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2192B1 - 콜라겐 산생 증강제와 그 용도 - Google Patents

콜라겐 산생 증강제와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192B1
KR101342192B1 KR1020087001705A KR20087001705A KR101342192B1 KR 101342192 B1 KR101342192 B1 KR 101342192B1 KR 1020087001705 A KR1020087001705 A KR 1020087001705A KR 20087001705 A KR20087001705 A KR 20087001705A KR 101342192 B1 KR101342192 B1 KR 101342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halose
mass
collagen production
parts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890A (ko
Inventor
사토미 미야타
심페이 우시오
간소 이와키
도시오 미야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Publication of KR2008003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1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34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8Compounds having an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D-galactosamine, rani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콜라겐 산생을 증강하는 작용을 지속해서 발휘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콜라겐 산생 증강제, 혹은, 이 콜라겐 산생 증강제를 배합해서 이루어지는 콜라겐 산생 증강용 조성물에 의해 해결한다.

Description

콜라겐 산생 증강제와 그 용도{AGENT FOR ENHANCING COLLAGEN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인 콜라겐 산생(産生) 증강제 및 콜라겐 산생 증강용의 조성물, 상세하게는, α,α-트레할로오스(trehalose)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콜라겐 산생 증강제 및 이 콜라겐 산생 증강제를 함유하는 콜라겐 산생 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세상의 많은 중고(中高) 연령자, 특히, 여성에 있어서, 노화에 따르는 피부 두께의 감소, 신진 대사 저하 등의 변화나 골밀도(骨密度)의 저하는 고민의 원인이며, 특히, 현저하게 느껴지는 안면의 잔주름·주름, 피부 처짐의 발생, 팽팽함의 소실, 피부의 탄력 감소 등에 따르는 용모의 변화가 그 대표적인 것이다. 지금까지도, 피부의 보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 등의 뮤코다당(mucopolysaccharide)을 배합한 화장품이, 노화 방지용의 화장품으로서 개발되어 왔지만, 그것만으로는, 피부의 노화 방지에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최근, 노화에 관한 연구가 진척됨으로써, 진피(眞皮)를 형성하는 콜라겐 섬유의 현저한 감소가 피부 노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밝혀져 왔다. 그리고, 안면의 잔주름이나 주름의 발생, 팽팽함의 소실, 피부 처짐의 발생, 피부의 탄력 저하 등의 용모 변화의 원인은 콜라겐 섬유의 감소와 관계되고 있는 것이 시사되어 오고 있으며, 피부 노화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 것이 있지만, 결국은 진피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산생 능력의 저하나, 섬유아세포 자체의 증식성의 저하에 의해, 콜라겐의 대사가 저하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또한, 섬유아세포에 있어서의 콜라겐 산생량의 저하는, 단순히 피부의 노화를 진행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의 중요한 기능의 하나인 생체 방어 능력의 저하나, 또한, 뼈나 혈관을 비롯한 콜라겐에 의해 그 구조가 유지되고 있는 체내의 조직, 장기의 취약화를 발생시켜, 건강에 지장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콜라겐은 단백질이며, 경구 섭취나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만으로는, 직접 체내에 흡수되기 어렵고, 또,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산생 활성을 증강할 수는 없으므로, 피부 노화의 근본적인 예방·치료는 될 수 없다. 그래서, 피부, 혈관, 뼈를 비롯한 조직의 노화 방지나 건강의 유지·증진 등을 목적으로 해서, 진피나 뼈, 혈관을 비롯한 조직·장기의 주요한 구성 성분인 콜라겐의 산생을 지속해서, 건강한 레벨로 증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안전한 콜라겐 산생 증강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L-아스코르브산의 유도체나 로열 젤리를 배합한 콜라겐 산생 증강제가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 2003-171290호 공보 참조). 또한, 글루코오스 등의 당질(糖質)이 콜라겐의 산생을 증강하는 것도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면, 핸 디.씨.(Han D.C.) 등,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제10권, 제9호, 제1891-1899페이지(1999년) 참조). 그러나, 이러한 성분도 조성물의 배합 처방이나 사용 조건 등에 따라서는 안정성 등의 면에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어, 신규 콜라겐 산생 증강제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한편, α,α-트레할로오스는, 2 분자의 글루코오스가 환원성 기(基)끼리 결합해서 이루어지는 2 당류이며, 그 당질 유도체는 분자 내에 이 α,α-트레할로오스 구조를 갖는 3개 이상의 글루코오스로서 이루어지는 비 환원성의 당질로서, 이러한 당질은 모두 식품, 화장품, 의약 부외품 혹은 의약품 등의 분야에서, 자당(蔗糖) 등을 대신하는 당질로서, 보습 작용, 전분의 노화 방지, 지방질의 열화(劣化) 억제, 단백질의 변성 억제 등의 특성을 이용한 음료·식품이나 피부 외용제용의 수요가 급속히 신장하고 있다.
α,α-트레할로오스 및 이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는 공지된 물질이며, 예를 들면, 동일 출원인에 의해, 이들 당질의 제조 방법이나 그 용도에 관한 특허도 다수 출원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7-143876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7-213283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0-228980호 공보, 국제 공개 WO 2004/056216호 명세서 참조). 또한, α,α-트레할로오스는, 콜라겐 산생 증강제의 부형제(賦形劑)로서의 사용도 개시되어 있지만(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3-171290호 공보 참조), 이들 문헌에는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가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에 현저한 증강 작용을 발휘하는 것에 관한 기재는 없고, 또한, 시사도 되어 있지 않으며, 지금까지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가 콜라겐 산생을 증강하는 점에 착목(着目)한 것은 없다.
본 발명은,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을 효과적으로 증강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銳意) 연구를 거듭한 결과,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가,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을 지극히 효율적으로 증강한다고 하는 예상 외의 지견(知見)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대하여,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을 현저하게 증강하는 작용을 나타낸다고 하는 지견에 근거하는 것이다. 또한,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는 안정적이고, 또한, 안전해서, 중한 부작용의 걱정도 없으므로, 장기적으로 연속 이용이 가능해서, 인간을 포함한 동물류가 간편하고, 또한 쾌적하게 피부의 노화 방지, 미용과 건강의 유지·증진, 뼈나 혈관의 강화 등을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있어서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을 증강하는 작용을 발휘하므로, 모두 이 발명에 있어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α,α-트레할로오스 및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전체적으로 유효량만 포함되어 있으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α,α-트레할로오스 및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는 발효법, 효소법, 합성법 등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고, 이들을 함유하는 시럽, 마세큐트(massecuite), 비정질(非晶質) 분말, 함밀(含密) 결정 분말, 결정 등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α,α-트레할로오스 및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는 반드시 고도로 정제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고, 조제 과정에서 공존하는 다른 당질과의 미분리 조성물로서의 형태, 그것들을 부분 정제, 혹은, 고도로 정제한 것이어도 좋고, 혹은, 제조 공정에서 공존하는 환원성 당(糖)을 수소 첨가해서 당 알코올로 변환한 것이어도 좋고,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있어서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 증강 작용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다른 적당한 성분과의 혼합물 형태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α,α-트레할로오스나 그 유도체의 조제에 관한 것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경제성을 문제로 삼는 것이라면,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7-143876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7-213283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0-228980호 공보, 국제 공개 WO 2004/056216호 명세서 등에 개시된 비 환원성 당질 생성 효소 및 트레할로오스 유리(遊離) 효소를 전분 부분가수 분해물에 작용시키는 방법이 매우 적당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염가의 재료인 전분으로부터, α,α-트레할로오스나 α,α-트레할로오스 함유 당질을 고수율로 얻을 수 있다. 덧붙이자면,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조제된 α,α-트레할로오스의 시판(市販) 품목으로서는, 함수결정 트레할로오스를 고형물 환산으로 98 질량% 이상 함유하는 식품급(級)의 α,α-트레할로오스 분말(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Treha」)이 있다. 또한,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함유하는 당질로서는, 예를 들면,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를 무수물 환산으로 50 질량% 이상 함유하고, 그 밖의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무수물 환산으로 약 7 질량% 함유하는 시판 시럽(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할로덱스」)이나, 이것을 수소 첨가해서 공존하는 환원성 당질을 그 당 알코올로 변환한,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를 무수물 환산으로 50 질량% 이상 함유하고, 그 밖의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무수물 환산으로 약 10 질량% 함유하는 시럽(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톨나레」)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는,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을 증강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분자 내에 트레할로오스 구조를 갖는 3개 이상의 글루코오스로서 이루어지는 비환원성 올리고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당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α,α-트레할로오스 분자의 적어도 한쪽의 글루코오스에, 모노글루코오스, 디글루코오스, 트리글루코오스 및 테트라글루코오스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결합한 것 등을 말한다.
상기의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중에서도, α-글루코실 α,α-트레할로오스,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 α-말토트리오실 α,α-트레할로오스 및 α-말토테트라오실 α,α-트레할로오스 등 분자의 말단에 트레할로오스 구조를 갖는 당질이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의 증강 작용이 강하여, 본 발명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국제 공개 WO 2004/056216호 명세서 등에 개시된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이외에 α-글루코실 α,α-트레할로오스, α-말토트리오실 α,α-트레할로오스, 이것들 이외의 α-글리코실 α-글루코오스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당질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체 당질에 대하여,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를 무수물 환산으로 약 5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질량% 이상 함유하는 당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에는, 그 콜라겐 산생 증강 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포도당, 과당, 글루코사민, 락토오스, 자당, α,β-트레할로오스, β,β-트레할로오스, 락토 수크로오스, 말토 올리고당, 물엿 등의 당류, 사이클로 덱스트린이나 동일 출원인에 의한 국제 공개 WO 02/10361호 명세서 등에 기재한 사이클로{→6)-α-D-글루코피라노실-(1→3)-α-D-글루코피라노실-(1→6)-α-D-글루코피라노실-(1→3)-α-D-글루코피라노실-(1→}의 구조를 갖는 환상(環狀) 4당, 혹은, 일본국 특개평 2005-95148호 공보(일본국 특원 2004-174880호 명세서) 등에 기재한 사이클로{→6)-α-D-글루코피라노실-(1→4)-α-D-글루코피라노실-(1→6)-α-D-글루코피라노실-(1→4)-α-D-글루코피라노실-(1→}의 구조를 갖는 환상 4당 등의 환상의 당류, 에리스리톨(erythritol), 만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크실리톨(xylitol), 말티톨(maltitol), 환원 물엿 등의 당 알코올류, 아스파르테임(aspartame), 스테비어 추출물, 수크랄로스, 아세설팜 K 등의 고감미도 감미료, 풀룰란(pullulan), 카라기난(carrageenan), 콘드로이틴 황산 등의 뮤코다당체나 그 염류, 천연 검류, 키틴, 키토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비롯한 합성 고분자 폴리머, 콜라겐, 젤라틴 등의 증점제(增粘劑)의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에는, α,α-트레할로오스 및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이외의 것,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20395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너도 밤나무과 너도 밤나무속의 나무 싹으로부터의 추출물 등의 α,α-트레할로오스 및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이외의 콜라겐 산생 증강 작용을 갖는 성분도, 필요에 따라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해양 심층수, 굴 껍질 칼슘 등의 미네랄류, 유화제, 향료, 향신료, 색소, 예를 들면,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 L-아스코르브산, 비타민 E, 루틴·헤스페리딘·나린진 등의 비타민 P류, 혹은, 이들 비타민류의 유도체 등의 비타민류나, 아미노산류, CoQ10(코엔자임 Q10), 아데노신이나 그 유도체, 그것들의 모노포스페이트(monophosphate), 디포스페이트 혹은 트리포스페이트 등의 염기류 등의 성분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시키는 것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콘드로이틴 황산 등의 뮤코다당류, CoQ10(코엔자임 Q10), 아데노신이나 그 유도체, 그것들의 모노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혹은 트리포스페이트 등의 염기류를 병용하면,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의 콜라겐 산생 증강 작용을 더욱 증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의 선택 기준은 보통,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의 각각의 이용 분야의 필요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L-아스코르브산류라는 것은, L-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를 의미하고, 그대로 혹은, 효소 등에 의해 분해나 수식(修飾)되는 등으로 해서,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산생을 유발하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등의 L-아스코르브산 배당체, L-아스코르브산 배당체의 아실화(acylation)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의 인산 에스테르나 황산 에스테르나 이것들의 염류 등이 있다. 