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844B1 - Tableware for toddler - Google Patents
Tableware for todd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4844B1 KR101344844B1 KR1020120064189A KR20120064189A KR101344844B1 KR 101344844 B1 KR101344844 B1 KR 101344844B1 KR 1020120064189 A KR1020120064189 A KR 1020120064189A KR 20120064189 A KR20120064189 A KR 20120064189A KR 101344844 B1 KR101344844 B1 KR 1013448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bleware
- outer body
- inner body
- food
- infa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268 hot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90 good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5—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아용 식기의 구조를 변형하여 보호자가 별도로 음식을 식히기 위해 다른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음식물을 식혀 유아에게 공급할 수 있는 다목적 식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tableware that can be supplied to the infant by cooling the food conveniently without modifying the structure of the tableware for children to use a separate tool to cool the food separately.
일반적으로 식기라 함은, 밥이나 음식물(이하, 총칭하여 "음식물"이라 한다.)을 담는 작은 그릇을 말하는 것으로, 플라스틱이나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로 구성되는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tableware refers to a small bowl containing rice or food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food"), which is widely used in plastic or stainless steel, which is harmless to human bodies.
유아들의 급식, 예를 들어 주식이나 간식 등을 급식시키기 위한 식기는 대략 운두가 높은 식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운두가 높은 식기를 이용해 식사시 필히 숟가락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때 유아들, 즉 숟가락의 사용이 불안정한 유아들의 경우는 식기 내의 음식물을 식기 외부 측으로 흘리게 된다. Tableware for feeding children's meals, such as stocks and snacks, are mainly used for dishes with a high degree of cloudiness. When using a tableware with high soybeans, the spoon must be used for meals. At this time, infants, that is, infants who are unstable in using the spoon, will spill food in the tableware to the outside of the tableware.
더 상세하게는, 숟가락 사용이 불안정한 유아들은 주로 식기의 내벽을 의지하여 음식을 퍼올리게 되는데, 이때 식기 내벽에 의지되어 음식을 퍼올린 숟가락이 그 식기의 상단에 도달시 음식을 가지런히 담지 못하고 그대로 밀고 올라와 숟가락으로 퍼올려지는 음식물이 식기 상단을 넘어 외부로 흘려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식탁의 주위가 흐트러지고 외관은 물론 위생적이지 못하고 좋은 식사생활 습관을 가지지 못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More specifically, infants who are unstable using spoons spread food by relying on the inner wall of the tableware, where the spoon that relies on the inner wall of the tableware for food does not neatly hold the food when it reaches the top of the tableware. The food that is pushed up and spread with a spoon is spilling over the top of the tableware. Therefore,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disturbing the periphery of the table, not only appearance but also being not sanitary and having a good eating habit.
특히, 유아용 식기의 경우, 보호자가 뜨거운 음식을 식혀서 유아에게 주어야 할 경우에는 그릇에서 음식물을 떠서 입으로 불어서 식히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보호자의 침 등으로 유아가 섭취하는 음식물이 오염될 소지가 많으며,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ableware for infants, when the guardian needs to cool down the hot food and give it to the infant, the food is repeatedly floated from the bowl and blown by the mouth. In this case, the food of the infant may be contaminated by the guardian's saliva. There are many,
쉽게 식히기 위해서는 별도의 넓은 접시 등에 따로 음식물을 덜어서 식히게 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In order to cool easily, separate foods, such as a separate large plate to take away the hassle to cool.
