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8763B1 -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연결을 위한 전압 평준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연결을 위한 전압 평준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763B1
KR101358763B1 KR1020120058890A KR20120058890A KR101358763B1 KR 101358763 B1 KR101358763 B1 KR 101358763B1 KR 1020120058890 A KR1020120058890 A KR 1020120058890A KR 20120058890 A KR20120058890 A KR 20120058890A KR 101358763 B1 KR101358763 B1 KR 10135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orage
voltage
circuit breaker
unit rack
voltage leve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090A (ko
Inventor
조영보
박찬민
강정수
하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351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JP5621044B2/ja
Priority to PCT/KR2012/004329 priority patent/WO2012165890A2/ko
Priority to EP12793310.9A priority patent/EP2717424B1/en
Publication of KR2012013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090A/ko
Priority to US14/092,392 priority patent/US935016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763B1/ko
Priority to JP2014149236A priority patent/JP6080812B2/ja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저장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을 평준화시키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 평준화 장치는,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사이의 전력 라인에 병렬 연결되며 고전압 단위 랙으로부터 저전압 단위 랙으로 흐르는 전류가 인가되는 저항 소자와 상기 전류가 흐르는 선로에 설치된 차단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연결을 위한 전압 평준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저장 시스템{Apparatus for implementing of voltage equalization of unit rack used for power storage during connection therebetween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압 평준화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전력저장용 단위 랙을 연결하여 대용량의 전력저장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전력저장용 단위 랙 사이의 전압을 평준화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저장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는 필요 용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소용량의 단위 랙을 병렬 연결하는 경우가 많다. 병렬 연결하고자 하는 단위 랙 사이의 전압이 편차를 보일 경우 외부 충방전기를 이용하여 전압의 평준화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외부 충방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설치 현장에서는 전압이 서로 다른 단위 랙을 서로 병렬 연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외부의 충방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병렬 연결 시 단위 랙 사이의 전압 평준화를 구현할 수 있는 전압 평준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전력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압 평준화 장치는,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사이의 전력 라인에 병렬 연결되며 고전압 단위 랙으로부터 저전압 단위 랙으로 흐르는 전류가 인가되는 저항 소자와 상기 전류가 흐르는 선로에 설치된 차단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항 소자는 고출력 권선 저항(wire wounded resistor)이다.
상기 전압 평준화 장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자체에 영구 결합되거나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통한 대용량 전력저장 시스템의 구성 시 또는 전력저장 시스템의 유지 보수 시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상기 전력저장용 단위 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납되며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셀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저장 시스템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전력저장용 단위 랙과,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을 연결하는 전력 라인과 병렬 연결되며 고전압 단위 랙으로부터 저전압 단위 랙으로 흐르는 전류가 인가되는 저항소자와 상기 전류가 흐르는 선로에 설치된 차단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력저장 시스템은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랙을 연결하는 전력 라인에 설치된 차단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단기는 퓨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차단기는 퓨즈를 통해 과전류가 흘렀을 때 차단기가 설치된 전력 라인을 비가역적으로 단선시키는 동작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단기는 과전류의 인가 시 자기력에 의해 접점이 해리되는 기계적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차단기는 과전류가 흘렀을 때 내부에 포함된 기계적 릴레이의 접점이 순간적으로 해리됨으로써 차단기가 설치된 전력 라인이 단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전압 평준화 장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평준화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각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편차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 이상일 경우,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평준화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수단은 각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편차가 미리 설정한 목표치 이하일 경우,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평준화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단기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접점이 해리되는 전자적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차단기는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적 릴레이가 오프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기는 제어 수단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수단은 상기 차단기가 설치된 전력 라인에 설치된 전류 센서 수단을 통해 전류 값을 센싱하고 센싱된 전류값이 임계치 이상일 경우 상기 차단기로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차단기 내에 포함된 전자적 릴레이를 오프시킴으로써 차단기가 설치된 전력 라인을 단선시킬 수 있다.
