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651B1 - Apparatus for water purification without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water purification without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4651B1 KR101334651B1 KR1020120088677A KR20120088677A KR101334651B1 KR 101334651 B1 KR101334651 B1 KR 101334651B1 KR 1020120088677 A KR1020120088677 A KR 1020120088677A KR 20120088677 A KR20120088677 A KR 20120088677A KR 101334651 B1 KR101334651 B1 KR 1013346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reated water
- hydraulic pressure
- tank
- membrane filt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5374 membrane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8000005202 de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3588 decontamin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6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415 in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285 membrane fou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03 advanced oxidation proces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71 micro-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처리의 경로 상에 중간 저류조 및 펌프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정수처리공정들 간에 높이 차이를 둔 상태에서 원수를 공급받는 지점에서 유량 및 유압을 조절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정수처리장치는 정수처리할 원수를 공급하는 펌프(10)와, 상기 펌프(10)로 공급받는 원수를 분리막으로 여과하는 막여과부(100)와, 상기 막여과부(100)로 여과한 처리수에서 잔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잔존오염제거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막여과부(100)를 잔존오염제거부(200)의 상류에 설치하여, 상기 막여과부(100)에서 잔존오염제거부(200)에 공급하는 처리수에 높이 차이에 의한 유압이 가해지게 하고, 상기 막여과부(100)에서 잔존오염제거부(200)에게 공급하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수단(20) 및 처리수의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조절수단(30)을 구비하여, 잔존오염제거부(200)의 오염물질 제거 처리 능력에 맞추어 처리수의 유량 및 유압을 조절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installation of an intermediate reservoir tank and a pump on the water treatment path, without a storage tank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at the point where the raw water is supplied i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treatment processes, and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rified water treatment method, which includes a pump 10 for supplying raw water to be purified, a membrane filter part 100 for filtering raw water supplied to the pump 10 with a separation membrane, and In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residual decontamination unit 200 for removing residual contaminants from the treated water filtered by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is a residual decontamination unit ( Installed upstream of 200,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treated water supplied from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to the residual decontamina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and the residual contaminant in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is applied. Supply to Reject (200) Is equipped with a flow rate adjusting means 20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treated water and a hydraulic pressure adjusting means 30 for adjusting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so as to meet the contaminant removal treatment capacity of the residual decontamination unit 200 Adjust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수처리의 경로 상에 저류조 및 펌프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정수처리공정들 간에 높이 차이를 둔 상태에서 원수를 공급받는 지점에서 유량 및 유압을 조절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installing a storage tank and a pump on the water treatment path, without a storage tank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at the point where the raw water is supplied i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treatment processes and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It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method.
고도정수처리공정은, 일반적인 정수처리로는 원수에서 제거하기 어려운 여러가지 오염물질들을 처리하여 목표 수질을 달성하는 추가적인 정수처리공정으로서, 대표적인 고도정수처리공정으로는 막여과 공정, 고도산화(오존처리) 공정, 활성탄흡착 공정, 소독 공정, 생물학적 전처리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고도정수처리공정들은 정수처리공정에 단독적으로 추가되거나 아니면 서로 다른 고도정수처리공정들을 조합하여 정수처리 효과를 높인다. 상기 고도정수처리공정들 중에 막여과 공정은 기본적으로 채택하고 나머지 고도산화 공정, 활성탄흡착 공정, 소독 공정 및 생물학적 전처리 공정들 중에 하나 이상의 공정을 막여과 공정에 추가하여 처리수에 잔존하는 오염을 제거한다.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 is an additional water treatment process that achieves the target water quality by treating various contaminants which are difficult to remove from raw water by general water treatment. Typical typical water treatment processes ar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and advanced oxidation (ozone treatment). A process, a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process, a disinfection process, a biological pretreatment process, etc. are mentioned. These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es are added to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process alone or by combining different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es to increase the water treatment effect. Among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es, membrane filtration process is basically adopted, and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 activated carbon adsorption process, disinfection process, and biological pretreatment process is added to th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to remove contamination remaining in the treated water. do.
