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234A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1234A KR20090071234A KR1020070139473A KR20070139473A KR20090071234A KR 20090071234 A KR20090071234 A KR 20090071234A KR 1020070139473 A KR1020070139473 A KR 1020070139473A KR 20070139473 A KR20070139473 A KR 20070139473A KR 20090071234 A KR20090071234 A KR 200900712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vacuum cleaner
- rotating shaft
- dust container
- c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흡입구 및 배출구와 연통되는 먼지통; 이 먼지통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 이 필터에 구비되는 케이스부; 이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 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필터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회전축에 결합되는 타격부재를 포함한다.An invention for a vacuum cleaner is disclosed.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body in which inlets and outlets are formed; A dust container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and outlet;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dust container; A case part provided in the filter;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part; A drive unit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And a striking membe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타격부재를 회전시키고, 이 타격부재가 필터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필터 내측면을 타격하여 필터를 진동시키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필터 외측에 쌓인 미세먼지가 자동으로 털어지게 되므로, 미세먼지에 의해 흡입력이 떨어질 염려가 적고, 필터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otating the striking member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the striking member rotates inside the filter and strikes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to vibrate the filter, fine dust accumulated on the outside of the filter is automatically Since it is shaken, there is little fear that the suction power is reduced by fine dust, there is no effect of having to clean the filter frequent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압부(低壓部)의 흡수력을 이용하여 먼지 등을 빨아들이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that sucks in dust and the like by using an absorption force of a low pressure portion.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본체를 끌고 다니며 청소를 하는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canister type vacuum cleaner)와, 본체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upright type vacuum cleaner) 등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vacuum cleaners are divided into canister type vacuum cleaners which drag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acuum cleaner, and upright type vacuum cleaners in which the main body is placed in a vertical direction. do.
이 중,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의 일례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mong these, an example of the canister vacuum cleaner is shown in FIGS. 1 and 2, which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와, 그 청소기 본체(1)의 전방에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헤드(2)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흡입헤드(2)와 청소기 본체(1)의 사이에는 흡입헤드(2)와 청소기 본체(1)의 사이에 연통되게 호스(3)와 연장관(4)이 연결되어 있다.As shown, a conventional canister vacuum cleaner is provided with a cleaner body 1, and a
그리고, 청소기 본체(1)의 후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먼지통 장착부(5)에는 호스(3)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1)의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수집하기 위한 먼지통(6)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청소기 본체(1)의 내부에는 먼지통(6)에 먼지가 수집될 수 있게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ntainer mounting portion 5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rear of the cleaner body 1 is provided with a
이러한 먼지통 내부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흡입헤드(2)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필터에 의해 걸러져 공기는 청소기 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고, 이물질은 먼지통 내부에 남아 청소작업이 이루어진다.A filter is installed inside the dust container so that foreign matters in the air flowing from the
아울러, 먼지통에서 배출된 공기는 청소기 본체(1)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바, 토출구 내측에는 먼지필터가 설치되어 공기 중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ntaine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cleaner body 1, the dust filter is installed inside the discharge port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air.
그러나,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따르면, 질량이 큰 이물질은 자중에 의하여 먼지통의 바닥면으로 떨어지지만, 미세한 먼지는 공기와 함께 먼지통의 내부를 유동하다가 먼지필터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와 분리되어 먼지필터의 외벽에 쌓이게 된다. 즉, 미세한 먼지가 많은 장소를 청소할 경우에, 먼지통으로 유입된 미세한 먼지는 공기와 함께 먼지통의 내부로 유동하다가 먼지필터의 표면을 점점 막게 되므로 모터의 흡입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즉, 먼지통에 수용가능한 이물질의 양만큼 모이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먼지필터의 표면에 미세한 먼지가 많이 쌓이면, 흡입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먼지필터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fall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by its own weight, but fine dust flows inside the dust container together with the air and is separated from the air discharged by the dust filter to separate the dust filter. It builds up on the outer wall. In other words, when cleaning a lot of fine dust, the fine dust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flows into the dust container together with the air and gradually blocks the surface of the dust filter so that the suction power of the motor is not properly transmitted. That is, even if not collected by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acceptable to the dust container, if a lot of fine dust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dust filter, the suction power is reduced, there is a hassle to clean the dust filter frequentl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먼지필터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도록 구조를 개선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re is no need to clean the dust filter frequently.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흡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 상기 필터에 구비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필터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타격부재를 포함한다.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in which the inlet and outlet are formed; A dust container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dust container; A case part provided in the filter;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part;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And a striking membe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여기서, 상기 필터 내부에는, 상기 필터를 내부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filter from the inside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filter.