대용량 전력저장 시스템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저장용 단위 랙을 일정한 숫자로 배열한 후 단위 랙 상호 간을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연결에 앞서서 단위 랙 간 전압을 평준화하기 위하여 외부 충방전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부 충방전기가 없는 현장에서도 단위 랙의 상호 연결을 통해 대용량의 전력저장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출력 권선 저항을 통해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사이의 전압 평준화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명세서 내에 통합되어 있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며,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평준화 장치가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사이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전력저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평준화 장치가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사이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전력저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평준화 장치가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사이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전력저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수의 전력저장용 랙이 병렬로 연결되어 대용량의 전력저장용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도면에서, (+) 단자에 연결된 선은 고전위 전력 라인을, (-) 단자에 연결된 선은 저전위 전력 라인을 의미한다.
상기 전력저장용 단위 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납되며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셀 모듈을 포함한다.
각각의 전력저장용 단위 랙은 고전위 단자(+)와 저전위 단자(-)를 포함한다.
단위 랙 내에 포함된 복수의 셀 모듈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단위 랙의 고전위 단자(+)는 단위 랙 내에 포함된 셀 모듈의 단자 중 최고전위 단자와 접속되고 단위 랙의 저전위 단자(-)는 단위 랙 내에 포함된 셀 모듈의 단자 중 최저전위 단자와 접속된다.
반대로, 단위 랙 내에 포함된 복수의 셀 모듈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단위 랙의 고전위 단자(+)는 단위 랙 내에 포함된 셀 모듈 중 최외측에 배치된 셀 모듈의 고전위 단자와 접속되고 단위 랙의 저전위 단자(-)는 단위 랙 내에 포함된 셀 모듈 중 최외측에 배치된 셀 모듈의 저전위 단자와 접속된다.
도면에서는, 동일한 극성을 가진 단자끼리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전력저장용 단위 랙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각각의 전력저장용 단위 랙이 직렬로 연결된 경우도 특별히 제한하지 않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 평준화 장치(10)는,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사이의 동일한 극성을 가진 전극 단자에 연결된다. 즉,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을 병렬로 연결한다. 도 1에는 고전위 단자에 전압 평준화 장치(10)를 연결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저전위 단자에 전압 평준화 장치(10)를 연결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한 각 전압 평준화 장치(10)는 고전압 단위 랙으로부터 저전압 단위 랙으로 흐르는 전류가 인가되는 저항 소자(11)와 상기 전류가 흐르는 선로에 설치된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항 소자(11)는 고출력 권선 저항(wire wounded resistor)이다. 상기 저항 소자(11)로서 고출력 권선 저항을 사용할 경우 저항값이 작고 최대 전류가 크기 때문에 신속하게 단위 랙 간의 전압 평준화가 가능하다.
상기 전압 평준화 장치(10)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자체에 영구 결합되거나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통한 대용량 전력저장 시스템의 구성 시 또는 전력저장 시스템의 유지 보수 시 선택적으로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사이에 연결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는 퓨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는 퓨즈를 통해 과전류가 흘렀을 때 차단기가 설치된 전력 라인을 비가역적으로 단선시키는 동작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는 과전류의 인가 시 자기력에 의해 접점이 해리되는 기계적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는 과전류가 흘렀을 때 내부에 포함된 기계적 릴레이의 접점이 순간적으로 해리됨으로써 차단기가 설치된 전력 라인이 단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 평준화 장치(10)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평준화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각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편차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 이상일 경우,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평준화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각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압 측정부가 측정한 각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값을 모니터링한다. 이때, 측정된 전력저장용 단위 랙들의 전압값의 편차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와 병렬 연결용 차단기(13)를 제어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각 단위 랙의 전압 편차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임계치는 미리 설정되어 상기 제어 수단과 연결된 메모리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임계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충방전 용량, 출력전력, 상기 전력저장용 단위 랙이 사용되는 환경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각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으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또는 충방전 간격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수단은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평준화 작업을 시작한 이후 각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편차가 미리 설정한 목표치 이하일 경우,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평준화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평준화 작업을 시작한 이후, 전압 평준화 장치(10)가 연결된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을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상기 