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4314B1 -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314B1
KR101354314B1 KR1020090054283A KR20090054283A KR101354314B1 KR 101354314 B1 KR101354314 B1 KR 101354314B1 KR 1020090054283 A KR1020090054283 A KR 1020090054283A KR 20090054283 A KR20090054283 A KR 20090054283A KR 101354314 B1 KR101354314 B1 KR 101354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oleic acid
conjugated linoleic
chitosan
coated
nan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096A (ko
Inventor
김정상
박현진
장동재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31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3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Synthetic bilayered vehicles, e.g. liposomes or liposomes with cholesterol as the only non-phosphatidyl surfactant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or liposomes coated or grafted wit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공액리놀레산에 나노기술을 적용하고 키토산으로 코팅하여 공액리놀레산의 수용성 및 분산성이 향상된 새로운 형태의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은 물 또는 수성용매에 대한 용해성 및 분산성이 현저히 개선되어 공액리놀레산이 가지는 체중조절 효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활성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비만 및 심혈관 질환 등 체지방의 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식품 및 동물사료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액리놀레산, 키토산, 나노 리포좀, 용해성, 분산성, 비만, 심혈관 질환

Description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Chitosan coated nano liposome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공액리놀레산의 수용성 및 분산성이 향상된 새로운 형태의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 이하 'CLA'라고 함)은 1987년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의 Dr. Pariza 연구팀에 의하여 최초로 밝혀진 항 돌연변이 물질로서, 필수지방산인 리놀레산(linoleic acid)의 위치적 기하학적 이성질체이며, 반추동물의 젖이나 근육에서 미량으로 발견되는 천연 지방산 성분이다. CLA는 탄소수 18개로 이루어진 옥타데카디에노인산의 이중결합 중 시스(cis) 혹은 트랜스(trans) 배열에 공액화 2중 결합(conjugated double bonds)을 가지고 있는 리놀레인산의 다양한 이성체들(positional and geometric isomers)을 일컫는 일반적인 명칭이며, 이들 CLA는 9 및 11 위치와 10 및 12 위치에 시스 혹은 트랜스 배열을 하기고 하고, 이론적으로는 리놀레인산(cis-9, cis-12 octadecadienoic acid)의 이성화 반응에 의하여 16개의 구조 및 기하 이성질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CLA는 우유 및 유제품 등의 각종 낙농 제품과 반추동물에서 유래한 육류에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에 유용한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를 주식으로 이용하던 서구사회에서 CLA가 큰 관심사로 대두되었고, CLA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는데, 특히 피부암이나 유방암 등 각종 암에 대한 강한 항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Ha, Y. L. Grimm, N. K., Pariza, M. W., Carcinogenesis, 8, 1881, 1987) 더욱 많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CLA는 항암 활성 이외에도 항산화 작용과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는데, SOD 또는 GSH-Px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조직의 지질과산화물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등의 항산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CLA는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가지고 있는데, 특히 인체에서 지방을 분해시켜 지방세포에 지방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리포단백 리파아제(lipoprotein lipase)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지방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지방세포의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체내 지방세포의 분열을 가속화해 체지방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역할 및 기초 대사량을 증가시켜 에너지의 소모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체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포도당에 대한 내성을 저하시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 고혈압의 예방 효과 및 면역 증강성 효과(Nicolosi 등, Circulation, 88, 2458, 1993) 등 인체에 유익한 많은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처럼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CLA는 반추동물의 식이에 존재하는 리놀레인산으로부터 반추 미생물에 의해 합성되는 중간 대사산물로서 천연에 극히 미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현재는 이를 유기합성법에 의해 대량 생산하는 기술 및 CLA를 이용한 각종 기능성 식품과 의약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CLA를 이용한 각종 제품들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CLA는 완벽하게 물에 용해되지 않는 지용성 지질, 예를 들어, 지방산(fatty acid),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에스테르(ester) 등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연질캡슐의 형태로 제조되거나 응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수용성 형태가 아닌 지용성 형태의 CLA는 이를 용해하게 위해 유기용매를 사용하여야 하고 이로부터 다시 분리 및 농축 과정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기술적 측면 상 번거로운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야기되는 독성의 문제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식품에 사용할 경우에는 CLA의 지용성 특징으로 인해 수용성 식품에 첨가하는 방법이라든가 첨가할 수 있는 양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로부터 CLA의 수용성을 