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883B1 - Recycling apparatus for printer head - Google Patents
Recycling apparatus for printer he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4883B1 KR101334883B1 KR1020120000313A KR20120000313A KR101334883B1 KR 101334883 B1 KR101334883 B1 KR 101334883B1 KR 1020120000313 A KR1020120000313 A KR 1020120000313A KR 20120000313 A KR20120000313 A KR 20120000313A KR 101334883 B1 KR101334883 B1 KR 1013348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k
- flow path
- nozzle
- print head
- printer he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29 fi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59 clea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cleaning fl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6—Means for regulating the pressure in the cartrid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세척 및 잉크 충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가 제공된다.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는, 회전축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베이스 프레임, 회전축에 결합되는 몸체와,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잉크가 분사되는 노즐 및 잉크가 주입되는 주입구를 가지며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마련된 프린터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노즐과 밀착되며, 노즐과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1 유로를 연결하는 제1 접속부와, 수용부의 타 측에 위치하여 주입구와 밀착되며, 주입구와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 유로를 연결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노즐이 하방 또는 상방을 향하도록 프린터 헤드의 정렬 상태를 반전시키는 프린터 헤드 홀더, 제1 유로와 연결되어 프린터 헤드 내부의 유체를 흡입하는 석션 펌프 및, 제2 유로와 연결되어 프린터 헤드 내부로 세척액 또는 잉크를 공급하는 공급 탱크를 포함한다.There is provided a printer head regenerating device in which cleaning and ink filling are effective. The print head reproducing apparatus has a base frame having a rotating shaft coup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bod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is open, a nozzle through which ink is injected, and an injection hole through which ink is injected, and ink is formed therein.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a print head having a storage space to be stored is detachably inserted, a first connecting portion which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ozzle, and connects the nozzle and a first flow path extending out of the body;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and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second flow path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body,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so that the nozzle is directed downward or upward A print head holder for reversing the alignment state, a suction pump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to suck the fluid inside the print head, and a second flow path; It is determined and a supply tank for supplying the cleaning fluid or the ink into the print head.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린터 헤드의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린터 헤드의 세척작업과 잉크의 충전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roducing apparatus of a print he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producing apparatus of a print head, in which a washing operation and a filling operation of an ink are effectively performed.
프린터는 크게 토너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레이저 프린터와, 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잉크젯 프린터로 구분할 수 있다. 레이저 프린터는 분말 상태의 토너를 열 또는 압력을 가하여 인쇄용지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인쇄하는 반면, 잉크젯 프린터는 액체 상태의 잉크를 인쇄용지에 직접 분사하는 방식을 통해 인쇄하게 된다.The printer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a laser printer which prints using toner and an inkjet printer which prints using printing ink. Laser printers print by attaching powdered toner to printing paper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while inkjet printers print by spraying liquid ink directly onto printing paper.
잉크젯 프린터에는 잉크가 분사되는 노즐과, 잉크가 주입되기 위한 주입구 및,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마련된 프린터 헤드가 장착된다. 프린터 헤드는 인쇄 용지의 표면 가까이에서 노즐을 통해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The inkjet printer is equipped with a printer head provided with a nozzle for ejecting ink, an injection hole for injecting ink, and a storage space for storing ink. The print head performs printing by ejecting ink through a nozzle near the surface of the printing paper.
이 때, 잉크는 외부의 탱크로부터 공급되어 주입구, 저장공간, 노즐을 차례로 통과하여 이동하는데, 이동과정에서 잉크가 노즐의 내부에 남아 응고되거나 저장공간에 머물면서 침전될 수 있으며, 그 밖에 잉크에 섞인 불순물들과 반응하여 찌꺼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린터 헤드의 사용기간이 길어지면, 이러한 잉크의 찌꺼기들이 프린터 헤드의 내부나, 노즐 및 주입구 부분에 고착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인쇄 품질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k is supplied from an external tank to move through the inlet, the storage space, and the nozzles in order. During the movement, the ink may remain in the nozzle to solidify or remain in the storage space and may precipitate. Reacts with the mixed impurities to form debris. If the print head is used for a long time, these ink debris may stick to the inside of the print head or the nozzle and the inlet portion, which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print quality is significantly degraded.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프린터 헤드를 세척하여 다시 사용하기 위한 프린터 헤드의 재생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재생 장비들은 대개 프린터 헤드의 외부에서 노즐 부분을 향해 세척액을 분사한다거나, 노즐부분에 고착된 잉크 찌꺼기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도록 형성된 것들로서, 프린터 헤드의 노즐 부분에만 세척 효과가 편중되고, 프린터 헤드 내부의 잉크 저장공간이나, 주입구 부분까지 효과적으로 세척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regeneration apparatuses of the print head have been developed for cleaning and reusing the print head. However, existing regeneration equipment is usually formed to spray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toward the nozzle portion or to physically remove the ink residues stuck to the nozzle portion, and the cleaning effect is concentrated only on the nozzle portion of the print hea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clean the ink storage space or the injection hole inside the printer head.
