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51573B1 - Method for direct 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rect 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573B1
KR101351573B1 KR1020120137915A KR20120137915A KR101351573B1 KR 101351573 B1 KR101351573 B1 KR 101351573B1 KR 1020120137915 A KR1020120137915 A KR 1020120137915A KR 20120137915 A KR20120137915 A KR 20120137915A KR 101351573 B1 KR101351573 B1 KR 101351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ccess point
data frame
direct link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욱
이건희
김신규
서정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7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573B1/en
Priority to PCT/KR2013/009170 priority patent/WO201408449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573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은,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 직접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수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버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direct link communication method on a wireless network is disclosed. In a method for direct link communication on 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ncludes: establishing a direct link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switching the second terminal to a sleep mode, and wherein the first terminal is the second terminal. Sending a data frame to the first access point, overhearing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frame, and the first access point buffering the data frame.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Method for direct 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Method for direct 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접링크설정(direct link setup)을 지원하는 802.11 기반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무선랜 통신 시스템 환경하에서 직접링크가 설립된 두 단말들간에 전력절감기법을 적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 link communication method on a wireless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between two terminals where a direct link is established in a WLAN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of an 802.11-based infrastructure mode supporting direct link setu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applying a power saving technique.

802.11기반의 무선랜은 많은 무선 통신 사용자들에게 오래 전부터 널리 쓰이는 IEEE의 표준 기술이다. 802.11-based WLAN is a standard technology of IEEE widely used by many wireless communication users for a long time.

무선랜에는 모드인 인프라스트럭처 모드(infrastructure mode)와 애드혹 모드(adhoc mode)의 두 가지 모드가 있다. In WLAN, there are two modes, an infrastructure mode and an adhoc mode.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경우, 동일한 BSS(Basic Service Set)내의 두 단말간의 데이터 교환은 중간에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라고 불리는 중계기를 통해 수행된다. 이와 달리 애드혹 모드의 경우 두 단말간에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In the infrastructure mode, data exchange between two terminals in the same basic service set (BSS) is performed through a repeater called an access point in the middle. In contrast, in the ad hoc mod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wo terminals is possible.

802.11 기반의 무선랜에서 사용되는 매체접근방식으로는 크게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와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로 분류된다.Media access methods used in 802.11-based WLANs are classified into DCF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and PCF (Point Coordination Function).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를 기반으로 하는 DCF에서의 단말들은 다른 단말들과 경쟁(contention)을 수행한 뒤 자신의 프레임을 전송한다. UEs in DCF based on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CSMA / CA) transmit their own frames after contention with other UEs.

이와 달리 PCF에서는 액세스포인트가 폴링(polling)방식으로 각 단말에게 순차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며, 단말은 자신의 차례에 맞춰 데이터 프레임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In contrast, in the PCF, the access point sequentially allocates resources to each terminal in a polling manner, and the terminal delivers data frames according to its turn.

이러한 무선랜에서는 네트워크의 처리량을 높이는 것(단말의 처리량을 높이는 것과 같은 의미)과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는 것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계속 연구될 것이다.In such a WLAN,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ncrease the throughput of the network (meaning to increase the throughput of the terminal) an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한편, 직접링크설정 기법은 802.11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처리량을 높이는 기술에 속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irect link establishment technique belongs to the technology to increase the throughput of 802.11-based wireless network.

본 발명에서는 무선랜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동작한다고 가정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WLAN operates in an infrastructure mode.

종래의 무선랜 통신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STA1(10)과 STA2(20)의 두 단말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반드시 AP1(100)을 거쳐야 한다. In order to explain the conventional WLAN communication method, referring to FIG. 1, the STA1 10 and the STA2 20 must pass through the AP1 100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two terminals.

하지만 동일한 BSS1내의 두 단말 STA1(10)과 STA2(20)이 서로 인접한 영역에 있어 통신이 가능한 경우 직접링크설정 기법을 적용하면 두 단말간에 애드혹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However, if two terminals STA1 10 and STA2 20 in the same BSS1 are in adjacent area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in an ad hoc mode between the two terminals by applying a direct link setting technique.

종래의 직접링크설정 기법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직접링크설정을 위하여 STA1(10)은 AP1(100)에 송신측인 STA1의 MAC 주소와 수신측인 AP1의 MAC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S110).In order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direct link setting scheme, referring to FIG. 2, for direct link establishment, the STA1 10 transmits the MAC address of the transmitting STA1 to the AP1 100 and the receiving AP1 of the receiving AP1. The data frame including the MAC address is transmitted (S110).

이후, AP1(100)은 STA2(20)에 송신측인 AP1의 MAC 주소와 수신측인 STA2의 MAC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S120).Thereafter, the AP1 100 transmits a data frame including the MAC address of the transmitting AP1 and the MAC address of the receiving STA2 to the STA2 20 (S120).

STA1(10), AP1(100) 및 STA2(20)는 STA1(10)과 STA(20)간 직접링크설정을 시작한다(S130).The STA1 10, the AP1 100, and the STA2 20 start setting up a direct link between the STA1 10 and the STA 20 (S130).

이후, STA1(10)는 직접링크설정 요청(DLS Request) 프레임을 AP1(100)에게 전송한다(S140). Thereafter, the STA1 10 transmits a direct link setup request (DLS Request) frame to the AP1 100 (S140).

직접링크설정 요청 프레임은 802.11 표준에 정의되어 있으며 새로이 정의된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으로 STA2의 주소 등 여러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The direct link setup request frame is defined in the 802.11 standard and is a newly defined management frame that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address of STA2.

이를 수신한 AP1(100)은 STA2(20)로 직접링크설정 요청 프레임을 전달해주고(S150), STA2(20)는 응답으로 직접링크설정 응답(DLS Response) 프레임을 AP1에게 전달한다(S160). 마지막으로 AP1은 수신한 응답 프레임을 STA1에게 전달해주는 것으로 직접링크설정 과정이 끝난다(S170).Upon receiving this, the AP1 100 transmits a direct link setup request frame to the STA2 20 (S150), and the STA2 20 transmits a direct link setup response (DLS Response) frame to the AP1 in response (S160). Finally, AP1 transmits the received response frame to STA1, and the direct link setup process ends (S170).

