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222B1 -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dust removal device - Google Patents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dust removal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5222B1 KR101345222B1 KR1020120037894A KR20120037894A KR101345222B1 KR 101345222 B1 KR101345222 B1 KR 101345222B1 KR 1020120037894 A KR1020120037894 A KR 1020120037894A KR 20120037894 A KR20120037894 A KR 20120037894A KR 101345222 B1 KR101345222 B1 KR 1013452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drum body
- drum
- filter
- blower fa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410 dus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07 vacuum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필터 구조를 갖는 산업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연통하게 유입구가 형성된 드럼본체와, 상기 드럼본체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강제흡입하기 위해 내부에 송풍팬이 구비되고, 저면에 송풍팬과 연통하게 흡입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흡입공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부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의 하부에 마련되어 결합하는 드럼본체와, 상기 드럼본체의 내부에서 송풍팬의 강제공기흡입에 의해 여과되는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해 구비된 수거탱크와, 상기 수거탱크 상부에 마련되어, 상호대응하여 연결되는 안착면이 형성된 상부체와 하부체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본체 내측에 미세먼지를 여과하기 위해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설치되는 원통형 필터와, 상기 상부체의 안착면에 안착되고, 원통형 필터의 내부에 마련되어, 원통형 필터의 내면을 타격하여 먼지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먼지털이장치와, 상기 드럼본체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본체를 이동하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먼지털이장치는 송풍팬에 의해 강제로 흡입되는 먼지를 배출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 중앙 저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결합부을 가진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결합부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내부공간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원통형 필터의 내면을 타격하기 위해 마련된 한 쌍의 타격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에 드럼을 개선하여 산업진공청소기 내부에 먼지털이장치를 마련하고, 필터에 여과되지 못해 쌓인 먼지들을 타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필터에 쌓인 먼지들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an automatic filter structure,
A drum body having an inlet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drum body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rum body, a blower fan is provided therein to forcibly suck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port, and a suction hole is formed at a bottom thereof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lower f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cover having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air sucked into the suction hole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a drum body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and coupled with the forced air suction of the blower fan in the drum body. A collection tank provided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to be filtered and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on tank and having a seating surfac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provided, and an upper body for filtering fine dust inside the drum body. Cylindrical filter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body and the seating surface of the upper body,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filter Is, strikes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dust hairs that can facilitate the dust removal unit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main body is composed of moving means for moving the drum body,
The dust remov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a sea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formed therein for discharging dust forcibly sucked by the blower fan, a motor installed to transfer power to the center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and a shaft of the motor. A power transmission member having a coupling portion, an elastic member inserted perpendicularly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and a pair of striking rod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inner space of the elastic member and provided to strike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o improve the drum in the prior art to provide a dust dusting device inside the industrial vacuum cleaner, by hitting the accumulated dust can not be filtered in the filter,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more easi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move them.
Description
본 발명은 먼지털이장치가 구비된 산업진공청소기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드럼방식의 청소기에 있어서, 내부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원통형 필터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원통형 필터의 내부공간에 먼지털이장치를 삽입한 후, 모터의 작동에 의해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를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단부에 결합된 타격봉이 회전하면서 원통형 필터의 내부면을 타격함으로써, 원통형 필터에 부착된 먼지들을 완벽하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먼지털이장치가 구비된 산업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ustrial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dust dusting device, more specifically in a drum-type vacuum cleaner, to improve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ylindrical filter installed inside to filter fine dust, the internal sp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After inserting the dust removing device, by rotating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at the same time by rotating the striking rod coupled to the end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to hit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strial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dusting device that can completely and easily handle dust.
