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0726B1 - 표면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표면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726B1
KR101340726B1 KR1020130096476A KR20130096476A KR101340726B1 KR 101340726 B1 KR101340726 B1 KR 101340726B1 KR 1020130096476 A KR1020130096476 A KR 1020130096476A KR 20130096476 A KR20130096476 A KR 20130096476A KR 101340726 B1 KR101340726 B1 KR 101340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orking arm
drive
driving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근
영 진 이
Original Assignee
영 진 이
최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진 이, 최병근 filed Critical 영 진 이
Priority to KR102013009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72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의 일측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판과, 가압장치를 매개로 상기 원판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장착되는 작업팔과, 상기 작업팔(5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면가공장치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원판에 고정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장착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 일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작업팔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고정가이드와, 상부 일측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과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고정가이드의 홈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가이드봉이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과 고정가이드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가이드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팔을 일정각도 범위에서 좌우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장치가 구비되는 표면가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면가공장치{Apparatus for dealing surface of object}
본 발명은 표면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의 일측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판과, 가압장치를 매개로 상기 원판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장착되는 작업팔과, 상기 작업팔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면가공장치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원판에 고정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장착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 일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작업팔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고정가이드와, 상부 일측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과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고정가이드의 홈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가이드봉이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과 고정가이드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가이드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팔을 일정각도 범위에서 좌우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장치가 구비되는 표면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 또는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에 대하여 도장 또는 광택 등과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샌딩 작업과 폴리싱 작업과 같은 표면가공작업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 이러한 작업은 주로 숙련공에 의해 수행되었으나 소수의 특정인에게 지나치게 의존해야 한다는 점에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관련 업계가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03347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42458호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장치들은 기본적으로 모터 등과 같은 구동부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원판에 그라인더를 장착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숙련공이 아닌 작업자라도 어느 정도의 교육을 받는다면 대상물의 표면가공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정수준 이상의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들은 그라인더가 장착되는 작업부가 좌우 수평 방향으로만 구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대상물의 표면가공작업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배, 항공기, 자동차, 수도관, 풍력 블레이드 등과 같이 표면 처리 작업이 필요한 구조물 또는 장치들 대부분이 곡면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감안하면 이 장치들을 사용할 수 있는 범위는 매우 좁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69376호를 제안한 바 있다. 이 기술은 도 5 및 도 6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지지체(100)와, 상기 지지체(100)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400), 그리고 상기 몸체(4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업팔(460) 및 회전판(48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작업대상물이 어떠한 곡률을 가지더라도 회전판(480)에 의해 작업팔(460)이 이에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표면가공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이 기술은 작업대상물의 표면에 대한 가공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작업팔(460)을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수평구동장치(450)가 더 구비되며, 수평구종장치는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452)와 작업팔(460)의 좌우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이 경우 별도의 리미트 스위치를 장착하여 회전각도를 제어해야 함은 물론, 구동부(452)의 작동에 따라 수평지지대가 좌우로 일정각도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연결봉(448)을 통해 작업팔(460)로 전달된다는 점에서 동력전달과정이 다소 복잡하고 구동효율이 떨어지는 현상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693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안정적인 작업팔의 좌우 회전운동을 담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작동에 있어 증진된 구동효율을 제공하는 표면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체(2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30)의 일측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판(40)과, 가압장치(70)를 매개로 상기 원판(40)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장착되는 작업팔(50)과, 상기 작업팔(5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회전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면가공장치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원판(40)에 고정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판(120)과, 상기 고정판(120)에 장착되는 구동수단(130)과, 상기 고정판(120)의 하부 일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작업팔(5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홈(154)이 형성되는 고정가이드(150)와, 상부 일측은 상기 구동수단(130)의 구동축(132)과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고정가이드(150)의 홈(154)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가이드봉(148)이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120)과 고정가이드(150)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가이드(140)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팔을 일정각도 범위에서 좌우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가이드(150)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편(152, 15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40)는, 상부에 상기 구동수단(130)의 구동축(132) 단부가 고정결합되는 회전체(142)와, 상기 회전체(142)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스크류(144)와, 하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봉(148)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스크류(144)와 치합되는 구동너트(14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스크류(144) 일측 단부에는 외력에 의해 상기 구동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홈(143)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수단에서 회전가이드로 직접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고정가이드를 통해 기계적으로 수평운동으로 변환시켜 작업팔을 좌우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공장치를 장시간 작동하더라도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가이드의 홈에 삽입되는 회전가이드의 가이드봉 위치를 간단한 조작으로 일정간격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반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리미트 스위치 등과 같은 별도의 부가장치를 장착하지 않더라도 작업팔이 의도하는 회전반경이내에서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가공장치에 있어 수평구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구동장치에 있어 회전가이드와 수평가이드의 결합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구동장치의 회전가이드에 있어 구동스크류와 구동너트의 결합 구성도.
