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3582B1 - 마그네트론 - Google Patents

마그네트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582B1
KR101343582B1 KR1020070073025A KR20070073025A KR101343582B1 KR 101343582 B1 KR101343582 B1 KR 101343582B1 KR 1020070073025 A KR1020070073025 A KR 1020070073025A KR 20070073025 A KR20070073025 A KR 20070073025A KR 101343582 B1 KR101343582 B1 KR 101343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yoke
choke coil
magnetron
filter bo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601A (ko
Inventor
이영민
최흥식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3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582B1/ko
Priority to PCT/KR2008/004122 priority patent/WO2009014334A2/en
Publication of KR20090009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5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5/00Transit-time tubes, e.g. klystrons, travelling-wave tubes, magnetrons
    • H01J25/50Magnetrons, i.e. tubes with a magnet system producing an H-field crossing the E-field
    • H01J25/52Magnetrons, i.e. tubes with a magnet system producing an H-field crossing the E-field with an electron space having a shape that does not prevent any electron from moving completely around the cathode or guide electrode
    • H01J25/58Magnetrons, i.e. tubes with a magnet system producing an H-field crossing the E-field with an electron space having a shape that does not prevent any electron from moving completely around the cathode or guide electrode having a number of resonators; having a composite resonator, e.g. a helix
    • H01J25/587Multi-cavity magnetr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00Details of transit-time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5/00
    • H01J23/14Leading-in arrangements; Seals therefor
    • H01J23/15Means for preventing wave energy leakag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be leading-in arrangements, e.g. filters, chokes, attenu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00Details of transit-time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5/00
    • H01J23/36Coupling devices having distributed capacitance and inductanc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for introducing or removing wave energy
    • H01J23/40Coupling devices having distributed capacitance and inductanc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for introducing or removing wave energy to or from the interaction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5/00Transit-time tubes, e.g. klystrons, travelling-wave tubes, magnetrons
    • H01J25/50Magnetrons, i.e. tubes with a magnet system producing an H-field crossing the E-f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5/00Transit-time tubes, e.g. klystrons, travelling-wave tubes, magnetrons
    • H01J25/50Magnetrons, i.e. tubes with a magnet system producing an H-field crossing the E-field
    • H01J25/52Magnetrons, i.e. tubes with a magnet system producing an H-field crossing the E-field with an electron space having a shape that does not prevent any electron from moving completely around the cathode or guide electrode
    • H01J25/54Magnetrons, i.e. tubes with a magnet system producing an H-field crossing the E-field with an electron space having a shape that does not prevent any electron from moving completely around the cathode or guide electrode having only one cavity or other resonator, e.g. neutrode tubes

Landscapes

  • Microwav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으로서, 요크의 저부에 돌출되는 절연체와 이격되게 초크코일을 배치하되, 초크코일의 적어도 일 영역이 절연체의 저부면 보다 상측에 배치하고, 초크코일과 상측의 도체 사이에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상부절연부를 개재한다. 이에 의해, 음극부의 축 방향을 따른 길이를 줄일 수 있어 마그네트론 자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그네트론을 채택하는 시스템의 설치 공간을 줄여 시스템의 콤팩트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마그네트론{MAGNETRON}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극의 축방향에 따른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한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론은 양극부와, 상기 양극부의 중심에 배치되어 열전자를 방출하는 음극부를 구비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출력하는 발진기의 일종이다.
도 1은 종래의 마그네트론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론은, 공동공진기를 형성하는 양극부(10)와, 상기 양극부(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음극부(20)와, 상기 양극부(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요크(41)와, 상기 요크(41)의 일 측에 배치되는 필터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양극부(10)는, 원통형의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베인(1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인(13) 중 어느 하나에는 고주파 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안테나(15)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극부(10)의 외측에는 상기 양극부(10)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핀(1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음극부(20)는, 코일형상의 필라멘트(21)와, 상기 필라멘트(21)에 연결 되는 센터리드(23) 및 사이드리드(25)를 구비한다.