또한, 유아용 식기의 대부분은 컵이나 밥그릇, 또는 식판 형상의 용기에 음식물을 담는 수납홀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바닥부가 일반적으로 평평한 구조가 대부분이라 음식물을 마지막까지 숟가락으로 떠서 주는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려우며, 별도의 손잡이가 있어도 대부분 유아의 손에 맞게 형성이 되어 있어 보호자가 이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초래되고 있다.In addition, most of the baby tableware has a concave storage hole for food in a cup, a rice bowl or a plate-shaped container, but since the bottom is generally flat, most of the tableware is floated with a spoon until the end. Difficult to do, even if there is a separate handle is formed to fit most of the hand of the infant has been inconvenient to use the caregiver.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단 구조의 수용홈을 구비한 구조의 유아용 식기를 구현하여 음식물을 식히기 위해 입으로 불어서 식히지 않아도 되어 위생적이며, 별도의 용기에 덜어서 식히지 않아도 되는바 편리하게 음식을 음용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는 유아용 식기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tableware for children having a structure having a receiving groove of a two-stage structure is not hygienic to blow food to cool the food is hygienic, separate It is to provide a tableware set for infants to implement the effect that you can conveniently drink food because it does not have to cool in the containe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외부몸체;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내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몸체는, 제1깊이를 가지는 제1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의 깊이와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제2깊이를 구비하는 제2수용부가 마련되는 구조인 유아용 식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uter body having a receiving portion with an upper opening; And an inner bod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wherein the inner body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having a first depth and a second depth having a second depth different from a depth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ableware for children, which is an additional structure.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구조에서의 상기 내부몸체는, 상기 제2수용부가 상기 제1수용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폭과 깊이를 가지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inner body in the structure of the baby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s implemented to have a relatively short width and depth compar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아울러, 상기 내부몸체는, 상기 제1수용부의 바닥면 또는 제2 수용부의 바닥면은 경사구조를 구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body,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n inclined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상기 외부몸체는, 상기 외부몸체의 표면에 일단이 결합하여 타단이 외부몸체의 하부로 절곡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면에는 탄성재질의 미끄럼 방지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손잡이부의 절곡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깊이 방향으로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body of the infant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outer body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comprise a handle portion bent the other end of the lower body, in this case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It may be provided with a non-slip member of the elastic material. Furthermore, a grip groove may be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of the handle part in a depth direction of the handle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상기 내부몸체의 측벽면은, 상기 내부몸체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수평선과 상기 내부몸체의 측벽면이 형성하는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내부몸체의 측벽면은, 상기 외부몸체의 측벽면에 이격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inner body of the infant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formed by the horizontal lin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and the extension line formed by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inner body can form an acute angle, Furthermore,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inner body may be arranged in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outer body.
아울러, 상기 내부몸체는, 상기 외부몸체의 말단부에 상기 내부몸체 말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의 말단부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body,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inner body portion of the outer body; may be provided, the coupling portion, the inner body and the distal end of the outer body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또한, 상기 제2수용부의 하부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영역에는, 상기 제1수용부의 하부영역에 대응되는 내부영역보다 큰 체적의 에어영역이 형성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region of the outer body corresponding to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an air region having a volume larger than the inne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상술한 유아용 식기의 상기 내부몸체 또는 상기 외부몸체는, 트라이탄(TRITAN), PP, ABS, SILICON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The inner body or the outer body of the above-described infant tableware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tritan, PP, ABS, and SILICONE.
또한, 상기 외부몸체의 바닥면의 외표면에는 적어도 1 이상의 미끄럼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non-slip unit may b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body.
또한, 상기 내부몸체의 내부표면에는 용량표시눈금이 형성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body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a capacitance display scale is formed.
나아가, 상기 외부몸체의 외표면에는, 상기 외표면을 가공하여 양각으로 구현되는 로고인쇄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외부몸체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투명재질의 덮개부를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몸체의 측벽면의 경사각과 동일한 역경사각을 가지는 측면날과 말단부가 평탄구조로 처리된 형상의 두부(頭部)를 포함하는 숟가락 또는 포크을 더 포함하여 작용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Further,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the outer surface may further include a logo printing portion embossed by embossing, o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ortion of a transparent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outer body, the inner body It further comprises a spoon or fork comprising a head having a shape in which the side edge and the distal end portion having a reverse inclination angle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flat structure is improved.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용 식기를 편리하게 덜어서 식혀 먹을 수 있도록 하는 2단 구조의 일체형 식기를 제공하여 음식물을 식히기 위해 입으로 불어서 식히지 않아도 되어 위생적이며, 별도의 용기에 덜어서 식히지 않아도 되는바 편리하게 음식을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integrated tableware having a two-stage structure to easily eat and cool the tableware for infants to eat foods do not have to cool by blowing to mouth to cool food is hygienic, it does not need to cool in a separate container It is effective to drink food.