도 5는 종래 표면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6은 도 5에 있어 수평구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가공장치에 있어 수평구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몸체(30) 및 원판(40)과, 작업팔(50)과 회전판(60), 그리고 수평구동장치(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몸체(30)는 지지체(20)와 더불어 표면가공장치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몸체(30)는 지지체(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30)의 회전은 미도시된 구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회전여부 및 회전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몸체(30) 내부 또는 지지체(2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몸체(30)를 지지하는 지지체(20)는 내부에 일정체적의 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내부수용공간에는 전술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69376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는 별도의 수직구동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를 지지체에 대하여 일정거리만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69376호(도 5 참조)에 개시된 것과 같이 몸체(30)와 지지체(20) 사이에 별도의 가이드판이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가이드판이 구비되는경우, 상기 가이드판은 전술한 구성과 달리 지지체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몸체는 지지체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됨은 자명하다.
상기 원판(40)은 몸체(3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몸체(30)의 일측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는 작업대상물의 표면이 다양한 곡률을 가지는 경우에 작업팔(50)을 이에 대응하여 일정각도로 적절하게 회전시켜 작업의 중단없이 작업대상물 표면에 대한 연속작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작업팔(50)은 가압장치(70)를 매개로 상기 원판(40)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장착된다. 작업팔(50)의 길이는 작업대상물 또는 작업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작업팔의 형상 역시 도면에 개시된 것과 달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작업을 시작할 땐 회전판(60)이 작업대상물의 표면과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작업이 완료되면 회전판(60)을 작업대상물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켜 표면가공장치를 작업대상물과 안전하게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가압장치(70)는 이를 위해 작업팔(50)을 일정각도만큼 상방으로 경사지게 승강시키거나 또는 승강된 작업팔(50)을 원래위치로 복귀시킨 다음 작업팔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가압장치(70)는 원판(40)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별도의 돌출판(8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미설명도면부호 72는 작업팔을 지지함과 동시에 가압장치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축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장치는 도 7에 상세하게 개시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판(60)은 작업팔(50)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며, 공급되는 공기압 등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며 작업대상물의 표면가공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회전판(60)에는 샌딩수단 또는 폴리싱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평구동장치(10)는 작업팔(50)을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좌우로 왕복운동시키는 부분으로서, 원판(4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은 수평구동장치(10)가 고정판(120)과 구동수단(130), 그리고 회전가이드(140) 및 고정가이드(150)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한다.
상기 고정판(120)은 수평구동장치(1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일측 단부가 원판(40)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다. 이에 따라 원판(40)이 일정각도 회전하면 원판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가압장치(70)가 돌출판(80)에 매개되어 구비되는 경우, 고정판(120)은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돌출판(80)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수단(130)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고정판(120)의 상부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구동수단(130)이 고정판(120) 상부에 장착되는 경우, 구동수단(130)의 구동축(132)은 고정판(120)에 형성되는 관통홀(122)을 통해 하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동수단(13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이 회전가이드(14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수단(130)은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40)는 구동수단(13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정반경을 그리며 회전하는 부분이며, 상기 고정가이드(150)는 일정반경을 그리며 회전하는 회전가이드(140)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유도하는 부분이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구동장치에 있어 회전가이드와 수평가이드의 결합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구동장치의 회전가이드에 있어 구동스크류와 구동너트의 결합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회전가이드(140) 및 고정가이드(150) 각각의 구성 및 작동을 살펴본다.