향상 또는 개선시키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들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5-0029583호에 염기성 아미노산인 알지닌을 결합시켜 공액리놀레산의 수용성을 향상시킨 알지닌 공액리놀레인산 복합체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514592호에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할 수 있는 신규한 균주 및 공액리놀레산의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당류를 사용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 역시 당업계에서 요구되는 공액 리놀레산의 수용성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 효과 또한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CLA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생리활성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CLA의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거듭하던 중, CLA를 나노 리포좀의 형태로 나노 입자화하고 이를 키토산으로 코팅하였을 경우, CLA의 물 또는 수성용매에 대한 용해성 및 분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수용성 및 분산성이 향상된 나노 리포좀 형태의 CLA를 다양한 기능성 식품 , 의약품 및 동물사료의 제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액리놀레산(CLA)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및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CLA)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나노 리포좀은 인지질 30 내지 90 중량부, 콜레스테롤 10 내지 70 중량부, 공액리놀레산 5 내지 90 중량부 및 키토산 0.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액리놀레산은 시스9, 트랜스11-공액리놀레산(cis9, trans11-CLA); 시스9, 시스11-공액리놀레산(cis9, cis11-CLA); 트랜스9, 트랜스11-공액리놀레산(trans9, trans11-CLA); 트랜스10, 시스12-공액리놀레산(trans10, cis12-CL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탈아세틸화도가 50% 내지 90%인 키토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인지질, 콜레스테롤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기용매에 혼합하여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용해한 혼합용액을 수성용매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나노 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나노 리포좀을 키토산 용액에 첨가하고 균질화시켜 상기 나노 리포좀에 키토산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유기용매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수성용매는 수성용매는 물, PBS(phosphate buffer saline), TBS(tris buffered saline) 및 초산완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b) 단계의 교반은 초음파 펄스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심혈관 질환은 동맥경화, 고혈압, 협심증, 고지혈증, 심근경색, 고콜레스테롤증 및 혈전증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용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은 물 또는 수성용매에 대한 용해성 및 분산성이 현저히 개선되어 공액리놀레산이 가지는 체중조절 효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활성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비만 및 심혈관 질환 등 체지방의 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식품 및 동물사료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의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도록 공액리놀레산의 수용성 및 분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새로운 형태의 공액리놀레산 함유 나노 리포좀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나노 리포좀은 공액리놀레산과 함께 체중 조절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키토산으로 코팅되어 있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CLA)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제공한다.
상기“공액리놀레산(CLA)"은 식물, 동물 및 미생물에서 유래된 지방산으로서, 일반적으로 9, 11 위치 및 10, 12 위치에 시스(cis) 혹은 트랜스(trans) 배열을 하기도 하며, 리놀레인산(cis-9, cis-12 octadecadienoic acid)의 이성화반응에 의하여 8개의 9, 11 옥타데카디에노인산(octadecadienoic acid) 및 10, 12 옥타디 카디에노인산(cis-9, cis-11; cis-9, trans-11; trans-9, cis-11; trans-9, trans-11; cis-10, cis-12; cis-10, trans-12; trans-10, cis-12 및 trans-10, trans-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자연적으로 여러 가지 식품에 존재하는 CLA로는 cis-9, trans-11 옥타데카디에노인산이 약 85∼95%를 차지하고 있다(J. L Sebedio, W.W Christie, TransFatty Acids in Human Nutrition, Chapter 9. 261∼302, The Oilypress Ltd, 1998).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나노 리포좀에 함유된 공액리놀레산은 상기 기술된 공액리놀레산의 이성체를 포함하는 모든 이성체들, 천연으로부터 분리된 공액리놀레산 및 화학적 합성법으로 합성된 형태의 모든 공액리놀레산 유도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is9, trans11-CLA; cis9, cis11-CLA; trans9, trans11-CLA; trans10, cis12-CL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키토산으로 코팅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는데, 여기서 상기 “키토산(Chitosan)”은 게나 가재, 새우 껍데기에 들어 있는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얻어낸 물질을 말하며, 천연에 존재하는 다당류로서 최근에 특히 주목을 받고 있는 신기능성 물질이다. 최근 보고되고 있는 연구자료에 의하면, 상기 키토산은 동물에게 경구 투여하여도 독성이 거의 없고 장내의 세균이 개선되며, 지방을 흡착 및 흡수하여 체외로 배출시키고 담즙산을 흡착 배출시킴으로써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리포좀은 공액리놀레산과 함께 체중 조절의 효 능을 상승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키토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에 대한 용해도를 고려하여 탈아세틸화도가 50% 내지 90%인 키토산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현재까지 높은 생리활성을 나타내어 잠재적으로 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후보약물 가운데 낮은 용해도로 인하여 개발단계에 조차 진입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물이나 수용액에 잘 녹지 않는 약물을 특수한 조작에 의해 용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개발된 기술 중 하나가 리포좀(liposime)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리포좀은 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기반으로 하여 수용성 내핵과 함께 내핵을 둘러싸고 있는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된 안전하고 효과적인 전달체이다. 