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1363B1 - 도넛제조기 - Google Patents

도넛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363B1
KR101341363B1 KR1020120040220A KR20120040220A KR101341363B1 KR 101341363 B1 KR101341363 B1 KR 101341363B1 KR 1020120040220 A KR1020120040220 A KR 1020120040220A KR 20120040220 A KR20120040220 A KR 20120040220A KR 101341363 B1 KR101341363 B1 KR 10134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hopper
opening
closing plate
r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494A (ko
Inventor
변해원
양정연
Original Assignee
양정연
변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정연, 변해원 filed Critical 양정연
Priority to KR1020120040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363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36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6Extruding machines for making toroid-shaped products, e.g.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02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the shape being toroid-like, e.g. bagels,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6Apparatus for filling pieces of dough such as doughnuts
    • A21C9/061Making continuous filled tubular products, e.g. with subsequent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한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부피가 작고 구조가 단순하여 일반 가정 등에서 누구나가 간편하게 도넛을 제조할 수 있도록 마련된 도넛제조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도넛제조기{DOUGHNUT MAKING MACHINE}
본 발명은 도넛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 등에서도 누구나가 간편하게 도넛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간소화되고 이용편리성이 향상된 도넛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넛은 밀가루에 베이킹파우더, 설탕, 달걀 따위를 섞고 이겨서 고리 모양으로 만들고 이것을 기름에 튀겨 만든 먹거리를 가리킨다.
이러한 도넛은 아직까지 대부분 음식물 제조업체에서 주로 제작하여 유통되고 있는 실정인데, 도넛의 대량 생산을 위해 도넛 제조업체에서는 도넛제조기를 이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도넛 제조업체에서 이용되고 있는 도넛제조기는 반죽물을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 호퍼와, 호퍼의 고정설치를 위한 고정구조물을 구비한다. 호퍼에는 반죽물을 고리모양으로 형성하여 일정량씩 호퍼의 출구 외부로 밀어내는 배출수단이 마련되고, 고정구조물에는 배출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해 모터와 캠 등을 구비하는 구동유닛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호퍼가 고정구조물을 통해 고정되고 구동유닛이 전원공급을 필요로 하도록 마련된 종래 도넛제조기의 경우 도넛을 전문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제조업체에서 사용하기에는 편리하겠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보수가 어렵고 부피가 커서 큰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일반 가정 등에서 개인적으로 도넛을 만들어 이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가정 등에서도 누구나가 간편하게 도넛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간소화되고 이용편리성이 향상된 도넛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넛제조기는 반죽물을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 호퍼와, 상기 호퍼 상부의 입구 양측을 연결하도록 마련된 손잡이와, 상기 호퍼 하부의 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개폐판과, 하단은 상기 개폐판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손잡이를 승강 가능하게 관통하여 하강동작시에는 상기 개폐판을 상기 출구 저부로 이동시켜 상기 출구를 개방시키고 상승동작시에는 상기 개폐판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출구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로드와, 상기 손잡이 상부로 연장된 상기 로드 상부 끝단에 마련된 누름부재와, 상기 로드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로드의 승강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딩홀을 구비하는 승강안내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승강안내부재와 상기 누름부재 사이의 로드 둘레에 마련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판의 외곽 둘레 쪽 상면에는 하향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퍼는 상기 출구가 형성된 하단부가 제1소재를 통해 마련되고, 상기 출구 주변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제2소재를 통해 마련되되, 상기 제1소재는 상기 제2소재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퍼는 상기 제1소재를 통해 마련된 하단부의 출구부재와, 상기 출구부재가 하단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상부의 몸통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부재의 두께는 상기 몸통의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넛제조기는 한 손으로 들고 조작할 수 있도록 부피가 작고 구조가 단순하여 일반 가정 등에서 누구나가 간편하게 도넛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도넛제조기는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한 누름동작만으로 도넛을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간편하여 개인적으로 사용하기에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제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제조기의 단면도로, 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제조기의 단면도로, 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제조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제조기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5에서 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보다 개폐판의 위치가 더욱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넛제조기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넛제조기(1)는 반죽물(2)을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 호퍼(10)와, 호퍼(10) 상부의 입구(10a) 양측을 연결하도록 마련된 손잡이(20)를 구비하여 외형을 이룬다. 반죽물(2)은 밀가루에 베이킹파우더, 설탕, 달걀 따위를 섞고 이겨서 만들어진 것으로 유동성을 갖게 된다.
