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9529B1 -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529B1
KR101359529B1 KR1020120036074A KR20120036074A KR101359529B1 KR 101359529 B1 KR101359529 B1 KR 101359529B1 KR 1020120036074 A KR1020120036074 A KR 1020120036074A KR 20120036074 A KR20120036074 A KR 20120036074A KR 101359529 B1 KR101359529 B1 KR 101359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supply fan
cooling air
engine room
rotation sp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3684A (ko
Inventor
송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6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52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5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6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engine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은 엔진의 출력에 따라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연소공기 공급부 및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과 별도로 구비되며 기관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공급되는 냉각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냉각공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POWER SAVING AIRFLOW SYSTEM FOR EHGINE ROO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관실 내부에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연소공기 및 기관실 내부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항중 속도 변경이 빈번한 선박(주로 여객선)은 운항 속도별 엔진(10)의 출력에 따라 요구되는 연소공기량 및 냉각공기량의 변화가 크다.
도 1은 종래의 기관실용 통풍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관실용 통풍 시스템에 의하면, 기관실 공기 공급팬(5)에서 연소공기와 냉각공기가 분리되지 않고 함께 공급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선박의 추진을 위한 엔진(10)의 구동에 필요한 연소공기와 기관실(1) 내부의 엔진(10) 및 보기류의 구동이 가능한 적정 온도의 유지를 위한 냉각공기의 합을 기준으로 기관실 공기 공급팬(5)의 용량을 결정한다. 따라서, 기관실 공기 공급팬(5)은 정격 회전수로 운전하여 엔진(10)의 출력이 낮을 시에는 불필요한 공기를 기관실(1) 내부에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에너지 절전형 설계가 가능한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 조절을 통해 기관실 내 통풍 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는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은 엔진의 출력에 따라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연소공기 공급부 및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과 별도로 구비되며 기관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공급되는 냉각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냉각공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는 상기 엔진에 상기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연소공기 공급팬, 상기 엔진의 출력에 따라 상기 연소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연소공기 공급팬 제어부 및 상기 연소공기 공급팬으로부터 상기 엔진까지 상기 연소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연소공기 공급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는 상기 기관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냉각공기 공급팬, 상기 기관실 내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냉각공기 공급팬 제어부 및 상기 연소공기 공급배관과는 구획되며,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으로부터 상기 기관실의 내부로 상기 냉각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냉각공기 공급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는 기관실 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기관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공기 공급팬은 엔진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상기 엔진에 최소한의 유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시 제 1 회전수 이상으로 구동되고,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은 기관실 내부의 최소한의 환기를 위하여 제 2 회전수 이상으로 구동되며, 상기 제 1 회전수와 상기 제 2 회전수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엔진의 제어부에서 엔진의 출력에 따라 연소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연소공기 공급팬의 제어단계; 및 기관실 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냉각공기 공급팬의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공기 공급팬의 제어단계는 엔진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엔진에 최소한의 유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최소의 회전수 이상으로 상기 연소공기 공급팬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제어단계는 온도측정센서로부터 기관실 내부의 온도를 입력받는 온도측정단계; 상기 온도측정단계에서 입력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와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는 온도비교단계; 및 상기 온도비교단계에서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회전수조절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조절단계는 상기 온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온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와 같으면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유지하고, 상기 온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조절단계는 상기 회전수조절단계는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최대 회전수 이상이면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유지하고,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최대 회전수 미만이거나, 최소 회전수 이상이면 다시 기관실 내부의 온도와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는 상기 온도비교단계로 되돌아가고,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 미만이면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연소공기 공급팬과 냉각공기 공급팬을 별도로 구비하고, 별도로 구동함으로써 공급팬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여 전력 발전 용량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절전형 설계가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PID제어를 이용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 기관실 내 통풍 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관실용 통풍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PID 컨트롤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의 냉각공기 공급팬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풀 시스템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은 연소공기 공급부(100) 및 냉각공기 공급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소공기 공급부(100)는 다시 연소공기 공급팬(110), 연소공기 공급팬의 제어부(120) 및 연소공기 공급배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소공기 공급팬(110)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기하여 엔진(10)에 연소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소공기 공급팬(110)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연소공기 공급팬의 제어부(120)는 기관실(1) 내에 설치되는 엔진(10)의 출력에 따라 연소공기 공급팬(110)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소공기 공급팬(110)은 엔진(10) 구동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상시 제 1 회전수 이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회전수는 엔진(10)이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회전수일 수 있다.