도 1은 막여과, 고도산화(오존처리), 활성탄흡착, 소독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정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정수처리장치에서 각각의 공정별 압력강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 consisting of membrane filtration, advanced oxidation (ozone treatment), activated carbon adsorption, disinfection,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pressure drop for each process in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도정수처리공정을 채택한 정수처리장치는 정수처리할 원수를 저장하는 저류지(1)에서 원수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펌프(10), 펌프(10)로 펌핑한 원수를 여과막에 투과시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막여과부(100), 막여과부(100)로 여과 처리하여 얻는 처리수를 임시 저장하는 제1 저류조(3), 및 제1 저류조(3)의 처리수를 공급받도록 연결되어 제1 저류조(3)의 처리수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처리한 정수를 정수지(2)에 저장하는 잔존오염제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정수처리장치는 막여과부(100)와 잔존오염제거부(200)의 사이에 제1 저류조(3)를 설치하여 잔존오염제거부(200)에 공급하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한다.1 and 2,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dopting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 is pumped by the
그리고,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는 처리수에 오존을 투입하여 용존성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고도산화조(210), 처리수에 잔존하는 미세 오염물질과 악취를 활성탄으로 흡착하여 제거하는 활성탄흡착조(220), 및 처리수에 잔존하는 미생물 및 세균을 살균하고 불활성화하는 소독조(230)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형태를 갖추어서, 상기 제1 저류조(3)의 처리수를 고도산화조(210), 활성탄흡착조(220) 및 소독조(230)에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며 단계적으로 정수처리한다. 또한, 고도산화조(210)와 활성탄흡착조(220)의 사이에는 고도산화조(210)로 처리한 처리수를 임시 저장한 후에 후단의 활성탄흡착조(220)에 공급하는 제2 저류조(4)를 설치하여서, 활성탄흡착조(220)에 공급하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한다. 한편, 처리수를 활성탄흡착조(220)에 공급할 때에 일정한 유압을 가하여야 하므로, 제2 저류조(4)의 처리수를 펌핑하여 활성탄흡착조(220)로 압송하는 펌프(5)도 설치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종래의 정수처리장치에서는 공정들 사이에 저류조를 설치함으로써 저류조 설치를 위한 설비비용 및 시설공간의 확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정수처리장치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류조로 인하여 처리수의 유량 흐름에 제동이 발생하므로, 저류조의 후단 처리공정에서 요구되는 처리수의 유량 및 유압을 맞추기 위해 펌프를 추가설치해야 하고, 이에 따라 동력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도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 a storage tank is installed between processes to secure facility cost and facility space for installing the storage tank.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 as shown in FIG. 2, the braking occurs in the flow rate of the treated water due to the storage tank. Therefore, a pump must be additionally installed to match th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required in the downstream treatment process of the storage tank. As a result,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power cost increases.
또한, 저류조에서 처리수의 정체에 따른 미생물 성장 등과 같이 2차 오염의 우려가 있어서, 저류조의 후단에서 처리하는 공정의 처리 능력을 높여야만 하였다.In addition, there is a fear of secondary contamination, such as microbial growth due to the stagnation of the treated water in the storage tank, it wa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process to be treated at the rear end of the storage tank.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저류조를 설치하지 아니하여 처리수의 흐름에 제동을 가하지 아니하고 추가적인 펌프도 필요치 아니하며, 저류조 및 펌프를 정수처리공정의 중간에 추가 설치하지 않더라도 각각의 공정에 필요한 유압을 유지하여 원활하게 정수처리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does not install a reservoir and does not apply a brake to the flow of treated water and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pump, and does not additionally install a reservoir and a pump in the middle of a water treatment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without a storage tank for smoothly treating water by maintaining hydraulic pressure required for each process, and a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수처리할 원수를 공급하는 펌프(10)와, 상기 펌프(10)로 공급받는 원수를 분리막으로 여과하는 막여과부(100)와, 상기 막여과부(100)로 여과한 처리수에서 잔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잔존오염제거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막여과부(100)를 잔존오염제거부(200)의 상류에 설치하여, 상기 막여과부(100)에서 잔존오염제거부(200)에 공급하는 처리수에 높이 차이에 의한 유압이 가해지게 하고, 상기 막여과부(100)에서 잔존오염제거부(200)에게 공급하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수단(20) 및 처리수의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조절수단(30)을 구비하여, 잔존오염제거부(200)의 오염물질 제거 처리 능력에 맞추어 처리수의 유량 및 유압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상기 유량조절수단(20)은, 상기 막여과부(100)의 처리수 배출구에 설치되어 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21); 상기 펌프(10)를 제어하여 원수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펌프제어기(23); 상기 유량계(21)로 측정한 유량이 미리 설정한 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펌프제어기(23)를 제어하는 유량제어기(2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low rate control means 20, the flow meter is installed in the treated water outlet of the
