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35871A -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Mobile Stations - Google Patents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Mobile Sta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5871A
KR20010035871A KR1019990042637A KR19990042637A KR20010035871A KR 20010035871 A KR20010035871 A KR 20010035871A KR 1019990042637 A KR1019990042637 A KR 1019990042637A KR 19990042637 A KR19990042637 A KR 19990042637A KR 20010035871 A KR20010035871 A KR 20010035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ignal
data
access poin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웅희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42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5871A/en
Publication of KR2001003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871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단말기들 사이의 새로운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안되어 진다. 이 방법은 송신측 이동 단말기가 전송 요구신호를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면, 엑세스 포인트는 그 송신측 이동 단말기에게 대기 신호를 보내 호출 신호를 기다리도록 한다. 이어 엑세스 포인트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수신용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표지 신호를 보내 활성화 전력 모드를 갖도록 한다. 이어서, 수신측 이동 단말기는 송신측 이동 단말기에게 호출 신호를 보내고 두 단말기들 사이에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A new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proposed. In this method, when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transmits 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the access point sends a waiting signal to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to wait for the call signal. The access point then sends a beacon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data for reception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to have an active power mode. Subsequently,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transmits a call signal to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and transmits data between the two terminals.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Mobile Stations}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s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것으로, 특히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개선 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improving a data transmission function.

이동 단말기는 전력 사용 측면에서 모든 전력을 사용하는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와 타이머 같은 적은 전력만을 사용하고 대신 송 수신을 할 수 없는 도우즈 상태(doze state)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런 두 전력 상태들간의 천이는 이동 단말기의 전력 관리 모드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mobile terminal may be divided into an awake state that uses all the power in terms of power usage, and a doze state that uses only a small amount of power such as a timer and cannot transmit and receive. The transition between these two power states is made by the power management mode of the mobile terminal.

이 전력 관리 모드는 활성화 모드(AC mode:active mode)와 전력 제어 모드(PS mode:power saving mode)로 구분된다. 먼저, 활성화 모드는 이동 단말기가 항상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서, 위에서 언급한 어웨이크 상태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통상 무 경쟁 기간 동안 활성화 모드 상태에 있 다. 다음으로, 전력 제어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간략도인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력 제어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MS:Mobile station)는 정해진 청취 간격 값(LI:aListenInterval)에 따라 ?엑세스 포인트(AP1)로부터의 표지 신호 또는 비콘(Beacon) 신호를 듣고 그 비콘 신호내의 트래픽 지시 맵(TIM:Traffic Indication Map)에 자신을 위한 매체 엑세스 프로토콜 서비스 데이터 유니트(MSDU:Medium Access Protocol Service Data Unit 또는 MAC Service data unit)신호가 버퍼링 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전력 제어 모드의 호출 신호(PS-Poll frame)을 엑세스 포인트(AP:Access point)에 보낸다. 이어서, 엑세스 포인트(AP1)는 그 전력 제어 모드 신호(PS-Poll frame)에 대한 응답으로서만 버퍼링된(buffered) 신호를 해당 이동 단말기에 전송한다. 다시말하면, 전력 제어 모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도우즈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천이된 후 특정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나서, 그 특정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전력 제어 모드 호출 신호(PS-Poll freame)을 상기 엑세스 포인트(AP1)에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기다린다. 제2도에서 MAC 헤더(header)는 매체 엑세스 프로토콜(MAC:medium access protocol) 헤더를 의미하며, SID(station ID:station Identification)는 스테이션 인식 정보를,그리고 BSS ID(Basic Service Set Identification)는 기본 서비스 셋트 정보를 지시한다.The power management mode is divided into an active mode (AC mode: active mode) and a power control mode (PS mode: power saving mode). First, the activation mode is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can always receive a frame, which corresponds to the awake state mentioned above. And the mobile terminal is normally in the active mode for a contention free period. Next, the power control mode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which is a simplified diagram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 power control mode, a mobile station (MS) has a beacon signal from the access point AP1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listening interval value LI: aListenInterval. Or listen for a beacon signal and buffer a medium access protocol service data unit (MSDU) signal for itself in a traffic indication map (TIM) in the beacon signal If it is known that the access signal (PS-Poll frame) of the power control mode as shown in Figure 2 to the access point (AP). Subsequently, the access point AP1 transmits a buffered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only as a response to the power control mode signal PS-Poll frame. In other words, in the power control mode state,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specific beacon signal after the transition from the doze state to the awake state. Then, upon receiving the specific beacon signal,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power control mode call signal PS-Poll Freame to the access point AP1 and waits for a response accordingly. In FIG. 2, a MAC header means a medium access protocol (MAC) header, a station ID (station ID) is used for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basic service set identification (BSS ID) is used. Indicates service set information.