특히,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형상을 경사구조를 구비하도록 설계하여 바닥에 남은 내용물을 손쉽게 떠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food is designed to have an inclined structur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float the contents remaining on the floor.
나아가, 2 단 구조의 수용부의 깊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음식을 식히는 수용부의 하부에는 보다 많은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식힐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구현된다.In addition, by forming a different depth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two-stage structure,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to cool the food is formed so that more air layer is formed so that the food can be efficiently cool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의 2단 구조의 수용부를 구비한 식기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구조를 실제로 구현한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손잡이부의 사용 상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단면 요부 절개도 및 덮개부를 예시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의 유아용 식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개념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a tableware having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two-stage structur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image of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baby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baby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mage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cutaway and the cover of the baby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ableware for children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식기(이하, '본 식기'라 한다.)의 일 실시예로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개념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a structure as an embodiment of a baby tablewa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s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식기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외부몸체(100)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외부몸체(100)와 이격되는 내부 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외부몸체(100)과 상기 내부몸체(20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이격공간(A)이 생기도록 상기 외부몸체의 측벽 및 내부몸체의 측벽이 일정 거리가 떨어진 구조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1, the tableware includes a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식기는 상기 내부몸체(200)는, 제1깊이를 가지는 제1수용부(210) 및 상기 제1수용부의 깊이와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는 제2깊이를 구비하는 제2수용부(220)가 마련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수용부(220)가 상기 제1수용부(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폭과 깊이를 가지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즉, 내부몸체(200)의 구조를 제1깊이(a1)를 가지는 제1수용부(210) 및 상기 제1수용부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제2깊이(a2)로 마련하는 제2수용부(220)가 마련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cond body having the
상기 외부몸체(100)와 내부몸체(200) 사이의 상기 이격공간(A)은 공기층이 형성되어, 음식물이 내부몸체(200)의 안에 수용되는 경우라도, 뜨거운 음식물의 온도가 본 식기의 표면에 쉽게 전달되지 않게 하는 동시에, 열 발산을 내부에서 구현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쉽게 식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pace A between the
특히, 이 경우 상기 내부몸체(200)는, 상기 외부몸체(100)의 말단부(101)에 상기 내부몸체 말단부(201)가 결합되는 결합부(B)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B)는 상기 외부몸체의 말단부(101)과 상기 내부몸체의 말단부(201)가 상호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할 수 있는 공지의 구조물의 일체의 유형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부몸체의 말단부 및 외부몸체의 말단부를 일체형으로 실링하여 형성하는 변형 실시예를 모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본 식기는 내부몸체(200)의 바닥부가 경사각을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내부몸체(200)의 바닥면이 상기 외부몸체의 바닥면이 이루는 수평면(X)에 경사각(θ2)을 이루는 구조로 구현되어, 상기 내부몸체(200)에 수용되는 음식물이 한쪽으로 모아져서, 바닥면에 남은 음식물을 쉽게 떠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내부몸체(200)의 측벽면은 상기 내부몸체의 바닥면과 경사각(θ4)을 이루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내부몸체의 측벽면은, 상기 내부몸체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수평선과 상기 내부몸체의 측벽면이 형성하는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이루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각도가 직각을 이루게 되면, 종래의 용기와 동일하게 쉽게 본 발명에 따른 후술하는 숟가락을 이용해 음식물을 깨끗하게 떠내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of the
