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5568B1 -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568B1
KR101345568B1 KR1020120000861A KR20120000861A KR101345568B1 KR 101345568 B1 KR101345568 B1 KR 101345568B1 KR 1020120000861 A KR1020120000861 A KR 1020120000861A KR 20120000861 A KR20120000861 A KR 20120000861A KR 101345568 B1 KR101345568 B1 KR 101345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ending
hose clamp
cylind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114A (ko
Inventor
강맹수
호문익
Original Assignee
강맹수
주식회사 한일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맹수, 주식회사 한일정공 filed Critical 강맹수
Priority to KR102012000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5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80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3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clips, clamps, or like fastening or attaching devices, e.g. for electric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를 파이프 등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소한의 허용 오차를 위해 본체의 후면 일측에서 공급되는 소재의 양단을 본체의 후면 중앙에서 절단하고, 절단된 소재를 본체의 정면 중앙으로 이송한 후 고리형상으로 밴딩하며, 밴딩된 소재의 양단을 스폿용접하여 고리형상의 호스 클램프로 완성한 후 본체의 정면 하측으로 낙하시킴으로써, 호스 클램프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에 안착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후면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소재를 수평 상태로 가이드하여 공급하는 공급부; 본체부의 후면 중앙에 설치되어 소재의 양단을 각각 양측에서 동시에 절단하는 절단부; 본체부의 후면 중앙 양측에 설치되어 소재의 양단부를 호형상으로 1차 밴딩하는 1차밴딩부; 본체부의 후면 중앙과 정면 중앙의 사이에 설치되어 소재를 본체부의 정면 중앙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본체부의 정면 중앙 하측에 설치되어 소재의 중간부 양측을 각각 호형상으로 2차 밴딩하는 2차밴딩부; 본체부의 정면 중앙 상측에 설치되어 소재의 양단부를 각각 호형상으로 3차 밴딩하여 소재를 양단이 겹친 고리형상으로 성형하는 3차밴딩부; 본체부의 정면 상측에 설치되어 소재의 양단을 압착시키면서 스폿용접하여 고리형상의 호스 클램프를 완성하는 용접부; 본체부의 정면 하측에 설치되어 완성된 호스 클램프가 낙하하여 담기는 포장박스를 좌우로 움직이는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clamp for hose}
본 발명은 호스를 파이프 등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소한의 허용 오차를 위해 본체의 후면 일측에서 공급되는 소재의 양단을 본체의 후면 중앙에서 절단하고, 절단된 소재를 본체의 정면 중앙으로 이송한 후 고리형상으로 밴딩하며, 밴딩된 소재의 양단을 스폿용접하여 고리형상의 호스 클램프로 완성한 후 본체의 정면 하측으로 낙하시킴으로써, 호스 클램프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 클램프는 호스를 파이프 등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호스 클램프는 호스의 외주면에 외삽될 수 있도록 강판 소재를 둥글게 밴딩한 상태에서 그 양단을 스폿용접하여 반지와 같이 둥근 고리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호스 클램프는 파이프에 연결된 호스의 외주면에 외삽된 상태에서 별도의 압착수단을 통해 그 직경을 축소시킴으로써 호스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착시켜 호스가 파이프에서 분리되지 않고 파이프와 긴밀하게 연결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호스 클램프는 간단한 구조의 금형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소재를 둥글게 밴딩한 후 그 양단을 일일이 스폿용접을 행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호스 클램프의 제조시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밴딩하고 일일이 스폿용접을 행하여 제조함으로써 호스 