이 때, 연소공기 공급팬의 제어부(120)는 엔진 제어부(12)에서 제공되는 엔진(10)의 출력 정보와 연계하여 연소공기 공급팬(110)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면, 엔진 제어부(12)에서는 엔진(10)의 출력(0% ~ 100%)에 따라 4mA ~ 20mA의 아날로그 시그널이 제공되며, 연소공기 공급팬의 제어부(120)는 상기의 아날로그 시그널에 따라 연소공기 공급팬(110)의 회전수를 20Hz ~ 60Hz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연소공기 공급팬(110)의 회전수를 20Hz부터 적용하는 것은 엔진(10) 구동의 안정성을 위하여 엔진(10)에 최소한의 유량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조건에 따르면, 아날로그 시그널의 최대값을 IH, 아날로그 시그널의 최소값을 IL, 연소공기 공급팬의 최대 주파수를 HH, 연소공기 공급팬의 최소 주파수를 HL이라 할때, 연소공기 공급팬(110)에 적용되는 회전수(Hz)는 엔잔 제어부(12)에서 제공되는 아날로그 시그널 I에 의해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2027726124-pat00001
<식 1>
그리고, 연소공기 공급배관(130)은 연소공기 공급팬(110)으로부터 엔진(10)까지 연소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이 때, 연소공기 공급배관(130)은 엔진(10)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냉각공기 공급부(200)는 냉각공기 공급팬(210), 냉각공기 공급팬의 제어부(220) 및 냉각공기 공급배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공기 공급팬(210)은 연소공기 공급팬(110)과 별도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공기 공급팬(210)은 흡입구(2)로부터 외기를 흡기하여 기관실(1) 내부에 냉각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기관실 내부의 온도(T1)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소공기 공급팬(110)과 냉각공기 공급팬(210)이 각각 두 개씩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때, 연소공기 공급팬(110)과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배치 순서는 어떤 식으로든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냉각공기 공급팬(210)은 연소공기 공급팬(11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관실용 통풍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운항중 속도 변경이 빈번한 여객선 등의 선박은 운항 속도별 엔진(10)의 출력에 따라 요구되는 연소공기량 및 냉각공기량의 변화가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에 의하면 연소공기 공급팬(110)과 냉각공기 공급팬(210)이 별도로 구비되므로 에너지 절전형 설계가 가능하다. 엔진(10)의 출력에 따라 연소공기 및 냉각공기를 각각 조절하여 공급함으로써 공기 공급팬(110, 210)의 전력 소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냉각공기 공급팬의 제어부(220)는 기관실 내부의 온도(T1)에 따라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냉각공기 공급배관(230)은 냉각공기 공급팬(210)으로부터 기관실(1) 내부로 냉각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공기 공급배관(230)은 연소공기 공급배관(130)과 별도로 구비되어 기관실(1)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냉각공기 공급부(200)는 기관실(1) 내부의 일측에 구비돠는 온도측정센서(240)를 더 포함하여 기관실 내부의 온도(T1)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공기 공급팬의 제어부(220)는 온도측정센서(240)에서 측정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T1)가 기 설정된 온도(T0)를 유지하도록 PID컨트롤을 이용하여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냉각공기 공급팬(210)은 상시 제 2 회전수 이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회전수는 기관실(1) 내부의 최소한의 환기를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일 수 있다.
도 3은 PID 컨트롤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PID 컨트롤은 제어 변수와 기준 입력 사이의 오차에 근거하여 계통의 출력이 기준 전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피드백 제어의 일종으로, 비례(Proportional) 제어와 비례 적분(Proportional-Integral) 제어, 비례 미분(Proportional-Derivative) 제어를 조합한 것이다. PID 컨트롤을 통해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며, 설정 값의 미스가 ON, OFF제어에 비해 극히 작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값에 도달하는 속도가 빠르다. 따라서, 자동화 시스템의 반응을 측정할 뿐 아니라 반응을 제어할 때도 사용되는 제어 방법이며, 온도, 압력, 유량,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냉각공기 공급팬의 제어부(220)는 온도측정센서(240)로부터 입력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T1)와 기 설정된 온도(T0)를 비교하여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측정센서(240)로부터 입력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T1)가 기 설정된 온도(T0)보다 높으면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 이상이면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유지하고,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 미만이면 다시 기관실 내부의 온도(T1)와 설정된 온도(T0)를 비교할 수 있다.
