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145B1 -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existence of substrate using lift pin and method for carrying in and testing substrat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existence of substrate using lift pin and method for carrying in and testing substrate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0145B1 KR101350145B1 KR1020060118924A KR20060118924A KR101350145B1 KR 101350145 B1 KR101350145 B1 KR 101350145B1 KR 1020060118924 A KR1020060118924 A KR 1020060118924A KR 20060118924 A KR20060118924 A KR 20060118924A KR 101350145 B1 KR101350145 B1 KR 1013501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pin
- displacement
- lift
- lift p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70 gener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lifting arrangement, e.g. lift p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8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of the susceptor, stage o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기판의 하중에 의하여 리프트 핀의 상승 높이에 변위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이 감지결과에 따라 기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므로 기판의 유무를 편리하게 판별할 수 있고 (2)이에 따라, 기판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기판이 반입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3)기판이 반입되었음에도 리프트 핀 모두에 변위가 발생되지 않으면 기판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또는 기판의 로딩이 잘못되어 기판의 하중이 일부 리프트 핀에 가해지지 않는 상태이므로 이에 반입된 기판의 상태가 양호한지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리프트 핀을 이용한 기판 유무 판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반입방법과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정챔버, 글라스, 기판, 리프트 핀, 변위, 스테이지, 평판표시소자
The present invention (1) detects whether a displacement occurs in the lift height of the lift pin by the load of the substrate, and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bstrate (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bstrate from being load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ubstrate is present. (3) If the displacement does not occur in all of the lift pins even when the substrate is loaded, part of the substrate may be broken or the loading of the substrate may be incorrect. Since it is not applied to some lift pi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presence discrimination apparatus using a lift pin capable of inspecting whether or not the state of the board loaded therein is good, and a board loading method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Process Chamber, Glass, Substrate, Lift Pin, Displacement, Stage, Flat Panel Display
Description
도 1a, 도 1b는 일반적인 공정챔버가 도시된 구성도로서, 도 1a는 리프트 핀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는 리프트 핀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다.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general process chamber, in which FIG. 1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lift pin is raised and FIG. 1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lift pin is lowered.
도 2a, 도 2b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도시된 평면도로서, 도 2a는 기판이 파손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기판의 로딩이 잘못된 상태를 나타낸다.2A and 2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problem of the prior art, and FIG. 2A shows a state in which a substrate is broken, and FIG. 2B shows a state in which loading of a substrate is wrong.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핀을 이용한 기판 유무 판별장치가 적용된 공정챔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chamber to which a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apparatus using a lift p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도 3에서 A 부분의 확대도로서, (A)는 리프트 핀에 변위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리프트 핀에 변위가 발생된 상태를 나타낸다.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A) shows a state in which no displacement is generated in the lift pin, and (B) shows a state in which displacement is generated in the lift pi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핀을 이용한 기판 유무 판별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apparatus using a lift pin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변위 감지수단의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6A to 6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xamples of displacement sensing means applicable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변위 감지수단의 예 가 도시된 단면도이다.7A to 7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xamples of displacement sensing means applicable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유무 판별장치를 이용하여 기판을 반입하고, 반입된 기판의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oading a substrate and inspecting a state of the loaded substrate by using a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53 : 하부전극 조립품(스테이지) 54A, 54B : 리프트 핀53: lower electrode assembly (stage) 54A, 54B: lift pin
54d : 하부 핀 54u : 상부 핀54d:
56 : 핀 승강수단의 핀 플레이트56: pin plate of the pin lifting means
61A, 61B, 62A, 62B, 63A, 63B : 변위 감지수단61A, 61B, 62A, 62B, 63A, 63B: Displacement sensing means
64 : 판단수단(제어수단) 65 : 알림수단64: determination means (control means) 65: notification means
E1, E2 : 탄성부재 F1, F2 : 발광센서E1, E2: elastic member F1, F2: light emitting sensor
P1, P2 : 반사판 R1, R2 : 수광센서P1, P2: Reflector R1, R2: Receiver
T1, T2 : 신호 전달구멍T1, T2: signal transmission hole
본 발명은 반도체나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등의 스테이지에 기판이 있는지를 기판의 로딩/언로딩(Loading/Unloading)에 사용되는 리프트 핀을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고, 기판이 있는 상태에서 기판이 반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입 된 기판의 파손 여부나 로딩 불량 등을 검사할 수 있게 한 리프트 핀을 이용한 기판 유무 판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반입방법과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substrate exists in a stage of a semiconductor or flat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 lift pin used for loading / unloading of a substrate, and the substrate is loaded in the state where the substrate is pres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apparatus using a lift pin, and a substrate loading method and an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the damage of the loaded substrate or the loading failure.
일반적으로 반도체나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등에는 반도체 웨이퍼, 유리 기판 등(이하, '기판'이라 한다)이 놓이는 스테이지(탑재대)가 구비되고, 이 스테이지에는 그 위에 기판을 로딩/언로딩 하기 위한 리프트 핀이 설치된다.In general, a semiconductor or flat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 stage (mounting table) on which a semiconductor wafer, a glass substrate, or the lik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bstrate) is provided, and the stage is used for loading / unloading a substrate thereon. Lift pins are installed.
이와 같은 스테이지와 리프트 핀은 반도체나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등에 모두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스테이지와 리프트 핀, 그리고 이와 관련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이것들이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에 적용된 것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stage and lift pins are applied in a similar manner to both semiconducto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es. Hereinafter, the stages and lift pins and related components are applied to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Let's explain.
최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에는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소자(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있다. 또 이러한 평판표시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로는 진공처리용 장치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정챔버(Process Chamber), 로드 록 챔버(Load Lock Chamber), 반송챔버(Transfer Chamber)로 구성된다.Background Art [0002] Flat panel displays, which are widely used in recent year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 panel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In addition, a vacuum processing apparatus is mainly used as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which is generally a process chamber, a load lock chamber, or a transfer chamber. It is composed.