먼저, 회전가이드(140)는 회전체(142)와, 구동스크류(144) 및 구동너트(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체(142)는 회전가이드의 몸체가 되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구동수단(130)의 구동축(132) 단부가 고정결합된다. 상기 구동스크류(144)는 회전체(142)의 내부수용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구동너트(146)는 구동스크류(144)의 임의 일지점에 치합되되 그 하부에는 가이드봉(148)이 돌출 형성된다.
다음으로, 고정가이드(150)는 고정판(12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는 고정판(120)의 하부 일측으로 연장되는 작업팔(5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가이드(150)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이루어지는 홈(154)이 형성되며, 상기 홈(154)은 회전가이드(140)의 가이드봉(148)의 수평운동을 가이드한다.
도면에는 상기 고정가이드(150)가 작업팔(50)과는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작업팔 타측 단부에 장착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고정가이드가 작업팔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는 홈(154)이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편(152, 156)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일례일 뿐 상기 홈은 일정두께 및 높이를 가지는 고정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회전가이드 및 수평가이드의 작동구성을 첨부된 도면 각각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수단(130)이 작동하면 구동수단(13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이 구동축(132)으로 전달된다(①). 구동축(132)은 회전가이드(140)와 고정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가이드(140)는 일정반경을 그리며 구동축(132)과 함께 회전한다(②).
이때, 고정가이드(150)는 작업팔(50)의 타측 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회전가이드(140)의 하부로 돌출된 가이드봉(148)은 고정가이드(150)의 홈(154) 사이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가이드(140)가 일정반경을 그리며 회전운동하면 회전가이드(140)는 자체적으로 회전운동을 하면서 이와 동시에 고정가이드(150)의 홈(154)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한편, 회전가이드(140)가 도면과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가이드(150)의 홈(15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③), 가이드봉(148)은 그 속성상 홈(154)의 우측 가이드편(156) 내주면을 강하게 밀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가압장치(70)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팔(50)은 이러한 일방향 편심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가이드(140)가 고정가이드(150)의 홈(154)을 따라 전방으로 일정거리 운동한 다음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④), 전술한 내용과 반대로 가이드봉(148)은 그 속성상 홈(154)의 좌측 가이드편(152) 내주면을 강하게 밀면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압장치(70)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팔(50)은 이 편심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회전가이드(140)가 고정가이드(150)의 홈(154)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연속하여 수평운동을 하면, 작업팔(50)은 발생하는 편심력에 의해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연속하여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왕복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작업팔의 회전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리미트 스위치가 없더라도 일정각도 범위내서 연속적인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회전가이드 및 고정가이드이라는 기계적 상호작용을 이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작동을 담보해준다.
이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구동스크류(144) 일측 단부에 회전홈(143)이 형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회전홈(143)은 구동스크류(144)을 의도하는 정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구동스크류(144)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홈은 개시된 형상에 구애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작업자가 드라이버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회전홈(143)을 회전시키면, 구동너트(146)는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된다. 구동스크류(144)에 대한 구동너트(146)의 상대위치가 달라지면, 구동너트(146)의 가이드봉(148)이 고정가이드(150)의 홈(154)에 삽입되는 위치가 달라진다. 이는 구동수단(130)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동축(132)과 가이드봉(148)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럴 경우 회전가이드(130)의 회전반경이 달라지고 그 결과 가이드봉(148)의 수평이동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즉, 회전홈(143)을 이용하여 가이드봉(148)이 구비되는 구동너트(146)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작업팔(50)의 회전가능한 각도범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특히, 작업대상물의 표면 곡률이 급격하게 변화하거나, 또는 작업대상물의 크기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경우, 그리고 작업대상물의 특정 표면에 대한 가공정도를 달리해야 하는 경우 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수평구동장치 20 : 지지체
30 : 몸체 40 : 원판
50 : 작업팔 60 : 회전판
70 : 가압장치 80 : 돌출판
120 : 고정판 130 : 구동수단
140 : 회전가이드 150 : 고정가이드

Claims (4)

  1. 지지체(2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30)의 일측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판(40)과, 가압장치(70)를 매개로 상기 원판(40)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장착되는 작업팔(50)과, 상기 작업팔(5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회전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면가공장치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원판(40)에 고정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판(120)과,
    상기 고정판(120)에 장착되는 구동수단(130)과,
    상기 고정판(120)의 하부 일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작업팔(5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홈(154)이 형성되는 고정가이드(150)와,
    상부 일측은 상기 구동수단(130)의 구동축(132)과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고정가이드(150)의 홈(154)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가이드봉(148)이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120)과 고정가이드(150)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가이드(140)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팔을 일정각도 범위에서 좌우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수평구동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150)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편(152, 15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140)는, 상부에 상기 구동수단(130)의 구동축(132) 단부가 고정결합되는 회전체(142)와, 상기 회전체(142)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스크류(144)와, 하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봉(148)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스크류(144)와 치합되는 구동너트(14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크류(144) 일측 단부에는 외력에 의해 상기 구동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홈(14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가공장치.
