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486B1 - A ventilative clothes with multifunction - Google Patents
A ventilative clothes with multi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5486B1 KR101335486B1 KR1020120026961A KR20120026961A KR101335486B1 KR 101335486 B1 KR101335486 B1 KR 101335486B1 KR 1020120026961 A KR1020120026961 A KR 1020120026961A KR 20120026961 A KR20120026961 A KR 20120026961A KR 101335486 B1 KR101335486 B1 KR 1013354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rment
- vent
- ventilation control
- velcro tape
- attach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41D27/285—Means for ventilation with closure adjustment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1—Pocket closur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48—Detachable hood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관한 것으로, 의복에 공기의 유입량 조절이 가능한 통기구를 형성하여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주변 환경에 따라 또는 의복 착용자의 상태에 따라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여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의복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통기 조절 의복에 있어서, 의복의 전면 프리세스 라인 상에 통풍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퍼가 형성된 통기구를 형성하되 일자 형상, 또는 ㄱ 형상이나 그 반대의 형상으로 꺽인 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 또는 주름부를 갖는 아코디언 형상으로 통기구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메쉬 소재의 주머니를 형성하여 의복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clothing, to form a vent that can control the flow rate of air in the garment to maintain the comfort by adjusting the air inlet in accordanc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the state of the wearer in the state wearing the garment It is to.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ntilation control garments that can control the air flowing into the garment, to form a zipper-shaped vent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ventilation amount on the front recess line of the garment, but the straight shape, or a shape The vents are formed in a shape that is bent in the shape of a vice versa, or a round shape, or an accordion shape having wrinkles, and a bag of mesh material is formed therein to freely control the air flowing into the clothes, while introducing foreign matter. To prevent them from becom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복의 프린세스 라인에 형성되는 통기구와 그 내부의 메쉬 소재 주머니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 맞는 통풍량의 조절 및 수납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허리와 힙 라인을 따라 신축성 밴드부를 형성하여 의복 착용자의 몸에 의복의 하단을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백팩 등과의 접촉에 의해 의복의 일부가 신체의 상부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폭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모자를 부착하여 의복 착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알맞은 크기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air-ventilated garment,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the air vent formed in the princess line of the garment and the mesh material pocket therein, it is possible to use the air volume control and storage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forming elastic bands along the waist and hip lines to close and fix the lower end of the garment to the body of the garment wearer, a part of the garmen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olled up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by contact with the backpa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breathable garment that can be used to adjust the size according to the body structure of the wearer by attaching a cap capable of adjusting the width or length.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의복을 착용하는 이유는 자외선 등이 포함된 햇빛이 직접 피부에 닫지 않도록 하여 피부를 보호할 수 있고, 추운 곳에서는 몸의 온도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착용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의복을 착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등산과 같이 야외에서 활동할 경우에는 나무나 풀에 의하여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general, the reason people wear clothing is to protect the skin by preventing sunlight, including UV rays, from being closed directly on the skin, and in order to protect the wearer's health by maintaining body temperature in cold places. Done. In addition, when outdoors, such as mountaineering to prevent damage to the skin by trees or grass.
그런데, 이러한 의복은 전술한 바와 같은 순기능도 있지만,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을 하게 되면, 몸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어 땀이 나게 되는데, 이러한 땀을 적절하게 식혀주지 못하게 되면 불쾌감을 느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습진이나 땀띠 등과 같은 피부트러블이 발생하게 된다.By the way, these clothes also have a net function as described above, but if you exercise while wearing the clothes, the temperature of the body rises and the sweat is raised, if you do not cool the sweat properly, as well as feeling unpleasant In addition, skin problems such as eczema and sweat bands occur on the skin.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록실용신안 제20-0298717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통상의 의복(10)에 있어서, 의복(10)의 임의의 위치에 통기공(20)을 형성하되, 상기 임의의 위치는 양쪽 겨드랑이부(11), 등쪽 어깨부(12) 및 양쪽 팔소매부(13)이고, 등쪽 어깨부(12)에 형성된 통기공(20)은 장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20)의 둘레면에는 미감을 나타내도록 자수실 또는 여러 색상의 실(30)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98717 as shown in Figs. 1 and 2 has been develope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garment (10), the garment (10)
그런데, 등록실용신안 제20-0298717호에 기재된 기술은 겨드랑이나 등부분 및 어깨부분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통기성을 높여줌으로써 보다 쾌적한 상태에서 의복을 착용할 수 있게 하지만, 온도가 낮은 곳에서는 형성된 통기공을 조절할 수 없어 오히려 차가운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체온을 낮추어 주어 건강에 유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98717, through the air vents formed in the armpits, back and shoulders to increase the air permeability, but can be worn in a more comfortable state, but in the low temperature Porosity can not be adjusted, rather cold air is introduced to lower the body temperature has a problem that is harmful to health.
