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2999B1 - 부착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부착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999B1
KR101332999B1 KR1020087018067A KR20087018067A KR101332999B1 KR 101332999 B1 KR101332999 B1 KR 101332999B1 KR 1020087018067 A KR1020087018067 A KR 1020087018067A KR 20087018067 A KR20087018067 A KR 20087018067A KR 101332999 B1 KR101332999 B1 KR 10133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film
film
peeling
solid
ag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064A (ko
Inventor
마사노리 우에마츠
Original Assignee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1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9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17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handles or handling ta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2013/029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transdermal patches (chemical processes exclud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고체에 일절 손대지 않고 부착할 수 있는, 양산성이 우수한 파프제 등의 부착제, 및 그 제조 방법의 제공으로서,
(a) 2 장의 박리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b) 제 1 박리 필름은, 그 중앙부에서 절곡된 V 형 박리 필름 형상을 갖고, V 형 박리 필름의 편면이 상기 고체면에 부착되고,
(c) 남은 고체면에는 제 2 박리 필름이 부착되고, 그 제 2 박리 필름의 단부가 상기 V 형의 제 1 박리 필름의 절곡 부분을 커버하는, 부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전착된 고체면의 적어도 절반을 튜브상 박리 필름으로 부착하고, 그 튜브상 박리 필름을 반으로 자름으로써, 그 중앙부에서 절곡된 V 형의 제 1 박리 필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제의 제조 방법.
부착제의 제조 방법, 부착제.

Description

부착제 및 그 제조 방법{SKIN PATCH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염·진통, 혹은 소양 치료 등을 목적으로 한 파프제 등의 부착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정상인뿐만 아니라 고령자나 악력이 저하된 환자라도, 박리 필름의 박리부터 부착제의 부착까지의 동작을, 일련의 작업 중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고체 (膏體, drug-containing matrix) 에 일절 손대지 않고,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우수한 부착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고령화 혹은 하드 워크 등에 의해 생기는 요통, 관절통, 어깨결림 등의 대증요법으로서 소염·진통 작용을 갖는 파프제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 최근에는, 띠 형상 포진 등의 치료시에도 부착제가 널리 이용되기에 이르렀다.
종래의 파프제 등의 부착제 (1) 는, 예를 들어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색이나 살색 등의 지지체 (2) 와 당해 지지체의 일면의 거의 전체면에 전착 (展着) 된 점착성을 갖는 고체 (3) 와, 그 고체의 전체면을 피복하는 1 장의 박리 필름 (4) 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일반적인 부착제의 부착 방법 (사용 방법) 으로는, 예를 들어 파프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손가락끝으로 파프제의 모서리를 강한 힘으로 마주 문질러 박리 필름 (4) 을 고의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고체 (3) 의 면으로부터 박리시키고, 그 부위가 복원되기 전에 신속하게 고체를 직접 손가락으로 누르고, 다른 한쪽의 손가락끝으로 점착성을 갖는 고체부끼리 붙지 않도록 천천히 박리 필름 (4) 을 완전하게 박리한 후, 고체부와 지지체를 잡고 환부에 부착하였다.
또, 이런 종류의 부착제의 제조 방법으로는, 기본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 롤 (25) 로부터 인출되는 지지체 (2) 의 일면의 거의 전체면에, 점착성을 갖는 고체 (3) 를 전착시키고, 고체면 상에 박리 필름 롤 (55) 로부터 인출되는 박리 필름 (4) 을 부착시켜 적층체로 하고, 적층체를 절단 (60) 하여 규정된 치수로 재단 (70) 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체의 전체면을 1 장의 박리 필름으로 피복한 부착제에 있어서는, 고체면으로부터의 박리 필름의 박리가 곤란하고, 때로는 고체부끼리 접착되어 버려, 부착제를 손쉽게 환부에 부착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부착제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이 부착제 (1) 는, 백색이나 살색 등의 지지체 (2) 와, 그 지지체의 일면의 거의 전체면에 전착된 점착성을 갖는 고체 (3) 와, 그 고체에 부착된, 상측 박리 필름 (4a) 과 하측 박리 필름 (4b) 의 2 장의 박리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부착제의 부착 방법으로는, 2 장의 박리 필름 중, 상측의 박리 필름 (4a) 의 손잡이 부분을 손가락으로 잡아 천천히 떼어내고, 이어서 하측의 박리 필름 (4b) 의 손잡이 부분을 손가락으로 잡고, 점착성을 갖는 고체부끼리 접착되지 않도 록 천천히 박리 필름을 완전하게 박리한 후, 고체부와 지지체를 잡고 환부에 부착하는 것이다.