일반적으로 드럼타입의 진공청소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를 빨아내는 헤드(100)와 공기를 포함한 미세먼지를 흡입하여 여과하는 드럼본체(200)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drum type vacuum cleaner includes a
상기 헤드(100)는 덮개(101)가 구비되고, 덮개(101) 내에는 모터부의 회전구동으로서 공기를 강제흡입하는 송풍팬(p)이 제공되는 하우징(120)내에 구비되어 덮개(101) 내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하우징(120) 일측에는 공기배출구(121)가 설치되어 외부로 순수공기만을 배출하는 구조로 설치된다.The
상기 드럼본체(200) 내에는 일차적으로 부피와 비중이 있는 이물질을 수집하는 수거 백이 드럼본체(200)의 하부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미세한 먼지를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140)가 설치된다.In the
상기 수거 백은 드럼본체(200)에 마련되는 공기배출구(121)측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구(121)로부터는 흡입호스를 포함한 흡입관, 흡입판이 연결 설치되어 이물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하부터 상기 흡입호스, 흡입관, 흡입판의 설명은 일반적이므로 부호의 설명과 제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llection bag is connected to the
상기 드럼본체(200) 내에 마련되는 필터(140)는 전반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그 저면 상에는 미세먼지의 여과면적을 넓히기 위한 목적에서 상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두고 직각되게 함몰된 요홈원통부(141)가 형성된 구조이다.The
또한, 상기 필터(140)의 상단은 드럼본체(200)의 상부에 걸쳐져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부(142)가 부착되고, 이 플랜지부(142)는 드럼본체(200)의 상부에 위치한 헤드(100)측 하우징(120)의 가장자리 저면으로부터 안착 설치되고, 덮개(101)의 폐쇄시 이와 함께 고정되는 구조로서 상기 드럼본체(200) 내부에 부상 설치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통상적으로 진공청소시 발생하는 강한 공기흡입으로 인해 필터의 여과면적으로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상기 필터(140)의 내부 직경 및 상기 요홈원통부(141)의 외측형상을 맞게 상부프레임(150)이 안내되고, 이 상부프레임(150)으로부터는 고정끈(T)을 필터(140)에 관통하는 방식으로 필터를 지지한다.In general, the
또한, 상기 필터(140)의 저면 외측으로부터는 상기 상부프레임(150)과 별도로 필터의 저면을 포함하는 요홈원통부(141)의 함몰된 내측을 지탱하는 하부프레임(160)이 위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60)과 필터(140)를 고정끈(T)으로서 필터(14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상기 하부프레임(160)의 저면에는 지지고리(161)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고리(161)에는 작동레버(170)의 일단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작동레버(170)의 타단은 드럼본체(2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60)을 상하로 흔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A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일차적으로 수거 백에 부피가 있는 일반이물질을 송풍팬(p)의 공기 강제흡입작용으로서 수거함과 동시에, 상기 수거백을 통과하는 미세 먼지 등은 그 상부에 설치된 필터(140)를 통해 순수한 공기만을 여과시키고, 여기서 순수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p)이 설치된 하우징(120)측 공기배출구(121)를 통해 외부로 환원시킨다.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llects a large volume of general foreign matter in the collection bag as a forced air suction action of the blower fan (p), and at the same time, fine dust and the like passing through the collection bag includes a filter installed thereon ( Only pure air is filtered through 140, and the pure air is reduc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상기 미세먼지는 드럼본체(200) 내에 수집하며, 진공청소기의 일정기간 사용 후 상기 수거 백 내의 쓰레기 처리와 함께 필터로서 여과된 미세먼지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fine dust is collected in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작용에 있어, 미세먼지는 필터(140)의 외부에 상당한 량이 부착되는바, 미세먼지의 부착 정도에 따라서는 여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operation, the fine dust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140 a considerable amou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adhesion of the fine dust is not performed properly.