상기 필라멘트(21)의 축 방향을 따라 양 측에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상부마그넷(27) 및 하부마그넷(29)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마그넷(27) 및 하부마그넷(29)의 사이에는 폴피스(3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마그넷(27) 및 하부마그넷(29)의 내측에는 상부실드(33) 및 하부실드(35)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실드(35)의 내부에는 상기 센터리드(23) 및 사이드리드(25)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실드(35)의 저부에는 진공이 유지되게 차단하는 절연체(37)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필터장치(50)는, 상기 요크(41)의 저부에 배치되는 필터박스(51)와, 상기 절연체(37)를 통과하여 상기 센터리드(23) 및 사이드리드(25)에 연결되는 단자(53)와, 일 단이 상기 단자(53)에 연결되는 초크코일(55)과, 일 단이 상기 초크코일(55)에 연결되고 타 단은 전원에 연결되는 관통형 콘덴서(57)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마그네트론에 있어서는, 상기 단자(53)와, 상기 초크코일(55)은 작동 시 고전압이 인가되므로 상기 요크(41)의 저면 또는 상기 필터박스(51)와 안전 규정에 따른 절연거리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음극부(20)의 축 방향을 따른 상기 마그네트론의 필터장치(50)의 길이를 줄이는데 제약이 따른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필터장치(50)의 높이(H1)는 대략 43mm 내지 47mm 정도로 구성되며 마그네트론의 전체 높이의 대략 40% 이상을 차지하게 되어 이러한 마그네트론을 전자 레인지와 같이 마그네트론을 이용한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전자레인지의 조리실에 비해 마그네트론이 설치되는 설치방향, 예를 들면 좌우 방향 또는 상하방향을 따라 전자레인지의 케이스의 크기를 전반적으로 증가시키게 되므로, 재료비용 및 무게를 증가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크기가 증가 된 만큼 공간을 더 점유하게 되어 공간 활용에 불리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극부의 축 방향을 따른 길이를 줄일 수 있는 마그네트론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염가로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며 설치공간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는 마그네트론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요크와, 상기 요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동공진기를 형성하는 양극부와, 상기 양극부에 도달되는 열전자를 방출하는 음극부와, 상기 요크의 저부로부터 돌출되는 절연체를 구비한 본체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절연체의 저부면보다 상기 요크에 가깝게 배치되는 초크코일과, 상기 절연체와 상기 초크코일이 내부에 수용되게 상기 요크의 하측에 배치되는 필터박스와, 상기 초크코일과 상기 요크의 저부 또는 상기 필터박스의 상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상부절연부를 구비한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론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절연부는, 상기 요크의 저부면 또는 상기 필터박스의 상면을 차단하게 배치되는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절연체의 경계영역을 차단하게 배치되는 제2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는 소정 구간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절연부재는, 내부에 상기 절연체가 수용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절연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체에는 상기 절곡부와 대응되게 절취된 절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절연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3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절연부재는 원형 또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절연부재는 마이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절연부재는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상부절연부는 일 측은 상기 절연체의 외면에 접촉되고 타 측은 상기 요크의 저부면 또는 상기 필터박스의 상부면에 접촉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절연부는 가요성의 마이카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상부절연부에는 상기 절연체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에는 외측으로 연장되게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체에는 상기 상부절연부와 접촉되게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상부절연부는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절연부는, 내부에 상기 절연체가 수용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의 일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상부절연부는 상기 중공부의 타 단부에서 상기 절연체측으로 절곡 연장 된 절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체에는 상기 절곡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절취된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체의 저부에는 상향 함몰되게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필터박스는 상향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절연부는 상기 절연체에 상기 요크의 저부를 따라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박스의 내부에 상기 초크코일과 상기 필터박스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하부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하부절연부는 마이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초크코일의 상측에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상부절연부를 배치하여 초크코일을 요크측으로 근접되게 배치함으로써 음극부의 축 방향을 따른 필터장치의 길이를 줄일 수 있는 마그네트론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요크의 저부면 또는 필터박스의 상면을 차단하게 제1절연부재를 배치하고 제1절연부재와 절연체의 경계영역과 초크코일 사이에 제2절연부재를 배치하여 초크코일과 요크의 저부면 또는 필터박스의 상면 사이의 절연거리가 증가되게 함으로써 초크코일을 요크에 근접되게 배치할 수 있어 필터장치의 음극부의 축 방향을 따른 길이, 즉 필터장치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절연부재는 마이카로 형성하고 상기 제2절연부재는 세라믹으로 형성함으로써 재료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를 소정 구간 중첩되게 함으로써 절연거리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제2절연부재의 재료소요량을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절연부재의 중공부에 상기 절연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체에 상기 절곡부에 대응되게 절취된 절취부를 형성함으로써, 절연거리를 더 연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절연체의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 