또한, 프린터 헤드의 내부에 남은 잉크를 배출시키거나 새 잉크를 주입하기 위해 흡입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기존에 사용되던 흡입 펌프의 경우, 흡입된 잉크가 저압으로 유지되는 챔버를 지나도록 설계되어 있어 이러한 챔버 내에 수용된 유체를 반복적으로 배출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프린터 헤드의 세척 작업과 잉크를 충전하는 충전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some cases, a suction pump was used to discharge remaining ink or inject new ink into the print head. However, the suction pump used in the past is designed to pass through a chamber in which the sucked ink is kept at a low pressure. There has been a hassle to repeatedly discharge the fluid contained in such a chamber, according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print head and the filling operation for filling the ink is difficult to be made continuousl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린터 헤드의 세척 작업 및, 잉크의 충전 작업이 동시에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er head regeneration device tha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print head and the filling operation of the ink.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는, 회전축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잉크가 분사되는 노즐 및 상기 잉크가 주입되는 주입구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마련된 프린터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과 밀착되며, 상기 노즐과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1 유로를 연결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수용부의 타 측에 위치하여 상기 주입구와 밀착되며, 상기 주입구와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 유로를 연결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노즐이 하방 또는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프린터 헤드의 정렬 상태를 반전시키는 프린터 헤드 홀더,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 헤드 내부의 유체를 흡입하는 석션 펌프 및, 상기 제2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 헤드 내부로 세척액 또는 잉크를 공급하는 공급 탱크를 포함한다.The printer hea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having a rotating shaft coup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bod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being open, a nozzle to which ink is injected, and the ink being injected therein. A printer head having an injection hole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for storing the ink therein; and a receptacle inserted in a detachable manner, positioned in one side of the container, in close contact with the nozzle, and extending out of the nozzle and the body.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ing a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jection hole and connecting the injection path and a second flow path extending out of the body, wherein the rotation shaft Rotated about the printer to reverse the alignment of the print head so that the nozzle is directed downward or upward It is the de-holder,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and the suction pump, to suck the fluid inside the print head comprises a feed tank for supplying the cleaning fluid or the ink into the print head.
상기 석션 펌프는, 적어도 일 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가압 롤러 및, 일 측이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가압 롤러와 상기 가이드 부재 사이에 삽입된 흡입 튜브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흡입 튜브를 가압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흡입튜브 내측에 음압을 발생시켜 상기 제1 유로 내부의 유체를 흡입할 수 있다.The suction pump may include a cylindrical guide member having at least one side open, a pressure roller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guide member, and moving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and one side having the first flow path. And a suction tube connected to and inserted between the pressure roller and the guide member, wherein the pressure roller rotates while pressing the suction tube to generate a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suction tube to suck the fluid inside the first flow path. can do.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판 상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노즐을 향해 단차진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노즐과 밀착되면서 상기 노즐을 밀폐하는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plate-shaped support par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a contact part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art in a stepped shape toward the nozzle, and close contact with the nozzle while sealing the nozzle.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주입구를 향해 연장되는 관 형상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부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되어, 상기 주입구와 밀착되면서 상기 주입구를 밀폐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tubular extension part extending toward the injection hole, and a flange part extending radially from an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to close the injection hol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jection hole.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공급 탱크와 상기 제2 유로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를 개폐하여 상기 세척액 및 상기 잉크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gener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hutoff valve formed between the supply tank and the second flow path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flow path to block supply of at least one of the cleaning liquid and the ink.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제2 유로와 연결되고, 끝단부가 외부로 개방된 흡기관 및, 상기 흡기관과 상기 제2 유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흡기관을 개폐하는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gener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the end of which is open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valve formed between the intake pipe and the second flow path to open and close the intake pipe.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프린터 헤드 홀더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몸체에 밀착되어, 회전된 상기 프린터 헤드 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frame may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printer head holder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to support the rotated printer head holder.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는 프린터 헤드의 정렬상태를 변화시켜 프린터 헤드의 노즐, 잉크 주입구, 및 내부의 잉크 저장공간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 후에는 프린터 헤드 내부의 세척액을 흡입하여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다. The print hea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clean the nozzle, the ink inlet, and the ink storage space of the print head by changing the alignment of the print head. Can be discharged.