STA1(10), AP1(100) 및 STA2(20)는 STA1(10)과 STA(20)간 직접링크설정을 완료하고(S180), STA1(10)은 STA2(20)에 송신측인 STA1의 MAC 주소와 수신측인 STA2의 MAC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S190).The STA1 (10), the AP1 (100) and the STA2 (20) complete the direct link setting between the STA1 (10) and the STA (20) (S180), and the STA1 (10) of the STA1 which is the transmitting side to the STA2 (20). A data frame including the MAC address and the MAC address of the receiving STA2 is transmitted (S190).

직접링크설정 기법을 활용하여 애드혹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두 단말간 데이터 전송은 한번 만에 완료(예, STA1?STA2)되지만,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는 액세스포인트를 거쳐야 하므로 두 번의 전송(예, STA1?AP, AP?STA2)이 필요하다. When operating in the ad hoc mode using the direct link setting technique, data transmission between two terminals is completed in one time (eg STA1? STA2), but when operating in the infrastructure mode, two transmissions (eg , STA1? AP, AP? STA2).

이처럼 직접링크를 활용하면 무선랜 채널의 접속 횟수를 줄일 수 있기에 네트워크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By using the direct link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accesses to the WLAN channel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network processing efficiency.

한편, 전력 절감 기법(power saving mode)은 채널을 사용하지 않는 유휴(idle)시간에 낭비되는 단말의 전력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802.11의 표준기술에 속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ower saving mode (power saving mode) is to reduce the power of the terminal wasted during idle time (idle) not using the channel, belongs to the standard technology of 802.11.

전력 절감 기법을 지원하는 단말은 두 가지 모드, 활성 모드(active mode)와 수면 모드(sleep mode)를 활용한다. A terminal supporting the power saving scheme utilizes two modes, an active mode and a sleep mode.

활성 모드의 단말은 액세스포인트(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또는 다른 단말(애드혹 모드)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인터페이스를 켠 상태를 의미한다.A terminal in the active mode means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interface is turned on so as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with an access point (infrastructure mode) or another terminal (ad hoc mode).

수면 모드의 단말은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끈 상태를 의미한다. The terminal in the sleep mod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interface is turned off to reduce power consumption.

전력 절감 기법을 지원하는 단말은 액세스포인트 또는 다른 단말과 주고 받는 데이터가 적거나 혹은 다른 이유 등으로 수면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The terminal supporting the power saving scheme may switch to the sleep mode due to less or different data exchanged with the access point or another terminal.

종래의 전력 절감 기법의 한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S210 내지 S240 단계는 도 2의 S110 내지 S190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order to explain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power saving scheme, the steps S210 to S240 are the same as the steps S110 to S190 of FIG. 2,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STA2(20)는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해 수면모드로 전환한다(S250). The STA2 20 switches to the sleep mod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S250).

이후, STA1(10)은 STA2(20)가 수면모드로 전환했음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데이터프레임 전송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게 된다(S260). Thereafter, the STA1 10 continuously attempts to transmit the data frame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known that the STA2 20 has switched to the sleep mode (S260).

STA2(20)은 수면모드 상태이므로 STA1(10)이 전송하는 데이터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자원 낭비의 문제가 발생한다. Since the STA2 20 is in the sleep mode, there is a problem of resource waste that fails to receive a data frame transmitted by the STA1 10.

이러한 자원 낭비는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DLPIdleTimeout이 만료될 때까지 계속되며(S270), 이 시간 이후는 암묵적으로 STA1(10)과 STA2(20)간 직접링크가 해제된다(S280).This waste of resources continues until the DLPIdleTimeout defined in the standard expires (S270), after which the direct link between STA1 10 and STA2 20 is implicitly released (S280).

따라서 직접링크연결에서 기본적인 802.11 동작과정으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DLPIdleTimeout 시간 동안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resources are wasted during the DLPIdleTimeout time required to switch from the direct link connection to the basic 802.11 operation.

더욱이 STA1(10)은 여전히 STA2(20)가 수면모드로 전환했음을 알지 못하므로 다시 직접링크설정 설립을 시도할 것이며, 연결된 직접링크는 다시 DLPIdleTimeout후에 끊기는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Furthermore, STA1 10 still does not know that STA2 20 has switched to the sleep mode, so it will attempt to establish a direct link setting again, and the connected direct link may be repeatedly disconnected after DLPIdleTimeout.

한국공개특허 제2012-7000518호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단말간 직접링크연결 통신환경하에서 전력절감모드 사용을 원활하게 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이 한국공개특허에 개시된 기술은 다른 BSS에 속한 단말들간의 직접링크설정 된 환경에서의 전력 절감 기법 사용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7000518 discloses a technology for facilitating the use of a power saving mode in a direct link connection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terminals in a wireless LAN system. There is a limitation that does not consider the problem that occurs when using the power saving technique in the direct link setting environm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종래의 직접링크설정을 지원하는 802.11 기반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무선랜에서 직접링크가 설정된 두 단말들간에 전력 절감 기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원낭비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 of resource waste occurring in the process of applying a power saving scheme between two terminals in which a direct link is established in a WLAN of an 802.11-based infrastructure mode supporting a conventional direct link configuration.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은,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 직접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수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버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irect link communication method on a wireless network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establishing a direct link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is switched to the sleep mode, the first terminal is the Transmitting a data frame to a second terminal, the first access point overhearing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frame, and the first access point buffering the data frame.

이 때,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버퍼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데이터 ACK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uffering of the data frame by the first access point may include transmitting a data ACK frame indicating that the data frame was successfully received by the first access point. .

이 때,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활성모드 상태로 전환하였음을 알리는 단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2 단말에 버퍼링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ethod may include notifying the first access point that the second terminal ha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state, and transmitting the buffered data frame to the second terminal by the first access point.

이 때, 상기 제2 단말은, 주기적으로 활성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비콘(Beacon)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비콘(Beacon)프레임을 확인하여, 수신해야 할 데이터프레임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활성모드 상태로 전환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terminal periodically switches to an active mode to receive a beacon frame broadcasted by the first access point (Beacon) frame, to check the beacon (Beacon) frame, to receive If there is a data frame, the first access point can be notified that it ha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이 때,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비콘(Beacon)프레임의 TIM(Traffic Indication Map)필드를 확인하여 수신해야 할 데이터프레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terminal may check whether there is a data frame to be received by checking a TIM (Traffic Indication Map) field of the beacon frame.

