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5486B1 -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 Google Patents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486B1
KR101335486B1 KR1020120026961A KR20120026961A KR101335486B1 KR 101335486 B1 KR101335486 B1 KR 101335486B1 KR 1020120026961 A KR1020120026961 A KR 1020120026961A KR 20120026961 A KR20120026961 A KR 20120026961A KR 101335486 B1 KR101335486 B1 KR 101335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vent
ventilation control
velcro tape
attach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6636A (ko
Inventor
김영인
서문정
서인경
이영화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2010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48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41D27/285Means for ventilation with closure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1Pocke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48Detachable 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관한 것으로, 의복에 공기의 유입량 조절이 가능한 통기구를 형성하여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주변 환경에 따라 또는 의복 착용자의 상태에 따라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여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의복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통기 조절 의복에 있어서, 의복의 전면 프리세스 라인 상에 통풍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퍼가 형성된 통기구를 형성하되 일자 형상, 또는 ㄱ 형상이나 그 반대의 형상으로 꺽인 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 또는 주름부를 갖는 아코디언 형상으로 통기구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메쉬 소재의 주머니를 형성하여 의복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A ventilative clothes with multifunction}
본 발명은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복의 프린세스 라인에 형성되는 통기구와 그 내부의 메쉬 소재 주머니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 맞는 통풍량의 조절 및 수납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허리와 힙 라인을 따라 신축성 밴드부를 형성하여 의복 착용자의 몸에 의복의 하단을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백팩 등과의 접촉에 의해 의복의 일부가 신체의 상부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폭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모자를 부착하여 의복 착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알맞은 크기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의복을 착용하는 이유는 자외선 등이 포함된 햇빛이 직접 피부에 닫지 않도록 하여 피부를 보호할 수 있고, 추운 곳에서는 몸의 온도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착용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의복을 착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등산과 같이 야외에서 활동할 경우에는 나무나 풀에 의하여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의복은 전술한 바와 같은 순기능도 있지만,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을 하게 되면, 몸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어 땀이 나게 되는데, 이러한 땀을 적절하게 식혀주지 못하게 되면 불쾌감을 느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습진이나 땀띠 등과 같은 피부트러블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록실용신안 제20-0298717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통상의 의복(10)에 있어서, 의복(10)의 임의의 위치에 통기공(20)을 형성하되, 상기 임의의 위치는 양쪽 겨드랑이부(11), 등쪽 어깨부(12) 및 양쪽 팔소매부(13)이고, 등쪽 어깨부(12)에 형성된 통기공(20)은 장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20)의 둘레면에는 미감을 나타내도록 자수실 또는 여러 색상의 실(30)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등록실용신안 제20-0298717호에 기재된 기술은 겨드랑이나 등부분 및 어깨부분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통기성을 높여줌으로써 보다 쾌적한 상태에서 의복을 착용할 수 있게 하지만, 온도가 낮은 곳에서는 형성된 통기공을 조절할 수 없어 오히려 차가운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체온을 낮추어 주어 건강에 유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겨드랑이 부분에 존재하는 통기구의 위치를 몸판의 프린세스라인으로 변경하여도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통기성에는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겨드랑이 부분에 지퍼로 조절되는 통기구가 있는 경우가 많은데, 지퍼가 겨드랑이에 있을 경우 딱딱한 물성에 의해서 착용자의 활동에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의복을 착용한 상태로 등산 등과 같은 외부 활동시 백팩 등을 등에 매고 움직이는 경우는 백팩과 의복과의 마찰에 의해 의복의 뒷쪽이 상부로 말려 올라가게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의복 착용자가 수시로 의복의 뒤쪽 하단을 내려 주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모자가 부착된 의복의 경우, 의복에서 모자는 단지 비나 바람을 막는 부가적인 용도로만 사용 가능하도록 제조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의복에 부착되는 모자는 그 크기가 일정하게 제조되고 있다. 