또한, 잉크의 주입과 동시에 프린터 헤드 내부의 잔여 기체를 완전히 배기하여, 기포 없이 효과적으로 잉크가 주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세척과정과 잉크 주입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편리하게 프린터 헤드의 재생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t the same time as the ink injection, the remaining gas inside the printer head is completely exhausted, so that ink can be injected effectively without bubbles, and the cleaning process and the ink injection process are continuously performed to conveniently complete the regeneration of the print head. It ha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재생장치의 프린터 헤드 홀더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프린터 헤드 홀더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프린터 헤드 홀더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석션 펌프의 흡입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6은 프린터 헤드의 세척방법 및 잉크 충전방법의 일 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8b는 도 6의 순서도에 따른 프린터 헤드의 세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6의 순서도에 따른 잉크의 충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inter hea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rinter head holder of the playback device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int head holder of FIG. 2 taken along line AA ′.
4A and 4B are oper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otation of the printer head holder of FIG.
5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suction pump of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leaning method and an ink filling method of a print head.
7A to 8B are views for explaining a cleaning process of the print head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6.
9A and 9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ink filling process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6.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complishing the same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inter hea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B.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inter hea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1)는 베이스 프레임(400), 프린터 헤드 홀더(100), 석션 펌프(200) 및, 공급 탱크(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printer
넓은 판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400)은 그 위에 프린터 헤드 홀더(100)와 석션 펌프(200) 및, 공급 탱크(300)를 수용할 수 있으며, 프린터 헤드 홀더(100)와 석션 펌프(200) 및, 공급 탱크(300)는 프린터 헤드의 재생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400) 위에 유기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400) 위에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축(410)이 결합된다.The
프린터 헤드 홀더(100)는 재생대상이 되는 프린터 헤드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프린터 헤드는 프린터 헤드 홀더(100)에 형성된 수용부(120)를 통해서 프린터 헤드 홀더(100)에 삽입되며, 삽입된 후에는 수용부(120)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접속부(130) 및 제2 접속부(140)와 밀착되어 고정된다. 프린터 헤드 홀더(100)는 회전축(410)과 결합되어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제1 접속부(130) 및 제2 접속부(140)는 프린터 헤드의 노즐 및 프린터 헤드의 잉크 주입구에 각각 밀착되며, 몸체(110)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1 유로(150) 및 제2 유로(160)를 통해 프린터 헤드의 내부 공간을 석션 펌프(200) 및 공급 탱크(300)와 연결시킨다. 이 때, 제1 접속부(130)와 석션 펌프(200)는 제1 유로(150)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제2 접속부(140)와 공급 탱크(300)는 제2 유로(16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The first connecting
따라서, 프린터 헤드의 내부에 잔류하는 유체 및 불순물들은 제1 유로(150)를 통해 석션 펌프(200)로 흡입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공급 탱크(300)에 저장된 세척액은 제2 유로(160)를 통해 프린터 헤드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프린터 헤드의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공급 탱크(300)는 세척액 또는 잉크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세척이 완료된 프린터 헤드에 잉크를 충전하여 프린터 헤드 재생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luid and impurities remaining in the print head may be sucked into the
이러한 프린터 헤드 재생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프린터 헤드를 통과하는 세척액 또는 잉크는 제2 유로(160) 및 주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노즐 및 제1 유로(150)를 통하여 유출된다. During this print head regeneration operation, the cleaning liquid or ink passing through the print head is introduced through the
프린터 헤드 홀더(100)는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프린터 헤드의 정렬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노즐의 위치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1)는 프린터 헤드 내부의 잔류 유체나 불순물들을 효과적으로 세척한 후, 빠르게 배출하는 세척 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프린터 헤드의 내부에 기포 없이 잉크를 주입하는 잉크 충전 과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세척과정 및 잉크 충전과정을 포함하는 프린터 헤드의 재생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이하, 도 1과 함께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프린터 헤드 홀더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inter head hold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B together with FIG. 1.
도 2는 도 1의 재생장치의 프린터 헤드 홀더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프린터 헤드 홀더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프린터 헤드 홀더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rinter head holder of the reproducing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inter head holder of FIG. 2 taken along line AA ′, and FIGS. 4A and 4B are views of the printer head holder of FIG. 2. This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rotation.