이 때,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널(Null)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여 수면모드로 전환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terminal may inform that the mobile terminal has switched to the sleep mode by transmitting a null data frame to the first access point.

이 때, 상기 널(Null) 데이터 프레임은 PM(Power Management)비트가 1로 설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ull data frame may be set to PM (Power Management) bit.

이 때,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직접링크 단말관리테이블에서 단말 ID(Identification)가 상기 제2 단말의 MAC 주소와 일치하는 엔트리를 검색하여 상기 엔트리의 단말모드를 수면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ccess point may search for an entry whose terminal ID (Identification) matches the MAC address of the second terminal in the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and set the terminal mode of the entry to the sleep mo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은,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 직접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수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속한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1 단말이 속한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상기 제2 단말의 상태가 수면모드로 전환하였음을 알리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는 단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오버히어링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irect link communication method on a wireless network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establishing a direct link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ransitions to the sleep mode, the second terminal belongs A second access point notifying the first access point to which the first terminal belongs that the state of the second terminal has switched to the sleep mode, the first terminal transmitting a data frame to the second terminal, A first access point overhearing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frame, and the first access point forwarding the data frame overheard to the second access point.

이 때,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데이터 ACK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ccess point overhearing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frame, the first access point transmits a data ACK frame indicating that the data frame was successfully received to the first terminal It may include a step.

이 때,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캡슐화하여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ccess point may encapsulate the data frame and deliver it to the second access point.

이 때,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캡슐화된 데이터 프레임을 역캡슐화하여 버퍼링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access point may decapsulate and buffer the encapsulated data frame.

이 때,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활성모드 상태로 전환하였음을 알리는 단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2 단말에 버퍼링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thod may include notifying the second access point that the second terminal ha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state, and transmitting the buffered data frame to the second terminal.

이 때, 상기 제2 단말은, 주기적으로 활성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비콘(Beacon)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비콘(Beacon)프레임을 확인하여, 수신해야 할 데이터프레임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활성모드 상태로 전환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terminal periodically switches to an active mode to receive a beacon frame broadcasted by the second access point (Beacon) frame, to check the beacon (Beacon) frame, to receive If there is a data frame, the second access point can be notified that it ha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이 때,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비콘(Beacon)프레임의 TIM(Traffic Indication Map)필드를 확인하여 수신해야 할 데이터프레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terminal may check whether there is a data frame to be received by checking a TIM (Traffic Indication Map) field of the beacon frame.

이 때,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널(Null)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여 수면모드로 전환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terminal may transmit a null data frame to the second access point to notify that it has switched to the sleep mode.

이 때, 상기 널(Null) 데이터 프레임은 PM(Power Management)비트가 1로 설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ull data frame may be set to PM (Power Management) bit.

이 때,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 및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직접링크 단말관리테이블에서 단말 ID(Identification)가 상기 제2 단말의 MAC 주소와 일치하는 엔트리를 검색하여 상기 엔트리의 단말모드를 수면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ccess point and the second access point searches for an entry whose terminal ID (Identification) matches the MAC address of the second terminal in the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and sets the terminal mode of the entry to the sleep mode. Can be set.

이 때, 상기 직접링크단말 관리테이블은, 단말 식별자 정보, 단말 모드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may include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terminal mode information, and access point identifier information.

이 때,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는 IAPP(Inter Access Point Protocol)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access point may transmit / receive data with the first access point using an Inter Access Point Protocol (IAP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직접링크설정을 지원하는 802.11 기반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무선랜에서 직접링크가 설정된 두 단말들간에 전력 절감 기법을 적용함에 있어 액세스포인트를 활용하여, 기존 단말의 수정을 요구함이 없이, DLPIdleTimeout 시간 동안 발생하는 자원낭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reless LAN of the 802.11-based infrastructure mode that supports the conventional direct link setting in the application of a power saving scheme between the power saving method between the two terminals of the direct link, the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terminal, It can solve the problem of resource waste that occurs during DLPIdleTimeout time without requiring.

도 1은 일반적인 무선랜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인 직접링크설정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인 직접링크설정 후 전력 절감 기술을 이용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포인트(AP)의 직접링크 단말관리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포인트(AP)의 직접링크 단말관리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포인트(AP)의 직접링크 단말관리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한 BSS 내에서 단말 간의 전력 절감 기술을 이용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BSS 내에서 단말 간의 전력 절감 기술을 이용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포인트(AP)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포인트(AP)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WLAN network.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irect link setting operation process.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using a power saving technique after setting a direct link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of an access point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llustrates a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of an access point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of an access point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using a power saving technique between terminals in the same B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using a power saving technique between terminals in different BS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access point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access point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repeated description, a known function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a, 4b 및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포인트(AP)의 직접링크 단말관리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4A, 4B and 4C illustrate a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of an access point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포인트(AP)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접링크를 맺고 있는 단말들을 관리하기 위해 직접링크단말 관리테이블을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An access point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intain and manage a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to manage terminals having one or more direct links.

도 4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접링크 단말관리테이블은 단말 ID, 단말 모드, 및 액세스포인트 ID로 구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A, a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ID, a terminal mode, and an access point ID.

단말 ID는 단말의 MAC 주소를, 액세스포인트 ID는 액세스포인트의 MAC주소를, 단말 모드는 전력 절감 기법의 활성 또는 수면 모드를 의미한다. The terminal ID refers to the MAC address of the terminal, the access point ID refers to the MAC address of the access point, and the terminal mode refers to an active or sleep mode of a power saving scheme.

액세스포인트는 자신의 BSS내 단말들 간의 직접 링크와 자신의 BSS내 단말과 다른 BSS의 단말 간 직접 링크에 대한 단말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The access point may manage terminal information on a direct link between terminals in its BSS and a direct link between terminals in its BSS and another BSS.

단말모드를 제외한 단말 ID와 액세스포인트 ID는 직접링크설정 과정 중에 교환되는 프레임을 통해 생성할 수 있다.The terminal ID and the access point ID except for the terminal mode may be generated through frames exchanged during the direct link setup process.

도 4b 및 4c를 참고하면, 도 4b 및 4c의 단말관리테이블은 도 1의 AP1(100) 및 AP2(200)의 단말관리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4B and 4C, the terminal management table of FIGS. 4B and 4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management table of the AP1 100 and the AP2 200 of FIG. 1.