따라서, 드럼본체(200)의 외부에서 작동레버(170)를 손으로 쥐고, 상하로 흔들어 주면, 상기 작동레버와 연계된 하부프레임(160)이 상하로 흔들거리면서 움직이는 동작으로 하여금 필터 외측에 부착된 미세먼지 등을 털어낼 수 있었다.Accordingly, when the
그러나, 하부프레임(160)의 움직임은 상부프레임(150)에 대해 상하 높이가 제한되며, 이는 거리가 비교적 짧아 미세먼지가 쉽게 털리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movement of the
상기와 같이 미세먼지가 쉽게 털리지 않는다 함은 그만큼 필터로부터 미세먼지의 여과면적이 좁아짐은 물론, 여과율 또한 매우 저조하고, 구동되는 송풍팬(p)에 과부하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필터의 수명인 단축되며, 이는 진공청소기의 전반적인 성능을 저하시키고 궁극적으로 진공청소기의 고장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As the fine dust is not easily shaken as described above, the filtration area of the fine dust is narrowed from the filter, and the filtration rate is also very low. Phosphorus shortens, which causes a decrease in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vacuum cleaner and ultimately causes the vacuum cleaner to fail.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속적인 작업으로 인해 필터에 부착되는 미세먼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원통형 필터 내부에 먼지털이장치를 마련하고, 상기 먼지털이장치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모터 축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의 단부에 동력전달부재와 수직하게 설치된 타격봉을 회전시켜 원통형 필터를 타격함으로써, 보다 필터의 부착된 먼지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원통형 필터의 수명이 대폭 연장시킬 수 있는 먼지털이장치가 구비된 산업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dust removing device inside the cylindrical filter to more effectively remove the fine dust attached to the filter due to the continuous operation,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nstalled in the dust removing device By hitting the cylindrical filter by rotating the striking rod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at the end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by removing the dust attached to the filter more effectively, the life of the cylindrical filter can be greatly extended. It is to provide an industrial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dust dust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주면에 연통하게 유입구가 형성된 드럼본체와, 상기 드럼본체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강제흡입하기 위해 내부에 송풍팬이 구비되고, 저면에 송풍팬과 연통하게 흡입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흡입공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부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의 하부에 마련되어 결합하는 드럼본체와, 상기 드럼본체의 내부에서 송풍팬의 강제공기흡입에 의해 여과되는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해 구비된 수거탱크와, 상기 수거탱크 상부에 마련되어, 상호대응하여 연결되는 안착면이 형성된 상부체와 하부체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본체 내측에 미세먼지를 여과하기 위해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설치되는 원통형 필터와, 상기 상부체의 안착면에 안착되고, 원통형 필터의 내부에 마련되어, 원통형 필터의 내면을 타격하여 먼지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먼지털이장치와, 상기 드럼본체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본체를 이동하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되며,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drum body having an inlet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drum body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rum body, a blower fan is provided therein to forcibly suck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port, and a suction hol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blower fan at the bottom there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cover having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air sucked into the suction hole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a drum body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and coupled with the forced air suction of the blower fan in the drum body. A collection tank provided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to be filtered and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on tank and having a seating surfac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provided, and an upper body for filtering fine dust inside the drum body. Cylindrical filter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body and the seating surface of the upper body,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filter Is, strikes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dust hairs that can facilitate the dust removal unit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main body is composed of moving means for moving the drum body,
상기 먼지털이장치는 송풍팬에 의해 강제로 흡입되는 먼지를 배출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 중앙 저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결합부을 가진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결합부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내부공간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원통형 필터의 내면을 타격하기 위해 마련된 한 쌍의 타격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ust remov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a sea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formed therein for discharging dust forcibly sucked by the blower fan, a motor installed to transfer power to the center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and a shaft of the motor. A power transmission member having a coupling portion, an elastic member inserted perpendicularly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and a pair of striking rod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inner space of the elastic member and provided to strike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에 드럼을 개선하여 산업진공청소기 내부에 먼지털이장치를 마련하고, 필터에 여과되지 못해 쌓인 먼지들을 타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필터에 쌓인 먼지들을 완벽히 제거함으로써, 원통형 필터의 수명이 대폭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o improve the drum in the prior art to provide a dust dusting device inside the industrial vacuum cleaner, by hitting the accumulated dust can not be filtered in the filter,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more easily By completely removing them,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ife of the cylindrical filter can be significantly extended.
도 1은 일반적인 드럼방식의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털이장치가 구비된 산업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 예로, 본 발명의 핵심구성 요소인 먼지털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제 2 실시 예로, 본 발명의 핵심구성 요소인 먼지털이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먼지털이장치를 구동시키기 전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먼지털이장치가 구동시키고 있는 것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먼지털이장치를 구동시키고 있는 것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제 3 실시 예로, 본 발명의 핵심구성 요소인 먼지털이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drum vacuum cleaner.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ustrial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dust du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duster which is a key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embodiment.
