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097B1 - Briquette boiler and lower assembly thereof - Google Patents
Briquette boiler and lower assembly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1097B1 KR101361097B1 KR1020120090018A KR20120090018A KR101361097B1 KR 101361097 B1 KR101361097 B1 KR 101361097B1 KR 1020120090018 A KR1020120090018 A KR 1020120090018A KR 20120090018 A KR20120090018 A KR 20120090018A KR 101361097 B1 KR101361097 B1 KR 1013610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oven
- briquette boiler
- briquette
- boil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484 Briquet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77 lig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1 domest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42—Clean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청소가 용이하고, 바닥면의 구조가 변경시킨 연탄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연탄 보일러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본체; 제1 개구부를 관통하며 속이 빈 원통형 관통부 및 연탄을 수납할 수 있는 화덕부재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관통부로부터 연장되는 화덕 지지부를 가진 트레이 부재; 및 화덕부재 주위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코일부재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quette boiler in which water cleaning is easy and the structure of the bottom surface is changed. The briquette boiler includes: a body having a bottom plate having a first opening formed therein; A tray member having a hollow cylindrical through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an oven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through portion to support a lower end of the oven member capable of receiving briquettes; And a coil membe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o surround the oven member.
Description
우선권preference
본 발명은 인용에 의해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합체되는, 2011.11.24.자로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번호 제10-2011-0123622호의 '연탄 보일러'에 대해 특허법 제55조 제1항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the priority of Article 55 (1) of the Patent Act on the 'briquette boiler'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123622, filed on Nov. 24, 2011,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do.
본 발명은 연탄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내부의 내부식성이 강화되거나 물청소가 용이한 연탄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quette boiler, and relates to a briquette boiler for enhanced corrosion resistance or easy cleaning of water inside the main body.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연료의 연소열로 물을 가열시켜 그것을 온수로 사용하거나 난방을 하는 장치로서,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 기름 보일러, 가스 보일러, 연탄 보일러, 갈탄 보일러, 나무 보일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 들어, 연료비 절감을 위해 연탄 보일러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In general, a boiler is a device that heats water with combustion heat of fuel and uses it as hot water or heats it, and may be divided into an oil boiler, a gas boiler, a briquette boiler, a lignite boiler, a wood boiler,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fuel used. In recent years, the use of briquette boilers is increasing to reduce fuel costs.
도 1은 코일형 연탄 보일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 단면도이다.1 is a partial excerpt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il-type briquette boiler.
도 1을 참조하면, 코일형 연탄 보일러는 외형을 갖추고 있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수납되고 연탄(1)이 적층된 상태로 연소되는 화덕(20)과, 본체(10)와 화덕(20) 사이에 나선형으로 설치된 열교환 코일(30)과, 열교환 코일(30)의 상부 끝단에 연통 되도록 설치되고 화덕(20)과 본체(10)의 상부를 형성하는 수실(40)을 구비한다. 열교환 코일(3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유입관(31)을 통하여 들어온 물은 열교환 코일(30)을 경유하여 수실(40)을 지나면서 가열된 후 수실(40)의 일단에 형성된 배출관(미도시)을 통하여 온수 또는 난방수로 사용된 후 유입관(31)을 통하여 다시 환수된다. 화덕(20)의 상부에 인접하는 수실(40)에 형성되는 각각의 관통구멍(40a)의 하부에는 내부 덮개(50)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외부 덮개(60)가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1, the coil briquette boiler may include a
열교환 코일(30)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통과하면서 연탄(1)의 연소시 상부로 발산되는 연소열에 의해 재차 가열되는 수실(40)은 구조적으로 보일러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화덕(20)에 연탄(1)을 투입 및 배출하기 위한 관통구멍(40a)이 수실(40)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수실(40)은 상면을 구성하고 중앙에 관통구멍(41a)이 형성되는 사각형 모양의 수실 상판과, 수실 상판의 가장자리가 측벽의 상단과 포개지고 저면은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사각형 모양의 수실 하판과, 상기 수실 상ㆍ하판의 관통구멍을 서로 이어주도록 삽입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진다.As the water flowing from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탄 보일러는 본체의 바닥이 편평한 구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연탄의 연소시 발생되는 황성분이 포함된 산성 수증기가 굴뚝으로 모두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 수증기가 액화되어 발생되는 산성의 물에 의해 형성되는 황성분의 스케일은 코일 표면에 달라붙어 보일러의 열효율 감소 및 수명 단축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황성분 스케일은 딱딱해서 코일(30) 표면으로부터 잘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청소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청소 과정에서 코일(30)을 손상시키는 경우도 있다. In the conventional briquette boil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ottom of the main body has a flat structure, acidic water containing sulfur component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the briquettes cannot be discharged to the chimney, and some steam is liquefied. The scale of the sulfur component formed is stuck to the coil surface, causing a reduction in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oiler and shortening the lifespan. Since the sulfur component scale is hard and does not fall off from the surface of the
또한, 연탄 보일러 본체의 내부는 청소가 구조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코일(30)의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물과 연탄 연소시 발생되는 황성분을 포함하는 물이 연탄 교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탄재와 함께 고착되어 본체의 바닥에 불순물이 쌓이게 되고, 이러한 불순물은 보일러의 바닥 부식의 요인으로 작용하여 연탄 보일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interior of the briquette boiler body is difficult to clean, water generated by condensation of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연탄 보일러의 본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황성분 스케일 및/또는 그로부터 발생되는 불순물이 코일 표면에 달라붙거나 바닥에 쌓이는 경우 그러한 불순물에 의해 보일러의 바닥이 부식됨으로써 보일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탄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e bottom of the boiler by such impurities when the sulfur component scale and / or impurities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briquette boiler clings to the coil surface or accumulates on the flo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iquette boiler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boiler by this corrosion.
본 발명은 물 청소를 통해 보일러 내부의 유해한 불순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연탄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quette boil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harmful impurities inside the boiler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water cleaning.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 내부에 3개의 화덕들을 포함하는 화덕부재가 일렬로 배치되고 그러한 화덕부재 주위를 둘러싸도록 코일부재가 배치되는 소위, '4각 보일러' 또는 원통형 본체 내부에 3개의 화덕들이 대략 3각 형태로 배치된 화덕부재 주위를 코일부재가 둘러싸는 소위, '원통 보일러'를 포함한다.In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duct member including three ducts is arranged in a line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dy, and a coil member is disposed to surround the duct member. The so-called 'four-boiler' or a three-piece oven inside the cylindrical body includes a so-called 'cylindrical boiler' in which the coil member surrounds around the oven member arrang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에 있어서, 화덕부재는 흙 화덕 또는 스테인리스 화덕을 포함하며, 화덕부재의 하나의 화덕 내부에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연탄들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n member includes an earth oven or a stainless steel oven, and two or more briquettes may be vertically disposed in one oven of the oven member.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는, 종래의 연탄 보일러의 바닥부를 개방하거나 부분적으로 개방하여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러한 개구부들에 화덕부재를 포함하는 기타 구성요소들을 개량한 것이며, 연탄 보일러의 나머지 부분들은 현재 알려져 있거나 앞으로 알려지게 될 모든 연탄 보일러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n or partially open the bottom of a conventional briquette boiler to form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and other components including a duct member in such open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remainder of the briquette boiler can be applied to all briquette boilers now known or known in the futu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가진 바닥면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제1 개구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연탄이 수납될 수 있는 화덕부재; 상기 화덕부재 주위에 감싸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코일부재; 상기 화덕부재의 하단부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와 연통될 수 있는 제3 개구부가 마련된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3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화덕부재와 연통시킬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멍들이 형성된 흡기부, 및 상기 제3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3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한다.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having a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body; An oven member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briquettes therein; A coil membe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o wrap around the oven member; A guide member installed to surround a lower end of the oven member and having a third opening which communicates with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nd an intake part having one or more holes formed therein for communicat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ird opening with the oven member, and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ird opening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econd opening. It has a blocking unit for blocking the inflow, it is provided with a slide member that can be slidingly coupled to the guide memb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third opening.