상기 유압조절수단(30)은, 상기 막여과부(100)의 처리수 배출구에 설치되어 처리수의 유압을 측정하는 유압계(31); 상기 막여과부(100)의 원수 유입구에 설치되는 밸브(33); 상기 유압계(31)로 측정한 유압이 미리 설정한 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밸브(33)를 제어하는 유압제어기(3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hydraulic control means 30, the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는, 처리수를 통과하는 경로를 밀폐구조로 구성하여서, 상기 유압조절수단(30)에 의해 조절된 유압이 처리수의 경로에 가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는, 처리수에 잔존하는 미세 오염물질과 악취를 활성탄으로 흡착하여 제거하는 밀폐구조의 활성탄흡착조(220); 를 포함함으로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는, 상기 활성탄흡착조(220)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활성탄흡착조(220)로 처리한 처리수에 잔존하는 미생물 및 세균을 살균 및 불활성화하는 밀폐구조의 소독조(230); 를 포함함으로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는, 상기 활성탄흡착조(220)의 상류에 설치되고, 상기 막여과부(100)로 처리한 처리수에 오존을 투입하여 용존성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한 후에 하류에 설치된 상기 활성탄흡착조(220)에 공급하는 밀폐구조의 고도산화조(210);를 포함함으로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공급하는 펌프(10)와, 원수를 분리막으로 여과하는 막여과부(100)와, 분리막으로 여과하여 얻는 처리수에서 잔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잔존오염제거부(200)를 이용하여 정수처리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정수처리할 원수를 유량 조절하며 펌핑하는 원수 펌핑 단계(S10); 원수 펌핑 단계(S10)로 공급받는 원수를 유압 조절하며 여과막으로 여과하는 막여과 단계(S20); 막여과 단계(S20)로 여과한 처리수를 하류에서 공급받아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잔존오염제거 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원수 펌핑 단계(S10)는,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토출하는 처리수의 유량이 미리 설정한 유량이 되도록 상기 펌프(10)를 제어하고, 상기 막여과 단계(S20)는,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토출하는 처리수의 유압이 미리 설정한 유압이 되도록 상기 여과막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압을 밸브제어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aw water pumping step (S10), the
상기 잔존오염제거 단계(S30)는, 막여과 단계(S20)에서 여과하여 얻는 처리수를 하류에서 공급받아 용존성 오염물질을 오존으로 산화처리하는 고도산화 단계(S31); 고도산화 단계(S31)에서 산화처리한 처리수를 하류에서 공급받아 미세오염물질 및 악취를 활성탄으로 흡착처리하는 활성탄흡착 단계(S32); 및 활성탄흡착 단계(S32)에서 흡착처리한 처리수를 하류에서 공급받아 미생물 및 세균을 살균하고 불활성화하는 소독 단계(S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idual decontamination step (S30), the advanced oxidation step (S31) of receiving the treated water obtained by filtration in the membrane filtration step (S20) downstream to oxidize dissolved pollutants with ozone (S31); Activated carbon adsorption step (S32) of receiving the treated water oxidized in the advanced oxidation step (S31) downstream to adsorb the fine pollutant and odor with activated carbon; And a sterilization step (S33) for sterilizing and inactivating microorganisms and bacteria by receiving the treated water adsorbed in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step (S32) downstream.
상기 고도산화 단계(S31), 활성탄흡착 단계(S32) 및 소독 단계(S33)는, 처리수의 통과 경로를 밀폐구조로 하여 정수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advanced oxidation step (S31), activated carbon adsorption step (S32) and disinfection step (S33), characterized in that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with the passage path of the treated water as a closed structure.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막여과부(100)와 잔존오염제거부(200) 사이에 높이 차이를 갖게 하고, 막여과부(100)로부터 잔존오염제거부(200)에게 공급하는 처리수의 유량 및 유압을 조절하여 잔존오염제거부(200)의 정수처리 능력에 맞게 운영하므로, 저류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음에 따라 시설의 공간효율성을 높이고 처리수의 흐름을 제동 없이 원활하게 하며 저류조에서의 체류로 인해 발생하였다 2차 오염의 염려도 없이 양질의 정수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ha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펌핑하는 펌프(10)와 원수의 유입경로 상에 설치된 밸브(33)로 유량 및 유압을 조절하므로, 잔존오염제거부(200)에 공급할 처리수의 유량 및 유압 조절을 위해서 펌프를 추가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flow rate and the hydraulic pressure by the
또한, 본 발명은 잔존오염제거부(200)의 처리수 통과 경로를 밀폐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막여과부(100)에 설치한 밸브(33)를 이용하여 잔존오염제거부(200)의 내부 유압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급격한 압력 저하도 없고 펌프를 추가 설치할 필요도 없으며, 그러면서도 잔존오염제거부(200)에서 잔존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eated water passage path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정수공정을 연결하여 잔존오염제거부(200)를 구성할 때에 정수공정 간에 높이 차이를 두게 하여, 중간에 저류조 및 펌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잔존오염제거부(200)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2차 오염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when connecting the different water purification process to configure the residual
도 1은 종래 정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정수처리장치에서 유압의 강하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및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에서 유압의 강하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방법의 순서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hydraulic pressure drop in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device.
