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636A - Combustion device for solid fuel and multipurpose he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bustion device for solid fuel and multipurpose he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1636A KR20100131636A KR1020090050337A KR20090050337A KR20100131636A KR 20100131636 A KR20100131636 A KR 20100131636A KR 1020090050337 A KR1020090050337 A KR 1020090050337A KR 20090050337 A KR20090050337 A KR 20090050337A KR 20100131636 A KR20100131636 A KR 201001316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id fuel
- combustion
- rostol
- combustion device
- warm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5/00—Cleaning arrangements for grates; Moving fuel along gr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6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using sol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12—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with predrying in fuel supply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연료용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소장치는 외부 측면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열되어 고체연료를 지지하는 로스톨: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로스톨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의 간격은 고체연료가 연소하기 전에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 내를 통과하는 물을 연소 중인 고체연료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온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소장치를 포함하는 다목적 난방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device for a solid fuel, the combustion device comprises a housing forming an outer side; Rostol is arranged to cross the interior of the housing for supporting the solid fuel: and a plurality of solid fuel support water pipe located above the rostol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The spacing of the water pipes is arranged such that the solid fuel does not pass through before it is combusted, so that hot water can be provided by heat-exchanging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solid fuel support water pipes with the burning solid fuel.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ultipurpose h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combustion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체연료용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목적 난방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효율적인 연소 및 온수 공급이 가능한 연소장치 및 다목적 난방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apparatus for a solid fuel and a multipurpose h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bustion apparatus and a multipurpose heating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 combustion and hot water supply.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 또는 공장 등의 넓은 실내공간을 난방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석유 및 가스의 소모양이 적지 않아 고가의 유지비용이 소요되었다. 게다가, 오늘날 유가상승으로 인한 연료비 부담까지 겹쳐져 농가 또는 공장에서는 생산원가를 절감하기 위하여 그리고 공공 기관에서는 난방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비교적 연료비가 저렴한 연탄, 석탄, 갈탄 등의 고체연료용 난방기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heat a large indoor space such as a plastic house or a factory, the consumption of oil and gas required is not small and expensive maintenance costs are required. In addition, fuel costs due to the rise in oil prices are overlapped, so farmers or factories reduce production costs, and public institutions use relatively low fuel costs such as briquettes, coal, and lignite. have.
이러한 종래의 고체연료용 난방기구는, 고체연료가 저장되는 로스톨이 설치 되어 하부에서 제공되는 공기로 고체 연료를 연소하는 연소장치 및 연소한 공기가 배기되는 연소 공기 배기부로 구성되어, 실내로 직접 열을 전달하여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The conventional heating device for solid fuel is composed of a combustion device which burns solid fuel with air provided from the lower part, which is provided with a rostol in which the solid fuel is stored, and a combustion air exhaust part through which the burned air is exhausted. It transfers heat,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oom.
상기 로스톨 위에는 석탄 등의 고체연료가 위치되어 연소가 일어나며, 이때 로스톨에 형성된 구멍으로 인해 하부에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로스톨의 구멍은 고체연료의 연소가 완료된 후 생성된 재가 배출되는 개구부로도 사용된다. 그리고, 연소장치에서 연소한 공기는 난방기구 상부에 위치된 연통을 통하여 배기된다.Solid fuel, such as coal, is positioned on the rostol and combustion occurs. At this time, air necessary for combustion is supplied from the lower portion due to the hole formed in the rostol. In addition, the hole of the rostol is also used as an opening through which ash produced after the combustion of the solid fuel is completed. Then, the air combusted by the combustion device is exhaus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located above the heating mechanism.
고체연료의 연소는 그 표면에서 일어난다. 그리고, 한 개로 이루어진 고체연료의 부피와 복수로 이루어진 소형 고체연료의 총 부피가 동일한 경우, 복수의 소형 고체연료의 표면적이 동일한 부피를 가지는 한 개의 고체연료보다 표면적이 더 크다. 이로 인해, 복수의 소형 고체연료가 하나의 큰 고체 연료연소보다 연소 효율이 우수하며 완전 연소도 더 원활히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고체연료용 난방기구의 연소장치에서는, 크기가 큰 고체연료가 로스톨에 직접 저장 및 지지된다. 따라서,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작은 고체연료, 즉 크기가 큰 고체연료를 연소하는 연소장치는 연소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완전 연소되지 않은 고체연료가 로스톨에 축적되므로 공기 공급이 원할하지 못하게 되어 연소가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ombustion of solid fuel takes place on its surface. In addition, when the volume of one solid fuel and the total volume of the plurality of small solid fuels are the same, the surface area of the plurality of small solid fuels is larger than that of one solid fuel having the same volume. As a result, a plurality of small solid fuels have better combustion efficiency than one large solid fuel combustion and complete combustion can occur more smoothly.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mbustion apparatus of the heating device for solid fuel, a large solid fuel is directly stored and supported in the rostol. Therefore, the combustion device that burns solid fuel having a small surface area relative to its volume, that is, a large solid fuel, has a problem of low combustion efficiency, and since the solid fuel that is not completely burned accumulates in the rostol, air supply is not desir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mbustion is stopped.