기관실 내부의 온도(T1)가 설정된 온도(T0)와 같으면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관실 내부의 온도(T1)가 설정된 온도(T0)보다 낮으면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가 기관실(1) 내부의 최소한의 환기를 위한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최소 회전수 이상이면 다시 기관실 내부의 온도(T1)와 설정된 온도(T0)를 비교하고,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 미만이면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온도측정센서(240)로부터 기관실 내부의 온도(T1)를 입력받아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은 에너지 절전형 설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 조절을 통해 기관실용 공기 공급팬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연소공기 공급팬(110)의 제어단계 및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제어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소공기 공급팬(110)의 제어단계는 엔진 제어부(12)에서 엔진(10)의 출력에 따라 연소공기 공급팬(110)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연소공기 공급팬(110)의 제어단계는 엔진(10)의 출력이 크면 연소공기 공급팬(110)의 회전수가 높아지고, 엔진(10)의 출력이 작으면 연소공기 공급팬(110)의 회전수도 낮아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소공기 공급팬(110) 제어단계에서는 엔진(10) 구동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엔진(10)에 최소한의 유량을 공급하기 위한 최소의 회전수 이상으로 연소공기 공급팬(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의 냉각공기 공급팬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의 냉각공기 공급팬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제어단계는 기관실(1) 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T0)를 유지하도록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이 때,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제어단계는 상술한 PID 컨트롤을 이용하여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제어단계는 다시 온도측정단계, 온도비교단계 및 회전수조절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측정단계에서는 온도측정센서(240)로부터 기관실 내부의 온도(T1)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온도비교단계에서는 온도측정센서(240)에서 측정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T1)가 설정된 온도(T0)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수조절단계에서는 온도비교단계에서 비교된 결과에 따라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수조절단계에서는 온도측정센서(240)에서 측정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T1)가 설정된 온도(T0)보다 높으면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온도측정센서(240)에서 측정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T1)가 설정된 온도(T0)와 같으면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온도측정센서(240)에서 측정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T1)가 설정된 온도(T0)보다 낮으면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회전수조절단계는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최대 회전수 이상이면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최대 회전수 미만이면 온도비교단계로 되돌아가 기관실 내부의 온도(T1)와 설정된 온도(T0)를 비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수조절단계는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가 기관실(1) 내부의 최소한의 환기를 위한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최소 회전수 이상이면 다시 기관실 내부의 온도(T1)와 설정된 온도(T0)를 비교하는 온도비교단계로 되돌아갈 수 있다. 그리고,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 미만이면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공기 공급팬(210)의 회전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온도측정단계로 되돌아가 온도측정센서(240)로부터 기관실 내부의 온도(T1)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기관실 내부의 온도(T1)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기관실 2: 흡기구
3: 배기구 10: 엔진
12: 엔진 제어부 100: 연소공기 공급부
110: 연소공기 공급팬 120: 연소공기 공급팬의 제어부
130: 연소공기 공급배관 200: 냉각공기 공급부
210: 냉각공기 공급팬 220: 냉각공기 공급팬의 제어부
230: 냉각공기 공급배관 240: 온도측정센서
T0: 설정된 온도 T1: 기관실 내부 온도

Claims (7)

  1. 엔진의 출력에 따라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연소공기 공급부; 및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과 별도로 구비되며 기관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공급되는 냉각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냉각공기 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는
    상기 엔진에 상기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연소공기 공급팬; 및
    상기 엔진의 출력에 따라 상기 연소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연소공기 공급팬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는
    상기 기관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냉각공기 공급팬; 및
    기관실 내부의 온도와 기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기관실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기관실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와 같으면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유지하고, 기관실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냉각공기 공급팬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는
    상기 연소공기 공급팬으로부터 상기 엔진까지 상기 연소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연소공기 공급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는
    상기 연소공기 공급배관과는 구획되며,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으로부터 상기 기관실의 내부로 상기 냉각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냉각공기 공급배관;
    을 포함하는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는,
    기관실 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기관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공기 공급팬은 상기 엔진이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최소한의 유량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수인 제 1 회전수 이상으로 구동되고,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은 기관실 내부의 환기를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회전수인 제 2 회전수 이상으로 구동되며,
    상기 제 1 회전수와 상기 제 2 회전수는 서로 다른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5. 엔진의 제어부에서 엔진의 출력에 따라 연소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연소공기 공급팬의 제어단계;
    기관실 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냉각공기 공급팬의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공기 공급팬의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엔진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상기 엔진에 최소한의 유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최소의 회전수 이상으로 상기 연소공기 공급팬을 회전시키고,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제어단계는,