이 부착제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 롤로부터 인출되는 지지체 (2) 의 일면의 거의 전체면에, 점착성을 갖는 고체 (3) 를 전착시키고, 고체면에 박리 필름 롤 (55) 로부터 인출되는 박리 필름 (4) 을 부착시키는데, 박리 필름 (4) 을 상측 박리 필름 (4a) 과 하측 박리 필름 (4b) 으로 컷트 (80) 하고, 손잡이부 폴더 (81) 로 단부를 적층시키고 고체 (3) 에 부착하여 적층체로 하고, 적층체를 반으로 자른 (절단) (60) 후, 규정된 치수로 재단 (70) 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19622호
그러나, 이들 상기한 종래의 파프제 등의 부착제에서는, 아직 이하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즉,
(1) 파프제 등의 부착제는, 지지체의 일면의 거의 전체면에 고체를 전착한 후, 당해 고체의 상면에 박리 필름을 부착하여 얻어진 적층물로서의 부착제의 원반 (原反) 을, 직사각형 등의 사각 형상 등으로 재단하여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체, 고체 및 박리 필름의 적층물의 외주 단면이 동일면화되어 있다. 따라서, 박리 필름을 부착제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고체로부터 떼어낼 때에, 박리를시작하기 위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외주 가장자리를 손가락으로 요령껏 마주 문지를 필요가 있어, 고령자 등에는 박리 작업이 곤란하다.
(2) 고체에는, 환부에 대한 접착력을 고려하여 증점 작용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점착성이 매우 높아, 박리 필름을 떼어내기 위하여 강한 힘이 필요해진다. 또한, 파프제 등의 부착제의 양 단부를 잡아 당겨 박리 필름을 박리시키는 타입에서는, 더욱 강한 힘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고령자 등에게는 곤란한 작업이 된다.
(3) 또, 이들 파프제 등의 부착제에서는, 박리 필름을 모두 박리한 후, 또는 박리하면서 환부에 부착하는 수단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부착시에 손가락끝이 고체에 직접 닿는 경우가 있고, 점착성을 갖는 고체끼리 접착되거나, 부착제 자체가 주름지기 쉬워, 그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천천히 신중하게 작업하지 않으면 올바로 부착할 수 없다.
(4) 또한, 박리 필름의 박리시에 손가락끝이 고체에 직접 닿음으로써, 고체의 점착력이 저하되어 버려, 부착 후 파프제 등의 부착제가 말려 올라가는 것이 염려된다.
(5) 또한, 손가락끝이 고체에 직접 닿음으로써 고체가 비위생적이 되어, 손상 피부에 대한 부착시에는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6) 또한, 손가락끝이 고체에 직접 닿음으로써, 고체에 포함되는 약효 성분 등이 손가락끝에 전이될 가능성이 있고, 또 고체에 의한 찐득거림 등의 불쾌감 때문에 충분한 세정이 필요하다.
