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71769B1 - 과일재배용 봉지 - Google Patents

과일재배용 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769B1
KR101371769B1 KR1020120097736A KR20120097736A KR101371769B1 KR 101371769 B1 KR101371769 B1 KR 101371769B1 KR 1020120097736 A KR1020120097736 A KR 1020120097736A KR 20120097736 A KR20120097736 A KR 20120097736A KR 101371769 B1 KR101371769 B1 KR 101371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ruit
tightening
insertion hole
tightening b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철
신주철
Original Assignee
신주철
신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주철, 신중철 filed Critical 신주철
Priority to KR102012009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76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20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 A01G13/27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protecting specific parts of plants, e.g. roots, trunks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20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 A01G13/26Cloches
    • A01G13/262Cloches with flexible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재배용 봉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성숙과실을 누구나 손쉽게 과실봉지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감소시킴은 물론 성숙 과실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과일재배용 봉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겉봉지와 그 겉봉지내에 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봉지로 이루어져 상측 선단부가 개구되는 과실봉지에 있어서, 상기 겉봉지와 속봉지로 이루어진 과실봉지의 상단에 일정한 간격의 삽입공이 일렬되게 형성되고, 일정길이의 조임밴드가 상기 삽입공에 교호로 끼워지되 그 조임밴드의 조임부가 다수개의 삽입공 중, 상기 겉봉지의 평면상 중앙부에 위치하는 삽입공 외측에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과일재배용 봉지{A PAPER BAG FOR FRUIT CULTURE}
본 발명은 과일재배용 봉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성숙과실을 누구나 손쉽게 과실봉지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감소시킴은 물론 성숙 과실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과일재배용 봉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봄철 과실 또는 열매의 꽃이 진 후에는 미성숙과실을 보호하기 위하여 과실 보호용 봉지를 통해 나무 가지에 매달린 미성숙과실을 포장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주지하는 바와 같다. 이러한 과실 보호용 봉지의 사용은 성과가 되지 전에 봉지를 과실에 씌움으로써 자외선으로 인한 과실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고, 비바람의 자연현상이나 까치 등의 조류로부터 과실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과실 보호용 봉지를 이용하여 미성숙과실을 포장하는 작업은 숙련자가 아니면 상당히 어려운 작업일 뿐 아니라 미성숙과실을 포장하는 과정에서 미성숙과실이 봉지의 한쪽으로 치우쳐져 포장되어 과실의 성숙시 과실의 외표면이 봉지의 내측에 접촉되고, 그로 인해 탈색이 발생하게 되어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과실봉지 상단부를 조임밴드를 이용하여 조임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필요이상으로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서 조임밴드에 의해 과실의 가지가 상처를 입거나 훼소되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과실의 가지가 부러지는 문제 또한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실재배용 봉지의 상단측에 조임밴드를 마련하고 그 조임밴드에 의해 과실봉지의 상측이 조여지는 경우 과실봉지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상태로 조여질 수 있도록 하는 과실재배용 봉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과일재배용 봉지를 이용하여 미성숙과실을 감싸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미성숙 과실이 과실봉지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과실재배용 봉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과일재배용 봉지의 내측에 커버부재를 설치하여 조임밴드의 조임동작이나 비바람에 의해 과일재배용 봉지가 흔들릴 경우, 과실의 가지가 훼손되거나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겉봉지와 그 겉봉지내에 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봉지로 이루어져 상측 선단부가 개구되는 과실봉지에 있어서,
상기 겉봉지와 속봉지로 이루어진 과실봉지의 상단에 일정한 간격의 삽입공이 일렬되게 형성되고, 일정길이의 조임밴드가 상기 삽입공에 교호로 끼워지되 그 조임밴드의 조임부가 다수개의 삽입공 중, 상기 겉봉지의 평면상 중앙부에 위치하는 삽입공 외측에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부위의 속봉지에는, 상기 조임밴드가 과실봉지의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병충해가 상기 삽입공을 통해 과실봉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속봉지의 내측에 접착되는 상기 커버부재의 일면은, 상하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착부와, 상기 상하측 접착부 사이에 형성되는 밴드간섭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에는 유황합제와 유제를 혼합한 혼합물이 도포되거나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실재배용 봉지의 상단측에 조임밴드가 마련되고, 그 조임밴드에 의해 과실봉지의 상측이 조여지는 경우 과실봉지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상태로 조여지도록 하여, 미성숙과실이 성장하면서 외표면이 과실봉지의 내측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탈색이 방지된다.