또한, 종래의 연소장치의 구조상, 연소장치의 연소가 중단되는 경우 다시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로스톨에 직접 지지되는 고체연료를 다 꺼낸 후 재점화하여 고 체연료를 다시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ombustion device, when the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device is stopped in order to burn again, the solid fuel directly supported by the rostol has to be removed and re-ignited to refill the solid fuel.
또한, 로스톨에 재가 축적되어 로스톨에 형성된 공기 구멍이 종종 폐쇄되어 난방기구의 작동을 중단하고 로스톨을 세척해야해 매우 번거로웠다.In addition, the ash accumulated in the rostol, the air holes formed in the rostol are often closed, it was very troublesome to shut down the heating mechanism and clean the rostol.
또한,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고온 열에너지를 가지고 있음에도 배기부로 바로 배출되어 폐열화되는 열에너지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device has a high temperature thermal energy,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thermal energy is directly discharged to the exhaust portion and deteriorated.
게다가, 고체 연료는 액체 및 가스 연료보다 저장 및 공급이 불편함에도 고체연료를 주기적으로 자주 투입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solid fuels have been cumbersome to inject solid fuels frequently, even though they are more difficult to store and supply than liquid and gaseous fuels.
이에 본 발명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고체연료용 연소장치 및 난방기구를 발명하기에 이른 것이다. Therefore, the inventor has come to invent a combustion apparatus and heating apparatus for a solid fuel having a novel structure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완전 연소되지 않는 고체연료로 인한 연소 중단 현상을 제거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liminate burnout phenomena due to solid fuel that is not completely burn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작은 고체연료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연소 효율을 상승시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solid fuels having a small surface area relative to the volume, thereby increasing combustion efficienc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접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는 이외에 온수, 온풍 등을 공급할 수 있는 다목적 난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heating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hot water, warm air, etc. in addition to directly raising the indoor tempera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소 가스의 폐열량을 감소시켜 열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것이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es to recycle thermal energ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소장치의 연소가 중단되는 경우 고체연료를 용이하게 재연소시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reburn solid fuel when the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device is stopp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료 공급에 대한 번거로움을 해결하여 편리하게 고체 연료를 공급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id fuel conveniently by solving the trouble of fuel supp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스톨의 공기 구멍이 재로 폐쇄되는 현상을 해소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henomenon that the air hole of the rostol is closed by ash.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용 연소장치는, 외부 측면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열되어 고체연료를 지지하는 로스톨: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로스톨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의 간격은 고체연료가 연소하기 전에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mbustion device for a solid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forming an outer side; Rostol is arranged to cross the interior of the housing for supporting the solid fuel: and a plurality of solid fuel support water pipe located above the rostol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ncluding, the solid fuel support water pipe The interval of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id fuel is arranged not to pass through before combustion.
이렇게 고체연료의 연소 과정에 따라 고체연료를 2단으로 지지하는 로스톨 및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을 사용함으로써, 크기가 큰 고체연료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연소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고, 완전 연소되지 않는 고체연료로 인한 연소 중단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연소장치의 연소가 중단되는 경우, 연소장치 내에 저장된 고체연료를 모두 꺼낼 필요없이 용이하게 재연소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using the rostol and the solid fuel supporting water pipe which supports the solid fuel in two stages according to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solid fue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large solid fuel and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Eliminates combustion interruptions caused by solid fuels. In addition, when the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apparatus is stopped, it is possible to easily reburn the solid fuel stored in the combustion apparatus without having to take out all.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다단으로 배치되어, 고체연료가 크기에 따라 상기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 및 상기 로스톨에 다단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olid fuel support water pipe may b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within the housing, so that the solid fuel may be supported in multiple stages by the solid fuel support water pipe and the rostol according to size.
바람직하게는, 로스톨에 재가 축적되어 로스톨 하부에서의 공기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로스톨의 하부면에는 상기 로스톨에 진동을 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lower surface of the rostol may further include a means for applying vibration to the rostol so that ash is accumulated in the rostol to prevent the air suppl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ostol being block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용 다목적 난방기구는, 상기 고체연료용 연소장치; 상기 연소장치의 상부에 연결되는 고체연료 저장통; 및 상기 연소장치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체연료 저장통 주위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배기용 파이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heating mechanism for a solid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device for the solid fuel; A solid fuel reservoir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device; And at least one exhaust pip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device and positioned around the solid fuel reservoir.