따라서 각종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을 리포좀의 형태로 제조할 경우, 보다 안전하게 체내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생리활성 물질의 효과 또한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공액리놀레산에 나노기술을 적용하여 지금까지 개발된 바 없는 나노 리포좀 형태의 공액리놀레산을 제조함에 따라 공액리놀레산의 활성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나노 리포좀(nano liposome)”은 나노 크기의 통상적인 리포좀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평균 입자의 지름이 1~500nm인 리포좀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의 지름이 200~300nm인 리포좀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나노 리포좀은 공액리놀레산 및 키토산 뿐만 아니라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인지질은 공액리놀레산을 안정적으로 캡슐화하는 성분으로서, 천연물 유래의 인지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러한 인지질의 예로는 이제 제한되지는 않으나, 수소화된 소야 포스파티딜 콜린(hydrogenated soya phosphatidyl choline, HSPC), 미리스토일-팔미토일-글리세로포스포콜린(1-Myristoyl-2-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 미리스토일-스테로일-글리세로포스포콜린(1-Myristoyl-2- 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스테로일-팔미토일-글리세로포스포콜린(1-Stearoyl-2-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 레시틴, 디미리스토일-글리세로 포스포콜린(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choline, DMPC), 디펜타데카노일-글리세로포스포콜린(1,2-Dipenta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디도코사헥사에노일-글리세로포스포콜린(1,2-Didocosahexaenoyl-sn-Glycero-3- Phosphocholine) 및 디리놀레오일-글리세로포스포콜린(1,2-Dilinoleoyl-sn- Glycero-3-Phosphocholine)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레시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레스테롤은 리포좀의 안정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성분으로서, 이러한 콜레스테롤로는, 에르고스테롤, 캠페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및 스티그마스케롤과 같은 식물성스테롤; 안드로겐류(androgens, C19), 에스트로겐류(estrogens, C18) 및 알도스테론(aldosterone, C21)과 같은 미네랄코르티코이드류(mineralcorticoids) 및 코르티졸(cortisol, C21)과 같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류(glucocorticoids)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콜레스테롤(cholesterol)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은 나노 리포좀의 총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90 중량부의 인지질, 10 내지 70 중량부의 콜레스테롤, 5 내지 90 중량부의 공액리놀레산 및 0.2 내지 5 중량부의 키토산을 포함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나노 리포좀의 제조방법은, (a) 인지질, 콜레스테롤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기용매에 혼합하여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용해된 혼합용액을 수성용매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나노 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나노 리포좀을 키토산 용액에 첨가하고 균질화시켜 상기 나노 리포좀에 키토산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리포좀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된 상기 공액리놀레산은 식물, 동물 및 미생물을 이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분리 및 정제한 것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공액리놀레산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is9, trans11-CLA; cis9, cis11-CLA; trans9, trans11-CLA; trans10, cis12-CL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공액리놀레산을 각각 또는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공액리놀레산과 함께 혼합되는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공액리놀레산,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인지질, 콜레스테롤 및 공액리놀레산을 용해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를 통해 유기용매로 용해된 혼합용액은 이후 수성용매에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상기 혼합용액에 존재하는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나노 입자화된 공액리놀레산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b)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성용매로는 물에 잘 용해될 수 있는 용매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물, PBS(phosphate buffer saline), TBS(tris buffered saline) 또는 초산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나노 리포좀의 형성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나노 리포좀의 형성 방법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a) 단계에서 용해된 혼합용액을 수성용매에 첨가하고 교반하는 과정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교반은 초음파 펄스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나노 리포좀에 키토산을 코팅하는 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나노 리포좀을 산(acid)을 함유하는 증류수에 키토산을 용해시켜 제조한 키토산 용액에 침지 또는 교반을 통한 혼합 과정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바 람직하게는 균질화시켜 코팅할 수 있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서는 