한편 이동 단말기(MS)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AP1)와의 소정 프레임 형태의 신호들을 교환하는 것에 의해 전력 관리 모드의 천이를 엑세스 포인트에 알린 후 전력 관리 모드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포인트(AP1)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동 단말기(MS)로부터의 프레임신호(frame signal)의 제어 필드 (FCF:frame control field)의 전력 관리 비트(Pwr Mgt)를 보고 이동 단말기의 전력 관리 모드를 알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전송되는 프레임 제어 필드(FCF)의 전력 관리 비트를 이용하여 그것의 전력 관리 모드를 엑세스 포인트(AP1)에 알린다. 한편, 전력 제어 모드 상태에 있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신호(MADU: MAC Service Data Unit)는 직접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지 않고, 상기 엑세스 포인트(AP1)가 이 신호(MSDU)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지정된 시간에 상기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보통, 전력 관리 필드는 1 비트의 길이를 갖으며, 1 또는 0)일 때, 이동 단말기는 전력 제어 모드 또는 활성화 모드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는 엑세스 포인트(AP1)에서 만들어지는 모든 비콘 신호들에 포함되는 트래픽 지시 맵(TIM)을 보고 상기 엑세스 포인트(AP1)에 자신에게 전송되기 위한 데이터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자신을 위한 데이터가 있는것으로 판단되면, 즉시 상기 엑세스 포인트(AP1)에 전력 제어 모드 호출 신호(PA-Poll frame)를 전송한다. 한편, 전력 제어 모드에 있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청취 간격 값(LI)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엑세스 포인트(AP1)로부터의 비콘 신호를 듣는다. 그러나 통상 기본적으로 상기 청취 간격 값(LI)는 제로″0″이므로 이동 단말기는 모든 비콘 신호를 듣게 된다. 도 4는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보여주는 다이어 그램이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MS may change the power management mode after notifying the access point of the transition of the power management mode by exchanging signals of a predetermined frame form with the access point AP1. In addition, the access point AP1 sees the power management bit Pwr Mgt of the frame control field (FCF) of the frame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MS as shown in FIG. Know the power management mode. That is, the mobile terminal informs the access point AP1 of its power management mode using the power management bits of the transmitted frame control field FCF. On the other hand, in the data transmission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in the power control mode, the signal (MADU: MAC Service Data Unit)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the access point (AP1) is this signal (MSDU) ) Are temporarily stored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at a specified time. Usually, the power management field has a length of 1 bit, and when 1 or 0), the mobile terminal indicates a power control mode or an activation mode. The mobile terminal checks the traffic indication map TIM included in all beacon signals generated at the access point AP1 and checks whether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access point AP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data for itself, it immediately transmits a power control mode call signal (PA-Poll frame) to the access point (AP1).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in the power control mode periodically listens for the beacon signal from the access point AP1 according to the listening interval value LI. By default, however, the listening interval value LI is zero ″ 0 ″, so that the mobile terminal hears all beacon signals.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process between mobile terminals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엑세스 포인트(AP1)의 동작을 설명 하기로 한다. 먼저 엑세스 포인트(AP1)는 기본 서비스 셋트(BSS)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MS)의 전력 관리 모드를 유지하고, 이 모드에 따라 상기 신호(MSDU) 또는 관리 프레임 신호를 일시적으로 버퍼링 한다. 그러나, 이때 엑세스 포인트(AP1)는 활성화 모드에 있는 이동 단말기로의 신호(MSDU) 또는 관리 프레임 신호는 버퍼링 하지 않고 전력 제어 모드(PS) 상태에 있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기 위한 신호(MSDU) 또는 관리 프레임 신호는 버퍼링 한다. 이어서, 엑세스 포인트는 모든 비콘 간격마다 그것내에 버퍼링되어 있는 상태를 비트 맵(bit map) 형태로 조합하여 이 조합된 정보를 상기 비콘 신호에 트래픽 지시 맵(TIP) 필드에 실어 이동 단말기들로 보낸다.방송 데이터나 다 종류의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 식별자(SID: station identification)는 ″0″으로 셋트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access point AP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First, the access point AP1 maintains the power management mode of the mobile terminal MS in the basic service set BSS, and temporarily buffers the signal MSDU or the management frame signal according to this mode. However, at this time, the access point AP1 is a signal MSDU or a management fram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in the power control mode PS without buffering the signal MSDU or the management frame signal in the activation mode. Frame signals are buffered. The access point then combines the state buffered therein in the form of a bit map at every beacon interval and sends this combined information to the beacon signal in a traffic indication map (TIP) field to the mobile terminals. For broadcast data and various kinds of data, a mobile station identifier (SID) is set to ″ 0 ″.