보통,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생체 내에는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산생에 필요한 양의 L-아스코르브산이 존재하므로,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에 L-아스코르브산류를 첨가할 필요는 없지만, 생체 내의 L-아스코르브산량의 부족에 의해 콜라겐 산생이 저하하고 있을 경우에는, L-아스코르브산류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의 L-아스코르브산류의 사용량 기준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콜라겐 산생에 필요하게 되는 양을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의 각각의 이용 분야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인간의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는 경구적으로 사용해도 되고, 비경구적으로 사용해도 콜라겐 산생 증강 작용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 때문에, 경구적 및 비경구적 사용의 어느 경우에도, 콜라겐 산생의 증강에 유효하다. 사용 목적에도 따르지만, 보통, 식품 또는 물약, 시럽제, 가루약, 과립제, 정제(錠劑), 캡슐제 등의 형태로 경구적 혹은 경관적(經管的)(경위(經胃), 경장(經腸) 등)으로 섭취하거나, 피부 외용제로서 경피적(經皮的)으로 투여해도 좋고, 경우에 따라서는, 점안제, 주사액, 수액(輸液), 복강(腹腔)이나 흉강(胸腔)의 관류액(灌流液), 장기·상처 자리·눈·비강(鼻腔)·화상, 염증 부위 등의 세정액·소독액, 복막 투석액, 조직이나 장기의 보존액 등의 형태로 비경구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대상 부위의 콜라겐 산생을 증강하여, 조직이나 장기의 강화나 상처 자리·화상·염증 부위 치유의 촉진 등에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피부 외용제는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배합한 조성물이 직접 피부에 접촉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고, 화장품, 의약 부외품, 의약품뿐만 아니라, 세제 등의 잡화류 등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류에 경구적, 경피적, 혹은 주사(복강 내 등의 관류(灌流)를 포함함)의 어느 경로로 투여하였을 경우에도, 그 유효 성분이 신속하게 생체 내에 흡수되어서, 진피, 조직, 뼈, 장기 등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에 있어서의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을 증강하므로, 인간을 포함한 동물류가 이 콜라겐 산생 증강제를 섭취하면, 콜라겐의 산생이 안정적으로 증강되어서, 나이 듦에 따르는 노화, 투석,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이나 수술 등에 의해 발생하는 조직의 장해나, 자외선을 비롯한 인자(因子)에 의해 손상을 받은 피부 등에서의 콜라겐 산생 능력의 저하를 회복하여, 피부에 팽팽함이나 물기를 부여하고, 잔주름·주름을 제거하여, 피부의 탄력을 회복하거나, 뼈나 혈관을 비롯한 각종 조직, 장기를 강화하거나, 창상(創傷)을 치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특히, 경피 투여에 있어서는,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가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을 지속해서 증강하여, 그 피부의 진피나 각화층(角化層)을, 강화해서 생체 방어 능력을 증강함과 더불어, 피부의 거칠음을 억제·개선하기 때문에, 나이 듦에 따르는 노화나, 자외선이나 유해 미생물 등을 비롯한 인자에 의해 손상을 받은 피부의 콜라겐 산생 능력의 저하를 신속하게 회복하여, 피부에 팽팽함이나 물기를 부여하고, 잔주름·주름을 제거하여, 피부의 거칠음이나 피부의 탄력을 회복하거나, 두피(頭皮)를 포함한 피부에 적용하는 화장품으로서 이용할 경우에도, 상기의 작용 효과에 의한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이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의 개선이나 발육모·육모 등에 주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 및/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화장품 등으로서 피부에 직접 도포할 경우는,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동일 출원인에 의한 국제 공개 WO 01/60388호 명세서 등에 개시된 이온 도입 도구를 이용함으로써, 피부에의 침투를 촉진해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는, 주름이나 잔주름 발생의 억제제나 개선제, 발모·육모제, 조직 강화제 등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 건강의 유지·증진에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강장제나 건강 식품, 건강 보조 식품, 특별 용도 식품, 보건 기능 식품, 화장품, 의약 부외품, 의약품, 사료, 모이, 애완 동물용 먹이, 잡화 등의 형태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의 섭취량 또는 투여량은, 대상으로 삼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이나 애완 동물 등의 종류, 나이, 성별 등에 따라 다르지만, 무수물 환산으로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체중 1kg당 보통 0.001g 내지 2g, 바람직하게는 0.01g 내지 1g을 경구적(경관 투여를 포함함) 혹은 경피 투여 이외의 비경구적으로,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서, 효과에 따라, 연일 또는 1일 이상의 간격을 두고 섭취하든가, 혹은, 투여하면 좋다.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강장제, 건강 식품, 건강 보조 식품, 특별 용도 식품, 보건 기능 식품, 의약 부외품, 의약품, 사료, 모이, 애완 동물용 먹이 등에서는, 예를 들면, 물약, 정제, 분말제, 과립제, 페이스트제, 시럽제, 캡슐제 등 각각의 용도에 따른 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통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무수물 환산으로 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를 화장품 등으로 하여 피부에 직접 접촉시키는 피부 외용제의 경우에는, 이 콜라겐 산생 증강제에 사용되는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는 무수물 환산으로 피부 외용제 전체 양 중 0.1 질량% 내지 20 질량%, 바람직하게는, 1 질량% 내지 20 질량%이며, 안정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2 질량% 내지 20 질량%가 특히 바람직하고,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서, 효과에 따라, 연일 또는 1일 이상의 간격을 두고 피부에 분무나 도포 등의 방법으로 접촉시키면 좋다. 20 질량%보다 더 증량해도 효과에 차(差)가 없을 뿐만 아니라, 피부 외용제의 형태에 따라서는, 물성면이나 사용감 등에서 배합 처방상 문제가 발생할 경우가 있으므로, 이것을 배합량의 상한(上限)으로 하였다. 또한, 피부 외용제의 물성면이나 사용감 등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 이외는,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의 피부 외용제에의 배합량에 상한은 없다. 또한, α,α-트레할로오스의 유도체를 배합한 피부 외용제에 끈끈하게 달라붙는 감이 인지될 경우에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글루탐산 나트륨, 스클레로글루칸(scleroglucan), 퀸즈시드 엑기스, 풀룰란 등의 수용성 다당류 등의 증점제나 에탄올을 병용하든가, 부틸렌 글리콜과 글리세롤을 질량비로 1:20 내지 20 대 1의 비율로 배합하면 좋다.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것 자체로 유용한 한편, 다른 성분에 배합해서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형태로서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대상으로 삼는 동물류나 그 섭취 방법 또는 투여 방법 등에 따라서 선택되는 적절한 조성에 따라,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와, 이상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음료·식품, 화장품, 의약 부외품, 의약품, 사료, 모이, 애완 동물용 먹이의 분야의 어딘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각각의 함량에 근거하여, 목적에 따라서 혼합하는 등의 공정을 적절히 실시하고,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조제하여, 필요에 따라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면 좋다.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 혹은 이것을 함유한 조성물의 조제는, 그 각각의 성분을 원료 단계부터 제품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적절한 공정, 혹은, 기존의 제품에 대하여, 예를 들면, 희석, 농축, 건조, 여과, 원심 분리, 혼화(混和), 혼날(混捏), 용해, 융해, 분산, 현탁(懸濁), 유화(乳化), 침지(浸漬), 침투, 살포, 도포, 피복, 분무, 주입, 정출(晶出), 고화(固化), 역 미셸화 등의 방법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품 등과 같이, 경구·경장 섭취나 피부에의 적용 이외의 방법에 의한 생체 내에의 투여 목적의 제제(製劑) 등은 균 및 파이로젠(pyrogen)을 제거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의 경구적 또는 경피적 적용 내지는 피부 외용에 허용되는 성분으로서는, 상기 혹은 상기 이외의, 본 발명의 조성물 각각의 이용 분야에서 보통 사용되는 예를 들면, 물, 알코올, 전분질, 단백질, 아미노산, 섬유질, 당질, 지방질, 지방산, 비타민, 미네랄, 착향료, 착색료, 감미료, 조미료, 향신료, 방부제, 산화 방지제, 유화제, 계면 활성제, 분체(粉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 혹은 이것을 배합한 조성물은, 콜라겐 산생을 증강할 수 있는 취지의 표시를 하여, 콜라겐 산생 증강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를 배합한 조성물의 형태에는 특히 제한은 없다. 바람직한 피부 외용제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국제 공개 WO 2004/056216호 명세서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로션, 유액, 크림, 고형, 분말, 젤리, 무스, 팩, 페이스 마스크, 필름 등 형태의 기초 화장품, 세정용 화장품, 입욕용 화장품, 구강 화장품, 선탠(suntan) 화장품·자외선 차단제, 메이컵 화장품, 두발 화장품(발모제, 육모제 등)이나, 부엌용 세제와 같이 피부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잡화류 등을 들 수 있다. 의약품으로서는, 피내(皮內), 피하(皮下), 혈관 내 투여용의 주사, 복강 내 관류액·세정액, 복막 투석 등의 투석액, 외상의 세정액·소독액, 점안제(點眼劑), 점비제(點鼻劑), 외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식품의 경우는 예를 들면, 콜라겐 산생 증강을 위해서 이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한 아이스크림, 아이스 캔디, 샤베트 등의 빙과, 얼음 꿀 등의 시럽, 버터 크림, 카스터드 크림, 플라워 페이스트, 땅콩 페이스트, 프루트 페이스트 등의 스프레드 및 페이스트, 초콜릿, 젤리, 캔디, 구미젤리, 캐러멜, 추잉검, 푸딩, 슈크림·스펀지 케이크를 비롯한 구운 과자 등의 양과자, 잼, 마마레이드, 시럽 절임, 당과(糖菓) 등의 가공 과실 내지는 가공 야채, 만두, 막대 모양 시루떡, 팥소, 양갱(羊羹), 수양갱, 카스테라, 눈깔 사탕, 쌀과자 등의 일본식 과자, 국수류, 얇은 찹쌀 과자, 쌀밥, 반찬, 건조 식품, 레토르트 식품, 냉동 식품, 간장, 분말 간장, 된장, 분말 된장, 마요네즈, 드레싱, 식초, 초간장, 미림, 테이블 설탕, 커피 설탕 등의 조미료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음료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합성주·양조주·발포주·과실주·양주 등의 주류, 주스·미네랄 음료·탄산 음료·락트산 음료·유산균 음료·스포츠 드링크·영양 드링크제, 녹차·홍차·우롱차 등의 차 음료, 커피·코코아 등의 청량 음료 등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를, 제품 질량당 보통, 0.01 질량% 내지 20 질량%,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내지 10 질량% 함유한다.
이하에, 실험에 근거해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험 1: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에 끼치는 α,α-트레할로오 스의 영향〉
α,α-트레할로오스의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정상 인간 신생아 포피 피부 섬유아세포(Fibrocell NHDF, 구라보 방적 주식회사 판매)(이하에, 「NHDF 세포」라고 약기(略記)한다)를 사용하여, 「바이오사이언스, 바이오테크놀로지, 및 바이오케미스트리」(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제68권, 제4호, 제767-773페이지(2004년)에 기재된 방법에 근거해서 실행하였다. 이하에, 그 방법을 약기한다.
〈시험 용액〉
10%(v/v) 소의 태아 혈청 및 항생 물질을 함유하는 둘베코(Dulbecco)의 MEM 배지(培地)(이하에, 「D-MEM 배지」라고 약기한다)에, L-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시약급)(이하에, 「AA-2G」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와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시약급)를 AA-2G의 최종 농도가 50μM, α,α-트레할로오스의 최종 농도가 7.5mg/ml, 15mg/ml 혹은 30mg/ml가 되도록 용해해서 시험액을 조제하였다.
〈NHDF 세포에 있어서의 콜라겐 산생량의 정량 방법〉
D-MEM 배지를 이용해서 계대(繼代) 배양한 NHDF 세포를 회수하고, D-MEM 배지에 재차 현탁하고,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2.5×104 세포/200μl/웰로 파종해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흡인 제거하고, 시험액의 어느 하나를 200μl/웰 첨가하여, 5일간 배양을 실행하였다. 대조(對照)로서, D-MEM 배지, α,α-트레할로오스를 30mg/ml 함유하는 D-MEM 배지 혹은 50μM의 AA-2G 함유 D-MEM 배지의 어느 하나를 200μl/웰 첨가하고, 5일간 배양을 실행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흡인 제거하고, 각각의 웰에 1mg/ml 펩신 함유 1M 아세트산을 50μl/웰 더해서, 4시간 진탕해서 세포 표면에 부착된 콜라겐을 가용화(可容化) 하고, 세포 중에 축적된 콜라겐량을 시르콜 콜라겐 정량 키트(sircol collagen assay kit)(바이오컬러 주식회사(Biocolor Ltd.) 판매)로 측정하였다. 실험은 대조 혹은 시험액에 대해서, 각각 3웰을 사용해서 실행하고, 각각의 웰당 콜라겐량의 평균을 구해서 콜라겐 산생량으로 하였다. 또한, NHDF 세포의 배양은 어느 경우도 5 용량% 탄산가스 배양 장치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AA-2G 함유 D-MEM으로 배양하였을 경우의 NHDF 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을 100으로 하는 상대값을 구하여, 표 1에 나타낸다.
[표 1]