AP1(100)은 두 직접링크(STA1-STA2 및 STA1-STA3)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AP1 100 may confirm that it has information on two direct links STA1-STA2 and STA1-STA3.

액세스포인트는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단말의 모드가 변경이 되었을 때, 이를 주변 액세스포인트에게 알려준다. The access point notifies the neighboring access points when the mode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device is changed.

이 때, 대상 주변 액세스 포인트는 모드가 변경된 단말과 직접링크를 맺고 있는 단말의 액세스포인트들이다. At this time, the target peripheral access points are the access points of the terminal making a direct link with the terminal whose mode is changed.

예를 들어, AP2(200)는 STA3(30)의 모드가 변경되면 정보교환과정을 통해 STA3(30)와 직접링크를 맺고 있는 STA1(10)의 AP1(100)에게 변경된 모드를 알려준다. For example, when the mode of the STA3 30 is changed, the AP2 200 notifies the AP1 100 of the STA1 10 having a direct link with the STA3 30 through an information exchange process.

그러나 단말이 데이터수신을 위한 일시적으로 모드 변경을 하는 경우에는 직접링크 단말 관리테이블의 단말 MAC주소에 해당하는 엔트리의 단말모드필드를 활성모드로 변경하지 않는다. However, when the terminal temporarily changes the mode for data reception, the terminal mode field of the entry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MAC address of the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is not changed to the active mode.

예를 들어, 수면모드 단말이 비콘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 한 뒤 데이터프레임 수신을 위해 PS_POLL을 전송하는 경우이다. For example, the sleep mode terminal broadcasts a beacon frame and then transmits a PS_POLL to receive a data frame.

정보교환과정은 액세스포인트간 정보교환을 위해 제안된 프로토콜인 IAPP (Inter Access Point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으며, 단말 모드정보 등의 추가정보가 포함될 수 있도록 IAPP를 확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exchange process may use IAPP (Inter Access Point Protocol), a protocol proposed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ccess points, and may extend IAPP to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erminal mode inform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한 BSS 내에서 단말 간의 전력 절감 기술을 이용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using a power saving technique between terminals in the same B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한 BSS 내에서 단말 간의 전력 절감 기술을 이용한 동작 과정은 우선, STA1(10)과 STA2(20) 사이에 직접링크를 설정한다(S410).Referring to FIG. 5, in an operation of using a power saving technique between terminals in the same B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rect link is first established between the STA1 10 and the STA2 20 (S410).

S410 단계는 도 2의 S110 단계 내지 S180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step S410 is the same as step S110 to step S180 of FIG. 2,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410 단계 이후에 STA1(10), AP1(100) 및 STA2(20)는 STA1(10)과 STA(20)간 직접링크설정을 완료하고, STA1(10)은 STA2(20)에 송신측인 STA1의 MAC 주소와 수신측인 STA2의 MAC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S420).After step S410, STA1 (10), AP1 (100) and STA2 (20) completes the direct link setting between STA1 (10) and STA (20), STA1 (10) STA1 is the transmitting side to STA2 (20) A data frame including the MAC address of the STA2 and the MAC address of the receiving STA is transmitted (S420).

데이터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STA2(20)는 ACK프레임을 STA1(10)으로 전송하여 데이터를 수신했음을 알린다(S430). The STA2 20 that successfully receives the data frame transmits an ACK frame to the STA1 10 to inform that the data has been received (S430).

일정 시간 후, STA2(20)는 수면모드로의 전환을 결정하고(S440), null 데이터 프레임을 AP1에게 전송한다(S450). After a certain time, the STA2 20 determines to switch to the sleep mode (S440), and transmits a null data frame to the AP1 (S450).

이 때, STA2(20)는 null 데이터 프레임(MAC 프레임에서 데이터 부분이 없는 데이터 프레임)에 PM(power management)비트를 1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A2 20 may transmit a power management (PM) bit set to 1 in a null data frame (a data frame having no data portion in the MAC frame).

이후, AP1(100)은 null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CK(acknowledge) 프레임을 STA2(20)에게 전송하며(S460), ACK 프레임을 수신한 STA2(20)은 수면모드로 전환한다(S470). Thereafter, the AP1 100 transmits an acknowledgment frame to the STA2 20 in response to the null data frame (S460), and the STA2 20 that receives the ACK frame switches to the sleep mode (S470).

이 때, AP1(100)은 도 4b의 직접링크단말 관리테이블에서 단말 ID가 STA2의 MAC주소와 일치하는 엔트리를 찾는다. At this time, the AP1 100 finds an entry in which the terminal ID matches the MAC address of the STA2 in the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of FIG. 4B.

엔트리가 존재할 경우 해당 엔트리의 단말 모드를 수면모드로 설정한다. If the entry exists, the terminal mode of the entry is set to the sleep mode.

그러나 STA1(10)은 STA2(20)가 수면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지 못하므로 여전히 STA2에게 직접전송을 시도한다(S480). However, the STA1 10 does not know that the STA2 20 has been switched to the sleep mode, and thus still attempts direct transmission to the STA2 (S480).

이 때, AP1(100)은 STA1(10)이 전송하는 데이터를 오버히어링한 뒤 STA2(20)가 수면모드에 있음을 판단하고, STA2(20)를 대신하여 ACK 프레임을 전송하고, 1로 설정된 PM 비트를 인지한 AP1(100)은 STA2(20)이 수면모드로 전환되었음을 판단하고 STA2(2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 버퍼링을 시작한다(S490). At this time, the AP1 100 determines that the STA2 20 is in the sleep mode after overhearing the data transmitted by the STA1 10, transmits an ACK frame on behalf of the STA2 20, and is set to 1. Recognizing the PM bit, the AP1 100 determines that the STA2 20 has switched to the sleep mode and starts buffering the data frame transmitted to the STA2 20 (S490).

이후, AP1(100)은 전력절감 기법의 동작과정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을 STA2(20)에게 전달한다(S500). Thereafter, the AP1 100 transmits the data frame to the STA2 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saving scheme (S500).

S500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AP1(100)은 주기적으로 비콘(beacon)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한다.Referring to step S500 in detail, AP1 100 periodically broadcasts a beacon frame.

이 때, 비콘(beacon)프레임에는 TIM(Traffic Indication Map)필드를 포함하고, TIM필드의 각 비트는 현재 연결을 맺고 있는 단말들과 1대1로 맵핑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eacon frame includes a TIM (Traffic Indication Map) field, and each bit of the TIM field may be mapped one-to-one with terminals currently connected.