키토산이 코팅된 나노 리포좀에 공액리놀레산의 수용성 및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료로 이차 코팅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차 코팅을 위한 원료로 알긴산을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은 수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공액리놀레산의 경우,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지용성 지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공액리놀레산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액리놀레산을 나노 입자화하고 키토산으로 코팅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물, 쥬스, 커피 등 통상적인 음료에 매우 잘 용해되고 분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향상된 수용성과 분산성으로 인해 다양한 용도를 위한 여러 제형의 제조에 매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공액리놀레산은 체지방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지방식이의 섭취로 인해 유발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최근에는 공액리놀레산을 생리활성 강화소재 또는 항비만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Ha, Y. L. 등., Cancer Res ., 50, 1097, 199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 포좀은 종래의 공액리놀레산에 비해 수용성, 즉 용해성 및 분산성이 현저히 개선되었으므로 공액리놀레산의 생리활성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나노 리포좀은 비만 및 심혈관 질환들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만”이란 소모하는 열량에 비해 과다한 열량을 섭취함으로써 여분의 열량이 체내에 지방의 형태로 축적되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비만은 유전적 영향, 서구화되는 식생활에 의한 환경적인 영향, 스트레스에 의한 심리적인 영향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되어지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아직 그 정확한 원인이나 기작에 관해서는 명확히 정립된 바가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비만은, 비만 그 자체가 갖는 문제점 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이나 당뇨와 같은 질병의 원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Manson et al., New England J. Med., 333, 677-685, 1995; Kopleman P.G., Nature, 404, 635-643, 2000; Must et al., JAMA, 282, 1523-1529, 1999).
또한, 상기 “심혈관 질환 또는 증상”이란 혈청 내 콜레스테롤 중 LDL 콜레스테롤이 산화되어 그 산화산물이 동맥 내 피하조직에 축적되고 여러 염증 반응이 증가하여 초래되는 만성질환으로서, 불충분한, 바람직하지 않은 또는 비정상적 심장 기능으로부터 초래되는 임의의 증상 및 모든 장애를 말한다. 상기 심혈관 질환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동맹경화, 고혈압, 협심증, 고지혈증, 심근경색, 고콜레스테롤증 및 혈전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증상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의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0.5 ~ 100 mg/day/체중kg, 바람직하게는 0.5 ~ 5 mg/day/체중kg이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비만 및 심혈관 질환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만 및 심혈관 질환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만 및 심혈관 질환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비만 및 심혈관 질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나노 리포좀의 개선된 용해성 및 분산성으로 인해 비람직한 치료 효과를 얻는데 있어서 필요한 활성성분, 즉 유효성분의 양을 적게 투여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약물에 대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 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내에 대해 매우 안정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비만 및 심혈관 질환 증상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에 첨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비만 및 심혈관 질환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비만 및 심혈관 질환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용 조성물은 비만 및 심혈관 질환 증상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는 식품,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비만 및 심혈관 질환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원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소시지와 햄 등 콜레스테롤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마요네즈,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 공식품, 음료(예, 과실 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각종 양념,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식용색소, 식용향료, 생약초, 과일, 올리고당, 키토산 및 구연산 등의 통상적인 첨가 성분들을 적당량 가하여 좋은 맛과 향이 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서 상기“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비만 및 심혈관 질환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술한 것 이외에 본원발명의 비만 및 심혈관 질환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 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에는 본 발명의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체내에서 당,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흡수를 억제하여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억제하는데 사용되는 공지의 물질 또는 새로운 물질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비만 및 심혈관 질환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 중량% 내지 9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음료의 경우, 100ml를 기준으로 0.001g 내지 2g, 바람직하게는 0.01g 내지 0.1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료”란 동물이 먹고 섭취하고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또는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한 