여기에서 공정챔버는 진공분위기 하에서 플라즈마나 열에너지 등을 이용, 기판을 식각(에칭)하는 등 기판의 표면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로드 록 챔버는 대기압 상태와 진공 상태를 번갈아 가면서 외부로부터 미처리된 기판을 받아 보관하거나, 처리된 기판을 외부로 반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반송챔버는 기판을 각 챔버들 간에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봇이 갖추어져 있어 처리할 기판을 위의 로드 록 챔버로부터 공정챔버로 운반하거나, 처리된 기판을 공정챔버로부터 로드 록 챔버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process chamber serves to treat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by etching (etching) the substrate by using plasma or thermal energy in a vacuum atmosphere. The load lock chamber alternates between atmospheric pressure and vacuum to receive and store unprocessed substrates from the outside, or to carry out the processed substrates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transfer chamber is equipped with a transfer robot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s between the chambers, which transfers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from the above load lock chamber to the process chamber or transfers the processed substrate from the process chamber to the load lock chamber. .
도 1a 및 도 1b는 설명한 바와 같은 챔버들 중 공정챔버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1A and 1B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cess chamber among the chambers as described.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챔버는 한쪽 측벽에 기판을 내부로 반입하거나 반출할 수 있도록 게이트 슬릿(11g)이 마련된 챔버(11)와, 이 챔버(11) 안의 상부영역에 설치되고 기판의 표면을 처리할 때 공정가스를 분사하는 샤워 헤드가 구비된 상부전극 조립품(12)과, 이 상부전극 조립품(12)의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챔버(11) 안에 설치된 하부전극 조립품(13)과, 이 하부전극 조립품(13)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수 개의 리프트 핀(14)과, 이 다수의 리프트 핀(14)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핀 승강장치(15)로 구성된다.As shown, the process chamber is provided with a
여기에서 챔버(11)는 게이트 밸브(11v)에 의하여 그 게이트 슬릿(11g)이 개폐된다. 그리고 하부전극 조립품(13)은 그 윗면에 기판이 놓이는 바, 이 때문에 하부전극 조립품(13)을 스테이지라고도 한다. 한편, 핀 승강장치(15)는 각 리프트 핀(14)의 하단이 고정된 핀 플레이트(16)와, 이 핀 플레이트(16)를 볼 스크루 구동방식에 의하여 승강시키는 볼 스크루(17) 및 모터(18)로 구성된다.Here, the gate slit 11g of the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공정챔버는 반송로봇을 작동시켜 로드 록 챔버에 대기 중인 기판을 챔버(11)로 반입, 하부전극 조립품(13)(이하, '스테이지'라 한다)의 상측에 위치시키면, 도 1a와 같이 리프트 핀(14)이 핀 승강장치(15)에 의하여 상승된다. 그리고 리프트 핀(14)의 상승이 완료되면, 반송로봇은 이 상승된 리프트 핀(14)에 기판을 내려놓으면서 챔버(11) 밖으로 이동하고, 리프트 핀(14)은 하강된다. 이때 도 1b와 같이, 스테이지에 리프트 핀(14)이 완전히 삽입되어 돌출되지 않게 되면, 기판은 스테이지에 놓이게 된다.The process chamb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the transfer robot to bring the substrate waiting in the load lock chamber into the
한편, 기판의 표면처리가 완료되면, 리프트 핀(14)은 상승된다. 따라서 기판은 스테이지로부터 들어 올리어지게 되고, 반송로봇은 그 암(Arm)이 기판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챔버(11)로 진입한다. 이후 리프트 핀(14)은 하강되는 바, 기판은 반송로봇의 암에 놓이게 되고, 반송로봇은 챔버(11) 밖으로 이동한다. 이때 기판은 반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substrate is completed, the
그러나 설명한 바와 같은 공정챔버는 처리할 기판을 챔버(11)로 반입할 때, 이미 기판의 반입이 이루어져 존재하고 있음에도 이를 확인할 수 없거나 확인 절차가 번거로워 그대로 진행, 기판을 상승된 리프트 핀(14)에 내려놓는 과정에서 로봇의 암과 기존의 기판이 서로 간섭되어 기존의 기판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의 공정챔버는 그 챔버(11)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없는 구조였고, 일부의 경우에는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게 창을 마련한 것도 있으나, 내부가 비교적 어두운 편이기 때문에 기판의 존재를 정확히 확인하기가 곤란하였던 것이다. 물론 기판 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매번 내부를 들여다본다는 것 또한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었던 것이고, 이에 따라 반입공정을 확인 절차 없이 그대로 진행하였던 것이다.However, the process chamb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to the chamber (11), even if the substrate has already been carried out, even if it can not confirm or check the cumbersome process proceeds as it is, the substrate to the raised lift pin (14) In the process of laying down, the arm of the robot and the existing substrate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isting substrate is damaged. That is, the process chamber was a structure that can not look into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1), and in some cases the window is provided to look inside, but because the interior is relatively dark, the existence of the substrate accurately confirmed It was difficult to do. Of course, it was also cumbersome to look inside each time to check the existence of the substrate, and therefore the import process was carried out without confirmation.
한편, 기판을 반입함에 있어서, 도 2a와 같이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등 파손된 기판의 반입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2b와 같이 반송로봇의 상태에 따라서는 반입된 기판의 로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단 반입이 완료되면 확인이 불가능하거나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데다, 이를 감지하기 위한 아무런 수단이나 대책 마련이 되어 있지 않아 색출해낼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bringing in the substrate, as shown in Figure 2a may be carried out of the damaged substrate, such as part of the falling off, or as shown in Figure 2b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transport robot may not be loaded correctly.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once the import is completed, it is impossible to confirm or cannot accurately check,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extract because there is no means or measures for detecting the same.