프린터 헤드 홀더(100)는 회전축(410)에 결합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부(120)와, 수용부(120)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1 접속부(130)와, 수용부(120)의 타 측에 위치하는 제2 접속부(140)를 포함한다.The
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의 형상은 정형화 된 것이 아니며, 수용부(120)의 형상 또는 수용부(120)에 삽입되는 프린터 헤드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The
몸체(110)는 수평 방향으로 놓인 회전축(410)에 힌지 결합되며, 따라서 프린터 헤드 홀더(100) 전체가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일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프린터 헤드 홀더(10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410)은 베이스 프레임(400)의 상부로 돌출된 지지바(411)의 끝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The
수용부(120)는 몸체(110)의 일부분을 개방하여 프린터 헤드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수용부(120)의 형상 역시 프린터 헤드의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The receivin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린터 헤드(H)는 사각의 블록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잉크가 분사되는 노즐(H₁)과 잉크가 주입되기 위한 주입구(H₂)를 가진다. 프린터 헤드(H)의 내부에는 주입된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공간(도 7a 내지 도 9b의 H₃참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저장공간(H₃)은 노즐(H₁) 및 주입구(H₂)와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다. 2 and 3, the printer head H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block shape, and has a nozzle H₁ through which ink is injected and an injection hole H2 through which ink is injected. A storage space (see H₃ of FIGS. 7A to 9B) is formed in the printer head H, and the storage space H₃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nozzle H₁ and the injection hole H₂. Form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프린터 헤드(H)는 노즐(H₁) 및 주입구(H₂)가 수용부(120)를 향하도록 하여 수용부(120)에 삽입된다. 수용부(120)의 외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신장된 외벽(121)이 형성되고, 수용부(120)의 내측에는 수용부(120)의 수용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는 내벽(122)이 형성된다. 프린터 헤드(H)는 수용부(120)에 삽입된 후 외벽(121)과 내벽(122)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The printer head H is inserted into the
수용부(120)의 일 측에는 노즐(H₁)과 밀착되는 제1 접속부(130)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주입구(H₂)와 밀착되는 제2 접속부(140)가 형성된다. One side of the
제1 접속부(130)는 노즐(H₁)이 향하는 방향의 맞은편에 위치하여 노즐(H₁)과 밀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하는 노즐(H₁)에 대응하여, 제1 접속부(130)는 수용부(120)의 저면에 형성되는 판 상의 지지부(131) 및, 지지부(131)에서 노즐(H₁)을 향해 돌출되는 밀착부(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착부(132)는 단차진 형태로 너비가 감소하여 노즐(H₁)의 표면과 직접 밀착되거나, 노즐(H₁)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H₁)은 제1 접속부(130)에 접속된 채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가 된다. The first connecting
지지부(131)의 하방에는 제1 유로(150)가 연결된다. 제1 유로(15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관 또는 튜브일 수 있으며, 제1 접속부(130)를 경유하여 노즐(H₁)과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프린터 헤드(H)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는 노즐(H₁) 및 제1 접속부(13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제1 유로(150)로 이동할 수 있다.The
제2 접속부(140)는 수용부(120)의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23)의 내측에 위치한다. 돌출부(123)는 프린터 헤드(H)의 주입구(H₂)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2 접속부(14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로 기능한다. 돌출부(123)는 제2 접속부(140)의 주변을 감싸 보호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The second connecting
제2 접속부(140)는 주입구(H₂)를 향해 내부가 빈 관 형태로 연장되는 연장부(141)와, 연장부(141)의 끝단부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랜지부(142)는 주입구(H₂)의 주위에 밀착되거나, 주입구(H₂)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주입구(H₂)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입구(H₂)는 제2 접속부(140)에 접속된 채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가 된다. The second connecting
제2 접속부(140)는 연장부(141)의 일 측에 형성된 포켓 형태의 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43)는 연장부(1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접속부(140)는 연결부(143)를 통해 제2 유로(160)와 연결된다. 제2 유로(160) 역시 제1 유로(150)와 마찬가지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관 또는 튜브일 수 있다.The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이러한 특징을 갖는 프린터 헤드 홀더(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4A and 4B, the