클램프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여 불량 발생률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호스의 클램핑도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가 직접 소재를 가공하고 스폿용접을 행해야 하므로 단위 시간당 제조되는 호스 클램프의 수량도 많지 않으므로 호스 클램프의 생산성도 떨어져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하기 위하여, 둥글게 밴딩하여 양단을 스폿용접한 고리형상의 호스 클램프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재를 밴딩하고 스폿용접하는 작업 등을 모두 자동화 방식을 통해 일률적으로 행하는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바닥에 안착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후면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소재를 수평 상태로 가이드하여 공급하는 공급부; 본체부의 후면 중앙에 설치되어 소재의 양단을 각각 양측에서 동시에 절단하는 절단부; 본체부의 후면 중앙 양측에 설치되어 소재의 양단부를 호형상으로 1차 밴딩하는 1차밴딩부; 본체부의 후면 중앙과 정면 중앙의 사이에 설치되어 소재를 본체부의 정면 중앙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본체부의 정면 중앙 하측에 설치되어 소재의 중간부 양측을 각각 호형상으로 2차 밴딩하는 2차밴딩부; 본체부의 정면 중앙 상측에 설치되어 소재의 양단부를 각각 호형상으로 3차 밴딩하여 소재를 양단이 겹친 고리형상으로 성형하는 3차밴딩부; 본체부의 정면 상측에 설치되어 소재의 양단을 압착시키면서 스폿용접하여 고리형상의 호스 클램프를 완성하는 용접부; 본체부의 정면 하측에 설치되어 완성된 호스 클램프가 낙하하여 담기는 포장박스를 좌우로 움직이는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호스 클램프를 자동화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그 품질과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소재의 양단을 절단하여 가공함으로써 소재의 길이에 대한 허용 오차를 최소화하여 스폿용접시 길이 부족으로 인한 용접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체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스폿용접시 전류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스폿용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폿용접기의 오작동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우측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절단부와 1차밴딩부의 작동에 따른 정면도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2차밴딩부와 3차밴딩부의 작동에 따른 정면도.
도 8와 도 9는 본 발명의 용접부의 작동 상태에 따른 정면도와 요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호스 클램프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100)는 호스 등이 파이프에서 분리되지 않고 파이프와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호스를 강하게 압착시키는 둥근 고리형상의 호스 클램프(C)를 제조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의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100)는 도 10과 같은 호스 클램프(C)를 제조하기 위한 모든 작업을 자동화 방식을 통해 일률적으로 행함으로써 호스 클램프(C)를 균일한 품질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안착되는 본체부(10); 본체부(10)의 후면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소재(M)를 수평 상태로 가이드하여 공급하는 공급부(20); 본체부(10)의 후면 중앙에 설치되어 소재(M)의 양단을 각각 양측에서 동시에 절단하는 절단부(30); 본체부(10)의 후면 중앙 양측에 설치되어 소재(M)의 양단부를 호형상으로 1차 밴딩하는 1차밴딩부(40); 본체부(10)의 후면 중앙과 정면 중앙의 사이에 설치되어 소재(M)를 본체부(10)의 정면 중앙으로 이송하는 이송부(50); 본체부(10)의 정면 중앙 하측에 설치되어 소재(M)의 중간부 양측을 각각 호형상으로 2차 밴딩하는 2차밴딩부(60); 본체부(10)의 정면 중앙 상측에 설치되어 소재(M)의 양단부를 각각 호형상으로 3차 밴딩하여 소재(M)를 양단이 겹친 고리형상으로 성형하는 3차밴딩부(70); 본체부(10)의 정면 상측에 설치되어 소재(M)의 양단을 압착시키면서 스폿용접하여 고리형상의 호스 클램프(C)를 완성하는 용접부(80); 본체부(10)의 정면 하측에 설치되어 완성된 호스 클램프(C)가 낙하하여 담기는 포장박스를 좌우로 움직이는 적재부(90);를 포함한 구성에 의해 달성됩니다.