기본 서비스 셋트(BSS)내의 엑세스 포인트와 연결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 중 단 하나라도 상기 전력 제어 모드(PS)에 있으면 모든 방송 /다 종류의 신호(MSDU)들은 상기 엑세스 포인트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배달 트래픽 지시 맵(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을 가지고 있는 비콘 신호가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 후에 해당 이동 단말기를 향해 전송된다. 한편, 전력 제어 모드 상태에 있는 이동 단말기로 단일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그 해당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력 제어 모드 호출 신호(PS-Poll)가 수신된 이후에 가능하다. 만약 호출한 해당 이동 단말기로 보낼 데이터가 하나 이상이면 더 많은 데이터 필드가 셋트되어야 한다.If at least one of the mobile terminal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in the basic service set (BSS) is in the power control mode (PS), all broadcast / multiple signals (MSDUs) are temporarily stored at the access point, and delivery traffic A beacon signal having a 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DTIM)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fter being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On the other hand, to send a single data to the mobile terminal in the power control mode state is possible after the power control mode call signal (PS-Pol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If there is more than one data to send to the calling mobile terminal, more data fields should be set.

한편, 엑세스 포인트는 임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그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는 에이징(aging)기능이 있다. 또한, 엑세스 포인트는 이동 단말기가 전력 제어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천이 되었다는 통지를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프레임 신호를 통해 받으면, 그 엑세스 포인트는 그 해당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전력 제어 모드 호출 신호를 기다리지 않고 그 해당 이동 단말기로 임시 버퍼링한 신호 (MSDU)나 또는 관리 프레임을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access point has an aging function that can delete the stored data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or the temporarily stored data. In addition, when the access point receives a notification via the frame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that the mobile terminal has transitioned from the power control mode to the activation mode, the access point does not wait for the power control mode call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waits for that mobile. Transmit the temporarily buffered signal (MSDU) or management frame to the terminal.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 측에서의 동작을 설명 하기로 한다.Next, an operation at the mobile terminal si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전력 제어 모드 상태에 있는 이동 단말기는 첫 번째 청취 구간 값(LI)이 지나면 다음의 비콘 신호를 받기 위해 깨어 난다(wake up).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 인식자(SID)를 감지하면, 상기 엑세스 포인트에 임시 저장된 신호(MSDU)나 또는 관리 프레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엑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력 제어 모드 호출 신호를 보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이동 단말기는 상기 전력 제어 모드 호출 신호에 대한 엑세스 포인트의 호출이 있을때까지 활성화 상태(또는 어웨이크 상태)로 남는다. 그리고 먼저 수신한 신호(MSDU) 또는 관리 프레임 신호에 더 많은 데이터 필드들이 있으면,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모든 데이터 필드들을 받을 때까지 호출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도우즈 상태에 있다가 자신이 수신할 방송/다종류 MSDU 신호가 있으면 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깨어난다. 제4도에서, 송신측 이동 단말기(MS1)는 엑세스 포인트(AP)와 수신측 이동 단말기(MS2) 측으로 도 6과 같은 송신 요청 신호(RTS:request to send)를 보낸다. 이어서 엑세스 포인트는 채널이 송신 가능한지를 체크한 후에 가능하면 제7도의 포맷과 같은 송신 클리어 신호(CTS:clear to send)를 송신측 이동 단말기로 보낸다. 이 송신 가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이동 단말기는 데이터 프레임(DATA)을 상기 엑세스 포인트에 보낸다. 이 엑세스 포인트는 그 송신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모두 받으면, 상기 송신 이동 단말기와 수신 이동 단말기로 각각 표지 신호로서 비콘 신호를 각각 보낸다. 이어서, 수신측 이동 단말기가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자신이 수신할 데이터가 있음을 인식하면 전력 제어 호출 신호(PS-Poll)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AP)에 보내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엑세스 포인트는 그 해당 수신 이동 단말기(MS2)로 일시 저장 하였던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데이터는 위에서 언급한 송신 요청 신호(RTS), 송신 클리어 신호(CTS) 및 다른 정보를 포함한다.First, the mobile terminal in the power control mode wakes up to receive the next beacon signal after the first listening interval value LI has passed.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cts its mobile terminal identifier (SID), it transmits a power control mode call signal to the access point in order to receive a temporarily stored signal (MSDU) or a management frame signal at the access point.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remains in an active state (or awake state) until there is a call of the access point to the power control mode call signal. If there are more data fields in the first received MSDU or management frame signal, the call is made until all data fields are received from the access point. The mobile terminal is also in the doze state and wakes up to receive the signal if there is a broadcast / multi-type MSDU signal to receive. In FIG. 4,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MS1 transmits a request to send (RTS) as shown in FIG. 6 to the access point AP and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2. The access point then checks if the channel is transmittable and if possible sends a clear to send (CTS) signal to the sender's mobile terminal as shown in FIG. In response to this transmittable signal,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sends a data frame DATA to the access point. When the access point receives all of the data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the access point sends beacon signals to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and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as marker signals, respectively. Subsequently, when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recognizes that there is data to be received through the beacon signal, it transmits a power control call signal PS-Poll to the access point AP and in response, the access point receives the corresponding reception point. The temporarily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MS2. This data includes the above-mentioned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TS), transmission clear signal (CTS) and other information.