액세스포인트는 특정 단말로 향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하나 이상 버퍼링하고 있을 경우에 TIM필드의 해당 비트가 1로 설정한다. When the access point buffers one or more data frames destined for a specific terminal, the corresponding bit of the TIM field is set to '1'.

STA2(20)는 AP1(100)의 비콘 주기를 알고 있어, 주기적으로 비콘프레임이 전송되기 바로 직전에 활성모드로 전환하여 비콘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The STA2 20 may know the beacon period of the AP1 100, and periodically switch to the active mode immediately before the beacon frame is transmitted to receive the beacon frame.

STA2(20)는 TIM 필드의 해당 비트가 확인하여 자신이 수신해야 할 데이터프레임이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The STA2 20 may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bit of the TIM field checks whether there is a data frame to be received.

만약 STA2(20)와 관련 있는 TIM필드의 해당 비트가 1로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 AP1(100)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하여, AP1(100)에 STA2(20) 자신이 활성모드로 전환했음을 알린다.If the corresponding bit of the TIM field associated with STA2 20 is set to 1, STA2 20 itself switches to active mode in AP1 100 in order to receive a data frame from AP1 100. Inform.

현재 AP1(100)은 STA2(20)가 수면모드 상태인 것으로 인지하고 있다.Currently, the AP1 100 recognizes that the STA2 20 is in the sleep mode.

STA2(20)는 자신이 활성모드로 전환했음을 알리기 위해, AP1(100)에게 DCF의 동작과정에 따라 PS_POLL 관리 프레임을 전송한다.The STA2 20 transmits a PS_POLL management frame to the AP1 1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CF to notify that it ha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PS_POLL관리 프레임을 수신한 AP1(100)은 응답으로 ACK 프레임을 STA2(20)에게 전송한다. Upon receiving the PS_POLL management frame, the AP1 100 transmits an ACK frame to the STA2 20 in response.

이후, AP1(100)은 802.11 DCF 동작과정에 따라 STA2(20)에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STA2(20)는 ACK 프레임으로 응답한다.Thereafter, the AP1 100 transmits a data frame to the STA2 20 according to the 802.11 DCF operation process, and the STA2 20 responds with an ACK frame.

이 때, AP1(100)의 버퍼에 STA2(20)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이 하나이상 존재할 경우 AP1(100)이 전송하는 데이터프레임의 MAC헤더 내 프레임컨트롤 필드에 MD (more data) 비트를 1로 설정하여 전송하며, 이 비트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STA2(20)는 다음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PS_POLL 관리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을 재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re is at least one data frame transmitted to STA2 20 in the buffer of AP1 100, MD (more data) bit is set to 1 in the frame control field of the MAC header of the data frame transmitted by AP1 100. If the bit is set, the STA2 20 retransmits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PS_POLL management frame to receive the next data frame.

STA2(20)는 모든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한 이 후,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응답으로 전송하는 ACK 프레임에 PM비트를 1로 설정하여 AP1(100)에게 전송하고 다시 수면모드로 들어간다. After receiving all the buffered data, the STA2 20 sets the PM bit to 1 in the ACK frame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last data frame, transmits the PM bit to the AP1 100, and enters the sleep mode again.

이 때, AP1(100)이 STA2(20)로 보내는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MD 비트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D bit of the last data frame that AP1 100 sends to STA2 20 may be set to zero.

이러한 방식으로 STA2(20)는 자신이 받을 데이터프레임이 있는 경우에만 활성모드로 전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때문에 단말의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STA2 20 may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because the STA2 20 receives data by switching to the active mode only when there is a data frame to be received.

또한, STA1(10)은 STA2(20)가 수면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알 필요가 없어, 기존의 직접링크 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A1 10 does not need to know whether the STA2 20 is in the sleep mode, and thus has an advantage of using the existing direct link method as it i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BSS 내에서 단말 간의 전력 절감 기술을 이용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using a power saving technique between terminals in different BS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BSS 내에서 단말 간의 전력 절감 기술을 이용한 동작 과정은 우선, STA1(10)과 STA3(30) 사이에 직접링크를 설정한다(S510).Referring to FIG. 6, an operation process using a power saving technique between terminals in different BS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establishes a direct link between the STA1 10 and the STA3 30 (S510).

S510 단계는 도 2의 S110 단계 내지 S180 단계에서, STA2(20)를 STA3(30)으로 대체하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tep S510 is the same as the case of replacing the STA2 (20) with the STA3 (30) in steps S110 to S180 of Figure 2 will be omitt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510 단계에서 STA1(10)과 STA3(30)는 직접링크설정 과정을 수행한 후에, AP1(100)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 STA1(10)과 AP2(200)에 접속하고 있는 STA3(30)가 직접링크를 맺은 환경에서, STA1(10)은 AP1(100)과 AP2(200)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를 직접 STA3(30)로 전달한다(S520).In step S510, after the STA1 10 and the STA3 30 perform the direct link setting process, the STA1 10 and the STA3 30 connected to the AP1 100 directly access the AP1 100. I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link is established, the STA1 10 directly transmits data to the STA3 3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AP1 100 and the AP2 200 (S520).

데이터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STA3(30)는 ACK프레임을 STA1(10)으로 전송하여 데이터를 수신했음을 알린다(S530).The STA3 30 that has successfully received the data frame transmits an ACK frame to the STA1 10 to inform that it has received the data (S530).

일정 시간 후, STA3(30)는 수면모드로의 전환을 결정하고(S540), null 데이터 프레임을 AP2(200)에게 전송한다(S550). After a certain time, the STA3 30 determines to switch to the sleep mode (S540), and transmits a null data frame to the AP2 200 (S550).

이 때, STA3(30)은 null 데이터 프레임(MAC 프레임에서 데이터 부분이 없는 데이터 프레임)에 PM(power management)비트를 1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A3 30 may transmit a power management (PM) bit set to 1 in a null data frame (a data frame having no data portion in the MAC frame).

이후, AP2(200)은 null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CK(acknowledge) 프레임을 STA3(30)에게 전송하며(S560), ACK 프레임을 수신한 STA3(30)은 수면모드로 전환한다(S570). Thereafter, the AP2 200 transmits an acknowledgment frame to the STA3 30 in response to the null data frame (S560), and the STA3 30 that receives the ACK frame switches to the sleep mode (S570).