(7) 또한, 상기한 도 16 에 나타낸 부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하측 박리 필름 (4b) 의 손잡이 부분은, 인라인으로 절곡할 때에 반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절곡 부분을 초음파 시일 등으로 가열하여 소재를 연화시키고, 추가로 임의의 치수로 절곡하여 닙 롤 등으로 형성시켰기 때문에, 고융점의 소재에는 적합 하지 않은 것으로서, 소재가 한정되며, 또한 기계 정지 또는 가동 재개시 등의 때에는, 품질이 불안정해져 충분한 확인이나 관리 등의 배려가 필요하였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부착제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정상인뿐만 아니라 고령자나 악력이 저하된 환자라도, 박리 필름의 박리부터 부착까지의 동작을, 일련의 작업 중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고체에 일절 손대지 않고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양산성이 우수한 파프제 등의 부착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 양태로서,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은,
(a) 고체면에 부착되는 박리 필름이 2 장의 박리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b) 제 1 박리 필름은, 그 중앙부에서 절곡된 V 형 박리 필름 형상을 가짐과 함께, 그 절곡된 V 형 박리 필름의 편면이, 절곡부를 고체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고체면에 부착되고,
(c) 남은 고체면에는 제 2 박리 필름이 부착됨과 함께, 그 제 2 박리 필름의 단부가 상기 V 형의 제 1 박리 필름의 절곡 부분을 커버하는 것인,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일면의 거의 전체면에 전착된 점착성을 갖는 고체와, 그 고체면에 부착되는 박리 필름의 적층 구조를 갖는 부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전착된 고체면의 적어도 절반을 튜브상 박리 필름으로 부착하고, 그 튜브상 박리 필름을 반으로 자름으로써, 그 중앙부에서 절곡된 V 형의 제 1 박리 필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착제의 제조 방법 ; 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남은 고체면에 부착하는 제 2 박리 필름이 시트상의 박리 필름으로서, 제 1 박리 필름의 절곡부를 커버하는 단부 형상이, 직선, 파형 또는 산형의 곡선 혹은 그들의 조합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제의 제조 방법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남은 고체면에 부착하는 제 2 박리 필름이 튜브상 박리 필름으로서, 그 튜브상 박리 필름을 반으로 자름으로써 절곡된 V 형의 제 2 박리 필름 형상으로 하고, 당해 절곡부가 제 1 박리 필름의 절곡부를 커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제의 제조 방법이다.
또, 더욱 구체적인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박리 필름 및/또는 제 2 박리 필름이, 무연신폴리프로필렌, 연신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 합성지, 합성 수지를 단일체 또는 래미네이트한 복합 필름, 혹은 알루미늄 박, 증착 필름을 래미네이트한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부착제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제 5 항 및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박리 필름 및/또는 제 2 박리 필름이 실리콘 가공된 것, 혹은 엠보싱 가공된 것인 부착제의 제조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착제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부착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체면을 제 1 박리 필름 및 제 2 박리 필름의 2 장의 박리 필름에 의해 부착하고, 그 중에서도 튜브상 박리 필름에 의해 부착하고, 그 튜브상 박리 필름을 반으로 자름으로써, 적어도 고체면에 부착되는 제 1 박리 필름이 V 형을 갖는 제 1 박리 필름으로서 형성되고, 타면을 손잡이부로서 구성한 점, 또한 제 2 박리 필름, 즉 상측의 박리 필름에도 손잡이부를 형성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발명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부착제는, 제 2 박리 필름, 즉 상측의 박리 필름에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어, 약한 힘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을 떼어낼 수 있다.
이어서, 하측의 V 형을 갖는 제 1 박리 필름의 손잡이부와 지지체의 적층물을 손가락으로 잡고, 제 1 박리 필름의 손잡이부를 미끄러뜨리듯이 부착제 외측 방향으로 떼어냄으로써, 노출된 고체가 자연스럽게 환부에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박리 필름의 박리시, 박리 시작할 손에 걸리는 부분을 강한 힘으로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에, 힘이 약한 고령자 등도 손쉽게 박리 필름을 박리할 수 있고, 한 손으로 박리부터 부착까지의 일련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또, 박리 필름의 박리부터 환부에 대한 부착까지의 작업 중에서, 고체가 손가락 등에 일절 닿지 않기 때문에, 고체 자체의 점착력 및 피부 추종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고체에 대한 오염이 없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고, 피부 손상 부위에 대한 적용의 부착제로서도 안전한 부착제가 제공되는 이점을 갖고 있다.