또한 겨드랑이 부분에 존재하는 통기구의 위치를 몸판의 프린세스라인으로 변경하여도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통기성에는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겨드랑이 부분에 지퍼로 조절되는 통기구가 있는 경우가 많은데, 지퍼가 겨드랑이에 있을 경우 딱딱한 물성에 의해서 착용자의 활동에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position of the vents in the armpits is changed to the princess line of the body plate, although there is no change in the breathability created by the wearer's movemen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vents are controlled by zippers in the armpits. When the armpit is in the ar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tivity of the wearer is limited by the physical properties.
또한 이러한 의복을 착용한 상태로 등산 등과 같은 외부 활동시 백팩 등을 등에 매고 움직이는 경우는 백팩과 의복과의 마찰에 의해 의복의 뒷쪽이 상부로 말려 올라가게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의복 착용자가 수시로 의복의 뒤쪽 하단을 내려 주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wears such a backpack while wearing such a backpack while moving outside, such as climbing, the back side of the garment is rolled up by the friction between the backpack and the garment, so that the wearer of the garment is frequently worn. There was a discomfort, such as having to lower the lower back.
한편, 모자가 부착된 의복의 경우, 의복에서 모자는 단지 비나 바람을 막는 부가적인 용도로만 사용 가능하도록 제조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의복에 부착되는 모자는 그 크기가 일정하게 제조되고 있다. 반면에 사용자들은 각기 다른 신체구조를 가지고 있어 방한 또는 방풍 등에 보다 효율적으로 모자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사용자의 머리에 맞는 적합한 상태로 폭이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hat-attached garment, a hat attached to almost all garments has a uniform size since the hat is made to be used only for an additional purpose of preventing rain or wind. On the other hand, users have a different body structure, so in order to use the hat more efficiently, such as cold weather or windbreak need a means to adjust the width or length to the appropriate state for each user's hea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복의 프린세스 라인에 통기공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통기구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메쉬 소재의 주머니를 부착하여 주변 환경에 맞는 통풍량의 조절 및 수납용도로 사용가능하게 하고 옷감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복의 외적 미감을 유지하면서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는 통기 조절 의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vent that can adjust the size of the vent in the princess line of the garment and attach a bag of mesh material therein, the amount of ventilation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ventilation control clothes that can be used for the control and storage of clothing and to prevent foreign matters from entering into the fabric, while maintaining the external aesthetics of the clothes and maintaining comfort even while wearing the cloth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복의 안감에 덧붙여 재봉되는 상태로 허리와 힙 라인을 따라 횡방향으로 신축성 밴드부를 형성하여 겉감에 관계없이 안감만을 이용하여 신축성 밴드부를 의복 착용자의 몸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백팩 등과의 접촉에 의해 의복의 일부가 신체의 상부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 elastic b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waist and hip line in addition to the lining of the garment to selectively adhere the elastic band to the body of the garment wearer using only the lining regardless of the outer It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clothing to prevent a portion of the garment from being rolled up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by contact with the backpack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복의 목 라인을 따라 모자를 형성하고 모자의 폭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의복 착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알맞은 크기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breath control clothing to form a hat along the neck line of the garment and to adjust the width or length of the hat to be adjusted to the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wearer's body structure I would like 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의복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통기 조절 의복에 있어서, 의복의 전면에 통풍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퍼가 형성된 통기구가 형성된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ulti-ventilated ventilation vent formed in the ventilation control garments that can control the air flowing into the garment, the vent formed with a zipper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ventilation amount on the front of the garment It is an adjustable gar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의복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통기 조절 의복에 있어서, 의복의 전면에 통풍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퍼가 형성된 통기구가 형성되고, 의복의 겉감에 관계없이 상기 의복의 하부를 착용자의 몸에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가진 내부 밴드부가 의복의 내측에 형성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이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ventilation control garments that can adjust the air flowing into the garment, the front vent of the garment is formed with a vent formed with a zipper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ventilation amount, Regardles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arment is a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garment is formed in the