측은 상기 절연체의 외면에 접촉되고 타 측은 상기 요크의 저부면 또는 필터박스의 상면에 접촉되게 상부절연부를 형성함으로써 구성부품수를 줄이면서 절연거리를 연장할 수 있어 초크코일을 상기 요크에 근접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음극부의 축방향을 따른 필터장치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상부절연부는 가요성의 마이카로 형성되며, 이에 의해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절연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박스를 상향 개구되게 형성하여 상기 요크의 저부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절연부는 상기 절연체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박스의 상면을 제거하여 재료 소요량 및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절연부 및 하부절연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박스의 저부면을 상기 요크측으로 더욱 근접시킬 수 있어 상기 필터장치의 높이를 종래 43mm 내지 47mm 정도에서 15mm 내지 20mm 정도로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크기뿐만 아니라 무게, 재료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을 줄여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필터장치의 저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마그네트론은, 요크(111)와, 상기 요크(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동공진기를 형성하는 양극부(131)와, 상기 양극부(131)에 도달되는 열전자를 방출하는 음극부(151)와, 상기 요크(111)의 저부로부터 돌출되는 절연체(127)를 구비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본체(110)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면보다 상기 요크(111)에 가깝게 배치되는 초크코일(165)과, 상기 절연체(127)와 상기 초크코일(165)이 내부에 수용되게 상기 요크(11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필터박스(161)와,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요크(111)의 저부 또는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상부절연부(171)를 구비한 필터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음극부(151)는, 코일형상의 필라멘트(153)와, 상기 필라멘트(153)에 연결되는 센터리드(155) 및 사이드리드(15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양극부(131)는, 상기 필라멘트(153)의 외곽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바디(133)와, 상기 바디(133)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13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인(135)에는 고주파 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일 단이 안 테나(137)에 연결된 안테나피더(139)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요크(111)의 내측 상부 및 하부영역에는 상부마그넷(113) 및 하부마그넷(115)이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마그넷(113) 및 하부마그넷(115)의 사이에는 자로(磁路)를 형성하는 상부폴피스(117) 및 하부폴피스(119)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마그넷(113) 및 하부마그넷(115)의 각 내측에는 밀봉을 위한 상부실드(121) 및 하부실드(123)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실드(123)의 저부에는 절연체(12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양극부(131)의 외측에는 상기 양극부(131)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냉각핀(125)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요크(111)의 저부에는 상기 필터장치(1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필터장치(160)는, 상기 요크(111)의 저부에 배치되는 필터박스(161)와, 상기 절연체(127)를 통과하여 상기 센터리드(155) 및 사이드리드(157)와 연결되는 단자(163)와, 상기 절연체(127)의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단자(163)에 각각 연결되는 초크코일(165)과, 상기 초크코일(165) 또는 상기 단자(163)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 또는 하부실드(123) 중 어느 하나 사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그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절연부(171)와, 상기 초크코일(165) 또는 상기 단자(163)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그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절연부(17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필터박스(161)는 금속부재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상면부가 상기 요크(111)의 저부에 밀착되게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절연체(127)는 세라믹으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실드(123)의 저부에 상기 하부실드(123)의 내부가 진공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밀봉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절연체(127)에는 상기 센터리드(155) 및 사이드리드(157)와 각 일 단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163)가 각각 관통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단자(163)의 타 단부는 상기 절연체(127)의 하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수평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상기 초크코일(165)의 각 일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에는 상향 함몰되게 함몰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초크코일(165) 및 상기 단자(163)가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 및/또는 상기 하부실드(123)의 절연거리가 줄어들지 아니하면서 상기 절연체(127)의 재료소요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절연체(127)의 외 측에는 한 쌍의 초크코일(165)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초크코일(165)은 상기 절연체(127)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 배치되되, 각 초크코일(165)의 저부면은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면보다 상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초크코일(165)의 타 단부는 상기 필터박스(161)에 결합되어 상기 초크코일(165)과 함께 필터부를 구성하는 관통형 콘덴서(167)의 리드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절연부(171)는, 내부에 상기 절연체(127)가 수용되는 중공부(172)와, 상기 중공부(172)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랜지부(17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절연부(171)는 