 막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비교예 1의 인장강도에 대한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 1의 이온전도도에 대한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는 비교예 2의 인장강도에 대한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 2의 이온전도도에 대한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이온전도도에 대한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유기전해액 (1M LiPF6, EC/PC=1/1) |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PEGDMA) |
|
폴리머 A(유기전해액 50중량%) | 50 | 35 | 15 |
폴리머 B(유기전해액 70중량%) | 70 | 21 | 9 |
폴리머 C(유기전해액 78중량%) | 78 | 15.4 | 6.6 |
12: 제2 전해질층
100,200: 케이블형 이차전지 110,210: 전해질층
120,220: 내부전극 121,221: 내부집전체
122,222: 내부전극 활물질층 130,230: 외부전극
131,231: 외부집전체 132,232: 외부전극 활물질층
140,240: 보호피복
Claims (17)
- 열린 구조의 내부집전체의 표면에 내부전극 활물질층이 코팅된 내부전극; 상기 내부전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고분자 전해질 막인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외부전극 활물질층과 상기 외부전극 활물질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외부집전체를 구비하는 외부전극; 및 상기 외부전극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호피복을 구비하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은, 50:50 내지 80:20의 중량비를 가지는, 제1 고분자와 제1 유기전해액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1 전해질층; 및 상기 제1 전해질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20:80 내지 50:50의 중량비를 가지는, 제2 고분자와 제2 유기전해액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2 전해질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는 극성 비가교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비가교 고분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고분자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분자는 극성 비가교 고분자, 옥사이드계 비가교 고분자 및 고분자 가교 구조체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고분자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비가교 고분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고분자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옥사이드계 비가교 고분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옥시메틸렌 및 폴리디메틸실록산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고분자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가교 구조체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1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폴리에스테르 디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톡실레이티드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고분자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극성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클로라이트 및 비닐플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고분자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전해액과 상기 제2 유기전해액은 서로 독립적으로, 리튬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테트라페닐붕산리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전해액과 상기 제2 유기전해액은 서로 독립적으로,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비닐렌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감마부티로락톤, 설포레인, 메틸아세테이트 및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은 음극 또는 양극이고, 상기 외부전극은 이러한 내부전극에 상응하는 양극 또는 음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린 구조의 내부집전체는 권선된 와이어형 집전체 또는 메쉬형 집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린 구조의 내부집전체는 그 내부에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집전체는 파이프형 집전체, 권선된 와이어형 집전체 또는 메쉬형 집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539887A JP5734527B2 (ja) | 2011-12-14 | 2012-12-14 | ケーブル型二次電池 |
PCT/KR2012/010934 WO2013089498A1 (ko) | 2011-12-14 | 2012-12-14 | 케이블형 이차전지 |
CN201280059663.XA CN103975475B (zh) | 2011-12-14 | 2012-12-14 | 线缆型二次电池 |
US14/190,211 US9059473B2 (en) | 2011-12-14 | 2014-02-26 | Cable-type secondary battery |
US14/708,774 US9620807B2 (en) | 2011-12-14 | 2015-05-11 | Cable-type secondary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4702 | 2011-12-14 | ||
KR20110134702 | 2011-12-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9490A KR20130069490A (ko) | 2013-06-26 |
KR101363389B1 true KR101363389B1 (ko) | 2014-02-21 |
Family
ID=48864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6127A Active KR101363389B1 (ko) | 2011-12-14 | 2012-12-14 | 케이블형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9059473B2 (ko) |
EP (1) | EP2793306B1 (ko) |
JP (1) | JP5734527B2 (ko) |
KR (1) | KR101363389B1 (ko) |
CN (1) | CN103975475B (ko) |
WO (1) | WO201308949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210493B (zh) * | 2015-02-09 | 2019-08-27 | 株式会社Lg 化学 | 线缆型二次电池 |
KR102134458B1 (ko) * | 2016-12-28 | 2020-07-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고체 전지 및 이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 |
KR102148449B1 (ko) * | 2017-09-01 | 2020-08-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애노드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애노드, 및 상기 애노드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JP7184685B2 (ja) * | 2019-03-20 | 2022-12-0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二次電池 |
JP7136347B2 (ja) * | 2019-05-31 | 2022-09-13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二次電池 |
DE102019127616A1 (de) * | 2019-10-14 | 2021-04-15 | Forschungszentrum Jülich GmbH | Semi-interpenetrierende Polymernetzwerke als Separatoren für den Einsatz in Alkali-Metall-Batterien |