또한, 상기 회전축에 축 결합하는, 회전팬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otating fan, which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또한, 상기 회전팬은, 상기 필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otating fan is preferably disposed inside the filter.
또한, 상기 회전팬은, 상기 필터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otating fan is preferably disposed outside the filter.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필터의 개방된 일측에 구비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필터의 개방된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를 상기 먼지통에 고정시키는 제2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part may include: a first case provided at an open side of the filter; And a second case provided at the other open side of the filter to fix the filter to the dust container.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ase part is provided with the bearing which supports the said rotating shaft.
또한, 상기 케이스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penetrates is formed in the case part.
또한, 상기 관통공에는, 밀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rough hol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또한, 상기 타격부재는,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riking member is preferably formed of a soft material.
또한, 상기 필터는, 헤파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filter is a hepa filter.
또한, 상기 필터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lter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leat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상기 먼지통에는,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나선 형상의 흡기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ust container, the spiral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nd an exhaust por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종래와 달리,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타격부재를 회전시키고, 이 타격부재가 필터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필터 내측면을 타격하여 필터를 진동시키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필터 외측에 쌓인 미세먼지가 자동으로 털어지게 되므로, 미세먼지에 의해 흡입력이 떨어질 염려가 적고, 필터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rotates the striking member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the striking member vibrates the filter by strik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while rotating inside the filter Since the fine dust accumulated on the outside of the filter is automatically shaken off, the suction force is less likely to fall by the fine dust, and there is no effect of having to clean the filter frequently.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V-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3. .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0)는, 본체(미도시)와, 먼지통(110)과, 필터(120)와, 케이스부(130)와, 회전축(140)과 구동부(150) 및 타격부재(160)를 포함한다.3 to 5, the
본체는, 일정 공간을 이루어 흡입구(미도시) 및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고, 흡입력 발생을 위한 팬(미도시) 및 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main body has a predetermined space, and an inlet (not shown) and an outlet (not shown) are formed, and a fan (not shown) and a motor (not shown)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re installed. Since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지통(110)은, 흡입구 및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본체 상에 설치된다. 이 먼지통(110)은,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본체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먼지통(110)에 따르면, 흡입구와 인접한 측부에 흡기구(112)가 형성되며, 배출구와 인접한 측부에 배기구(114)가 형성되어, 흡입구 및 배출구에 연통된다. 이때, 흡기구(112)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흡기구(112)로부터 먼지통(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때, 먼지통(110) 내부에 사이클론 기류를 일으키기 위함이다.The
필터(120)는, 먼지통(110) 내부에 구비된다. 외부로부터 흡기구를 통해 먼지통(110)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이 필터(120)를 거친 후 배출구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데, 필터(120)는, 이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깨끗한 공기만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러한 필터(120)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필터(120)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공기로부터 효과적 으로 제거할 수 있는 헤파(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HEPA)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케이스부(130)는, 필터(120)에 구비된다. 이 케이스부(130)는, 필터(120)의 개방된 양측에 구비되어, 필터(120)를 먼지통(110) 상에 연결,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케이스(132) 및 제2케이스(134)를 포함한다.The
제1케이스(132)는, 필터(120)의 개방된 일측에 구비된다. 이 제1케이스(132)는, 필터(12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먼지통(11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120)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며, 필터(120)의 일측을 지지한다.The