KR1020130096476A 2013-08-14 2013-08-14 표면가공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40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476A KR101340726B1 (ko) 2013-08-14 2013-08-14 표면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476A KR101340726B1 (ko) 2013-08-14 2013-08-14 표면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726B1 true KR101340726B1 (ko) 2013-12-12

Family

ID=4998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4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40726B1 (ko) 2013-08-14 2013-08-14 표면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7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0819A (zh) * 2017-11-15 2018-04-13 徐继传 一种具有局部往复打磨功能的建筑用人造石材加工设备
CN111085922A (zh) * 2019-12-30 2020-05-01 重庆宇海精密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承接产品装置
KR20240046941A (ko) 2022-10-04 2024-04-12 최병근 작업 팔의 수평유지수단이 마련된 표면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055U (ja) * 1992-11-17 1994-06-0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複雑形状品のバリ取装置
KR19990018229U (ko) * 1997-11-08 1999-06-05 이구택 통즈크레인의 그리핑슈 연마장치
KR101080934B1 (ko) 2009-06-01 2011-11-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마기용 표면 평탄화 장치
KR20120069376A (ko) * 2010-12-20 2012-06-28 최병근 표면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055U (ja) * 1992-11-17 1994-06-0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複雑形状品のバリ取装置
KR19990018229U (ko) * 1997-11-08 1999-06-05 이구택 통즈크레인의 그리핑슈 연마장치
KR101080934B1 (ko) 2009-06-01 2011-11-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마기용 표면 평탄화 장치
KR20120069376A (ko) * 2010-12-20 2012-06-28 최병근 표면 처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0819A (zh) * 2017-11-15 2018-04-13 徐继传 一种具有局部往复打磨功能的建筑用人造石材加工设备
CN111085922A (zh) * 2019-12-30 2020-05-01 重庆宇海精密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承接产品装置
KR20240046941A (ko) 2022-10-04 2024-04-12 최병근 작업 팔의 수평유지수단이 마련된 표면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31724B (zh) 圆弧截面杯形砂轮修形装置
CN101648358B (zh) 曲面精整加工装置
KR101340726B1 (ko) 표면가공장치
CN203622572U (zh) 伺服电机驱动的推台锯纵向靠板装置
ATE502723T1 (de) Rollstruktur als halterung für mindestens ein schleifinstrument oder ähnliches für arbeiten an wänden und decken
CN203956699U (zh) 一种双工位立式凸曲面抛光机
CN104526506A (zh) 一种双工位数控抛光机
CN211073130U (zh) 一种高效珩磨机装置
CN203665327U (zh) 一种自动喷丸设备
CN102744787A (zh) 一种电脑控制柱座柱帽切割机
KR20140000888U (ko) 개량된 연마기에 따른 상부 연마헤드의 동력장치
KR101296569B1 (ko) 표면 처리 장치
CN104786247B (zh) 一种轮胎分层解剖机
CN204604377U (zh) 一种轮胎分层解剖机
CN207480323U (zh) 一种抛光打磨装置
CN201863124U (zh) 数控平面磨床砂轮自动修整器
CN211818094U (zh) 抹平机
CN212042828U (zh) 一种简易球形加工铣床
CN103921181A (zh) 圆管竖发纹装置
CN204262765U (zh) 一种五轴联动加工中心
TWM459064U (zh) 圓刀研磨機
CN204913437U (zh) 料架辅助定位装置
CN204018847U (zh) 马刀锯
CN103350378A (zh) 一种代替人工的抛边机
CN201807854U (zh) 一种数控切割机割炬双向摆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