전압 평준화 장치(10)가 연결된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편차가 미리 설정한 목표치 이하가 될 때,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와 병렬 연결용 차단기(13)를 제어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전압 평준화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목표치는 미리 설정되어 상기 제어 수단과 연결된 메모리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목표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충방전 용량, 출력전력, 상기 전력저장용 단위 랙이 사용되는 환경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표치는 상기 임계치와 동일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전압 평준화 작업을 시작한 이후 각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으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따라서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접점이 해리되는 전자적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는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적 릴레이가 오프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는 제어 수단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수단은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가 설치된 전력 라인에 설치된 전류 센서 수단을 통해 전류 값을 센싱하고 센싱된 전류값이 임계치 이상일 경우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로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차단기 내에 포함된 전자적 릴레이를 오프시킴으로써 차단기가 설치된 전력 라인을 단선시킬 수 있다.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는 단위 랙 간의 전압 평준화 작업을 수행할 때 턴온시킨다.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의 턴온은 작업자의 수동 조작 또는 제어 수단을 통한 턴온 신호의 인가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가 턴온되면 전압이 높은 단위 랙으로부터 전압이 낮은 단위 랙으로 저항 소자(11)를 통해 전류가 자동으로 흐르게 되며, 이 과정에서 신속하게 전압의 평준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인접하는 전략저장용 단위 랙을 연결하는 전력 라인 상에는 병렬 연결용 차단기(1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압 평준화 장치(10)가 동작할 때에는, 병렬 연결용 차단기(13)는 턴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고,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는 턴온된다. 이러한 차단기(12, 13)의 조작은 작업자의 수동 조작 또는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신호의 인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인접하는 단위 랙 사이의 전압 평준화가 완료되면, 병렬 연결용 차단기(13)가 턴온된다. 병렬 연결용 차단기(13)의 턴온은 작업자의 수동 조작이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신호의 인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때,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는 턴오프되어도 좋고 턴온되어도 특별히 상관이 없다. 다만,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는 턴오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병렬 연결용 차단기(13)는 인접하는 단위 랙 사이의 병렬 연결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단위 랙 사이의 병렬 연결 선로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병렬 연결 선로를 단선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면에서는, 병렬 연결용 차단기(13)가 고전위 선로 라인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저전위 선로 라인에 설치하는 것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병렬 연결용 차단기(13)의 턴온 또는 턴오프는 작업자의 수동 조작 또는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 인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병렬 연결용 차단기(13)는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와 동일한 종류의 차단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전력 라인에 과전류가 인가될 때의 작동 메카니즘은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병렬 연결을 통해 구성된 대용량의 전력저장 시스템은 충방전기(14)에 접속될 수 있다. 전력저장 시스템이 충전 모드에 있을 경우, 충방전기(14)는 상용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여 전력저장 시스템으로 인가한다. 반대로, 전력저장 시스템이 방전 모드에 있을 경우 전력저장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를 전력망 계통에서 필요로 하는 교류 전류로 변환하여 전력망 계통에 인가한다. 상기 충방전기(14)는 전력 인버터로 대체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전력저장 시스템을 전력망 계통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의 종류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평준화 장치가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사이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전력저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압 평준화 차단기(12) 및 병렬 연결용 차단기(13)에 인접하는 단위 랙 사이의 고전위 전력 라인과 저전위 전력 라인이 동시에 연결된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면에서 적색 실선은 고전위 전력 라인을, 검은색 실선은 저전위 전력 라인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압 평준화 장치(10)가 동작할 때에는, 병렬 연결용 차단기(13)는 턴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고,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는 턴온된다. 이러한 차단기(12, 13)의 조작은 작업자의 수동 조작 또는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신호의 인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단기(12, 13)가 조작되면, ?번 및 ?번 전력 라인을 통해 인접하는 단위 랙이 병렬 연결된다. 그 결과 전압이 높은 단위 랙으로부터 전압이 낮은 단위 랙으로 전류가 흐리게 되어 신속하게 전압 평준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인접하는 단위 랙 사이의 전압 평준화가 완료되면, 병렬 연결용 차단기(13)가 턴온된다. 병렬 연결용 차단기(13)의 턴온은 작업자의 수동 조작이나 제어 수단을 통한 제어 신호의 인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때,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는 턴오프되어도 좋고 턴온되어도 특별히 상관이 없다. 