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7748B1 -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해충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 - Google Patents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해충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748B1
KR101357748B1 KR1020120025968A KR20120025968A KR101357748B1 KR 101357748 B1 KR101357748 B1 KR 101357748B1 KR 1020120025968 A KR1020120025968 A KR 1020120025968A KR 20120025968 A KR20120025968 A KR 20120025968A KR 101357748 B1 KR101357748 B1 KR 10135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ag
fruit bag
sensitive adhesive
repellent co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462A (ko
Inventor
변종상
조용웅
Original Assignee
(주)농협아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농협아그로 filed Critical (주)농협아그로
Priority to KR1020120025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74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74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20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 A01G13/27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protecting specific parts of plants, e.g. roots, trunks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20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 A01G13/26Cloches
    • A01G13/262Cloches with flexible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 B65D33/20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장 혹은 1장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의 개방부(1)와 하단 밀폐부(2) 및 측단 밀폐부(3)를 구비하여 상단 개방부를 통해 수용되는 과일을 보호 커버하는 과일 봉지에 있어서, 상기 하단 밀폐부(2)가 감압 점착제에 의한 결합에 의해 반복적으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한 것 과일봉지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과일봉지는 과일의 수확기에 과일봉지를 찢거나 벗겨서 과일의 숙기를 확인을 하고 미숙하면 재봉지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숙기 확인 작업 시 병해충의 침입이 용이하여 병해충 발생율이 높으나,
본 발명의 과일봉지는 그 하단에 감압 점착제에 의한 접착부를 쉽게 떼어서 숙기를 확인할 수 있어 확인작업이 용이하고, 미숙하면 그 즉시 다시 붙여 과일 봉지를 닫을 수 있으므로 숙기 획인에 따른 병해충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숙기 확인 작업에서 과일 봉지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재봉지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작업시간을 더욱 줄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한 병해충 방지와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과일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되므로 본원 발명은 결국 농가소득의 증대를 달성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해충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Easily mature-checkable and insect attack protectable bags for fruits}
본 발명은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해충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에 관한 것으로, 과수농가에서 과수재배 시 수확기에 잘 익은 과일을 선별 수확하는 작업에 있어 보다 용이하게 숙기 확인이 가능함과 아울러, 병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과일봉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봉지는 과수농가에서 과수재배 시 과일에 병해충의 접촉을 물리, 화학적으로 차단하여 병충해의 발생을 경감시켜 고품질 과일의 수확량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과일봉지는 사과와 배, 복숭아, 포도 등 여러 과수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과일봉지의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병해충의 침입을 물리화학적으로 잘 막을 수 있어야하며 또한 과일의 생육에 적절한 온습도 조절기능을 필요로 한다.
과일봉지는 유과기에 봉지를 씌움으로써 병해충의 침입을 조기에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수확기까지 병충해 발생율을 낮추어 고품질의 과일을 수확하는데 필요한 필수 농자재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병충해는 일정부분 발생되고 있다.
병충해의 발생 원인으로는
첫째로, 유과기 봉지 씌우기 이전에 충분한 방제작업을 하지 않고 봉지를 씌움으로써 초기에 병해충이 이미 봉지 내부로 침투되어 발생되는 초기 침입 경우가 있다.
둘째로, 봉지를 씌움에 있어 결속부분의 체결이 느슨하게 체결되어 과일꼭지의 결속부를 통한 침입과 봉지의 지질이 불량하여 봉지 지질을 뚫고 침입하여 발생되는 중기 침입 경우가 있다.
셋째로, 과일의 수확기에 과일의 숙기 확인 작업 시 봉지를 벗기거나 찢어서 확인함에 있어서 과일봉지의 과일 보호기능이 사라져 병충해가 발생되는 후기 침입경우가 있다.
상기 병충해의 발생원인 중 초기 침입 경우는 유과기 봉지 씌우기 이전에 적절한 방제작업을 충분하게 진행함으로써 병충해를 근절할 수 있으며, 중기 침입의 경우 또한 봉지 씌우기 작업 시 과일꼭지 결속부의 체결을 촘촘히 하여 병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고 봉지의 지질 또한 고품질의 과일봉지를 사용함으로써 병충해 발생을 근절할 수 있다.
