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690B1 - Multi protocol transmitter - Google Patents
Multi protocol transmit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6690B1 KR101346690B1 KR1020120009936A KR20120009936A KR101346690B1 KR 101346690 B1 KR101346690 B1 KR 101346690B1 KR 1020120009936 A KR1020120009936 A KR 1020120009936A KR 20120009936 A KR20120009936 A KR 20120009936A KR 101346690 B1 KR101346690 B1 KR 1013466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ler
- data
- communication
- protocol
- mo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프로토콜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위 제어기와 하위 제어기 간의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프로토콜을 사용자가 원하는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모션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프로토콜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위 제어기 및 하위 제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데이터를 어느 하나의 제어기로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통신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신모드로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110); 복수의 통신모드에 따른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가공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통신수단(120); 및 스위칭수단(110)에 의해 복수의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선택된 통신모드에 상응하는 가공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선택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로토콜 전송 장치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rotoco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rotocol transmission apparatus enabling a user to selectively control a protocol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an upper controller and a lower controller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desired by a user. To this end, switching means 110 for receiving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upper controller and the lower controller, and switching to a communic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s for transmitting data to any one controlle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ans 120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data based on protocols according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s; And a selection means (130)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s by the switching means (110) and outputting the processed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mmunication mode.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중 프로토콜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위 제어기와 하위 제어기 간의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프로토콜을 사용자가 원하는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모션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프로토콜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rotoco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rotocol transmission apparatus that enables a user to selectively control a protocol required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an upper controller and a lower controller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desired by a user. will be.
종래 산업용 네트워크 모션 제어기는 특정 통신방식만을 사용할 수 있게 일체형으로 보드가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에서 사용되는 마스터 칩이 M-Link일 경우 제어대상에 사용되는 서보드라이버 및 서보모터는 M-Link와 호환가능한 제품만이 사용 가능하다.
Conventional industrial network motion controller is a board integrally configured to use only a specific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if the master chip used in the controller is M-Link, the servo driver and servomotor used in the control target can only be used with M-Link compatible products.
이는 시장의 요구로 인한 서보드라이버 및 서보모터의 종류를 변경할 경우 모션제어기 전체를 다시 교체해야 하며 이로 인해 제어기, 전장부 전체를 다시 구성해야 하는 것은 물론 추가적인 비용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통신방식을 변경하는 경우 서보드라이브와 마찬가지로 전체 시스템을 교체해야 하는 기술적 문제점이 내재하고 있다.This is because when the type of servo driver and servo motor is changed due to the market demand, the entire motion controller must be replaced again, which causes the additional cost as well as the re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and the entire electronic part. In addition, when changing the communication method,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in that the entire system needs to be replaced like the servo driv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신방식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가능한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invention that can flexibly cope with changes in a user's environment by allowing a user to select a desired communication method.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위 제어기 및 하위 제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데이터를 어느 하나의 제어기로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통신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신모드로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110); 복수의 통신모드에 따른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가공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통신수단(120); 및 스위칭수단(110)에 의해 복수의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선택된 통신모드에 상응하는 가공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선택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로토콜 전송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switching means for receiving data from at least one of an upper controller and a lower controller, and switching to a communication mode selected by a user amo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s to transmit data to any one controller ( 110);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ans 120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data based on protocols according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s; And selecting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신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해 스위칭수단(110)과 통신수단(120)간의 어드레스 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address bus between the switching means 110 and the communication means 120 to switch to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또한, 상위 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output from the host controller may be motion data for driving a motor.
또한, 하위 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모터의 상태가 피드백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output from the lower controller may be data to which the state of the motor is fed back.
또한, 통신수단(120)은, EtherCAT, M-Link, 및 RTEX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가공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eans 120, characterized in that to output the processed data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of EtherCAT, M-Link, and RTEX.