다만,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는 턴오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차단기(12, 13)가 조작되면 ?번 전력 라인 및 ?번 전력 라인을 통해 전압 평준화가 이루어진 인접하는 단위 랙이 서로 병렬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단기(12, 13)의 동작에 의해 ① 내지 ④번 전력 라인이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상기 차단기(12, 13)는 2개의 서로 다른 전력 라인의 연결을 개폐할 수 있는 접점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차단기(12, 13)는 어느 하나의 전력 라인 계통(예: ① 및 ②번 전력 라인)을 연결하는 동안 다른 전력 라인 계통의 연결(예: ③ 및 ④번 전력 라인)은 해제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상기 전압 평준화 장치(10)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자체에 영구 결합되거나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통한 대용량 전력저장 시스템의 구성 시 또는 전력저장 시스템의 유지 보수 시 선택적으로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사이에 연결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전압 평준화 장치(10)의 동작 메커니즘에 해당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다만, 앞서 설명된 전압 평준화 장치(10)의 구성 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어 수단은 각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값을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상기 각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편차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 이상일 경우,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와 병렬 연결용 차단기(13)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전압 평준화 장치(10)가 전압 평준화가 요구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동일한 극성을 가진 전극 사이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압 평준화 장치(10)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고전위 단자 또는 저전위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병렬 연결용 차단기(13)가 턴오프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가 턴온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 평준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병렬 연결용 차단기(13)의 턴오프와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의 턴온은 이시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를 먼저 턴온한 후, 상기 병렬 연결용 차단기(13)를 턴오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압 평준화 장치(10)가 연결된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 편차가 미리 설정한 목표치 이하인지 모니터링한다. 이때, 전압 편차가 미리 설정한 목표치 이하이면, 상기 전압 평준화 장치(10)가 연결된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이 평준화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가 턴오프되도록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병렬 연결용 차단기(13)가 턴온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단계 역시, 상기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12)의 턴 오프와 상기 병렬 연결용 차단기(13)의 턴온은 이시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순서가 바뀌어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연결에 앞서서 단위 랙 간 전압을 평준화하기 위하여 외부 충방전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부 충방전기가 없는 현장에서도 단위 랙의 상호 연결을 통해 대용량의 전력저장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출력 권선 저항을 통해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사이의 전압 평준화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설명 생략함)

Claims (15)

  1.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사이의 전력 라인에 병렬 연결되며 고전압 단위 랙으로부터 저전압 단위 랙으로 흐르는 전류가 인가되는 고출력 권선 저항(wire wounded resistor)과 상기 전류가 흐르는 선로에 설치된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평준화 장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자체에 영구 결합되거나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통한 대용량 전력저장 시스템의 구성 시 또는 전력저장 시스템의 유지 보수 시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는, 과전류가 흘렀을 때 차단기가 설치된 전력 라인을 비가역적으로 단선시키는 퓨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는, 과전류가 흘렀을 때 자기력에 의해 접점이 해리되는 기계적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각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을 측정하여 측정된 전력저장용 단위 랙들의 전압값의 편차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각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전압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라인에 설치된 전류 센서 수단을 통해 전류 값을 센싱하고, 센싱된 전류값이 임계치 이상일 경우 상기 차단기로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 수단;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는,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차단기가 설치된 전력 라인을 단선시킬 수 있다 전자적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저장용 단위 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납되며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
  10.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전력저장용 단위 랙과,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을 연결하는 전력 라인과 병렬 연결되며 고전압 단위 랙으로부터 저전압 단위 랙으로 흐르는 전류가 인가되는 고출력 권선 저항(wire wounded resistor)과 상기 전류가 흐르는 선로에 설치된 차단기를 포함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저장시스템은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랙을 연결하는 전력 라인에 설치된 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 시스템.