따라서 파손된 기판이 반입된 경우에는 불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고, 기판의 로딩이 불량한 경우에는 해당 기판의 표면처리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등 질적 저하가 초래되고는 하였다.Therefore, when the damaged substrate is brought in, unnecessary work is performed, and when the loading of the substrate is poor,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substrate is not uniformly performed.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판의 존재 여부에 따라 리프트 핀의 상승 높이에 변위가 발생되도록 하고, 이 리프트 핀에 변위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며, 이 감지결과에 따라 기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기판의 존재 여부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리프트 핀을 이용한 기판 유무 판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o cause the displacement in the lift height of the lift pi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 substrate, and to detect whether the displacement occurs in the lift p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apparatus using a lift pin that allows a user to quick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existence of a substrate by determining whether a substrate exists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의 기판 유무 판별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기판이 존재하지 않는 때에 한하여 처리할 기판의 반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이미 기판이 존재함에도 기판을 다시금 반입, 기존의 기판이 반송로봇과의 간섭으로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판 반입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above-mentioned substrate presence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to carry in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only when the substrate does not exist, so that the substrate is brought back even if the substrate already exists, and the existing substrate and the transfer robo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loading method that can prevent problems such as damage caused by interfere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기판 유무 판별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리프트 핀 모두에 변위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이 중 어느 하나의 리프트 핀에라도 변위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기판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기판의 로딩이 잘못되어 기판의 하중이 일부 리프트 핀에 가해지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반입된 기판의 상태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기판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above-mentioned substrate presence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if a displacement is generated in all of the lift pins and no displacement occurs in any of the lift pins, a part of the substrate is brok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inspection method that can easily inspect a state of a loaded substrate by judging that the loading of the substrate is incorrect and the load of the substrate is not applied to some lift pins.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핀을 이용한 기판 유무 판별장치는 기판이 놓이는 스테이지의 핀 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에 놓인 기판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놓고 기판 유무에 따라 상승 높이에 변위가 발생되는 구조를 갖는 다수 개의 리프트 핀과, 상기 리프트 핀이 상승된 때 변위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변위 감지수단과, 상기 변위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결과를 입력받아 기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ubstrate presence determination apparatus using a lift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lift and lift in the pin hole of the stage on which the substrate is placed to raise or lower the substrate placed on the stage, Accordingly, a plurality of lift pin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displacement is generated at an elevation height, displacemen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whether a displacement occurs when the lift pin is raised, and whether a substrate exists by receiving a detection result from the displacement detec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여기에서 상기 리프트 핀은 이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과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lift pin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between the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it.
이 경우, 상기 변위 감지수단은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어 상기 리프트 핀과 지지구조물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 때 이 힘을 받아 작동되도록 그 작용선 상에 설치된 센서일 수 있다. 또는 발광센서와, 이 발광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수광센서로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발광센서와 수광센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리프트 핀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리프트 핀에 변위가 발생된 때 어느 하나와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아니면 발광센서와, 이 발광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수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는 상기 리프트 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리프트 핀은 변위가 발생된 때 상기 수광센서가 상기 발광센서의 신호를 입력받도록 신호 전달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반사판, 이 반사판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센서, 이 발광센서로부터 출력되어 반사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수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리프트 핀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는 상기 리프트 핀에 변위가 발생된 때 신호가 상기 반사판으로 출력되고 이에 따라 반사되는 신호를 입력받도록 각각 위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cement sensing means may be a sensor installed on the line of action so that the elastic member is pressed to operate under this forc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ift pin and the support structure is narrowed. Or a light emitting sensor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any one of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is installed on the lift pin and the other when the displacement occurs on the lift pin. Can be positioned to face. Or a light emitting sensor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wherein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lift pin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lift pins receiving the light when a displacement occurs. A signal transmission hole may be provided so that a sensor receives a signal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Or a reflector plate, a light emitting sensor for outputting a signal to the reflecting plate,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for receiving a signal reflected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The reflect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lift pin, and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are the lifter. When a displacement occurs in the pin, the signal may be positioned to output the signal to the reflector and receive the reflected signal accordingly.
이와 같은 변위 감지수단은 상기 리프트 핀 모두의 변위를 각각 감지할 수도 있다.Such displacement detection means may detect the displacement of all the lift pins, respectively.
한편, 상기한 리프트 핀은 상기의 구조 대신에, 상부 핀과 하부 핀으로 분할되어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ft pin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pin and a lower pin instead of the above structure, and an elastic member may be installed therebetween.
이 경우, 상기 변위 감지수단은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어 상기 상부 핀과 하부 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 때 이 힘을 받아 작동되도록 그 작용선 상에 설치된 센서일 수 있다. 또는 발광센서와, 이 발광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수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발광센서와 수광센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리프트 핀의 상부 핀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리프트 핀에 변위가 발생된 때 어느 하나와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아니면 발광센서와, 이 발광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수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는 상기 리프트 핀의 상부 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리프트 핀은 변위가 발생된 때 상기 수광센서가 상기 발광센서의 신호를 입력받도록 상기 상부 핀에 신호 전달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반사판, 이 반사판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센서, 이 발광센서로부터 출력되어 반사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수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리프트 핀의 상부 핀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는 상기 리프트 핀에 변위가 발생된 때 신호가 상기 반사판으로 출력되고 이에 따라 반사되는 신호를 입력받도록 각각 위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cement detecting means may be a sensor installed on the working line to be operated by this force when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ins. Or a light emitting sensor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wherein either one of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is installed on the upper pin of the lift pin and the other is the displacement of the lift pin. It may be positioned to face either. Or a light emitting sensor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wherein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upper pin of the lift pi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lift pin has a displacement. When the light receiving sensor receives a signal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may be provided with a signal transmission hole in the upper pin. Or a reflector, a light emitting sensor for outputting a signal to the reflecting plate,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for receiving a signal reflected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receiving the light. The reflecting plate is installed on an upper pin of the lift pin, and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May be positioned so that a signal is output to the reflector when the displacement occurs in the lift pin and thus receives the reflected signal.
이와 같은 변위 감지수단은 상기 리프트 핀 모두의 변위를 각각 감지할 수도 있다.Such displacement detection means may detect the displacement of all the lift pins, respectively.