우선 도 4a를 참조하면, 프린터 헤드 홀더(100)는 프린터 헤드(H)가 삽입된 상태로 일차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 때, 수용부(도 1 및 도 3의 120 참조)는 상방을 향해 개방되며, 프린터 헤드(H)의 노즐(도 3의 H₁참조)은 제1 접속부(130)에 접속된 채 하방을 향하게 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4A, the
프린터 헤드 홀더(100)는 베이스 프레임(400)으로부터 프린터 헤드 홀더(100)를 향해 돌출된 지지돌기(421)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지지바(411)에 결합된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이어서, 도 4b를 참조하면, 회전을 끝낸 프린터 헤드 홀더(100)는 또 다른 지지돌기(420)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지지돌기(420, 421)들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돌기(420, 421)는 몸체(110)의 서로 다른 지점에 밀착되면서 프린터 헤드 홀더(100)를 지지할 수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4B, the
이와 같이 회전되고 나면, 프린터 헤드 홀더(100)에 삽입된 프린터 헤드(H)는 정렬 상태가 반전되고, 노즐(H₁) 및 제1 접속부(130)는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가 변경된다. 즉, 정렬 상태가 반전된다는 것은, 프린터 헤드 홀더(100)의 회전에 따라, 프린터 헤드(H)의 위치가 변경되어, 노즐(H₁)이 향하는 방향이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After the rotation, the alignment of the print head H inserted into the
이하,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프린트 헤드 재생장치의 나머지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1 and 5,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printhead reproduc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석션 펌프(200)는 원통형상의 가이드 부재(210)와 가이드 부재(2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가압 롤러(220) 및, 가압 롤러(220)와 가이드 부재(210) 사이에 삽입되는 흡입 튜브(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가이드 부재(2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일 측은 개방되어 흡입 튜브(230)를 수용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10)의 내측으로 수용된 흡입 튜브(230)는 가이드 부재(210)를 따라 굴절된다. 가이드 부재(210)는 원통형상이 아닌 휠 형상이나, 부드러운 굴절면을 갖는 또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가압 롤러(220)는 가이드 부재(210)의 내측에서 회전하여 가이드 부재(21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210)의 내측에 삽입된 흡입 튜브(230)는 가압 롤러(220)에 밀착되어 변형될 수 있다. 가압 롤러(220)는 가이드 부재(210)의 중심부에 장착된 구동축(222)과 구동축(222)에 고정된 브라켓(2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압 롤러(220)는 브라켓(221)의 단부에 결합되어 흡입 튜브(230)를 압박할 수 있다. 구동축(222)은 베이스 프레임(400)의 일 측에 결합된 모터(240)와 모터(24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25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The
구동축(222)이 회전하면, 가압 롤러(220)는 도 5와 같이 가이드 부재(210) 가이드 부재(21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가압 롤러(220)는 지속적으로 흡입 튜브(230)와 밀착되어 흡입 튜브(230)를 가압하게 되며, 흡입 튜브(230)는 가압 롤러(220)가 이동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음압을 생성하여 유체를 흡입할 수 있다. 이 때, 흡입 튜브(230)로 흡입된 유체는 가압 롤러(220)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따라서, 제1 유로(150)와 연결된 흡입 튜브(230)는 제1 유로(150) 내부의 유체를 흡입할 수 있으며, 흡입된 유체는 흡입 튜브(230)를 통과한 후, 흡입 튜브(230)의 단부에 연결된 배출구(231)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흡입 튜브(230)는 가압 롤러(220)의 이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이 병렬로 연결되어 흡입력을 가중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공급 탱크(300)는 하나 이상이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각각 세척액 또는 잉크를 저장할 수 있다. 공급 탱크(300)는 잉크의 종류 또는 색에 따라서 하나 이상이 더 추가될 수 있다.One or
공급 탱크(300)와 제2 유로(160)의 사이에는 제2 유로(160)를 개폐하여, 세척액이나 잉크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 밸브(310)가 형성된다. 차단 밸브(310)는 공급 탱크(300)의 개수에 따라서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밸브(310)를 잠금 상태로 하여 세척액 또는 잉크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차단 밸브(310)를 모두 잠금 상태로 하면, 세척액 및 잉크의 공급이 중지될 수 있다.A blocking
한편, 제2 유로(160)의 일 측에는 끝단부가 외부로 개방된 흡기관(170)이 연결될 수 있다. 흡기관(170)과 제2 유로(160)의 사이에는 흡기관(170)을 개폐하는 제어 밸브(16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어 밸브(161)가 열리면, 제2 유로(160)는 흡기관(170)으로부터 세척액이나 잉크가 아닌 외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전술한 차단 밸브(310)는 모두 잠금 상태가 되고, 세척액 및 잉크의 유입은 중지된다. 반대로, 제어 밸브(161)를 잠금 상태로 하면, 제2 유로(160)는 세척액 또는 잉크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어 밸브(161)와 차단 밸브(310)의 개폐 작용을 이용해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1)를 좀 더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이하, 도 1과 함께 도 6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의 프린터 헤드 세척 과정 및 잉크 충전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inthead cleaning process and the ink filling process of the printhead reproduc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B together with FIG. 1.