반면에 사용자들은 각기 다른 신체구조를 가지고 있어 방한 또는 방풍 등에 보다 효율적으로 모자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사용자의 머리에 맞는 적합한 상태로 폭이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복의 프린세스 라인에 통기공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통기구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메쉬 소재의 주머니를 부착하여 주변 환경에 맞는 통풍량의 조절 및 수납용도로 사용가능하게 하고 옷감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복의 외적 미감을 유지하면서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는 통기 조절 의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복의 안감에 덧붙여 재봉되는 상태로 허리와 힙 라인을 따라 횡방향으로 신축성 밴드부를 형성하여 겉감에 관계없이 안감만을 이용하여 신축성 밴드부를 의복 착용자의 몸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백팩 등과의 접촉에 의해 의복의 일부가 신체의 상부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복의 목 라인을 따라 모자를 형성하고 모자의 폭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의복 착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알맞은 크기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의복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통기 조절 의복에 있어서, 의복의 전면에 통풍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퍼가 형성된 통기구가 형성된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의복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통기 조절 의복에 있어서, 의복의 전면에 통풍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퍼가 형성된 통기구가 형성되고, 의복의 겉감에 관계없이 상기 의복의 하부를 착용자의 몸에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가진 내부 밴드부가 의복의 내측에 형성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의복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통기 조절 의복에 있어서, 의복의 전면에 통풍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퍼가 형성된 통기구가 형성되고, 의복이 겉감에 관계없이 상기 의복의 하부를 착용자의 몸에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가진 내부 밴드부가 의복의 내측에 형성되며, 폭 및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를 구비한 모자부가 상기 의복의 목 라인을 따라 부착되어 형성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의복에 지퍼를 이용한 통기구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메쉬 소재의 주머니를 형성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따라 통기구의 열린 정도를 조절하여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수납 기능 및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의복의 외적 미감을 유지하면서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허리와 힙 라인을 따라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신축성의 밴드부를 이용하여 의복의 하단을 의복 착용자의 몸에 선택적으로 밀착 또는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백팩 등과의 접촉에 의해 의복의 일부가 신체의 상부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폭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모자를 부착함으로써 의복 착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알맞은 크기로 조절하여 효율적인 방한 및 방풍이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기성 의복의 후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통기성 의복의 겨드랑이부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일자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의한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서 통기구 형성 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꺽인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꺽인 형상의 통기구가 닫힌 상태와 개방되어 접힌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가 닫힌 상태와 개방되어 접힌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아코디언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통기구가 닫힌 상태와 개방되어 펼쳐진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c는 도 7b의 개방된 통기구 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서 내부 밴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의복의 좌우 앞판을 모두 펼친 상태에서 의복 내부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상세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도 3의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서 모자부를 따로 분리시켜 예시한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의 구성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일자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의한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서 통기구 형성 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꺽인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꺽인 형상의 통기구가 닫힌 상태와 개방되어 접힌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가 닫힌 상태와 개방되어 접힌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아코디언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통기구가 닫힌 상태와 개방되어 펼쳐진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7c는 도 7b의 통기구 형성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은, 도 3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복(100)과, 상기 의복(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일자 형상 통기구(110a), 또는 꺽인 형상 통기구(110b), 또는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110c), 또는 아코디언 형상의 통기구(110d)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기구는 좌우 가슴부에 각각 위치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옷본에서 바스트 포인트(bust point)에서 허리까지의 수직 절개선인 프린세스 라인(가슴절개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통기구가 좌우 가슴부에 위치함으로써, 즉 심장 부위에 가까이 위치시켜 통풍을 시킴으로써, 다른 부위보다 시원함을 인지하는 속도가 빠르고, 게다가 통기구를 양측 가슴부에 분산하여 위치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통풍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프린세스 라인(가슴절개선) 상에 위치하여 미관상으로 아름다우면서, 통기구에 지퍼가 장착에 통기량을 원하는 만큼 조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각 통기구(110a-110d)는 의복(100)의 어깨 단부의 아래부터 허리 라인까지, 즉 가슴 라인의 상부에서 그 하부의 허리 라인을 연결하는 프린세스 라인(105) 상에 형성되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자 형상의 통기구(110a), 또는 통기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자 또는 그 반대로 꺽인 형상의 통기구(110b), 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형상 통기구(110c), 또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아코디언 형상의 주름 구조를 갖는 통기구(110d)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구(110a-110d)를 프린세스 라인 상에 형성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의복(100)을 착용한 상태로 운동을 하게 되면, 몸에 열이 발생하게 되어 열을 식혀주기 위해 땀이 나게 되는데, 사람의 신체 구조상 겨드랑이 부분에서 땀이 가장 많이 나게 되기 때문이다. 