상기 공급부(20)는 외부 장치에 의해 본체부(10)의 일측에서 자동으로 피딩되는 소재(M)를 수평 상태로 안착시켜 절단부(30)로 안내하는 수평플레이트(2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부(30)는 한 쌍의 실린더(31)와, 각 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해 각각 하방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링크블럭(32)과, 각 링크블럭(32)의 회동에 의해 소재(M)의 양단을 각각 절단하는 한 쌍의 커터(33)와, 소재(M)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구(3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1차밴딩부(40)는 호형상의 하면을 가진 1차상부밴딩금형(41)과, 1차상부밴딩금형(41)의 하면과 계합되는 상면을 가지고 실린더(42)에 의해 승강되면서 소재(M)를 사이에 두고 1차상부밴딩금형(41)과 계합되어 소재(M)의 양단부를 원호형으로 1차밴딩하는 1차하부밴딩금형(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50)는 실린더(51)의 작동에 의해 소재(M)를 상하부에서 압지하는 고정구(52)와, 실린더(53)의 작동에 의해 고정구(52)를 본체부(10)의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레일(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2차밴딩부(60)는 소재(M)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환봉(61)과, 실린더(62)의 작동에 의해 소재(M)를 지지환봉(61)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고정핀(63)과, 실린더(64)의 작동에 의해 소재(M)의 중간부 양측을 각각 지지환봉(61)으로 밀착시켜 원호형으로 밴딩하는 한 쌍의 2차밴딩금형(6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3차밴딩부(70)는 실린더(71)의 작동에 의해 소재(M)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환봉(61)으로 밀착시켜 소재(M)를 양단이 겹친 고리형상으로 밴딩하는 한 쌍의 3차밴딩금형(7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접부(80)는 가동전극이 되고 실린더(81)의 작동에 의해 지지환봉(61)으로 하강하여 소재(M)의 양단부에 압력을 가하면서 스폿용접하여 고리형상의 호스 클램프(C)를 완성하는 스폿용접기(82)와, 지지환봉(61)의 상단에 설치되어 가동전극이 되는 용접받침(83)와, 각 3차밴딩금형(72)에 각각 설치되어 스폿용접기(82)의 전류가 3차밴딩금형(72)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용접받침(83)으로 흐르게 하는 한 쌍의 절연체(8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적재부(90)는 실린더(91)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완성되어 낙하되는 호스 클램프(C)를 포장박스의 내부에 가지런하게 적재하도록 안내하는 적재플레이트(9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에서 자동으로 풀리면서 공급부(20)에 의해 수평 상태로 공급되는 코일형태의 소재(M)는, 절단부(30)에서 양단이 절단됨과 동시에 1차밴딩부(40)에서 양단부가 호형상으로 성형된 후, 이송부(50)를 통해 2차밴딩부(60)와 3차밴딩부(70)로 이송되어 양단이 상하로 겹쳐진 고리형상으로 성형된 다음, 용접부(80)를 거쳐 양단이 스폿용접되어 고리형상의 호스 클램프(C)로 완성되어, 적재부(90)를 통해 포장상자에 가지런하게 적재된다.
이에 따라 호스 클램프(C)를 작업자를 통해 수작업으로 제조하지 않고 장치를 통해 일률적인 자동화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우수하고 균일한 품질을 가진 호스 클램프(C)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절단부(30)에서는 소재(M)의 양단을 모두 절단함에 따라, 소재(M)의 길이를 더욱 정확하게 하여 허용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용접부(80)에서 소재(M)의 양단을 스폿용접할 때 그 양단의 겹쳐지는 길이가 부족하여 생기는 용접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3차밴딩금형(72)에는 스폿용접기(82)의 전류가 흘러나가지 않게 하는 절연체(84)가 설치됨에 따라, 소재(M)를 스폿용접할 때 스폿용접기(82)의 전류가 용접받침(83)으로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 따라서 용접부(80)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전류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통해 호스 클램프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코일형태로 감겨 있는 소재(M)가 외부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풀리면 공급부(20)는 도 2와 같이 본체부(10)의 후면 일측에서 수평플레이트(21)를 통해 소재(M)를 수평 상태로 안내하여 본체부(10)의 후면 중앙에 있는 절단부(30)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절단부(30)는 도 6과 같이 각 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해 각 링크블럭(32)이 하방으로 회동되면서 한 쌍의 커터(33)를 수직으로 하강시켜 소재(M)의 양단을 설정 길이에 맞게 수직으로 절단하게 된다.
단, 소재(M)의 양단은 지지구(34)의 내부에 일정깊이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커터(33)에 의해 그 양단이 절단될 때 소재(M)가 아래로 쳐지지 않아 절단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소재(M)의 일단부만을 절단하지 않고 그 양단 모두를 절단하는 이유는 소재(M)의 절단 길이에 대한 정밀도를 높여 이후의 스폿용접에서 그 짧거나 긴 길이로 인해 유발되는 용접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소재(M)의 양단이 절단되면, 1차밴딩부(40)는 도 5와 같이 절단된 소재(M)의 양단부를 호형상으로 1차 밴딩하게 된다.