호퍼(10)는 입구(10a)가 형성된 상부 쪽 직경이 크고 하부 쪽 직경은 하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단의 입구(10a) 직경에 비해 하단의 출구(10b) 직경이 큰 폭으로 좁아진 형태를 이룬다.
손잡이(20)는 중앙부(21)가 호퍼(10) 입구(10a) 상부에 위치되고, 중앙부(21) 양쪽의 양단부(22)가 하부로 절곡 연장되어 호퍼(10) 상부 양 측면에 연결됨으로써 호퍼(10)와 한 몸을 이루게 된다. 손잡이(20) 양쪽의 양단부(22)는 체결부재(100)를 통해 호퍼(10)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호퍼(10)의 출구(10b) 쪽에는 출구(10b)를 개폐하도록 개폐판(30)이 마련되며, 개폐판(30)과 손잡이(20) 사이에는 개폐판(30)과 협력하여 호퍼(10)에 수용된 반죽물(2)이 일정량씩 호퍼(10) 하부로 배출되면서 고리모양을 이루도록 하는 로드(40)가 연결된다.
로드(40)는 하단이 개폐판(30)에 연결되고 상단이 손잡이(20)의 중앙부(21)를 승강 가능하게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로드(40)의 하강동작시 개폐판(30)은 출구(10b) 저부로 이동되어 출구(10b)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고, 로드(40)의 상승동작시 개폐판(30)은 상부로 이동되어 출구(10b)를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로드(40)의 하강동작을 위해 로드(10)를 하부 쪽으로 누르기 용이하도록 손잡이(20) 상부로 연장된 로드(40) 상부 끝단에는 누름부재(50)가 결합되고, 로드(40)에는 로드(40)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70)가 설치되어 개폐판(30)에 의한 출구(10b)의 폐쇄동작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손잡이(20)에는 손잡이(20)를 관통하게 되는 로드(40)의 승강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슬라이딩홀(61)을 구비하는 승강안내부재(60)가 결합되는데, 상기 탄성부재(70)는 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이러한 승강안내부재(60)와 누름부재(50) 사이의 로드(40) 둘레에 설치된다. 따라서 탄성부재(70)는 누름부재(50)가 눌려질 경우 압축되면서 로드(40)의 하강동작을 허용하고, 누름부재(5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복원되면서 로드(40)를 상승 동작시켜 개폐판(30)에 의해 출구(10b)가 폐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승강안내부재(60) 하부 쪽 로드(40)에 걸림부(41)를 형성하여 개폐판(30)이 출구(10b)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이러한 걸림부(41)가 승강안내부재(60) 하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로드(40)의 상승정도를 제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로드(40)의 상승범위는 개폐판(30)이 호퍼(10)의 출구(10b)에 걸리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제한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도넛제조기(1)를 사용하여 도넛을 제고하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끓는 기름(3)을 준비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넛제조기(1)의 손잡이(20)를 손(h)으로 잡아 손잡이(20)가 손(h)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손바닥 안쪽면을 이용하여 누름부재(50)를 눌러 로드(40)를 하강시키게 된다.
그러면 도 5에서와 같이 출구(10b)를 막고 있던 개폐판(30)이 하강하게 되면서 도 6처럼 출구(10b)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호퍼(10) 내부의 반죽물(2)은 출구(10b)를 통해 호퍼(10) 하부로 배출된다.
