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5078B1 - 수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수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078B1
KR101355078B1 KR1020110101547A KR20110101547A KR101355078B1 KR 101355078 B1 KR101355078 B1 KR 101355078B1 KR 1020110101547 A KR1020110101547 A KR 1020110101547A KR 20110101547 A KR20110101547 A KR 20110101547A KR 101355078 B1 KR101355078 B1 KR 101355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te
river
waterway
cen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254A (ko
Inventor
이명우
Original Assignee
이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우 filed Critical 이명우
Priority to KR1020110101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0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07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 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보나 수로의 수량제어를 위하여 설치되는 수문이 하천의 수위상승으로 인한 역류에 의해 들뜸이 방지되도록 하천의 수위상승시 수문의 하부에 무게중심을 이루고, 하천의 수위하강시 개문이 용이하도록 수문의 상부측에 무게중심을 이루는 수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업, 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보나 수로의 수량제어를 위하여 설치되는 수문이 하천의 수위상승으로 인한 역류에 의해 들뜸이 방지되도록 하천의 수위상승시 수문의 하부에 와류현상이 방지되는 수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업, 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수로 말단 배수구의 외벽에 힌지구조를 이용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상하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수문으로 수로 내의 수량을 제어하는 수로 개폐장치로서, 상기 수문에는 하천측의 수위상승시 용수가 유입되어 수문의 하부측에 무게중심을 이루고 수위하강시 폐문이 용이하도록 무게중심을 이루는 용수가 배출되는 수조가 구비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로 개폐장치{Device opening and shutting of waterway}
본 발명은 농업, 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보나 수로의 수량제어를 위하여 설치되는 수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위상승으로 인한 역류에 의해 수문의 들뜸이 방지되어 저지대의 범람을 완벽히 차단하는 수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 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을 위한 수리시설물인 보나 수로의 수량제어를 위한 수로 개폐장치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수로 개폐장치는 대략 보나 수로의 말단에 설치되어 폭우나 홍수 발생시 방류와 해수 또는 하천의 수위상승으로 인한 역류현상을 방지하여 저지대의 범람을 막아 수해로부터 보호하는 안전시설물이다.
이러한 수로 개폐장치는 수류에 의해 수문이 개폐되고 있는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문이 보나 수로 내의 수류에 의해 개문되어 방류되고 이와 반대로 하천 측의 수위가 상승시에는 그 상승 된 수위의 수압에 의해 폐문되어 역류현상을 예방하게 된다.
이렇게 개폐되는 수문은 수로의 말단 또는 보 등의 토목구조물에 힌지를 이용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소기의 개폐작용을 이루게 된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문(10)은 수로(40)의 말단 또는 보 등의 토목구조물에 구비되는 배출구(42) 측 상부에 설치되는 힌지를 이용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상,하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고 있다.
이렇게 토목구조물의 수로(40)를 개폐하는 수문(1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목구조물 수로(40)의 배출구(42) 측 직상부 측에서 그 토목구조물에 매설된 앵커 볼트(30) 등을 이용해 설치되는 힌지구조로 개폐되고 있는데, 이러한 힌지구조는 대략 링크(20)형으로 이루어 그 일단이 앵커 볼트(30)에 축(22) 결합되고 타단은 수문(10)에 축(22) 결합되어 2 단계적으로 수문(10)의 개폐구동을 이루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로 개폐장치는 수문(10)이 배출구(42)를 형성한 토목구조물상에 배출구(42)를 막은 상태로 토목구조물에 얹혀진 상태로 놓임으로서, 하천측의 수위 상승시 그 상승된 수위의 수압에 의해 수문(10)의 하부 모서리측에 와류 현상이 발생하여 수문(10)이 들뜨게 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업, 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보나 수로의 수량제어를 위하여 설치되는 수문이 하천의 수위상승으로 인한 역류에 의해 들뜸이 방지되도록 하천의 수위상승시 