이 때 AP2(200)는 도면 4c의 직접링크단말 관리테이블에서 단말 ID가 STA3(30)의 MAC주소와 일치하는 엔트리를 찾는다. At this time, the AP2 200 searches for an entry in which the terminal ID matches the MAC address of the STA3 30 in the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of FIG. 4C.

엔트리가 존재할 경우 해당 엔트리의 단말 모드를 수면모드로 설정한다. If the entry exists, the terminal mode of the entry is set to the sleep mode.

이 후 STA3(30)와 직접링크를 맺고 있는 STA1(10)의 AP1(100)에게 STA3(30)의 모드가 변경되었음을 알린다(S580).Thereafter, the AP1 (100) of the STA1 (10) making a direct link with the STA3 (30) notifies that the mode of the STA3 (30) has been changed (S580).

이 때, AP1(100)과 AP2(200)의 정보교환과정은 액세스포인트간 정보교환을 위한 IAPP (Inter Access Point Protocol) 방식을 이용하며, 단말 모드정보 등의 추가정보가 포함될 수 있도록 IAPP를 확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exchange process between AP1 (100) and AP2 (200) uses the IAPP (Inter Access Point Protocol) method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ccess points, and extends the IAPP to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erminal mode information. can do.

그러나 STA1(10)은 STA3(30)가 수면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지 못하므로 여전히 STA3(30)에게 직접전송을 시도한다(S590).However, since the STA1 10 does not know that the STA3 30 has been switched to the sleep mode, the STA1 10 still attempts direct transmission to the STA3 30 (S590).

AP1(100)은 STA1(10)이 전송하는 데이터를 오버히어링한 뒤 STA3(30)가 수면모드에 있음을 판단하고, STA3(30)를 대신하여 STA1(10)에게 ACK 프레임을 전송한다(S600). The AP1 100 determines that the STA3 30 is in the sleep mode after overhearing the data transmitted by the STA1 10, and transmits an ACK frame to the STA1 10 on behalf of the STA3 30 (S600). ).

이후, AP1(100)은 STA3(30)의 액세스포인트인 AP2(200)에게 오버히어링한 데이터를 포워딩하며, AP2(200)는 수신한 데이터를 버퍼링한다(S610). Thereafter, the AP1 100 forwards the overheard data to the AP2 200, which is the access point of the STA3 30, and the AP2 200 buffers the received data (S610).

이 때, AP1(100)은 오버히어링한 데이터를 포워딩할 때, 오버히어링 한 MAC프레임 전체를 캡슐화하여 전달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forwarding the overhearing data, the AP1 100 may encapsulate and transmit the entire overhearing MAC frame.

이 때, 캡슐화 된 데이터를 수신한 AP2(200)는 캡슐화 된 데이터를 역캡슐화하여 STA1(10)이 전송한 MAC 프레임을 획득한 뒤 버퍼링을 시작한다. At this time, the AP2 200 receiving the encapsulated data decapsulates the encapsulated data, acquires a MAC frame transmitted by the STA1 10, and starts buffering.

이후 AP2(200)은 전력절감 기법의 동작과정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을 STA2에게 전달한다(S620). Thereafter, the AP2 200 transmits the data frame to the STA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saving scheme (S620).

S620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AP2(200)은 주기적으로 비콘(beacon)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한다.Referring to step S620 in detail, the AP2 200 periodically broadcasts a beacon frame.

이 때, 비콘(beacon)프레임에는 TIM(Traffic Indication Map)필드를 포함하고, TIM필드의 각 비트는 현재 연결을 맺고 있는 단말들과 1대1로 맵핑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eacon frame includes a TIM (Traffic Indication Map) field, and each bit of the TIM field may be mapped one-to-one with terminals currently connected.

액세스포인트는 특정 단말로 향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하나 이상 버퍼링하고 있을 경우에 TIM필드의 해당 비트가 1로 설정한다. When the access point buffers one or more data frames destined for a specific terminal, the corresponding bit of the TIM field is set to '1'.

STA3(30)는 AP2(200)의 비콘 주기를 알고 있어, 주기적으로 비콘프레임이 전송되기 바로 직전에 활성모드로 전환하여 비콘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The STA3 30 knows the beacon period of the AP2 200, and periodically switches to the active mode immediately before the beacon frame is transmitted to receive the beacon frame.

STA3(30)는 TIM 필드의 해당 비트가 확인하여 자신이 수신해야 할 데이터프레임이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The STA3 30 may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bit of the TIM field checks whether there is a data frame to be received.

만약 STA3(30)와 관련 있는 TIM필드의 해당 비트가 1로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 AP2(200)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하여, AP2(200)에 STA3(30) 자신이 활성모드로 전환했음을 알린다.If the corresponding bit of the TIM field associated with the STA3 30 is set to 1, in order to receive a data frame from the AP2 200, the STA3 30 itself ha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in the AP2 200. Inform.

현재 AP2(200)은 STA3(30)가 수면모드 상태인 것으로 인지하고 있다.Currently, the AP2 200 recognizes that the STA3 30 is in the sleep mode.

STA3(30)는 자신이 활성모드로 전환했음을 알리기 위해, AP2(200)에게 DCF의 동작과정에 따라 PS_POLL 관리 프레임을 전송한다.The STA3 30 transmits a PS_POLL management frame to the AP2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CF to notify that it ha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PS_POLL관리 프레임을 수신한 AP2(200)은 응답으로 ACK 프레임을 STA3(30)에게 전송한다. Upon receiving the PS_POLL management frame, the AP2 200 transmits an ACK frame to the STA3 30 in response.

이후, AP2(200)은 802.11 DCF 동작과정에 따라 STA3(30)에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STA3(30)는 ACK 프레임으로 응답한다.Thereafter, the AP2 200 transmits a data frame to the STA3 30 according to the 802.11 DCF operation process, and the STA3 30 responds with an ACK frame.

이 때, AP2(200)의 버퍼에 STA3(30)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이 하나이상 존재할 경우 AP2(200)가 전송하는 데이터프레임의 MAC헤더 내 프레임컨트롤 필드에 MD (more data) 비트를 1로 설정하여 전송하며, 이 비트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STA3(30)는 다음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PS_POLL 관리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을 재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if at least one data frame transmitted to the STA3 30 exists in the buffer of the AP2 200, the MD (more data) bit is set to 1 in the frame control field of the MAC header of the data frame transmitted by the AP2 200. If the bit is set, the STA3 30 retransmits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PS_POLL management frame to receive the next data frame.