또한, 선택수단(130)은, 상위 제어기에서 하위 제어기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 복수의 통신수단(1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가공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멀티플렉서(131); 및 하위 제어기에서 상위 제어기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 복수의 통신수단(120) 중 어느 하나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디멀티플렉서(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lecting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환경 변화에 따른 제어기, 모터, 서보드라이버의 교체 없이 다양한 통신모드를 간단하게 스위칭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어기 교체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simply switching and using a variety of communication modes without replacing the controller, motor, servo driv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user environmen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the controller replacement.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위 제어기와 하위 제어기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로토콜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between an upper controller and a lower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protocol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du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entire structur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essential as 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중 프로토콜 전송 장치의 구성 및 기능><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Multiprotocol Transmitt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로토콜 전송 장치는 상위 제어기 및 하위 제어기에 적층 연결되는 피기모듈(piggy module)로서 다수의 산업용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상위 제어기와 하위 제어기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로토콜 전송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multi-protocol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ggy module that is stacked and connected to an upper controller and a lower controller, and selects any one protocol among a plurality of industrial protocols. It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multi-protocol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먼저,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기의 구조는 집중형 제어기 구조와 분산형 제어기 구조가 있다. 집중형 제어기 구조는 상위 제어기에 모터를 구동하는 알고리즘이 탑재되어 있어 직접 모터제어를 담당하고, 하위 제어기는 제어된 신호를 받아 모터를 구동하는 역할만 한다. 이에 반해 분산형 제어기 구조는 하위 제어기에서 모터제어를 담당하고 상위 제어기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지령만 내려주는 구조이다.
First, the structure of a controller for driving a motor includes a centralized controller structure and a distributed controller structure. In the centralized controller structure, an algorithm for driving a motor is installed in the upper controller to directly control the motor, and the lower controller only drives the motor by receiving a controlled signal. On the other hand, the distributed controller structure is responsible for motor control in the lower controller and the upper controller gives only the command for driving the motor.
이러한 집중형 제어기 구조와 분산형 제어기 구조는 그 사용환경에 따라 대별되는데 이하 본 발명에서는 분산형 제어기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필요에 따라 집중형 제어기 구조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피기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Such a centralized controller structure and a distributed controller structure are rough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use environ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distributed controller structure. However, the Pigg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 centralized controller structure as necessary.
분산형 제어기 구조에 따라 상위 제어기는 모터의 움직임을 정의하는 모션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일예로서 모션 SoC(system on chip) 칩이 구현되며, 하위 제어기는 상위 제어기로부터 생성된 모션 데이터를 입력받아 모터를 실제로 구동한다. 하위 제어기는 모터와 일 대 일로 연결되며, 모션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PWM 신호 등을 생성하는 모터 SoC 칩이 구현된다. 따라서 하위 제어기는 부하(load)인 모터의 개수에 상응하도록 구비된다.
According to the distributed controller structure, the upper controller generates motion data defining the movement of the motor. As a result, a motion system on chip (SoC) chip is implemented, and the lower controller receives the motion data generated from the upper controller. Actually drives the motor. The lower controller is connected one-to-one with the motor, and a motor SoC chip is implemented that analyzes the motion data and generates PWM signals for driving the motor. Therefore, the lower controller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motors that are loads.
도 1에는 상위 제어기(1)에 적층되는 피기모듈(100a)과 복수의 하위 제어기(3b,3c,3n)에 적층되는 피기모듈(100b,100c,100n)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하위 제어기는 다시 일 대 일로 복수의 모터(5b,5c,5n)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피기모듈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FIG. 1 show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제어기에 적층되는 피기모듈(100)은 스위칭수단(110), 통신수단(120), 선택수단(130), RJ-45(140), 및 커넥터(150)로 대략 구성할 수 있으며 하위 제어기의 피기모듈(100')도 구성이 동일하다.
As shown in FIG. 2, the
본 발명에 따른 피기모듈의 커넥터(150)는 상위 제어기로부터 생성된 모션 데이터를 피기모듈로 넘겨주도록 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위 제어기의 커넥터와 피기모듈의 커넥터가 서로 연결되어 인터페이스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84핀의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84핀의 핀 할당은 통신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2핀과, 시그널 78핀, 및 파워 4핀으로 구성할 수 있다. 통신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2핀은 표 1에 정의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84핀 핀 할당은 표 2에 정의되어 있다.
The connector 150 of the pigg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for passing motion data generated from the upper controller to the piggy module so that the connector of the upper controller and the connector of the piggy modu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interfa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84-pin connector may be used, and the 84-pin pin assignment may be configured as 2 pins for setting a communication mode, 78 pins for signals, and 4 pins for power. The two pins to set the communication mode are defined in Table 1, and the overall 84-pin pin assignments are defined in Table 2.
상술한 표 1에서 통신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2핀은 풀-업 또는 풀-다운 저항을 이용하여 하이(high signal)(+3.3v) 또는 로우(low signal)(0v)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RTEX 모드는 어느 하나의 핀 전압이 로우이고 다른 핀이 하이인 경우로 정의되며, M-Link 모드는 RTEX 모드의 신호 전압과 정반대의 경우로 정의된다.
