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3323B1 -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 - Google Patents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323B1
KR101333323B1 KR1020110139393A KR20110139393A KR101333323B1 KR 101333323 B1 KR101333323 B1 KR 101333323B1 KR 1020110139393 A KR1020110139393 A KR 1020110139393A KR 20110139393 A KR20110139393 A KR 20110139393A KR 101333323 B1 KR101333323 B1 KR 10133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ahertz
mirror
scanning mirror
mems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912A (ko
Inventor
정기훈
이정환
박현철
박상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139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3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9Multifaceted or polygonal mirrors, e.g. polygonal scanning mirrors; Fresnel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3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2201/00Specific applications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 B81B2201/04Optical MEMS
    • B81B2201/042Micromirrors, not used as optical switch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1Scanning systems with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ng means, e.g. raster or XY scan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을 개시한다. 상기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은 표면에 테라헤르츠 빔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홀이 형성되어, 높은 Q-facto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large caliber Terahertz Wave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scanning mirror}
본 발명은 테라헤르츠 파장의 빛을 반사시키고 넓은 구동범위를 갖기 위한 MEMS 미세거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라헤르츠를 반사시키기 위해 대구경 미러를 가지면서 낮은 공기저항을 가지게 함으로써 높은 Q-요소를 가지는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거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테라헤르츠파의 빔을 스캔하기 위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미러는 미러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static 미러와 입력신호와 미러의공진을 이용한 공진기를 통해서 발전해왔다.
테라헤르츠파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보다 파장이 길기 때문에 X선처럼 투과력이 강할 뿐 아니라 X선보다 에너지가 낮아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는다. 그러나 테라헤르츠파를 만드는 광원을 개발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가 시작되었다.
테라헤르츠파를 만드는 방법은 자유전자레이저(Free Electron Laser) 또는 싱크로트론복사(synchrotron radiation:방사광가속기)의 전자빔을 이용하는 기술과 극초단 레이저나 비선형물질을 이용하는 기술 등이 있다.
하지만 static 미러의 경우 높은 전기적 구동력이 필요하여 의료 장비나 의료기기 그리고 저전력 휴대용 기기등에는 쓰이지 못한다. 반면에 미러와 입력신호의 공진을 이용한 MEMS 미러의 경우 미러의 위치 조절은 불가능 하지만 낮은 전기적 구동력에도 넓은 구동범위를 갖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외선과 극초단파 사이의 전자기파 영역인 테라헤르츠 영역에 파장이 길고 최소 빔의 크기가 크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스캔하는 거울의 크기가 커지면서 커질수록 공기의 저항은 커지게 됨에 따라 공진을 이용하는 거울의 Q-factor는 낮아지고 Q-factor의 감소에 따라 구동범위도 작아지는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거울을 제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EMS 스캐닝 거울은 공기의 저항을 저하시키도록, 표면에 테라헤르츠 빔을 반사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표면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EMS 스캐닝 거울은 표면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이다.
상기 홀의 직경은 300um 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의 직경은 테라헤르츠파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MEMS 스캐닝 거울은 스프링, 질량 및 저항 시스템에 의해서 고유 진공수를 가지고 입력 신호가 고유 진공수와 공진을 일으켜 동작하는 공진기 내에 구비되는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MEMS 스캐닝 거울은 1차원 스캔너 또는 2차원 스캔너에 장착되는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MEMS 거울은 상기 MEMS 거울의 질량의 10% 이하의 질량분과 상기 MEMS 거울 내에 형성된 전체 홀의 갯수에 따른 질량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진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스캐닝 거울이 테라헤르츠파의 빔을 반사시키면서 높은 구동범위를 갖기 위해서는 대구경의 미러에 테라헤르츠파의 파장보다 작은 구멍을 뚫어서 공기의 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동시에 구멍의 개수를 조절하여 거울의 질량에 10% 이하의 질량에 해당하는 구멍을 만들어 90% 이상의 질량을 유지함으로써 구멍을 뚫지 않는 거울보다 높은 Q-factor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거울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하나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거울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거울(100)은 표면에 테라헤르츠 빔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홀(20)이 형성하여, 높은 Q-factor를 갖는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일 수 있거나 표면에 일정한 간격 또는 서로 다른 간격을 갖는 복수 개의 홀(20)이 형성된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일 수 있다.
상기 홀(20)의 직경은 300um 보다 작거나 같은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테라헤르츠파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홀일 수 있다.
상기 MEMS 거울(100)은 스프링, 질량 및 저항 시스템에 의해서 고유 진공수를 가지고 입력 신호가 고유 진공수와 공진을 일으켜 동작하는 공진기(미도시) 내에 구비되는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MEMS 거울(100)은 1차원 스캔 또는 2차원 스캔너에 장착되는 거울일 수 있다.
상기 MEMS 거울(100)은 거울 질량의 10% 이하의 질량분과 상기 MEMS 거울 내에 형성된 전체 홀의 갯수에 따른 질량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테라헤르츠 영역은 적외선과 극초단파 사이의 전자기파 영역으로 파장이 길고 최소 빔의 크기가 크다, 이러한 테라헤르츠 빔을 스캔하기 위해서는 대구경의 미러가 필요하며, 이러한 스캔 거울의 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공기의 저항은 커지게 됨에 따라 공진을 이용하는 거울의 Q-factor는 낮아지고 Q-factor의 감소에 따라 구동범위도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진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스캐닝 거울이 테라헤르츠파의 빔을 반사시키면서 높은 구동범위를 갖기 위해서는 대구경의 미러에 테라헤르츠파의 파장보다 작은 구멍을 뚫어서 공기의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발명이며, 또한 동시에 구멍의 개수를 조절하여 거울의 질량에 10% 이하의 질량에 해당하는 구멍을 만들어 90% 이상의 질량을 유지함으로써 구멍을 뚫지 않는 거울보다 높은 Q-factor를 가질 수 있는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거울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구체적인 일예들에 불과하며, 제조 과정상의 환경적 요소 등은 당업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차동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20: 홀 100: MEMS 거울