배양액의 종류

α,α-트레할로오스 농도
(mg/ml)

콜라겐 산생량

대조
D-MEM 배지 0.0 43
30.0 41
50μM의 AA-2G 함유
D-MEM 배지
0.0 100

시험액
50μM의 AA-2G 함유
D-MEM 배지
7.5 150
15.0 217
30.0 264
표 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AA-2G 무첨가의 D-MEM 배지 및 이것에 α,α-트레할로오스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의 NHDF 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은 각각 43 혹은 41이 되어, α,α-트레할로오스 단독으로는 AA-2G에 보이는 콜라겐 산생 증강 작용은 인지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50μM의 AA-2G 함유 D-MEM 배지에 α,α-트레할로오스를 7.5mg/ml, 15mg/ml 혹은 30mg/ml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한 NHDF 세포의 경우에는, 콜라겐 산생량은 각각 150, 217, 264가 되어, α,α-트레할로오스의 첨가량에 의존한 AA-2G에 의한 콜라겐 산생의 증강이 인지되었다.
〈실험 2: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에 끼치는 당질의 영향〉
NHDF 세포를 사용해서, 콜라겐 산생에 끼치는, α,α-트레할로오스 및 말토오스의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아래와 같이 실행하였다.
〈시험액〉
D-MEM 배지에, AA-2G와,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시약급) 또는 함수결정 말토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시약급)의 어느 하나를 AA-2G의 최종 농도가 50μM, α,α-트레할로오스 혹은 말토오스의 최종 농도가 0.6mg/ml, 1.7mg/ml, 5.0mg/ml 혹은 15.0mg/ml가 되도록 용해하여, 시험액을 조제하였다.
〈NHDF 세포에 있어서의 콜라겐 산생량의 정량 방법〉
NHDF 세포의 배양 및 콜라겐 산생량의 정량 방법에 대해서는 실험 1과 마찬가지로 실행하였다. 또한, NHDF 세포의 배양 상청(上淸)을 회수하고, 그 상청 중에 방출된 콜라겐량에 대해서도, 실리콘 콜라겐 정량 키트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대조로서, 50μM의 AA-2G 함유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대조 혹은 시험액에 대해서, 각각 3웰을 사용해서 실행하고, 그 평균을 구해서 콜라겐 산생량으로 하였다. 결과는, 세포 표면에의 침착(沈着), 배양 상청 중 혹은 이들의 합계 콜라겐 산생량에 대해서, 50μM의 AA-2G 함유 D-MEM 배지를 사용하였을 때의 NHDF 세포의 세포 표면에의 침착, 배양 상청 중 혹은 이들의 합계 콜라겐 산생량을 100으로 하는 상대값을 구하여, 표 2에 나타낸다.
[표 2]

배양액의 종류
α,α-트레할로오스
혹은 말토오스 농도
(mg/ml)
콜라겐 산생량
세포 표면
에의 침착
배양
상청 중
합계
대조 50μM의 AA-2G 함유
D-MEM 배지
0 100 100 100










50μM의 AA-2G 함유
D-MEM 배지 +
α,α-트레할로오스
0.2 101 103 101
0.6 118 203 131
1.7 137 250 154
5.0 157 232 169
15.0 207 1058 335