STA3(30)는 모든 버퍼링된 데이터를 수신한 이 후,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응답으로 전송하는 ACK 프레임에 PM비트를 1로 설정하여 AP2(200)에게 전송하고 다시 수면모드로 들어간다. After receiving all the buffered data, the STA3 30 sets the PM bit to 1 in the ACK frame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last data frame, and transmits the PM bit to the AP2 200 and enters the sleep mode again.

이 때, AP2(200)가 STA3(30)로 보내는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MD 비트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D bit of the last data frame that AP2 200 sends to STA3 30 may be set to zero.

이러한 방식으로 STA3(30)는 자신이 받을 데이터프레임이 있는 경우에만 활성모드로 전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때문에 단말의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STA3 30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because the STA3 30 receives data by switching to the active mode only when there is a data frame to be received.

또한, STA1(10)은 STA3(30)가 수면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알 필요가 없어, 기존의 직접링크 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A1 10 does not need to know whether the STA3 30 is in the sleep mode, and thus has an advantage of using the existing direct link method as it i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포인트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포인트(AP)의 동작 과정은 우선, 액세스포인트가 데이터프레임을 오버히어링한다(S710).Referring to FIG. 7, in an operation of an access point (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point overhears a data frame (S710).

이후, 송신 MAC주소가 자신의 BSS에 속하는 단말인지를 확인한다(S720).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transmission MAC address is a terminal belonging to its own BSS (S720).

자신의 BSS에 속하지 않을 경우 데이터프레임을 삭제한다(S750).If it does not belong to its BSS deletes the data frame (S750).

자신의 BSS에 속하는 경우에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직접링크단말 관리테이블에서 단말ID가 수신 MAC주소와 일치하는 엔트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730).If it belongs to its own BSS,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n entry whose terminal ID matches the received MAC address in the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managed by itself (S730).

존재하지 않을 경우 데이터프레임을 삭제하고 종료한다(S750).If it does not exist, the data frame is deleted and ends (S750).

엔트리가 있을 경우, 수신 단말의 현재 모드가 수면모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740). If there is an entry,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mode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in the sleep mode (S740).

수신 단말의 현재모드가 수면모드가 아닐 경우에는 수신단말이 데이터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CK프레임을 전송할 것이므로 오버히어링한 데이터프레임을 삭제한다(S750). If the current mode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not the sleep mode, since the receiving terminal will transmit the ACK frame in response to the data frame, the overhearing data frame is deleted (S750).

수신 단말이 수면 모드일 경우는 오버히어링한 데이터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을 송신 MAC주소로 전송한다(S760). When the receiving terminal is in the sleep mode, an ACK frame for the overhearing data frame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MAC address (S760).

액세스포인트는 수신단말이 속하는 BSS를 판단하여(S770), 자신의 BSS에 속하는 경우 데이터프레임을 버퍼링 한 뒤, 전력절감기법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S780). The access point determines the BSS to which the receiving terminal belongs (S770), buffers the data frame if it belongs to its BSS, and transmits data according to a power saving method (S780).

자신의 BSS에 속하지 않을 경우 MAC데이터 프레임을 캡슐화하여(S790), 수신단말이 접속한 BSS로 포워딩한다(S795). If it does not belong to its own BSS encapsulates the MAC data frame (S790), and forwards to the BSS connec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S795).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액세스포인트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액세스포인트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ccess point that receives a data frame from another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도 6의 AP2(200)가 이에 해당한다. For example, AP2 200 of FIG. 6 corresponds to this.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액세스포인트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액세스포인트의 동작 과정은 우선, 다른 액세스포인트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뒤(S810), 역캡슐화하여 데이터프레임을 획득한다(S820). Referring to FIG. 8, an operation of an access point that receives a data frame from another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receives a data frame from another access point (S810), and then decapsulates the data frame. Acquire (S820).

이 때, 역캡슐화된 데이터프레임은 직접링크를 맺고 있는 송신 단말이 전송한 MAC 데이터프레임과 일치하는 할 것이다. At this time, the de-encapsulated data frame will match the MAC data frame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having a direct link.

이후, 직접링크 단말 관리테이블에 데이터프레임의 수신 MAC주소와 일치하는 엔트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830). Thereafter, it is checked whether an entry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MAC address of the data frame exists in the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S830).

일치하는 엔트리가 존재할 경우 데이터프레임을 버퍼링 한 뒤, 전력절감기법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S840). If there is a matching entry, after buffering the data frame, data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 power saving technique (S840).

일치하는 엔트리가 없을 경우 데이터프레임을 삭제한다(S850).If there is no matching entry, the data frame is deleted (S850).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파티션 복구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mention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but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partition resto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TA1(Station 1)
20: STA2(Station 2)
30: STA3(Station 3)
100: AP1(Access Point 1)
200: AP2(Access Point 2)
10: STA1 (Station 1)
20: STA2 (Station 2)
30: STA3 (Station 3)
100: AP1 (Access Point 1)
200: AP2 (Access Point 2)