도 6은 프린터 헤드의 세척방법 및 잉크 충전방법의 일 례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a 내지 도 8b는 도 6의 순서도에 따른 프린터 헤드의 세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9a 및 도 9b는 도 6의 순서도에 따른 잉크의 충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leaning method and an ink filling method of the print head, and FIGS. 7A to 8B are views for explaining a cleaning process of the print head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6, and FIGS. 9A and 9B.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illing the ink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세척 작업 및 잉크 충전 작업을 진행하여 프린터 헤드 재생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The print
우선 프린터 헤드 홀더(100)에 프린터 헤드(H)를 장착한다(S100). 프린터 헤드(도 7a 내지 도 9b의 H 참조)는 사용되던 프린터에서 분리된 후 프린터 헤드 홀더(100)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된 프린터 헤드의 노즐(도 7a 내지 도 9b의 H ₁참조)은 제1 접속부(130)에 접속되고, 주입구(도 7a 내지 도 9b의 H₂ 참조)는 제2 접속부(140)에 접속된다.First, the print head H is mounted on the print head holder 100 (S100). The printer head (see H in FIGS. 7A-9B) may be mounted on the
다음 단계로, 프린터 헤드 홀더(100)를 회전시켜 프린터 헤드(H)의 정렬 상태를 반전시킨다(S110).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상태가 반전된 프린터 헤드(H)는 노즐(H₁)이 상방을 향하게 된다.In the next step, the
이러한 상태에서 석션 펌프(200)를 작동시켜 프린터 헤드에 남은 잔여 잉크 및 찌꺼기(S)들을 흡입한다(S120). 이 때, 석션 펌프(200)의 흡입력에 의해 세척액(L)이 프린터 헤드(H)에 공급되어 세척 작업이 진행된다.In this state, the
노즐(H₁)이 상방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세척액(L)은 주입구(H₂)를 통해 잉크의 저장공간(H₃)을 하방에서부터 모두 채운 후에야 노즐(H₁)을 통과할 수 있다.Since the nozzle H₁ is directed upward, the cleaning liquid L may pass through the nozzle H₁ only after the storage space H₃ of the ink is fill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H2 from below.
따라서, 도 7b와 같이 세척액(L)이 저장공간(H₃)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저장공간(H₃) 및 이와 연결된 주입구(H₂)와 노즐(H₁) 모두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세척액(L)은 인쇄용 잉크에 효과적으로 반응하는 전용 세정제이거나 일정 온도 이상으로 데워진 온수일 수 있으며, 세척액(L)이 온수인 경우, 세척액(L)은 저장공간(H₃)의 내부에 응고된 잉크 찌꺼기(S)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용해시켜 저장공간(H₃)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때, 세척액(L)의 온도는 60℃ 주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액(L)이 저장공간(H₃) 내에 유지되는 시간이 증가될수록 세척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저장공간(H₃)의 내벽에서 분리된 찌꺼기(S)들은 세척액(L)과 함께 노즐(H₁)을 통과하면서 프린터 헤드(H)의 외부로 능동적으로 배출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7B, the washing solution L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the storage space H₃, and thus, the storage space H₃ and the injection holes H₂ and nozzles H₁ connected thereto may be effectively washed. The cleaning liquid (L) may be a dedicated cleaning agent that effectively reacts to the printing ink or hot water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When the cleaning liquid (L) is hot water, the cleaning liquid (L) is the ink residue solidified inside the storage space (H₃). (S) can be dissolved more effectively and separated from storage (H₃).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liquid (L) is preferably formed around 60 ℃. As the time for which the washing liquid L is maintained in the storage space H 3 increases, the washing effect may be increased. The debris S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space H₃ is act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H while passing through the nozzle H₁ along with the washing liquid L.
세척 작업이 일차적으로 완료되면, 프린터 헤드 홀더(1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시 원위치로 정렬시킨다(S130). 이 때, 프린터 헤드(H)는 정렬상태가 다시 반전되어 노즐(H₁)이 하방을 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석션 펌프(200)를 작동시키되, 전술한 차단 밸브(310)를 모두 닫힌 상태로 두고, 제어 밸브(161)는 열린 상태로 하여, 프린터 헤드(H)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킨다(S140). When the washing operation is primarily completed, the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 헤드(H)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프린터 헤드(H) 내부의 잔여 세척액(L)을 말끔이 배출하는 퍼지(purge)작용을 하게 된다. 이 때, 외기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한 주입구(H₂)를 통해 유입되어 세척액(L)을 밀어내며, 세척액(L)은 하방을 향하는 노즐(H₁)을 통해 손쉽게 배출된다. 이러한 퍼지 작용 역시 일정 시간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린터 헤드(H)의 내부가 말끔히 세척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8A and 8B,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printer head H may purge the remaining cleaning liquid L inside the printer head H. At this time,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H₂) located in a relatively high position to push out the washing liquid (L), the washing liquid (L) is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H ₁) directed downward. This purge action may also last for a certain time, through which the inside of the print head (H) can be cleaned.