여기서, 슬라이드 부재가 가이드 부재에 완전히 결합된 '결합 구성'에서는 슬라이드 부재의 차단부가 제2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고, 제3 개구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슬라이드 부재의 흡기부의 구멍들을 통해 제1 개구부 및 화덕부재와 연통되어 연탄을 연소시킬 수 있다. 반면에, 슬라이드 부재가 가이드 부재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이동하거나 가이드 부재로부터 이탈하는 '이탈 구성'에서는 제2 개구부와 제3 개구부가 연통될 수 있으므로 본체 내부의 물청소를 위해 사용되는 물과, 물에 의해 씻겨 지는 황성분의 스케일, 연탄재를 포함하는 이물질 등은 제2 개구부와 제3 개구부를 거쳐 본체의 하방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Here, in the 'combination configuration' in which the slide member is fully coupled to the guide member, the blocking portion of the slide member may close the second opening, and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third opening may pass through the holes of the intake portion of the slide member. And communicate with the oven member to burn the briquettes. On the other hand, in the 'releas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lide member slides out of the guide member or moves away from the guide member, the second opening portion and the third opening portion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water used for cleaning the water inside the main body. The scale of the sulfur component to be washed, the foreign matter including briquettes, etc. can be easily discharged downward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the third opening.
바람직하게, 상기 화덕부재는 상기 바닥면 아래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Preferably, the oven member protrudes below the bottom surfac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first opening.
바람직하게, 상기 화덕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화덕보호부재를 더 구비한다. Preferably, it further comprises a fire protection member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e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화덕보호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관통공들; 및 상기 관통공들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화덕부재에 수납되는 연탄을 지지하는 연탄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한다. Preferably, a pair of through holes provided to penetrat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e protection member; And a briquette support member which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and supports briquettes accommodated in the oven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내벽의 저면부로부터 상기 화덕부재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벽을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inclined wall is further provid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ven member from the bottom of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화덕부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더 구비한다. Preferably, the slide member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furnace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개방단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마련된 커버 플레이트를 더 구비한다. Preferably, the slide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ver plate provided on the slide member to prevent the open end of the guide member is slidingly coupled.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마련된 레버를 더 구비한다. Preferably, the cover plate further comprises a lever.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딩 돌기부; 및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될 수 있는 배출구를 가진 배출 가이드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guide member includes: a slid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the sliding protrusions of which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member are slidingly coupled; And a discharge guide installed at the sliding protrusion, the discharge guide having a discharge port communicated with the first opening.
바람직하게, 연탄 보일러는 일단은 상기 배출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공기 조절기가 마련된 엘보우 부재를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briquette boiler is one end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 the other end further comprises an elbow member provided with an air regulator.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3 개구부가 마련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로부터 상기 코일부재 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내벽에 설치되는 경사부, 및 상기 직선부로부터 경사지게 축소되는 축소부가 일체로 성형된다. Preferably, the guide member includes a straight portion provided with the third opening portion,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inclined from the straight portion toward the coil member and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nd a reduced portion inclinedly reduced from the straight portion. Is molded into.
바람직하게, 상기 직선부와 상기 경사부는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축소부는 깔때기 모양을 가진다. Preferably, the straight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has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reduced portion has a funnel shape.
바람직하게, 연탄 보일러는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이탈될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제3 개구부 측으로 긁혀지도록 상기 바닥면에 설치된 스크래치 플레이트를 더 구비한다. Preferably, the briquette boiler further includes a scratch plat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such that foreign matter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slide member is scratched toward the third opening side of the guide member when the slide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guide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코일부재의 표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코일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물 공급부재를 더 구비한다. 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water supply member installed above the coil member to supply water to the surface of the coil mem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제1 개구부를 관통하며 속이 빈 원통형 관통부 및 연탄을 수납할 수 있는 화덕부재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부로부터 연장되는 화덕 지지부를 가진 트레이 부재; 및 상기 화덕부재 주위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코일부재를 구비한다.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having a bottom plate having a first opening; A tray member penetrating the first opening and extending from the penetrating portion so as to support a hollow cylindrical penetrating portion and a lower end of the duct member for accommodating briquettes; And a coil membe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o surround the oven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개구부는 각각의 중심이 정삼각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를 각각 관통하는 3개의 원형 구멍들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3개의 구멍들에 각각 배치된 3개의 트레이들을 구비한다. Preferably, the first opening has three circular holes each penetrating the bottom plate such that each center is arranged in an equilateral triangle; The guide member has three trays each disposed in the three holes.
바람직하게, 상기 트레이들 각각은 상기 관통부와 상기 화덕 지지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 연장부를 더 구비한다. Preferably, each of the trays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extension portion for obliquely connecting the through portion and the oven support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트레이들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서 상기 화덕 지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립을 더 구비한다. Preferably, the trays further comprise a connection clip for connecting the oven support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바람직하게, 연탄 보일러는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쌓이게 될 불순물을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제2 개구부를 더 구비한다. Preferably, the briquette boiler further includes a second opening penetrating the bottom plate so as to discharge impurities to be accumulated in the bottom plate downward.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직사각이고, 상기 제1 개구부는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원형 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3개의 구멍들에 각각 배치된 3개의 트레이들을 구비한다. Preferably, the bottom plate is rectangular, and the first opening includes three circular holes arranged in a row, and the guide member has three trays each disposed in the three hol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는, 화덕부재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화덕부재를 감싸는 코일부재가 배치된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개구부가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부 본체; 및 상기 제1 개구부를 관통하며 속이 빈 원통형 관통부 및 연탄을 수납할 수 있는 화덕부재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부로부터 연장되는 화덕 지지부를 가진 트레이 부재를 구비한다. The lower assembly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n member can be coupled, the coil member surrounding the oven member can be combined with the main body is arranged, the bottom plate formed with a first opening Lower body having a; And a tray member penetrating the first opening and extending from the penetrating portion to support a hollow cylindrical penetrating portion and a lower end of the duct member for accommodating briquettes.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개구부는 각각의 중심이 정삼각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를 각각 관통하는 3개의 원형 구멍들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3개의 구멍들에 각각 배치된 3개의 트레이들을 구비한다. Preferably, the first opening has three circular holes each penetrating the bottom plate such that each center is arranged in an equilateral triangle; The guide member has three trays each disposed in the three holes.
바람직하게, 상기 트레이들 각각은 상기 관통부와 상기 화덕 지지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 연장부를 더 구비한다. Preferably, each of the trays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extension portion for obliquely connecting the through portion and the oven support portion.