이하에서, 전력 제어 모드에 있는 이동 단말기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과정을 설명 하기로 한다. 먼저 기본 서비스 셋트(BSS)에서 송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송신측 이동 단말기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가 전력 제어 모드 상태에 있는지 알 수 가 없다. 따라서, 수신측 이동 단말기는 송신측 이동 단말기가 송신한 송신 요구 신호(RTS)나 또는 신호(MSDU)의 첫 번째 부분 또는 프래그먼트(fragment)을 수신할 수 없다. 그리고 송신측 이동 단말기는 전송 하고자 하는 신호(MSDU)가 전송 요구 신호 문턱치(a RTS Threshold)보다 작으면 상기 전송 요구 신호(RTS)를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보내는 것 없이 직접 엑세스 포인트와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신호(MSDU)의 첫 번째 부분을 보낸다. 여기서, 위 전송 요청 신호(RTS)와 전송 클리어 신호(CTS)의 프레임들은 첫 번째 프레임과 수취 인식 구간(acknowledgement duration)의 정보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전송 요청 신호 (RTS)의 프레임의 구간에 해당하는 정보는 첫 번째 프래그먼트에 대한 인식 신호가 끝날때까지 매체(medium)가 점유되어 있다는 정보를 나타내기 위하여 네트워크 할당 벡터(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갱신 하는데 이용된다. 도 5는 전송 요청 신호(RTS)와 전송 클리어 신호(CTS)에 포함된 수취 인식 신호(ACK)의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다이어 그램으로서 제7도의 전송 클리어 신호(CTS)와 동일 구조를 갖는다. 통상 엑세스 포인트는 상기 전송 요구 신호 또는 수취 인식 신호를 전송 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사용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toring data to the mobile terminal in the power control mode will be described. First, in the case of transmitting data from a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to a receiving mobile terminal in a basic service set (BSS),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does not know whether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is in a power control mode. Therefore,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cannot receive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TS or the first portion or fragment of the signal MSDU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And if the signal MSDU to be transmitted is smaller than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hreshold (a RTS Threshold),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directly transmits the access request signal (RTS)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without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TS). The first part of the signal (MSDU) is sent. Herein, the frames of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TS) and the transmission clear signal (CTS) have information of a first frame and an acknowledgment duration.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of the frame of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TS) is a network allocation vector (NAV) to indicate that the medium is occupied until the recognition signal for the first fragment is finished. It is used to update.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structure of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TS and the reception recognition signal ACK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clear signal CTS, and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transmission clear signal CTS of FIG. Typically, the access point uses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or the reception recognition signal as a response signal to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이하에서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열거 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will be listed.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이동 단말기는 전송 클리어 신호를 받지 못하면 계속 재 전송을 시도하여 전송 효율을 떨어 뜨리게 되므로, 엑세스 포인트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를 대신하여 상기 전송 클리어 신호 또는 수취 인식 신호를 송신측 이동 단말기에 보낸다. 그리고, 송신측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임시 저장한다. 그리고나서, 엑세스 포인트는 비콘 신호 프레임의 트래픽 지시 맵을 이용하여 수신측 이동 단말기에게 임시 저장된 데이터가 있음을 알린다. 이어서, 전력 제어 모드에 있는 이동단말기는 엑세스 포인트에 전력 제어 모드 호출 신호를 보내고 엑세스 포인트는 그 호출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측 이동 단말기에게 저장된 데이터를 보내게 된다. 즉, 비콘 신호의 트래픽 지시 맵은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엑세스 포인트에 임시 저장된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고 이러한 정보는 가상 비트 맵 (virtual bit map) 형태로 표시 된다. 이러한 트래픽 지시 맵은 특정 이동 단말기들로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방송 및 다종류 데이터에 대해서도 알린다. 그러나 이 종래 방법은 엑세스 포인트가 송신측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 후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므로 이동 단말기들 사이의 직접적인 전송 보다는 전송 속도가 떨어질 뿐만아니라 트래픽 또한 증가하게 된다. 더우기, 엑세스 포인트가 모든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다시 전송하는 동안 그 매체를 점유하고 있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does not receive the transmission clear signal, the mobile terminal continuously attempts retransmission to reduc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Therefore, the access point moves the transmission clear signal or the reception recognition signal on behalf of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Send to terminal. Then, the data of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is received and temporarily stored. The access point then uses the traffic indication map of the beacon signal frame to inform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of the temporarily stored data. Subsequently, the mobile terminal in the power control mode sends a power control mode call signal to the access point, and the access point