출구(10b) 외부로 배출된 반죽물(2)은 개폐판(30)에 걸려 개폐판(30)과 출구(10b) 사이의 공간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개폐판(30) 바깥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누름부재(50)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하여 로드(40)를 상승 동작시키게 되면, 개폐판(30)에 의해 출구(10b)가 다시 폐쇄되면서 고리형상으로 성형된 반죽물이 자중에 의해 호퍼(10) 하부로 낙하된다. 호퍼(10) 하부로 낙하된 고리형상의 반죽물은 끓는 기름(3) 속에서 튀겨져 도넛을 형성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호퍼(10)에 수용된 반죽물(2)을 통해 많은 수의 도넛을 간단히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넛제조기(1)를 이용하여 도넛을 제조하게 되면, 작업자가 한 손만으로 도넛제조기(1)를 잡은 상태에서 간단히 도넛을 제조할 수 있게 되어 도넛 제조에 따른 작업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도넛 제조과정 중에는 누름부재(50)의 누름정도나 누름시간을 달리하는 방식으로 개폐판(30)의 하강 높이와 출구(10b)의 개방시간을 달리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도넛의 두께나 부피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과 같이 도 6에 비해 개폐판(30)을 더욱 하강시키고 출구(10b)의 개방시간을 더 늘리게 되면, 개폐판(30)과 출구(10b)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면서 고리모양으로 성형되는 반죽물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고리모양으로 성형되는 반죽물의 굵기와 부피는 누름부재(50)의 누름 정도와 누름시간을 달리하는 방식을 통해 간단히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개폐판(30)과 출구(10b) 사이로 배출된 반죽물을 반경방향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개폐판(30)은 외곽 둘레 쪽 상면을 하향 경사진 경사면(31)으로 구성하여 출구(10b)를 통해 배출된 반죽물이 신속하게 고리모양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리모양을 이루어 호퍼(10) 하부로 낙하된 반죽물은 끓는 기름(3) 속으로 투입된 상태에서 튀겨져 도넛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는 반죽물이 기름 속으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기름(3)이 주변으로 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호퍼(10)의 출구(10b) 부위를 기름(3) 속으로 집어넣거나 기름(3) 표면에 근접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이러한 도넛 제조과정에서는 호퍼(10) 저부를 통해 절단된 기름의 열기가 손잡이(20)로 신속하게 전달되면서 이용자가 도넛제조기(1)를 장시간 손으로 잡고 작업하기가 어렵게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호퍼(10)는 상부를 구성하는 몸통(11)과, 출구(10b)를 구비하여 호퍼(10) 하단부를 형성하고 몸통(11) 하부에 결합된 출구부재(12)를 통해 구성되며, 출구부재(12)는 출구부재(12) 쪽으로 전달된 열기가 몸통(11)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몸통(11)보다 열전도율이 낮고 더 두꺼운 재질을 통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호퍼(10)의 몸통(11)은 서스(SUS) 303으로 형성되고, 출구부재(12)는 이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서스(SUS) 408을 통해 더 두껍게 마련된다. 몸통(11)과 출구부재(12)는 용접을 통해 한 몸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1: 도넛제조기 10: 호퍼
10b: 출구 11: 몸통
12: 출구부재 20: 손잡이
30: 개폐판 31: 경사면
40: 로드 50: 누름부재
60: 승강안내부재 70: 탄성부재

Claims (5)

  1. 반죽물을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 호퍼와, 상기 호퍼 상부의 입구 양측을 연결하도록 마련된 손잡이와, 상기 호퍼 하부의 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개폐판과, 하단은 상기 개폐판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손잡이를 승강 가능하게 관통하여 하강동작시에는 상기 개폐판을 상기 출구 저부로 이동시켜 상기 출구를 개방시키고 상승동작시에는 상기 개폐판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출구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로드와, 상기 손잡이 상부로 연장된 상기 로드 상부 끝단에 마련된 누름부재와, 상기 로드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로드의 승강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딩홀을 구비하는 승강안내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승강안내부재와 상기 누름부재 사이의 로드 둘레에 마련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제조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의 외곽 둘레 쪽 상면에는 하향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제조기.