바람직하게,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는 상기 트레이들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서 상기 화덕 지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립을 더 구비한다. Preferably, the lower assembly of the briquette boiler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clip for connecting the oven support at the portions in which the tray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바람직하게,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는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쌓이게 될 불순물을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제2 개구부를 더 구비한다. Preferably, the lower assembly of the briquette boiler further includes a second opening penetrating the bottom plate to discharge the impurities to be accumulated in the bottom plate.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직사각이고, 상기 제1 개구부는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원형 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3개의 구멍들에 각각 배치된 3개의 트레이들을 구비한다.
Preferably, the bottom plate is rectangular, and the first opening includes three circular holes arranged in a row, and the guide member has three trays each disposed in the three holes.
본 발명에 따른 연탄 보일러 및/또는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briquette boiler and / or the subassembly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연탄 보일러의 본체의 바닥부에 개구를 마련하고 그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연탄의 연소 과정에서는 그 개구를 닫고 있고, 본체 내부의 물청소를 위해서 개구를 개방하여 물청소에 사용된 물과 황성분 스케일 및/또는 불순물을 개구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연탄 보일러의 물청소가 용이해진다.First, an opening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of the briquette boiler, and the opening is clos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briquettes by a slide member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By easily discharging the water and sulfur component scale and / or impurities used for cleaning through the openings, the briquetting boiler is easily cleaned.
둘째,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심지어, 연탄 보일러의 사용 중에도) 보일러 내부의 물청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일러의 바닥 부분의 부식을 방지하여 보일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Secondly, water can be cleaned inside the boiler at any time (even during the use of briquette boilers),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boiler by preventing corrosion of the bottom of the boiler.
셋째, 본체 내부의 물청소에 의해 코일 표면에 황성분 스케일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일러의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ird, since the sulfur component scale can be prevented from sticking to the coil surface by the water cleaning inside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boiler.
넷째, 황성분 스케일 및/또는 불순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통해 연소된 연탄도 본체 하부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연탄 교환 작업이 용이해진다.Fourth, briquettes burned through the sulfur component scale and / or the opening for discharging impurities can be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ereby making briquette exchange work easy.
다섯째, 연탄 이외의 목재, 갈탄, 생활 쓰레기 등 다른 연료를 사용하더라도 연소 부산물을 본체의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Fifth, even by using other fuels such as wood, lignite, household waste other than briquettes can easily discharge the combustion by-products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여섯째, 본 발명의 연탄 보일러는 연탄난로로도 활용할 수 있다.Sixth, the briquette bo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tilized as a briquette stove.
일곱째, 본 발명의 연탄 보일러는 특히, 보일러의 하부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연탄 보일러의 바닥 부분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탄 보일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Seventh, the briquette bo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by chang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boil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ttom portion of the briquette boiler to corrode can extend the life of the briquette boiler.
여덟째, 이러한 개선된 연탄 보일러의 바닥 부분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경우, 물청소가 용이해지므로 연탄 보일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Eighth, in the case of forming a hole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improved briquette boiler, it is easy to clean the water can extend the life of the briquette boiler.
아홉째, 개선된 구조의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를 종래의 본체에 조립하여 사용할 경우, 저렴한 비용은 더 구조가 간단하고 수명이 연장된 연탄 보일러를 구현할 수 있다.
Ninth, when the lower assembly of the coal briquette boiler of the improved structure is used in the assembly of the conventional body, the low cost can realize a briquette boiler with a simpler structure and extended life.
전술한 본 발명의 요약뿐만 아니라 이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읽혀질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도면들이 도시된다. 그러나, 본 출원은 그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정확한 장치 및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코일형 연탄 보일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주요 부위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주요 부위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화덕보호부재, 바닥면, 슬라이드 부재, 가이드 부재 부위를 발췌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화덕보호부재 내부, 슬라이드 부재의 '이탈 구성' 및 코일부재 부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결합 구성'에 있는 슬라이더 부재의 저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슬라이드 부재의 변형예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본체의 하부를 발췌 촬영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스케치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연탄 보일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 부위를 발췌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바닥을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도 16은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의 지지대 부분이 변형된 예를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스케치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The foregoing summary of the invention as well a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drawings of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in such drawings.
1 is a partial excerpt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il-type briquette boiler.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hotograph taken from the fire protection member, the bottom surface, the slide member, the guide member portion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of the interior of the fire protection member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configuration' and the coil member portion of the slide member.
Fig.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er member in the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hotograph of a modification of the slide member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hotograph take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ketch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iquette boiler of FIG. 10.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assembly portion of the briquette boiler of FIG. 11.
Fig. 13 is a plan view of Fig. 11. Fig.
14 is a real picture schematically showing the lower assembly of the cylindrical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real photograph showing the bottom of FIG.
16 is a real picture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of the lower assembly of the briquette boiler is modified.
17 is a sketch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real picture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assembly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real picture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assembly of a rectangular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특정의 용어는 편의를 위한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우", "좌", "상면" 및 "하면"의 단어들은 참조가 이루어진 도면들에서의 방향을 나타낸다. "내측으로" 및 "외측으로"의 단어들은 각각 지정된 장치, 시스템 및 그 부재들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전방", "후방", "상방", "하방" 및 그 관련 단어들 및 어구들은 참조가 이루어진 도면에서의 위치들 및 방위들을 나타내며 제한적이어서는 아니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위에서 열거된 단어들, 그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들을 포함한다.The specific terminology us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nclusive and not limiting. The words "right "," left ", "top" and "lower" The words "inwardly" and "outwardly " refer to directions toward or away from the geometric center of a designated apparatus, system, and members thereof, respectively. The terms "forward "," rearward ", "upward "," downward ", and related words and phrases are intended to indicate positions and orientations in the figures in which reference is made and are not to be limiting. These terms include the words listed above, derivatives thereof, and words of similar meaning.