즉 겨드랑이 부근의 프린세스 라인(105) 상에 통기구(110a-110d)를 형성함으로써 통기 효과를 증대시켜 의복(100)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보다 나은 쾌적함을 유지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통기구(110a-110d)의 크기는 30cm정도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의복(100)의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과 통기성이 최상의 조화를 이루게 되는 길이이나, 사람에 따라 느끼는 쾌적감이 다르기 때문에, 통기구(110a-110d)의 길이를 바람직하게는 30cm 정도의 길이로 형성하고, 통기구(110a-110d)에 통기공의 개폐 및 조절을 위한 지퍼(115)를 부착하여 각 통기구(110a-110d)의 열린 정도를 사용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사람의 취향에 맞게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각 통기구(110a-110d)의 내측에는 메쉬 소재의 주머니(120)를 형성하여 운동 시나 외부 활동시 그에 필요한 간단한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가방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유사시에 수납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여기서 메쉬 소재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이유는 단순히 통기구(110a-110d)만을 형성하게 되면, 통기구(110a-110d)를 오픈하는 경우 외부의 먼지 등이 직접적으로 유입되어 피부가 먼지 등으로 오염될 수 있으므로, 메쉬 소재로 주머니(12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어느 정도의 먼지를 걸러내면서 동시에 통기가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 경우 아코디언 형상의 통기구(110d)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주름 구조의 주머니로 형성된다.
물론, 주머니(120)를 형성하는 메쉬 소재의 통공의 크기는 소재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지만, 촘촘하게 형성하는 경우 어느 정도 크기의 먼지는 차단할 수 있는 효과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주머니 안감은 의복의 앞판에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하여 통기성과 활동성을 높일 수 있고, 의복 앞판의 형태를 잘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도 5a 및 도 5b에는 일자 형상의 통기구(110a)에서 그 상단부가 몸의 중심선 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꺽인 형상의 통기구(110b)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통기구(110b)도 어깨 하부에서부터 그 아래로 형성되는 프린세스 라인(105) 상에 형성되되, 그 상단은 의복의 중심선 방향으로 직각되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ㄱ자 모양으로 꺽인 형상 또는 그 반대쪽으로 꺽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는 몸의 중심선 쪽으로 구부러진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110c)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통기구(110c)도 어깨 하부에서부터 그 아래로 형성되는 프린세스 라인(105) 상에 형성되되, 그 상단은 의복의 중심선 방향으로 부드럽게 구부러져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꺽인 형상의 통기구(110b) 또는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110c)에도 지퍼(115)를 구비하여, 통기구(110b)의 열림정도를 조절하여 착용자의 취향이나 운동의 정도에 따라 통기성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꺽인 형상의 통기구(110b)의 모서리부 외측면에는 제1벨크로테이프(130)가 부착되고, 의복(100)의 전면에는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130)에 대응 결합되도록 제2벨크로테이프(140)가 부착된다. 도 6a와 도 6b의 도면에서는 그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110c)의 볼록한 부분의 외측면에도 필요에 따라 제1벨크로테이프(13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와 아울러 의복(100)의 전면에는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130)에 대응 결합되도록 제2벨크로테이프(140)가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운동에 의해 몸에 열과 땀이 많이 나게 되면 상기 통기구(110b,110c)를 완전히 오픈한 후,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130)를 제2벨크로테이프(140)에 접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그 통기성을 더욱 더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통기구(110b,110c)가 펄럭이는 것을 방지하여 운동시에 몸의 움직임에 방해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서 의복의 안감 내부에 부착되는 내부 밴드부(150)를 설명하기 위하여 의복의 좌우 앞판을 모두 펼친 상태에서 의복 내부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상세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밴드부(150)는 의복의 안감에 일측부가 덧붙여 재봉되는 상태로 허리 라인의 아래쪽에서 힙 라인을 따라 허리를 감싸도록 가로로 형성되며, 의복의 겉감에 관계없이 의복의 하부를 착용자의 몸에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의복의 겉감과 유격을 갖는 상태로 의복의 내측에 부착되며,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내부 밴드부(150)는 제1 신축부(151), 유격부(152) 및 제2 신축부(153)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는 결합부(154,155)가 각각 형성된다. 각 결합부(154,15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156a,156b)이 부착되고 이들 각각의 버튼은 다른측 단부에 부착되는 상대 버튼과의 대응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내부 밴드부(150)의 양단의 각 결합부에는 각각 벨크로테이프(157a,157b)가 더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이들 각각의 벨크로테이프는 다른측 단부에 부착되는 상대 벨크로테이프와의 대응 결합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신축부(151)는 그 일측부가 상기 의복 안감의 허리 라인의 아래쪽에서 힙 라인을 따라 가로로 직접 덧붙여 재봉된다. 이러한 제1 신축부(151)는 특히 의복의 안감에 일측부가 재봉되어 고정되지만 다른 측부는 의복의 안감에 의해 제한받지 않고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모두에 대해 신축성을 갖는 탄성 재질의 옷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격부(152)는 그 일측부가 상기 제 1신축부(152)의 다른 측부를 따라 재봉되며, 내부 밴드부가 상기 의복 안감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유격 가능하도록 일정 폭을 갖게 형성된다.