  12.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사이의 전력 라인에 병렬 연결되며 고전압 단위 랙으로부터 저전압 단위 랙으로 흐르는 전류가 인가되는 저항 소자와 상기 전류가 흐르는 선로에 설치된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를 포함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로서,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는, 과전류가 흘렀을 때 차단기가 설치된 전력 라인을 비가역적으로 단선시키는 퓨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평준화 장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 자체에 영구 결합되거나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통한 대용량 전력저장 시스템의 구성 시 또는 전력저장 시스템의 유지 보수 시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저장용 단위 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납되며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
  15.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전력저장용 단위 랙과, 인접하는 전력저장용 단위 랙을 연결하는 전력 라인과 병렬 연결되며 고전압 단위 랙으로부터 저전압 단위 랙으로 흐르는 전류가 인가되는 저항소자와 상기 전류가 흐르는 선로에 설치된 차단기를 포함하는 전압 평준화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저장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압 평준화용 차단기는, 과전류가 흘렀을 때 차단기가 설치된 전력 라인을 비가역적으로 단선시키는 퓨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 시스템.
KR1020120058890A 2011-05-31 2012-05-31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연결을 위한 전압 평준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저장 시스템 Active KR10135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518290A JP5621044B2 (ja) 2011-05-31 2012-05-31 電力貯蔵用単位ラックを連結するための電圧平準化装置及びこれを含む電力貯蔵システム
PCT/KR2012/004329 WO2012165890A2 (ko) 2011-05-31 2012-05-31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연결을 위한 전압 평준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저장 시스템
EP12793310.9A EP2717424B1 (en) 2011-05-31 2012-05-31 Apparatus for leveling voltage for connecting unit racks for storing power, and system for storing power comprising same
US14/092,392 US9350168B2 (en) 2011-05-31 2013-11-27 Voltage equaliza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power storage unit racks and power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14149236A JP6080812B2 (ja) 2011-05-31 2014-07-22 電力貯蔵用単位ラックを連結するための電圧平準化装置及びこれを含む電力貯蔵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805 2011-05-31
KR20110051805 2011-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090A KR20120135090A (ko) 2012-12-12
KR101358763B1 true KR101358763B1 (ko) 2014-02-07

Family

ID=4790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890A Active KR101358763B1 (ko) 2011-05-31 2012-05-31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연결을 위한 전압 평준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50168B2 (ko)
EP (1) EP2717424B1 (ko)
JP (2) JP5621044B2 (ko)
KR (1) KR101358763B1 (ko)
WO (1) WO201216589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468A (ko) 2013-04-18 2014-11-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밸런싱 장치 및 방법
TWI502340B (zh) * 2014-01-08 2015-10-01 Wistron Corp 存放空間管理系統及其存放空間管理之方法
EP3312966B1 (en) * 2015-06-22 2019-11-06 Kabushiki Kaisha Toshiba Storage cell system, storage cell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storage cell system
KR102443667B1 (ko) * 2018-10-26 2022-09-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밸런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배터리팩
CN111890987A (zh) * 2020-06-28 2020-11-06 易事特集团(河南)有限公司 有源阻尼装置、电池并联管理系统及电池并联管理方法
KR102509066B1 (ko) * 2020-11-24 2023-03-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DE102022123384A1 (de) * 2022-02-18 2023-08-24 M & P Motion Control and Power Electronics GmbH Energiespeich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461A (ja) * 2003-12-09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直流無停電電源装置
JP2010141970A (ja) * 2008-12-09 2010-06-24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圧均等化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力貯蔵システム
KR20110028343A (ko) * 2008-08-13 2011-03-1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축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0033A (en) * 1988-12-09 1992-09-22 Norand Corporation Flat plate sealed lead-acid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5432455A (en) * 1992-07-30 1995-07-11 Blades; Frederick K.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rcing in alternating current power systems by monitoring high-frequency noise