본 발명의 특정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주요 부위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주요 부위의 정단면도이다.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100)는 바닥면(112)에 제1 개구부(114)와 제2 개구부(116)가 형성된 본체(110), 제1 개구부(114)에 설치되며, 내부에 연탄(B)이 수납될 수 있는 화덕부재(120), 화덕부재(120) 주위에 감싸도록 본체(110) 내부에 배치된 코일부재(130), 화덕부재(120)의 하단부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제1 개구부(114) 및 제2 개구부(116)와 연통될 수 있는 제3 개구부(142)가 마련된 가이드 부재(140), 및 제3 개구부(14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화덕부재(120)에 연통시킬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멍들(152)이 형성된 흡기부(154) 및 제3 개구부(14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제2 개구부(116)를 통해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156)를 가지며, 제3 개구부(14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14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 부재(150)를 구비한다.2 and 3, the
본체(110)는 강철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될 수 있고, 본체(110)의 내벽을 형성하는 내부 본체(118)와 본체(110)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부 본체(111), 및 내부 본체(118)와 외부 본체(111) 사이에 개재된 단열재 및/또는 보온재를 구비하는 중간 본체(113)를 구비한다. 본체(110)의 바닥면(112)은 제1 개구부(114)와 제2 개구부(116)를 구비하며, 화덕부재(120)를 지지할 수 있을 만큼의 강성을 가지며 충분한 두께를 가진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1 개구부(114)는 화덕부재(120)가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화덕부재(120)의 화덕의 사이즈, 배치 패턴 등에 따라 다양한 모양, 사이즈,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화덕부재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구성된다. 제2 개구부(116)는 기본적으로 본체(110) 내부를 물로 청소할 경우 물과, 이물질 등을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제1 개구부(114)를 제외한 전체 바닥면이 제2 개구부(116)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개구부(116)의 형상 및 모양은 이물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The
본체(110)의 하부에는 경사벽(115)이 마련된다. 경사벽(115)은 본체(110)의 내벽 즉, 내부 본체(118)의 하단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된 지점으로부터 화덕부재(120)를 향해 경사지며, 바닥면(112)의 제2 개구부(116)의 모서리와 일치되도록 설치된다. 경사벽(115)은 내부 본체(118)와 바닥면(112)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벽(115)은 본체(110)의 내부를 물청소하는 경우, 코일부재(130)에 달라붙어 있던 황성분 스케일 및/또는 이물질 및/또는 청소에 사용된 물이 제2 개구부(116)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가진다. An
화덕부재(120)는 예를 들어, 흙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되는 흙화덕,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화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탄들(B)이 수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흙화덕은 연탄(B)을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기구가 흙화덕의 바닥에 설비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화덕부재(120)가 구성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탄(B)을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설비가 마련된다. The
화덕부재(120)는 본체(110)의 바닥면(112)의 제1 개구부(114)를 관통하여 바닥면(112)으로부터 소정 길이(예, 대략 3-5cm)만큼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왜냐하면, 본체(110) 내부를 물청소하는 경우, 바닥면(112)에 도달하는 물이나 이물질이 화덕부재(120)의 하단을 통해 화덕부재(120) 내부로 침투하거나 화덕부재(120)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대안적 실시예에 있어서, 화덕부재(120)의 하단은 제1 개구부(114)에 삽입되어 본체(110)의 바닥면(112)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위치되거나 바닥면보다 더 높게 구성될 수도 있다.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화덕보호부재 및 코일부재의 일 예를 발췌 촬영한 사진을 보여준다. Figure 5 shows a photograph taken an example of the oven protection member and coil member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100)는 화덕부재(12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화덕보호부재(160)를 더 구비한다. 도 5에는 화덕부재(120)가 화덕보호부재(160)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촬영한 것이다. 화덕보호부재(160)는 본체(110) 내부를 물청소하는 경우, 화덕부재(120)에 물이 묻음으로써 화덕부재(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연탄 보일러(100)의 물청소는 보일러를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에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연탄 보일러(100)가 작동 중인 경우에도 실행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연탄 보일러(100)의 열효율 측면에서 화덕보호부재(160)는 흙화덕의 경우는 물론 스테인리스 스틸 화덕의 경우에도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5,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덕보호부재(160)는 물 청소시 화덕부재(12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덕보호부재(160)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는 보호커버(162)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커버(162)의 상면에는 커버 손잡이(164)가 마련된다. 또한, 화덕보호부재(160)는 화덕부재(120)의 외면이 화덕보호부재(160)의 내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화덕보호부재(160)의 하단으로 소정 높이의 내벽에 돌출 설치된 화덕 지지 돌기(166)에 의해 화덕부재(120)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화덕부재(120)의 종류에 따라 화덕부재(120)의 상단이 화덕보호부재(160)의 상단에 걸리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커버(162)는 화덕부재(120)를 덮도록 설계 변경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화덕부재(120)의 보다 완벽한 보호를 위해서는 화덕부재(120)의 상단이 화덕보호부재(160) 속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덕보호부재(160)의 하부에는 전면(도 2의 우측)으로부터 후면(도 2의 좌측)까지 화덕보호부재(160)를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공들(168)이 마련된다. 이러한 관통공들(168)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연탄 지지 부재(170)가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연탄 지지 부재(170)는 관통공들(168)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연탄을 지지할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연탄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연소된 연탄을 보일러의 하부 즉, 화덕부재(120)의 하단을 통해 배출시킬 경우), 관통공들(168)로부터 연탄 지지 부재(170)를 이탈시키기 위한 것이다. 연탄 지지 부재(170)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관통공들(168)에 삽입될 수 있고 타단은 실질적으로 직교되게 굴곡되어 서로 일체로 연결된 2개의 봉들이 결합된 구조이다. 연탄 지지 부재(170)의 연결된 부분은 연탄 지지 부재(170)를 관통공들(168)에 삽입하거나 이로부터 이탈시킬 때 작업자가 만질 수 있는 손잡이 기능을 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화덕보호부재는 하단부의 직경이 그 위의 중간부부분 및 상단부의 직경 및 연탄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후술하는 연탄 지지 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지만 연탄의 하방 배출이 불가능하다.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oven protection membe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and briquettes of the middle part and the upper part thereon. In this case, although the briquette support member mentioned later may not be used, the downward discharge of briquettes is impossibl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화덕보호부재, 바닥면, 슬라이드 부재, 가이드 부재 부위를 발췌 촬영한 사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재(130)는 연탄(B)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난방용 물 및/또는 급탕 전용의 온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덕부재(120) 부분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내부 본체(118)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코일부재(130)의 양단은 각각 보충탱크(미도시)의 배관에 직결되는 미도시된 입구 및 출구 포트들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140)는 화덕부재(120)의 하단부 주위를 감싸도록 즉, 제1 개구부(114)와 제2 개구부(116)를 감싸도록 바닥면(112)의 하면에 연장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부재(140)는 본체(110)의 바닥면(112)으로부터 소정 길이 하방으로 각각 연장하고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수직 가이드들(144) 및 각각의 수직 가이드(144)로부터 직각으로 굴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연장되는 수평 가이드들(146)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140)는 수직 가이드들(144)과 수평 가이드들(146)이 실질적으로 챔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개방단들 중 후면(도 2의 좌측 부분)은 밀폐 플레이트(148)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개방단들 중 전면(도 2의 우측 부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50)의 커버 플레이트(158)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가이드들(146)은 제1 개구부(114)와 제2 개구부(116)와 연통될 수 있는 제3 개구부(142)를 형성한다. 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3, the