3 is a block diagram and arrangement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out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a drop in hydraulic pressure in a 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out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of a water treatment method without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및 배치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and arrangement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out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는 정수처리공정에 해당되는 막여과부(100) 및 잔존오염제거부(200)와, 정수처리공정으로 처리할 원수를 공급하는 펌프(10), 정수처리공정으로 처리할 원수의 유량/유압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수단(20) 및 유압조절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는 상기 막여과부(100)의 하류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막여과부(100)로 공급받는 처리수에 높이 차이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게 하여 처리수의 유입을 원활하게 한다. As shown in FIG. 3,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without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reated with the
상기 펌프(10)는, 정수처리할 원수를 저장하는 저류지(1)에서 원수를 펌핑하여 막여과부(100)에 공급하는 동력수단으로서, 펌핑 방식 및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저류지(1)의 원수를 펌핑하고 유량조절수단(20)을 이용하여 원수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펌프이면 만족한다. 여기서, 상기 저류지(1)에 저장하여 정수처리하게 되는 원수는 취수 원수, 일반적인 정수처리공정인 혼화/응징/침전공정으로 처리한 정수, 또는 재처리할 수돗물일 수 있다.The
상기 막여과부(100)는 상기 펌프(10)로 공급받는 원수를 분리막으로 여과하여 원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막여과부(100)는 상기 펌프(10)와 잔존오염제거부(200)에 각각 배관 연결되어 상기 펌프(10)에 의해 원수를 연속적으로 공급받고 원수를 분리막으로 여과하여 후단의 잔존오염제거부(200)에 보내며, 원수가 통과하는 전 경로를 밀폐구조로 형성하여서 공급받는 원수의 유압이 후단의 잔존오염제거부(200)에 가해지게 한다.The
한편, 상기 막여과부(100)는 분리막에 발생하는 막 파울링(membrane fouling)을 제거하기 위해 역세척수단을 구비하여 분리막을 주기적으로 역세척하고, 분리막을 복수개로 마련하여 병렬로 설치함으로써 원수를 분기하여 막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분리막을 병렬로 구성하는 것은 복수개의 분리막을 순서를 정하여 역세척함으로써 역세척하는 분리막을 제외한 나머지 분리막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여과하기 위함이고, 아울러, 분리막의 유지관리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막여과부(100)에 사용되는 분리막은, 예를 들면, MF(Microfiltration)과 UF(Ultrafiltration) 분리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는, 상기 막여과부(100)의 하류에 설치되며, 분리막에 의해 여과된 처리수에서 잔존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잔존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얻는 정수를 정수지(2)에 저장한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는, 순차적으로 배관 연결되는 고도산화조(210), 활성탄흡착조(220) 및 소독조(230)를 구비하되, 고도산화조(210), 활성탄흡착조(220) 및 소독조(230)의 순서로 높게 배치되도록 구비한다. 이에 따라, 고도산화조(210)의 하류에 설치된 활성탄흡착조(220)에 공급되는 처리수에는 고도산화조(210)와 활성탄흡착조(220) 사이의 높이 차이에 해당되는 유압이 처리수에 가해지고, 활성탄흡착조(220)의 하류에 설치된 소독조(230)에 공급되는 처리수는 활성탄흡착조(220)와 소독조(230) 사이의 높이 차이에 해당되는 유압이 가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ual
또한,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를 구성하는 고도산화조(210), 활성탄흡착조(220) 및 소독조(230)의 내부구조는 각각 처리수가 통과하는 경로를 밀폐구조로 구성하여서, 상기 막여과부(100)를 통해 공급받는 처리수의 유압이 처리수의 경로를 따라가며 가해지게 한다. 이에 따라, 잔존오염제거부(200)의 내부에는 별도의 펌프를 추가 설치하지 않더라도 가압된 처리수를 공급받으며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부연하면, 일반적으로 고도산화조, 활성탄흡착조 및 소독조는 처리수의 통과 경로 상부를 오픈시킨 형태도 구성하기도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밀폐구조를 갖추게 하여 처리수의 통과 경로 상부에 공기층이 없게 한다. 한편, 고도산화조(210), 활성탄흡착조(220) 및 소독조(230)의 내부에는 처리수를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공기(air)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벤트 밸브(air vent valve, 211,221,231)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internal structures of the
상기한 잔존오염제거부(200)의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정수처리공정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므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고도산화조(210)는 처리수에 오존을 투입함으로써 용존성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정화처리조이고, 상기 활성탄흡착조(220)는 처리수에 잔존하는 미세 오염물질과 악취를 활성탄으로 흡착하여 제거하는 정화처리조이고, 상기 소독조(230)는 처리수에 잔존하는 미생물 및 세균을 살균하고 불활성화하는 정화처리조이다.Since the components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막여과부(100)의 하류에 잔존오염제거부(200)를 설치하고 잔존오염제거부(200)의 구성요소들도 높이 차이를 갖도록 설치한 후에 펌프(10)로 원수를 펌핑하여 막여과부(100)에 공급하도록 배관 연결한 설치구조를 갖추고, 아울러, 잔존오염제거부(200)에 공급하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수단(20) 및 처리수의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조절수단(30)을 더욱 구비하여서 잔존오염제거부(200)의 오염물질 제거 처리 능력에 맞추어 처리수의 유량 및 유압을 조절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the