그러나 수확시기에 잘 익은 과일을 선별하는데 있어서는 과일봉지를 찢거나 벗겨서 숙기를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병해충의 물리적 침입을 막아주는 과일봉지가 제거됨에 따라 병충해가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방제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숙기 확인 후 봉지를 다시 씌우는 방법이 있으나 이를 작업함에 있어서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고 숙기 확인 후 봉지를 과일에 다시 씌우는 과정 중에 과일에 찰과상이 발생되어 과일의 품질을 낮추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봉지의 일면에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숙기 확인이 용이하게 제작된 과일봉지가 있으나 필름부착에 고비용이 투입되어 과일봉지의 가격이 높고 과일의 생육기간 동안 투명창으로 태양광이 흡수되어 과일의 착색이 불균일하여 농가에서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상용화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봉지의 제조비용을 크게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과일의 착색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해충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의 개발 필요성이 오랜 기간 대두 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과수 농가에서 사용되어지는 과일봉지에서 과일의 수확기에 과일의 숙기 확인이 용이하면서도 과일숙기 확인 후 병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과일봉지를 경제적인 코스트로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의 개방부와 측단 및 하단의 밀폐부를 구비하며 상단 개방부를 통해 수용되는 과일을 보호 커버하는 적어도 1겹으로 형성되는 과일봉지에 있어서, 상기 하단 밀폐부가 수분산형 고무계 감압 점착제에 의해 반복적인 점착 및 점착 해제가 가능하고, 상기 과일 봉지가 파라핀왁스, 파라핀왁스 에멀젼, 오일코팅, 또는 오일 에멀젼 발수 코팅, 또는 무코팅 처리된 종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의 숙기(熟氣) 확인이 용이한 병충해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가 제공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측단 밀폐부가 감압 점착제에 의해 반복적인 점착 및 점착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의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충해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무계 감압 점착체가 천연고무, 디엔계 고무, 아크릴계 고무 및 실리콘계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감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충해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일봉지가 왁스 에멀젼 발수 코팅 처리 흑백 초합지로 된 겉지와, 파라핀왁스 발수 코팅 또는 기름 에멀젼 코팅 처리 과대지로 된 속지로 구성되며 사과 또는 배 봉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충해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가 제공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일봉지가 오일 에멀젼 발수 코팅 처리 황색 과대지로 된 겉지와, 파라핀왁스 발수 코팅 또는 오일 에멀젼 발수 코팅 처리 황색 과대지로 된 속지로 구성되며 배 봉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충해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일봉지가 왁스 에멀젼 발수 코팅 처리의 백색 홑봉지로 구성되며 포도 봉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충해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일봉지가 왁스 에멀젼 발수 코팅 처리의 황색 또는 연노랑색 홑봉지로 구성되며 복숭아 봉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충해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가 제공된다.
기존의 과일봉지는 과일의 수확기에 과일봉지를 찢거나 벗겨서 과일의 숙기를 확인을 하고 미숙하면 재봉지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숙기 확인 작업 시 병해충의 침입이 용이하여 병해충 발생율이 높으나,
본 발명의 과일봉지는 그 하단에 감압 점착제에 의한 접착부를 쉽게 떼어서 숙기를 확인할 수 있어 확인작업이 용이하고, 미숙하면 그 즉시 다시 붙여 과일 봉지를 닫을 수 있으므로 숙기 획인시에 병해충의 침입을 효과적을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숙기 확인 작업에서 과일 봉지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재봉지 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작업시간을 더욱 줄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한 병해충 방지와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과일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되므로 본원 발명은 결국 농가소득의 증대를 달성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에 따라 1장으로 구성된 숙기 확인이 용이하며 병해충 침입 방지용 과일 봉지의 전개도.
도 2는 도 1의 과일봉지를 과일에 결속하여 씌운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 따라 겉지와 속지로 구성된 숙기 확인이 용이하며 병해충 침입 방지용 과일 봉지의 전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구현을 예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지(10) 1장으로 된 홑 봉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지(10)와 속지(20)의 2장으로 되거나 속지(20)가 2 장 이상으로 되는 겹봉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단 개방부(1)와 하단 밀폐부(2) 및 측단 밀폐부(3)를 구비하여 상단 개방부를 통해 수용되는 과일을 보호 커버할 수록 된 것으로,
숙기 확인이 용이하고 숙기 확인시 병해충의 침입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단 밀폐부(2)가 감압 점착제(PSA)에 의한 결합에 의해 반복적으로 붙였다 떼었다 할 게 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측단 밀폐부(3)도 감압 점착제에 의한 결합에 의해 반복적으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게 하면 숙기 확인 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과일봉지에서 상단 개방부(1)는 예를 들어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일에 결속을 위해서 결속핀(40)을 사용하여 과일의 꼭지부와 체결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한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는 접착면과 접착시키기 위한 압력이 가해질 때 접착물질이 작용하는 점착제로, 어떤 용매나 물, 열도 점착제를 활성화시키는 데 필요치 않다. ‘감압(pressure sensitive)’이라는 이름이 암시하듯, 접착의 강도는 점착제가 표면에 적용되도록 하는 압력의 양에 영향을 받는다. 부드러움, 표면 에너지(surface energy), 오염물질의 제거 상태 등과 같은 표면인자(surface factors)들 또한 적절한 접착을 생성하는 데에 중요하다.