수문의 하부에 무게중심을 이루고, 하천의 수위하강시 개문이 용이하도록 수문의 상부측에 무게중심을 이루는 수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업, 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보나 수로의 수량제어를 위하여 설치되는 수문이 하천의 수위상승으로 인한 역류에 의해 들뜸이 방지되도록 하천의 수위상승시 수문의 하부에 와류현상이 방지되는 수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업, 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수로 말단 배수구의 외벽에 힌지구조를 이용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상하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수문으로 수로 내의 수량을 제어하는 수로 개폐장치로서, 상기 수문에는 하천측의 수위상승시 용수가 유입되어 수문의 하부측에 무게중심을 이루고 수위하강시 폐문이 용이하도록 무게중심을 이루는 용수가 배출되는 수조가 구비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수문이 설치되는 외벽은 배수구를 중심으로 수문이 수용되어 설치되는 수용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수조는 수문의 전면에 수조로 유입되는 용수의 입수구를 형성하고 수문의 하단에 수조로 유입된 용수의 배수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문에 수문의 전면을 통해 유입되어 하단으로 배출경로를 이루는 수조를 구비하여 하천측의 수위상승시 폐문된 수문의 전면측으로 용수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조 내로 용수가 유입되어 수문의 무게중심을 수문의 하부측으로 낮게 설정되게 함으로써, 하천측에서 수로 내측으로 역류되는 용수의 난류시 수문의 하단측에 들뜸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천측의 수위가 하강하면 수조로 유입된 용수가 수문의 하단으로 배수되어 수문의 무게중심이 수문의 상부측으로 높게 설정되게 함으로서, 수로 내측의 용수를 하천측으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수문의 용이하게 개문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문이 배수구를 중심으로 한 인접한 외벽에 형성한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어 수문의 하단측면에 하천측의 수위상승으로 역류되는 용수와 직접적이고 강한 충돌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서, 와류에 의한 수문의 들뜸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로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a,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수로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나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로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수로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수로 개폐장치는 농업, 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수로(40) 말단 배출구(42)의 외벽에 힌지구조를 이용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상하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수문(10)을 제공한다.
상기 힌지구조는 대략 링크(20)형으로 이루어 그 일단이 앵커 볼트(30)에 축(22) 결합되고 타단은 수문(10)에 축(22) 결합되어 2 단계적으로 수문(10)의 개폐구동을 이루게 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은 하천측의 수위 상승시 그 상승 된 수위의 수압에 의해 수문(10)의 하부 모서리측에 와류 현상이 발생 되지 않고 무게중심이 수문(10)의 하단부측으로 낮게 위치되도록 하여 수문(10)이 들뜨지 않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천측의 수위하강시 수문(10)의 개문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수로 개폐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수문(10)에 하천측의 수위상승시 용수가 유입되어 수문(10)의 하부측에 무게중심을 이루고, 도 2b에서와 같이 수위하강시 폐문이 용이하도록 무게중심을 이루는 용수가 배출되는 수조(50)가 구비된다.
또한 도 2a와 도 2b에서 수조(50)는 수문(10) 몸체 내에 형성한 것이나, 도 3에서와 같이 수문(10)의 전면을 돌출되도록 연장하여 형성하여도 실시 가능한 것으로서, 수문(10)의 전면을 돌출되도록 연장하는 경우 연장된 만큼의 무게에 더하여 수문(10) 내에 보다 많은 용수를 수용할 확장된 수조(50)를 갖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조(50)는 수문(10)의 전면에 수조(50)로 유입되는 용수의 입수구(52)를 형성하고 수문(10)의 하단에 수조(50)로 유입된 용수의 출수구(54)를 형성한 것으로서, 수조(50)의 크기 및 입수구(52)의 크기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출수구(54) 또한 그 크기와 수효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수문(10)이 설치되는 외벽은 배출구(42)를 중심으로 수문(10)이 수용되어 설치되는 수용홈(60)을 형성한 것으로서, 수용홈(60)의 깊이는 수문(10)의 테두리의 높이보다 깊거나 같은 정도가 바람직하나, 수문(10)의 테두리가 일점범위가 수용될 정도로 수용홈(60)을 형성하여도 실시가 가능한다.