Claims (20)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 직접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수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는 단계; 및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버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Establishing a direct link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Switching, by the second terminal, to a sleep mode;
Transmitting, by the first terminal, a data frame to the second terminal;
The first access point overhearing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frame; And
And a first access point buffering the data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버퍼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데이터 ACK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uffering the data frame by the first access point comprises:
And transmitting, by the first access point, a data ACK frame informing the first terminal that the data frame has been successfully recei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활성모드 상태로 전환하였음을 알리는 단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2 단말에 버퍼링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Notifying the first access point that the second terminal has switched to an active mode state;
And transmitting, by the first access point, the buffered data frame to the second termina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주기적으로 활성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비콘(Beacon)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비콘(Beacon)프레임을 확인하여, 수신해야 할 데이터프레임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활성모드 상태로 전환하였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terminal,
Periodically switching to the active mode to receive a beacon frame broadcasted by the first access point, and checking the beacon frame, if there is a data frame to be received, the first A method of direct link communication over a wireless network, wherein the access point is informed that it has entered an active mod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비콘(Beacon)프레임의 TIM(Traffic Indication Map)필드를 확인하여 수신해야 할 데이터프레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data frame to be received by checking a traffic indication map (TIM) field of the beacon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에 널(Null)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여 수면모드로 전환하였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terminal,
And transmitting a null data frame to the first access point to indicate that the mobile station has entered a sleep mod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널(Null) 데이터 프레임은 PM(Power Management)비트가 1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null data frame is a direct link communication method on a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PM (Power Management) bit is set to o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직접링크 단말관리테이블에서 단말 ID(Identification)가 상기 제2 단말의 MAC 주소와 일치하는 엔트리를 검색하여 상기 엔트리의 단말모드를 수면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ccess point,
And searching for an entry in which a terminal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matches the MAC address of the second terminal in the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and setting the terminal mode of the entry to the sleep mode.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 직접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수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속한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1 단말이 속한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상기 제2 단말의 상태가 수면모드로 전환하였음을 알리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는 단계;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오버히어링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Establishing a direct link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Switching, by the second terminal, to a sleep mode;
Notifying, by the second access point to which the second terminal belongs to the first access point to which the first terminal belongs, the state of the second terminal has switched to sleep mode;
Transmitting, by the first terminal, a data frame to the second terminal;
The first access point overhearing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frame;
Forwarding the data frame overheared by the first access point to the second access poin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데이터 ACK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access point overhearing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frame,
And transmitting, by the first access point, a data ACK frame informing the first terminal that the data frame has been successfully receive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캡슐화하여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nd wherein the first access point encapsulates the data frame and forwards it to the second access point.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캡슐화된 데이터 프레임을 역캡슐화하여 버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wherein said second access point decapsulates and buffers said encapsulated data fram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활성모드 상태로 전환하였음을 알리는 단계;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2 단말에 버퍼링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Notifying the second access point that the second terminal has switched to an active mode state;
And transmitting, by the second access point, the buffered data frame to the second terminal.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주기적으로 활성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비콘(Beacon)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비콘(Beacon)프레임을 확인하여, 수신해야 할 데이터프레임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활성모드 상태로 전환하였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second terminal,
Periodically switching to active mode to receive a beacon frame broadcasted by the second access point, and checking the beacon frame, if there is a data frame to be received, the second A method of direct link communication over a wireless network, wherein the access point is informed that it has entered an active mod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비콘(Beacon)프레임의 TIM(Traffic Indication Map)필드를 확인하여 수신해야 할 데이터프레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The second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data frame to be received by checking a traffic indication map (TIM) field of the beacon fram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에 널(Null)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여 수면모드로 전환하였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terminal,
And transmitting a null data frame to the second access point to indicate that the device has entered a sleep mod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널(Null) 데이터 프레임은 PM(Power Management)비트가 1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null data frame is a direct link communication method on a wireles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PM (Power Management) bit is set to on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 및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직접링크 단말관리테이블에서 단말 ID(Identification)가 상기 제2 단말의 MAC 주소와 일치하는 엔트리를 검색하여 상기 엔트리의 단말모드를 수면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access point and the second access point,
And searching for an entry in which a terminal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matches the MAC address of the second terminal in the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and setting the terminal mode of the entry to the sleep mode.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직접링크단말 관리테이블은,
단말 식별자 정보, 단말 모드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direct link terminal management table,
And direct access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terminal mode information, and access point identifier informa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는 IAPP(Inter Access Point Protocol)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econd access poin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first access point using an inter access point protocol (IAPP).
KR1020120137915A 2012-11-30 2012-11-30 Method for direct 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Expired - Fee Related KR1013515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915A KR101351573B1 (en) 2012-11-30 2012-11-30 Method for direct 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PCT/KR2013/009170 WO2014084495A1 (en) 2012-11-30 2013-10-14 Direct link communication method over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915A KR101351573B1 (en) 2012-11-30 2012-11-30 Method for direct 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573B1 true KR101351573B1 (en) 2014-02-06

Family

ID=5026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9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51573B1 (en) 2012-11-30 2012-11-30 Method for direct 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51573B1 (en)
WO (1) WO2014084495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892A1 (en) * 2014-06-02 2015-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on based on power save mode in wlan
WO2016006830A1 (en) * 2014-07-08 2016-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e mode operation on basis of frame transmitted from another bss in wireless lan
WO2016021792A1 (en) * 2014-08-07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wer save mode-based operating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la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167A (en) * 2007-11-09 2010-07-2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ower save by direct link
KR20110100251A (en) * 2008-12-31 2011-09-09 인텔 코포레이션 Power Savings in Peer-to-Peer Communicatio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03319A1 (en) * 2009-10-29 2011-05-05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scheduled peer-to-peer communication
US8675529B2 (en) * 2010-09-02 2014-03-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tunneled direct link setup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167A (en) * 2007-11-09 2010-07-2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ower save by direct link
KR20110100251A (en) * 2008-12-31 2011-09-09 인텔 코포레이션 Power Savings in Peer-to-Peer Communication Devic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892A1 (en) * 2014-06-02 2015-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on based on power save mode in wlan
US10187851B2 (en) 2014-06-02 2019-0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on based on power save mode in WLAN
WO2016006830A1 (en) * 2014-07-08 2016-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e mode operation on basis of frame transmitted from another bss in wireless lan
WO2016021792A1 (en) * 2014-08-07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wer save mode-based operating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lan
KR20170030564A (en) * 2014-08-07 2017-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Power save mode-based operating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lan
US10278127B2 (en) 2014-08-07 2019-04-30 Lg Electronics Inc. Power save mode-based operating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L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4495A1 (en)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9710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wake-up radio
US1077923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wakeup radio
US11546846B2 (en) State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US9560586B2 (en)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RE48848E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9883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hannel in wlan system
KR1020048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lan system
US10237778B2 (en) Method for reporting buffer status of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in system in which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utilized
KR201500004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hannel in wlan system
JP2009267936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WO2012078007A2 (en)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US9357489B2 (en) Method for power save mode oper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15669128A (en) NR direct link discontinuous reception resource allocation
WO201114087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cessing servic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175017B2 (en) Method of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01336B2 (en) Communication method in WLAN system
KR101351573B1 (en) Method for direct 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KR20190117401A (en) Device and method for bloom filter aided wake up radio multicasting
WO2024174184A1 (en) Negoti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fast-transition access point, and device and medium
KR20010035871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Mobile S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