50μM의 AA-2G 함유
D-MEM 배지 +
말토오스
0.2 98 101 99
0.6 85 134 92
1.7 63 288 97
5.0 25 256 61
15.0 11 228 44
표 2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α,α-트레할로오스를 첨가한 50μM의 AA-2G 함유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에는, 세포 표면에의 침착 및 배양 상청 중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α,α-트레할로오스의 첨가량에 의존한 AA-2G에 의한 콜라겐 산생의 증강이 인지되었다. 한편, 말토오스를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배양 상청 중의 콜라겐량의 증강은 인지되었지만, 세포 표면에의 침착의 콜라겐 및 세포 표면에의 침착과 상청 중의 콜라겐의 합계량은, 말토오스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 3: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에 끼치는, α,α-트레할로오스,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의 영향〉
α,α-트레할로오스가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을 증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을 아래와 같이 실행하였다.
〈시험액〉
D-MEM 배지에 AA-2G와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시약급),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제조, 순도 98% 이상),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할로덱스」, 무수물 환산으로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를 약 53%, 기타의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합계 약 5% 함유, 고형분 농도 약 75%) 중의 어느 하나의 당질을 AA-2G의 최종 농도가 50μM, 당질의 최종 농도가 15.0mg/ml가 되도록 용해하여, 시험액을 조제하였다. 또한, 대조로서 D-MEM 배지에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 중의 어느 하나의 당질을 최종 농도가 15.0mg/ml가 되도록 용해한 시험액을 조제하였다. 또한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을 첨가한 배지는, 이것에 함유되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로서 15.0mg/ml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NHDF 세포에 있어서의 콜라겐 산생량의 정량 방법〉
NHDF 세포의 배양 및 콜라겐 산생량의 정량 방법에 대해서는 실험 1과 마찬가지로 실행하였다. 또한, 결과도, 실험 1과 마찬가지로, AA-2G 함유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의 NHDF 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을 100으로 하는 상대값을 구하여, 표 3에 나타낸다.
[표 3]
배지에 첨가한 당질의
종류
배지에의 AA-2G
첨가의 유무
콜라겐 산생량
무첨가 - 42
+ 100
α,α-트레할로오스 - 40
+ 227
α-말토실α,α-트레할로오스 - 39
+ 182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
- 45
+ 163
+: 배지에의 첨가 유(有), -: 배지에의 첨가 무(無)
표 3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AA-2G 무첨가의 D-MEM 배지, 및, 이것에 α,α-트레할로오스,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 중의 어느 하나의 당질을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의 NHDF 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은 39 내지 45가 되고, 어느 당질도 단독으로는 AA-2G에 보이는 콜라겐 산생 증강 작용은 인지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50μM의 AA-2G 함유 D-MEM 배지에 α,α-트레할로오스,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 중의 어느 하나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의 NHDF 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은 각각, 227, 182, 163이 되고, 어느 당질을 첨가하였을 경우에도 AA-2G에 의한 콜라겐 산생의 증강이 인지되었다.
〈실험 4: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에 끼치는,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혹은, 이들 당질과 히알루론산 및/또는 콘드로이틴 황산 병용의 영향〉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에 끼치는,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혹은, 이들 당질과 히알루론산 및/또는 콘드로이틴 황산 병용의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아래와 같이 실행하였다.
〈시험액〉
D-MEM 배지에 AA-2G와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시약급),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제조, 순도 98% 이상)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할로덱스」)을 AA-2G의 최종 농도가 50μM, 당질의 최종 농도가 15.0mg/ml가 되도록 용해하였다. 또한, 이들 용액에 히알루론산을 1mg/ml, 콘드로이틴 황산을 1mg/ml, 혹은 히알루론산과 콘드로이틴 황산을 각각 0.5mg/ml가 되도록 용해한 시험 용액을 조제하였다. 또한,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무수물 환산으로,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약 59% 함유)을 첨가한 배지는 이것에 함유되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로서 15.0mg/ml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NHDF 세포에 있어서의 콜라겐 산생량의 정량 방법〉
NHDF 세포의 배양 및 콜라겐 산생량의 정량 방법에 대해서는 실험 1과 마찬가지로 실행하였다. 또한, 결과도, 실험 1과 마찬가지로, AA-2G 함유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의 NHDF 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을 100으로 하는 상대값을 구하여, 표 4에 나타낸다.
[표 4]
배지에 첨가한
당질의 종류
배지에 첨가한 물질 콜라겐
산생량
AA-2G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무첨가

- - - 42
+ - - 100
+ + - 98
+ - + 97
+ + + 101


α,α-트레할로오스

- - - 42
+ - - 203
+ + - 276
+ - + 256
+ + + 344

α-말토실 α,α-
트레할로오스

- - - 39
+ - - 158
+ + - 199
+ - + 188
+ + + 276

α,α-트레할로오스
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
- - - 42
+ - - 154
+ + - 192
+ - + 180
+ + + 256
+: 배지에의 첨가 유(有), -: 배지에의 첨가 무(無)
표 4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AA-2G 무첨가의 D-MEM 배지, 및, 이것에 α,α-트레할로오스,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 중의 어느 하나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의 NHDF 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은 39 내지 42가 되고, 어느 당질도 단독으로는 AA-2G에 보이는 콜라겐 산생 증강 작용은 인지되지 않았다. 또한, 50μM의 AA-2G 함유 D-MEM 배지에 α,α-트레할로오스,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 중의 어느 하나의 당질을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의 NHDF 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은 각각 203, 158, 154가 되고, 어느 당질을 첨가하였을 경우에도, 실험 3과 마찬가지로, AA-2G에 의한 콜라겐 산생의 증강이 인지되었다. 이에 반해 α,α-트레할로오스,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과 히알루론산을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 NHDF 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은 각각, 276, 199, 192가 되고, 상기 3종의 당질의 어느 하나와 콘드로이틴 황산을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에는, 각각 256, 188, 180이 되었다. 또한, 상기 3종의 당질의 어느 하나와 히알루론산 및 콘드로이틴 황산을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의 NHDF 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은 각각 344, 276, 256이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히알루론산 또는 콘드로이틴 황산은 α,α-트레할로오스나 그 당질 유도체에 의한 AA-2G에 의한 콜라겐 산생을, 더욱 증강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히알루론산과 콘드로이틴 황산을 병용하였을 경우의 쪽이, 그 어느 한쪽을 첨가하였을 경우보다도, α,α-트레할로오스나 그 당질 유도체에 의한 AA-2G에 의한 콜라겐 산생량이 많기 때문에, 히알루론산과 콘드로이틴 황산은 상승적으로, α,α-트레할로오스나 그 당질 유도체에 의해 AA-2G에 의한 콜라겐 산생을 증강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 5: 피부에 끼치는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와, 히알루론산 및/또는 콘드로이틴 황산 병용의 영향〉
피부에 끼치는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및,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또는 콘드로이틴 황산의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아래와 같이 실행하였다. 즉, 생체 내에는, 일정량의 L-아스코르브산이 존재하므로, L-아스코르브산에 의한 콜라겐 산생은 항상 실행되고 있다. 그래서, 하기 화장수의 기본 처방에 하기 표 5에 나타내는 조합, 배합량으로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화장품용),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로서 이것을 함유하는 시럽(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톨나레」, 무수물 환산으로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를 약 53%, 기타의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합계 약 5% 함유, 고형분 농도 약 75%)을 첨가하고, 정제수를 적정량 더해서 100 질량부의 화장수를 조제하였다. 또한, 표 5에 나타내는 각 당질의 첨가량은 무수물 환산으로 나타낸다. 또한,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은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가 표 5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화장수의 기본 처방〉
글리세린 5 질량부
1,3-부틸렌 글리콜 6.5 질량부
폴리옥시에틸렌(20E.0.)소르비탄
모노라우릴산 에스테르 1.2 질량부
에틸알코올 8 질량부
락트산 0.05 질량부
락트산 나트륨 0.1 질량부
파라메톡시 신남산-2-에틸헥실 0.1 질량부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화장수의 피부의 주름, 잔주름이나 처짐에 대한 효과의 평가〉
표 5에 나타내는 어느 하나의 배합 처방의 화장수를 피부의 주름, 잔주름이나 처짐으로 고민하는 여성 11인을 피험자로 하여 매일 3회 4개월간 안면에 사용하게 해, 사용 전과 비교한 피부의 상태를 자기 신고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는 피부의 주름, 잔주름이나 처짐에 관한 변화를 피부에 팽팽함이 있고, 주름이나 잔주름의 깊이가 얕아지고, 그 수도 적어지게 된 (현저 유효), 피부에 팽팽함이 있고, 주름이나 잔주름의 깊이가 얕아진 수도 적어지게 된 (유효), 피부의 처짐은 개선되었지만, 주름이나 잔주름의 깊이나 수에는 변화가 없는 (약간 유효), 변화가 없는 (무효)의 4단계로 해서, 각각의 평가를 한 피험자의 인원수를 표 5에 나타낸다.
[표 5]

첨가한
당질의
종류

당질
첨가량
(질량부)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또는
콘드로이틴 황산의 첨가량
(질량부)
효과의 평가
(인원수)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현저
유효
유효 약간
유효
무효

무첨가


0

0 0 0 0 1 10
0.5 0 0 0 2 9
0 0.5 0 0 1 10
0.25 0.25 0 0 3 8



α,α-트레
할로오스


0.05 0 0 0 0 3 8
0.1 0 0 0 2 5 4
1 0 0 2 2 6 1
2 0 0 2 4 4 1
10 0 0 3 3 5 0
20 0 0 3 3 5 0

2
0.5 0 3 4 3 1
0 0.5 3 5 3 0
0.25 0.25 6 3 2 0



α,α-트레
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0.05 0 0 0 0 3 8
0.1 0 0 0 1 6 4
1 0 0 1 3 6 1
2 0 0 2 3 6 0
10 0 0 2 3 6 0
20 0 0 3 2 6 0