이렇게 연소장치 상부에 연결되어 여분의 고체연료를 저장하는 고체연료 저 장통을 사용함으로써, 잦은 연료 충전의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By using a solid fuel reservoir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device to store excess solid fuel, it is possible to avoid the trouble of frequent fuel fill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기용 파이프 둘레에는, 상기 배기용 파이프와 열교환하는 온풍 가열부가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소 가스의 폐열량을 감소시켜 열 에너지를 재활용할 수 있다. Preferably, around the at least one exhaust pipe, a warm air heating unit for heat exchange with the exhaust pipe may be located. As a result, the amount of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gas can be reduced to recycle thermal energy.
바람직하게는, 배기용 파이프와 온풍 가열부 간의 열교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온풍 가열부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기가 상기 온풍 가열부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Preferably, a blower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warm air heating unit may be installed above the warm air heating unit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exhaust pipe and the warm air heating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풍 가열부의 외부 측벽의 하부에는, 상기 배기용 파이프와 열교환한 온풍이 배출되는 온풍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고체연료용 난방기구는 온풍을 제공할 수 있다. Preferably, a warm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rm air heat exchanged with the exhaust pipe may be formed below the outer side wall of the warm air heater. For this reason, the heating device for solid fuel can provide warm air.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체연료 저장통의 상단부에는 상기 고체연료 저장통을 밀폐하는 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의 상부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측면은 패킹부재로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진공밀봉 방식의 덮개를 사용함으로써, 연소장치의 화염이 고체연료 저장통까지 발달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어, 고체연료를 지속적으로 저장하면서 동시에 연속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다. Also preferably, a lid for sealing the solid fuel reservoir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solid fuel reservoir, a handl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d, and the side of the lid may be surrounded by a packing member. By using the vacuum-sealed co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ame of the combustion device from developing to the solid fuel reservoir, so that the solid fuel can be continuously stored and burned continuously.
본 발명에 의하면, 완전 연소되지 않는 고체연료로 인한 연소 중단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동시에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작은 고체연료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연소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연소장치의 연소가 중단되는 경우 고체연료를 용이하게 재연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접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는 이외에 온수, 온풍 등을 공급할 수 있는 다목적 난방기구를 제공할 수 있고, 연소 가스의 폐열화를 감소시켜 열 에너지를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편리하게 고체 연료를 공급할 수 있고, 로스톨의 공기 구멍이 재로 폐쇄되는 현상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combustion interruption phenomenon due to solid fuel that is not completely burn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the solid fuel having a small surface area relative to the volume, When the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device is stopped, there is an effect of easily reburning the solid fue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purpose heating device that can supply hot water, warm air, etc., in addition to directly rais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waste deterioration of combustion gas to recycle thermal energ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solid fuel conveniently, and there is an effect of solving the phenomenon of closing the air hole of the rostol with ash.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고체연료용 연소장치(100) 및 다목적 난방기구(1)의 정면도 및 단면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연소장치(100)의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130)은 도 2의 단면도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Front and sectional views of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체연료용 다목적 난방기구(1)는 고체연료용 연소장치(100)와, 상기 연소장치(100)의 상부에 배열되는 고체연료 저장통(300)과, 상기 고체연료 저장통(300) 주위에 배열되는 온풍기부(200)와, 상기 온풍기부(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통(40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고체연료용 난방기구를 유지 보수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고 고체연료(C)가 완전연소되어 형성된 재를 제거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고체연료용 난방기구의 특정 부분들에는 소제구(500)가 형성되어 있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o specify the heating device for solid fuel, in order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the heating device for solid fue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sh formed by the complete combustion of the solid fuel (C). The parts are provided with a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소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열되는 로스톨(120) 및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기 로스톨(120)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연소장치(100)의 외부 측벽을 형성한다. 