sends stored data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all signal. That is, the traffic indication map of the beacon signal informs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that there is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access point, and this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virtual bit map. This traffic indication map informs not only data to specific mobile terminals but also broadcast and multi-type data. However, this conventional method temporarily stores all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ding mobile terminal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and then transmits the data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Will increase. Furthermore, the access point occupies the medium while temporarily storing and retransmitting all the data, thereby reducing overall efficiency.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 서비스 셋트(BSS)내의 이동 단말기들 사이에서 전력제어상태를 고려하여 직접 통신들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향상 시키고 트래픽을 감소 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to perform direct communica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power control state between the mobile terminals in the basic service set (BSS), a mobile that can improve the transmission speed of data and reduce traffi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엑세스 포인트와 이 엑세스 포인트에 연관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지 않고 그 데이터를 수신할 이동 단말기에게 수신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린다. 이에 따라 그 데이터를 수신할 이동 단말기는 자신의 전력 관리 모드를 전력 제어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이어서, 그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를 거치는 것 없이 직접 그 데이터를 수신측 이동 단말기에게 그 해당 데이터를 송신한다.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n access point and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ssociated with the access point, the access point stores data to be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to receive the data without temporarily storing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the data. Announce that there is.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to receive the data switches its power management mode from the power control mode to the activation mode. Then,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the data directly transmits the data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without passing through the access point.

도 1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간략 구성도1 is a simplifi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2는 전력 제어 모드 호출 신호(PS-Poll)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다이어 그램.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wer control mode call signal (PS-Poll) frame.

도 3은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 중 프레임 제어 필드(FCF)의 구성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rame control field (FCF) of data frames transmitted.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들(MS1-MS2)간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process between mobile terminals MS1-MS2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는 수취 인식 신호(ACK)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cknowledgment signal (ACK) frame.

도 6은 전송 요구 신호 프레임(RTS)의 구조를 보여주는 다이어 그램.6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frame (RTS).

도 7은 전송 클리어 신호 프레임(CTS)의 구조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7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ransmission clear signal frame (CT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들(MS3-MS4)간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process between mobile terminals MS3-MS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내 이동 단말기들간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process between mobile termi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서 약어 AP2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본 서비스 셋트에서의 엑세스 포인트를, 약어 MS3는 상기 기본 서비스 셋트에서의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를, 약어 MS4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의도된 이동 단말기를 지시한다. 또한, 약어 RTS는 송신측 이동 단말기가 엑세스 포인트 및 수신측 이동 단말기에게 보내는 전송 요구 신호를, 약어 WAIT는 그 전송 요구 신호에 대한 대기 신호를, Beacon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가 상기 송신측 이동 단말기와 수신측 이동 단말기에게 전송되기 위한 데이터가 있음을 알려주는 표지 신호를, 약어 PS-Poll는 상기 수신측 이동 단말기가 상기 송신측 이동 단말기 및 엑세스 포인트에 데이터를 전송해 달라는 전력 제어 모드에서의 호출 신호를, DATA는 상기 호출 신호에 따라 송신측 이동 단말기가 수신측 이동 단말기에 직접 송신할 데이터를 지시한다. 제8도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MS1)가 전송 요구 신호(RTS)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AP2) 및 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의도된 이동 단말기(MS4)에 보내면, 상기 엑세스 포인트(AP2)는 잠시 기다려 달라는 대기 신호(WAIT)를 그 송신측 단말기(MS3)에 보낸다. 그리고나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AP2)는 일종의 표지 신호인 비콘(Beacon) 신호를 상기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에 보내고, 이 비콘 신호를 상기 송신측 이동 단말기(MS3)에게도 보낸다. 이때, 상기 비콘 신호에는 비트 맵 형태의 트래픽 지시 맵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엑세스 포인트(AP2)는 상기 비콘 신호내의 이 트래픽 지시 맵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로 수신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린다. 