제2케이스(134)는, 필터(120)의 개방된 타측에 구비된다. 이 제2케이스(134)는, 필터(120)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먼지통(11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120)의 개방된 타측을 차단하며, 필터(120)의 타측을 지지한다. 또한, 제2케이스(134)에는, 필터(120) 내부와 연통되는 토출구(134a)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케이스(134)는, 배기구(112)가 형성된 먼지통(110) 측부에 결합하여 필터(120)를 먼지통(110) 상에 고정시킨다. 이때, 토출구(134a)는, 배기구(112)와 연통되며, 이에 따라 필터(120) 내부는, 토출구(134a) 및 배기구(112)를 통해 배출구와 연통된다.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120)를 내부로부터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170)가 구비된다. 이 지지부재(170)는, 필터(120)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지지부재(170)는, 두 부분 이상으로 나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지지부재(172,174)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후술할 타격부재(160)가 배치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각각의 지지부재(172,174)는, 각각 제1케이스(132)와 제2케이스(134)에 결합하여, 필터(120)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170)가 두 부분으로 나뉘어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재(170)는,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세 부분 이상으로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회전축(140)은, 케이스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그 일측은 제1케이스(132)의 대략 중심에, 타측은 제2케이스(134)의 대략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케이스부(130)의 제1케이스(132) 및 제2케이스(134)에는, 회전축(1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36,138)이 각각 더 구비될 수 있다.The
그리고, 회전축(140)은 케이스부(130)의 제1케이스(132)를 관통하여 필터(120) 외부로 연장되며, 제1케이스(132)에는 이 회전축(140)이 관통되는 관통공(부호생략)이 형성된다. 또한, 제1케이스(132)에 구비되는 베어링(136)은, 그 양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제1케이스(132)의 관통공 사이에는 밀폐부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밀폐부재(180)는, 먼지통(110) 내부의 공기 및 이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관통공과 베어링(136) 사이의 틈을 통하여 필터(12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sealing
구동부(150)는, 회전축(14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부(15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 및 모터의 회전력을 회전축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케이스부(130)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축(140)을 본체 내부까지 연장하면 본체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부(150)는, 본체의 작동과 함께 연동하여 작동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외부에 구비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작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부(150)의 구성 및 작동 관계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적용, 실시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riving
타격부재(160)는, 필터(120)의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축(140) 상에 결합한다. 타격부재(160)는, 그 일측이 회전축(140)에 결합하고, 타측이 필터(12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이 타격부재(160)는, 회전축(14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필터(120)의 주름진 내측면을 타격함으로써, 필터(120)를 진동시켜 필터(120)의 외측면에 쌓인 미세먼지를 필터(120)로부터 털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타격부재(160)는, 타격시 필터(12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PVC 등과 같은 연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rik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타격부재(160)가 회전축(140) 상에 하나 구비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격부재(160)는, 회전축(140) 상에 다수가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iking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0)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0)에 따르면, 본체의 팬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흡입된 외부 공기는, 흡입노즐, 연장관 및 흡입호스 등을 거쳐 흡입구를 통해 먼지통(110)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흡입구에 연결되는 흡입노즐, 연장관 및 흡입호스 등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에서 구성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ccording to the
상기와 같이 먼지통(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흡기구(112)를 통과하면서, 사이클론 기류를 형성하게 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중에서 질량이 큰 이물질은, 사이클론 기류에 의해 먼지통(110) 내부를 유동하다가 뭉쳐져서 먼지통(110)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미세먼지는, 공기와 함께 먼지통(110) 내부를 유동하다가 필터(120)에 의하여 배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와 분리되어 필터(120)의 외측면에 쌓이게 된다. 이처럼 질량이 큰 이물질과 분리된 후 필터(120)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배출구로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flowing into the
이때, 구동부(150)가 작동하게 되면, 회전축(140)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축(140)의 회전에 의해 타격부재(160)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타격부재(160)는 필터(120)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필터(120)의 주름진 내벽을 타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필터(120)에는 일정량의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이 충격에 의해 필터(120)가 진동함으로써, 필터(120) 외측면에 쌓인 미세먼지가 털어지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driving