Figure 4 is a second embodiment,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dust duster which is a key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driving the dus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dust d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being driven;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driving of the dus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ure 8 is a third embodiment,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dust duster which is a key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주면에 연통하게 유입구(42)가 형성된 드럼본체(40)와, 상기 드럼본체(40)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구(42)로 유입되는 공기를 강제흡입하기 위해 내부에 송풍팬(p)이 구비되고, 저면에 송풍팬(p)과 연통하게 흡입공(1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송풍팬(p)의 작동에 의해 상기 흡입공(11)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부(13)가 형성된 덮개(10)와, 상기 덮개(10)의 하부에 마련되어 결합하는 드럼본체(40)와, 상기 드럼본체(40)의 내부에서 송풍팬(p)의 강제공기흡입에 의해 여과되는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해 구비된 수거탱크(50)와, 상기 수거탱크(50) 상부에 마련되어, 상호대응하여 연결되는 안착면(22)이 형성된 상부체(20)와 하부체(30)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본체(40) 내측에 미세먼지를 여과하기 위해 상부체(20)와 하부체(30) 사이에 설치되는 원통형 필터(70)와, 상기 상부체(20)의 안착면(22)에 안착되고, 원통형 필터(70)의 내부에 마련되어, 원통형 필터(70)의 내면을 타격하여 먼지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먼지털이장치(80)와, 상기 드럼본체(40)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본체(40)를 이동하는 이동수단(60)으로 구성되며,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상기 먼지털이장치(80)는 송풍팬(p)에 의해 강제로 흡입되는 먼지를 배출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배출구(81a)가 형성된 안착부재(81)와, 상기 안착부재(81) 중앙 저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되는 모터(82)와, 상기 모터(82)의 축에 연결되는 결합부(83a)을 가진 동력전달부재(83)와, 상기 동력전달부재(83)의 결합부(83a)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는 탄성부재(87)와, 상기 탄성부재(87) 내부공간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원통형 필터(70)의 내면을 타격하기 위해 마련된 한 쌍의 타격봉(84)(8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본 발명의 구성 및 결합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comb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구(41)가 형성된 드럼본체(40)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본체(40) 상부에는 드럼본체(40) 내부의 공기를 강제흡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덮개(10)가 구비되는데, As shown in FIG. 2, a
상기 덮개(10)는 내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송풍팬(p)이 설치되고, 덮개(10)의 측면에는 송풍팬(p)에 의해 강제흡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부(13)가 형성되고, 덮개(10) 하부에는 드럼본체(4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다수개의 흡입공(11)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11)에는 오염된 먼지들을 걸러내기 위해 필터(f)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상기 덮개(10) 하부에는 원통형 필터(70)를 설치하기 위해 상부체(20)와 하부체(30)가 구비되는데, Meanwhile, the
상부체(20)는 드럼본체(40) 내부에 공기가 송풍팬(p)에 의해 강제흡입되기 위해 흡입구(21)가 형성되고, 먼지털이장치(80)의 안착부재(81)가 안착하기 위해 안착면(22)이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상부체(20)와 상호대응되는 하부체(30)가 결합하는데 있어서, 일반적으로 상기 드럼본체(40) 내측에 미세먼지를 여과하기 위해 마련된 원통형 필터(70)에 상부체(20)와 하부체(30)가 결합된다.In addition, in the coupling of the
상기와 같이 결합된 원통형 필터(70)는 드럼본체(40) 내부로 삽입되어, 드럼본체(40)의 안착부(41)에 안착하게 된다.The
한편, 상부체(20)의 안착면(22)에 안착되며, 원통형 필터(70)의 내면을 타격하여 원통형 필터(70)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먼지털이장치(80)가 구비되는데,On the other hand, it is seated on the
도 3에서 도시한 봐와 같이, 제 1실시 예로,As shown in FIG. 3,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먼지털이장치(80)는 송풍팬(p)에 의해 강제로 흡입되는 먼지를 배출시기키 위해 다수개의 배출구(81a)가 형성된 안착부재(81)와, 상기 안착부재(81) 중앙 저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되는 모터(82)와, 상기 모터(82)의 축에 연결되는 결합부(83a)을 가진 동력전달부재(83)와, 상기 동력전달부재(83)의 결합부(83a)에 결합되는 타격봉(84)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타격봉(84)은 내마모성, 내산화성, 내유성 및 탄성력이 우수한 우레탄 재질로 긴 봉 형태를 가지며, 각종 먼지가 쌓인 원통형 필터(70)를 타격시에 강하고 부드럽게 타격하여 먼지를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또한, 상기 먼지털이장치(80)가 상부체(20)의 안착면(22)에 안착되는데 있어서, 먼지털이장치(80)와 상부체(20)의 안착면(22) 사이에 패킹(90)을 구비함으로써, 먼지털이장치(80)가 작동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저감 및 소음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봐와 같이, 제 2 실시 예로,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in the second embodiment,