또한, 손가락의 끈적거림이 일절 없기 때문에, 매우 위생적으로 부착을 실시할 수 있으며, 손가락의 세정 등은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또, 튜브상 박리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필름의 사행 (蛇行) 이나 기계 정지, 혹은 가동 재개시 등의 때에도 품질은 일정하고, 제조 조작에 특별한 배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제조 방법은, 양산성이 우수한 것이며,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부착제에서 사용하는 박리 필름으로는, 무연신폴리프로필렌 (CPP), 연신폴리프로필렌 (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등의 수지 필름, 종이, 합성지, 합성 수지를 단일체 또는 래미네이트하여 복합시킨 것이나, 알루미늄 박, 증착 필름과 상기 소재를 래미네이트시킨 것, 및 상기 단일 소재 또는 복합 소재에 실리콘 가공이나 엠보싱 가공, 나아가서는 인쇄 또는 착색을 실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튜브상 박리 필름 소재의 제막 방법은, 인플레이션법, T 다이법, 캘린더법, 유연법 등이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튜브상 필름으로 하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법 이외에는 튜빙 가공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단일로 용착할 수 없는 소재는, 히트시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시일층을 적층시킬 필요가 있다.
박리 필름의 두께는 10 ∼ 200㎛, 바람직하게는 25 ∼ 75㎛ 의 범위이다. 박리 필름의 두께가 25㎛ 미만이면, 그 두께가 얇음으로 인해 필름 자체가 잘 잡히지 않게 되고, 또 부착제의 제조시에 있어서, 필름에 주름이 생기기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박리 필름의 두께가 75㎛ 를 초과하면, 부착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재단성이 저하되고, 부착제 자체의 비용 증가의 요인이 된다. 또한, 박리 필름 자체도 보다 고가의 것이 되어, 비용의 면에서 보아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박리 필름에는, 박리시에 있어서의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엠보싱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싱 가공부는, 박리 필름의 전체면 또는 국부적인 지점, 예를 들어 손잡이 부분 등에 형성된다.
이 엠보싱 가공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고 잡기 쉬운 것이면 되고, 다이어 무늬, 격자형, 거북이등껍질 무늬, 파형, 그 외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 가공은, 인플레이션법만 튜브상 원반 필름으로 가공하는데, 다른 제막법의 경우에는, 튜빙 가공 전후 중 어느 때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할지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단, 요철이 심한 무늬를 선택한 경우에는, 튜빙 가공 후에 엠보싱 가공하지 않으면 용착이 곤란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박리 필름의 박리 방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박리 필름과 제 2 박리 필름의 양자, 또는 그 중 어느 하나에 문자, 화살표, 기호, 일러스트 등을 표시하거나, 또는 착색 등을 해도 된다.