CN111785527B (zh) * | 2020-07-17 | 2022-04-22 | 广德天运新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电极内无空白体积的赝电容型纤维状超级电容器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80623A1 (en) | 2001-01-31 | 2003-09-25 | Kyung-Suk Yun | Multi-layered, uv-cured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KR20110089819A (ko) * | 2010-02-01 | 2011-08-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케이블형 이차전지 |
US20110281175A1 (en) | 2008-11-07 | 2011-11-17 | Seeo, Inc | Electrodes with solid polymer electrolytes and reduced porosity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99838B2 (ja) * | 1991-08-21 | 2000-10-16 | 株式会社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 二次電池 |
JP3407501B2 (ja) * | 1995-09-29 | 2003-05-19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ポリマ電解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ポリマ電池 |
JP3579200B2 (ja) * | 1996-11-07 | 2004-10-20 | 東洋紡績株式会社 | 耐熱性高分子電解質ゲ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
WO1998037589A1 (en) * | 1997-02-21 | 1998-08-27 | Motorola Inc. | Polymeric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cell using same |
JPH1135765A (ja) * | 1997-07-24 | 1999-02-09 | Sharp Corp | 高分子固体電解質とその製造方法 |
JP2000164256A (ja) * | 1998-11-24 | 2000-06-16 | Kao Corp | 非水系二次電池 |
JP2001110445A (ja) * | 1999-10-12 | 2001-04-20 | Sony Corp | コード型バッテリ |
JP2001110244A (ja) * | 1999-10-12 | 2001-04-20 | Sony Corp | バッテリケーブル |
JP2003109666A (ja) * | 2001-07-27 | 2003-04-11 | Nissan Motor Co Ltd | 全固体ポリマー電池用構造体、全固体ポリマー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0496642B1 (ko) | 2003-04-25 | 2005-06-2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단이온 전도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복합 고분자전해질 및 그 제조 방법 |
US7767329B2 (en) * | 2003-11-17 | 2010-08-03 | Adaptive Materials, Inc. | Solid oxide fuel cell with improved current collection |
JP4828112B2 (ja) * | 2004-10-22 | 2011-11-30 | Necトーキン株式会社 | プロトン伝導性高分子材料並びにこれを用いた固体電解質膜、電気化学セル及び燃料電池 |
JP2008251189A (ja) * | 2007-03-29 | 2008-10-16 | Sanyo Electric Co Ltd | 円筒型電池の製造方法 |
KR20090009598A (ko) * | 2007-07-20 | 2009-01-23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무선 충전용 선형 전지 |
CN102035043B (zh) * | 2009-09-25 | 2014-02-12 | 上海比亚迪有限公司 | 聚合物多孔膜、其制备方法、聚合物电解质及聚合物电池和电池的制备方法 |
KR101192083B1 (ko) * | 2009-11-18 | 2012-10-1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US8580438B2 (en) * | 2009-12-15 | 2013-11-12 |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 Monolithic three-dimensional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ystem on aerogel or nanotube scaffold |
KR101279409B1 (ko) * | 2010-02-01 | 2013-06-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케이블형 이차전지 |
KR101115922B1 (ko) | 2010-02-02 | 2012-02-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KR20110127972A (ko) | 2010-05-20 | 2011-11-2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금속 코팅된 고분자 집전체를 갖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KR101311494B1 (ko) * | 2010-06-14 | 2013-09-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기화학소자용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
-
2012
- 2012-12-14 EP EP12856815.1A patent/EP2793306B1/en active Active
- 2012-12-14 KR KR1020120146127A patent/KR101363389B1/ko active Active
- 2012-12-14 CN CN201280059663.XA patent/CN103975475B/zh active Active
- 2012-12-14 WO PCT/KR2012/010934 patent/WO201308949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12-14 JP JP2014539887A patent/JP5734527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02-26 US US14/190,211 patent/US9059473B2/en active Active
-
2015
- 2015-05-11 US US14/708,774 patent/US962080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80623A1 (en) | 2001-01-31 | 2003-09-25 | Kyung-Suk Yun | Multi-layered, uv-cured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US20110281175A1 (en) | 2008-11-07 | 2011-11-17 | Seeo, Inc | Electrodes with solid polymer electrolytes and reduced porosity |
KR20110089819A (ko) * | 2010-02-01 | 2011-08-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케이블형 이차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793306A4 (en) | 2014-12-17 |
WO2013089498A1 (ko) | 2013-06-20 |
EP2793306B1 (en) | 2015-10-21 |
EP2793306A1 (en) | 2014-10-22 |
US20140178727A1 (en) | 2014-06-26 |
US9620807B2 (en) | 2017-04-11 |
JP2014534596A (ja) | 2014-12-18 |
US9059473B2 (en) | 2015-06-16 |
CN103975475B (zh) | 2015-07-22 |
KR20130069490A (ko) | 2013-06-26 |
JP5734527B2 (ja) | 2015-06-17 |
CN103975475A (zh) | 2014-08-06 |
US20150249259A1 (en) | 2015-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8789B1 (ko) | 케이블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6232002B2 (ja) | ケーブル型二次電池 | |
KR101380586B1 (ko) |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 |
KR101081616B1 (ko) | 케이블형 이차전지 | |
KR101283488B1 (ko) | 케이블형 이차전지 | |
EP2892090B1 (en) | Anode for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KR101351896B1 (ko) |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
KR101279409B1 (ko) | 케이블형 이차전지 | |
KR101322693B1 (ko) | 케이블형 이차전지 | |
KR101363389B1 (ko) | 케이블형 이차전지 | |
KR101623534B1 (ko) | 케이블형 이차전지 | |
KR101465167B1 (ko) | 케이블형 이차전지 | |
KR20130040160A (ko) | 케이블형 이차전지 | |
KR20130040161A (ko) | 케이블형 이차전지 | |
KR20130040158A (ko) | 케이블형 이차전지 | |
KR101590580B1 (ko) |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
KR101813679B1 (ko) |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 |
KR101522655B1 (ko) | 케이블형 이차전지 | |
KR20140082262A (ko) |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