2
0.5 0 4 4 2 1
0 0.5 4 3 4 0
0.25 0.25 6 3 2 0
표 5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기본 처방의 화장수에, 2 질량부 내지 20 질량부의 α,α-트레할로오스를 첨가한 화장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모두 11인 중 6인이 유효 이상으로 평가하고, 2 질량부 내지 20 질량부의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첨가한 화장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모두 11인 중 5인이 유효 이상으로 평가하여,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에 피부의 처짐, 주름이나 잔주름에 대한 개선 효과·억제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0.1 질량부의 α,α-트레할로오스 혹은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모두 유효예가 인지되었고, 1 질량부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모두 현저 유효예가 인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α,α-트레할로오스나 그 당질 유도체에는, 피부의 주름이나 잔주름의 개선 효과·억제 효과가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기본 처방의 화장수에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또는 콘드로이틴 황산과 2 질량부의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첨가한 화장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2 질량부의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경우에 비해서, 피부의 처짐, 주름이나 잔주름에 대한 강한 개선 효과가 인지되었다. 이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또는 콘드로이틴 황산에 의한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의 피부에 대한 처짐, 주름이나 잔주름의 개선 효과의 증강은, 히알루론산 나트륨 또는 콘드로이틴 황산을 단독으로 배합하였을 경우보다도, 양자를 병용하였을 경우의 쪽이 강한 것이 확인되었다. 기본 처방의 화장수 혹은, 이것에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또는 콘드로이틴 황산을 표 5에 나타내는 양을 첨가한 화장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이들 화장수를 현저 유효나 유효로 평가한 피험자는 없었다.
〈실험 6: 피부에 끼치는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와,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또는 콘드로이틴 황산에 추가로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adenosine monophosphate) 및/또는 코엔자임 Q10을 병용하였을 경우의 영향〉
피부에 끼치는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와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또는 콘드로이틴 황산에 추가로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이하에, 「AMP」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및/또는 코엔자임 Q10(이하에, 「CoQ10」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을 병용하였을 경우의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아래와 같이 실행하였다. 즉, 실험 5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화장수의 기본 처방에 하기 표 6에 나타내는 조합, 배합량으로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화장품용),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로서 이것을 함유하는 시럽(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톨나레」)에 추가로 AMP, CoQ10을 첨가하고, 이것에 정제수를 적량 첨가해서 100 질량부의 화장수를 조제하였다. 또한, 표 6에 나타내는 각 당질의 첨가량은 무수물 환산으로 나타낸다. 또한,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은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가 표 6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이 배합의 어느 하나의 화장수를 실험 5와 마찬가지로 피부의 주름, 잔주름이나 처짐에 고민하는 여성 11인을 피험자로 하여, 매일 3회 3개월간 안면에 사용하게 해, 실험 5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의 주름, 잔주름이나 처짐에 대한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표 6]
첨가한
당질과
그 첨가량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AMP, 및/또는 CoQ10의 첨가량(질량부)
효과의 평가
(인원수)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AMP CoQ10 현저
유효
유효 약간
유효
무효


α,α-트레
할로오스
(1 질량부)

0 0 0 0 1 2 6 2
0 0 0.2 0 2 2 6 1
0 0 0 0.2 1 3 6 1
0 0 0.1 0.1 2 3 5 1
0.1 0.1 0 0 2 4 4 1
0.1 0.1 0.2 0 3 4 4 0
0.1 0.1 0 0.2 4 3 4 0
0.1 0.1 0.1 0.1 5 5 1 0

α,α-트레
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1 질량부)