제2 신축부(153)는 그 일측부가 상기 유격부(152)의 다른 측부를 따라 재봉되며, 사용자의 내부 의복에 신축적 고정 및 밀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옷감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이러한 제2 신축부(153)는 사용자의 내부 의복이나 신체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무 재질을 옷감의 외부로 노출시켜 형성한 밴드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로써 백팩 등을 등에 메고 운동하거나 등산하는 경우 내부 밴드부(15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부(154,155)의 버튼(156a,156b)이나 벨크로테이프(157a,157b)를 결합하여 의복의 하단부를 사용자의 허리 라인과 엉덩이 라인 부근에 밀착 및 고정시키게 되면 신축성을 가진 제1 신축부(151)와 제2 신축부(153) 및 일정 폭을 갖는 유격부(152)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은 백팩 등에 의해 몸의 상부로 말려 들어가지 않게 되며, 따라서 움직임이 많은 등산이나 운동시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a와 도 9b는 도 3의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서 모자부를 따로 분리시켜 예시한 상세도로서, 폭 및 길이 조절 가능한 모자부(160)는 의복의 목 라인을 따라 부착되어 형성된다. 이때 모자부(160)는 지퍼 또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탈부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재봉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모자부(160)는 그 길이 조절을 위해 정수리 후방측에 모자부의 상하방향으로 제3벨크로테이프(161a)가 부착되며, 상기 제3 벨크로테이프(161a)의 상부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제3벨크로테이프에 대응 결합되는 제4벨크로테이프(161b)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모자부(160)는 그 폭 조절을 위해 정수리 후방측에 아래 아래쪽에 모자부의 폭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고무 밴드(162)가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모자부(160)는 모자 외측(외피)의 정수리 후방측에 폭 및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가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모자부(160)가 부착된 통기 조절 의복은 의복 착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제3밸크로테이프(161a)와 제4벨크로테이프(161b)의 결합 간격을 조절하여 모자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또는 고무밴드(162)의 전체 길이를 줄이거나 또는 확장시키는 과정을 통해 모자부의 전체 폭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방한 또는 방풍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의복 105 : 프린세스 라인
110a-110d : 통기구 115 : 지퍼
120 : 주머니 130 : 제1벨크로테이프
140 : 제2벨크로테이프 150 : 내부 밴드부
151 : 제1 신축부 152 : 유격부
153 : 제2 신축부 154,155 : 결합부
156a,156b : 버튼 157a,157b : 벨크로테이프
160 : 모자부 161a : 제3벨크로테이프
161b : 제4벨크로테이프 162 : 고무 밴드

Claims (15)

  1. 의복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통기 조절 의복에 있어서,
    의복의 전면의 양측 가슴부에 통풍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퍼가 형성된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기구는 통기구의 단부 일측을 접어서 개방할 수 있도록 꺽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기구의 접어 개방되는 부분의 일측에는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며,
    의복의 전면에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대응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2. 안감의 허리부에 장착된 신축성을 가진 내부 밴드부를 구비하여, 의복의 하부를 착용자의 몸에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의복의 전면에 2개의 통기구를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하되, 상기 통기구는 통풍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퍼가 구비되어, 의복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통기 조절 의복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밴드부는,
    일측부가 상기 의복 안감의 허리 라인의 아래쪽에서 힙 라인을 따라 가로로 직접 덧붙여 재봉되며, 신축성을 갖는 탄성 재질의 옷감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신축부;
    일측부가 상기 제 1신축부의 다른 측부를 따라 재봉되며, 내부 밴드부가 상기 의복 안감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유격 가능하도록 일정 폭을 갖게 형성되는 유격부;