세라믹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173)는 상기 초크코일(165) 또는 단자(163)와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실드(123) 사이의 절연거리가 안전 규정상의 절연거리를 만족할 수 있는 크기로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관통형 콘덴서(167)의 단자가 전원에 연결되어 고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상부절연부(171)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어 전하(電荷)가 우회하게 되므로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단자(163)와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실드(123) 사이의 절연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초크코일(165)이 상기 요크(111)측으로 접근 설치가 가능하여 상기 필터박스(161)의 높이(H2)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절연부(175)는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이 상기 초크코일(165) 및 단자(163)측으로 접근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박스(161)의 높이(H2)를 더욱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초크코일영역의 저면도이다. 이하,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 또는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마그네트론은, 요크(111)와, 상기 요크(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동공진기를 형성하는 양극부(131)와, 상기 양극부(131)에 도달되는 열전자를 방출하는 음극부(151)와, 상기 요크(111)의 저부로부터 돌출되는 절연체(127)를 구비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본체(110)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면보다 상기 요크(111)에 가깝게 배치되는 초크코일(165)과, 상기 절연체(127)와 상기 초크코일(165)이 내부에 수용되게 상기 요크(111)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향 개구된 필터박스(191)와,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요크(111)의 저부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상부절연부(197)를 구비한 필터장치(1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장치(190)는, 상기 요크(111)의 저부에 결합되는 필터박스(191)와, 상기 요크(111)의 저부 중앙에 돌출된 하부실드(123)에 결합되는 절연체(127)와, 상기 절연체(127)의 양 측에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초크코일(165)과, 일 단은 상기 절연체(127)를 관통하여 센터리드(155) 및 사이드리드(157)에 각각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초크코일(165)에 각각 연결되는 단자(163)와, 상기 초크코일(165) 또는 상기 단자(163)와 상기 요크(111)의 저부 또는 하부실드(123) 사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상부절연부(197)와, 상기 필터박스(191)의 저부면과 상기 초크코일(165) 또는 상기 단자(163) 사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상기 필터박스(191)의 저부면 내측에 배치되는 하부절연부(17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필터박스(191)는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요크(111)의 저면에 접촉되는 플랜지(19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박스(191)는 상기 요크(111)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게 상향 개구된 직육면체로 형성하여 상기 요크(111)와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절연체(127)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절연체(127)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요크(111)의 저면 사이의 절연거리를 연장시키는 상부절연부(19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체(127) 및 상기 상부절연부(197)는 세라믹 재질로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체(127) 의 저부에는 상향 함몰된 함몰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절연부(197)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요크(111)의 저부 사이의 안전규정상의 절연거리를 충족할 수 있는 크기로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상부절연부(197)는 상기 절연체(127)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연체(127)의 높이 및 필터박스(191)의 높이를 동시에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박스(191)는 자체의 상면부가 제거되었으므로 그만큼 높이가 줄어든다. 또한, 상기 하부절연부(175)는 상기 필터박스(191)의 저면을 상기 초크코일(165) 및 단자(163)에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박스(191)의 높이를 더욱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초크코일영역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제2절연부재의 변형례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마그네트론은, 요크(111)와, 상기 요크(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동공진기를 형성하는 양극부(131)와, 상기 양극부(131)에 도달되는 열전자를 방출하는 음극부(151)와, 상기 요크(111)의 저부로부터 돌출되는 절연체(127)를 구비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본체(110)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면보다 상기 요크(111)에 가깝게 배치되는 초크코일(165)과, 상기 절연체(127)와 상기 초크코일(165)이 내부에 수용되게 상기 요크(11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필터박스(161)와,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과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상부절연부(231)와, 상기 필터 박스(161)의 저부면과 상기 초크코일(165) 또는 상기 단자(163) 사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 내측에 배치되는 하부절연부(175)를 구비한 필터장치(2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장치(220)는, 상기 요크(111)의 저부에 결합되는 필터박스(161)와, 상기 절연체(127)의 양 측에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초크코일(165)과, 일 단은 상기 절연체(127)를 관통하여 센터리드(155) 및 사이드리드(157)에 각각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초크코일(165)에 각각 연결되는 단자(163)와,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과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상부절연부(231)와,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과 상기 초크코일(165) 또는 상기 단자(163)와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 내측에 배치되는 