그리고, 누구나 손쉽게 미성숙 과실을 과실봉지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어, 미성숙 과실을 수용한 과실봉지가 비바람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어 과실의 낙과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과일재배용 봉지의 내측에 커버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조임밴드의 조임동작이나 비바람에 의해 과일재배용 봉지가 흔들릴 경우, 과실 가지가 훼손되거나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재배용 봉지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재배용 봉지의 전개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재배용 봉지를 이용하여 미성숙과실을 감싸도록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밴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일재배용 봉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재배용 봉지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재배용 봉지의 전개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재배용 봉지를 이용하여 미성숙과실을 감싸도록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재배용 봉지는 겉봉지와 그 겉봉지내에 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봉지로 이루어져 상측 선단부가 개구되는 과실봉지에 있어서, 상기 겉봉지(10)와 속봉지(20)로 이루어진 과실봉지의 상단에 일정한 간격의 삽입공(30)이 일렬되게 형성되고, 일정길이의 조임밴드(40)가 상기 삽입공(30)에 교호로 끼워지되 그 조임밴드의 조임부(41)가 다수개의 삽입공 중, 상기 겉봉지(10)의 평면상 중앙부에 위치하는 삽입공 외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겉봉지(10)와 속봉지(20)는 각각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되어 봉지형태로 제조되며, 봉지형태로 제조된 상기 속봉지(20)는 봉지형태로 제조된 상기 겉봉지(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접착수단에 의해 상기 겉봉지(10)의 내측에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접착되어 진다.
이때, 상기 겉봉지(10)의 내면에는 통상적으로 검정색의 잉크가 도포되고, 상기 속봉지(20)는 방수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30)은 상기 겉봉지(10)와 속봉지(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삽입공은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그 삽입공은 과실봉지의 상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30mm~50mm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공(30)은 과실봉지의 일측 평면상 홀수개가 형성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과실봉지의 외측에서 바라보는 경우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공이 9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과실봉지의 좌측긴변이나 우측긴변에서 중앙부방향으로 5번째에 해당하는 삽입공을 통해 후술되는 조임밴드(40)의 조임부(41)가 외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과실봉지의 일측 평면상 짝수개의 삽입공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과실봉지를 외측에서 바라보는 경우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공이 8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과실봉지의 좌측긴변이나 우측긴변에서 중앙부방향으로 4번째에 해당하는 삽입공을 통해 조임밴드의 조임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조임부를 과실봉지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삽입공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조임밴드(40)를 상기 조임부(41)에 의해 잡아당겨 상기 과실봉지의 상측을 조일 경우 과실봉지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상태로 조여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과실봉지의 내측에 수용되는 과실이 과실봉지의 내측 가운데 공간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과실봉지의 내측에 수용되는 미성숙과실이 그 과실봉지의 내측 가운데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미성숙과실이 과실봉지의 내측 가운데 공간부에 위치하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쳐진 상태에서 성장하게 되면, 성장된 과실의 일부분이 과실봉지의 내측 속봉지(20)에 면접촉되게 되는데,
그로 인해, 속봉지에 접촉된 과실의 일부분에 탈색이 발생하게 되어 추후 출하단계에서 상품성을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함으로 미성숙 과실이 과실봉지의 내측 가운데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은 과실의 상품성을 높이는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이다.