상기 먼지털이장치(80)는 송풍팬(p)에 의해 강제로 흡입되는 먼지를 배출시기키 위해 다수개의 배출구(81a)가 형성된 안착부재(81)와, 상기 안착부재(81) 중앙 저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되는 모터(82)와, 상기 모터(82)의 축에 연결되는 결합부(83a)을 가진 동력전달부재(83)와, 상기 동력전달부재(83)의 결합부(83a)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는 탄성부재(87)와, 상기 탄성부재(87) 내부공간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원통형 필터(70)의 내면을 타격하기 위해 마련된 한 쌍의 타격봉(84)(84')으로구성된다.The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87)를 마련함은 각종 먼지가 쌓인 원통형 필터(70)를 타격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타격봉(84)(84')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원통형 필터(70)의 내외로 쌓인 먼지들을 강하고 부드럽게 타격함으로써, 완벽히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원통형 필터(70)가 받는 압력은 최소화함으로 원통형 필터(70)의 수명을 연장시켜 최대한의 경제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이다.The elastic member 87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respective
한편,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 예로,Meanwhile, as shown in FIG. 8, in the third embodiment,
송풍팬(p)에 의해 강제로 흡입되는 먼지를 배출시기키 위해 다수개의 배출구(81a)가 형성된 안착부재(81)와, 상기 안착부재(81) 중앙 저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되는 모터(82)와, 상기 모터(82)의 축에 연결되는 체결공(83b)을 가진 동력전달부재(83)와, 상기 동력전달부재(83)의 체결공(83b)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며, 두 개의 결합공(85a)이 형성된 연결부재(85)와, 상기 연결부재(85)에 형성된 두 개의 결합공(85a)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구(86)(86')와, 상기 한 쌍의 결합구(86)(86')에 각각 결합되어, 원통형 필터(70)의 내면을 타격하기 위해 마련된 한 쌍의 타격봉(84)(84')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 seating
상기와 같은 구성되는 먼지털이장치(80)의 결합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Briefly explain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다수개의 배출구(81a)가 형성된 안착부재(81)와 결합된 모터(82)의 축에 동력전달부재(83)가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83)의 단부에 체결공(83b)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83b)에 두개의 결합공(85a)을 가진 연결부재(85)를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시키고, 상기 연결부재(85)의 두 개의 결합공(85a)에 각각의 타격봉(84)(84')이 결합된 결합구(86)(86')를 결합시킨다.The
그럼, 상기와 같은 이루어진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각각의 실시 예(1,2,3)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n, each embodiment (1, 2, 3)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제 1 실시 예로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First, as shown in FIGS. 5 to 6, the first embodiment,
일차적으로 수거탱크(50)에 부피가 있는 일반이물질을 포집하여 수거한 다음. 이차적으로 드럼본체(40)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송풍팬(p)에 의해 강제흡입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작용에 있어서, 미세먼지는 원통형 필터(70) 외부에 상당한 량이 쌓여 부착되는데,First, collect and collect the bulky foreign matter in the collection tank (50). Secondly, the air containing the fine dust existing in the
상기와 같이 원통형 필터(70)의 내외부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모터(82)를 가동시키게 되면, 상기 모터(82)의 축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83)가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동력전달부재(83)의 결합부(83a)에 결합된 타격봉(84)이 모터(82)의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원통형 필터(70)의 내면을 강하고 부드럽게 타격함으로써, 원통형 필터(70)에 쌓여 부착된 미세먼지가 수거탱크 내부로 낙하하여 쌓이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제 2 실시 예는 제 1 실시 예의 구성에 탄성부재(89)를 추가시키되, 상기 탄성부재(89) 내부공간 양단부에 각각의 타격봉(84)(84')을 결합시킨 후, 동력전달부재(83)의 결합부(83a)에 결합시킨 것으로서, 도 7를 참조하면,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원통형 필터(70)의 내외부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모터(82)를 가동시키게 되면, 상기 모터(82)의 축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83)가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동력전달부재(83)의 결합부(83a)에 결합된 탄성부재(89)의 내부 양단부에 결합된 각각의 타격봉(84)(84')이 원통형 필터(70)의 내부면 타격하되, 탄성부재(89)의 탄성력과 타격봉(84)(84') 자체가 가지고 있는 탄성력에 영향을 받아 플랙시블하게 원통형 필터(70)내부면을 부드럽게 타격함은 물론, 플랙시블한 특성 때문에 보다 원통형 필터(70)내부면을 타격하는 타격면을 넓힘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타격하여 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보다 부드럽게 타격함으로써, 원통형 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When the
한편, 제 3 실시 예는 설명에 하기 전에, 앞에 두 가시 실시 예에 작용과 동일한 부분은 생략하고, 특징적인 부분만 설명하겠다.In the meantime, before explaining the third embodiment,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two visible embodiments will be omitted, and only characteristic parts will be described.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8,
다수개의 배출구(81a)가 형성된 안착부재(81)와 결합된 모터(82)의 축에 결합부(83b)가 형성된 동력전달부재(83)가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83)의 결합부(83b)에 두 개의 결합공(85a)을 가진 연결부재(85)를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시키고, 상기 연결부재(85)의 두 개의 결합공(85a)에 각각의 타격봉(84)(84')이 결합된 결합구(86)(86')를 결합시킴으로써, 먼지털이장치(80)의 구성요소 매우 용이하게 결합시키고, 지속적인 타격으로 인해 마모된 타격봉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A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덮개 60: 이동수단