0 0 0 0 1 1 6 3
0 0 0.2 0 1 2 6 2
0 0 0 0.2 1 2 5 3
0 0 0.1 0.1 2 2 5 2
0.1 0.1 0 0 2 3 5 1
0.1 0.1 0.2 0 3 3 5 0
0.1 0.1 0 0.2 3 4 4 0
0.1 0.1 0.1 0.1 5 4 2 0
표 6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기본 처방의 화장수에,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와, AMP 및/또는 CoQ10을 첨가한 화장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경우에 비해서, 피부의 처짐, 주름이나 잔주름에 대한 강한 개선 효과가 인지되었다. 이 AMP 및/또는 CoQ10에 의한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에 의한 피부의 처짐, 주름이나 잔주름의 개선 효과의 증강은, AMP 또는 CoQ10을 단독으로 화장수에 배합하였을 경우보다도, 양자를 병용하였을 경우의 쪽이 강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본 처방의 화장수에,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0.1 질량부의 히알루론산, 0.1 질량부의 콘드로이틴 황산을 첨가하고, 이것에 추가로, AMP 및/또는 CoQ10을 첨가한 화장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와 0.1 질량부의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 0.1 질량부의 콘드로이틴 황산을 첨가한 화장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비해서, 피부의 처짐, 주름이나 잔주름에 대한 강한 개선 효과가 인지되었다. 이 AMP 및/또는 CoQ10에 의한 α,α-트레할로오스 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와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 콘드로이틴 황산을 첨가한 화장수에 의한 피부의 처짐, 주름이나 잔주름의 개선 효과의 증강은, AMP 또는 CoQ10을 단독으로 배합하였을 경우보다도, 양자를 병용하였을 경우의 쪽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α,α-트레할로오스 및 그 당질 유도체가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을 증강하는 현저한 작용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α,α-트레할로오스나 그 유도체를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조성물이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의 증강제, 피부의 처짐의 개선제·억제제, 주름이나 잔주름의 개선제·억제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하고 있다. 또한,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또는 콘드로이틴 황산이나, 또한, AMP 및/또는 CoQ10이 α,α-트레할로오스나 그 당질 유도체에 의한 AA-2G에 의한 콜라겐 산생을 더욱 증강하는 작용을 갖는 것은 α,α-트레할로오스나 그 당질 유도체를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AMP 및 CoQ10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배합한 조성물이 α,α-트레할로오스나 그 당질 유도체를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조성물보다도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의 증강제, 피부의 처짐의 개선제·억제제, 주름이나 잔주름의 개선제·억제제로서, 더욱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실시예)
〈콜라겐 산생 증강제〉
이하의 성분을 이하의 배합으로 균일하게 혼합해서, 콜라겐 산생 증강제를 조제하였다.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Treha」) 49 질량부
L-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AA-2G」) 1 질량부
본 품은 콜라겐 산생을 증강하는 작용을 나타내고, 피부에 물기를 부여하여, 피부의 노화 방지에 주효(奏效)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콜라겐 산생 증강제이다. 또한, 본 품은 적당한 산미(酸味)에 의해 양호한 맛을 나타내므로, 콜라겐 산생 증강을 위해서 이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첨부하여, 콜라겐 산생의 증강을 위한 건강 보조 식품으로서, 그대로 경구적으로 섭취하는 것도 자유이고, 또한, 물이나 그 밖의 음료 등에 용해해서 섭취하는 것도 자유이다. 또한, 특별 용도 식품, 보건 기능 식품, 화장품, 의약 부외품, 의약품, 사료, 모이, 애완 동물용 먹이, 잡화 등에 배합해서, 이것들에 콜라겐 증강 작용을 부여하는 것도 자유이다.
본 품을 1g씩 타정(打錠)해서 정과(錠菓)를 조제하였다. 본 품은 콜라겐 산생을 증강하는 취지를 표시해서 판매할 수 있다.
(제2실시예)
〈건강 보조 식품〉
이하의 성분을 이하의 배합으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분말 상태의 콜라겐 산생 증강용 건강 보조 식품을 조제하였다. 본 품을, 상기 실험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D-MEM 배지에서 희석하고, 실험 1에 준하여, 본 품의 콜라겐 산생의 증강 활성을 측정하여, 이 활성이 발휘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L-아스코르브산 5 질량부
녹각(鹿角)영지(靈芝)(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1.5 질량부
쪽(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1.5 질량부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함유 시럽(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할로덱스」) 25 질량부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Treha」) 10 질량부
본 품은 콜라겐 산생 증강을 위해서 이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첨부해서 콜라겐 산생 증강에 사용할 수 있는 건강 보조 식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품은 피부 조직의 정상화와 노화 방지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부드러운 단맛과 적당한 산미에 의해 양호한 맛을 나타내는,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건강 보조 식품으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품은 인간뿐만 아니라, 가축, 애완 동물 등의 동물을 위한 경구 섭취 또는 경관 투여용 조성물로서, 혹은, 물고기, 새우, 게 등의 양식 동물용으로도 직접 혹은 모이에 혼합하는 등으로 해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콜라겐 산생 증강용 건강 보조 식품에, 1 질량%가 되도록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를 첨가하고, 타정기(打錠機)를 이용해서 1정당 약 300mg의 정제로 성형하였다. 본 품은 지속해서 콜라겐 산생 증강 작용을 나타내는, 장기간 안정되고, 휴대에도 편리하며, 또한, 경구 섭취가 용이하고, 현저한 유효를 나타내는 콜라겐 산생 증강용 건강 보조 식품이다. 또한, 본 품은 콜라겐 산생 증강을 위해서 이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첨부해서 콜라겐 산생 증강에 사용할 수 있는 건강 보조 식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3실시예)
〈건강 보조 식품〉
이하의 성분을 이하의 배합으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분말 상태의 콜라겐 산생 증강용의 건강 보조 식품을 조제하였다. 조제 후, 이 콜라겐 산생 증강제가 안정적으로 콜라겐 산생 증강 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Treha」) 5.5 질량부
L-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아스코 프레시」) 1.5 질량부
콘드로이틴 황산 나트륨 1 질량부
키토산 1 질량부
당 전이 루틴(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αG 루틴」 1 질량부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0.1 질량부
코엔자임 Q10 0.05 질량부
본 품은 콜라겐 산생 증강을 위해서 이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첨부해서 콜라겐 산생 증강에 사용할 수 있는 건강 보조 식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품은 피부 조직의 정상화와 노화 방지에 우수한 효과를 갖고, 부드러운 단맛과 적당한 산미에 의해 양호한 정미(呈味)를 나타내는,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건강 보조 식품으로서 바람직하다.
(제4실시예)
〈건강 보조 음료〉
분말 말티톨 500 질량부
제1실시예의 방법으로 조제한 콜라겐 산생 증강제 100 질량부
분말 난황 190 질량부
탈지 분유 200 질량부
염화나트륨 4.4 질량부
염화칼륨 1.85 질량부
황산 마그네슘 4 질량부
콘드로이틴 황산 0.1 질량부
티아민 0.01 질량부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6 질량부
니코틴산 아미드 0.04 질량부
당 전이 헤스페리딘(도요 정당 주식회사 판매,
상품명 「αG 헤스페리딘 PS」) 0.02 질량부
상기 배합 조성으로서 이루어지는 배합물을 조제하였다. 이 배합물 25 질량부를 정제수 150 질량부에 균일하게 분산·용해시켜, 200g씩 갈색 유리병에 봉입하였다.
본 품은 콜라겐 산생 증강을 위해서 이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첨부해서 콜라겐 산생 증강에 사용할 수 있는 건강 보조 음료이다. 또한, 본 품은 콜라겐 산생 증강 작용을 지속시키는 것에 더해서, 영양원이 보충되어 있으며, 게다가, 이러한 성분에서 유래하는 이미(異味)나 이취(異臭)가 저감된 맛있는 음료로, 미용이나 건강 등의 목적으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품은 인간뿐만 아니라, 가축, 애완 동물 등의 동물을 위한 경구 섭취 또는 경관 투여용 조성물로서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품은 당 전이 헤스페리딘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혈중 지방질이나 혈중 콜레스테롤 등의 혈중 지방질의 저감을 위해서 이용되는 취지를 표방하는 것도 수의(隨意)이다.
(제5실시예)
〈건강 보조 식품〉
분말 말티톨 25 질량부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Treha」) 67 질량부
활택제(滑澤劑) 3 질량부
글루코사민 2.5 질량부
콘드로이틴 황산 나트륨 1.5 질량부
히알루론산 1 질량부
상기 배합 처방에 근거하여, 이들 성분을 균질하게 될 때까지 교반(攪拌) 혼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0.5g씩 타정하여, 정제를 조제하였다.
본 품은 콜라겐 산생 증강을 위해서 이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첨부해서 콜라겐 산생 증강에 사용할 수 있는 건강 보조 식품이다. 또한, 본 품은 콜라겐 산생 증강 작용을 지속시키는 것에 더해서,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황산, 히알루론산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특히, 뼈 조직의 강화 작용, 관절의 강화 작용이 우수하다. 본 품은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황산, 히알루론산 유래의 이미나 이취도 억제된 맛있는 건강 식품으로, 미용이나 건강 등의 목적으로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품은 인간뿐만 아니라, 가축, 애완 동물 등의 동물을 위한 경구 섭취 또는 경관 투여용 조성물로서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6실시예)
〈건강 보조 식품〉
정제 말토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산말토 S」) 25 질량부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Treha」) 54.2 질량부
활택제 5 질량부
굴 껍질 칼슘 2 질량부
히알루론산 0.2 질량부
L-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아스코 프레시」) 10 질량부
당 전이 루틴(도요 정당 주식회사 판매,
상품명 「αG 루틴 P」) 0.5 질량부
산미료(유기산류) 적량
레몬 및 라임의 향미 적량
전체 양을 100 질량부로 하여, 이들 성분을 균질하게 될 때까지 교반 혼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0.5g씩 타정해서, 정제를 조제하였다.
본 품은 콜라겐 산생 증강을 위해서 이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첨부해서 콜라겐 산생 증강에 사용할 수 있는 건강 보조 식품이다. 또한, 본 품은 콜라겐 산생 증강 작용을 지속시키는 것에 더해서, 히알루론산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특히, 피부의 처짐의 개선 작용, 뼈 조직의 강화 작용, 관절의 강화 작용이나 관절통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본 품은 맛있는 건강 식품으로, 미용이나 건강 등의 목적으로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품은 인간뿐만 아니라, 가축, 애완 동물 등의 동물을 위한 경구 섭취 또는 경관 투여용 조성물로서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7실시예)
〈아이스크림〉
생 크림(유지 함량 약 46 질량%) 18 질량부
탈지 분유 7 질량부
전유(全乳) 51 질량부
설탕 13 질량부
풀룰란 2 질량부
구아검 1 질량부
상기 배합 조성의 혼합물을 용해하여, 70℃에서 30분간 유지해서 살균한 후,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로 유화 분산시키고, 이어서, 3℃ 내지 4℃까지 급랭하고, 이것에 추가로,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할로덱스」) 5 질량부를 더해서 혼합하고, 하룻밤 숙성시킨 후, 프리저(freezer)에서 동결시켜서 아이스크림을 얻었다.
본 품은 콜라겐 산생 증강을 위해서 이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첨부해서 콜라겐 산생 증강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품은 피부에 습기를 부여하여, 피부의 노화 방지에 주효한 아이스크림이다.
(제8실시예)
〈프루트 젤리〉
설탕 14 질량부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Treha」) 4 질량부
젤라틴 2.5 질량부
그레이프 프루트 주스 34 질량부
물 45.5 질량부
상기 배합 조성에 근거하여, 설탕, α,α-트레할로오스, 젤라틴, 물을 더해서, 95℃로 가열해 용해한 후, 그레이프 프루트 주스를 더해서 혼합하고, 또한, 80℃에서 30분 살균을 실행한 후, 냉각하여, 프루트 젤리를 조제하였다.
본 품은 콜라겐 산생 증강을 위해서 이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첨부해서 콜라겐 산생 증강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품은 적당한 단맛과 매끈매끈한 질감을 나타내는,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미용과 건강의 유지·증진에 주효하는 프루트 젤리이다.
(제9실시예)
〈차 음료〉