inner band portion of the elastic elastic ban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garmen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bod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의복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통기 조절 의복에 있어서, 의복의 전면에 통풍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퍼가 형성된 통기구가 형성되고, 의복이 겉감에 관계없이 상기 의복의 하부를 착용자의 몸에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가진 내부 밴드부가 의복의 내측에 형성되며, 폭 및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를 구비한 모자부가 상기 의복의 목 라인을 따라 부착되어 형성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이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ventilation control garments that can control the air flowing into the garment, the front vent of the garment is formed with a zipper vent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ventilation amount The inner band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garment so that the garment can be fixed and fixed to the wearer's body regardles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arment, and a hat portion having an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width and length of the garment A multi-functional breathable garment formed by being attached along the neck lin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의복에 지퍼를 이용한 통기구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메쉬 소재의 주머니를 형성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따라 통기구의 열린 정도를 조절하여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수납 기능 및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의복의 외적 미감을 유지하면서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vent with a zipper on the garment and to form a pocket of the mesh material therein by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vent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ven when wearing the garmen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mfort, and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storage function and the inside to maintain comfort even while wearing the clothing while maintaining the external aesthetics of the clothing.
또한 본 발명은 허리와 힙 라인을 따라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신축성의 밴드부를 이용하여 의복의 하단을 의복 착용자의 몸에 선택적으로 밀착 또는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백팩 등과의 접촉에 의해 의복의 일부가 신체의 상부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elastic band portion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waist and hip line can be selectively adhered to or fixed to the body of the garment wearer, so that part of the garment by the contact with the backpack, etc. To prevent it from rising to the top of the
또한 본 발명은 폭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모자를 부착함으로써 의복 착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알맞은 크기로 조절하여 효율적인 방한 및 방풍이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by adjusting the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body structure of the clothing wearer by attaching a cap capable of adjusting the width or length to enable efficient cold and wind.
도 1은 종래의 통기성 의복의 후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통기성 의복의 겨드랑이부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일자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의한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서 통기구 형성 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꺽인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꺽인 형상의 통기구가 닫힌 상태와 개방되어 접힌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가 닫힌 상태와 개방되어 접힌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아코디언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통기구가 닫힌 상태와 개방되어 펼쳐진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c는 도 7b의 개방된 통기구 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서 내부 밴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의복의 좌우 앞판을 모두 펼친 상태에서 의복 내부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상세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도 3의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서 모자부를 따로 분리시켜 예시한 상세도이다.1 is a rear view of a conventional breathable garment.
2 is a bottom view of the armpit portion of a conventional breathable garment.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vent of a straight shape is formed in the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extraction portion of the vent forming portion in the multi-function ventilation control garment according to FIG.
5A and 5B are front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vented shape having a bent shape is formed in the multi-function ventilating control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views illustrating a closed state and an open and folded state, respectively.
6A and 6B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round vent is formed in the multi-function ventilation control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ound vent is closed and an open state, respectively.
7A and 7B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accordion-shaped vent is formed in the multi-functional ventilated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ing the vented state in a closed state and an open state, respectively.
FIG. 7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n vent portion of FIG. 7B. FIG.