여기서, 상기 유량조절수단(20) 및 유압조절수단(30)은, 막여과부(100)에 공급하는 원수의 유량 및 유압을 조절하여서 막여과부(100)의 처리수 배출구로 토출되는 처리수의 유량 및 유압을 조절한다.Here, the flow rate control means 20 and the hydraulic pressure control means 30,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to the treated water outlet of th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유량조절수단(20)은 상기 막여과부(100)에서 막여과한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 배출구에 설치되어 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21)와, 상기 펌프(10)를 제어하여 원수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펌프제어기(23)와, 상기 유량계(21)로 측정한 유량이 미리 설정한 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펌프제어기(23)를 제어하는 유량제어기(22)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20 is installed in the treated water outlet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membrane filtered by the
상기 유압조절수단(30)은, 상기 막여과부(100)의 처리수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막여과부(100)로 막여과하여 토출되는 처리수의 유압을 측정하는 유압계(31)와, 상기 막여과부(100)에서 상기 펌프(10)에 의해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에 설치되어 원수의 유압을 조절하는 밸브(33)와, 상기 유압계(31)로 측정한 유압이 미리 설정한 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밸브(33)를 제어하는 유압제어기(32)를 포함한다.The hydraulic control means 30,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유량조절수단(20) 및 유압조절수단(30)은 상기 막여과부(100)의 처리수 배출구에서 토출되어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에게 공급되는 처리수의 유량 및 유압을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에서 요구되는 처리수의 유량 및 유압에 맞추기 위해서, 상기 막여과부(100)의 원수 유입구 측에 설치한 펌프(10) 및 밸브(33)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에 공급할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펌프를 추가하지 아니하여도 되고, 펌프(10)에 의해 조절하는 유량과 밸브(33)에 의해 조절하는 유압 간에 상호 연관성을 고려하여 펌프(10)가 설치되는 상기 막여과부(100)의 원수 유입구 측에 상기 밸브(33)를 설치하여 유량 및 유압의 조절이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20 and the hydraulic pressure adjusting means 30 are discharged from the treated water outlet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막여과부(100) 및 잔존오염제거부(200)에 저류조를 설치하지 아니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처리장치에서는, 막여과부(100) 및 잔존오염제거부(200)를 경유하는 처리수의 유압이 도 4에 도시한 그래프처럼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torage tank is not installed in th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처리수에 가해지는 유압은 펌프(10)에 의한 압력(), 막여과부(100)와 잔존오염제거부(200) 간의 높이차(H1)에 의한 압력(), 잔존오염제거부(200)의 내부에서 고도산화조(210)와 활성탄흡착조(220) 간의 높이차(H2)에 의한 압력(), 활성탄흡착조(220)와 소독조(230) 간의 높이차(H3)에 의한 압력( )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조(230)와 정수지(2) 사이의 높이 차이가 있으면, 낙차에 의한 압력도 가해진다.In detail, the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treated water is determined by the pressure ( ), The pressure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H1) between the
이와 같이, 펌프(10)에 의한 압력 및 높이 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처리수의 통과 경로를 밀폐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도 4에 보여준 그래프처럼 막여과부(100)의 원수 유입구에서 시작하여 소독조(230)의 정수 배출구에 이를 때까지 급격한 유압 변동 없이 선형적으로 강하하는 그래프로 근사화하여 도시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ressure and the height difference by the
따라서, 막여과부(100)의 원수 유입구 측에 설치한 펌프(10) 및 밸브(33)를 제어함으로써, 후단에 설치된 잔존오염제거부(200)를 구성하는 고도산화조(210), 활성탄흡착조(220) 및 소독조(230)에서의 유압을 조절하여 각 정수처리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by controlling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방법의 순서도이다.5 is a flow chart of a water treatment method without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방법은 상기한 정수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펌핑 단계(S10), 원수를 여과막으로 여과하는 막여과 단계(S20),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얻는 처리수에서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잔존오염제거 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5, the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method without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using the above-described water treatment device, a raw water pumping step of supplying raw water (S10), and a membrane for filtering raw water with a filtration membrane. Filtration step (S20), comprising a residual contamination removal step (S30) for removing the remaining contaminants in the treated water obtained by filtration with a filtration membrane.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한 원수 펌핑 단계(S10)는 저류지(1)의 원수를 펌프(10)로 펌핑하여 막여과부(100)에 공급하되 펌핑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여서 막여과부(100)의 처리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량을 미리 설정된 유량으로 유지되게 한다. In detail, the raw water pumping step (S10) is supplied to the
상기한 막여과 단계(S20)는 펌프(10)로 공급받는 원수를 막여과부(100)의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후단의 잔존오염제거부(200)에 보내되, 펌프(10)로 공급받는 원수의 유압을 조절하여서 잔존오염제거부(200)에 보내는 처리수의 유압을 미리 설정된 유압으로 유지되게 한다. 여기서, 원수를 끊김 없이 연속 정수처리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여과막을 병렬로 설치하고 순번을 정하여 여과막을 역세척할 경우에 역세척하는 여과막에는 원수를 투입하지 않게 되어 유압이 변동하고, 역세척을 하지 않더라도 여과막에서 토출되는 처리수의 유압이 여과막에 발생한 막 파울링(membrane fouling)에 의해서 변동하므로, 복수개의 여과막을 통과하여 합류하는 지점의 유압이 미리 설정한 유압으로 유지되게 한다.The membrane filtration step (S20) is filtered through the filtration membrane of the