고체연료(C)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연소되므로, 상기 연소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을 통하여 열을 전달한다. 즉, 상기 하우징(110)은 연소열을 직접 복사하는 소위 난로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130)은 로스톨(120) 위에 설치되고, 상기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130)들은 고체연료(C)가 연소되어 작아지기 전에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배열된다. 즉, 이는 상기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들 사이의 간격이 고체연료의 크기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연소 전인 고체연료(C)는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130)에서 1차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130)은 로스톨(120) 위에 다단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다단"이란 일단을 이루는 다수의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이 높이를 달리하여 배열되는 방식을 말한다. 1 and 2, the solid fuel
상기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130)을 사용함으로써, 이하에서 기술할 로스톨(120)에는,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130)의 고체연료(C)보다 작은 크기의 탄들이 연소하므로, 연소 표면적이 증가되어 연소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고, 고체 연료가 원활하게 완전 연소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완전 연소되지 않은 고체연료의 축적으로 인한 연소 중단 현상을 상당히 제거할 수 있다. By using the solid fuel
게다가, 연소장치 내의 고체연료 중 상당한 양의 고체연료가 상기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130)에 지지되므로, 연소장치의 연소가 중단되어 고체연료를 재연소시키기 위하여 연소장치 내의 고체연료를 모두 꺼낼 필요가 없다. 즉, 상기 지지용 수관에 지지되는 고체연료는 그대로 두고, 로스톨 위에 지지되는 소형의 고체연료만 꺼내어 재연소시킨 후, 로스톨을 연소장치 내에 재장착함으로써 로스톨 상의 화염이 그 상부에 위치하는 수관의 고체연료를 재연소시키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소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연소가 중단되더라고 많은 수고를 들이지 않고 고체연료를 용이하게 재연소시킬 수 있다. Moreover, since a substantial amount of solid fuel in the solid fuel in the combustion apparatus is supported by the solid fuel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 측면에는 상기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130)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131)와, 상기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130)으로부터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 배출부(133)가 설치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인 고체연료용 다목적 난방기구(1)는 하우징(110)을 통해 직접 난방기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온수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로스톨(120)은 상기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130)에서의 연소로 소형화된 고체연료(C)를 2차적으로 지지한다. 이로 인해, 로스톨(120)에서는 고체연료들의 연소 표면적이 넓어져 완전 연소가 원활히 일어나고, 이로 인해 연소 효율도 증가된다. The
또한, 로스톨(120)에는 연소시 하부로부터 공기가 통하고 또한 고체연료(C)가 연소된 후 재가 되었을 때 재가 빠질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holes are formed in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스톨(120) 하부에는 상기 로스톨(120)에 진동을 가하는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을 가하는 수단으로서, 로스톨(120) 하 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축(121)과 상기 수직 축(121)에 피봇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뻗어있는 발판부(123)를 이용할 수 있다(도 1 참고). 상기 발판부(123)를 수차례 밟음으로써, 로스톨(120)에 고정된 축(121)을 상하로 이동시켜 로스톨(12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Preferably, a means for applying vibration to the
이로 인해, 로스톨(120)에 축적되는 재가 응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로스톨(120)의 공기 구멍이 폐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로스톨(120)의 공기 구멍의 폐쇄 현상으로 인해 로스톨(120)을 빈번히 세척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sh accumulated in the
상기 연소장치(100)의 상부에는, 연소장치(100)에서의 연소가스가 연통(400)까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배기용 파이프(140)가 설치된다(도 1 참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기용 파이프(140)는 이하에서 기술할 고체연료 저장통(300) 주위에 배열된다. 또한, 상기 배기용 파이프(140)는 상기 연소장치(1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배기용 파이프(140)는 이하에서 기술할 온풍 가열부(210)와의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큰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op of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온풍기부(2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기용 파이프(140)들을 둘러싸도록 위치되는 온풍 가열부(210)와, 상기 온풍 가열부(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송풍기(220) 및 상기 온풍 가열부(210)의 외부 측벽의 하부에 형성되는 온풍 배출구(230)로 구성된다. 상기 온풍기부(200)는 상기 연소장치(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하에서 기술할) 고체연 료용 저장통(300) 및 온소가스용 파이프(140)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온풍 가열부(210)는 고온의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배기용 파이프(140)와 열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배기용 파이프(140)들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온풍 가열부(210) 내로는 연소가스가 흐르지 않고, 깨끗한 외부 공기 및 온풍이 흐른다. 이렇게 온풍 가열부(210)를 설치함으로써, 연소가스가 가지는 고온의 열에너지가 폐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warm