즉, 도 6과 같이 각 실린더(42)의 작동에 따라 1차하부밴딩금형(43)이 승강되면서 소재(M)의 양단부를 사이에 두고 1차상부밴딩금형(41)과 강한 압력으로 계합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런 다음 소재(M)는 도 4의 이송부(50)에 의해 본체부(10)의 정면 중앙으로 이송된다. 이는 실린더(51)가 작동되면서 고정구(52)가 소재를 압지한 상태에서 실린더(53)의 작동에 의해 이송레일(54)을 따라 본체부(10)의 정면 중앙으로 이동되면서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소재(M)가 본체부(10)의 정면 중앙으로 이송되면, 2차밴딩부(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M)의 중간부 양측을 각각 동시에 호형상으로 2차 밴딩하게 된다.
즉, 각 실린더(64)가 작동되면서 양측의 2차밴딩금형(65)이 경사진 각도로 승강되면서 지지환봉(61)에 의해 내주면이 지지되고 고정핀(63)에 의해 외주면 중간이 지지되는 소재(M)의 중간부 양측을 하부에서 상부로 강한 압력으로 압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소재(M)의 중간부는 지지환봉(61)과 2차밴등금형(65)이 계합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소재(M)는 도 1과 같이 그 중간부와 양단부가 호형상으로 성형된 상태가 된다.
그런 다음 3차밴딩부(70)는 도 8과 같이 소재(M)의 양단부를 호형상으로 성형하여 그 양단이 상하로 겹쳐지는 고리형상으로 3차 밴딩하게 된다. 이는 실린더(71)의 작동에 의해 소재(M)의 상부 양측에서 한 쌍의 3차밴딩금형(72)이 경사진 각도로 하강되면서 압착시키는 작동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소재(M)는 양단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지지환봉(61)의 형상과 대응되게 고리형상으로 성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고리형상으로 성형된 소재(M)의 양단은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용접부(80)에 의해 스폿용접된다. 즉, 스폿용접기(82)가 실린더(81)에 의해 하강된 상태에서 스폿용접기(82)로 공급된 전류가 소재(M)를 사이에 두고 금형받침(83)으로 흐르면서 저항이 증가하여 소재(M)의 양단을 국부적으로 가열 및 압착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각 3차밴딩금형(72)에는 스폿용접기(82)의 전류를 차단하는 절연체(84)가 설치됨에 따라 스폿용접기(82)와 금형받침(83) 간에서만 전류가 흐르도록 유도하므로써 스폿용접기(82)의 오작동과 전류 누출에 의해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소재(M)의 양단이 스폿용접됨으로써 도 10과 같은 고리형상의 호스 클램프(C)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호스 클램프(C)는 계속적으로 이송되는 다른 소재(M)에 의해 본체부(10)의 정면 하측으로 낙하하여 적재부(90)에 놓인 포장상자로 적재된다.
이때 포장상자가 놓이는 적재플레이트(92)는 실린더(91)의 작동에 의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좌우 반복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포장상자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좌우로 이동시켜 호스 클램프(C)가 포장상자 내부로 고르게 분산 적재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호스 클램프(C)를 우수하고 균일한 품질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하며 스폿용접시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여 스폿용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본체부 20: 공급부
21: 수평플레이트 30: 절단부
31: 실린더 32: 링크블럭
33: 커터 34: 지지구
40: 1차밴딩부 41: 1차상부밴딩금형
42: 실린더 43: 1차하부밴딩금형
50: 이송부 51: 실린더
52: 고정구 53: 실린더
54: 이송레일 60: 2차밴딩부
61: 지지환봉 62: 실린더
63: 고정핀 64: 실린더
65: 2차밴딩금형 70: 3차밴딩부
71: 실린더 72: 3차밴딩금형
80: 용접부 81: 실린더
82: 스폿용접기 83: 용접받침
84: 절연체 90: 적재부
91: 실린더 92: 적재플레이트
100: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
M: 소재 C: 호스 클램프

Claims (3)