In Table 1, the two pins for setting the communication mode can be implemented by generating a high signal (+ 3.3v) or low signal (0v) signal using a pull-up or pull-down resistor. Can be. In other words, the RTEX mode is defined as one pin voltage is low and the other pin is high, and the M-Link mode is defined as the opposite of the signal voltage of the RTEX mode.
78pins
78pins
상술한 표 2와 같이 피기모듈에서 상위 제어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가장 문제되는 점은 각 통신모드 마다 사용되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타 버스, 및 그 외 신호들이 다르다는 점이다. 이 신호들을 서로 맞추어 주기 위해 후술하는 스위칭수단(110)을 사용하며, 표 2는 산업용 프로토콜 중 데이타 버스 수가 가장 많은 M-Link를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As shown in Table 2 above, the most problematic problem when exchanging data with the host controller in the piggy module is that the address bus, data bus, and other signals used in each communication mode are different. In order to match these signals with each other, the switching means 110 described below is used, and Table 2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M-Link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data buses among industrial protocols.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수단(110)은 상위 제어기에서 하위 제어기로 모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나 역으로 하위 제어기에서 상위 제어기로 모터의 상태가 피드백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각 통신 칩(RTEX, EtherCAT, M-Link 칩)이 선택되도록 한다. 스위칭수단(110)은 앞서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통신모드 설정핀 값을 읽어옴으로써 사용자가 어떤 통신 칩(통신 프로토콜)의 사용을 원하는지 알 수 있다.
The switching means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motion data from the upper controller to the lower controller or vice versa in case of transmitting data fed back from the lower controller to the upper controller. , M-Link chip). The
각 통신 칩이 선택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드레스 디코딩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RTEX 칩은 0x1000~0x1FFF의 주소를 갖도록 하고, EtherCAT 칩은 0x2000~0x2FFF의 주소를 갖도록 하고, M-Link 칩은 0x3000~0x3FFF의 주소를 갖도록 디코딩함으로써 특정 통신 칩을 선택하도록 한다.
Address decoding is required for each communication chip to be selected. For example, RTEX chip has an address of 0x1000 ~ 0x1FFF, EtherCAT chip has an address of 0x2000 ~ 0x2FFF, and M-Link chip selects a specific communication chip by decoding it to have an address of 0x3000 ~ 0x3FFF.
또한, 스위칭수단(110)은 후술하는 멀티플렉서(131)(이하 먹스라 한다)의 입력 및 디멀티플렉서(133)(이하 디먹스라 한다)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통신모드에 따른 신호를 먹스(131) 및 디먹스(133)에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switching means 110 is a signa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ode defined by the user to select the input of the multiplexer 131 (hereinafter referred to as mux) and the output of the demultiplexer 133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mux) described later. It is transmitted to the
상술한 스위칭수단(110)은 일반적으로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로서 상용의 자이링스 또는 알테라사의 제품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다만, PLD는 논리 게이트 수가 그렇게 많지 않으므로 로직 구현의 한계가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논리 게이트 수가 많은 제품을 사용하여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The switching means 110 described above may be generally implement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Zirings or Altera product as a 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However, the PLD has a limited logic implementation because the number of logic gates is not so large, but it can be sufficiently implemented using a product having a large number of logic gates according to a user's needs.
본 발명에 따른 통신수단(120)은 일예로서 통신 칩을 의미하며, 통신 칩은 모터 제어를 위한 다양한 프로토콜이 제공되는 칩으로서 M-Link, EtherCAT, RTEX 등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칩이다.
Communication mean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ommunication chip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chip is a chip that supports a protocol such as M-Link, EtherCAT, RTEX as a chip provided with various protocols for controlling the motor.
PLD는 사용자가 정의한 통신모드에 따라 어드레스 디코딩을 하여 복수의 통신 칩 중 어느 하나의 통신 칩을 선택하게 되며, 선택된 통신 칩은 자기 자신의 프로토콜의 정의에 따라 모션 데이터를 가공하여 후술하는 먹스(131)로 출력한다.