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리포좀을 함유하는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는 경구 투여를 통한 공액리놀레산의 생체 이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사료를 섭취한 동물들의 체내에 공액리놀레산이 효율적으로 흡수 및 축적되어 궁극적으로는 인간이 이들 사료로 사육된 고기를 섭취하였을 경우, 고기에 함유된 공액리놀레산에 의해 콜레스테롤 및 지방의 흡수가 저해되어 비만 및 심혈관 질환을 예방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함유하는 사료는 포유류, 가금 및 어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 식이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돼지, 소, 양, 염소, 캥거루와 같은 상업상 중요한 포유류, 개 및 고양이와 같은 가축 및 닭, 오리, 거위, 꿩 및 메추라기와 같은 가금의 식이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에 포함되는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 함유 조성물은 동물 사료 건조 중량 기준으로 사료 1kg당 약 1g 내지 100g의 양으로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포함된 사료 혼합물은 완전히 혼합한 후, 성분들의 분쇄 정도에 따라 경점성의 조립 또는 과립형태의 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된 사료는 추가 가공 및 포장을 위해 원하는 분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의 펠렛화, 팽창화 또는 압출 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사료에는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 함유 조성물 이외에도 통상의 사료 첨가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성분으로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생물질, 항균물질, 항곰팡이 효소 등과 같은 각종 보조제,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및 질병예방제와 같은 물질들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 함유 조성물은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는 방법으로 상기 사료에 첨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이 코팅된 나노 리포좀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해 순도 95% 이상의 레시틴(난황) 70 mg과 콜레스테롤 30mg을 공액리놀레산이 함유된 에탄올 4 ml에 용해하였고, 이후 상기 용해액을 PBS(phosphate buffer saline) 완충용액 (pH4.0)에 한 방울씩 낙하시킨 다음, 4시간 이상을 교반하는 과정을 통해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공액리놀레산은 cis-9, trans-11-CLA, trans-10, cis-12-CLA 및 trans-9, trans-11-CLA가 혼합된 공액리놀레산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혼합된 공액리놀레산은 제조된 나노 리포좀의 총 중량에 대하여 77.57%가 되도 록 cis-9, trans-11-CLA 37.72%, trans-10, cis-12-CLA 38.48% 및 trans-9, trans-11-CLA 0.74%를 사용하였다. 이후 초음파 호모게나이저(VCX750. Sonics & Materials, INC., USA)를 이용하여 나노 리포좀을 분산시켰다. 상기 과정으로 나노 리포좀을 형성한 다음 코팅 과정을 수행하였는데, 코팅 원료로는 양전하를 띠는 키토산(분자량: 3,000, 30,000, 150,000 달톤)을 사용하였다(Sonvico et al., 2006). 이때, 코팅을 위한 용액으로는 0.1% 초산을 함유하는 증류수에 0.1, 0.2, 0.3 및 0.5%(w/v)의 키토산을 각각 용해시켜 제조한 키토산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키토산 용액을 상기 기술한 나노 리포좀 함유 용액에 첨가한 다음, 혼합한 혼합용액을 2, 3, 4, 5 및 6분 동안 각각 균질화시켜 키토산을 나노 리포좀에 코팅시켰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증류수에 알긴산(중량부로 0.1, 0.3, 0.5%씩 첨가)이 용해된 용액을 이차 코팅원료로 사용하여 상기 키토산으로 코팅된 1차 코팅 시료에 첨가한 다음, 혼합한 혼합용액을 일정 시간동안 균질화시켜 2차 코팅하였다. 이후, 코팅된 나노 리포좀은 Supra 25K(한일, 한국)를 사용하여 32,000g에서 20분 동안 원심 분리하였다. 침전된 침전물은 증류수로 재분산시킨 다음, 이를 -70에서 12시간 동안 동결한 후, 다시 40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수행함으로써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이 코팅된 흰색분말의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이 코팅된 나노 리포좀의 수용성 확인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이 코팅된 나노 리포좀의 수용성 및 분산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은 통상적인 음료에 본 발명에서 제조된 나노 리포좀을 용해시켜 탁도의 변화와 침전을 확인함으로써 수행하였고, 이때 대조군으로는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통상의 공액리놀레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통상의 공액리놀레산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 제조된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한 키토산 나노 리포좀의 경우, 물, 커피, 쥬스 등 통상적인 음료에 매우 쉽게 용해되고 분산되어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신규한 형태의 공액리놀레산의 경우, 체내 흡수성이 좋도록 물에 대한 용해 정도가 매우 우수하게 개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3>
본 발명의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이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공액리놀레산 함유 키토산이 코팅된 나노 리포좀을 포함하는 소세지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들 및 함량비로 제조하였으며, 제조 과정은 통상적인 소세지 제조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소세지 제조에 사용한 조성
성분 함량(%)
돈육 60
계육 27
전분 3
대두단백 1
식염 1
포도당 0.5
기타첨가물(글레세린) 1
공액리놀레산 함유 키토산이 코팅된 나노 리포좀 6.5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인지질 30 내지 90 중량부, 콜레스테롤 10 내지 70 중량부, 공액리놀레산 5 내지 90 중량부 및 키토산 0.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nano liposome).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액리놀레산은 시스9, 트랜스11-공액리놀레산(cis9, trans11-CLA); 시스9, 시스11-공액리놀레산(cis9, cis11-CLA); 트랜스9, 트랜스11-공액리놀레산(trans9, trans11-CLA); 트랜스10, 시스12-공액리놀레산(trans10, cis12-CL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탈아세틸화도가 50% 내지 90%인 키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키토산으로 코팅된 나노 리포좀.