8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the main parts of the inside of the garment in a state in which both the left and right front plates of the garment are unfolded in order to explain the inner band part in the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gar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detailed views illustrating the hat part separately in the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garment of FIG. 3.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의 구성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garment by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nd the effect by it are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al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일자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의한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서 통기구 형성 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꺽인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꺽인 형상의 통기구가 닫힌 상태와 개방되어 접힌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가 닫힌 상태와 개방되어 접힌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 아코디언 형상의 통기구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통기구가 닫힌 상태와 개방되어 펼쳐진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7c는 도 7b의 통기구 형성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raight vent is formed in the multi-function ventilation control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excavated portion formed in the multi-function ventilation control garment according to Figure 3 5A and 5B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vent hole having a bent shape is formed in the multi-function ventilation control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ent vent is closed and an open and folded state, respectively; 6A and 6B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round vent is formed in the multi-function ventilation control ga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ound vent is closed and an open and folded state, respectively; 7A and 7B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accordion-shaped vent is formed in the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view is opened and the vent closed condition illustrating an expanded state, respectively, Figure 7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ed by extracting a vent forming part of Figure 7b.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은, 도 3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복(100)과, 상기 의복(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일자 형상 통기구(110a), 또는 꺽인 형상 통기구(110b), 또는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110c), 또는 아코디언 형상의 통기구(110d)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기구는 좌우 가슴부에 각각 위치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옷본에서 바스트 포인트(bust point)에서 허리까지의 수직 절개선인 프린세스 라인(가슴절개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o 7c, the
특히, 본 발명의 통기구가 좌우 가슴부에 위치함으로써, 즉 심장 부위에 가까이 위치시켜 통풍을 시킴으로써, 다른 부위보다 시원함을 인지하는 속도가 빠르고, 게다가 통기구를 양측 가슴부에 분산하여 위치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통풍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프린세스 라인(가슴절개선) 상에 위치하여 미관상으로 아름다우면서, 통기구에 지퍼가 장착에 통기량을 원하는 만큼 조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the v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left and right chest, that is, close to the heart area to ventilate, it is faster to recognize the cooler than other parts, and furthermore by dispersing the vents in both chest parts It is made to be ventilated, and is located on the princess line (chest incision) while being aesthetically beautiful, the zipper on the vent is made to adjust the amount of aeration as desired.
여기서, 상기 각 통기구(110a-110d)는 의복(100)의 어깨 단부의 아래부터 허리 라인까지, 즉 가슴 라인의 상부에서 그 하부의 허리 라인을 연결하는 프린세스 라인(105) 상에 형성되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자 형상의 통기구(110a), 또는 통기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자 또는 그 반대로 꺽인 형상의 통기구(110b), 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형상 통기구(110c), 또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아코디언 형상의 주름 구조를 갖는 통기구(110d)로 형성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vents (110a-110d) is formed on the
이러한 통기구(110a-110d)를 프린세스 라인 상에 형성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의복(100)을 착용한 상태로 운동을 하게 되면, 몸에 열이 발생하게 되어 열을 식혀주기 위해 땀이 나게 되는데, 사람의 신체 구조상 겨드랑이 부분에서 땀이 가장 많이 나게 되기 때문이다. 즉 겨드랑이 부근의 프린세스 라인(105) 상에 통기구(110a-110d)를 형성함으로써 통기 효과를 증대시켜 의복(100)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보다 나은 쾌적함을 유지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The reason for forming the
그리고 상기 통기구(110a-110d)의 크기는 30cm정도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의복(100)의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과 통기성이 최상의 조화를 이루게 되는 길이이나, 사람에 따라 느끼는 쾌적감이 다르기 때문에, 통기구(110a-110d)의 길이를 바람직하게는 30cm 정도의 길이로 형성하고, 통기구(110a-110d)에 통기공의 개폐 및 조절을 위한 지퍼(115)를 부착하여 각 통기구(110a-110d)의 열린 정도를 사용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사람의 취향에 맞게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And the size of the vent (110a-110d) is formed in a length of about 30cm length to achieve the best harmony between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body of the
한편, 상기 각 통기구(110a-110d)의 내측에는 메쉬 소재의 주머니(120)를 형성하여 운동 시나 외부 활동시 그에 필요한 간단한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가방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유사시에 수납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여기서 메쉬 소재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이유는 단순히 통기구(110a-110d)만을 형성하게 되면, 통기구(110a-110d)를 오픈하는 경우 외부의 먼지 등이 직접적으로 유입되어 피부가 먼지 등으로 오염될 수 있으므로, 메쉬 소재로 주머니(12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어느 정도의 먼지를 걸러내면서 동시에 통기가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 경우 아코디언 형상의 통기구(110d)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주름 구조의 주머니로 형성된다. Meanwhile, a
물론, 주머니(120)를 형성하는 메쉬 소재의 통공의 크기는 소재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지만, 촘촘하게 형성하는 경우 어느 정도 크기의 먼지는 차단할 수 있는 효과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Of course, the size of the through-holes of the mesh material forming the
또한 주머니 안감은 의복의 앞판에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하여 통기성과 활동성을 높일 수 있고, 의복 앞판의 형태를 잘 유지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ocket lining is formed in the form attached to the front plate of the garment to increase the breathability and activity,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ront plate of the garment well.