퍼지작용이 종료하면, 세척작업이 종료한다. 이와 같은 세척 작업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 차례 반복될 수 있다.When the purge operation ends, the washing operation ends. This cleaning operation may be repeated several time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세척 작업이 완전히 종료하면, 프린터 헤드(H)의 정렬상태를 다시 반전시킨다(S150). 이 때, 노즐(H₁)은 다시 상방을 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석션 펌프(200)를 다시 작동시키고 차단 밸브(310)를 열어 잉크를 공급하면 프린터 헤드(H)에 잉크가 주입된다(S160).When the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alignment state of the print head (H) is reversed again (S150). At this time, the nozzle H 'is directed upward again. In this state, when the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I) 역시 저장공간(H₃)의 하방으로부터 차례로 주입되며, 이와 동시에 저장공간(H₃)내부의 공기는 노즐(H₁)을 통해 차례로 배출된다. 따라서, 도 9b처럼, 잉크(I)가 노즐(H₁)의 외부로 일부 배출될 때까지 주입되면, 저장공간(H₃)의 내부는 기포 없이 잉크(I)만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잉크(I)를 기포 없이 프린터 헤드(H)에 주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9A and 9B, ink I is also sequentially injec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space H 3, and at the same time, air in the storage space H 3 is sequentially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H ′. Therefore, as shown in FIG. 9B, when the ink I is injected until parti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nozzle H ',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H 3 may be filled with only the ink I without bubbles. Using this method, the ink I can be injected into the print head H without bubbles.
잉크의 주입이 종료되면, 프린터 헤드 홀더(100)를 원위치로 다시 회전시키고 프린터 헤드(H)를 분리하게 되며, 세척 및 충전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세척 과정 및 잉크 주입 과정을 이용하여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1)는 프린터 헤드 재생작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injection of the ink is finished,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 100: 프린터 헤드 홀더
110: 몸체 120: 수용부
121: 외벽 122: 내벽
123: 돌출부 130: 제1 접속부
131: 지지부 132: 밀착부
140: 제2 접속부 141: 연장부
142: 플랜지부 143: 연결부
150: 제1 유로 160: 제2 유로
161: 제어 밸브 170: 흡기관
200: 석션 펌프 210: 가이드 부재
220: 가압 롤러 221: 브라켓
222: 구동축 230: 흡입 튜브
231: 배출구 240: 모터
250: 벨트 300: 공급 탱크
310: 차단 밸브 400: 베이스 프레임
410: 회전축 411: 지지바
420, 421: 유지돌기
H: 프린터 헤드 H₁: 노즐
H₂: 주입구 H₃: 저장공간
S: 찌꺼기 L: 세척액
I: 잉크1: print head regeneration device 100: print head holder
110: body 120: receiving portion
121: outer wall 122: inner wall
123: protrusion 130: first connecting portion
131: support portion 132: close contact
140: second connection portion 141: extension portion
142: flange portion 143: connecting portion
150: first euro 160: second euro
161: control valve 170: intake pipe
200: suction pump 210: guide member
220: pressure roller 221: bracket
222: drive shaft 230: suction tube
231: outlet 240: motor
250: belt 300: supply tank
310: shut-off valve 400: base frame
410: axis of rotation 411: support bar
420, 421: retaining protrusion
H: Print head H₁: Nozzle
H₂: Inlet H₃: Storage
S: residue L: washing liquid
I: ink
Claims (7)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잉크가 분사되는 노즐 및 상기 잉크가 주입되는 주입구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잉크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마련된 프린터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과 밀착되며, 상기 노즐과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1 유로를 연결하는 제1 접속부 및,
상기 수용부의 타 측에 위치하여 상기 주입구와 밀착되며, 상기 주입구와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 유로를 연결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 형성된 판 형상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노즐을 향해 단차진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노즐과 밀착되면서 상기 노즐을 밀폐하는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주입구를 향해 연장되는 관 형상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부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되어, 상기 주입구와 밀착되면서 상기 주입구를 밀폐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노즐이 하방 또는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프린터 헤드의 정렬 상태를 반전시키는 프린터 헤드 홀더;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 헤드 내부의 유체를 흡입하는 석션 펌프;
상기 제2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 헤드 내부로 세척액 또는 잉크를 공급하는 공급 탱크;
상기 공급 탱크와 상기 제2 유로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를 개폐하여 상기 세척액 및 상기 잉크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 밸브;
상기 제2 유로와 연결되고 끝단부가 외부로 개방된 흡기관; 및,
상기 흡기관과 상기 제2 유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흡기관을 개폐하는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A base frame having a rotating shaft coup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bod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is formed to be open, the receiving portion has a nozzle for ejecting the ink and the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the ink therein is removably inserted into the printer head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ink therein;
A first connection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pa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nozzle and connecting the nozzle and a first flow path extending out of the body;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and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second passage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inlet and the body,
The first connection part includes a plate-shaped support par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art, and a contact part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art in a stepped form toward the nozzle to close the nozzl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nozzl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a tubular extension extending toward the injection hole,
Radially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jection hole and comprises a flange for sealing the injection hole,
A printer head holder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to reverse the alignment of the print head such that the nozzle faces downward or upward;
A suction pump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to suck fluid inside the printer head;
A supply tank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for supplying a cleaning liquid or ink into the printer head;
A shutoff valve formed between the supply tank and the second flow path, the shutoff valve which opens and closes the second flow path to block supply of at least one of the cleaning liquid and the ink;
An air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and open at an end thereof to the outside; And
And a control valve formed between the intake pipe and the second flow path to open and close the intake pipe.