    일측부가 상기 유격부의 다른 측부를 따라 재봉되며, 사용자의 내부 의복에 신축적 고정 및 밀착 가능하도록 고무 재질의 옷감으로 이루어지는 제2 신축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폭 및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를 외측에 구비한 모자부가 상기 의복의 목 라인을 따라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의 내측에는 수납용도 및 의복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주머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는 메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6.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가슴 라인의 상부에서 그 하부의 허리 라인까지 이어지는 프린세스 라인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일자 형상, 또는 통기구의 단부 일측을 접어 개방할 수 있도록 꺽인 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 또는 그 내부에 주름 구조를 갖는 아코디언 형상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의 접어 개방되는 부분의 일측에는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며,
    의복의 전면에는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대응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밴드부는,
    상기 의복의 안감에 일측부가 덧붙여 재봉되는 상태로 허리 라인의 아래쪽에서 힙 라인을 따라 가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밴드부는,
    양단부에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결합부에는 하나 이상의 버튼이 각각 부착되고 이들 각각의 버튼은 다른측 결합부에 부착되는 상대 버튼과의 대응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밴드부는,
    양단부에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결합부에는 벨크로테이프가 각각 부착되고 이들 각각의 벨크로테이프는 다른측 단부에 부착되는 상대 벨크로테이프와의 대응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12. 삭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부는,
    지퍼 또는 버튼을 이용하여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탈부착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재봉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부의 정수리 후방측에는 모자부의 상하방향으로 제3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되며,
    상기 제3 벨크로테이프의 상부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제3벨크로테이프에 대응되는 제4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부의 정수리 후방측 아래쪽에는 모자부의 폭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고무 밴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KR1020120026961A 2011-03-18 2012-03-16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Expired - Fee Related KR101335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088 2011-03-18
KR20110024088 2011-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636A KR20120106636A (ko) 2012-09-26
KR101335486B1 true KR101335486B1 (ko) 2013-12-05

Family

ID=4711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961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5486B1 (ko) 2011-03-18 2012-03-16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4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2729U (ko) * 1986-12-24 1988-07-04
JPH07252712A (ja) * 1994-03-14 1995-10-03 Goorudouin:Kk 雨衣・防寒衣用フード
JP2004176215A (ja) * 2002-11-27 2004-06-24 Japana Co Ltd 上衣
KR20090124720A (ko) * 2008-05-30 2009-12-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2729U (ko) * 1986-12-24 1988-07-04
JPH07252712A (ja) * 1994-03-14 1995-10-03 Goorudouin:Kk 雨衣・防寒衣用フード
JP2004176215A (ja) * 2002-11-27 2004-06-24 Japana Co Ltd 上衣
KR20090124720A (ko) * 2008-05-30 2009-12-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636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0690U (ja) モジュール式フェイスマスク
US9775387B2 (en) Garment for protection from the elements
US20140096305A1 (en) Convertible head and face covering
CN106659253B (zh) 安全帽对应空调服
KR200462092Y1 (ko) 반바지
US12290120B2 (en) Outerwear having enhanced hood
KR101243009B1 (ko) 등산 재킷
CN210492706U (zh) 一种防晒透气衣
KR101519102B1 (ko) 다용도 코트형 우의
KR101335486B1 (ko)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CN206251959U (zh) 一种衣服
KR101369541B1 (ko) 아웃도어용 의류
CN201767092U (zh) 一种新型防晒服
CN205866046U (zh) 一种环境响应型智能防寒服
CN214509471U (zh) 一种防晒衣
CN209769047U (zh) 一种带有散热孔的外衣
CN209017901U (zh) 一种女性冲锋衣
RU2176897C1 (ru) Защитная одежда пчеловодов
CN215898936U (zh) 一种透气防晒休闲服
JP3128491U (ja) 紫外線防止マスク
CN209883121U (zh) 一种皮肤衣
CN213404899U (zh) 一种透气舒适的背心裙
US20100319103A1 (en) Sleepwear having a skirt
CN212520857U (zh) 一种便于穿着的儿童连体衣
JP7634491B2 (ja) フェイスマスク部を有するタ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