특히 도 5a 및 도 5b에는 일자 형상의 통기구(110a)에서 그 상단부가 몸의 중심선 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꺽인 형상의 통기구(110b)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통기구(110b)도 어깨 하부에서부터 그 아래로 형성되는 프린세스 라인(105) 상에 형성되되, 그 상단은 의복의 중심선 방향으로 직각되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ㄱ자 모양으로 꺽인 형상 또는 그 반대쪽으로 꺽인 형상으로 형성된다.In particular, FIGS. 5A and 5B illustrate an
또한 도 6a 및 도 6b에는 몸의 중심선 쪽으로 구부러진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110c)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통기구(110c)도 어깨 하부에서부터 그 아래로 형성되는 프린세스 라인(105) 상에 형성되되, 그 상단은 의복의 중심선 방향으로 부드럽게 구부러져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다.6A and 6B illustrate a
그리고, 이러한 꺽인 형상의 통기구(110b) 또는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110c)에도 지퍼(115)를 구비하여, 통기구(110b)의 열림정도를 조절하여 착용자의 취향이나 운동의 정도에 따라 통기성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
한편, 이러한 꺽인 형상의 통기구(110b)의 모서리부 외측면에는 제1벨크로테이프(130)가 부착되고, 의복(100)의 전면에는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130)에 대응 결합되도록 제2벨크로테이프(140)가 부착된다. 도 6a와 도 6b의 도면에서는 그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라운드 형상의 통기구(110c)의 볼록한 부분의 외측면에도 필요에 따라 제1벨크로테이프(13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와 아울러 의복(100)의 전면에는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130)에 대응 결합되도록 제2벨크로테이프(140)가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이 경우 운동에 의해 몸에 열과 땀이 많이 나게 되면 상기 통기구(110b,110c)를 완전히 오픈한 후,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130)를 제2벨크로테이프(140)에 접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그 통기성을 더욱 더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통기구(110b,110c)가 펄럭이는 것을 방지하여 운동시에 몸의 움직임에 방해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if a lot of heat and sweat in the body by exercise, the vent holes 110b and 110c are completely opened, and then th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서 의복의 안감 내부에 부착되는 내부 밴드부(150)를 설명하기 위하여 의복의 좌우 앞판을 모두 펼친 상태에서 의복 내부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상세도이다. 8 is an example by extracting the main part of the inside of the garment in a state in which both the left and right front plates of the garment to explain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밴드부(150)는 의복의 안감에 일측부가 덧붙여 재봉되는 상태로 허리 라인의 아래쪽에서 힙 라인을 따라 허리를 감싸도록 가로로 형성되며, 의복의 겉감에 관계없이 의복의 하부를 착용자의 몸에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의복의 겉감과 유격을 갖는 상태로 의복의 내측에 부착되며,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8, the
이러한 내부 밴드부(150)는 제1 신축부(151), 유격부(152) 및 제2 신축부(153)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는 결합부(154,155)가 각각 형성된다. 각 결합부(154,15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156a,156b)이 부착되고 이들 각각의 버튼은 다른측 단부에 부착되는 상대 버튼과의 대응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내부 밴드부(150)의 양단의 각 결합부에는 각각 벨크로테이프(157a,157b)가 더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이들 각각의 벨크로테이프는 다른측 단부에 부착되는 상대 벨크로테이프와의 대응 결합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1 신축부(151)는 그 일측부가 상기 의복 안감의 허리 라인의 아래쪽에서 힙 라인을 따라 가로로 직접 덧붙여 재봉된다. 이러한 제1 신축부(151)는 특히 의복의 안감에 일측부가 재봉되어 고정되지만 다른 측부는 의복의 안감에 의해 제한받지 않고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모두에 대해 신축성을 갖는 탄성 재질의 옷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side of the first
유격부(152)는 그 일측부가 상기 제 1신축부(152)의 다른 측부를 따라 재봉되며, 내부 밴드부가 상기 의복 안감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유격 가능하도록 일정 폭을 갖게 형성된다.The
제2 신축부(153)는 그 일측부가 상기 유격부(152)의 다른 측부를 따라 재봉되며, 사용자의 내부 의복에 신축적 고정 및 밀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옷감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이러한 제2 신축부(153)는 사용자의 내부 의복이나 신체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무 재질을 옷감의 외부로 노출시켜 형성한 밴드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second