가이드 부재(140)의 수평 가이드들(14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5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슬라이드 부재(150)는 수평 가이드들(146)의 상면과 화덕보호부재(160) 하단 또는 화덕부재(120)의 하단과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으므로, 수평 돌기들(146)은 슬라이딩 돌기부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Horizontal guides 146 of th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가이드 부재 부위를 발췌 촬영한 사진을 보여주는 도 8을 도 2 및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140)는 수평 가이드들(146)에 설치되며, 제1 개구부(114) 및 제3 개구부(142)와 연통될 수 있는 배출구(182)를 가진 배출 가이드(18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together with FIGS. 2 and 3, which show photographs taken of a guide member portion of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배출 가이드(180)는 '이탈 구성'일 때, 본체(110) 내부에서 발생된 물과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배출 가이드(180)는 실질적으로 4각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가이드 본체(110)와 가이드 본체(110)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 가이드 파이프(184)를 구비한다. 배출 가이드(18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40)의 제3 개구부(142)와 연통될 수 있는 엘보우 부재(194)를 연결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엘보우 부재(194)는 가이드 파이프(184)에 연결된다. 또한, 가이드 파이프(184)는 원통형(도 8 참조) 또는 깔때기 모양(도 2 및 도 3 참조)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50)는 소정 두께를 가진 대략 4각의 금속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차단부(156)와 흡기부(154)로 구획된다. 슬라이드 부재(150)의 차단부(156)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결합 구성'에 있는 슬라이더 부재의 저면을 촬영한 사진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50)가 가이드 부재(140)에 완전히 결합된 '결합 구성'에서, 제2 개구부(116)를 폐쇄할 수 있는 구조이고, 슬라이드 부재(150)의 흡기부(154)는 제3 개구부(142)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제1 개구부(114) 및 화덕부재(120)를 통해 연통시킴으로써 연탄(B)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멍들(152)이 형성된다. 또한, 흡기부(154)에 형성되는 구멍들(152)은 제3 개구부(14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화덕부재(120)와 연통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 구성'에서 제1 개구부(114)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기부(154)의 구멍들(152)은 도 4 내지 도 6에 보여지는 구멍들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구멍 패턴으로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이와 다른 형태의 구멍 패턴을 가질 수도 있음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화덕보호부재 내부, 슬라이드 부재의 '이탈 구성' 및 코일부재 부위를 촬영한 사진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슬라이드 부재(150)가 가이드 부재(140)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이동하거나 가이드 부재(140)로부터 이탈되는 '이탈 구성' 즉, 가이드 부재(140)에 완전히 결합되어 있던 슬라이드 부재(150)가 도 2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면(도 4 및 도 5 참조), 제2 개구부(116)와 제3 개구부(142)가 연통될 수 있으므로 본체(110) 내부의 물청소를 위해 사용되는 물과, 물에 의해 씻겨 지는 황성분의 스케일, 연탄재를 포함하는 이물질 등은 제2 개구부(116)와 제3 개구부(142)를 거쳐 본체(110)의 하방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which is a photograph of the inside of the fire protection member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configuration' of the slide member, and the coil member portion, for example, the slide member ( 150 slides from th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주요부를 발췌하여 촬영한 사진을 보여주는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50)는 차단부(156)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되게 돌출 마련되는 커버 플레이트(158)를 더 구비한다. 커버 플레이트(158)는 슬라이드 부재(150)가 '결합 구성'에 있을 때, 가이드 부재(140)의 개방단을 막을 수 있으며, 슬라이드 부재(150)를 '이탈 구성'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커버 플레이트(158)에는 레버(151)가 설치된다. 커버 플레이트(158)는 슬라이드 부재(15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 showing a photograph taken by extracting a main part of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부재(150)는 차단부(156)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되게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53)를 더 구비한다. 돌출부(153)는 슬라이드 부재(150)가 가이드 부재(140)에 완전히 결합된 '결합 구성'에서, 연탄 보일러(100)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 스케일, 이물질 등이 슬라이드 부재(150)의 표면에 낙하될 때 그러한 이물질 등이 본체(110)의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돌출부(153)는 슬라이드 부재(150)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슬라이드 부재(15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and 3, the
대안적 실시예에 있어서,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슬라이드 부재의 변형예를 촬영한 사진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53')는 흡기부(154) 주위를 3면에서 감싸도록 별도의 금속 스트립이 슬라이드 부재(150)의 상면에서 볼트 결합 또는 용접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7, which is a photograph of a variation of the slide member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연탄 보일러(100)는 가이드 부재(140)로부터 슬라이드 부재(150)가 이탈될 때, 슬라이드 부재(150)의 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가이드 부재(140)의 제3 개구부(142) 측으로 긁혀지도록 바닥면(112)의 하측에 설치된 스크래치 플레이트(190)를 더 구비한다. 스크래치 플레이트(190)는 슬라이드 부재(150)가 가이드 부재(14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 슬라이드 부재(150)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 등이 슬라이드 부재(150)의 표면에 묻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래치 플레이트(190)는 전술한 연탄 지지 부재(170)의 2개의 봉이 관통될 수 있는 한 쌍의 제2 관통공들(192)이 마련된다. 2, 3, and 8, in another exemplary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코일부재(130)의 표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코일부재(130)의 상부에 설치된 물 공급부재(165)를 더 구비한다. 물 공급부재(165)는 코일부재(130)의 코일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며 최상층 코일부재(13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배치된 대략 실질적으로 코일부재(130)의 형상과 상응하게 배치된 물 공급관(167) 및 물 공급관(167)에 소정 간격 마련된 다수의 물 공급 포트들(169)을 포함한다. 물 공급 포트(169)는 코일부재(130)와 대향되도록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 공급관(167)은 코일부재(13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코일부재(130)의 끝단에 연결되어 난방을 마치고 코일부재(130)로 다시 회수되는 호스 또는 급탕 호스의 끝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물 공급관(167)은 보일러(100)의 본체(110) 외부에 마련된 밸브(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즉, 이러한 밸브는 물 공급부재(165)를 통해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만약, 밸브가 온(on)되는 경우 전술한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물 공급관(167)을 통해 공급될 수 있고, 이러한 물은 물 공급 포트들(169)을 통해 배출되면서 물 공급관(167)의 표면을 통해 코일부재(130)의 표면으로 흘러내리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코일부재(130)의 표면에 존재하는 스케일 등의 불순물은 코일부재(130)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대안적 및/또는 부가적 실시예에 있어서, 본격적인 물청소의 경우, 물 공급부재(165)와 별도로 사용자에 의해 공급되는 다른 물 공급원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를 물청소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전술한 바와 같이, 연탄 보일러(100)는 일단이 가이드 파이프(184) 또는 배출구(182)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공기 조절기(196)가 마련된 엘보우 부재(194)를 더 구비한다. 엘보우 부재(194)는 물 청소를 통해 배출되는 본체(110) 내부의 이물질이 제3 개구부(142)를 통해 본체(110)의 하부에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탄 보일러(100)의 화덕부재(120) 내부에서 연탄(B)이 연소를 위해 필요로 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시키기 위한 공기 조절기(196)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화덕부재(120)와 화덕보호부재(160)의 하단이 본체(110)의 바닥면(112)과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도 가능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100)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화덕보호부재(160)는 관통공(168)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가이드 부재(140)의 내측에 스크래치 플레이트(190)가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n another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 부재이다.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in FIGS. 2 to 8 are the same members with the same functions.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200)에 있어서, 개방된 바닥면(212)에 가이드 부재(240)가 일체로 삽입되는 구성이다. 가이드 부재(240)는 직선부(242), 경사부(244) 및 축소부(246)가 일체로 성형된다. 9, in the