상기한 잔존오염제거 단계(S30)는 막여과부(100)로 여과하여 얻는 처리수에서 잔존오염제거부(200)를 이용하여 잔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잔존오염제거부(200)를 막여과부(100)의 하류에 설치하므로, 원수를 여과하여 얻는 처리수를 하부에서 공급받아 높이 차이에 의한 유압이 가해지게 한다.The remaining decontamination step (S30) is a step of removing the remaining contaminants by using the remain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잔존오염제거 단계(S30)는 고도산화조(210)를 이용한 고도산화 단계(S31), 활성탄흡착조(220)를 이용한 활성탄흡착 단계(S32) 및 소독조(230)를 이용한 소독 단계(S33)로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ual contamination removing step (S30) is an advanced oxidation step (S31) using an
상기한 고도산화 단계(S31)는 막여과 단계(S20)에서 여과하여 얻는 처리수를 하류에서 공급받아 용존성 오염물질을 오존으로 산화처리하는 단계이다.The advanced oxidation step (S31) is a step of oxidizing dissolved pollutants with ozone by receiving the treated water obtained by filtration in the membrane filtration step (S20) downstream.
상기한 활성탄흡착 단계(S32)는 고도산화 단계(S31)에서 산화처리한 처리수를 하류에서 공급받아 미세오염물질 및 악취를 활성탄으로 흡착처리하는 단계이다.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step (S32) is a step of receiving the treated water oxidized in the advanced oxidation step (S31) downstream to adsorb the fine pollutants and odors with activated carbon.
상기한 소독 단계(S33)는 활성탄흡착 단계(S32)에서 흡착처리한 처리수를 하류에서 공급받아 미생물 및 세균을 살균하고 불활성화하는 단계이다.The disinfection step (S33) is a step of sterilizing and inactivating microorganisms and bacteria by receiving the treated water adsorbed in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step (S32) downstream.
한편, 상기한 고도산화 단계(S31), 활성탄흡착 단계(S32) 및 소독 단계(S33)는 처리수를 통과시키며 정수처리하는 경로를 밀폐구조로 하여서, 상기한 막여과 단계(S20)에서 조절한 유압이 경로를 따라 가해지게 한다. 이에 따라, 고도산화 단계(S31)는 물론이고 활성탄흡착 단계(S32) 및 소독 단계(S33)에서 정수처리되는 처리수에 유압이 가해져서 정수처리공정이 원활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advanced oxidation step (S31), activated carbon adsorption step (S32) and disinfection step (S33) is a closed structure for the passage of purified water through the treated water, the control in the membrane filtration step (S20)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along the path. Accordingly,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treated water that is purified in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step (S32) and the disinfection step (S33), as well as in the highly oxidized step (S31), thereby smoothing the water treatment process.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 ≪ / RTI >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re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저류지 2: 정수지
10: 펌프
20: 유량조절수단 21: 유량계 22: 유량제어기 23: 펌프제어기
30: 유압조절수단 31: 유압계 32: 유압제어기 33: 밸브
100: 막여과부 110: 원수 유입구 120: 처리수 배출구
200: 잔존오염제거부 210: 고도산화조
220: 활성탄흡착조 230: 소독조1: reservoir 2: clean water
10: pump
20: flow rate control means 21: flow meter 22: flow controller 23: pump controller
30: hydraulic control means 31: hydraulic system 32: hydraulic controller 33: valve
100: membrane filter 110: raw water inlet 120: treated water outlet
200: residual decontamination unit 210: advanced oxidation tank
220: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ank 230: disinfection tank
Claims (11)
상기 막여과부(100)를 잔존오염제거부(200)의 상류에 설치하여, 상기 막여과부(100)에서 잔존오염제거부(200)에 공급하는 처리수에 높이 차이에 의한 유압이 가해지게 하고,
상기 막여과부(100)에서 잔존오염제거부(200)에게 공급하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수단(20) 및 처리수의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조절수단(30)을 구비하여, 잔존오염제거부(200)의 오염물질 제거 처리 능력에 맞추어 처리수의 유량 및 유압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Residual contamination in the pump 10 for supplying the raw water to be purified,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for filtering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pump 10 with a separation membrane, and the treat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In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residual decontamination unit 200 for removing a substance,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is installed upstream of the residual decontamination unit 200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treated water supplied from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to the residual decontamination unit 200 by the height difference. and,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is provided with a flow rate control means 20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treated water supplied to the residual decontamination unit 200 and a hydraulic pressure control means 30 for adjusting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without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pollutant removal processing capacity of the decontamination unit 200.