하부절연부(175)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상부절연부(231)는,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1절연부재(233)와, 상기 제1절연부재(233)와 상기 절연체(127)의 경계영역과 상기 초크코일(165)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2절연부재(23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233)는 마이카(mica) 재질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상기 절연체(127)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23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절연부재(235)는, 내부에 상기 절연체(127)가 수용되는 중공부(237)와, 상기 중공부(237)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소정 구간 상기 제1절연부재(233)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플랜지부(23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 부(238)는 상기 제1절연부재(233)와 중첩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절연체(127)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반경( 또는 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재(235)는 세라믹(ceramic)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부(237)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238)는 원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절연부재(235)는 원통형의 중공부(247)와, 사각 판 상의 플랜지부(248)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 내측에는 상기 초크코일(165) 및 상기 단자(163)와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 사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하부절연부(17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절연부(175)는 마이카 재질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관통형 콘덴서(167)의 단자가 전원에 연결되어 고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2절연부재(235) 및 상기 제1절연부재(233)는 상기 초크코일(165) 및 단자(163)와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 또는 하부실드(123)의 절연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안전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초크코일(165)이 상기 요크(111)의 저부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 필터박스(161)의 높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절연부(175)는 상기 초크코일(165) 및 상기 단자(163)와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과의 절연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이 상기 초크코일(165) 및 상기 단자(163)와 근접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필터박스(161)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마그네트론은, 요크(111)와, 상기 요크(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동공진기를 형성하는 양극부(131)와, 상기 양극부(131)에 도달되는 열전자를 방출하는 음극부(151)와, 상기 요크(111)의 저부로부터 돌출되는 절연체(127)를 구비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본체(110)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면보다 상기 요크(111)에 가깝게 배치되는 초크코일(165)과, 상기 절연체(127)와 상기 초크코일(165)이 내부에 수용되게 상기 요크(11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필터박스(161)와,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요크(111)의 저부 또는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상부절연부(261)와,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과 상기 초크코일(165) 또는 상기 단자(163) 사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 내측에 배치되는 하부절연부(175)를 구비한 필터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요크(111)의 저부에는 상기 하부실드(123)의 저부에 결합되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 절연체(12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연체(127)에는 일 단이 상기 센터리드(155) 및 사이드리드(157)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단자(163)가 통과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에는 상기 단자(163)와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과의 절연거리가 더 연장되면서 소재의 소요량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 절취된 절취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절연부(261)는,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을 차단하게 배치되는 제1절연부재(263)와, 상기 제1절연부재(263)와 상기 절연체(127)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제2절연부재(26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절연부재(265)는, 내부에 상기 절연체(127)가 수용되는 중공부(267)와, 상기 중공부(267)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68)와, 상기 중공부(267)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6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절곡부(269)는 상기 절취부(129)에 접촉 또는 대면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상부절연부(261) 및 하부절연부(175)는 상기 초크코일(165) 및 단자(163)와 주변 도체, 즉 필터박스(161), 하부실드(123)와의 절연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초크코일(165)이 상기 요크(111)에 근접되게 배치되고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가 상기 초크코일(165) 및 단자(163)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필터박스(161)의 높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절연부재(263)와 제2절연부재(265)는 서로 소정 구간 중첩되어 절연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제2절연부재(265)의 재료 소요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절연부재(265)의 절곡부(269)는 상기 절연체(127)의 절취부(129)와 대면되어 절연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절연체(127)의 재료 소요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초크코일영역의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마그네트론은, 요크(111)와, 상기 요크(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동공진기를 형성하는 양극부(131)와, 상기 양극부(131)에 도달되는 열전자를 방출하는 음극부(151)와, 