액체 음료용으로 혼합한 녹차 50g을, 65℃의 이온 교환수 1500g에서 5분간 추출하고, 계속해서 여과지로 여과함으로써 차 잎을 제거해서, 1320g의 녹차 추출액(pH 6.0)을 얻었다. 이 녹차 추출액을 희석해서 음용(飮用) 농도가 되도록 이온 교환수로 약 5배로 희석하고, L-아스코르브산 300ppm이 되도록 첨가한 후, 탄산 수소 나트륨으로 pH 6.0로 조정하여, 조합액을 얻었다. 이 조합액에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상사 판매, 상품명 「Treha」)를 0.75%, 당 전이 헤스페리딘(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제조, 당 전이 헤스페리딘 순도 95% 이상)을 1%가 되도록 각각 첨가하였다. 이러한 조합액을 내열성 투명 유리 용기에 300g씩 충전·밀봉하고, 레토르트 살균 처리(121℃, 7분간)를 실행해서 녹차 음료로 하였다.
본 품은 콜라겐 산생 증강을 위해서 이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첨부해서 콜라겐 산생 증강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품은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미용과 건강의 유지·증진에 주효하는 차 음료이다. 또한, 본 품은 당 전이 헤스페리딘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혈중 중성 지방이나 혈중 콜레스테롤 등의 혈중 지방질의 저감을 위해서 이용되는 취지를 표방하는 것도 수의이다.
(제10실시예)
〈피부 외용 크림〉
하기에 설명하는 배합물 A에, 배합물 B를 통상적인 방법을 따라 첨가·혼합하고, 30℃ 이하까지 냉각한 후에, 수산화칼륨으로, pH를 약산성으로 조제하고, 호모게나이저에 의해 유화해서, 피부 외용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물 A〉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2 질량부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5 질량부
베헤닌산 에이코세닐(behenic acid eicosenyl) 1 질량부
유동 파라핀 1.9 질량부
트리옥탄산 트리메티롤프로판 10 질량부
〈배합물 B〉
1,3-부틸렌 글리콜 4 질량부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시약급) 3 질량부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당질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톨나레」) 1 질량부
락트산 나트륨액 10 질량부
L-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AA-2G」) 2 질량부
아마모 엑기스 0.5 질량부
대두 엑기스 0.5 질량부
알로에베라 엑기스 0.5 질량부
파라옥시벤조산 메틸 0.1 질량부
콘드로이틴 황산 나트륨 0.1 질량부
감초 엑기스 0.5 질량부
정제수 62.4 질량부
또한, 본 크림은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수산화칼륨을 더해서 약알칼리성의 크림으로 해도 좋다.
본 품은 피부의 콜라겐 산생을 증강, 지속시키므로, 피부의 처짐이 개선되어, 잔주름·주름에도 유효해서, 노화의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품은 우수한 보습성을 나타내므로, 기초 화장품으로서 유용하다.
(제11실시예)
〈로션〉
이하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에 근거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로션을 조제하였다.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당질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톨나레」) 10 질량부
L-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AA-2G」) 2 질량부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0.05 질량부
에탄올 10 질량부
1,3-부틸렌 글리콜 5 질량부
당 전이 헤스페리딘(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알파글루코실헤스페리딘」) 1 질량부
쪽풀 물 추출 엑기스 1 질량부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0.5 질량부
코엔자임 Q10 0.5 질량부
히알루론산 나트륨 0.1 질량부
감광소 201호 0.005 질량부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 피마자유 1 질량부
정제수를 적량 더해서, 전체 양을 100 질량부로 한다.
본 로션은 피부의 콜라겐 산생을 증강, 지속시키므로, 피부의 싱싱함을 유지하고, 처짐이 개선되고, 잔주름·주름에도 유효해서, 노화의 방지 효과에 우수하고, 또한, 쪽풀 물 추출 엑기스 및 글리시리진산 디칼륨이 우수한 항염증 작용이나 미백 작용을 나타내므로, 기초 화장품, 미백 화장품으로서 유용하다.
(제12실시예)
〈로션〉
하기에 설명하는 배합물 A를 정제수에 용해해서 수용액을 조제한다. 배합물 B를 칭량(稱量)해서, 가열 용해하고, 이것에 배합물 C를 더해서 겔을 생성시킨 것을, 배합물 A의 수용액에 더해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로션을 조제하였다.
〈배합물 A〉
1,3-부틸렌 글리콜 5 질량부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당질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톨나레」) 3 질량부
스클레로티움검액(1% β-글루칸 함유액) 3 질량부
시트르산 0.01 질량부
시트르산 나트륨 0.04 질량부
파라옥시벤조산 프로필 0.2 질량부
정제수 85.65 질량부
〈배합물 B〉
히드록시스테아린산 피토스테릴 0.04 질량부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0.24 질량부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0.12 질량부
스콸렌 0.18 질량부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69 질량부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0.46 질량부
파라옥시벤조산 프로필 0.1 질량부
글리세린 1.13 질량부
〈배합물 C〉
정제수 0.14 질량부
본 품은 소량의 기름 성분을 안정적으로 배합한 마이크로 에멀션으로, 피부의 콜라겐 산생을 증강, 지속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부의 싱싱함을 유지하고, 처짐이 개선되고, 잔주름·주름에도 유효해서, 노화의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품은 수용성 다당류인 스클레로글루칸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의 사용감이 더욱 향상되어, 지속성이 있는 촉촉한 감을 얻을 수 있고, 보습성도 우수하다.
(제13실시예)
〈에센스〉
하기에 설명하는 배합물 A를 칭량하여, 가온(加溫)해 용해시킨다. 이것에 배합물 B를 칭량해서 가온해 용해한 것을 더하여, 유화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해서 실온까지 교반 냉각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에센스를 조제하였다.
〈배합물 A〉
대두 리졸린 지방질액(25%) 1 질량부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당질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톨나레」) 4 질량부
1,3-부틸렌 글리콜 5 질량부
스클레로글루칸액(1%) 10 질량부
퀸즈시드 엑기스(2%) 10 질량부
파라옥시벤조산 메틸 0.2 질량부
정제수 54.9 질량부
〈배합물 B〉
모노스테아린산 소비탄 0.5 질량부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 질량부
세타놀 1 질량부
히드록시스테아린산 피토스테릴 0.3 질량부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2-옥틸도데실) 0.5 질량부
스콸렌 6 질량부
팔미트산 옥틸 2 질량부
트리2-에틸 헥산산 글리세릴 2 질량부
파라옥시벤조산 프로필 0.1 질량부
메틸 폴리실록산 0.5 질량부
본 품은 피부의 콜라겐 산생을 증강, 지속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부의 싱싱함을 유지하고, 처짐이 개선되고, 잔주름·주름에도 유효해서, 노화의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품은 스클레로글루칸이나 퀸즈시드 엑기스 등의 수용성 다당류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의 사용감이 더욱 향상되어, 지속성이 있는 촉촉한 감을 얻을 수 있어, 보습성도 우수하다.
(제14실시예)
〈D상(相) 조제물〉
하기에 설명하는 배합물 A를 가열 용해하고, 이것에 배합물 B를 가열 용해한 것을 균질해지도록 교반 용해하고, 또한, 정제수를 천천히 더하면서 교반·혼합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D상 조제물을 조제하였다.
〈배합물 A〉
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10 1.75 질량부
미리스트산 폴리글리세릴-10 5.2 질량부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당질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톨나레」) 16.4 질량부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화장품용) 1 질량부
글리세린 8.7 질량부
메틸파라벤 0.13 질량부
〈배합물 B〉
트리옥타노인 52.22 질량부
토코페롤 0.05 질량부
프로필파라벤 0.05 질량부
정제수를 더해서 전체 양을 100 질량부로 한다.
본 품은 피부의 콜라겐 산생을 증강, 지속시키므로, 피부의 싱싱함을 유지하고, 처짐이 개선되고, 잔주름·주름에도 유효하므로, 기초 화장품에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품은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표면 장력이 저하하여, 종래의 다가(多價) 알코올을 사용한 D상 조제물에 비하여, 미세하고, 또한, 그 상태가 안정된 유화액 방울 상태로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클렌징 젤, 화장수, 크림, 입욕제 등에 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제15실시예)
〈팩제(젤리 상태 필링 타입)〉
하기에 설명하는 배합 처방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팩제를 조제하였다.
폴리비닐 알코올 7 질량부
풀룰란 7 질량부
1,3-부틸렌 글리콜 3 질량부
글리세롤 15 질량부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당질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톨나레」) 12 질량부
에탄올 8 질량부
L-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AA-2G」) 1 질량부
POE 올레일알코올 에테르 0.5 질량부
해양 심층수 0.5 질량부
향료 적량
완충제 적량
정제수 15 질량부
본 품은 피부의 콜라겐 산생을 증강, 지속시키므로, 피부의 싱싱함을 유지하고, 처짐이 개선되고, 잔주름·주름에도 유효해서, 노화의 방지 효과,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품은 사용감이 우수하고, 게다가, 반건조 후, 혹은, 건조 후의 피부로부터의 닦아내기나 박리가 용이해서, 피부 표면이나 모공의 청정 효과도 우수하다.
(제16실시예)
〈치약〉
이하에 나타내는 구성 처방에 근거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치약을 조제하였다. 본 품은 α,α-트레할로오스 및 그 당질 유도체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잇몸 세포의 콜라겐 산생을 증강할 수 있기 때문에, 노화나 잇몸 염증 등에 의한 잇몸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고, 게다가, 거품이 잘 일고, 산뜻한 세정 후 느낌과, 치아의 때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치약이다. 또한, 본 품은 α,α-트레할로오스 및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가 충치균(스트렙토코카스 뮤탄스)의 글루카노트란스 페라아제에 의한 수크로오스로부터의 부착성 불용성 글루칸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때문에, 항우식성도 우수하다.
β-글리시레틴산 0.4 질량부
염화세틸피리듐 0.2 질량부
아세트산 토코페롤 0.1 질량부
함수결정 α,α-트레할로오스(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화장품용) 6 질량부
진한 글리세린 10 질량부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당질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상품명 「톨나레」) 9 질량부
정제수 23.5 질량부
에탄올 3 질량부
프로폴리스 엑기스 1 질량부
쪽풀 물 추출 엑기스 1 질량부
L-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판매, 시약급) 2 질량부
히알루론산 나트륨 0.1 질량부
카라기난 0.3 질량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0.3 질량부
제2인산 칼슘 20 질량부
하이드로옥시아파타이트 3.5 질량부
탄산 칼슘 1 질량부
산화 티탄 0.4 질량부
무수 규산 0.1 질량부
라우릴 황산 나트륨 1 질량부
라우로일사르코신 나트륨 0.5 질량부
(제17실시예)
〈복막 투석액〉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 함유 시럽(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제조, 순도 98.5%, 고형분 함량 75%) 6g, L-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 생물 화학 연구소 제조, 순도 99.5%) 2.1g, 염화나트륨 0.567g, 락트산 나트륨 3.92g, 염화칼슘 0.294g, 염화마그네슘 0.103g을 증류수에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 0.294g을 이용해서 pH를 약 7.5로 조정한 후, 증류수로 전체 양을 1000ml로 하였다. 상기의 용액을 0.2μm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폴리염화비닐 수지(PVC)제 백(bag)에 충전하고, 121℃에서 20분간, 고압 증기 멸균을 실행하였다. 또한, 본 품의 조제에는, 미생물 및 파이로젠을 미리 제거한 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품은 상기 락트산 나트륨과 교환해서, 다른 완충제(중탄산 나트륨 등)를 사용해도 좋다.
본 품은 복강(腹腔) 내의 장기나 복강 벽의 콜라겐 산생을 증강하고, 복강 내의 조직이나 장기를 강화할 수 있는 복막 투석액이다. 또한, 본 품은 보존 안정성도 좋고,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여, 혈액 투석용의 투석액, 상처 자리나 장기의 세정액, 복강 내나 흉강 내의 관류액(灌流液), 조직이나 장기의 보존액 등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α,α-트레할로오스 및/또는 α,α-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를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콜라겐 산생 증강제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대하여, 현저한 L-아스코르브산류에 의한 콜라겐 산생을 효과적으로 증강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완전히 독자적인 지견에 근거하는 것이다. 또한, 이 콜라겐 산생 증강제는 중한 부작용의 걱정이 없고, 인간을 포함한 동물류가 간편하고, 또한 쾌적하게 피부의 노화 방지, 미용과 건강의 유지·증진을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콜라겐 산생 증강제는 다른 성분과 배합함으로써, 식품, 음료, 특별 용도 식품, 보건 기능 식품, 화장품, 의약 부외품, 의약품, 사료, 모이, 애완 동물용 먹이, 잡화 등의 각종 조성물로서 이용하는 것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도 현저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발명이며, 본 업계에 다대(多大)한 공헌을 하는, 참으로 의의가 있는 발명이다.