이 비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는 자신의 전력 관리 모드가 전력 제어 모드인 경우 그 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바꾼다. 즉, 모든 전력을 이용하는 어웨이크(Awake) 상태에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송신측 이동 단말기에 의해 의도된 해당 수신측 단말기(MS4)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AP2)및 상기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로 전력 제어 모드 호출 신호(PS-Poll)를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송신측 이동 단말기(MS3)는 상기 전력 제어 모드 호출 신호에 따라 송신 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로 보내게 된다. 그 전송된 데이터는 전송 요청 신호(RTS) 및 전송 클리어 신호(CTS)를 포함한다.In FIG. 8, the abbreviation AP2 is an access point in the basic service se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abbreviation MS3 is a mobile terminal to which data is to be transmitted in the basic service set, and the abbreviation MS4 is a mobile terminal intended to receive the data. Instruct. In addition, the abbreviation RTS is 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sent by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to the access point and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the abbreviation WAIT is a waiting signal for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and Beacon indicates that the access point is received with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A beacon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bbreviation PS-Poll is a call signal in the power control mode for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to transmit data to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and the access point; , DATA indicates the data to be transmitted directly by the sending mobile terminal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all signal. In FIG. 8, when the mobile terminal MS1 wishing to transmit data sends 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TS to the access point AP2 and the mobile terminal MS4 intended to receive the data, the access point AP2 ) Sends a wait signal WAIT to wait for a while to its transmitting terminal MS3. Then, the access point AP2 sends a beacon signal, which is a kind of beacon signal, to the receiving side mobile terminal MS4, and also sends the beacon signal to the transmitting side mobile terminal MS3. In this case, the beacon signal includes a traffic indication map in the form of a bit map, and the access point AP2 has data to be received by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4 using the traffic indication map in the beacon signal. Inform. In response to the beacon signal,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4 changes its mode to an active mode if its power management mode is a power control mode. In other words, it is in an awake state using all the power. Subsequently, the corresponding receiving terminal MS4 intended by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to receive the data sends a power control mode call signal PS-Poll to the access point AP2 and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4. send. Subsequently, the transmitting side mobile terminal MS3 transmits data fo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mode call signal to the receiving side mobile terminal MS4. The transmitted data includes 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TS) and a transmission clear signal (CT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를 전송 하려는 송신측 이동 단말기(MS3)는 먼저 전송 요청 신호(RTS)의 프레임을 전송 하거나, 또는 신호 (MSDU)의 첫 번째 프래그먼트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AP2) 및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로 보낸다. 그러나 종래 방법에서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MS2)가 전력 제어 모드에 있으므로 전송 클리어 신호(CTS)를 직접 상기 송신측 이동 단말기(MS1)로 보내지 못한다. 그러므로 대신 엑세스 포인트(AP1)가 전송 클리어 신호(CTS)를 송신측 이동 단말기(MS1)로 보내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엑세스 포인트(AP2 )가 종래 전송 클리어 신호(CTS) 대신 대기 신호(WAIT)를 상기 송신측 이동 단말기(MS3)로 보내므로써, 전송측 이동 단말기(MS3)가 이후에 설명될 호출 신호 대기 상태(Ready-Send PS STA)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위 전송 요구 신호(RTS)를 보냈는데 일정 시간 동안 전송 클리어 신호(CTS)를 받지 못한 송신측 이동 단말기(MS3)는 그 전송 요구 신호(RTS)의 재 전송을 시도하게 되지만, 상기 엑세스 포인트(AP2)로부터 상기 대기 신호(WAIT)를 받은 송신측 이동 단말기(MS3)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로부터의 전력 제어 모드 호출 신호(PS-Poll)를 기다리게 된다. 이어서, 전력 제어 모드 상태에 있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AP2)로부터 전송되는 비콘 신호의 프레임에 포함된 트래픽 지시 맵(TIM)을 통해 자신이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그 데이터가 존재하면 전력 제어 모드 호출 신호(PS-Poll)를 상기 송신측 이동 단말기(MS4) 및 엑세스 포인트(AP2)로 보낸다.상기 대기 신호(WAIT)의 프레임은 상기 전송 클리어 신호(CTS)와 동일한 구성을 갖으며, 서브 타입(Sub type) 값은 예약되어 있는 0000-1001 중 임의로 1001을 사용한다. 또한 이 대기 신호(WAIT)의 구간 필드는 ″0″으로 하여 첫 번째 프래그먼트를 전송한 후에는 다른 이동 단말기가 매체를 점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호출 신호 대기 상태(Ready-Send-PS STA)에 대해서 설명 하기로 한다. 송신측 이동 단말기(MS3)는 전송 요청 신호(RTS)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나서 엑세스 포인트(AP2) 또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로부터의 전송 클리어 신호(CTS)를 기다린다. 만약,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가 활성화 모드 상태에 있는 이동 단말기라면 송신측 이동 단말기(MS3)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로부터 전송 클리어 신호(CTS)를 받을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가 전력 제어 모드 상태에 있다면,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의 전송 클리어 신호(CTS) 대신 엑세스 포인트(AP2)로부터 대기 신호(WAIT)를 받게 된다. 