상기 유량조절수단(20)은,
상기 막여과부(100)의 처리수 배출구에 설치되어 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21);
상기 펌프(10)를 제어하여 원수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펌프제어기(23);
상기 유량계(21)로 측정한 유량이 미리 설정한 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펌프제어기(23)를 제어하는 유량제어기(22);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low control means 20,
A flow meter 21 installed at the treated water outlet of the membrane filtration part 100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treated water;
A pump controller 23 for controlling the pump 10 to adjust the supply amount of raw water;
A flow controller 22 for controlling the pump controller 23 so that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flow meter 21 reaches a preset value;
Water tank without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유압조절수단(30)은,
상기 막여과부(100)의 처리수 배출구에 설치되어 처리수의 유압을 측정하는 유압계(31);
상기 막여과부(100)의 원수 유입구에 설치되는 밸브(33);
상기 유압계(31)로 측정한 유압이 미리 설정한 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밸브(33)를 제어하는 유압제어기(32);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hydraulic control means 30,
A hydraulic system 31 installed at the treated water outlet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to measure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A valve 33 installed at the raw water inlet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A hydraulic controller 32 for controlling the valve 33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measured by the hydraulic system 31 reaches a preset value;
Water tank without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는,
처리수를 통과하는 경로를 밀폐구조로 구성하여서, 상기 유압조절수단(30)에 의해 조절된 유압이 처리수의 경로에 가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emaining decontamination unit 200,
A storage tank free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ssage through the treated water in a closed structure,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controlled by the hydraulic control means 30 is applied to the path of the treated water.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는,
처리수에 잔존하는 미세 오염물질과 악취를 활성탄으로 흡착하여 제거하는 밀폐구조의 활성탄흡착조(220);
를 포함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maining decontamination unit 200,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ank 220 of a sealed structure for adsorbing and removing the fine contaminants and odor remaining in the treated water with activated carbon;
Water tank without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는,
상기 활성탄흡착조(220)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활성탄흡착조(220)로 처리한 처리수에 잔존하는 미생물 및 세균을 살균 및 불활성화하는 밀폐구조의 소독조(230);
를 포함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maining decontamination unit 200,
A disinfection tank 230 installed downstream of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ank 220 for sterilizing and inactivating microorganisms and bacteria remaining in the treated water treated with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ank 220;
Water tank without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잔존오염제거부(200)는,
상기 활성탄흡착조(220)의 상류에 설치되고, 상기 막여과부(100)로 처리한 처리수에 오존을 투입하여 용존성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한 후에 하류에 설치된 상기 활성탄흡착조(220)에 공급하는 밀폐구조의 고도산화조(210);
를 포함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emaining decontamination unit 200,
It is installed upstream of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ank 220, the ozone is added to the treated water treated by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to oxidize and remove dissolved pollutants, and then to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ank 220 installed downstream. Advanced oxidation tank 210 of the sealed structure to supply;
Water tank without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정수처리할 원수를 유량 조절하며 펌핑하는 원수 펌핑 단계(S10);
원수 펌핑 단계(S10)로 공급받는 원수를 유압 조절하며 여과막으로 여과하는 막여과 단계(S20);
막여과 단계(S20)로 여과한 처리수를 하류에서 공급받아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잔존오염제거 단계(S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방법.Water purification treatment using a pump 10 for supplying raw water, a membrane filtration unit 100 for filtering raw water through a separation membrane, and a residual decontamination unit 200 for removing residual contaminants from the treated water obtained by filtration with a separation membrane. In the water purification method without a storage tank,
Raw water pumping step (S10) for controlling and pumping the raw water to be purified water flow;
A membrane filtration step (S20) of hydraulically controlling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raw water pumping step (S10) and filtering the raw water;
Residual decontamination step (S30) of receiv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in the membrane filtration step (S20) downstream to remove the remaining contaminants;
Water treatment method without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원수 펌핑 단계(S10)는,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토출하는 처리수의 유량이 미리 설정한 유량이 되도록 상기 펌프(10)를 제어하고,
상기 막여과 단계(S20)는,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토출하는 처리수의 유압이 미리 설정한 유압이 되도록 상기 여과막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압을 밸브제어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방법.The method of claim 8,
In the raw water pumping step (S10), the pump 10 is controlled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treated water filter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ltration membrane becomes a preset flow rate.
The membrane filtration step (S20), the storage tank-free water treat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filtration membrane by the valve control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to be filtered and discharged by the filtration membrane becomes a predetermined hydraulic pressure. .