다른 한편, 상기 판단수단은 제어수단이고,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핀을 이용한 기판 유무 판별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의 컨트롤에 따라 기판 유무를 알려주는 알림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termining means is a control means, the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ubstrate using the lift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means for informing the presence of the substrat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기판 유무 판별장치를 이용한 기판 반입방법은 상기의 기판 유무 판별장치를 이용하여 스테이지 상에 기판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스테이지 상에 기판이 없는 것으로 판별된 때 처리할 기판을 스테이지로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ubstrate loading method using a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substrate exists on the stage using the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device, and a substrate to be process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substrate on the sta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carrying to the stage.
이러한 기판 반입방법은 스테이지 상에 기판이 있는 것으로 판별된 때 이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uch a substrate loa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inform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substrate on the stag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기판 유무 판별장치를 이용한 기판 반입방법은 상기의 기판 유무 판별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변위 감지수단이 상기 리프트 핀 모두의 변위를 각각 감지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한 바, 반입된 기판을 받을 때 이 반입된 기판에 의하여 리프트 핀 모두에 변위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반입된 기판에 의하여 리프트 핀 모두에 변위가 발생되었는지에 대한 감지결과에 따라 기판의 파손 및 기판의 로딩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bstrate loading method using the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displacement sensing means senses the displacement of all the lift pins by using the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device. Detecting whether the displacement of all the lift pins caused by the imported substrate at the time, and whether or not the damage of the substrate and the loading of the substrate is ba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whether displacement has occurred in all of the lift pins by the imported substr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이러한 기판 검사방법은 기판이 파손되거나 기판의 로딩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된 때 이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bstrate inspec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notifying when the substrate is damaged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ading of the substrate is poor.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의 공정챔버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applied to the process chamber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핀을 이용한 기판 유무 판별장치가 적용된 공정챔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이 도시된 확대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chamber to which a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apparatus using a lift p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3.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핀을 이용한 기판 유무 판별장치가 적용된 공정챔버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의 표면처리를 위한 진공공간을 제공하는 챔버(51), 이 챔버(51) 내부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 설치된 상부전극 조립품(52) 및 하부전극 조립품(53), 이 상부전극 조립품(52) 과 하부전극 조립품(53) 중 하부전극 조립품(53)에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수 개의 리프트 핀(54A), 이 다수의 리프트 핀(54A)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핀 승강장치(55), 이 핀 승강장치(55)의 구동력으로 승강되는 리프트 핀(54A)을 이용, 기판이 이미 반입되어 챔버(51)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기판 유무 판별장치(60)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3 and 4, a process chamber to which a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apparatus using a lift p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include: a
챔버(51)는 그 일 측벽에 기판을 내부로 반입하거나, 반입된 기판을 반출하기 위한 게이트 슬릿(51g)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 게이트 슬릿(51g)은 게이트 밸브(51v)에 의하여 개폐된다.The
상부전극 조립품(52)과 하부전극 조립품(53) 중 상부전극 조립품(52)은 기판의 표면처리 시 필요한 공정가스를 분사하는 샤워 헤드가 구비된다.The
하부전극 조립품(53)은 그 상면에 반입된 기판이 놓이는 탑재대로서, 이 때문에 이 하부전극 조립품(53)을 스테이지라고도 한다. 이러한 하부전극 조립품(53)은 각 리프트 핀(54A)의 승강작동을 위한 핀 홀(53h)들이 상하로 형성된다.The
여기에서 핀 홀(53h)은 하부전극 조립품(53)(이하, '스테이지'라고 한다)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물론 핀 홀(53h)의 형성위치 및 개수는 리프트 핀(54A)의 배치구조, 개수 등에 따라 결정되는 사항으로서, 자유로이 변경 가능하다.Here, the pin holes 53h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s of the lower electrode assembly 53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age'). Of course, the formation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pin holes 53h are determined by the arrangement structure, the number, and the like of the lift pins 54A, and can be freely changed.
핀 승강장치(55)는 각 리프트 핀(54A)의 하단이 견고하게 고정된 핀 플레이트(56)와, 이 핀 플레이트(56)를 볼 스크루 구동방식에 의하여 승강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The
여기에서 핀 플레이트(56)는 리프트 핀(54A)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이다. 그리고 구동수단은 핀 플레이트(56)에 결합된 일직선상의 볼 스크루(57)와, 이 볼 스크루(57)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58)로 구성된다.The
한편, 다수의 리프트 핀(54A)은 스테이지에 기판이 놓여 있는 경우와 그러하지 않은 경우에 그 상승되는 높이가 달라 변위가 발생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바, 구체적으로는 리프트 핀 그 자체인 본체와, 이 본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E1)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lift pins (54A) is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cement is different when the height is raised when the substrate is placed on the stage and when not, specifically, the main body and the lift pin itself, It consists of an elastic member E1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is main body.