직선부(242)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3 개구부(142)가 마련되고,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제3 개구부(142)의 일측면(4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슬라이드 부재(1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부재(150)의 폭보다 실질적으로 조금더 긴 슬릿(미도시)이 형성된다. The
경사부(244)는 직선부(242)로부터 코일부재(130) 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본체(110)의 내벽에 설치된다. 경사부(244)는 직선부(242)의 직육면체의 4개의 면의 상단에서 외곽으로 넓어지는 모양을 가진다.The
축소부(246)는 직선부(242)의 끝단 또는 제3 개구부(142)로부터 경사지도록 깔때기 모양으로 축소된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축소부(246)의 하단은 전술한 실시예의 배출 가이드(18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배출 가이드(180)는 엘보우 부재(194)와 결합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240)는 경사부(244)의 상단이 본체(110)의 내벽에 용접되고, 직선부(242)의 외주면이 본체(110)의 바닥면(212)에 용접된다. 또한, 화덕보호부재(160)는 직선부(242)의 내측에서 바닥면(112)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2 개구부(116)를 형성할 수 있는 바닥 연장부(216)에 고정 설치된다. In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부재(150)가 가이드 부재(240)에 완전히 결합된 '결합 구성'일 때, 연탄 보일러(200)를 작동시키면, 엘보우 부재(194)의 공기 조절기(196)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엘보우 부재(194)를 통해, 가이드 부재(240)의 제3 개구부(142)를 통과하여 슬라이드 부재(150)의 흡기부(152)를 통해 공기를 화덕부재(120)로 공급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한편, 슬라이드 부재(150)를 가이드 부재(240)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 구성'일 때, 물 공급부재(165)를 작동시키게 되면, 물 공급관(16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물 공급 포트들(169)을 통해 빠져 나와 코일부재(130)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코일부재(130) 표면에 존재하는 스케일 등이 코일부재(130)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이러한 스케일 등은 가이드 부재(240)의 경사부(244), 직선부(242)를 통해 안내되어 제2 개구부(116)를 통해 통과하고, 축소부(246)를 통과하고 배출 가이드(180), 및 엘보우 부재(19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한편, 연소된 후의 연탄(B)을 화덕부재(120)의 하방으로 교체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한다. 일단, 연탄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 부재(150)를 가이드 부재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킨 후, 엘보우 부재(194)를 배출 가이드(180)로부터 분리시키거나 그렇지 않고 그대로 설치한 상태에서, 연탄 지지 부재(170)를 관통공들(168)로부터 이탈시키면 화덕부재(120) 내부에 존재하는 연탄은 가이드 부재(140)의 제3 개구부(142) 및 배출 가이드(180), 필요한 경우 엘보우 부재(19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for replacing the briquette B after being burned down below the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스케치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연탄 보일러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 부위를 발췌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물 사진이고, 도 15는 도 14의 바닥을 나타낸 실물 사진이고, 도 16은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의 지지대 부분이 변형된 예를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9에서 설명된 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 부재이다. 따라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의 도시 및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었다. FIG. 10 is a sketch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iquette boiler of FIG. 10, and FIG. 12 is a lower assembly portion of the briquette boiler of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and FIG. 13 is a plan view of FIG. 14 is a real picture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assembly of a cylindrical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real picture showing the bottom of FIG. 14, and FIG. 16 is a bottom assembly of the briquette boiler. It is a real picture showing an example of the deformation of the support part of th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in FIGS. 2 to 9 ar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s. Therefor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300)는 연탄을 수납할 수 있는 화덕부재(미도시), 코일부재(130), 및 상부 본체(110)를 포함하는 상부 조립체(310) 및 상부 조립체(310)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하부 조립체(320)를 구비한다. 상부 조립체(310)와 하부 조립체(320)는 나사, 볼트 등을 포함하는 파스너(302)에 의해 결합된다. 상부 조립체(310)와 하부 조립체(320)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는 이유는 하부 조립체(320)의 교체, 수리, 보수 등을 위해 하부 조립체(320)를 상부 조립체(310)로부터 분리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300)는 상부 조립체(310)와 하부 조립체(320)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10 to 16, the
여기서, 상부 조립체(310)는 3개의 화덕부재(120) 또는 화덕보호부재(160)가 정삼각 형태로 집적되고 원통형의 상부 본체(110)가 화덕부재(120) 또는 화덕보호부재(160)를 감싸는 원통형 보일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하부 조립체(320)는 상부 조립체(310)의 상부 본체(110)의 하단의 개방부를 실질적으로 폐쇄할 수 있으며 제1 개구부(322)를 가진 바닥 플레이트(330)를 포함하는 하부 본체(340), 및 제1 개구부(322)를 관통하는 관통부(352)와 관통부(352)로부터 연장되어 화덕부재(120) 또는 화덕보호부재(160)의 끝단을 지지할 수 있는 화덕 지지부(354)를 가진 트레이 부재(350)를 구비한다. The
하부 본체(340)는 상부 조립체(310)의 상부 본체(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하부 조립체(320)의 하부 본체(340)의 내벽 속으로 삽입되는 상부 조립체(310)의 상부 본체(110)의 외벽을 체결할 수 있는 돌기 형태의 체결부(342)를 구비한다. The
하부 조립체(320)의 바닥 플레이트(330)는 지면(304)과 평행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바닥 플레이트(330)의 중앙 부분이 상대적으로 볼록하도록 지면(304)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구성되거나, 편평한 플레이트를 경사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The
바닥 플레이트(330)의 제1 개구부(322)는 삼각형(바람직하게는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된 소정 크기의 지름을 가진 3개의 구멍들(324)을 포함한다. 각각의 구멍(324)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 부재(350)의 관통부(352)가 바닥 플레이트(33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삽입되어 돌출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또한, 3개의 구멍들(324) 각각의 중심은, 하부 조립체(320)가 상부 조립체(310)에 결합될 때, 화덕부재 또는 화덕보호부재의 각각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The
트레이 부재(350)는 전술한 각각의 구멍(3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트레이들을 구비한다. 각각의 트레이는 연탄(B)을 수납하고 있는 화덕부재(120) 또는 화덕보호부재(160)의 끝단과 바닥 플레이트(330)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그러한 간격의 유지에 의해 연탄 보일러(300)의 바닥 플레이트(330)의 상면에 쌓이게 될 수도 있는 불순물로부터 연탄 보일러(300)의 바닥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트레이 부재(350)의 각각의 트레이들은 내부식성이 강하고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구성된다.The
또한, 트레이 부재(350)의 각각의 트레이는 대응되는 구멍(324)에 삽입될 수 있으며 속이 비어 있는 소정 길이의 원통형 관통부(352)와, 관통부(352)로부터 상방의 반경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연장부(356), 및 경사 연장부(356)로부터 연장되고, 전술한 화덕부재(120) 또는 화덕보호부재(160)의 끝단을 지지할 수 있는 화덕 지지부(354)를 구비한다. In addition, each tray of the
관통부(352)는 후술하는 엘보우 부재(19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멍(324)을 관통하여 바닥 플레이트(330)의 하방으로 어느 정도 돌출된다. 즉, 연탄 보일러(300)의 실제 작동 과정에서, 관통부(352)와 경사 연장부(356) 및 화덕 지지부(354)는 화덕부재(120)와 직접 연통될 수 있으므로 대응되는 화덕부재(120)에 수납된 연탄이 필요로 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화덕부재(120) 내부에서 배출될 수도 있는 연탄재와 같은 불순물은 트레이의 화덕 지지부(354), 경사 연장부(356), 및 관통부(352)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엘보우 부재(19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부(352)는 연탄 보일러(300)에서 연탄이 필요로 하는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크기만으로도 충분하다. The penetrating
경사 연장부(356)는 화덕부재(120)를 지지할 수 있는 화덕 지지부(354)의 크기 만큼 관통부(352)의 크기를 확대시켜 경사 연장부(356)는 화덕 지지부(354)가 바닥 플레이트(33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시킬 뿐만 아니라, 트레이 부재(350)의 각각의 트레이가 구멍(324)에 삽입될 때, 경사 연장부(356)의 시작점에서 그러한 트레이가 구멍(324)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The
화덕 지지부(354)는 경사 연장부(356)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하는 수평 연장부(353)와 수평 연장부(353)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하는 수직 연장부(355)를 포함한다. 수평 연장부(353)는 화덕부재(120) 또는 화덕보호부재(160)의 끝단이 지지되는 부분이고, 수직 연장부(355)는 화덕부재(120) 또는 화덕보호부재의 끝단의 외벽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화덕 지지부(354)의 수직 연장부(355)의 외벽은 연탄 보일러(300)의 상부 조립체(310)의 내벽에 별도의 구조물(306)에 의해 용접될 수도 있다. The