또한, 상술한 본 식기의 구조는, 2단 구조의 깊이와 넓이를 가지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되,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쪽은 일반적으로 외부몸체(100)의 바닥면까지 닿을 정도의 깊이를 구현하는 한편, 다른 한쪽은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용기를 상부면에 작게 형성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f the tableware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food having a depth and width of the two-stag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1, one side generally reach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는 상기 제1수용부(210)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처음 수용하는 장소로, 뜨거운 음식물을 수용하여 담는 곳이고, 제2수용부(220)는 상기 제1수용부(210)에 담겨진 음식물을 떠서, 일부 덜어 놓아 식힐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용도로 이용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first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기술에서 일반적인 유아용 식기의 문제라고 할 수 있는 보호자가 뜨거운 음식을 식히기 위해 입으로 부는 동작을 하지 않고, 별도로 덜어 놓은 제2수용부(220)에서 음식을 자연적으로 쉽게 식힐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2 단 구조의 수용부의 깊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음식을 식히는 제2수용부의 하부(A2)에는 보다 많은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식힐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수용부(220)의 하부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영역(A2)에는, 상기 제1수용부(210)의 하부영역에 대응되는 내부영역(A1)보다 큰 체적의 에어영역이 형성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This structure is a problem of the general tableware for infants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guardian does not blow the mouth to cool the hot food, so that the food can be easily naturally cooled in the second receiving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본 식기의 구조에서 상기 내부몸체(200)를 구성하는 상기 제1수용부(210)의 바닥면 또는 제2 수용부(220)의 바닥면은 경사구조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d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즉, 상기 내부몸체(200)의 제1수용부(210)의 바닥면이 상기 외부몸체의 바닥면이 이루는 수평면(X)에 경사각(θ2)을 이루는 구조로 구현되거나, 상기 제2수용부(220)의 바닥면 역시 이와 동일하게 경사각을 이루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각은, 상기 내부몸체(200)의 제1수용부(210) 또는 제2수용부(220)에 수용되는 음식물이 한쪽으로 모아져서, 바닥면에 남은 음식물을 쉽게 떠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물론,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내부몸체(200)의 측벽면은 상기 내부몸체의 바닥면과 경사각(θ3, θ4)을 이루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내부몸체의 측벽면은, 상기 내부몸체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수평선과 상기 내부몸체의 측벽면이 형성하는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θ3, θ4)가 예각을 이루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제2수용부(220)에도 적용될 수 있다.
Of course,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도 2는 도 1에서 상술한 본 식기의 실제 구현 제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tableware described in FIG.
도시된 도 2의 이미지를 살펴보면, 외부몸체(100)의 내부에 내부몸체(200)이 삽입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내부몸체(200)는 상대적으로 체적이 큰 제1수용부(210)과 상대적으로 체적이 적은 제2수용부(220)을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된다. 특히, 본 식기는 상기 외부몸체의 표면에 일단이 결합하여 타단이 외부몸체의 하부로 절곡되는 손잡이부(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Referring to the image of FIG. 2, the
상기 손잡잡이부(120)은 일반적인 컵이나 그릇류의 손잡이와 형상이나 용도면에서는 유사하나, 특징적으로 손잡이부(120)의 내부면에 탄성재질의 미끄럼 방지부재(121)가 마련된다. 이를 테면, 실리콘이나 TPR(Thermo Plastic Rubber)고무 등의 재질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또한, 본 발명에서의 본 식기의 손잡이부(1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손잡이부의 절곡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깊이 방향으로 파지홈(123)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 파지홈은 유아가 아닌 보호자가 용기를 잡을 경우, 편리하게 그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식기는 내부몸체의 내부표면에는 용량표시눈금(1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용량표시의 경우, 아이콘과 함께 표시하여 아이도 쉽게 이해하여 먹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body of th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외부몸체의 외표면에는 상기 외표면을 가공하여 양각으로 구현되는 로고인쇄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별도로 캐랙터나 글자를 인쇄하는 방식이 아니라, 외부몸체 자체에 사출성형시 돌출구조로 표현하여 인쇄물이 떨어지거나 오염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도 3은 상술한 본 식기의 손잡이부의 이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present table described above.