본 실시예의 진공청소기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타격부재(160)를 회전시키고, 이 타격부재(160)가 필터(120) 내부에서 회전하 면서 필터(120) 내측면을 타격하여 필터(120)를 진동시키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필터(120) 외측면에 쌓인 미세먼지가 자동으로 털어지게 되므로, 미세먼지에 의해 흡입력이 떨어질 염려가 적고, 필터(120)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triking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와 다른 여러 타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is mere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several other embodiment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r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thus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200)에 따르면, 회전팬(2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회전팬(290)은, 필터(120)의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축(140) 상에 축 결합한다. 이 회전팬(290)은,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좀 더 구체적으로는,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후 필터(120)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팬(290)과 축 결합한 회전축(140)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팬(290)은, 구동부(150)를 이용하지 않고,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회전축(140)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회전팬은, 필터(120)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팬은, 필터(120) 외부에서, 흡기구(미도시)를 통해 먼지 통(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Although not shown, the rotating fan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outside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가 아닌 다른 진공청소기에도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In addition, the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other vacuum cleaners other than the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도 1은 및 도 2는 종래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도 5는 도 3의 V-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3.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200 : 진공청소기 110 : 먼지통100,200: vacuum cleaner 110: dust box
112 : 흡기구 114 : 배기구112: intake port 114: exhaust port
120 : 필터 130 : 케이스부120: filter 130: case
132 : 제1케이스 134 : 제2케이스132: first case 134: second case
140 : 회전축 150 : 구동부140: rotation axis 150: drive unit
160 : 타격부재 170 : 지지부재160: striking member 170: support member
180 : 밀폐부재 290 : 회전팬180: sealing member 290: rotating fan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9473A KR20090071234A (en) | 2007-12-27 | 2007-12-27 | Vacuum cleaner |
US12/345,592 US20090165825A1 (en) | 2007-12-27 | 2008-12-29 | Vacuum cleaner |
US12/345,596 US20090165240A1 (en) | 2007-12-27 | 2008-12-29 |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9473A KR20090071234A (en) | 2007-12-27 | 2007-12-27 |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1234A true KR20090071234A (en) | 2009-07-01 |
Family
ID=4132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9473A Withdrawn KR20090071234A (en) | 2007-12-27 | 2007-12-27 |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71234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8916B1 (en) * | 2012-10-30 | 2014-06-17 |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e dust in filteringmachine using dust filter cloth |
JP2017508495A (en) * | 2014-03-12 | 2017-03-30 |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 Bagless vacuum cleaner with filter cleaning member |
-
2007
- 2007-12-27 KR KR1020070139473A patent/KR20090071234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8916B1 (en) * | 2012-10-30 | 2014-06-17 |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e dust in filteringmachine using dust filter cloth |
JP2017508495A (en) * | 2014-03-12 | 2017-03-30 |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 Bagless vacuum cleaner with filter cleaning memb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33414B1 (en) | Cyclone-type dust collect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 |
KR100585692B1 (en) | Dust bucket of vacuum cleaner | |
KR100437106B1 (en) |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 |
US8763201B2 (en) |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dust-removing device | |
KR101353311B1 (en) | Vacuum cleaner | |
JP2006175423A (en) | Grille member, and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 |
JP2003125995A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20010049141A (en) | Vacuum cleaner | |
JP2003310502A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2020202893A (en) | Dust collection device, cleaner, and self-propelled cleaner | |
KR20230120337A (en) | Cleaner | |
KR20050019270A (en) | vacuum cleaner for wet and dry cleaning | |
KR20090071234A (en) | Vacuum cleaner | |
KR20090071233A (en) | Vacuum cleaner | |
JP2007190234A (en) | Dust collecting device with air cleaning function | |
KR20090071232A (en) | Vacuum cleaner | |
CN2684751Y (en) | Electric dust separator | |
KR100504890B1 (en) | Suction apparatus of upright cleaner | |
CN114680707A (en) | A dust and dirt separation device and a vacuum cleaner | |
US20090165240A1 (en) | Vacuum cleaner | |
JP2004337585A (en) | Cyclone vacuum cleaner | |
KR20060106236A (en) | Suction device of vacuum cleaner | |
KR100199933B1 (en) | Brush of vacuum cleaner | |
JP2020202892A (en) | Dust collector, cleaner, and self-propelled cleaner | |
CN101919667A (en) | Dust collector vibration indic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