The PLD decodes an address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ode defined by a user, and selects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chips. The selected communication chip processes the motion data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its own protocol and the
여기서, 상위 제어기에서 하위 제어기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위 제어기에서 전송된 모션 데이터를 각각의 프로토콜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하여 먹스로 출력한다. 또한, 하위 제어기에서 상위 제어기로 모터의 상태가 피드백된 데이터(이하 모터 데이터라 한다)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하위 제어기의 피기모듈에서 선택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모터 데이터가 디먹스(133)로 입력된다. 디먹스는 다시 하위 제어기의 피기모듈에서 선택된 통신프로토콜에 맞는 통신 칩으로 모터 데이터를 출력하고, 어드레서 디코딩된 통신 칩이 이를 다시 PLD로 전송하도록 하여 최종 상위 제어기로 모터 데이터가 입력된다. 일예로 하위 제어기의 피기모듈에서 선택된 통신모드가 RTEX 이면 상위 제어기의 피기모듈도 RTEX가 선택되어야 한다. 이는 표 1의 통신모드 핀을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upper controller to the lower controller, the mo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upper controller is processed according to each protocol to output the mux. In addition, when transmitting the data fed back the motor st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tor data) from the lower controller to the upper controller, the motor data is input to the
상술한 먹스(131) 및 디먹스(133)는 선택수단(130)의 구성요소로서 먹스(131)의 입력 및 디먹스(133)의 출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PLD의 2bit 신호가 각각 필요하다. 통상 먹스를 다중화기로 부르며, 디먹스를 역다중화기로 부르기도 한다.
The
본 발명에 따른 RJ-45(140,140')는 커넥터의 유형으로서 먹스를 통해 출력된 데이터를 하위 제어기의 피기모듈로 전송(Tx)하며, 하위 제어기의 피기모듈을 통해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Rx)받는다. 이때, RJ-45이외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다.
RJ-4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0,140 ') is a type of connector transmits the data output through the mux to the piggy module of the lower controller (Tx), and receives the data output through the piggy module of the lower controller (Rx) Receive. At this time, in addition to RJ-45, other connectors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여기서, 상위 제어기의 피기모듈 Rx 단자는 하위 제어기의 피기모듈 Tx 단자와 서로 연결되어야 하며, 상위 제어기의 피기모듈 Tx 단자는 하위 제어기의 피기모듈 Rx 단자와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Here, the piggy module Rx terminal of the upper controller should be connected to the piggy module Tx terminal of the lower controller, and the piggy module Tx terminal of the upper controller should be connected to the piggy module Rx terminal of the lower controller.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In other word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at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상위 제어기
3,3b,3c,3n : 하위 제어기
5b,5n,5n : 모터
100,100',100a,100b,100c,100n : 피기모듈
110 : 스위칭수단
120 : 통신수단
130 : 선택수단
131 : 멀티플렉서
133 : 디멀티플렉서
140,140' : RJ-45
150 : 커넥터1: host controller
3,3b, 3c, 3n: lower controller
5b, 5n, 5n: motor
100,100 ', 100a, 100b, 100c, 100n: Piggy module
110: switching means
120: communication means
130: selection means
131: Multiplexer
133: Demultiplexer
140,140 ': RJ-45
150: connector
Claims (6)
상기 복수의 통신모드에 따른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여 멀티플렉서(131)로 출력하는 복수의 통신수단(120); 및
상기 스위칭수단(110)에 의해 상기 복수의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선택된 통신모드에 상응하는 가공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선택수단(130);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통신수단(120) 각각은 상기 복수의 통신모드 각각에 따른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고,
상기 선택수단(130)은,
상기 상위 제어기에서 상기 하위 제어기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통신수단(1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가공된 데이터를 상기 하위 제어기로 출력하도록 하는 상기 멀티플렉서(131); 및
상기 하위 제어기에서 상기 상위 제어기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통신수단(120) 중 어느 하나에 데이터를 상기 상위 제어기로 출력하도록 하는 디멀티플렉서(13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신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스위칭수단(110)과 상기 통신수단(120) 간의 어드레스 버스를 제어하고,
상기 상위 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션 데이터이며,
상기 하위 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모터의 상태가 피드백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로토콜 전송 장치.
Switching means (110) for receiving data from at least one of an upper controller and a lower controller, and switching to a communication mode selected by a user amo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s for transmitting the data to any one controlle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ans (120) for processing the data based on a protocol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s and outputting the multiplexer (131); And
Selecting means 130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s by the switching means 110, and outputs the processed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mmunication mode;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ans 120 processes the data based on a protocol accor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s,
The selection means 130,
The multiplexer (131)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ans (120) to output processed data to the lower controller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upper controller to the lower controller; And
And a demultiplexer 133 for outputting data to the upper controller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ans 120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lower controller to the upper controller.