도시된 것과 같이, 보호자가 본 식기를 잡을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를 잡을 수도 있지만, 도 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바닥 전체를 손잡이부 안쪽으로 집어 넣고 엄지 손가락을 상기 파지부(123)에 그립구조로 올려 놓아 보다 안정적으로 식기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물론,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21)로 인해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f the guardian grabs the tableware, but may hold the handle portion, as shown in Figure 3 (a), the palm of the hand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as shown in Figure 3 (a), the thumb holding the gripping
유아의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식기의 손잡이부(120)를 움켜 쥐는 방식으로 잡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21)의 손재로 인해 쉽게 손에서 본 식기가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n infant, as shown in (b) of FIG. 3,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식기의 전체 형상 및 요부를 절단한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t out the entire shape and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d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구조와 같이, 본 식기는 외부몸체(100)의 내부에 내부몸체(200)이 삽입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내부몸체(200)는 상대적으로 체적이 큰 제1수용부(210)과 상대적으로 체적이 적은 제2수용부(220)을 구비하며, 제1수용부(210)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경사각(θ)이 형성되어 음식물을 용기의 중앙 쪽으로 모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illustrated structure, the tableware is dispos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나아가, 본 식기의 외부몸체의 바닥면의 외표면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1 이상의 미끄럼방지부(230)를 형성하여, 본 식기가 유리탁자나 대리석 탁자 등 마찰력이 적은 식탁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4, at least one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몸체 또는 상기 외부몸체는 트라이탄(TRITAN), PP(polypropylene), ABS, SILICON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특히, 상기 트라이탄은 친환경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소재로, 환경호르몬 의심물질과 인체에 유해한 가소제를 첨가하지 않은 순수 폴리에트터 원료이며, 이는 유리 소재를 완벽히 대체하는 소재로 알려져 있다. 나아가 트라이탄 소재를 적용하에 내충격성 및 내열성(-40~100℃)이 확보되며, 식기세척기나 전자레인지, 열탕소독, 냉동보관이 가능하게 되어 매우 범용적인 사용성을 보장받게 된다.Preferably, the inner body or the out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tritan, polypropylene, ABS, and silicon. In this case, in particular, the tritan is a material that is in the spotlight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new material, and is a pure polyester raw material that does not add a suspected environmental hormone and a plasticizer harmful to the human body, which is known as a material completely replacing the glass material. Furthermore, the impact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40 ~ 100 ℃) are secured under the application of tritan material, and dishwashers, microwave ovens, hot water disinfection, and freezing storage are ensured, thus ensuring universal usability.
또한, 본 식기는 외부몸체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투명재질의 덮개부(300)를 더 구비하도록 구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300)는 투명한 소재로 적용할 수 있으며,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PP 등의 소재로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ableware is more preferably implemented to further include a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서의 본 식기에 적용될 수 있는 숟가락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the shape of a spoon that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tableware of FIGS. 1 to 4.
본 식기에 사용되는 숟가락은 도시된 것과 같이, 특히 상기 내부몸체의 측벽면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측면날(410)과 말단부(420)가 평탄구조로 처리된 형상의 두부(頭部;400)를 포함하는 숟가락 또는 포크를 세트화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poon used for the head has a shape in which the
상기 본 식기에 적용되는 숟가락은 상기 측면날(410)의 경사가 상기 내부몸체의 측벽면의 경사(도 1 참조)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쉽게 내벽을 긁어 음식물을 모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평탄구조로 구현되는 말단부(420)으로 인해 바닥면의 음식을 편리하게 긁어서 모을 수 있게 된다.The spoon applied to the tableware is formed such that the inclination of the
도 6은 도 1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의 구조를 좀 더 단순화한 구조의 식기 구조이다. 본 발명의 요지인 2단 구조의 식기의 효용성을 구현하지는 않으나,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외부몸체(100)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외부몸체(100)와 이격되는 내부 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외부몸체(100)과 상기 내부몸체(20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이격공간(A)이 생기도록 상기 외부몸체의 측벽 및 내부몸체의 측벽이 일정 거리가 떨어진 구조로 구현하는 것은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이격공간(A)은 공기층이 형성되어, 음식물이 내부몸체(200)의 안에 수용되는 경우라도, 뜨거운 음식물의 온도가 본 식기의 표면에 쉽게 전달되지 않게 하는 동시에, 열 발산을 내부에서 구현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쉽게 식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내부몸체(200)는, 상기 외부몸체(100)의 말단부(101)에 상기 내부몸체 말단부(201)가 결합되는 결합부(B)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합부(B)는 상기 외부몸체의 말단부(101)과 상기 내부몸체의 말단부(201)가 상호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할 수 있는 공지의 구조물의 일체의 유형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부몸체의 말단부 및 외부몸체의 말단부를 일체형으로 실링하여 형성하는 변형 실시예를 모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FIG. 6 is a tableware structure of a structure of a simpler structure of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mplement the utility of the two-stage structure, which is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has an