JPH11164482A (ja) 1997-11-25 1999-06-18 Nissin Electric Co Ltd インバータ電源装置
JP2000116014A (ja) * 1998-10-06 2000-04-21 Hitachi Ltd 電力貯蔵装置
JP3846767B2 (ja) 1998-10-30 2006-11-15 日本電気株式会社 船舶用電源装置
JP2002010501A (ja) * 2000-06-23 2002-01-11 Honda Motor Co Ltd 蓄電装置の容量均等化装置
US6642692B2 (en) 2000-06-23 2003-11-0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harge equalizing device for power storage unit
JP2002142383A (ja) 2000-10-31 2002-05-17 Canon Inc 直流連系装置
US6719150B2 (en) 2001-05-30 2004-04-13 Kim Manufacturing Company Battery rack and system
US20040079714A1 (en) * 2001-11-20 2004-04-29 Marraffa Andrew Battery rack
FR2862558B1 (fr) 2003-11-20 2006-04-28 Pellenc Sa Outil portatif electrique autonome de puissance
JP2006067683A (ja) * 2004-08-26 2006-03-09 Railway Technical Res Inst 蓄電装置
JP5007493B2 (ja) * 2005-06-09 2012-08-22 ソニー株式会社 電源装置
JP2007318950A (ja) * 2006-05-27 2007-12-06 Gs Yuasa Corporation:Kk 二次電池のセル電圧バランス装置
JP4352183B2 (ja) * 2007-02-28 2009-10-28 独立行政法人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蓄電モジュール
US7782013B2 (en) 2007-04-17 2010-08-24 Chun-Chieh Chang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and method for recharging same
US8159191B2 (en) 2007-04-17 2012-04-17 Tsun-Yu Chang Advanced rechargeable battery system
JP5033562B2 (ja) * 2007-09-27 2012-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池保管装置および蓄電池保管方法
US7915859B2 (en) * 2008-05-07 2011-03-2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FR2938234B1 (fr) 2008-11-13 2010-11-26 Stx France Cruise Sa Navire automoteur affecte a la navigation sur une distance de consigne entre un point de depart et un point d'arrivee
US9005788B2 (en) * 2009-07-06 2015-04-14 Amperex Technology Limited Management scheme for multiple battery cells
JP2011072153A (ja) * 2009-09-28 2011-04-07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車両用電源装置の容量均等化方法
WO2011094648A2 (en) * 2010-01-28 2011-08-04 Amirkhanian Varouj D Bio-analysis using ball-ended incident and output optical fiber
US8593015B2 (en) * 2010-10-28 2013-11-26 A123 Systems Llc Battery balanc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461A (ja) * 2003-12-09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直流無停電電源装置
KR20110028343A (ko) * 2008-08-13 2011-03-1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축전 시스템
JP2010141970A (ja) * 2008-12-09 2010-06-24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圧均等化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力貯蔵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39649A (ja) 2013-10-24
WO2012165890A9 (ko) 2013-05-16
US9350168B2 (en) 2016-05-24
EP2717424B1 (en) 2018-02-21
US20140084690A1 (en) 2014-03-27
JP5621044B2 (ja) 2014-11-05
KR20120135090A (ko) 2012-12-12
JP6080812B2 (ja) 2017-02-15
JP2014241716A (ja) 2014-12-25
EP2717424A2 (en) 2014-04-09
WO2012165890A2 (ko) 2012-12-06
EP2717424A4 (en) 2015-11-11
WO2012165890A3 (ko)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763B1 (ko) 전력저장용 단위 랙의 연결을 위한 전압 평준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저장 시스템
US111776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module equalization
US11025073B2 (en) Module maintenance system
KR100993080B1 (ko) 절연 캐패시터를 이용한 배터리 셀 전압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170288417A1 (en) Fast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456552B1 (ko) 셀 밸런싱을 이용하는 배터리
WO2014027512A1 (ja) 電源装置
JP2013031237A (ja) 電池装置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3078242A (ja) 電源装置
JP6314748B2 (ja) 蓄電システムおよび蓄電制御方法
JP2008079364A (ja) 充放電装置
JPWO2014192134A1 (ja) 蓄電池監視装置
KR20140060870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2017209003A (ja) 車両バッテリを充電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6100008A (zh) 电池装置
JP2014176152A (ja) 蓄電システム
WO2024092495A1 (zh) 开关模块的状态检测方法、电路、设备及存储介质
KR20180106939A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을 외부 배터리 시스템들에 병렬로 연결하는 방법
CN101189526B (zh) 过放电情况下的电池电源管理
KR20210057725A (ko) 충전 디바이스 및 충전 시스템
KR101795075B1 (ko) 고전압 배터리용 셀 밸런싱 제어 방법
KR101640887B1 (ko) 병렬 연결된 배터리 유닛의 개수를 산출하는 장치 및 방법
JP5781456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5143221A (ja) 充電器
KR20210053104A (ko)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