11: 흡입공 70: 원통형 필터
12: 배출부 80: 먼지털이장치
20: 상부체 90: 패킹
21: 배출구
22: 안착면
30: 하부체
40: 드럼본체
50: 수거탱크10: cover 60: vehicle
11: suction hole 70: cylindrical filter
12: outlet 80: dust duster
20: upper body 90: packing
21: outlet
22: seating surface
30: underbody
40: drum body
50: collection tank
Claims (5)
상기 먼지털이장치(80)는 송풍팬(p)에 의해 강제로 흡입되는 먼지를 배출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배출구(81a)가 형성된 안착부재(81)와, 상기 안착부재(81) 중앙 저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되는 모터(82)와, 상기 모터(82)의 축에 연결되는 결합부(83a)을 가진 동력전달부재(83)와, 상기 동력전달부재(83)의 결합부(83a)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는 탄성부재(87)와, 상기 탄성부재(87) 내부공간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원통형 필터(70)의 내면을 타격하기 위해 마련된 한 쌍의 타격봉(84)(8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장치가 구비된 산업진공청소기.
A drum fan 40 having an inlet 42 communicating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drum fan 40 provided above the drum body 40, and having a blower fan therein for forcibly sucking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42. It is provided, the suction hole 11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blower fan (p) on the bott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or discharging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hole (11)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p) 13 is formed by the cover 10, the drum body 4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10, the filter is filtered by the forced air suction of the blowing fan (p) inside the drum body (40) The upper tank 20 and the lower body 30 are provided with a collection tank 50 provided to collect the foreign matter, and a mounting surface 22 formed on the collection tank 50 and connected to each other. , Cylindrical fill installed between the upper body 20 and the lower body 30 to filter the fine dust inside the drum body (40) 70 and dust which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2 of the upper body 20 and provided inside the cylindrical filter 70 to strike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70 to facilitate dust removal. Hair device 80 and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body 40, consisting of a moving means 60 for moving the drum body 40,
The dust removing device 80 is a seating member 8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outlets (81a) for discharging dust forcibly sucked by the blowing fan (p), and power to the center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81 To a power transmission member 83 having a motor 82 installed for transmission, a coupling portion 83a connected to a shaft of the motor 82, and a coupling portion 83a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83. A pair of striking rods 84 and 84 'coupled to the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87 and the elastic member 87 and the inner space of the elastic member 87, respectively, provided to strike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70. Industrial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dust dus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7894A KR101345222B1 (en) | 2012-04-12 | 2012-04-12 |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dust removal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7894A KR101345222B1 (en) | 2012-04-12 | 2012-04-12 |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dust removal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5529A KR20130115529A (en) | 2013-10-22 |
KR101345222B1 true KR101345222B1 (en) | 2014-01-15 |
Family
ID=4963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7894A Active KR101345222B1 (en) | 2012-04-12 | 2012-04-12 |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dust removal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5222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251894A1 (en) * | 2016-03-07 | 2017-09-07 | Hyun Tae Kim | Dust Remover for Vacuum Cleaner |
KR20190052238A (en) | 2017-11-08 | 2019-05-16 | 남원식 | Industrial vacuum cleaner with filter dusting structure using air switching |