아울러, 도 6의 구조로 제시한 본 식기는 내부몸체(200)의 바닥부가 경사각(θ1)을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내부몸체(200)의 바닥면이 상기 외부몸체의 바닥면이 이루는 수평면(X)에 경사각(θ1)을 이루는 구조로 구현되어, 상기 내부몸체(200)에 수용되는 음식물이 한쪽으로 모아져서, 바닥면에 남은 음식물을 쉽게 떠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내부몸체(200)의 측벽면은 상기 내부몸체의 바닥면과 경사각(θ12, θ13)을 이루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내부몸체의 측벽면은, 상기 내부몸체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수평선과 상기 내부몸체의 측벽면이 형성하는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θ12, θ13)가 예각을 이루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각도가 직각을 이루게 되면, 종래의 용기와 동일하게 쉽게 본 발명에 따른 후술하는 숟가락을 이용해 음식물을 깨끗하게 떠내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tableware presented in the structure of FIG. 6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100: 외부몸체
101: 말단부
120: 손잡이부
121: 미끄럼 방지부재
123: 파지홈
130: 용량표시눈금
140: 로고인쇄부
200: 내부몸체
201: 말단부
210: 제1수용부
220: 제2수용부
230: 미끄럼방지부
300: 덮개부
400: 숟가락
410: 측면날
420: 두부100: outer body
101: distal end
120: handle portion
121: non-slip member
123: gripping groove
130: capacity display scale
140: logo printing unit
200: internal body
201: distal end
210: first accommodating part
220: second accommodating part
230: slipper
300:
400: spoon
410: side blade
420: tofu
Claims (17)
테두리 말단부가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몸체의 상기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 말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외부몸체의 개구된 상부를 막으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되 상기 외부몸체의 측벽면과 바닥면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내부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몸체는 바닥면이 경사구조를 하는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 각각은 바닥면이 형성하는 수평선과 측벽면이 형성하는 연장선 사이의 각도가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제1수용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과 깊이를 가지며, 상기 제2수용부의 하부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영역은 상기 제1수용부의 하부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영역보다 더 큰 체적의 에어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기.
An outer body having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is coupl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outer body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is received so as to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while blocking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outer body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body Internal body; Lt; / RTI >
The inner body has a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having an inclined bottom surface, and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has an angle between a horizontal lin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and an extension line formed by the side wall surface.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has a smaller width and depth than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inner region of the outer body corresponding to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is a lower region of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Infant tablewar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larger air volume area than the inner region of the outer body corresponding to.
상기 외부몸체는,
상기 외부몸체의 표면에 일단이 결합하여 타단이 외부몸체의 하부로 절곡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body,
One end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outer body for the baby tableware further comprises a handle portion bent to the lower end of the outer body.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면에는 탄성재질의 미끄럼 방지부재가 마련되는 유아용 식기.
The method of claim 4,
Infant tableware is provided with a non-slip member of the elastic materi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상기 손잡이부의 절곡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깊이 방향으로 파지홈이 형성되는 유아용 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Infant tableware in which the grip groove is form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의 말단부에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유아용 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ortion
Infant tableware integrally implemented in the distal end of the inner body and the outer body.
상기 내부몸체 또는 상기 외부몸체는,
트라이탄(TRITAN), PP(polypropylene), ABS, SILICON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body or the outer body,
Infant tablewa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tritan (TRITAN), PP (polypropylene), ABS, SILICONE.