상기 잔존오염제거 단계(S30)는,
막여과 단계(S20)에서 여과하여 얻는 처리수를 하류에서 공급받아 용존성 오염물질을 오존으로 산화처리하는 고도산화 단계(S31);
고도산화 단계(S31)에서 산화처리한 처리수를 하류에서 공급받아 미세오염물질 및 악취를 활성탄으로 흡착처리하는 활성탄흡착 단계(S32); 및
활성탄흡착 단계(S32)에서 흡착처리한 처리수를 하류에서 공급받아 미생물 및 세균을 살균하고 불활성화하는 소독 단계(S3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방법.The method of claim 9,
The remaining decontamination step (S30),
Advanced oxidation step (S31) of receiving the treated water obtained by filtration in the membrane filtration step (S20) downstream to oxidize dissolved pollutants with ozon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step (S32) of receiving the treated water oxidized in the advanced oxidation step (S31) downstream to adsorb the fine pollutant and odor with activated carbon; And
Disinfection step (S33) to receive the treated water adsorbed in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step (S32) downstream to sterilize and inactivate microorganisms and bacteria;
Water treatment method without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고도산화 단계(S31), 활성탄흡착 단계(S32) 및 소독 단계(S33)는,
처리수의 통과 경로를 밀폐구조로 하여 정수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방법.The method of claim 10,
The advanced oxidation step (S31), activated carbon adsorption step (S32) and disinfection step (S33),
A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method without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water treatment is carried out with a passage structure of treated wat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8677A KR101334651B1 (en) | 2012-08-14 | 2012-08-14 | Apparatus for water purification without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8677A KR101334651B1 (en) | 2012-08-14 | 2012-08-14 | Apparatus for water purification without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4651B1 true KR101334651B1 (en) | 2013-11-29 |
Family
ID=4985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8677A Active KR101334651B1 (en) | 2012-08-14 | 2012-08-14 | Apparatus for water purification without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465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26609A (en) * | 2014-10-08 | 2015-02-04 | 成都市飞龙水处理技术研究所 | Manufacturing method of integrated multi-functional water producer |
KR101496729B1 (en) * | 2014-01-07 | 2015-03-02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Two stage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77664A (en) * | 1993-01-29 | 1994-10-04 | Daicel Chem Ind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larifying surface flowing water with membrane |
JPH0768257A (en) * | 1993-09-02 | 1995-03-14 | Takenaka Komuten Co Ltd | Fresh water producing apparatus |
KR100502459B1 (en) * | 2003-12-17 | 2005-07-20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Plant reverse osmotic water purifier for having reuse structure of removed water |
KR100611171B1 (en) * | 2005-01-27 | 2006-08-11 | (주)대우건설 | Advanced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Filtration Membrane |
-
2012
- 2012-08-14 KR KR1020120088677A patent/KR10133465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77664A (en) * | 1993-01-29 | 1994-10-04 | Daicel Chem Ind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larifying surface flowing water with membrane |
JPH0768257A (en) * | 1993-09-02 | 1995-03-14 | Takenaka Komuten Co Ltd | Fresh water producing apparatus |
KR100502459B1 (en) * | 2003-12-17 | 2005-07-20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Plant reverse osmotic water purifier for having reuse structure of removed water |
KR100611171B1 (en) * | 2005-01-27 | 2006-08-11 | (주)대우건설 | Advanced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Filtration Membran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6729B1 (en) * | 2014-01-07 | 2015-03-02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Two stage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
CN104326609A (en) * | 2014-10-08 | 2015-02-04 | 成都市飞龙水处理技术研究所 | Manufacturing method of integrated multi-functional water produc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88130B1 (en) | Water treatment device | |
JP5597122B2 (en) | Reverse osmosis processing equipment | |
KR101193902B1 (en) | Water-purifying system and method using membrane filtration for manufacturing purified water | |
AU2009320941A1 (en) | Multi-stage seawater desalination equipment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multi-stage seawater desalination equipment | |
KR101954760B1 (en) | Water Cleaning System Having Backflushing Filter and Water Cleaning Method thereof | |
US20230322602A1 (en) |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of same | |
JP5791767B2 (en) | Reverse osmosis processing equipment | |
KR101334651B1 (en) | Apparatus for water purification without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the same | |
KR20140081629A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0278516B1 (en) | Water Purifier | |
JP2018527179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hemically rinsing filtration systems | |
KR20130131964A (en) | Water sterilization system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1264321B1 (en) | Filtrate pressure control type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using membrane filtration and method for backwashing membrane thereof | |
KR101051597B1 (en) | Water Purifier for Artificial Kidney | |
KR101522254B1 (en) | Two stage membrane filtration system having flexible recovery ratio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20140126894A (en) | Automatic sterilizing system and method of water purifier | |
KR20130025801A (en) | water purifier | |
JP5547224B2 (en) | Membrane filtration system | |
KR101481075B1 (en) | Continuous flow type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using submerged type membrane filtration and method for backwashing membrane thereof | |
KR20110066301A (en) | Purification and Method of Washing Wastewater | |
WO2013042462A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125670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 |
JP2013252505A (en) | Apparatus of manufacturing water for dialysis | |
KR100983312B1 (en) | Apparatus for reusing sewage waste water using separation membrane and ozone | |
KR101777236B1 (en) | Water purofier for removing microorgan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