KR20210125179A (en) | 2020-04-08 | 2021-10-18 | 이중호 | Vacuum cleaner detachable dust collector |
KR20230115203A (en) | 2022-01-26 | 2023-08-02 | 주식회사 글로벌디엔에스 |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with HEPA filter dust removal function |
KR20250031718A (en) | 2023-08-29 | 2025-03-07 | (주)경서글로텍 |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filter dust removing fun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1968B1 (en) * | 2014-05-27 | 2015-02-11 | 오평균 | Industrial vacuum cleaner for reducing noise |
US10448797B2 (en) * | 2016-10-19 | 2019-10-22 |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 Vacuum cleaner |
KR102313424B1 (en) * | 2019-12-11 | 2021-10-15 | 주식회사 진우이앤티 | Cyclone dust collector |
KR102360813B1 (en) | 2021-06-18 | 2022-02-09 | 김현태 | Dust remover for vacuum clean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104516A (en) * | 2007-05-28 | 2008-12-03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Cyclone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KR20090016498A (en) * | 2006-06-02 | 2009-02-13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Dust filter and vacuum cleaner with this filter |
KR20110000865U (en) * | 2009-07-20 | 2011-01-27 | 이중호 | Filter structure of vacuum cleaner that dust separation is easy |
-
2012
- 2012-04-12 KR KR1020120037894A patent/KR10134522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6498A (en) * | 2006-06-02 | 2009-02-13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Dust filter and vacuum cleaner with this filter |
KR20080104516A (en) * | 2007-05-28 | 2008-12-03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Cyclone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KR20110000865U (en) * | 2009-07-20 | 2011-01-27 | 이중호 | Filter structure of vacuum cleaner that dust separation is easy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251894A1 (en) * | 2016-03-07 | 2017-09-07 | Hyun Tae Kim | Dust Remover for Vacuum Cleaner |
US10219666B2 (en) * | 2016-03-07 | 2019-03-05 | Hyun Tae Kim | Dust remover for vacuum cleaner |
KR20190052238A (en) | 2017-11-08 | 2019-05-16 | 남원식 | Industrial vacuum cleaner with filter dusting structure using air switching |
KR20210125179A (en) | 2020-04-08 | 2021-10-18 | 이중호 | Vacuum cleaner detachable dust collector |
KR20230115203A (en) | 2022-01-26 | 2023-08-02 | 주식회사 글로벌디엔에스 |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with HEPA filter dust removal function |
KR20250031718A (en) | 2023-08-29 | 2025-03-07 | (주)경서글로텍 |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filter dust removing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5529A (en) | 2013-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5222B1 (en) |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dust removal device | |
KR101356519B1 (en) | Vacuum cleaner | |
KR101524170B1 (en) |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dust removal device | |
US20090313783A1 (en) | Vacuum cleaner | |
CN102438497B (en) |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dust-removing device | |
JP2006204882A (en) | Cyclone dust collector with filth backflow prevention member | |
JP2009504309A (en) | Upright vacuum cleaner that can be converted to a canister type | |
KR20200090569A (en) | Robot cleaner | |
JP4444043B2 (en) | Vacuum cleaner | |
KR20130063655A (en) |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automatic filter structure | |
KR102258528B1 (en) | An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dust cleaner | |
JP2012055499A (en) | Vacuum cleaner | |
KR100545378B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KR20110077806A (en) | Dust bucket of vacuum cleaner | |
KR101411094B1 (en) | Vacuum cleaner dust collector | |
KR101306739B1 (en) | A vacuum cleaner | |
KR100647896B1 (en) | Mesh filter of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KR20090071234A (en) | Vacuum cleaner | |
WO2014138335A1 (en) | Vibrating member for a brushless vacuum cleaner | |
CN1683054B (en) | Filt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using the filter | |
KR100701176B1 (en) | Upright cleaner that can be switched to canister type | |
JP2013034594A (en) | Vacuum cleaner | |
CN101919667A (en) | Dust collector vibration indicator | |
KR100562112B1 (en) | Filter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
KR20090071233A (en) |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