제 2 박리 필름의 손잡이 부분, 즉 상측의 박리 필름과 하측에 위치하는 V 형의 제 1 박리 필름의 중첩 부분 (적층 부분) 으로는, 10 ∼ 30mm 정도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25mm 폭이 바람직하다. 이 손잡이 부분이 15mm 폭 미만인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그 손잡이 부분을 잡기 어려워지고, 또 제조시의 사행(蛇行) 에 의한 작업성의 악화, 및 수율이 저하 경향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손잡이 부분이 30mm 폭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손잡이 부분을 잡는 것은 용이해지지만, 비용 증가의 요인이 되고, 또 포장용 팩에 충전할 때에 적층 부분이 말려 올라가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과 하측의 V 형 제 1 박리 필름의 적층 부분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문자, 화살표, 기호, 일러스트 등을 표시, 또는 착색하여 단부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 부분만 다른 부분과 상이한 엠보싱 가공을 하여, 보다 눈에 띄도록 배려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과 하측의 V 형 제 1 박리 필름의 고체와 부착되는 면적 비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 : 하측의 V 형 제 1 박리 필름 = 3 : 1 ∼ 1 : 3,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 ∼ 2 : 1 이 바람직하다.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과 하측의 V 형 제 1 박리 필름의 면적 비율이 1 : 1 보다 작아지면,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고체 부분을 환부에 부착하고, 이어서 상측의 V 형 제 1 박리 필름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문지르면서 떼어낼 때에, 부착 부위를 다른 한쪽의 손가락으로 압착시켜, 탈락 방지를 배려하는 경향이 생긴다. 또한, 하측 V 형 박리 필름의 부착 면적이 증가하므로, 비용 증가 경향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과 하측의 V 형 제 1 박리 필름의 면적 비율이 2 : 1 보다 커지면,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을 박리할 때에 고체끼리 붙을 가능성이 생겨, 천천히 조심스럽게 박리 필름을 박리하는 배려가 필요해진다. 또한,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의 손잡이 부분이 하측의 V 형 제 1 박리 필름의 손잡이 부분에 가까워져,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을 박리할 때에, 상하 박리 필름의 손잡이 부분을 동시에 잡아 버릴 경향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박리 필름의 손잡이 부분의 단부의 절단면은, 직선, 파형, 산형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직선 ∼ 완만한 곡선을 갖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볼록부가 예각인 형상은 박리 필름의 선단에서 손가락끝을 부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하측에 위치하는 V 형 제 1 박리 필름의 손잡이 부분의 단부의 절단면도, 직선, 파형, 산형 등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직선 ∼ 완만한 곡선을 갖는 형상으로, 볼록부가 예각인 형상은 박리 필름의 선단에서 손가락끝을 부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볼록부가 예각인 형상은, 제조시의 고체와 하측 V 형 박리 필름을 부착할 때에 볼록부가 방해가 되어 수율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부착제에 있어서 사용하는 지지체로는, 직포, 부직포, 래미네이트품 등 를 들 수 있고, 그 신축성의 유무는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체의 구체적인 재료로는 종이, 면, 대마, 황마 등의 인피 섬유, 마닐라마 등의 엽맥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양모 등의 수모 섬유나, 견 섬유, 깃털 섬유 등의 단백 섬유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큐프라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나 재생 단백 섬유 등의 재생 섬유,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섬유나 프로믹스 등의 반합성 섬유, 나일론아라미드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나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의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폴리염화비닐리덴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옥시메틸렌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섬유, 폴리파라페닐렌벤즈비스티아졸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섬유의 단일체 또는 복합 섬유를 사용하여 직포, 부직포로 가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지지체는 그 인장 강도, 두께, 신축성 등을 부착 부위에 따라, 또 약물의 지지체로의 이행 등을 고려하여, 상기 재료 중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부착제에 사용하는 고체는, 기제에 약물을 함유시키거나 함으로써, 외용의 파프제 등의 부착제로서 유효하게 이용시키는 것이다. 고체는 피부에 대한 약효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도록 수분을 함유하고, 또한 점착성을 가지며, 상온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도 연화되지 않고, 고체가 피부에 남지 않는 적당한 응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고체에 함유되는 증점제로는, 고체에 수분을 30% ∼ 80% 정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보수성 (保水性) 을 갖는 증점제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증점제의 구체예로는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카라기난,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한천, 아라비아검, 트라가칸스검, 카라야검, 펙틴, 전분 등의 식물계, 잔탄검, 아카시아검 등의 미생물계, 젤라틴, 콜라겐 등의 동물계의 