이로써 백팩 등을 등에 메고 운동하거나 등산하는 경우 내부 밴드부(15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부(154,155)의 버튼(156a,156b)이나 벨크로테이프(157a,157b)를 결합하여 의복의 하단부를 사용자의 허리 라인과 엉덩이 라인 부근에 밀착 및 고정시키게 되면 신축성을 가진 제1 신축부(151)와 제2 신축부(153) 및 일정 폭을 갖는 유격부(152)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은 백팩 등에 의해 몸의 상부로 말려 들어가지 않게 되며, 따라서 움직임이 많은 등산이나 운동시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carrying a backpack or the like while exercising or climbing, the lower part of the user's waist by combining the
도 9a와 도 9b는 도 3의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에서 모자부를 따로 분리시켜 예시한 상세도로서, 폭 및 길이 조절 가능한 모자부(160)는 의복의 목 라인을 따라 부착되어 형성된다. 이때 모자부(160)는 지퍼 또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탈부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재봉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9A and 9B are detailed views illustrating the hat part separately from the multi-function ventilation control garment of FIG. 3, and the width and length
이러한 모자부(160)는 그 길이 조절을 위해 정수리 후방측에 모자부의 상하방향으로 제3벨크로테이프(161a)가 부착되며, 상기 제3 벨크로테이프(161a)의 상부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제3벨크로테이프에 대응 결합되는 제4벨크로테이프(161b)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모자부(160)는 그 폭 조절을 위해 정수리 후방측에 아래 아래쪽에 모자부의 폭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고무 밴드(162)가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즉, 모자부(160)는 모자 외측(외피)의 정수리 후방측에 폭 및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가 장착되어 있다.That is, the
이로써 모자부(160)가 부착된 통기 조절 의복은 의복 착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제3밸크로테이프(161a)와 제4벨크로테이프(161b)의 결합 간격을 조절하여 모자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또는 고무밴드(162)의 전체 길이를 줄이거나 또는 확장시키는 과정을 통해 모자부의 전체 폭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방한 또는 방풍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at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의복 105 : 프린세스 라인
110a-110d : 통기구 115 : 지퍼
120 : 주머니 130 : 제1벨크로테이프
140 : 제2벨크로테이프 150 : 내부 밴드부
151 : 제1 신축부 152 : 유격부
153 : 제2 신축부 154,155 : 결합부
156a,156b : 버튼 157a,157b : 벨크로테이프
160 : 모자부 161a : 제3벨크로테이프
161b : 제4벨크로테이프 162 : 고무 밴드100: clothes 105: Princess Line
110a-110d: Ventilation 115: Zipper
120: pocket 130: first Velcro tape
140: second Velcro tape 150: inner band portion
151: first stretchable portion 152: play part
153: second
156a, 156b:
160:
161b: fourth Velcro tape 162: rubber band
Claims (15)
의복의 전면의 양측 가슴부에 통풍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퍼가 형성된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기구는 통기구의 단부 일측을 접어서 개방할 수 있도록 꺽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기구의 접어 개방되는 부분의 일측에는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며,
의복의 전면에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대응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In the ventilation control clothes that can control the air flowing into the clothes,
A zippered vent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garment to allow for adjustment of the ventilation volume,
The vent is made of a bent shape to be opened by folding one end of the vent,
A first Velcro tap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olded opening portion of the vent,
The front of the garment is a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gar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Velcro t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Velcro tape is provided.