대기 신호(WAIT)를 받은 송신측 이동 단말기(MS3)는 전술한 호출 신호(PS-Poll)를 기다리는 호출 신호 대기 상태(Ready-Send-PS STA)가 된다.따라서, 송신측 이동 단말기(MS3)는 지정된 시간 동안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의 호출 신호(PS-Poll)의 프레임을 기다린다.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가 그 호출 신호(PS-Poll)를 보내면 송신측 이동 단말기(MS3)는 다시 전송 요구 신호(RTS)를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로 보낸다.이때 이미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는 활성화 모드 상태에 있으므로, 송신측 이동 단말기(MS3)에 전송 클리어 신호(CTS)를 보내게 되고 송신측 이동 단말기(MS3)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MS4)에 데이터를 보내므로써 이동 단말기들 사이에 직접 통신이 수행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mobile station MS3 to transmit data first transmits a frame of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TS, or first transmits a first fragment of the signal MSDU to the access point AP2 and the terminal. Send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4.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2 is in the power control mode, the transmission clear signal CTS cannot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MS1. Therefore, the access point AP1 sends the transmission clear signal CTS to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MS1 instea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point AP2 sends a wait signal WAIT to the transmitting side mobile terminal MS3 instead of the conventional transmission clear signal CTS, so that the transmitting side mobile terminal MS3 will be described later. Maintain a ready-send PS STA. That is, the transmitting mobile station MS3, which has transmitted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TS but has not received the transmission clear signal CTS for a predetermined time, attempts to retransmit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TS, but the access point.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MS3 receiving the wait signal WAIT from AP2 waits for the power control mode call signal PS-Poll from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4. Subsequently, the receiving MS MS in the power control mode checks whether there is data for reception by the traffic indication map TIM included in the frame of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ccess point AP2. If the data is present, a power control mode call signal PS-Poll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side mobile terminal MS4 and the access point AP2. The frame of the wait signal WAIT is the transmission clear signal CTS. I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nd the sub type value uses randomly 1001 of 0000-1001 reserved. Also, the interval field of the wait signal WAIT is set to "0" so that another mobile terminal may occupy the medium after transmitting the first fragment. Hereinafter, the call signal waiting state (Ready-Send-PS STA) will be described.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MS3 waits for the transmission clear signal CTS from the access point AP2 or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4 after transmitting the frame of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TS. If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4 is in the active mode,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MS3 receives the transmission clear signal CTS from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4.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4 is in the power control mode, the standby signal WAIT is received from the access point AP2 instead of the transmission clear signal CTS of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4. . The transmitting-side mobile terminal MS3 receiving the wait signal WAIT is in a call-signal waiting state (Ready-Send-PS STA) waiting for the above-mentioned calling signal PS-Poll. Thus, the transmitting-side mobile terminal MS3 Waits for a frame of the call signal PS-Poll of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4 for a specified time. When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4 sends the call signal PS-Poll,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MS3 sends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TS back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4, at which time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has already been received. Since MS4 is in the active mode, the transmission clear signal CTS is sent to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MS3, and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MS3 sends data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MS4, thereby transmitting the data. Direct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m.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들 간에 직접 통신이 가능하게 되므로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술한 기본 서비스 셋트와 같은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 상태에 있는 이동 단말기들 간의 전송 딜레이를 단축 시킬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can be directly performed, thereby reducing traffic load of the network, and transmitting delay between mobile terminals in power control state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uch as the basic service set described above. You can shorten it.