    온도측정센서로부터 기관실 내부의 온도를 입력받는 온도측정단계;
    상기 온도측정단계에서 입력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와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는 온도비교단계;
    상기 온도비교단계에서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회전수조절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조절단계는,
    상기 온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온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와 같으면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유지하고,
    상기 온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기관실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조절단계는,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최대 회전수 이상이면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유지하고,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최대 회전수 미만이거나, 최소 회전수 이상이면 다시 기관실 내부의 온도와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는 상기 온도비교단계로 되돌아가고,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가 최소 회전수 미만이면 상기 냉각공기 공급팬의 회전수를 유지하는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20036074A 2012-04-06 2012-04-06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ctive KR101359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074A KR101359529B1 (ko) 2012-04-06 2012-04-06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074A KR101359529B1 (ko) 2012-04-06 2012-04-06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684A KR20130113684A (ko) 2013-10-16
KR101359529B1 true KR101359529B1 (ko) 2014-02-12

Family

ID=4963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074A Active KR101359529B1 (ko) 2012-04-06 2012-04-06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5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4690A (zh) * 2016-06-30 2016-12-07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机舱通风系统
WO2020091300A1 (ko) * 2018-10-31 2020-05-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극지용 선박의 공조 시스템
RU2790282C1 (ru) * 2018-10-31 2023-02-17 Дэу Шипбилдинг Энд Марин Инжиниринг Ко., Лтд. Система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для полярного судн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837A (ko) * 2013-12-04 2015-06-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엔진
KR102376896B1 (ko) * 2015-11-12 2022-03-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카고홀드의 팬구동 에너지 절감장치
KR102601306B1 (ko) * 2018-10-31 2023-11-13 한화오션 주식회사 극지용 선박의 공기 공급 시스템
CN110926820B (zh) * 2019-12-07 2021-10-08 武汉安立杰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测试用高低温环境模拟设备
CN114858465B (zh) * 2022-04-11 2024-11-19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起动机考核设备及方法
CN116176824A (zh) * 2022-09-29 2023-05-30 中船邮轮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应用于大型客船机舱通风系统布置结构及客船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398U (ja) * 1992-12-29 1994-07-1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船舶通風区画の換気装置
JP2002274492A (ja) * 2001-03-22 2002-09-25 Sumitomo Heavy Ind Ltd 船舶の機関室への通風装置
KR20100136151A (ko) * 2009-06-18 2010-1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냉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398U (ja) * 1992-12-29 1994-07-1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船舶通風区画の換気装置
JP2002274492A (ja) * 2001-03-22 2002-09-25 Sumitomo Heavy Ind Ltd 船舶の機関室への通風装置
KR20100136151A (ko) * 2009-06-18 2010-1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냉각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4690A (zh) * 2016-06-30 2016-12-07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机舱通风系统
WO2020091300A1 (ko) * 2018-10-31 2020-05-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극지용 선박의 공조 시스템
RU2790282C1 (ru) * 2018-10-31 2023-02-17 Дэу Шипбилдинг Энд Марин Инжиниринг Ко., Лтд. Система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для полярного судн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684A (ko)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529B1 (ko) 기관실용 절전형 통풍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02654130B (zh) 一种对计算机进行温度控制的方法和计算机
US8767399B2 (en) Cool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US10775069B2 (en) HVAC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s of controlling HVAC fan and coil capacity
CN103809437B (zh) 一种电机的恒风量控制方法
JP5938901B2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電動ポンプユニット
BRPI0712877B1 (pt) Dispositivo para ajuste da pressão de operação de uma instalação de compressor de óleo injetado
US95682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flow of parallel connected blowers
JP2007315695A (ja) 冷温熱源機の冷温水制御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空調システム
MX2013004768A (es) Metodo para controlar el caudal volumetrico de aire provisto por un sistema de motor y ventilador de acondicionador de aire.
JP2017036875A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2013137057A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電動ポンプユニット
JP2014034932A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電動ポンプユニット
CN102052734A (zh) 一种空调机组能量控制装置及方法
CN111885894B (zh) 用于直流充电机的变风量散热方法
KR101963411B1 (ko) 정풍량 제어 방법
US8175836B2 (en) Flow estimation for fluid handling system
US202300853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vironmental control of an enclosure
US2013003675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 motor
CN116447031A (zh) 一种进气压力调节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发动机系统
JP5424970B2 (ja) 圧縮装置および圧縮装置の運転方法
JP2020067028A (ja) 圧縮機
EP3435537B1 (en) Fan and rotational speed control method thereof
JP5817520B2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電動ポンプユニット
CN117628683A (zh) 自适应控制的风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