또한, 상기 과실봉지의 내측에 미성숙 과실이 한쪽으로 치우쳐진 상태에 있게 되면, 미성숙 과실이 위치하지 않는 겉봉지 외측에 비바람이 강하게 작용하여 과실봉지가 더욱 흔들거려 결국에는 과실이 낙과되는 문제가 발생함으로 미성숙과실이 과실봉지의 내측 가운데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상기 조임밴드(40)는 통상의 케이블타이나 낚시끈,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가는 줄 등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케이블타이를 사용하는 경우 조임부는 그 타이밴드의 일측이 결속부로 유입되어 조여지는 부분일 것이며, 낚시끈이나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가는 줄일 경우에는 일측끈단을 둥글게 말은 상태에서 다른 끝단을 둥글게 말아진 부위에 연결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조여지는 부분일 것이다.
본 발명의 과일재배용 봉지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 조임밴드(40)는 케이블타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그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조임밴드(40)은 일정길이의 당김부(42), 상기 당김부(42)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되 그 당김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상태로 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림돌기(45)가 형성된 걸림부(44) 및 상기 당김부(42)와 걸림부(44)가 관통되는 관통공(47)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44)의 걸림돌기(45)가 상기 관통공(47)에 걸림되는 헤드부(46)로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임밴드(40)를 이용하여 과실재배용 봉지의 상측을 조이는 경우 상기 당김부(42)의 선단을 상기 관통공(47)을 통해 빼내어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당김부(42)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상기 걸림부(44)가 상기 헤드부(46)의 관통공(47)의 내측을 관통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44)의 걸림돌기(45)가 상기 헤드부(46)의 관통공(47)에 걸림되어 과실재배용 봉지의 상측을 조이는 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밴드(40)의 조임부(41)를 잡아당겨 과실봉지의 상측을 조일 경우, 과실이 수용되는 부분의 과실봉지가 팽창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부의 강한 바람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면서, 미성숙 과실의 성과 과정에서 봉지가 터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과실이 봉지에 닿지 않지도록 하여 성숙 과실의 색상이 균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삽입공(30)이 형성된 부위의 속봉지(20)에는, 상기 조임밴드(40)가 과실봉지의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병충해가 상기 삽입공(30)을 통해 과실봉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50)가 부착된다.
즉, 과실봉지를 이용하여 미성숙 과실을 감싸 보호한 상태에서 장기간 방치하게 되면 병충해가 상기 삽입공(30)을 통해 과실봉지의 내측으로 침투하여 성장하는 과실을 훼손하기 때문에 상기 속봉지(20)내측에서 상기 커버부재(50)를 설치하여 상기 삽입공(30)을 막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50)에는 유황합제와 유제를 혼합한 혼합물이 도포되거나 그 커버부재의 제조과정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속봉지(20)의 내측에 접착되는 상기 커버부재(50)의 일면은, 상하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착부(51)와, 상기 상하측 접착부(51)사이에 형성되는 밴드간섭면(53)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접착부(51)는 상기 삽입공(30)의 상하측 속봉지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접착되는 곳이고, 상기 밴드간섭면(53)에는 접착재가 형성되지 않는 부위로 이는 상기 조임밴드(40)를 조일 경우 그 조임밴드(40)가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50)에 의해 속봉지(20)의 내측으로 노출된 조임밴드(40)를 가리는 이유는, 상기 조임밴드를 조이는 과정에서 과실의 가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비바람에 의해 과실이 흔들릴 경우 상기 조임밴드(40)에 의해 과실의 가지에 상척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과일재배용 봉지를 이용하여 미성숙과실을 감싸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누구나 손쉽게 과실봉지의 내측 중앙부에 미성숙과실이 위치하도록 감쌀 수 있어 작업시간이 감소됨은 물론 성숙 과실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겉봉지 20: 속봉지
30: 삽입공 40: 조임밴드
41: 조임부 42: 당김부
44: 걸림부 45: 걸림돌기
46: 헤드부 47: 관통공
50: 커버부재 51: 접착부
53: 밴드간섭면

Claims (5)

  1. 겉봉지와 그 겉봉지내에 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봉지로 이루어져 상측 선단부가 개구되는 과실봉지에 있어서,
    상기 겉봉지와 속봉지로 이루어진 과실봉지의 상단에 일정한 간격의 삽입공이 일렬되게 형성되고, 일정길이의 조임밴드가 상기 삽입공에 교호로 끼워지되 그 조임밴드의 조임부가 다수개의 삽입공 중, 상기 겉봉지의 평면상 중앙부에 위치하는 삽입공 외측에 형성되도록 되고,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부위의 속봉지에는, 상기 조임밴드가 과실봉지의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병충해가 상기 삽입공을 통해 과실봉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재배용 봉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봉지의 내측에 접착되는 상기 커버부재의 일면은, 상하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착부와, 상기 상하측 접착부 사이에 형성되는 밴드간섭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재배용 봉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유황합제와 유제를 혼합한 혼합물이 도포되거나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재배용 봉지.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밴드는, 일정길이의 당김부; 상기 당김부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되 그 당김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상태로 일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걸림부; 및 상기 당김부와 걸림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의 걸림돌기가 상기 관통공에 걸림되는 헤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재배용 봉지.