상 기 요크(111)의 저부로부터 돌출되는 절연체(127)를 구비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본체(110)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면보다 상기 요크(111)에 가깝게 배치되는 초크코일(165)과, 상기 절연체(127)와 상기 초크코일(165)이 내부에 수용되게 상기 요크(11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필터박스(161)와,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요크(111)의 저부 또는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상부절연부(291)와,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과 상기 초크코일(165) 또는 상기 단자(163) 사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 내측에 배치되는 하부절연부(175)를 구비한 필터장치(2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요크(111)의 저부 중앙에는 세라믹으로 형성된 절연체(127)가 하향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에는 절연거리를 감소시키지 아니하면서 재료 소요량을 줄일 수 있도록 상향 함몰되게 함몰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연체(127)의 양 측에는 한 쌍의 초크코일(165)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체(127)와 상기 초크코일(165) 사이에는 상기 초크코일(165) 또는 단자(163)와 상기 필터박스(161) 또는 하부실드(123)와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상부절연부(29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절연부(291)는,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1절연부재(293)와, 상기 제1절연부재(293)와 상기 절연체(127)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게 배치되는 제2절연부재(295)와, 상기 제2절연부재(295)와 소정 길이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3절연부재(30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293) 및 제3절연부재(301)는 마이카로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절연부재(295)는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절연부재(295)는, 내부에 상기 절연체(127)가 수용되는 중공부(297)와, 상기 중공부(297)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98)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절연부재(301)는 상기 제2절연부재(295)의 플랜지부(298)와 중첩되게 배치되어 절연거리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절연부재(295)의 플랜지부(298)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또는 반경)을 더 줄일 수 있게 하여 제2절연부재(295)의 재료 소요량을 더욱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초크코일영역의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마그네트론은, 요크(111)와, 상기 요크(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동공진기를 형성하는 양극부(131)와, 상기 양극부(131)에 도달되는 열전자를 방출하는 음극부(151)와, 상기 요크(111)의 저부로부터 돌출되는 절연체(127)를 구비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본체(110)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면보다 상기 요크(111)에 가깝게 배치되는 초크코일(165)과, 상기 절연체(127)와 상기 초크코일(165)이 내부에 수용되게 상기 요크(11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필터박스(161)와,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요크(111)의 저부 또는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상부절연부(321)와,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과 상기 초크코일(165) 또는 상기 단자(163)와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 내측에 배치되는 하부절연부(175)를 구비한 필터장치(3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요크(111)의 저부 중앙에는 세라믹으로 형성된 절연체(127)가 하향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체(127)의 하부영역에는 절연거리를 연장시키면서 재료 소요량을 줄일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 절취된 절취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연체(127)의 양 측에는 한 쌍의 초크코일(16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절연체(127) 사이에는 상기 초크코일(165) 및 단자(163)와 상측의 도체와의 절연거리를 연장시키는 상부절연부(32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절연부(321)는,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1절연부재(323)와, 상기 제1절연부재(323)와 상기 절연체(127)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2절연부재(325)와, 상기 제2절연부재(325)와 소정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3절연부재(33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323) 및 제3절연부재(331)는 마이카 재질로 판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절연부재(325)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절연부재(325)는, 내부에 절연체(127)가 수용되는 중공부(327)와, 상기 중공부(327)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플랜지부(328)와, 상기 중공부(327)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32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3절연부재(331)는 상기 플랜지부(328)와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는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 또는 상기 하부실드(123)와의 절연거리를 더 연장시키면서 상기 플랜지부(328)가 외측으로 연장되는 폭(또는 반경)을 줄여 상기 제2절연부재(325)의 재료 소요량을 저감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부절연부(321) 및 하부절연부(175)는 상기 필터박스(161)의 높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절연부재(331)는 상기 제2절연부재(325)의 재료 소요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절연부재(325)의 절곡부(329)는 상기 절연체(127)의 재료 소요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초크코일 영역의 저면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상부절연부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마그네트론은, 요크(111)와, 상기 요크(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동공진기를 형성하는 양극부(131)와, 상기 양극부(131)에 도달되는 열전자를 방출하는 음극부(151)와, 상기 요크(111)의 저부로부터 돌출되는 절연체(127)를 구비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본체(110)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면보다 