감압 점착제는 대개 상온에서 적절한 접착력과 지속력을 유지하도록 제작된다. 하지만 전형적으로 낮은 온도에서는 접착력을 잃거나 접착력이 감소하고 높은 온도에서는 전단 저항력이 감소한다. 낮은 온도나 높은 온도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만들어진 감압 점착제들도 있다. 그러므로 사용이 예정된 곳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감압 점착제 조성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감압 점착제는 이를 도포하여 형성한 하단 밀폐부(2) 또는 하단 밀폐부(2)와 측단 밀폐부(3)에서 피착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깔끔하게 분리할 수 있으면서 재접착이 가능하도록 양호한 정착력(anchorage)과 함께 양호한 내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감압 점착제는 수분산형 고무계 감압 점착제이다. 유기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 수분산형 감압성 점착제는 환경 보호, 자원 절약, 안전성 등이 양호한 장점이 있다. 수분산형 감압성 점착제중에서 고무계 수분산형 감압성 점착제가 피접착물 선택에 제한이 적고 내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과일봉지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고무계 감압 점착체는 천연고무, 디엔계 고무, 아크릴계 고무 및 실리콘계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 제시되는 이중 과일봉지의 경우에는 속지(20)는 바람직하게 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점착제에 의한 내외지 부분 접착부(50)로 겉지(10)에 접착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접착에는 전체 접착보다는 속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부분 접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1)
봉지의 크기가 220㎜×300㎜이고 겉지 1장으로 이루어졌으며 구성은 백색지로 왁스 에멀젼 발수코팅처리 되었으며 하단 접착부 점착제는 감압 점착제로 접착되어진 포도봉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겉지의 크기가 190㎜×215㎜이고 겉지의 구성은 측백초합지로 왁스 에멀젼 발수코팅처리 되었으며 속지의 크기는 185㎜×215㎜이고 속지의 구성은 청색 과대지로 파라핀 왁스 발수코팅처리 되었으며 하단 접착부 점착제는 감압 점착제로 접착 되어진 배봉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봉지의 크기가 220㎜×300㎜이고 겉지 1장으로 이루어졌으며 구성은 백색지로 왁스 에멀젼 발수코팅처리 되었으며 하단 접착부 점착제의 성분은 아크릴 또는 EVA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로 접착되어진 포도봉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겉지의 크기가 190㎜×215㎜이고 겉지의 구성은 측백초합지로 왁스 에멀젼 발수코팅처리 되었으며 속지의 크기는 185㎜×215㎜이고 속지의 구성은 청색 과대지로 파라핀 왁스 발수코팅처리 되었으며 하단 접착부 점착제의 성분은 PVC 또는 EVA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로 접착되어진 배봉지를 제조하였다.
(실험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된 과일 봉지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사항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1) 병충해 발생율 측정 : 과수농가에 본 발명의 과일봉지와 기존의 과일봉지를 동일 과원에서 동 일 수량을 사용한 후 동일량을 수확하여 병충해 발생율 측정.
(2) 완숙과 수확량 측정 : 과수농가에서 본 발명의 과일봉지와 기존의 과일봉지를 동일 과원에서 동일 수량을 사용한 후 1일 완숙과 수확량 측정.
실험 예1 : 병충해 발생율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과일봉지를 사용한 작업성 측정 결과는 표1에 제시된다.
구분 수확량 탄저병(흑성병) 발생량 탄저병(흑성병) 발생율 비고
실시예1 100송이 7송이 7% 포도봉지
비교예1 100송이 12송이 12% 포도봉지
실시예2 100개 9개 9% 배봉지
비교예2 100개 16개 16% 배봉지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봉지(실시 예1, 실시 예2)는 기존의 과일봉지 (비교 예1, 비교 예2) 보다 병해 발생율이 낮아 병해충 방지기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 예2 : 완숙과 수확량 측정 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과일봉지에서 봉지 하단의 투광성 측정 결과는 표 2에 제시된다.