상기 송풍기(220)는 상기 온풍 가열부(210)의 상부에 설치되어(도 1 참고), 파이프 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송풍기(220)는 배기용 파이프(140)로부터의 열전달로 온도가 상승되는 외부 공기가 대류 현상으로 상승하지 못하도록 한다. 즉, 상기 송풍기(220)는 온풍이 하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강제 유동시킨다. 이렇게 송풍기(220)를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배기용 파이프(140)와 온풍 가열부(210) 사이의 열교환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어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바람직하게는, 온풍 배출구(230)가 상기 온풍 가열부(210)의 외부 측벽의 하부에 형성되어(도 1 참고), 배기용 파이프(140)와 온풍 가열부(210) 사이의 열교환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어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체연료용 저장통(300)은 상기 연소장치(100)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고체연료용 저장통(300)은 연소 전에는 고체연료(C)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체연료용 저장통(300)은 연소 시에는 아래의 연소장치(100)에서 고체연료(C)가 소진되 면 저장된 고체연료(C)가 중력에 의해 연소장치(100)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연소장치(100)에 고체연료(C)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체연료용 저장통(300)을 사용함으로써, 연료를 빈번히 공급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고체연료용 저장통(300)의 상단부에는, 저장통(300)을 밀폐하도록 덮개(310)를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310)의 상부면에는 손잡이(320)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310)의 측면에는 저장통(300) 상단부가 밀봉되도록 패킹부재(330)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렇게, 상기 덮개(310)의 패킹부재(330)를 사용하여 저장통(300)을 진공 밀봉방식으로 밀폐함으로써, 상기 저장통(300)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연소장치(100) 내의 화염이 저장통(300) 내의 고체연료(C)를 연소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저장통(300)은 연소되지 않은 고체연료(C)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연소장치(100)는 연속적으로 고체연료(C)를 연소할 수 있다. Thus, by sealing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with a variety of modific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용 다목적 난방기구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purpose heating apparatus for solid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다목적 난방기구1: multi-purpose heating appliance
100 : 연소장치100: combustion device
110 : 하우징110: housing
120 : 로스톨120: Rostol
130 : 고체연료 지지용 수관130: solid fuel support water pipe
140 : 배기용 파이프 140: exhaust pipe
200 : 온풍기부200: hot air blower
210 : 온풍 가열부210: warm air heating unit
220 : 송풍기220: blower
230 : 온풍 배출구230: hot air outlet
300 : 고체연료 저장통300: solid fuel reservoir
310 : 덮개 310: cover
320 : 손잡이320: handle
330 : 패킹부재330: packing member
400 : 연통400: communication
500 : 소제구500: sub-section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0337A KR20100131636A (en) | 2009-06-08 | 2009-06-08 | Combustion device for solid fuel and multipurpose he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0337A KR20100131636A (en) | 2009-06-08 | 2009-06-08 | Combustion device for solid fuel and multipurpose he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1636A true KR20100131636A (en) | 2010-12-16 |
Family
ID=4350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0337A Ceased KR20100131636A (en) | 2009-06-08 | 2009-06-08 | Combustion device for solid fuel and multipurpose he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31636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595Y1 (en) | 2017-03-30 | 2018-10-10 | 이한기 | A multipurpose combustion device and a furnace, a table, a humidifier, a boiler, a cooking device and a hot water mat including the same |
-
2009
- 2009-06-08 KR KR1020090050337A patent/KR20100131636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595Y1 (en) | 2017-03-30 | 2018-10-10 | 이한기 | A multipurpose combustion device and a furnace, a table, a humidifier, a boiler, a cooking device and a hot water mat includ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7600B1 (en) | Boiler | |
RU2363888C1 (en) | Water-heating solid-propellant boiler | |
KR20110116931A (en) | Pellet boiler | |
KR101207959B1 (en) | Firewood boiler for perfect combustion | |
KR101148696B1 (en) | Wood-pellet boiler | |
KR101346231B1 (en) | Device for cleaning smoke tube of wood pellet boiler | |
KR20100131636A (en) | Combustion device for solid fuel and multipurpose he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40045649A (en) | Wood pellet boiler | |
KR20090121162A (en) | Solid Fuel Boiler | |
KR101318649B1 (en) | Multipurpose boiler for solid fuel | |
KR20110092428A (en) | Wood pellet boiler | |
KR101323388B1 (en) | Pellet combustion device | |
KR101311464B1 (en) | Burner and boiler including the burner for soild feul | |
KR101369605B1 (en) | Boiler | |
KR101272062B1 (en) | Pellet fan heater | |
KR20090115617A (en) | Wood Chip Fuel Boiler | |
KR100891187B1 (en) | Solid Fuel Combined Boiler | |
KR20120087461A (en) | Boiler | |
KR20120114115A (en) | Solid fuel boiler | |
KR100858042B1 (en) | Firewood Boiler | |
CN104654324A (en) | Dust-removing device of cooker | |
KR101809896B1 (en) | Solidfuel of boiler | |
KR20110092427A (en) | Burner for Wood Pellet Boiler | |
KR200324191Y1 (en) | Boiler for Combustion of Firewood | |
CN201621846U (en) | Smokeless dustless boi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9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5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