이는 도 2a와 도3과 같이 하천측의 수위상승시 폐문된 수문(10)의 전면측으로 용수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조(50) 내로 용수가 유입되어 수문(10)의 무게중심을 수문(10)의 하부측으로 낮게 설정되게 함으로써, 하천측에서 수로(40) 내측으로 역류되는 용수의 난류시 수문(10)의 하단측에 들뜸이 방지되는, 즉 수문(10)의 폐문 상태가 안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b와 같이 하천측의 수위가 하강하면 수조(50)로 유입된 용수가 수문(10)의 하단에 형성한 출수구(54)로 배수되어 수문(10)의 무게중심이 수문(10)의 상부측으로 높게 설정되게 함으로서, 수로(40) 내측의 용수를 하천측으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수문(10)이 용이하게 개문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문(10)이 배출구(42)를 중심으로 한 인접한 외벽에 형성한 수용홈(60)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어 수문(10)의 하단 측면에 하천측의 수위상승으로 역류되는 용수와 직접적이고 강한 충돌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서, 와류에 의한 수문(10)의 들뜸현상이 방지되어 전체적으로 페문의 안정과 동시에 원활한 개문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10 : 수문 20 : 링크
40 : 수로 42 : 배출구
50 : 수조 52 : 입수구
54 : 출수구 60 : 수용홈

Claims (3)

  1. 농업, 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수로(40) 말단의 배출구(42) 외벽에 힌지구조를 이용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상하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수문(10)으로 수로(42) 내의 수량을 제어하는 수로 개폐장치로서,
    상기 수문(10)이 설치되는 외벽은 배출구(42)를 중심으로 수문(10)이 수용되어 설치되는 수용홈(60)과;
    상기 수문(10)에는 하천측의 수위상승시 용수가 유입되어 수문(10)의 하부측에 무게중심을 이루고 수위하강시 폐문이 용이하도록 무게중심을 이루는 용수가 배출되는 수조(50)와;
    상기 수조(50)는 수문(10)의 전면에 수조(50)로 유입되는 용수의 입수구(52)를 형성하고 수문(10)의 하단에 수조(50)로 유입된 용수의 출수구(54)를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10101547A 2011-10-06 2011-10-06 수로 개폐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55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47A KR101355078B1 (ko) 2011-10-06 2011-10-06 수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47A KR101355078B1 (ko) 2011-10-06 2011-10-06 수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254A KR20130037254A (ko) 2013-04-16
KR101355078B1 true KR101355078B1 (ko) 2014-01-22

Family

ID=4843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5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355078B1 (ko) 2011-10-06 2011-10-06 수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0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257B2 (ja) * 1990-11-30 1995-08-30 財団法人未来農業国際研究財団 海水逆流防止自動制御ゲート
KR200377424Y1 (ko) * 2004-11-10 2005-03-11 (주)대성종합기술공사 하천수량에 따라 배수량조절이 가능한 수문장치
JP7081257B2 (ja) * 2017-09-20 2022-06-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257B2 (ja) * 1990-11-30 1995-08-30 財団法人未来農業国際研究財団 海水逆流防止自動制御ゲート
KR200377424Y1 (ko) * 2004-11-10 2005-03-11 (주)대성종합기술공사 하천수량에 따라 배수량조절이 가능한 수문장치
JP7081257B2 (ja) * 2017-09-20 2022-06-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254A (ko)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39142B (zh) 水压可控式隧道排水系统及其水压控制装置
KR101028841B1 (ko) 홍수조절지 부력식 수문
KR101258565B1 (ko)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CN201206246Y (zh) 淤地坝放水工程
KR20110009781U (ko) 압축공기 제거수단을 갖는 사이펀여수로
KR100780743B1 (ko) 높이차를 가지는 공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일련의사이펀여수로군(群)
KR101505014B1 (ko)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KR101355078B1 (ko) 수로 개폐장치
CN109797831A (zh) 水量分流调控设备
KR200470055Y1 (ko) 용배수로용 수문
CN109853492B (zh) 闸阀管道式过鱼方法
CN107090809A (zh) 一种低水头水闸下游消力池建造方法
KR100608603B1 (ko) 수중보의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20180098898A (ko) 저수조용 수문
CN108612059B (zh) 高效消能且不产生过饱和水体的内嵌式溢流坝结构
KR102022457B1 (ko)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
CN107165135B (zh) 一种水利安全设施
KR100787405B1 (ko) 오리피스 게이트형 유량조절장치
KR200294017Y1 (ko) 수압자동수문
KR102263671B1 (ko) 무동력 자동수문
CN209339284U (zh) 一种园林排水结构
KR20060106488A (ko)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KR101555657B1 (ko) 하천의 유량조절용 저류블록 구조체
KR20140065986A (ko) 펌프 게이트 장치
CN106759163B (zh) 一种采用底孔进行排沙的消力池尾坎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