상기 외부몸체의 바닥면의 외표면에는 적어도 1 이상의 미끄럼방지부가 마련되는 유아용 식기.
The method of claim 12,
Infant tablew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non-slip uni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body.
상기 내부몸체의 내부표면에는 용량표시눈금이 형성되는 구조의 유아용 식기.
The method of claim 12,
An infant tableware having a capacity display scal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body.
상기 외부몸체의 외표면에는,
상기 외표면을 가공하여 양각으로 구현되는 로고인쇄부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Baby tableware further comprises a logo printing unit embossed by processing the outer surface.
상기 외부몸체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투명재질의 덮개부를 더 구비하는 유아용 식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Infant tableware further comprising a cover of a transparent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outer body.
상기 유아용 식기는,
상기 내부몸체의 측벽면의 경사각과 동일한 역경사각을 가지는 측면날과 말단부가 평탄구조로 처리된 형상의 두부(頭部)를 포함하는 숟가락 또는 포크을 더 포함하는 유아용 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by tableware,
And a spoon or fork comprising a side blade having a reverse inclination angle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inner body and a head having a shape in which a distal end portion is processed into a flat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4189A KR101344844B1 (en) | 2012-06-15 | 2012-06-15 | Tableware for todd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4189A KR101344844B1 (en) | 2012-06-15 | 2012-06-15 | Tableware for toddl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4844B1 true KR101344844B1 (en) | 2013-12-26 |
Family
ID=4998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4189A Active KR101344844B1 (en) | 2012-06-15 | 2012-06-15 | Tableware for todd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484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4777B1 (en) * | 2016-07-08 | 2017-05-11 | 조문식 | The food tray |
KR200496299Y1 (en) | 2021-12-14 | 2022-12-23 | 함문식 | Baby tablewa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0122A (en) * | 1999-09-08 | 2001-03-21 | Takaaki Aoki | Dish with inner bottom surface inclining toward end part or center part |
JP2002114272A (en) * | 2000-10-10 | 2002-04-16 | Azumi Sangyo Kk | Food container |
-
2012
- 2012-06-15 KR KR1020120064189A patent/KR10134484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0122A (en) * | 1999-09-08 | 2001-03-21 | Takaaki Aoki | Dish with inner bottom surface inclining toward end part or center part |
JP2002114272A (en) * | 2000-10-10 | 2002-04-16 | Azumi Sangyo Kk | Food contain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4777B1 (en) * | 2016-07-08 | 2017-05-11 | 조문식 | The food tray |
KR200496299Y1 (en) | 2021-12-14 | 2022-12-23 | 함문식 | Baby tablewa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093304A1 (en) | Tableware for Specialized Persons | |
US8387263B1 (en) | Easy use utensil | |
USD531860S1 (en) | Spoon | |
US20130125402A1 (en) | Feeding Utensil | |
KR101344844B1 (en) | Tableware for toddler | |
CN101360437A (en) | Tableware capable of assisting user to correctly hold | |
US20190208940A1 (en) | Elevated utensil | |
CN207370453U (en) | Feeding bowl structure | |
KR20120038858A (en) | Tableware for infant | |
TWM512360U (en) | Combinational structure of non-slip food container | |
KR20090012973U (en) | Plate | |
KR200496299Y1 (en) | Baby tableware | |
CN213551040U (en) | Combined tableware | |
GB2434968A (en) | Child feeding utensil with mouth guard | |
JP3916282B2 (en) | Infant tableware | |
KR20140005688U (en) | baby spoon | |
KR200181207Y1 (en) | Hygienic spoon and chopsticks | |
JP3012306U (en) | Eating device | |
KR200402815Y1 (en) | A dininng place of cover | |
KR20180000188U (en) | Spoon | |
JP3180752U (en) | Tray for tray | |
TWI709401B (en) | Handheld devic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o learn to extract water | |
KR200484348Y1 (en) | Versatile cooking utensils with sanitary properties and ease of use | |
TWM545523U (en) | Structure of feeding bowl | |
JP2007252873A (en) | Bow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