여기에서 탄성부재(E1)는 리프트 핀(54A) 본체와 핀 플레이트(56) 사이에 각각 위치되도록 리프트 핀(54A) 본체의 하단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으로서, 이 코일스프링 또한 리프트 핀(54A)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이라 할 수 있겠다.Here, the elastic member E1 is a coil spring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설명한 바와 같은 리프트 핀(54A)은 기판이 스테이지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핀 승강장치(55)를 작동, 상승시키면 그 탄성부재(E1)가 기판의 하중에 의하여 압축되어 기판이 스테이지에 놓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승된 때에 비하여 상승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물론 이를 위하여 탄성부재(E1)는 기판의 하중에 의해서는 압축이 이루어지나, 기판이 없는 상태에서 리프트 핀(54A) 본체의 하중에 의해서만은 압축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부재(E1)로는 반드시 코일스프링이 아니라 고무나 스펀지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Of course, for this purpose, the elastic member E1 may be compressed by the load of the substrate, but may have a strength that is not compressed only by the load of the main body of the
리프트 핀(54A)의 변위구조가 도 4에 표현되어 있다. 도 4에서 (A)는 기판이 스테이지에 놓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 리프트 핀(54A)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H1은 이때의 리프트 핀(54A) 상승 높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4에서 (B)는 이와는 반대로, 기판이 스테이지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리프트 핀(54A)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H2는 이때의 리프트 핀(54A) 상승 높이를 나타낸다.The displacement structure of the
특히, 기판이 챔버(51)로 반입되어 스테이지 상에 존재하고 있는지를 판별하 는 기판 유무 판별장치(60)는 변위 감지수단(61A), 판단수단(64), 알림수단(65) 등으로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the substrate
먼저, 변위 감지수단(61A)은 리프트 핀(54A)이 스테이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 돌출되도록 완전히 상승된 때 탄성부재(E1)가 압축되어 상승 높이에 변위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변위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된 때 그 즉시 이 감지결과(감지신호)를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판단수단(64)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First, the displacement detecting means 61A detects whether the elastic member E1 is compressed and the displacement is generated at the rising height when the
이와 같은 변위 감지수단(61A)은 각 리프트 핀(54A) 모두의 변위를 각각 감지하는 것으로서, 탄성부재(E1)가 압축되어 리프트 핀(54A) 본체와 핀 플레이트(56)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 경우, 이처럼 간격이 좁아지려는 힘을 받아 작동되도록 이 힘의 작용선 상에 각각 설치되고, 이러한 힘을 받은 때에 이로 인하여 작동이 되어 감지신호를 판단수단(64)으로 출력하는 센서이다.The displacement detecting means 61A detects displacements of all of the lift pins 54A, respectively, and the elastic member E1 is compress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설명한 바와 같은 센서는 구체적으로는 리프트 핀(54A) 본체와 핀 플레이트(56) 사이에 각각 위치되도록 탄성부재(E1)인 코일스프링에 삽입된 상태로 핀 플레이트(56)에 설치된다. 물론 반드시 이처럼 설치되어야만 하는 이유는 없으며, 앞서 설명한 작용선 상에 위치하여 작용력을 받을 수만 있으면 족하겠다. 이의 일례로는 리프트 핀(54A) 본체의 하부에 그 승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조작 암(Arm)을 마련하고, 이 조작 암과 핀 플레이트(56) 사이에 위치되도록 센서를 핀 플레이트(56)에 설치하는 방식이 있겠다.The sensor as described above is specifically installed in the
참고로, 위의 센서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으로는 (리프트 핀 본체에 의하여)누름조작 된 때 기구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푸시 스위치가 있겠다. 물론 이 밖에 (리프트 핀 본체와의)접촉 유무를 전기적으로 감지하도록 구성된 전기적 접촉센서나 전기식 스트레인 게이지 등도 적용 가능하다.For reference, one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above sensor is a push switch configured to be mechanically connected when pressed (by the lift pin main body). Of course, an electrical contact sensor or an electric strain gage configured to electricall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act (with the lift pin body) may also be applied.
다음, 판단수단(64)은 변위 감지수단(61A), 즉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기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이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의 운전(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수단이다.Next, the determination means 64 is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the substrate by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displacement detection means 61A, that is, the sensor, which i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peration)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이와 같은 제어수단은 기판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알림수단(65)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기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에 한하여 처리할 기판의 반입이 이루어지도록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의 운전을 컨트롤한다.When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that the substrate is present, the control means output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notification means 65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On the contrar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strate does not exist,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and the operation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is controlled so that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can be loaded.
그 다음, 알림수단(65)은 기판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를 제어수단의 컨트롤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알림수단(65)으로는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경고등(65w)이나 모니터 등이 적용될 수도 있고, 아니면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스피커(65s)나 부저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물론 이 시각적 알림수단과 청각적 알림수단 둘 모두를 함께 적용할 수도 있다.Then, the notification means 65 serves to notify the user when the substrate is presen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s the notification means 65, a
한편, 이처럼 기판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은 경고등(65w)을 센서의 개 수(이는 리프트 핀의 개수이기도 하다)만큼 구비함으로써 어느 한 센서가 감지신호를 출력하면 제어수단이 이에 해당하는 경고등(65w)만을 점등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겠다. 이러한 알림방식과 함께 언급한 것처럼 변위 감지수단(61A)인 센서가 각 리프트 핀(54A)의 변위를 개별적으로 감지하는 것은 기판의 반입이 이루어졌음에도 리프트 핀(54A) 모두에 변위가 발생되지 않으면 기판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또는 기판의 로딩이 잘못되어 기판의 하중이 일부 리프트 핀(54A)에 가해지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반입된 기판의 상태가 양호한지의 여부를 검사 가능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such that the presence of the substrate is provided with a warning light (65w) as many as the number of sensors (which is also the number of lift pins), if any sensor outputs a detection signal, the control means corresponding to the warning light (65w It can be implemented by lighting only). As mentioned with this notification method, the sensor, which is the displacement sensing means 61A, individually detects the displacement of each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59는 챔버(10)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챔버(51)의 저면과 핀 플레이트(56)의 사이에 노출되는 리프트 핀(54A)을 봉입하는 벨로우즈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고, 도면 또한 해당 부분을 도시하기로 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Here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different parts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corresponding parts are also shown in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핀을 이용한 기판 유무 판별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apparatus using a lift pin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그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리프트 핀(54B)의 구성 및 변위 감지수단(61B)의 설치구조만이 다소 상이하다.As shown in FIG. 5,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nfiguration and displacement sensing means of the lift pins 54B with respect to all other configurations and their actions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61B is slightly different.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2실시예에서 각 리프트 핀(54B)은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핀(54u), 이 상부 핀(54u)의 하측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핀 플레이트(56)에 고정된 하부 핀(54d), 이 하부 핀(54d)과 상부 핀(54u)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부 핀(54u)이나 하부 핀(54d)에 설치되어 상부 핀(54u)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E2)로 구성된다. 이때 탄성부재(E2)는 코일스프링(고무나 스펀지 등도 적용 가능)으로서, 제1실시예의 탄성부재(E1)와 마찬가지로 기판의 하중으로는 압축이 이루어지지만, 상부 핀(54u)의 하중에 의해서만은 압축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다.Referring to this, in the second embodiment, each
이 같이 상부 핀(54u)과 하부 핀(54d)으로 분할되어 그 사이에 탄성부재(E2)가 설치된 리프트 핀(54B)은 스테이지에 기판이 놓여 있을 때와 그 반대로 놓여 있지 않을 때의 상승 높이를 비교하여 볼 때, 하부 핀(54d)의 경우는 차이가 없으나, 상부 핀(54u)의 경우는 차이가 있어 변위가 발생된다.In this way, the
한편, 변위 감지수단(61B)은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이는 상부 핀(54u)과 하부 핀(54d) 사이에 각각 위치되도록 탄성부재(E2)인 코일스프링에 삽입된 상태로 상부 핀(54u)이나 하부 핀(54d)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cement detecting means 61B has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which is inserted into the coil spring which is the elastic member E2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만약, 리프트 핀(54B)이 상승된 상태라 할지라도 그 상부 핀(54u)과 하부 핀(54d)의 분할 부분이 항상 챔버(51) 외부에 위치되도록 리프트 핀(54B)이 구성된 다면, 이 변위 감지수단(61B)도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핀(54d)에 조작 암을 마련하여 이것과 핀 플레이트(56)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If the
다음에서는,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은 리프트 핀의 구조에 적용 가능한 변위 감지수단의 여러 변형 예 및 이와 관련한 사항들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isplacement sensing means applicable to the structure of the lift pin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lated matte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D.