  5. (a) 인지질, 콜레스테롤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기용매에 혼합하여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용해한 혼합용액을 수성용매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나노 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나노 리포좀을 키토산 용액에 첨가하고 균질화시켜 상기 나노 리포좀에 키토산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유기용매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수성용매는 물, PBS(phosphate buffer saline), TBS(tris buffered saline) 및 초산완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교반은 초음파 펄스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54283A 2009-06-18 2009-06-18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1354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283A KR101354314B1 (ko) 2009-06-18 2009-06-18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283A KR101354314B1 (ko) 2009-06-18 2009-06-18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096A KR20100136096A (ko) 2010-12-28
KR101354314B1 true KR101354314B1 (ko) 2014-01-24

Family

ID=4351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283A Active KR101354314B1 (ko) 2009-06-18 2009-06-18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961B1 (ko) * 2012-05-16 2015-02-1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압출공정 없이 핵산 함유 나노 리포솜을 제조하는 방법
KR101687735B1 (ko) * 2015-09-18 2016-12-19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의 동결건조보조제 및 새로운 인지질 용해용 혼합용매를 이용한 리포좀 동결분체의 제조방법
KR102047910B1 (ko) * 2019-02-19 2019-11-28 대한민국 어류 경구백신용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838A (ja) 1998-01-05 2002-08-23 Natural Ltd As 体重減少および肥満処置の方法
KR20080110274A (ko) * 2007-06-15 2008-12-18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불포화 생물분자를 이용한 키토산 하이드로젤과 이의제조방법
KR20100083423A (ko) * 2009-01-13 2010-07-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액 리놀레인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리포좀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838A (ja) 1998-01-05 2002-08-23 Natural Ltd As 体重減少および肥満処置の方法
KR20080110274A (ko) * 2007-06-15 2008-12-18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불포화 생물분자를 이용한 키토산 하이드로젤과 이의제조방법
KR20100083423A (ko) * 2009-01-13 2010-07-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액 리놀레인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리포좀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096A (ko) 201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3273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a polyphenol for musculoskeletal health
JP4699901B2 (ja) 体脂肪代謝機能と燃焼エネルギーの活用機能とを備えているダイエット用添加物質
EP2799083B1 (en) Muscle atrophy inhibitor
WO1997047209A1 (fr) Amelioration du metabolisme lipidique
US20100136118A1 (en) Calcium absorption enhancer
CN112399799A (zh) 脂肪蓄积抑制用组合物
WO2011096413A1 (ja) 運動機能改善剤
US20040219238A1 (en) Remedies
JP2009286703A (ja) D−タガトースを有効成分とする体脂肪蓄積改善剤および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改善剤
WO2012137953A1 (ja) 動物用栄養組成物
KR101354314B1 (ko)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EP2037757B1 (en) Feed product for dairy cows and method of obtaining a dairy product
JP5122766B2 (ja) エコール産生促進組成物
JP5922862B2 (ja) ミトコンドリア機能向上剤
KR20100050768A (ko) 식물성 스테롤을 함유하는 키토산 코팅된 나노 리포좀 및 그 제조방법
WO2021125342A1 (ja) 肥満抑制用組成物
US10744100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a polyphenol for musculoskeletal health
JP4889970B2 (ja) 高リン血症用製剤
WO2019139032A1 (ja) 癌患者筋肉量減少抑制組成物
WO2015190682A1 (ko) 쿠마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용 조성물
JP5004446B2 (ja) 皮膚改善剤
KR20130132167A (ko) 프로타민 및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3261445A (ja) 血中中性脂肪低減剤
WO2025047856A1 (ja) 筋萎縮抑制薬
HK40036240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a polyphenol for muscle h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6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