Claims (8)

  1. (a) α,α-트레할로오스, α-글루코실 α,α-트레할로오스, α-말토실 α,α-트레할로오스, α-말토트리오실 α,α-트레할로오스, 및 α-말토테트라오실 α,α-트레할로오스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b)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 콘드로이틴 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또한 무수물 환산으로 (a) 성분을 2 내지 20 질량% 함유함과 더불어, (b) 성분 1 질량부에 대하여 (a) 성분을 4 내지 60 질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브산에 의한 콜라겐 산생을 증강하기 위한 피부 외용제.
  2. 제1항에 있어서, 피부의 처짐, 주름이나 잔주름의 발생 억제 또는 개선제로서의 피부 외용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87001705A 2005-08-11 2008-01-22 콜라겐 산생 증강제와 그 용도 Active KR101342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32679 2005-08-11
JPJP-P-2005-00232679 2005-08-11
PCT/JP2006/315410 WO2007018124A1 (ja) 2005-08-11 2006-08-03 コラーゲン産生増強剤とその用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890A KR20080034890A (ko) 2008-04-22
KR101342192B1 true KR101342192B1 (ko) 2013-12-16

Family

ID=3772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705A Active KR101342192B1 (ko) 2005-08-11 2008-01-22 콜라겐 산생 증강제와 그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10671A1 (ko)
EP (1) EP1932530A4 (ko)
JP (1) JP5106109B2 (ko)
KR (1) KR101342192B1 (ko)
CN (2) CN102266274B (ko)
WO (1) WO2007018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1734B1 (fr) 2003-04-10 2006-04-14 Corneal Ind Reticulation de polysaccharides de faible et forte masse moleculaire; preparation d'hydrogels monophasiques injectables; polysaccharides et hydrogels obtenus
JP2010528046A (ja) * 2007-05-23 2010-08-19 アラーガ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架橋コラーゲンおよびその使用
US8318695B2 (en) * 2007-07-30 2012-11-27 Allergan, Inc. Tunably crosslinked polysaccharide compositions
US8697044B2 (en) 2007-10-09 2014-04-15 Allergan, Inc. Crossed-linked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and uses thereof
EP2818184B1 (en) 2007-11-16 2018-10-31 Allerga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urpura
US8394782B2 (en) * 2007-11-30 2013-03-12 Allergan, Inc. Polysaccharide gel formulation having increased longevity
US8394784B2 (en) * 2007-11-30 2013-03-12 Allergan, Inc. Polysaccharide gel formulation having multi-stage bioactive agent delivery
US20090143348A1 (en) * 2007-11-30 2009-06-04 Ahmet Tezel Polysaccharide ge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stained delivery of drugs
JP5551582B2 (ja) * 2008-03-17 2014-07-16 株式会社林原 皮膚外用剤
US8357795B2 (en) 2008-08-04 2013-01-22 Allergan, Inc. Hyaluronic acid-based gels including lidocaine
CA2735173C (en) 2008-09-02 2017-01-10 Tautona Group Lp Threads of hyaluronic acid and/or derivatives thereof, methods of making thereof and uses thereof
AU2010293447B2 (en) * 2009-09-14 2013-07-04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Hokkaido University Anti-plant-virus agent
US9114188B2 (en) 2010-01-13 2015-08-25 Allergan, Industrie, S.A.S. Stable hydrogel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ves
US20110171286A1 (en) * 2010-01-13 2011-07-14 Allergan, Inc. Hyaluronic acid compositions for dermatological use
US20110172180A1 (en) 2010-01-13 2011-07-14 Allergan Industrie. Sas Heat stable hyaluronic acid compositions for dermatological use
KR101764451B1 (ko) * 2010-03-12 2017-08-02 알러간 인더스트리 에스에이에스 피부 상태 개선을 위한 히알루론안 폴리머 및 만니톨을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
WO2011119468A1 (en) 2010-03-22 2011-09-29 Allergan, Inc. Polysaccharide and protein-polysaccharide cross-linked hydrogels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US8889123B2 (en) 2010-08-19 2014-11-18 Allergan, Inc. Compositions and soft tissue replacement methods
US9005605B2 (en) 2010-08-19 2015-04-14 Allergan, Inc. Compositions and soft tissue replacement methods
US8883139B2 (en) 2010-08-19 2014-11-11 Allergan Inc. Compositions and soft tissue replacement methods
US8697057B2 (en) 2010-08-19 2014-04-15 Allergan, Inc. Compositions and soft tissue replacement methods
KR101781556B1 (ko) * 2010-11-30 2017-09-27 (주)아모레퍼시픽 홍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7615B1 (ko) * 2011-02-01 2019-04-10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피부 외용제
US20130096081A1 (en) 2011-06-03 2013-04-18 Allergan, Inc. Dermal filler compositions
US9393263B2 (en) 2011-06-03 2016-07-19 Allergan, Inc. Dermal filler compositions including antioxidants
CA2838237C (en) * 2011-06-03 2020-05-26 Allergan, Inc. Dermal filler compositions including antioxidants
US9408797B2 (en) 2011-06-03 2016-08-09 Allergan, Inc. Dermal filler compositions for fine line treatment
US20130244943A1 (en) 2011-09-06 2013-09-19 Allergan, Inc. Hyaluronic acid-collagen matrices for dermal filling and volumizing applications
US9662422B2 (en) 2011-09-06 2017-05-30 Allergan, Inc. Crosslinked hyaluronic acid-collagen gels for improving tissue graft viability and soft tissue augmentation
US20140315828A1 (en) 2013-04-22 2014-10-23 Allergan, Inc. Cross-linked silk-hyaluronic acid compositions
US9084720B2 (en) 2013-05-07 2015-07-21 BioBlast Pharma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culopharyngeal muscular dystrophy
CA2911399A1 (en) 2013-05-07 2014-11-13 Bio Blast Pharma Ltd. Treatment of protein aggregation myopathic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by parenteral administration of trehalose
JP6341683B2 (ja) * 2014-02-18 2018-06-13 株式会社ノエビア 水性クレンジング料
US11547652B2 (en) 2014-06-30 2023-01-10 Nutricos Technologies Combination products and cosmetic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skin disorders and skin aging that affect keratinocytes and/or fibroblasts and the dermis
FR3022779B1 (fr) * 2014-06-30 2018-03-30 Nutricos Technologies Produits de combinaison et compositions cosmetiques pour lutter contre les desordres de la peau et son vieillissement affectant les keratinocytes
US10722444B2 (en) 2014-09-30 2020-07-28 Allergan Industrie, Sas Stable hydrogel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ves
DE102014223570A1 (de) * 2014-11-19 2016-05-19 Beiersdorf Ag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Ascorbinsäure, Ubidecarenon und Phosphationen zur verbesserten Hautkonturierung bzw. gegen Cellulite
WO2016128783A1 (en) 2015-02-09 2016-08-18 Allergan Industrie Sa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appearance
JP7274817B2 (ja) 2015-02-13 2023-05-17 アラーガン・アンデュストリー・ソシエテ・パール・アクシオン・サンプリフィエ 顎先等の顔面の容貌を造形し、拡張し、または補正するためのインプラント
US20180352843A1 (en) * 2015-12-13 2018-12-13 Kris VERBURGH Methods and compositions to slow down aging in cells and organisms
KR20180124121A (ko) * 2016-03-30 2018-11-20 시므라이즈 아게 활성 혼합물
US10300169B2 (en) 2016-08-24 2019-05-28 Allergan, Inc. Co-crosslinked hyaluronic acid-silk fibroin hydrogels for improving tissue graft viability and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CN110538091A (zh) 2018-05-29 2019-12-06 玫琳凯有限公司 局部用组合物和方法
CN109010130A (zh) * 2018-09-12 2018-12-18 华南理工大学 一种聚氧化乙烯护肤用面膜载体基材及其制备方法
CN113784760B (zh) * 2019-05-07 2024-05-28 株式会社林原 凝胶状皮肤外用组合物
JP7623289B2 (ja) * 2019-10-30 2025-01-28 東洋精糖株式会社 セルライト改善用皮膚外用剤、およびセルライト改善方法
JP7696719B2 (ja) * 2020-12-21 2025-06-23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KR102629510B1 (ko) * 2022-04-05 2024-01-25 (주)뉴트리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콜라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290A (ja) 2001-09-27 2003-06-17 Hayashibara Biochem Lab Inc コラーゲン産生増強剤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5320B2 (ja) * 1989-08-07 1999-03-08 株式会社資生堂 固型化粧料組成物
EP0691344B1 (en) 1992-12-28 2003-03-19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Purification of trehalose
JPH06279294A (ja) * 1993-03-24 1994-10-04 Lion Corp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
JP3559585B2 (ja) 1993-06-03 2004-09-02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トレハロース遊離酵素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3495217B2 (ja) 1997-01-17 2004-02-09 株式会社資生堂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3958884B2 (ja) 1998-09-11 2007-08-15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非還元性糖質生成酵素及びトレハロース遊離酵素ならびに該酵素を用いる糖質の製造方法
CA2347979C (en) * 1998-10-26 2009-01-06 University Of Massachusetts Treatment of skin with adenosine or adenosine analog
JP2000159656A (ja) * 1998-12-01 2000-06-13 Taiyo Kagaku Co Ltd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
JP4249853B2 (ja) * 1999-08-09 2009-04-08 焼津水産化学工業株式会社 経口用皮膚潤い改善剤
US20030059479A1 (en) 2000-02-15 2003-03-27 Toshio Miyake Cell activator
JP2001302435A (ja) * 2000-04-28 2001-10-31 Hayashibara Biochem Lab Inc 皮膚外用剤
TWI312369B (en) 2000-08-01 2009-07-21 Hayashibara Biochem Lab A-isomaltosylglucosaccharide synthase,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JP2003206224A (ja) * 2002-01-08 2003-07-22 Otsuka Pharmaceut Co Ltd 外用組成物
JP2004107243A (ja) * 2002-09-17 2004-04-08 Fancl Corp シワ及び/又はたるみ改善用キット
JP4403694B2 (ja) 2002-11-27 2010-01-27 凸版印刷株式会社 潜像を有する画像形成体およびその顕像化方法
WO2004056216A1 (ja) 2002-12-19 2004-07-08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組成物における水分の変動を抑制する方法とその用途
JP4349809B2 (ja) * 2003-01-17 2009-10-21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コラーゲン生成促進剤
US20040146539A1 (en) * 2003-01-24 2004-07-29 Gupta Shyam K. Topical Nutraceutical Compositions with Selective Body Slimming and Tone Firming Antiaging Benefits
EP3143983A1 (en) * 2003-02-13 2017-03-22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External dermatological formulation comprising saccharide derivative of alpha, alpha-trehalose
KR101110983B1 (ko) * 2003-07-18 2012-03-13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미네랄 흡수 촉진제 및 그 용도
JP4568035B2 (ja) 2003-08-28 2010-10-27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環状マルトシルマルトース及び環状マルトシルマルトース生成酵素と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US20070129430A1 (en) * 2003-10-07 2007-06-07 Satomi Miyata Agent for enhancing the production of collagen, their preparation and 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290A (ja) 2001-09-27 2003-06-17 Hayashibara Biochem Lab Inc コラーゲン産生増強剤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8124A1 (ja) 2007-02-15
EP1932530A4 (en) 2009-04-29
CN102266274B (zh) 2016-05-18
US20090110671A1 (en) 2009-04-30
KR20080034890A (ko) 2008-04-22
JP5106109B2 (ja) 2012-12-26
EP1932530A1 (en) 2008-06-18
CN102266274A (zh) 2011-12-07
JPWO2007018124A1 (ja) 2009-02-19
CN101232891A (zh)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192B1 (ko) 콜라겐 산생 증강제와 그 용도
JP5654731B2 (ja) 藍草抽出物粉末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藍草抽出物粉末の用途
JP5001847B2 (ja) セロオリゴ糖含有組成物
JP5479891B2 (ja) 新規ローヤルゼリー分画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4754066B2 (ja) 抗関節障害剤
JP4456796B2 (ja) コラーゲン産生増強剤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JP5050350B2 (ja) コラーゲン産生増強剤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4982718B2 (ja) 美肌用の経口摂取用組成物
JP2001048789A (ja) 美肌促進剤及び美容健康食品
JP2006316053A (ja) 細胞障害抑制剤とその用途
JP2010053122A (ja) 脂質合成阻害剤
JP6096943B2 (ja) 飲食品組成物
US20140005139A1 (en) Cellooligosaccharide-containing composition
TWI301836B (en) Crystalline α-d-glucosyl α-d-galactoside, saccharid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JP2010037221A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増強剤
JPH0358790A (ja) α―グリコシルルチンの製造法とその用途
JP2013203731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7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