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414B1 -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 Google Patents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6414B1 KR101346414B1 KR1020130016309A KR20130016309A KR101346414B1 KR 101346414 B1 KR101346414 B1 KR 101346414B1 KR 1020130016309 A KR1020130016309 A KR 1020130016309A KR 20130016309 A KR20130016309 A KR 20130016309A KR 101346414 B1 KR101346414 B1 KR 1013464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lyte
- lithium
- gel polymer
- polymer electrolyte
- carbon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상온에서 100 사이클 후의 리튬이차전지의 방전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상온에서 300 사이클 후의 리튬이차전지의 방전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55℃에서 100 사이클 후의 리튬이차전지의 방전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리튬이차전지의 교류 임피던스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 충전량(mAh/g) | 방전량(mAh/g) | 효율(%) |
제조예 1 | 155.8 | 145.0 | 93.1 |
제조예 2 | 157.2 | 145.7 | 92.7 |
비교예 1 | 154.3 | 143.2 | 92.9 |
비교예 2 | 155.2 | 138.4 | 89.2 |
구분 | 겔화 시작점(wt%) | 방전량(mAh/g) | 초기 충방전 효율(%) |
PEI(Mn:~10000) PEGDE(Mn:~500) |
1 | 143.2 | 92.9 |
PEI(Mn:~800) PEGDE(Mn:~500) |
9 | 121.4 | 87.5 |
PEI(Mn:~400) PEGDE(Mn:~500) |
11 | 109.8 | 84.3 |
PEI(Mn:~10000) PEGDE(Mn:~200) |
3 | 140.8 | 90.4 |
PEI(Mn:~10000) PEGDE(Mn:~1000) |
1 | 142.5 | 91.6 |
구분 | 겔화 시작점(wt%) | 방전량(mAh/g) | 초기 충방전 효율(%) |
FEC(1wt%) | 1 | 142.5 | 92.4 |
FEC(3wt%) | 1 | 143.2 | 92.9 |
FEC(10wt%) | 1 | 141.3 | 91.5 |
FEC(20wt%) | 겔화 불가 | - | - |
구분 | 충전량(mAh/g) | 방전량(mAh/g) | 효율(%) |
제조예 1 (PEI+PEGDE, 1중량%) |
155.8 | 145.0 | 93.1 |
제조예 3 (PEI+PEGDE, 5중량%) |
150.3 | 139.3 | 92.7 |
제조예 4 (PEI+PEGDE, 10중량%) |
142.7 | 132.7 | 93.0 |
제조예 2 (PEI+DG4GOA, 1중량%) |
157.2 | 145.7 | 92.7 |
제조예 5 (PEI+DG4GOA, 5중량%) |
168.4 | 143.8 | 85.4 |
제조예 6 (PEI+DG4GOA, 10중량%) |
192.9 | 135.5 | 70.2 |
비교예 1 | 154.3 | 143.2 | 92.9 |
구분 | 점성(cP, 상온) | 이온전도도(mS/cm, 상온) |
제조예 1 (PEI+PEGDE, 1중량%) |
4.6 | 10.1 |
제조예 3 (PEI+PEGDE, 5중량%) |
6.9 | 8.7 |
제조예 4 (PEI+PEGDE, 10중량%) |
12.3 | 7.0 |
제조예 2 (PEI+DG4GOA, 1중량%) |
4.4 | 9.9 |
제조예 5 (PEI+DG4GOA, 5중량%) |
5.7 | 8.4 |
제조예 6 (PEI+DG4GOA, 10중량%) |
8.2 | 6.5 |
비교예 1 | 4.2 | 10.6 |
압착 조건 | 1000kgf, 10초 | 판단 | ||
구분 | 압착 전 무게(g) | 압착 후 무게(g) | 무게 변화(g) | |
제조예 1 | 11.37 | 11.37 | 0 | 누액 없음 |
제조예 2 | 11.36 | 11.36 | 0 | 누액 없음 |
비교예 1 | 11.46 | 11.39 | 0.07 | 누액 |
비교예 2 | 11.52 | 11.52 | 0 | 누액 없음 |
구분 | 1번째 방전량(mAh/g) | 100번째 방전량(mAh/g) | 잔존용량효율(%) |
제조예 1 | 144.1 | 129.8 | 90.1 |
제조예 2 | 145.0 | 135.3 | 93.3 |
비교예 1 | 144.8 | 127.1 | 87.8 |
구분 | 1번째 방전량(mAh/g) | 300번째 방전량(mAh/g) | 잔존용량효율(%) |
제조예 1 | 144.1 | 112.7 | 78.2 |
제조예 2 | 145.0 | 116.7 | 80.5 |
비교예 1 | 144.8 | 100.5 | 69.4 |
비교예 2 | 137.1 | 90.1 | 65.7 |
구분 | 1번째 방전량(mAh/g) | 100번째 방전량(mAh/g) | 잔존용량효율(%) |
제조예 1 | 140.9 | 100.3 | 71.2 |
비교예 1 | 142.8 | 77.3 | 54.1 |
구분 | 초기 계면저항(Ω) | 300 사이클 후 계면저항(Ω) | 증가율(%) |
제조예 1 | 28.3 | 70.9 | 251 |
제조예 2 | 30.2 | 67.0 | 222 |
비교예 1 | 21.2 | 75.0 | 354 |
비교예 2 | 124.8 | 115.1 | 92 |
300: 겔 폴리머 전해질 400: 분리막
Claims (11)
- 리튬염과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유기 전해액; 및
상기 유기 전해액이 함침된 폴리머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아민계 경화제 및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카바메이트 화합물과 에폭시 화합물의 가교 결합으로 형성된 에폭시-카바메이트 폴리머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경화제는 2 이상의 아민기를 갖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아민인 겔 폴리머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경화제는 폴리에틸렌이민,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트라이에틸렌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프로필렌다이아민 및 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겔 폴리머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경화제는 폴리에틸렌이민인 겔 폴리머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2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화합물인 겔 폴리머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다이글리시딜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다이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다이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다이글리시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다이글리시딜 에테르, N,N-다이글리시딜-4-글리시딜옥시아닐린, 트라이메틸올 프로판 트라이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트라이글리시딜 에테르,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사이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 