도 6a에 따르면, 발광센서(F1)와 수광센서(R1)로 변위 감지수단(62A)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FIG. 6A, the
여기에서 발광센서(F1)와 수광센서(R1) 중 어느 하나는 리프트 핀(54A) 본체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핀 홀(53h)에 설치된다. 이때 수광센서(R1)는 발광센서(F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발광센서(F1)와 수광센서(R1)는 리프트 핀(54A)이 상승된 때 서로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위치된다.Here, one of the light emitting sensor F1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R1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참고로, 발광센서(F1)와 수광센서(R1)가 이 같이 설치되면, 이 발광센서(F1)와 수광센서(R1)는 리프트 핀(54A)의 승강과정 중 기판의 유무에 상관없이 서로 신호를 주고받게 된다. 때문에 발광센서(F1)와 수광센서(R1)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는 것은 리프트 핀(54A)이 상승된 때로 국한된다. 아니면 위의 제어수단이 이 변위 감지수단(62A)으로부터 설정시간 이상 신호를 입력받은 때 비로소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방식도 있겠다.For reference, when the light emitting sensor F1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R1 are installed in this manner, the light emitting sensor F1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R1 signal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bstrate during the lifting process of the
도 6b는 도 6a의 발광센서(F1)와 수광센서(R1) 중 어느 하나가 핀 홀(53h)이 아닌 핀 플레이트(56)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6B shows that either one of the light emitting sensor F1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R1 of FIG. 6A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from the
여기에서 도면부호 B는 센서(발광센서 또는 수광센서)의 위치를 핀 플레이트(56)와 간격을 둔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브래킷이다.Here, reference numeral B denotes a bracket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light emitting sensor or light receiving sensor) at a spaced distance from the
도 6c는 위에서 설명한 발광센서(F1)와 수광센서(R1)가 리프트 핀(54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FIG. 6C shows that the light emitting sensor F1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R1 described above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in front of each other with the
여기에서 발광센서(F1)와 수광센서(R1) 둘 모두는 핀 홀(53h)에 각각 설치되는 바, 이 발광센서(F1)와 수광센서(R1)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리프트 핀(54A)에는 신호 전달구멍(T1)이 마련된다. 이때 이 신호 전달구멍(T1)은 리프트 핀(54A)이 상승된 때 발광센서(F1)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여기를 통과, 수광센서(R1)로 입력되도록 위치된다.Here, both the light emitting sensor F1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R1 are installed in the
도 6d에 의하면, 발광센서(F1) 및 수광센서(R1)와 반사판(P1)으로 변위 감지수단(63A)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FIG. 6D, the displacement detecting means 63A may be configured by the light emitting sensor F1, the light receiving sensor R1, and the reflecting plate P1.
여기에서 발광센서(F1)는 그 신호를 반사판(P1)으로 출력하고, 수광센서(R1)는 이 반사판(P1)에 반사된 신호를 입력받는데, 도 6a 내지 도 6c에서 설명한 그것과 동일한 기능의 센서이다.Here, the light emitting sensor F1 outputs the signal to the reflecting plate P1,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R1 receives the signal reflected by the reflecting plate P1, which has the same function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C. Sensor.
한편, 반사판(P1)은 리프트 핀(54A)에 설치된다. 그리고 발광센서(F1)와 수광센서(R1)는 둘 모두 핀 홀(53h)에 각각 설치되는 바, 발광센서(F1)는 리프트 핀(54A)에 변위가 발생된 때 그 신호가 반사판(P1)으로 출력되도록 위치되고, 수광센서(R1)는 리프트 핀(54A)에 변위가 발생된 때 발광센서(F1)로부터 출력되어 반사판(P1)에 반사되는 신호를 입력받도록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flecting plate P1 is provided in the
다음에서는,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은 리프트 핀의 구조에 적용 가능한 변위 감지수단의 여러 변형 예 및 이와 관련한 사항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후술하는 발광센서(F2), 수광센서(R2) 및 반사판(P2)은 모두 도 6a 내지 도 6d의 그것과 동일한 기능의 것을 적용하였다.Nex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isplacement sensing means applicable to the structure of the lift pin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lated matte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D. For reference, the light emitting sensor F2, the light receiving sensor R2, and the reflecting plate P2 described later all applied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FIGS. 6A to 6D.