Claims (7)

  1. 테라헤르츠 빔을 스캔하기 위한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에 있어서,
    상기 MEMS 스캐닝 거울은 스프링, 질량 또는 저항 시스템에 따른 소정의 고유 진동수를 가지고, 상기 테라헤르츠 빔에 의한 입력 신호가 상기 고유 진동수와 공진을 일으켜 동작하는 공진기이며,
    상기 테라헤르츠 빔을 반사하는 표면에 상기 테라헤르츠 빔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진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MEMS 스캐닝 거울의 질량이 10% 이하 감소되도록 상기 관통홀의 개수가 조절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테라헤르츠 빔을 스캔할 때 공기 저항이 감소되어 Q-factor가 높아짐에 따라 넓은 구동범위를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EMS 스캐닝 거울은,
    1차원 스캔너 또는 2차원 스캔너에 장착되는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
  7. 삭제
KR1020110139393A 2011-12-21 2011-12-21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 KR10133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393A KR101333323B1 (ko) 2011-12-21 2011-12-21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393A KR101333323B1 (ko) 2011-12-21 2011-12-21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912A KR20130071912A (ko) 2013-07-01
KR101333323B1 true KR101333323B1 (ko) 2013-12-02

Family

ID=4898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393A KR101333323B1 (ko) 2011-12-21 2011-12-21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88863B2 (en) 2020-03-23 2025-01-07 Ecole De Technologie Superieure Terahertz modulation system and method of modulating a terahertz sig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291A (ja) * 2001-04-18 2002-10-29 Amada Co Ltd レーザ加工機
JP2003505247A (ja) * 1999-07-23 2003-02-12 ハイデルベルク・インストルメンツ・ミクロテヒニツク・ゲー・エム・ベー・ハー 微細な穴をあける方法
KR20040102531A (ko) * 2003-05-28 2004-12-08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마이크로 광 조형 방법 및 장치
JP2010107628A (ja) * 2008-10-29 2010-05-13 Topcon Corp Mems走査型ミ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5247A (ja) * 1999-07-23 2003-02-12 ハイデルベルク・インストルメンツ・ミクロテヒニツク・ゲー・エム・ベー・ハー 微細な穴をあける方法
JP2002316291A (ja) * 2001-04-18 2002-10-29 Amada Co Ltd レーザ加工機
KR20040102531A (ko) * 2003-05-28 2004-12-08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마이크로 광 조형 방법 및 장치
JP2010107628A (ja) * 2008-10-29 2010-05-13 Topcon Corp Mems走査型ミ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912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m et al. Lightweight architected lattice phononic crystals with broadband and multiband vibration mitigation characteristics
Chen et al. Observation of electromagnetically induced transparency- like transmission in terahertz asymmetric waveguide-cavities systems
Kim et al. Designing whispering gallery modes via transformation optics
Konoplev et 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studies of a coaxial free-electron maser based on two-dimensional distributed feedback
JP2014197838A (ja) フォトニック結晶スラブ電磁波吸収体および高周波金属配線回路、電子部品、および送信器、受信器および近接無線通信システム
Xu et al. Tailoring the Electromagnetically Induced Transparency and Absorbance in Coupled Fano-Lorentzian Metasurfaces: A Classical Analog of a Four-Level Tripod Quantum System
CN102739170A (zh) 一种用于太赫兹功率放大器的高频结构
KR101333323B1 (ko) 대구경 테라헤르츠 mems 스캐닝 거울
CN107315222B (zh) 表面波光子晶体
KR100518835B1 (ko) 포토닉결정을 이용한 공진기 및 공진장치
Chen et al. A study of FSS in terahertz range for polarization modulation purpose
CN106451032A (zh) 一种太赫兹波增强的内腔太赫兹波参量振荡器
KR102275072B1 (ko) 키리가미 구조 기반 가변형 전자기 메타물질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9921193B (zh) 基于两种耦合方式的双峰类电磁诱导透明装置和方法
KR102061114B1 (ko) 테라헤르츠파 대역에서 동작하는 단위셀 메타 구조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 장치
CN106451035A (zh) 一种斯托克斯光增强的太赫兹波辐射源
Wen et al. Asymmetric frequency conversion with acoustic non-Hermitian space-time varying metamaterial
Goltcman et al. Scattering from artificial piezoelectriclike meta-atoms and molecules
US20120298889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erahertz Electromagnetic Radiation
JP2010504674A5 (ko)
JP6116367B2 (ja) 半導体レーザ装置
US9899115B1 (en) Terahertz trapping device
JP6333122B2 (ja) 金属スリットアレー
CN106253032A (zh) 一种环形腔太赫兹波参量振荡器
Sharma et al. Ellptical and Circular Rods Based Band Pass Filter with 45 Degree Bend in Waveguide for Different Dielectric Rods Structure Using Photonic Crys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8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