부타다이엔 다이에폭사이드, 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에테르 및 다이에폭시사이클로옥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겔 폴리머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경화제와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총 함량은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겔 폴리머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리튬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리튬퍼클로레이트, 리튬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리튬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리튬헥사플루오로아세네이트, 리튬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리튬비스옥살라토보레이트 및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겔 폴리머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다이메틸 카보네이트, 다이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및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겔 폴리머 전해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해액은 기능성 첨가제를 더 함유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비닐렌 카보네이트,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비닐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판설톤, 석시닉안하이드라이드, 석시노니트릴로 및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겔 폴리머 전해질. - 대향 배치되는 양극과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의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6309A KR101346414B1 (ko) | 2013-02-15 | 2013-02-15 |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6309A KR101346414B1 (ko) | 2013-02-15 | 2013-02-15 |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6414B1 true KR101346414B1 (ko) | 2014-01-16 |
Family
ID=5014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630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46414B1 (ko) | 2013-02-15 | 2013-02-15 |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6414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53041A1 (ko) * | 2014-10-02 | 2016-04-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101797295B1 (ko) * | 2014-10-02 | 2017-11-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CN108023127A (zh) * | 2016-10-31 | 2018-05-11 | 株式会社日立制作所 | 二次电池和二次电池的制造方法 |
WO2019098550A3 (ko) * | 2017-11-16 | 2019-07-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19209087A1 (ko) * | 2018-04-27 | 2019-10-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WO2020071838A1 (ko) * | 2018-10-05 | 2020-04-09 | 주식회사 유뱃 | 집전체가 노출된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00039586A (ko) * | 2018-10-05 | 2020-04-16 | 주식회사 유뱃 | 집전체가 노출된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0085726A1 (ko) * | 2018-10-26 | 2020-04-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
US10886563B2 (en) | 2017-04-14 | 2021-01-05 | Lg Chem, Ltd. | Polymer solid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CN114883657A (zh) * | 2022-05-31 | 2022-08-09 | 上海瑞浦青创新能源有限公司 | 一种半固态电池的制备方法及其应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73992A (ja) * | 1997-07-04 | 1999-03-16 | Daiso Co Ltd | 新規なリチウムポリマー電池 |
KR100522685B1 (ko) | 2001-08-25 | 2005-10-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겔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
KR100898291B1 (ko) | 2007-09-12 | 2009-05-1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KR101055144B1 (ko) | 2010-01-15 | 2011-08-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
-
2013
- 2013-02-15 KR KR1020130016309A patent/KR10134641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73992A (ja) * | 1997-07-04 | 1999-03-16 | Daiso Co Ltd | 新規なリチウムポリマー電池 |
KR100522685B1 (ko) | 2001-08-25 | 2005-10-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겔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
KR100898291B1 (ko) | 2007-09-12 | 2009-05-1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KR101055144B1 (ko) | 2010-01-15 | 2011-08-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
Cited B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7295B1 (ko) * | 2014-10-02 | 2017-11-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US10276893B2 (en) | 2014-10-02 | 2019-04-30 | Lg Chem, Ltd. | Gel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WO2016053041A1 (ko) * | 2014-10-02 | 2016-04-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CN108023127A (zh) * | 2016-10-31 | 2018-05-11 | 株式会社日立制作所 | 二次电池和二次电池的制造方法 |