도 7a에 따르면, 변위 감지수단(62B)은 발광센서(F2)와 수광센서(R2)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이 발광센서(F2)와 수광센서(R2) 중 어느 하나는 리프트 핀(54B)의 상부 핀(54u)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핀 홀(53h)에 설치된다. 또한 이 같은 발광센서(F2)와 수광센서(R2)는 리프트 핀(54B)이 상승된 때 서로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위치된다.According to FIG. 7A, the
도 7b는 위의 발광센서(F2)와 수광센서(R2) 중 어느 하나가 핀 홀(53h)이 아닌 핀 플레이트(56)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바, 도 7b에서 도면부호 B는 브래킷이다.FIG. 7B shows that any one of the above light emitting sensor F2 and light receiving sensor R2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from the
도 7c는 위의 발광센서(F2)와 수광센서(R2)가 리프트 핀(54B)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발광센서(F2)와 수광센서(R2)는 핀 홀(53h)에 각각 설치된다.7C shows that the above light emitting sensor F2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R2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in front of each other with the
한편, 리프트 핀(54B)이 상승된 때, 발광센서(F2)와 수광센서(R2)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상부 핀(54u)에는 신호 전달구멍(T2)이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7d에 의하면, 변위 감지수단(73B)은 발광센서(F2), 수광센서(R2) 및 반사판(P2)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FIG. 7D, the displacement detecting means 73B is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sensor F2, a light receiving sensor R2, and a reflecting plate P2.
여기에서 반사판(P2)은 상부 핀(54u)에 설치된다. 그리고 발광센서(F2)와 수광센서(R2)는 핀 홀(53h)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발광센서(F2)는 리프트 핀(54B)에 변위가 발생된 때 그 신호가 반사판(P2)으로 출력되도록 위치되고, 수광센서(R2)는 리프트 핀(54B)에 변위가 발생된 때 반사되는 신호를 입력받도록 위치된다.Here, the reflecting plate P2 is provided in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유무 판별장치를 이용하여 기판을 반입하고, 반입된 기판의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oading a substrate and inspecting a state of the loaded substrate by using a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 상기와 같은 기판 유무 판별장치가 적용된 공정챔버에 의한 기판 처리공정을 설명함으로써, 기판 유무 판별장치를 이용한 기판 반입방법 및 기판 검사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제1실시예의 기판 유무 판별장치(그 변형 감지수단의 여러 변형 예를 포함한다)를 이용하든지 제2실시예의 기판 유무 판별장치(이 역시 그 변형 감지수단의 여러 변형 예를 포함한다)를 이용하든지 둘 모두 기판 반입방법 및 검사방법에 유사하게 적용되는 것이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제1실시예가 적용된 것에 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8, a substrate loading method and a substrat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ubstrate presence determina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by describing a substrate processing process by the process chamber to which the substrate presence determina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For reference, the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which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eformation detection means) or the substrate presence determining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which also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eformation detection means) Since both are used similarly to the substrate loading method and the inspe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ures 3 and 4 applied.
평상시 리프트 핀(54A)은 하강되어 그 상단이 스테이지로부터 돌출됨이 없도록 핀 홀(53h)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반송로봇을 구동, 로드 록 챔버에 대기 중인 기판(처리할 기판)을 챔버(51)로 반입하여 스테이지에 로딩하려는 경우, 다수 개의 리프트 핀은 핀 승강장치(55)의 구동력에 의하여 동시에 상승 후 원 위치로 하강된다.(S1 참조)The
이 과정에서 변위 감지수단(61A)인 센서는 리프트 핀(54A)이 상승된 때 기판이 리프트 핀(54A)에 놓여 있어 이 기판의 하중으로 탄성부재(E1)가 압축, 리프트 핀(54A)에 변위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제어수단은 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입력받는다.(S2 참조) 이때 제어수단은 어느 한 센서로부터라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기판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3 참조) 반면, 센서 모두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기판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S4 참조)In this process, when the
다음 S3 단계에서와 같이, 기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수단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알림수단(65)을 작동시킨다.(S13 참조) 이에 사용자는 기판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고, 나아가 후속 조취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제어수단에 의하여 기판의 반입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strate is present, as in the next step S3, the control means outputs a control signal to activate the notification means 65 (see S13). The user can then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substrate and further follow up Can be taken. Of course, in this case,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carrying-in itself of the substrate is not made by the control means.
반면에 S4 단계에서와 같이, 기판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반송로봇은 구동되어 처리할 기판을 반입, 스테이지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바,(S5 참조) 리프트 핀(54A)은 상승되어 반송로봇으로부터 반입된 기판을 받은 뒤 원래의 위치로 하강 된다.(S6 참조) 물론 반송로봇은 리프트 핀(54A)이 기판을 받으면 챔버(51)의 밖으로 이동한다.On the other hand, as in step S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substrate, the transfer robot is driven to load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and positioned above the stage (see S5), and the
여기에서 센서는 또 리프트 핀(54A)에 변위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제어수단은 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입력받는다.(S7 참조) 이때 제어수단은 어느 한 센서로부터라도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기판의 해당 센서 측이 파손(도 2a 참조)되거나, 또는 기판의 로딩이 불량(도 2b 참조)한 것으로 판단한다.(S8 참조) 그리고 이와 반대로 센서 모두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기판에 파손이 없음은 물론 기판의 로딩이 양호하게 이루어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S9 참조)Here, the sensor also detects whether a displacement has occurred in the
그 다음 S8 단계에서와 같이, 기판의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하여 S13 단계로 이동, 알림수단(65)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판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고, 적절한 조취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 제어수단에 의하여 이후의 공정(단계)이 진행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Then, as in step S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substrate is bad, go to step S13 to notify the user, and activates the notification means (65). Therefore, the user can recognize the state of the substrate and can take appropriate measures. Of course, in such a cas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control unit so that subsequent processes (steps) do not proceed.
반면에 S9 단계에서와 같이, 기판의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기판의 표면처리가 진행된다.(S10 참조) 이후 처리가 완료되면, 이 처리가 완료된 기판은 리프트 핀(54A) 상승, 반송로봇 챔버(51)로 진입, 리프트 핀(54A) 하강, 반송로봇 챔버(51) 밖으로 이동의 순으로 진행되는 공정에 의하여 반출된다.(S11 참조)On the other hand, as in step S9,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substrate is normal,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substrate proceeds. The process proceeds in the order of entering 51, descending
다음 다른 기판의 처리를 원할 경우, S5 단계로 이동한다. 반면에 그렇지 않은 경우, 공정은 종료된다.(S12 참조)If you want to process another substrate, go to step S5. Otherwise, the process is terminated (see S12).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 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그 변위 감지수단 및 판단수단에 의하여 리프트 핀에 변위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이 감지결과에 따라 기판의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므로 기판의 유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판별할 수가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a displacement occurs in the lift pin by the displacement detecting means and the judging means,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ubstrate exists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determined.