구분 1일 완숙과 수확량(5kg, 박스) 비고
실시예1 223 포도봉지
비교예1 195 포도봉지
상기 표 2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봉지(실시 예1)는 기존의 과일봉지(비교 예1)보다 과일 숙기 확인이 용이하여 완숙과 수확 작업성이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 상단 개방부 2: 하단 밀폐부
3: 측단 밀폐부 PSA: 감압 점착제
10: 겉지 20 : 속지
30: 하단접착부 40: 결속핀
50: 내외지 부분 접착부

Claims (10)

  1. 상단의 개방부와 측단 및 하단의 밀폐부를 구비하며 상단 개방부를 통해 수용되는 과일을 보호 커버하는 적어도 1겹으로 형성되는 과일봉지에 있어서,
    상기 하단 밀폐부가 수분산형 고무계 감압 점착제에 의해 반복적인 점착 및 점착 해제가 가능하고,
    상기 과일봉지가 파라핀왁스, 파라핀왁스 에멀젼, 오일 코팅, 또는 오일 에멀젼 발수 코팅, 또는 무코팅 처리된 종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의 숙기(熟氣) 확인이 용이한 병충해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단 밀폐부가 감압 점착제에 의해 반복적인 점착 및 점착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의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충해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계 감압 점착체가 천연고무, 디엔계 고무, 아크릴계 고무 및 실리콘계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감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충해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봉지가 왁스 에멀젼 발수 코팅 처리 흑백 초합지로 된 겉지와, 파라핀왁스 발수 코팅 또는 기름 에멀젼 코팅 처리 과대지로 된 속지로 구성되며 사과 또는 배 봉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충해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봉지가 오일 에멀젼 발수 코팅 처리 황색 과대지로 된 겉지와, 파라핀왁스 발수 코팅 또는 오일 에멀젼 발수 코팅 처리 황색 과대지로 된 속지로 구성되며 배 봉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충해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봉지가 왁스 에멀젼 발수 코팅 처리의 백색 홑봉지로 구성되며 포도 봉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충해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봉지가 왁스 에멀젼 발수 코팅 처리의 황색 또는 연노랑색 홑봉지로 구성되며 복숭아 봉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충해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
KR1020120025968A 2012-03-14 2012-03-14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해충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 Expired - Fee Related KR10135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968A KR101357748B1 (ko) 2012-03-14 2012-03-14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해충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968A KR101357748B1 (ko) 2012-03-14 2012-03-14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해충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462A KR20130104462A (ko) 2013-09-25
KR101357748B1 true KR101357748B1 (ko) 2014-02-04

Family

ID=49453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9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57748B1 (ko) 2012-03-14 2012-03-14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해충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7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449U (ko) 2017-06-01 2018-12-11 송용석 과채류 생육 포장봉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645A (ja) * 1995-07-25 1997-06-17 Scapa Group Plc 封筒の封緘用兼開封用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6825Y1 (ko) 2000-07-04 2000-12-15 육보근 과실 보호대
KR200260165Y1 (ko) * 2001-10-23 2002-01-10 한임섭 과일보호용 봉지
KR101056177B1 (ko) * 2011-03-30 2011-08-11 (주)농협아그로 항균성 무기물 과일봉지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645A (ja) * 1995-07-25 1997-06-17 Scapa Group Plc 封筒の封緘用兼開封用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6825Y1 (ko) 2000-07-04 2000-12-15 육보근 과실 보호대
KR200260165Y1 (ko) * 2001-10-23 2002-01-10 한임섭 과일보호용 봉지
KR101056177B1 (ko) * 2011-03-30 2011-08-11 (주)농협아그로 항균성 무기물 과일봉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462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ünsche et al. Sunburn on apples-causes and control mechanisms
KR101357748B1 (ko) 숙기 확인이 용이한 병해충 침입 방지용 과일봉지
KR102348563B1 (ko) 식품용 포장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 포장백
KR20130116568A (ko) 일소피해 방지용 과일봉지
TWI583300B (zh) Fruit bag
KR102301711B1 (ko) 채광조절이 가능한 숨쉬는 생육용 과수봉지
EP2945797B1 (en) Transfer tape comprising adhesive for a protective wrap
KR200436111Y1 (ko) 과일봉지
JP4985179B2 (ja) 柑橘類の鮮度保持包装体
JP3514749B2 (ja) 完熟落下果実用掛袋
KR101723889B1 (ko) 일손절감형 과일 이중 봉지
KR200166917Y1 (ko) 과일 보호용 커버
KR200459211Y1 (ko) 과일 재배용 자동개방 봉지
US20220275256A1 (en) Transfer tape comprising adhesive for a protective wrap
CN216415747U (zh) 一种桔小实蝇粘胶板
KR200465007Y1 (ko) 포도보호용 봉지
KR101381918B1 (ko) 결속이 용이하며 착색이 양호한 과일봉지
KR102353614B1 (ko) 고온피해 방지용 과일봉지
KR101371769B1 (ko) 과일재배용 봉지
CN110012763A (zh) 病害感知套袋
JPS5845566Y2 (ja) 果実袋
KR200258402Y1 (ko) 과일 보호용 봉지
JP3218584U (ja) 園芸用防蟻シート
KR200186105Y1 (ko) 포도송이 싸개용 봉지.
KR200322045Y1 (ko) 묶음끈이 구비된 폐펄프를 이용하는 과일 보호용 봉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1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8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