상기 요크(111)에 가깝게 배치되는 초크코일(165)과, 상기 절연체(127)와 상기 초크코일(165)이 내부에 수용되게 상기 요크(11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필터박스(161)와,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요크(111)의 저부 또는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상부절연부(351)와,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과 상기 초크코일(165) 또는 상기 단자(163)와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 내측에 배치되는 하부절연부(175)를 구비한 필터장치(3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요크(111)의 저부 중앙에는 세라믹으로 형성된 절연체(127)가 하향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에는 절연거리를 단축하지 아니하면서 재료 소요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향 함몰되게 함몰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연체(127)의 양 측에는 한 쌍의 초크코일(16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절연체(127) 사이에는 상기 초크코일(165) 및 단자(163)와 상측의 도체와의 절연거리를 연장시키는 상부절연부(35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절연부(351)는 가요성을 가지는 마이카 재질로 직사각 판 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절연부(351)는 재질의 가요성을 이용하여 일 영역은 상기 절연체(127)에 접촉되고 타 영역은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에 접촉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절연부(351)에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체(127)의 외면에 접촉될 수 있게 중앙에 수용공(3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353)에는 외측으로 절취된 슬릿(354)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상부절연부(351)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체(127)의 양 측에 배치되는 초크코일(165)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쉽게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상부절연부(351) 및 하부절연부(175)는 상기 초크코일(165) 및 단자(163)와 주변 도체와의 상하방향의 절연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박스(161)의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절연부(351)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마이카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제조비용이 저감되도록 한다. 상기 슬릿(354)은 상부절연부(351)의 결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마그네트론은, 요크(111)와, 상기 요크(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동공진기를 형성하는 양극부(131)와, 상기 양극부(131)에 도달되는 열전자를 방출하는 음극부(151)와, 상기 요크(111)의 저부로부터 돌출되는 절연체(127)를 구비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본체(110)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면보다 상기 요크(111)에 가깝게 배치되는 초크코일(165)과, 상기 절연체(127)와 상기 초크코일(165)이 내부에 수용되게 상기 요크(11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필터박스(161)와,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요크(111)의 저부 또는 상기 필터박스(161)의 상면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상부절연부(381)와,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과 상기 초크코일(165) 또는 상기 단자(163)와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면 내측에 배치되는 하부절연부(175)를 구비한 필터장치(3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요크(111)의 저부 중앙에는 세라믹으로 형성된 절연체(127)가 하향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체(127)의 저부에는 절연거리를 단축하지 아니하면서 재료 소요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향 함몰되게 함몰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연체(127)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절연부(381)와 면 접촉되게 절취되어 절연거리를 연장시킴과 아울러 재료 소요량이 저감되게 절취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연체(127)의 양 측에는 한 쌍의 초크코일(16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초크코일(165)과 상기 절연체(127) 사이에는 상기 초크코일(165) 및 단자(163)와 상측의 도체와의 절연거리를 연장시키는 상부절연부(38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절연부(381)는 마이카 재질로 직사각 판 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절연체(127)의 일 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38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공(383)에는 결합 시 상기 초크코일(165)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절연부(381)가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슬릿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383)은 상기 절연체(127)의 절취부(129)와 소정 구간 중첩될 수 있게 상기 절연체(127)의 최대 외경에 비해 축소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상부절연부(381)는 상기 초크코일(165)의 상측 절연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초크코일(165)이 상기 요크(111)측에 근접배치될 수 있게하고, 상기 하부절연부(175)는 상기 필터박스(161)의 저부가 상기 초크코일(165) 또는 상기 단자(163)측으로 근접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필터박스(161)의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연체(127)의 절취부(129)는 상기 상부절연부(381)와 중첩되어 절연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절연체(127)의 재료소요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마그네트론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필터장치의 저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초크코일영역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초크코일영역의 저면도,
도 8은 도 6의 제2절연부재의 변형례,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초크코일영역의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초크코일영역의 저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초크코일 영역의 저면도,
도 17은 도 15의 상부절연부의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본체 111 : 요크
113 : 상부마그넷 115 : 하부마그넷