US10886563B2 (en) | 2017-04-14 | 2021-01-05 | Lg Chem, Ltd. | Polymer solid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EP3654416A4 (en) * | 2017-11-16 | 2020-08-12 | LG Chem, Ltd. |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WO2019098550A3 (ko) * | 2017-11-16 | 2019-07-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이의 제조방법 |
CN111066177B (zh) * | 2017-11-16 | 2023-03-28 | 株式会社Lg新能源 | 锂二次电池用正极和其制造方法 |
US11476458B2 (en) | 2017-11-16 | 2022-10-18 | Lg Energy Solution, Ltd. | Cath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N111066177A (zh) * | 2017-11-16 | 2020-04-24 | 株式会社Lg化学 | 锂二次电池用正极和其制造方法 |
KR20190125085A (ko) * | 2018-04-27 | 2019-11-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KR102434068B1 (ko) * | 2018-04-27 | 2022-08-1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US11967732B2 (en) | 2018-04-27 | 2024-04-23 | Lg Energy Solution, Ltd. | Separation membran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
CN111937214A (zh) * | 2018-04-27 | 2020-11-13 | 株式会社Lg化学 | 用于锂二次电池的隔板和包括所述隔板的锂二次电池 |
CN111937214B (zh) * | 2018-04-27 | 2024-03-29 | 株式会社Lg新能源 | 用于锂二次电池的隔板和包括所述隔板的锂二次电池 |
EP3761431A4 (en) * | 2018-04-27 | 2021-04-28 | Lg Chem, Ltd. | SEPARATOR FOR SECONDARY LITHIUM BATTERY AND SECONDARY LITHIUM BATTERY, INCLUDING IT |
WO2019209087A1 (ko) * | 2018-04-27 | 2019-10-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KR20200039586A (ko) * | 2018-10-05 | 2020-04-16 | 주식회사 유뱃 | 집전체가 노출된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0071838A1 (ko) * | 2018-10-05 | 2020-04-09 | 주식회사 유뱃 | 집전체가 노출된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278772B1 (ko) | 2018-10-05 | 2021-07-20 | 주식회사 유뱃 | 집전체가 노출된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594515B1 (ko) * | 2018-10-26 | 2023-10-2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
KR20200046943A (ko) * | 2018-10-26 | 2020-05-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
WO2020085726A1 (ko) * | 2018-10-26 | 2020-04-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
CN114883657A (zh) * | 2022-05-31 | 2022-08-09 | 上海瑞浦青创新能源有限公司 | 一种半固态电池的制备方法及其应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6414B1 (ko) |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 |
KR101432915B1 (ko) | 개질된 리튬 금속 전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금속전지 | |
US6841303B2 (en) | High ionic conductivity gel polymer electrolyte for rechargeable polymer batteries | |
CN102195084B (zh) | 非水电解液及使用其的锂二次电池 | |
KR101764266B1 (ko) | 저온 성능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618539B1 (ko) | 리튬금속전지용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전지 및 리튬금속전지의 제조방법 | |
KR20190113605A (ko) | 전고체 전지용 복합 고체 전해질 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 |
JP4149241B2 (ja) | 過充電安全性の向上のための高分子電解質形成用組成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リチウム電池 | |
KR100558847B1 (ko) |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와 그의 제조방법 | |
KR20160036808A (ko) |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US20160079601A1 (en) | Cath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ies, method for producing cath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y | |
KR102434069B1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 |
KR101797289B1 (ko) |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US7220519B2 (en) | Electrolyte composition, lithium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thium battery | |
KR20170038536A (ko) | 비수성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CN1218426C (zh) | 锂聚合物电池 | |
KR100560208B1 (ko) | 상온에서 겔화가능한 겔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 |
KR100560211B1 (ko) |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전해질 조성물 | |
Zhang et al. | In-situ generated solid-state electrolytes with intimate interface affinity enable conductivity and high performances for lithium-ion batteries | |
KR100560209B1 (ko) |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전해질 조성물 | |
KR100560210B1 (ko) | 높은 과충전 안전성 및 낮은 고온 부풀음 특성을 갖는전해질 조성물 | |
KR20170038534A (ko) | 비수성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20170008475A (ko) | 비수성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JP2002033123A (ja) | フィルムパッケージ電池 | |
KR20050000830A (ko) |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전해질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