  4. 반죽물을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 호퍼와, 상기 호퍼 상부의 입구 양측을 연결하도록 마련된 손잡이와, 상기 호퍼 하부의 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개폐판과, 하단은 상기 개폐판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손잡이를 승강 가능하게 관통하여 하강동작시에는 상기 개폐판을 상기 출구 저부로 이동시켜 상기 출구를 개방시키고 상승동작시에는 상기 개폐판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출구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로드와, 상기 손잡이 상부로 연장된 상기 로드 상부 끝단에 마련된 누름부재와, 상기 로드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는 상기 출구가 형성된 하단부가 제1소재를 통해 마련되고, 상기 출구 주변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제2소재를 통해 마련되되,
    상기 제1소재는 상기 제2소재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제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기 제1소재를 통해 마련된 하단부의 출구부재와, 상기 출구부재가 하단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상부의 몸통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부재의 두께는 상기 몸통의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제조기.
KR1020120040220A 2012-04-18 2012-04-18 도넛제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341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220A KR101341363B1 (ko) 2012-04-18 2012-04-18 도넛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220A KR101341363B1 (ko) 2012-04-18 2012-04-18 도넛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494A KR20130117494A (ko) 2013-10-28
KR101341363B1 true KR101341363B1 (ko) 2013-12-13

Family

ID=4963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22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41363B1 (ko) 2012-04-18 2012-04-18 도넛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1520A (zh) * 2016-07-16 2016-09-21 汕头市煜丰机械有限公司 一种甜甜圈生产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990Y1 (ko) 1999-10-07 2000-03-15 주식회사녹그린 도너츠 제조 장치
KR20030095856A (ko) * 2002-06-15 2003-12-24 에이포트코리아 주식회사 도너츠 후라이기
KR20050069138A (ko) * 2003-12-31 2005-07-05 구용진 콩가루 도넛 반죽물 공급장치
KR100695955B1 (ko) 2006-03-07 2007-03-19 손이옥 도넛 성형기
KR100816290B1 (ko) 2006-11-24 2008-04-07 박현성 자동 라면조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990Y1 (ko) 1999-10-07 2000-03-15 주식회사녹그린 도너츠 제조 장치
KR20030095856A (ko) * 2002-06-15 2003-12-24 에이포트코리아 주식회사 도너츠 후라이기
KR20050069138A (ko) * 2003-12-31 2005-07-05 구용진 콩가루 도넛 반죽물 공급장치
KR100695955B1 (ko) 2006-03-07 2007-03-19 손이옥 도넛 성형기
KR100816290B1 (ko) 2006-11-24 2008-04-07 박현성 자동 라면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494A (ko)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57110A (zh) 烹饪设备
KR101341363B1 (ko) 도넛제조기
CN106618157A (zh) 烹饪装置
CN203029009U (zh) 上出式炸锅
CN108209643B (zh) 一种自动洗米电饭煲
CN106974562A (zh) 自动旋转式煎锅
KR101749090B1 (ko) 나선형 부재가 구비되는 도넛 유탕기
CN216822819U (zh) 一种可升降火锅
JP2009125516A (ja) 自動製パン器
CN211185632U (zh) 一种油炸脱油装置
US20140061206A1 (en) Controlled emptying kitchen saucepan
CN205359276U (zh) 烤箱式多功能面包机
KR20160031344A (ko) 국수 제조장치
CN205697176U (zh) 烹饪器具
CN204049334U (zh) 一种智能面包机
JP5909642B2 (ja) 自動製パン機
CN210407043U (zh) 一种防粘型烘炒锅
KR101812780B1 (ko) 분리형 밥솥
JPH06319654A (ja) ロータリ式フライヤ
CN215531183U (zh) 一种糕点加工用高温烘焙装置
KR101263347B1 (ko) 음식물 조리기
CN103315024B (zh) 手持式电动制饼装置及制饼方法
KR101728689B1 (ko) 국수 제조방법
KR101174652B1 (ko) 호떡 제조장치
KR20170007012A (ko) 거치대 분리형 와플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