또한, 트레이 부재(350)의 3개의 트레이들은 수직 연장부(355)의 상단에서 연결 클립(360)에 의해 서로 연결(예, 용접)된다. 연결 클립(360)은 어느 하나의 트레이의 수직 연장부(355)에 일체로 마련되고,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수직 연장부(355)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물론, 별도의 클립 또는 연결구를 사용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즉, 연결 클립(360)은 트레이 부재(350)의 각각의 트레이들 사이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트레이의 화덕 지지부(354)에 안착되는 화덕부재(120)를 안정되게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three trays of the
트레이 부재(350)의 이러한 구조에 의해, 화덕부재 내부에 수납되는 연탄의 바닥 플레이트(330)를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완전 연소된 연탄은 상방으로부터 교체된다. Due to this structure of the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조립체(320) 또는 연탄 보일러(300)는 바닥 플레이트(330)를 관통하는 제2 개구부(326)를 더 구비한다. 제2 개구부(326)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연탄 보일러(300)의 내부를 물청소하는 경우, 물에 의해 씻겨나가는 불순물을 연탄 보일러(3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개구부(326)는 바닥 플레이트(330)의 중앙(아래로 볼록하게 된 부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출구(328)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출구(328)는 연탄 보일러(300)가 작동될 경우, 다른 차단 부재(미도시)에 의해 닫혀 있으며, 물청소를 위해 필요할 경우 차단 부재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 플레이트(330)를 관통하는 관통부(352)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그것들과 동일한 기능 및 구조를 가진 엘보우 부재(190)가 연결된다. 이러한 엘보우 부재(190)는 그 일단에 설치된 공기 조절기(196)의 조작에 의해 연탄 보일러(300)가 필요로 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netrating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탄 보일러(300)의 하부 조립체(320)는 하부 본체의 측벽에 슬라이딩되는 미닫이 형태의 도어(370)가 마련된다. 이러한 도어(370)는 일반적인 상태(물청소가 아닌)에서 연탄재의 청소를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전술한 중앙의 배출구(328)와 함께 협력하여 물청소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0, the
또한, 연탄 보일러(300)의 하부 조립체(320)는 하부 본체(340)를 지면(304)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시킨채로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380)를 구비한다. 받침대(380)는 지면에 대해 연탄 보일러(30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그 어떤 형태의 구조물일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In addition, the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스케치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도 10 내지 도 16에서 설명된 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 부재이다.17 is a sketch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lower assembly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 photo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in FIGS. 10 to 16 are the same members with the same functions.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400)는 화덕부재들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는 소위, '직육면체형 연탄 보일러'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조립체(410)와 하부 조립체(42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400)의 하부 조립체(420)는 바닥 플레이트(430)에 형성되는 3개의 구멍들(424)이 일렬로 배치되며, 트레이 부재(450)의 3개의 트레이들은 이와 같은 구멍들(324)에 결합된다. 17 and 18,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 부재(450)의 3개의 트레이들을 바닥 플레이트(430)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보조 플레이트(440)가 마련된다. 보조 플레이트(440)는 바닥 플레이트(330)의 길이 방향으로 바닥 플레이트(330)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용접된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440)에는 바닥 플레이트(430)의 구멍들(424)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3개의 보조 구멍들(444)이 마련된다. 따라서, 트레이 부재(450)의 각각의 트레이의 관통부(452)는 보조 플레이트(440)의 보조 구멍(444)과 바닥 플레이트(430)의 구멍(424)을 각각 관통하게 된다. 또한, 트레이 부재(450)의 각각의 트레이의 관통부(452)는 보조 플레이트(440)의 보조 구멍(444)에 의해 지지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또한, 바닥 플레이트(430)는 물청소를 위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배출구(428)가 마련되고, 연탄 보일러(400)의 작동시 배출구(428)는 마개(490)에 의해 닫혀지지만, 물청소를 할 경우 개방된다. 또한, 청소시에는 엘보우 부재(190)와 마개(490)가 동시에 탈착되는 구조이다.In addition, the
도 1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19 is a real picture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assembly of a rectangular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탄 보일러의 하부 조립체(420)의 트레이 부재(450)의 각각의 트레이는 바닥 플레이트(430)에 형성된 구멍(424)에 직접 삽입된다. 또한, 바닥 플레이트(430)는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일 측면에는 물청소를 할 경우 내부의 연탄재 등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428)가 마련된다. 또한, 배출구(428)는 하부 본체(34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48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또한, 바닥 플레이트(430)는 지지대(380)에 의해 지면에 지지된다.Referring to FIG. 19, each tray of the
한편, 트레이 부재(450)의 트레이는 경사 연장부(356)와 바닥 플레이트(430)의 내면에 용접되는 지지체(470)에 의해 바닥 플레이트(43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체(470)의 종류와 구조는 당업자에 의해 충분히 변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ray of the
전술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한편,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부가물, 변형물, 조합들 및/또는 대체물들이 만들어 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른 요소들, 물질들, 성분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정신 필수 특징들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 구조, 배열, 비율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한 특정의 환경 및 작동 조건들에 특히 적합하도록 된 구조, 배열, 비율, 물질, 성분의 많은 변형과 함께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독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특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과 함께 및/또는 상호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개시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이 아닌 설명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의해 표시되며,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While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t is evident that various addition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 or alternativ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made. In particula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structures, arrangements, ratios, using other elements, materials,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with many modifications of the structure, arrangement, proportions, materials, and components so as to be particularly suited to the specific environments and operating condi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features described herein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features. For example, feature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and / or interchangeably with features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ly disclos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not limited to the foregoing description.
첨부된 청구범위의 넓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들 및 변경들이 가능함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것들의 몇몇은 위에서 논의되었으며 다른 것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roa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ome of these have been discussed above and other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200...연탄 보일러 110...본체
111...외부 본체 112...바닥면
113...중간 본체 114...제1 개구부
115...경사벽 116...제2 개구부
120...화덕부재 130...코일부재
140,240...가이드 부재 142...제3 개구부
144...수직 가이드 146...수평 가이드
148...밀폐 플레이트 150...슬라이드 부재
152...구멍 154...흡기부
156...차단부 158...커버 플레이트
160...화덕보호부재 162...보호커버
165...물 공급부재 166...화덕 지지 돌기
167...물 공급관 168...관통공
169...물 공급 포트 170...연탄 지지 부재
180...배출 가이드 182...배출구
184...가이드 파이프 190...스크래치 플레이트
194...엘보우 부재 196...공기 조절기
242...직선부 244...경사부
300...연탄 보일러 320...하부 조립체
322...제1 개구부 324...구멍
330...바닥 플레이트 340...하부 본체
350...트레이 부재 352...관통부
354...화덕 지지부 356...경사 연장부
100,200 ...