  1. 바닥에 안착되는 본체부(10); 본체부(10)의 후면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소재(M)를 수평 상태로 가이드하여 공급하는 공급부(20); 본체부(10)의 후면 중앙에 설치되어 소재(M)의 양단을 각각 양측에서 동시에 절단하는 절단부(30); 본체부(10)의 후면 중앙 양측에 설치되어 소재(M)의 양단부를 호형상으로 1차 밴딩하는 1차밴딩부(40); 본체부(10)의 후면 중앙과 정면 중앙의 사이에 설치되어 소재(M)를 본체부(10)의 정면 중앙으로 이송하는 이송부(50); 본체부(10)의 정면 중앙 하측에 설치되어 소재(M)의 중간부 양측을 각각 호형상으로 2차 밴딩하는 2차밴딩부(60); 본체부(10)의 정면 중앙 상측에 설치되어 소재(M)의 양단부를 각각 호형상으로 3차 밴딩하여 소재(M)를 양단이 겹친 고리형상으로 성형하는 3차밴딩부(70); 본체부(10)의 정면 상측에 설치되어 소재(M)의 양단을 압착시키면서 스폿용접하여 고리형상의 호스 클램프(C)를 완성하는 용접부(80); 본체부(10)의 정면 하측에 설치되어 완성된 호스 클램프(C)가 낙하하여 담기는 포장박스를 좌우로 움직이는 적재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20)는 외부 장치에 의해 본체부(10)의 일측에서 자동으로 피딩되는 소재(M)를 수평 상태로 안착시켜 절단부(30)로 안내하는 수평플레이트(21)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30)는 한 쌍의 실린더(31)와, 각 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해 각각 하방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링크블럭(32)과, 각 링크블럭(32)의 회동에 의해 소재(M)의 양단을 각각 절단하는 한 쌍의 커터(33)와, 소재(M)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구(34)로 구성되며; 상기 1차밴딩부(40)는 호형상의 하면을 가진 1차상부밴딩금형(41)과, 1차상부밴딩금형(41)의 하면과 계합되는 상면을 가지고 실린더(42)에 의해 승강되면서 소재(M)를 사이에 두고 1차상부밴딩금형(41)과 계합되어 소재(M)의 양단부를 원호형으로 1차밴딩하는 1차하부밴딩금형(43)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50)는 실린더(51)의 작동에 의해 소재(M)를 상하부에서 압지하는 고정구(52)와, 실린더(53)의 작동에 의해 고정구(52)를 본체부(10)의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레일(54)로 구성되고; 상기 2차밴딩부(60)는 소재(M)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환봉(61)과, 실린더(62)의 작동에 의해 소재(M)를 지지환봉(61)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고정핀(63)과, 실린더(64)의 작동에 의해 소재(M)의 중간부 양측을 각각 지지환봉(61)으로 밀착시켜 원호형으로 밴딩하는 한 쌍의 2차밴딩금형(65)으로 구성되며; 상기 3차밴딩부(70)는 실린더(71)의 작동에 의해 소재(M)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환봉(61)으로 밀착시켜 소재(M)를 양단이 겹친 고리형상으로 밴딩하는 한 쌍의 3차밴딩금형(72)으로 구성되고; 상기 용접부(80)는 가동전극이 되고 실린더(81)의 작동에 의해 지지환봉(61)으로 하강하여 소재(M)의 양단부에 압력을 가하면서 스폿용접하여 고리형상의 호스 클램프(C)를 완성하는 스폿용접기(82)와, 지지환봉(61)의 상단에 설치되어 가동전극이 되는 용접받침(83)와, 각 3차밴딩금형(72)에 각각 설치되어 스폿용접기(82)의 전류가 3차밴딩금형(72)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용접받침(83)으로 흐르게 하는 한 쌍의 절연체(84)로 구성되며; 상기 적재부(90)는 실린더(91)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완성되어 낙하되는 호스 클램프(C)를 포장박스의 내부에 가지런하게 적재하도록 안내하는 적재플레이트(92)로 구성된;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
  3. 삭제
KR1020120000861A 2012-01-04 2012-01-04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 KR101345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861A KR101345568B1 (ko) 2012-01-04 2012-01-04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861A KR101345568B1 (ko) 2012-01-04 2012-01-04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114A KR20130080114A (ko) 2013-07-12
KR101345568B1 true KR101345568B1 (ko) 2013-12-30

Family

ID=4899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861A KR101345568B1 (ko) 2012-01-04 2012-01-04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5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165B1 (ko) * 2021-05-29 2021-09-23 주식회사 제이에스글로벌 이어클램프 제조장치
KR20220067348A (ko) * 2020-11-17 2022-05-24 김봉길 링형 회전도래 제조장치