또한 판단수단에서 기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때 기판이 반입되므로 기판이 이미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처리할 기판이 반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기존의 기판이 처리할 기판을 반입하려는 반송로봇과 간섭되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termination means determines that the substrate does not exist, the substrate is carried in, so that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aded in the state where the substrate already exis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interference with the robot.
게다가 리프트 핀에 변위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할 때, 리프트 핀 모두를 개별적으로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가 어느 하나 이상의 리프트 핀으로부터라도 입력되지 않으면 기판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로딩이 잘못되어 일부 리프트 핀에 기판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이므로, 이로써 기판의 상태(양호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detecting whether a lift pin has been displaced, all of the lift pins are individually detected, and if the detection result is not input from any one or more lift pins, a part of the board may be broken or the loading may be incorrect, and the board may not be loaded. Since no load is appli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ate (goodness or failure) of the substrate can be inspected.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8924A KR101350145B1 (en) | 2006-11-29 | 2006-11-29 |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existence of substrate using lift pin and method for carrying in and testing substrate using the same |
US11/874,349 US7750818B2 (en) | 2006-11-29 | 2007-10-18 | System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substrate into a process chamber |
CN2007101812266A CN101192554B (en) | 2006-11-29 | 2007-10-25 | System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substrate into a process chamber |
CN2009102245182A CN101714503B (en) | 2006-11-29 | 2007-10-25 | System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substrate into a process chamber |
TW100121128A TWI358386B (en) | 2006-11-29 | 2007-11-01 | System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substrate into |
TW096141121A TWI358385B (en) | 2006-11-29 | 2007-11-01 | System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substrate into |
US12/712,533 US8462008B2 (en) | 2006-11-29 | 2010-02-25 | System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substrate into a process chamber |
US12/712,558 US8462009B2 (en) | 2006-11-29 | 2010-02-25 | System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substrate into a process cha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8924A KR101350145B1 (en) | 2006-11-29 | 2006-11-29 |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existence of substrate using lift pin and method for carrying in and testing substrate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8676A KR20080048676A (en) | 2008-06-03 |
KR101350145B1 true KR101350145B1 (en) | 2014-01-09 |
Family
ID=3980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89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350145B1 (en) | 2006-11-29 | 2006-11-29 |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existence of substrate using lift pin and method for carrying in and testing substrate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014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2150B1 (en) * | 2013-08-30 | 2020-03-23 | 세메스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
US10879046B2 (en) | 2015-09-11 | 2020-12-29 | Applied Materials, Inc. | Substrate support with real time force and film stress control |
JP6651994B2 (en) * | 2016-06-17 | 2020-02-19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maintenance jig, maintenance method for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US11114327B2 (en) * | 2017-08-29 | 2021-09-07 | Applied Materials, Inc. | ESC substrate support with chucking force control |
JP6896588B2 (en) * | 2017-11-06 | 2021-06-30 |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 Board delivery system and board delivery method |
KR102757512B1 (en) * | 2019-11-25 | 2025-0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Lift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KR102395769B1 (en) * | 2020-09-23 | 2022-05-11 | 주식회사 디에이치솔루션 | pin block suppor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29421A (en) * | 1991-11-07 | 1993-05-25 | Fujitsu Ltd | Electrostatic check |
JPH06151557A (en) * | 1992-10-29 | 1994-05-31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Substrate transfer device |
JP2002329770A (en) * | 2001-05-02 | 2002-11-15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Substrate detector,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KR20030037157A (en) * | 2001-11-02 | 2003-05-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fer lifting apparatus of plasma processing equipment |
-
2006
- 2006-11-29 KR KR1020060118924A patent/KR10135014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29421A (en) * | 1991-11-07 | 1993-05-25 | Fujitsu Ltd | Electrostatic check |
JPH06151557A (en) * | 1992-10-29 | 1994-05-31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Substrate transfer device |
JP2002329770A (en) * | 2001-05-02 | 2002-11-15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Substrate detector,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KR20030037157A (en) * | 2001-11-02 | 2003-05-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fer lifting apparatus of plasma processing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8676A (en) | 2008-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48674A (en) | Device for discriminating board presence using lift pin, board loading method and inspection method using same | |
US846200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substrate into a process chamber | |
KR101350145B1 (en) |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existence of substrate using lift pin and method for carrying in and testing substrate using the same | |
CN101118864B (en) | Substrate detecting mechanism and substrate processing device using the same | |
KR100387525B1 (en) | system for detecting position of semiconductor wafer and method of detecting wafer position | |
KR20090130786A (en) | Lift device of vacuum process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 |
CN116417379A (en) | Wafer detection structure and wafer detection method | |
KR20090029419A (en) | Wafer loading device and method for prober | |
KR20030037157A (en) | Wafer lifting apparatus of plasma processing equipment | |
CN116581059A (en) | Wafer position detection device, machine and detection method in chamber | |
JPH07201952A (en) |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 |
KR100934761B1 (en) | Flat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device | |
KR101389269B1 (en) | Method for sensing of substrate and Device for sensing of substrate i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FPD | |
KR20060037092A (en)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equipment | |
CN220065628U (en) | Wafer position detection device in cavity and machine table | |
KR20100073296A (en) | Indexer for detecting wafer protrusion | |
KR20040079615A (en) | Load-lock chamber for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e including the sensor for position control of wafer cassette | |
KR100748731B1 (en) | Wafer Inspection Device and Interlock Method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 |
KR100654772B1 (en) | Panel feeder | |
KR100802308B1 (en) | Position sensing device and method of semiconductor substrate | |
KR20050028335A (en) | Cassette stage of processing unit and method for confirming alignment and dimension of cassette using it | |
KR100773264B1 (en) | Flat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device | |
KR20070008249A (en) | Notch Aligner and Notch Alignment | |
CN119581394A (en) | Support device and support method for warped substrate in vacuum coating and etching equipment | |
KR20070009907A (en) | Wafer process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0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