111
113 ...
115 ...
140,240 ...
144 ...
148 ...
152
156.Blocking 158 ... Cover plate
160 ...
167
180 ...
184 ... guide
194.Elbow
242
300 ...
322.First opening 324 ... hole
330
350
354
Claims (17)
연탄을 수납할 수 있는 화덕부재의 하단을 상기 바닥 플레이트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개구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화덕 지지부, 및 상기 화덕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하부로 연장되는 속이 빈 원통형 관통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부재; 및
상기 하부 본체에 연결되는 상부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화덕부재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된 코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 보일러.
A lower body having a bottom plate having a first opening formed therein;
An oven support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opening so as to support a lower end of the oven member capable of accommodating briquett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bottom plate, and the bottom through the first opening from the oven support A tray member comprising a hollow cylindrical through portion extending below the plate; And
Briquett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il member disposed to surround the oven member in the upper body connected to the lower body.
상기 제1 개구부는 각각의 중심이 정삼각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를 각각 관통하는 3개의 원형 구멍들을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 부재는 상기 3개의 구멍들에 각각 배치된 3개의 트레이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opening has three circular holes each penetrating the bottom plate such that each center is arranged in an equilateral triangle shape;
And the tray member comprises three trays each disposed in the three holes.
상기 트레이들 각각은 상기 관통부와 상기 화덕 지지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 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trays briquett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n inclined extension connecting the through and the oven support portion obliquely.
상기 트레이들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서 상기 화덕 지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tray briquett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clip for connecting the oven support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코일부재의 물청소에 따른 불순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 개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riquett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opening formed in the bottom plate to discharge impurities due to the water cleaning of the coil member.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직사각이고,
상기 제1 개구부는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원형 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부재는 상기 3개의 구멍들에 각각 배치된 3개의 트레이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plate is rectangular,
The first opening includes three circular holes arranged in a line,
And the tray member comprises three trays each disposed in the three holes.
상기 제1 개구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연탄이 수납될 수 있는 화덕부재;
상기 화덕부재 주위에 감싸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코일부재;
상기 화덕부재의 하단부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와 연통될 수 있는 제3 개구부가 마련된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3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화덕부재와 연통시킬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멍들이 형성된 흡기부, 및 상기 제3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3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 보일러.
A main body having a bottom surface having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An oven member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briquettes therein;
A coil membe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o wrap around the oven member;
A guide member installed to surround a lower end of the oven member and having a third opening which communicates with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nd
An air inlet portion having one or more holes formed therein for communicat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ird opening with the oven member, and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ird opening flows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econd opening Briquett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blocking portion that can be blocked, and having a slide member slidingly coupled to the guide memb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third opening.
상기 화덕부재는 상기 바닥면 아래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briquette member is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below the bottom surface and briquett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to penetrate the first opening.
상기 화덕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화덕보호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Briquett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ven protection member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oven member.
상기 화덕보호부재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관통공들; 및
상기 관통공들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화덕부재에 수납되는 연탄을 지지하는 연탄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 보일러.
16. The method of claim 15,
A pair of through holes provided to penetrat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e protection member; And
The briquette boiler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further comprising a briquette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briquettes accommodated in the furnace member.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딩 돌기부; 및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될 수 있는 배출구를 가진 배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Wherein the guide member comprises:
A slid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the sliding protrusion of which both ends of the slide member may be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riquett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guide which is installed in the sliding projections, the discharge guide having a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ope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3622 | 2011-11-24 | ||
KR20110123622 | 2011-11-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7935A KR20130057935A (en) | 2013-06-03 |
KR101361097B1 true KR101361097B1 (en) | 2014-02-13 |
Family
ID=4885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0018A KR101361097B1 (en) | 2011-11-24 | 2012-08-17 | Briquette boiler and lower assembly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109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4652B1 (en) | 2017-03-30 | 2017-10-12 | 김인준 | Briquet boiler or briquet fireplace heat-resistant pip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3407Y1 (en) * | 2015-05-22 | 2017-05-12 | 이재혁 | Briquette boiler of simply cleaning |
KR102463784B1 (en) * | 2022-04-25 | 2022-11-03 | 윤민기 | Briquette stove crucib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9409A (en) * | 2001-11-02 | 2003-05-14 | Ryuji Takei | Water quality improvement type heat exchanger |
KR20080000968U (en) * | 2006-11-06 | 2008-05-09 | 김덕구 | Briquette boiler |
KR20100110629A (en) * | 2009-04-03 | 2010-10-13 | 이순임 | Briquette boiler |
-
2012
- 2012-08-17 KR KR1020120090018A patent/KR10136109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9409A (en) * | 2001-11-02 | 2003-05-14 | Ryuji Takei | Water quality improvement type heat exchanger |
KR20080000968U (en) * | 2006-11-06 | 2008-05-09 | 김덕구 | Briquette boiler |
KR20100110629A (en) * | 2009-04-03 | 2010-10-13 | 이순임 | Briquette boil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4652B1 (en) | 2017-03-30 | 2017-10-12 | 김인준 | Briquet boiler or briquet fireplace heat-resistant pi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7935A (en) | 2013-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154336A (en) | Gas boiler able to operate in a sealed combustion circuit | |
KR101409989B1 (en) | Pellet Stove | |
KR101361097B1 (en) | Briquette boiler and lower assembly thereof | |
JP2012073012A (en) | Pellet combustion equipment | |
WO2006114654A3 (en) | Method for the automatic combustion of solid granular fuels, particularly pellets, and burner for the boiler | |
KR200474101Y1 (en) | Briquette boiler of simply cleaning | |
KR101311464B1 (en) | Burner and boiler including the burner for soild feul | |
KR101571793B1 (en) | Pellet combustion apparatus | |
KR200431525Y1 (en) | Briquettes as fuel | |
KR100858040B1 (en) | Multi purpose boiler | |
KR100673620B1 (en) | Briquette boiler's heating water and hot water supply | |
KR101369605B1 (en) | Boiler | |
KR20110092428A (en) | Wood pellet boiler | |
KR102023110B1 (en) | Stove capable for using both firewood and pellet | |
KR200425900Y1 (en) | Coal boiler | |
KR101289695B1 (en) | Wood and briquette fired boiler | |
KR20120087461A (en) | Boiler | |
KR20120114115A (en) | Solid fuel boiler | |
KR20160123846A (en) | Pellet burner having one-touch ash discharging structure | |
US20100192936A1 (en) | Easy to start heating apparatus at any attempt without need for flammable fluid and blowing | |
KR200483407Y1 (en) | Briquette boiler of simply cleaning | |
KR20100131636A (en) | Combustion device for solid fuel and multipurpose he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
JP6484663B2 (en) | Boiler equipment | |
KR101758229B1 (en) | Briquet boiler having a fire pot | |
KR200483591Y1 (en) | Briquette boiler of simply clea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