121 : 상부실드 123 : 하부실드
125 : 냉각핀 127 : 절연체
128 : 함몰부 131 : 양극부
133 : 바디 135 : 베인
137 : 안테나 151 : 음극부
153 : 필라멘트 155 : 센터리드
157 : 사이드리드 160 : 필터장치
161 : 필터박스 163 : 단자
165 : 초크코일 167 : 관통형 콘덴서
171 : 상부절연부 172 : 중공부
173 : 플랜지부 175 : 하부절연부

Claims (20)

  1. 요크와, 상기 요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공동공진기를 형성하는 양극부와, 상기 양극부에 도달되는 열전자를 방출하는 음극부와, 상기 요크의 저부로부터 돌출되는 절연체를 구비한 본체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절연체의 저부면보다 상기 요크의 저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초크코일과, 상기 절연체와 상기 초크코일이 내부에 수용되게 상기 요크의 하측에 배치되는 필터박스와, 상기 초크코일과 상기 요크의 저부 또는 상기 필터박스의 상면 사이의 절연거리가 연장될 수 있게 일 측은 상기 초크코일의 상면을 차단하게 배치되고 타 측은 상기 초크코일의 상면보다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연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상부절연부를 구비한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연부는, 상기 요크의 저부면 또는 상기 필터박스의 상면을 차단하게 배치되는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절연체의 경계영역을 차단하게 배치되는 제2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는 소정 구간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부재는, 내부에 상기 절연체가 수용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절연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체에는 상기 절곡부에 대응되게 절취된 절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연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3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부재는 원형 또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는 마이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부재는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연부는 가요성의 마이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연부에는 상기 절연체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에는 외측으로 연장되게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에는 상기 상부절연부와 접촉되게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연부는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연부는, 내부에 상기 절연체가 수용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의 일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연부는 상기 중공부의 타 단부에서 상기 절연체측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체에는 상기 절곡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절취된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의 저부에는 상향 함몰되게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박스는 상향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절연부는 상기 절연체에 상기 요크의 저부를 따라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19. 제1항 내지 제9항 및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박스의 내부에 상기 초크코일과 상기 필터박스의 절연거리가 연장되게 배치되는 하부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절연부는 마이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KR1020070073025A 2007-07-20 2007-07-20 마그네트론 Active KR101343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025A KR101343582B1 (ko) 2007-07-20 2007-07-20 마그네트론
PCT/KR2008/004122 WO2009014334A2 (en) 2007-07-20 2008-07-14 Magnetr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025A KR101343582B1 (ko) 2007-07-20 2007-07-20 마그네트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601A KR20090009601A (ko) 2009-01-23
KR101343582B1 true KR101343582B1 (ko) 2013-12-19

Family

ID=4028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025A Active KR101343582B1 (ko) 2007-07-20 2007-07-20 마그네트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43582B1 (ko)
WO (1) WO2009014334A2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6374B2 (ja) * 1993-12-27 2001-10-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グネトロン装置
KR19980039365A (ko) * 1996-11-27 1998-08-17 배순훈 마그네트론의 전자파 차폐구조
JP3902480B2 (ja) * 2002-01-29 2007-04-04 三洋電機株式会社 マグネトロン及びマグネトロンの製造方法
KR100482826B1 (ko) * 2002-09-26 2005-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마그네트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601A (ko) 2009-01-23
WO2009014334A3 (en) 2009-03-12
WO2009014334A2 (en)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2272A (en) Magnetron
US6847023B2 (en) Magnetron for microwave ovens
KR102545133B1 (ko) 진공 차단기의 진공 인터럽터
KR101343582B1 (ko) 마그네트론
KR100509041B1 (ko) 마그네트론
KR20060106025A (ko) 마그네트론의 콘덴서
KR20070068924A (ko) 마그네트론의 초크필터
KR100509040B1 (ko) 마그네트론
KR100690699B1 (ko) 마그네트론
KR100595205B1 (ko) 마그네트론의 콘덴서
KR200154588Y1 (ko) 전자렌지의 도파관구조
KR970011500B1 (ko) 관통형 커패시터와 이를 이용한 마그네트론
KR0136192Y1 (ko) 마그네트론의 음극지지구조체
US10366857B2 (en) Magnetron for microwave oven
KR100266604B1 (ko) 마그네트론의 고주파 누설 방지구조
US3412283A (en) Coaxial magnetron in which the anode is welded to the body
WO2012120903A1 (ja) マグネトロンおよびマイクロ波利用機器
KR0134556B1 (ko) 쵸크판 및 쵸크판 삽입홈이 형성된 스템세라믹을 갖는 마그네트론
KR0136191Y1 (ko) 마그네트론의 음극지지구조체
KR100664298B1 (ko) 마그네트론의 마그네트 장착구조
KR100518011B1 (ko) 마그네트론의 안테나 캡 설치구조
KR100565511B1 (ko) 마그네트론
KR0168176B1 (ko) 마그네트론의 음극구조
KR19990045267A (ko) 전자 레인지용 마그네트론
KR19990021443A (ko) 마그네트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6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7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