Claims (7)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이동 단말기가 전송 요구 신호를 보내면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대기 신호를 보내는 스텝;Sending a standby signal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through an access point when the first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sends 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상기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이동 단말기로 수신을 위한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를 갖는 표지 신호를 보내는 스텝;Sending a beacon signal with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re is data for reception to a second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the data via the access point;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상기 표지 신호를 통해 상기 수신용 데이터의 존재를 인식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보내는 스텝; 그리고Sending a call signal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when the second mobile terminal recognizes the existence of the reception data through the indication signal; And 상기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이동 단말기가 제2이동 단말기로 상기 데이터를 보내는 스텝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And transmitting, by the first mobile terminal, the data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al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2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재 전송되는 전송 요구 신호와 전송 클리어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The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all signal includes a retransmission request signal and a transmission clear signal. W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초기에 부분적인 전력만을 사용하는 전력 제어 모드 상태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mobile terminal is initially in a power control mode using only partial pow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는 제2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출 신호를 정해진 시간 동안 기다리는 스텝; 그리고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wait signal for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a second mobile terminal; And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상기 표지 신호에 의해 수신할 데이터의 존재가 인지되면 자신의 전력 관리 모드를 전력 제어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천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The second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itioning its power management mode from the power control mode to the activation mode when the presence of data to be received by the indication signal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fer data between th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는 상기 표지 신호를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함께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ccess point transmits the indication signal together with the second mobile terminal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비콘 신호 프레임의 트래픽 지시 맵에 포함되고, 그 정보는 가상 비트 맵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re is data to be received is included in a traffic indication map of the beacon signal frame, and the information has a virtual bit map for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신호의 프레임은 전송 클리어 신호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서브 타임값은 0000~1001중 임의의 값을 사용하고, 구간필드값을 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of the standby signal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transmission clear signal, and the sub-time value uses any one of 0000 to 1001, and sets the interval field value to 0. Data transfer method.
KR1019990042637A 1999-10-04 1999-10-04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Mobile Stations Withdrawn KR200100358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637A KR20010035871A (en) 1999-10-04 1999-10-04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Mobile St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637A KR20010035871A (en) 1999-10-04 1999-10-04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Mobile St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871A true KR20010035871A (en) 2001-05-07

Family

ID=1961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637A Withdrawn KR20010035871A (en) 1999-10-04 1999-10-04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Mobile Sta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5871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05B1 (en) * 2008-07-31 200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How to Control Power in a Wireless Network
US7969912B2 (en) 2006-10-13 2011-06-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the power in the wireless network
US8259618B2 (en) 2006-10-13 2012-09-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the power in the wireless network
KR101366292B1 (en) * 2009-01-07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power in a wireless network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9912B2 (en) 2006-10-13 2011-06-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the power in the wireless network
US8259618B2 (en) 2006-10-13 2012-09-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the power in the wireless network
US8559338B2 (en) 2006-10-13 2013-10-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the power in the wireless network
KR101356481B1 (en) * 2006-10-13 201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the power in the wireless network
KR100913105B1 (en) * 2008-07-31 200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How to Control Power in a Wireless Network
KR101366292B1 (en) * 2009-01-07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power in a wireless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5614B2 (en) Power management method for station in wireless LAN system and station that supports same
RU2421924C2 (en) Improved power sav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7881322B1 (en) Power-saving mechanism for periodic traffic streams in wireless local-area networks
US7860043B2 (en) Power management method
US8797930B2 (en) Scheduled peer power save mode
US200602855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beacon generation of wireless networks in ad hoc mode
US200402185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te transition in sleep mode and awake mod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334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al atim size setup for 802.11 networks in an ad hoc mode
US2008007502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leep-mode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24021493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8712447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aging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774350A2 (en)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onservation in wireless stations
KR102148315B1 (en) Wake-up frame transmission method, and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transmitting a first frame after node wake-up
KR20050105259A (en) Apparatus and method to optimize power management in an independent basis service set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167732B2 (en) Method for enhanced power saving on DCF based wireless networks
US8175017B2 (en) Method of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94125B2 (en) Power management in an IEEE 802.11 IBSS using an end of ATIM frame and a dynamically determined ATIM period
EP1616407B1 (en) Network with subnets being connectable via bridge terminals
KR20010035871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Mobile Stations
KR101160376B1 (en) Power Saving Method of Dual Mode Communication Terminal
CN100539547C (en) Use the end of ATIM frame in IEEE 802.11 IBSS, to carry out power management with the ATIM cycle of dynamically determining
KR20090095264A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control sleep mode in a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