KR20230140873A (ko) * 2022-03-30 2023-10-10 신성오 박판 벤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7278B (zh) * 2014-09-01 2016-08-17 浙江巨霸焊接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箱体焊接机
CN109590358B (zh) * 2018-11-24 2021-05-04 佛山市源泰佶不锈钢有限公司 不锈钢型材管的平行挤压自动卷合生产方法
CN109604372A (zh) * 2019-01-30 2019-04-12 淮安茂华管业有限公司 金属板材快速卷圆焊接一体装置
CN113000646B (zh) * 2019-12-19 2024-08-06 锋宏泰尼克精密件技术(昆山)有限公司 一种汽车排气系统用不锈钢卡箍带的弯圆装置
KR102437538B1 (ko) * 2021-02-03 2022-08-29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틸하우스 패널용 벤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697B2 (ja) * 1994-08-17 2001-06-11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薄板リングの成形、溶接装置
KR20030063269A (ko) * 2003-06-23 2003-07-28 주식회사 한영기계 자동 파이프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제조방법
KR20050051624A (ko) * 2005-05-11 2005-06-01 강맹수 스냅링의 제조방법 및 스냅링 가공금형
KR20070113946A (ko) * 2006-11-14 2007-11-29 강맹수 호스 클램프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697B2 (ja) * 1994-08-17 2001-06-11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薄板リングの成形、溶接装置
KR20030063269A (ko) * 2003-06-23 2003-07-28 주식회사 한영기계 자동 파이프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제조방법
KR20050051624A (ko) * 2005-05-11 2005-06-01 강맹수 스냅링의 제조방법 및 스냅링 가공금형
KR20070113946A (ko) * 2006-11-14 2007-11-29 강맹수 호스 클램프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348A (ko) * 2020-11-17 2022-05-24 김봉길 링형 회전도래 제조장치
KR102414242B1 (ko) 2020-11-17 2022-06-28 김봉길 링형 회전도래 제조장치
KR102304165B1 (ko) * 2021-05-29 2021-09-23 주식회사 제이에스글로벌 이어클램프 제조장치
KR20230140873A (ko) * 2022-03-30 2023-10-10 신성오 박판 벤딩 장치
KR102720212B1 (ko) 2022-03-30 2024-10-21 신성오 박판 벤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114A (ko) 201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568B1 (ko) 호스 클램프의 제조장치
JP4402253B2 (ja) 締め付けバンド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208854143U (zh) 一种自动冲孔、裁切、上锡、成型一体机
KR101478565B1 (ko) 몰드용 용접 유닛과 너트 자동공급장치 및 워크 자동로딩 장치를 갖는 프레스 시스템
KR101557869B1 (ko) 직선화 및 사이징 기능을 구비한 파이프 자동 절단장치
CN106256459B (zh) 一种植物生长支架自动成型机
KR101666352B1 (ko)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제조방법
KR101023596B1 (ko) 판스프링고정용 유자형 볼트제조시스템
KR101486161B1 (ko) 스터드 자동용접장치용 용접 건
CN102699653A (zh) 一种多厚度金属板材拼焊折弯方法
CN105619073A (zh) 矩形钢丝圈缠绕机点焊式卡箍装置
CN203459600U (zh) 全自动单轮数控打圈焊接机
JP2759441B2 (ja) 矩形棒枠の製造装置
JP6305240B2 (ja) 鉄筋配筋用スペーサー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855801B (zh) 支承环自动生产线
CN202736622U (zh) 水泥电阻引线点焊机自动送料装置
KR101561055B1 (ko) 턴테이블형 랩핑장치
KR20130028501A (ko) 폴가이드부쉬 홀 관통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가이드부쉬 제조 자동화 장치
CN201128235Y (zh) 自动热焊机
CN208496171U (zh) 一种用于焊接车头座椅支架的焊接固定装置
CN107052817A (zh) 高强度格栅拱架八字花的连续生产线
KR20160026449A (ko) 파이프 맞대기 용접장치
CN205571914U (zh) 支承环自动生产线
KR101541002B1 (ko) 소재 밴딩장치
CN105033436A (zh) 一种新型用于焊接筒体与端盖的卧式热板焊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