Controlling an address bus between the switching means 110 and the communication means 120 to switch to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The data output from the host controller is motion data for driving a motor.
The data output from the lower controller is a multi-protocol transmiss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fed back the state of the motor.
상기 상위 제어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모션 데이터를 상기 스위칭수단(110)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하위 제어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모터의 상태가 피드백되는 데이터를 상기 스위칭수단(110)으로 전송하는 커넥터(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로토콜 전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or 150 for transmitting the motion data output from the upper controller to the switching means 110 or for transmitting the data fed back to the state of the motor output from the lower controller to the switching means 110. Multiprotocol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a.
상기 통신수단(120)은,
EtherCAT, M-Link, 및 RTEX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가공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로토콜 전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means 120,
A multi-protocol transmission apparatu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processed data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of EtherCAT, M-Link, and RTEX.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9936A KR101346690B1 (en) | 2012-01-31 | 2012-01-31 | Multi protocol transmit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9936A KR101346690B1 (en) | 2012-01-31 | 2012-01-31 | Multi protocol transmit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8597A KR20130088597A (en) | 2013-08-08 |
KR101346690B1 true KR101346690B1 (en) | 2013-12-31 |
Family
ID=4921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9936A KR101346690B1 (en) | 2012-01-31 | 2012-01-31 | Multi protocol transmit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669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03369A (en) * | 2014-12-19 | 2015-04-08 | 清能德创电气技术(北京)有限公司 | Servo driver and servo parameter operation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997768B1 (en) | 2014-02-10 | 2018-03-14 | SZ DJI Technology Co., Ltd. | Adaptive communication mode switchin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6997A (en) * | 2001-02-09 | 2003-11-12 | 모션 엔지니어링 인크. | A system for motion control, method of using the system for motion control, and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use with the system for motion control |
KR20050087079A (en) * | 2004-02-24 | 2005-08-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Protocol conversion and arbitration circuit,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verting and arbitrating signals |
KR20100080191A (en) * | 2008-12-31 | 2010-07-0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ynchronization between slave devices connected to network |
-
2012
- 2012-01-31 KR KR1020120009936A patent/KR10134669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6997A (en) * | 2001-02-09 | 2003-11-12 | 모션 엔지니어링 인크. | A system for motion control, method of using the system for motion control, and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use with the system for motion control |
KR20050087079A (en) * | 2004-02-24 | 2005-08-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Protocol conversion and arbitration circuit,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verting and arbitrating signals |
KR20100080191A (en) * | 2008-12-31 | 2010-07-0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ynchronization between slave devices connected to network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03369A (en) * | 2014-12-19 | 2015-04-08 | 清能德创电气技术(北京)有限公司 | Servo driver and servo parameter opera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8597A (en) | 2013-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425986B (en) | An interface circuit that can switch between single-ended transmission and differential transmission | |
EP2763364B1 (en) | Network configurable industrial device | |
US10146717B2 (en) | Servo drive device | |
KR101346690B1 (en) | Multi protocol transmitter | |
EP1739569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function using unique port in wireless terminal | |
CN202166875U (en) | Servo driver with distributed motion control function and servo driver network architecture | |
US2023006978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alve manifold | |
CN101568890B (en) | Two-wire field device for process automation technology for connecting at least one sensor element | |
JP5565623B2 (en) | I / O module | |
US8788609B2 (en) | Automation device and automation system | |
KR20180123627A (en) |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 |
CA3158770A1 (en) | Input/output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dynamic environments | |
CN103229158A (en) |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inter-integrated circuit bus | |
CN100412837C (en) | Multichannel internal integrated circuit | |
CN104063346A (en) | Apparatus For Rs-232c And Rs-485 Serial Communication Using Common Communication Port | |
JP4823273B2 (en) |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ed to embedded system | |
JP2007079731A (en) | Data control device | |
US10860503B2 (en) | Virtual pipe for connecting devices | |
JP4346539B2 (en) | Control device | |
CN113687625B (en) | Configurable circuit module of analog channel type | |
CN105259869A (en) | Double-bus communication-based embedded motion controller and design method thereof | |
JP7091456B2 (en) | In-vehicle electronic control device | |
JP2015060370A (en) | Numerical control device with built-in robot controller | |
CN105262388B (en) | Stepping motor driving device and stepping motor control system | |
CN105893747A (en) | Medical X-ray product CAN bus interconnection extens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