적어도 일 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가압 롤러 및,
일 측이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가압 롤러와 상기 가이드 부재 사이에 삽입된 흡입 튜브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흡입 튜브를 가압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흡입튜브 내측에 음압을 발생시켜 상기 제1 유로 내부의 유체를 흡입하는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ction pump,
A cylindrical guide member having at least one side open;
A pressure roller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guide member and moving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and includes a suction tube inserted between the pressure roller and the guide member,
And the pressure roller rotates while pressing the suction tube to generate a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suction tube to suck the fluid inside the first flow path.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프린터 헤드 홀더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몸체에 밀착되어, 회전된 상기 프린터 헤드 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인 프린터 헤드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base frame protrudes toward the printer head holder, and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that adheres to the body and supports the rotated printer head hold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0313A KR101334883B1 (en) | 2012-01-02 | 2012-01-02 | Recycling apparatus for printer hea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0313A KR101334883B1 (en) | 2012-01-02 | 2012-01-02 | Recycling apparatus for printer hea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9059A KR20130079059A (en) | 2013-07-10 |
KR101334883B1 true KR101334883B1 (en) | 2013-12-02 |
Family
ID=4899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0313A Active KR101334883B1 (en) | 2012-01-02 | 2012-01-02 | Recycling apparatus for printer hea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488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8819A (en) | 2018-10-04 | 2020-04-14 | (주) 평 안 | Ink supply device of ink jet print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8383A (en) * | 1998-08-03 | 2000-04-18 | Canon Inc | Device and method for recovering ejection |
JP2004299324A (en) * | 2003-03-31 | 2004-10-28 | Dainippon Printing Co Ltd | Driving control tube pump and inkjet recording device |
JP4306170B2 (en) * | 2000-05-29 | 2009-07-2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Ink cartridge refilling method, ink refilling apparatus, and ink filling method |
-
2012
- 2012-01-02 KR KR1020120000313A patent/KR1013348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8383A (en) * | 1998-08-03 | 2000-04-18 | Canon Inc | Device and method for recovering ejection |
JP4306170B2 (en) * | 2000-05-29 | 2009-07-2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Ink cartridge refilling method, ink refilling apparatus, and ink filling method |
JP2004299324A (en) * | 2003-03-31 | 2004-10-28 | Dainippon Printing Co Ltd | Driving control tube pump and inkjet recording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8819A (en) | 2018-10-04 | 2020-04-14 | (주) 평 안 | Ink supply device of ink jet prin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9059A (en) | 2013-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87579B2 (en) | Printing device | |
JP3684022B2 (en) | Liquid replenishment method, liquid discharge recording apparatus, and ink tank used as a main tank of the liquid discharge recording apparatus | |
JP5921136B2 (en)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logistics ink discharge method | |
KR20030031247A (en) |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and ink jet printer having the same | |
CN101289021A (en) | printer device | |
JP2011235470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liquid filling method in the same | |
JP5954564B2 (en) | Apparatus including liquid cleaning and filling unit, liquid cleaning and filling method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pparatus including liquid cleaning and filling kit | |
JP2009119702A (en) | Wiping unit and inkjet printer | |
JP6465060B2 (en) | Printing device | |
ES2709055T3 (en) | Equipment and method for cleaning inkjet printheads | |
KR101334883B1 (en) | Recycling apparatus for printer head | |
JPS60151059A (en) | How to remove the ink suction cap from an inkjet recording device | |
JP5347208B2 (en) | Printer device | |
CN104553333B (en) | Liquid injection apparatus, adapter and liquid-supplying system | |
JP3826795B2 (en) | Cleaning device in ink supply path in recording apparatus | |
KR20090003100U (en) | Ink filling unit for ink cartridges | |
JP2003019816A (en) | Printing device | |
JP7632017B2 (en) | Recording device | |
JP2009262446A (en) | Waste liquid collecting unit | |
JP3823355B2 (en) | Ink replacement filling device in ink cartridge | |
JP2004114647A (en)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filling method | |
KR200388482Y1 (en) | Equipment for cleaning nozzle of ink jet printer cartridge | |
GB2460862A (en) | Ink cartidges | |
JP2023149340A (en) | Liquid container and liquid discharge device | |
JP2009262496A (en) | Waste liquid receiving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