KR1020120097736A 2012-09-04 2012-09-04 과일재배용 봉지 Expired - Fee Related KR101371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736A KR101371769B1 (ko) 2012-09-04 2012-09-04 과일재배용 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736A KR101371769B1 (ko) 2012-09-04 2012-09-04 과일재배용 봉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769B1 true KR101371769B1 (ko) 2014-03-12

Family

ID=5064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7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1769B1 (ko) 2012-09-04 2012-09-04 과일재배용 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452U (ko) * 2020-12-15 2022-06-22 김남걸 낙과 방지용 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304Y1 (ko) 2002-10-08 2002-12-31 화성시 과채류 보호봉지
KR200376944Y1 (ko) 2004-12-02 2005-03-11 조태현 과일봉지
KR200406244Y1 (ko) 2005-10-24 2006-01-20 김강희 과일 보호용 봉지
KR20120035533A (ko) * 2010-10-06 2012-04-16 최욱 과실 보호용 봉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304Y1 (ko) 2002-10-08 2002-12-31 화성시 과채류 보호봉지
KR200376944Y1 (ko) 2004-12-02 2005-03-11 조태현 과일봉지
KR200406244Y1 (ko) 2005-10-24 2006-01-20 김강희 과일 보호용 봉지
KR20120035533A (ko) * 2010-10-06 2012-04-16 최욱 과실 보호용 봉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452U (ko) * 2020-12-15 2022-06-22 김남걸 낙과 방지용 커버
KR200496328Y1 (ko) * 2020-12-15 2023-01-04 김남걸 낙과 방지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769B1 (ko) 과일재배용 봉지
JP4504232B2 (ja) 昆虫忌避又は殺虫用樹脂製品
ITMI20121761A1 (it) Impianto antigrandine ed antiinsetto monofilare, ad apertura e chiusura rapida, per la protezione di coltivazioni di piante disposte in filari.
KR20200099301A (ko) 농작물 지지대용 스프링구조의 탈착식 지지끈 연결클립
KR200477260Y1 (ko) 과일 보호용 봉지
KR200406244Y1 (ko) 과일 보호용 봉지
KR200496328Y1 (ko) 낙과 방지용 커버
KR20120035533A (ko) 과실 보호용 봉지
KR20080005669U (ko) 과일 보호 주머니
KR200376944Y1 (ko) 과일봉지
KR101734420B1 (ko) 봉지 씌우기용 케이블 타이
KR200440579Y1 (ko) 포도 보호용 봉지
CN214962222U (zh) 一种果树防虫装置
KR102251823B1 (ko) 과일 보호용 봉지
KR20150010099A (ko) 구조가 간단한 재사용 케이블 타이
KR200240918Y1 (ko) 과일봉지_
KR200185732Y1 (ko) 과실 및 포도 보호용 봉투
KR101649784B1 (ko) 과실 보호용 봉투
KR200163219Y1 (ko) 과실재배용봉투
KR101219361B1 (ko) 과실 보호용 봉투
KR200299304Y1 (ko) 과채류 보호봉지
KR20180003449U (ko) 과채류 생육 포장봉지
KR200234084Y1 (ko) 과일보호용 봉지
KR200394540Y1 (ko) 원터치 방식의 과일 보호용 봉지
KR200351931Y1 (ko) 과일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