의복의 전면에 2개의 통기구를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하되, 상기 통기구는 통풍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퍼가 구비되어, 의복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통기 조절 의복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밴드부는,
일측부가 상기 의복 안감의 허리 라인의 아래쪽에서 힙 라인을 따라 가로로 직접 덧붙여 재봉되며, 신축성을 갖는 탄성 재질의 옷감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신축부;
일측부가 상기 제 1신축부의 다른 측부를 따라 재봉되며, 내부 밴드부가 상기 의복 안감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유격 가능하도록 일정 폭을 갖게 형성되는 유격부;
일측부가 상기 유격부의 다른 측부를 따라 재봉되며, 사용자의 내부 의복에 신축적 고정 및 밀착 가능하도록 고무 재질의 옷감으로 이루어지는 제2 신축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Equipped with an elastic inner band attached to the waist of the lining, it is made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garmen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body,
In the front of the garment is provided with two vents in a symmetrical position, the vent is provided with a zipper to adjust the amount of ventilation, in the ventilation control garment that can control the air flowing into the garment,
The inner band portion,
A first elastic part having one side part directly stitched horizontally along the hip line at a lower side of the waist line of the garment lining an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One side portion is sewn alo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the clearanc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lining of the garmen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multi-sided breathable gar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cluding; one side is sewn along the other side of the play portion, the second elastic portion made of a rubber material to be elastically fixed and close to the user's inner garment.
폭 및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를 외측에 구비한 모자부가 상기 의복의 목 라인을 따라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t portion provided with an adjustment portion for adjusting the width and length is formed along the neck line of the garment.
상기 통기구의 내측에는 수납용도 및 의복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주머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vent is formed for the storage purpose and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garment.
상기 주머니는 메쉬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5. The method of claim 4,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gar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cket is made of a mesh material.
상기 통기구는 가슴 라인의 상부에서 그 하부의 허리 라인까지 이어지는 프린세스 라인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said vent is formed on a princess line that extends from the top of the chest line to the waist line of the bottom thereof.
일자 형상, 또는 통기구의 단부 일측을 접어 개방할 수 있도록 꺽인 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 또는 그 내부에 주름 구조를 갖는 아코디언 형상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According to claim 2, The vent is,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y one of a straight shape, or a curved shape to be able to fold open one side of the end of the vent, or an accordion shape having a corrugated structure therein.
상기 통기구의 접어 개방되는 부분의 일측에는 제1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며,
의복의 전면에는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에 대응 결합되는 제2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first Velcro tap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olded opening portion of the vent,
The front of the garment is a multi-function ventilation control gar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Velcro tape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Velcro tape.
상기 의복의 안감에 일측부가 덧붙여 재봉되는 상태로 허리 라인의 아래쪽에서 힙 라인을 따라 가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ner band portion,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garment is horizontally along the hip line at the bottom of the waist line in the state of being sewn in addition to the sewing.
양단부에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결합부에는 하나 이상의 버튼이 각각 부착되고 이들 각각의 버튼은 다른측 결합부에 부착되는 상대 버튼과의 대응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ner band portion,
Multi-function ventilation control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each end, and each coupling portion is attached to one or more buttons, respectively, and each of these buttons is capable of corresponding coupling with the mating button attached to the other coupling portion. .
양단부에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결합부에는 벨크로테이프가 각각 부착되고 이들 각각의 벨크로테이프는 다른측 단부에 부착되는 상대 벨크로테이프와의 대응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ner band portion,
Multi-function ventilation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each end, and each coupling portion is attached to the Velcro tape,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Velcro tapes can be correspondingly coupled with the other Velcro tape attached to the other end. cloth.
지퍼 또는 버튼을 이용하여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탈부착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재봉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at portion,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gar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removable or detachable, or fixed by sewing using a zipper or button.
상기 모자부의 정수리 후방측에는 모자부의 상하방향으로 제3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되며,
상기 제3 벨크로테이프의 상부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제3벨크로테이프에 대응되는 제4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The method of claim 13,
A third velcro tape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cap rear of the hat par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hat part.
The upper side of the third velcro tape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velcro tape corresponding to the third velcro tape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상기 모자부의 정수리 후방측 아래쪽에는 모자부의 폭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고무 밴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조절 의복.The method of claim 13,
Multifunctional ventilation control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band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p rear side of the hat length adjustable width di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4088 | 2011-03-18 | ||
KR20110024088 | 2011-03-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6636A KR20120106636A (en) | 2012-09-26 |
KR101335486B1 true KR101335486B1 (en) | 2013-12-05 |
Family
ID=4711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6961A KR101335486B1 (en) | 2011-03-18 | 2012-03-16 | A ventilative clothes with multi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5486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02729U (en) * | 1986-12-24 | 1988-07-04 | ||
JPH07252712A (en) * | 1994-03-14 | 1995-10-03 | Goorudouin:Kk | Hood for raincoat and winter wear |
JP2004176215A (en) * | 2002-11-27 | 2004-06-24 | Japana Co Ltd | Upper wear |
KR20090124720A (en) * | 2008-05-30 | 2009-12-03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jacket |
-
2012
- 2012-03-16 KR KR1020120026961A patent/KR10133548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02729U (en) * | 1986-12-24 | 1988-07-04 | ||
JPH07252712A (en) * | 1994-03-14 | 1995-10-03 | Goorudouin:Kk | Hood for raincoat and winter wear |
JP2004176215A (en) * | 2002-11-27 | 2004-06-24 | Japana Co Ltd | Upper wear |
KR20090124720A (en) * | 2008-05-30 | 2009-12-03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jack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6636A (en) | 2012-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210690U (en) | Modular face mask | |
US9775387B2 (en) | Garment for protection from the elements | |
US20140096305A1 (en) | Convertible head and face covering | |
CN106659253B (en) | Safety cap corresponds to air-ventilating garments | |
KR200462092Y1 (en) | shorts | |
US20230329364A1 (en) | Outerwear having enhanced hood | |
CN210492706U (en) | Sun-proof breathable clothes | |
KR101519102B1 (en) | a raincoat of multipurpose coat type | |
KR101243009B1 (en) | Mountain climbing jacket | |
KR101335486B1 (en) | A ventilative clothes with multifunction | |
CN206251959U (en) | A kind of clothes | |
KR101369541B1 (en) | Clothes For Outdoor Activities | |
CN201767092U (en) | Novel sun protective clothes | |
CN205866046U (en) | Environment response type intelligent cold protective clothing | |
CN214509471U (en) | Sun-proof clothes | |
CN209769047U (en) | Coat with heat dissipation holes | |
CN209017901U (en) | a female jacket | |
CN215898936U (en) | Ventilative sun-proof sportswear | |
CN209883121U (en) | Skin clothes | |
CN213404899U (en) | Ventilative comfortable undershirt skirt | |
US20100319103A1 (en) | Sleepwear having a skirt | |
CN212520857U (en) | Children's disjunctor clothing convenient to dress | |
CN216723212U (en) | Sun-proof clothes | |
JP7634491B2 (en) | Towel with face mask section | |
KR200471740Y1 (en) | clot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