천연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의 셀룰로오스계, 가용성 전분, 카르복시메틸 전분, 디알데히드 전분 등의 전분계 등의 반합성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비닐계,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아크릴계, 그 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산 공중합체 등의 합성 고분자 등의 수용성 고분자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이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겔 강도가 강하고, 또한 보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 20,000 ∼ 70,000 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가 20,000 보다 작아짐에 따라 증점 효과가 부족해져, 충분한 겔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되고, 또 평균 중합도가 70,000 보다 크면 증점 효과가 지나치게 강해,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나타나,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또, 폴리아크릴산나트륨에는, 상기한 수용성 고분자를 2 종류 이상 병용하는 것,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의 강이온 고분자와 고분자 컴플렉스를 형성시켜, 보다 더 겔 강도가 큰 탄성 겔을 얻을 수 있다.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고, 충전제로서 카올린, 산화아연, 탤크, 티탄, 벤토나이트, 규산알루미늄, 산화티탄, 산화아연, 메타규산알루미늄, 황산칼슘, 인산칼슘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 용해 보조제 또는 흡수 촉진제를 배합할 수도 있고, 그러한 것으로서 탄산프로필렌, 크로타미톤, 1-멘톨, 박하유, 리모넨,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약효 보조제로서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1-멘톨, 티몰, 박하유, 노닐산바니릴아미드, 고추 엑기스 등을 첨가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안정화제나 항산화제, 유화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그 외, 고체 성분으로서, 고체를 보다 강고하게 함과 함께 보수성을 갖게 할 목적에서, 필요에 따라 가교제나 중합제를 첨가해도 된다. 이와 같은 가교제는, 증점제 등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증점제로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아크릴산염을 선택한 경우에는, 분자 중에 적어도 2 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Ca, Mg, Al 등의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탄산염 등의 무기산염, 시트르산염, 타르타르산염, 글루콘산염, 스테아르산염 등의 유기산염, 산화아연, 무수규산 등의 산화물,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수산화물 등의 다가 금속 화합물 등인 가교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증점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을 선택한 경우에는, 가교제 혹은 중합제로서 아디프산, 티오글리콜산, 에폭시 화합물 (에피클로르히드린), 알데히드류, N-메틸올 화합물, Al, Ti, Zr, Sn, V, Cu, B, Cr 등의 화합물 등의 착화물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점제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선택한 경우에는, 가교제 혹은 중합제로서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산 공중합체, 폴리애시드 화합물 또는 그 알칼리 금속염 (폴리아크릴산이나 타닌산 및 그 유도체)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점제로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가교제 혹은 중합제로서 퍼옥사이드, 폴리술폰아지드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증점제로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산 공중합체를 선택한 경우에는, 가교제 혹은 중합제로서 다관능 히드록시 화합물, 폴리아민, 요오드,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철, 수은, 납염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점제로서 젤라틴을 선택한 경우에는, 가교제 혹은 중합제로서 포름알데히드, 글루탈알데히드, 디알데히드 전분 등의 알데히드류, 글루옥살, 부타디엔옥사이드 등의 디에폭시드류, 디비닐케톤 등의 디케톤류, 디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증점제로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선택한 경우에는, 가교제로서 수산화리튬, 수산화아연, 수산화알루미늄, 붕산나트륨 등의 다가 금속염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연염, 알루미늄염은 가교 반응이 촉진되므로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 첨가되는 다가 금속염의 농도는, 증점제 (또는 수용성 고분자) 1 당량에 대하여 0.5 ∼ 1.5 당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염의 농도가 0.5 당량 미만이면 가교 반응이 지나치게 느려, 겔 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또한 다가 금속염의 농도가 1.5 당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교 반응이 지나치게 빨라 겔화가 불균일해지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나타나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파프제로는, 피부 밀착성이 양호할 것, 유효 성분의 피부 투과 흡수성을 높일 것, 수분을 가급적 많이 함유하고 있을 것 등이 요구된다. 고체 중의 수분이 증발할 때에 피부로부터 열을 빼앗아 이 발열량이 청량감을 주며, 또 각질층이 내부로부터 증산해 오는 물 분자에 의해 수화되어 약물의 흡수성이 촉진된다. 고체로서 상온 또는 그 부근의 온도에서도 풀어지지 않을 것, 떼어낼 때에 아프지 않고, 고체가 피부에 남지 않을 것, 끈적거리지 않을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고체는 증점제 5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15 중량%, 습윤제 5 ∼ 40 중량%, 충전제 20 중량% 이하, 수분 10 ∼ 80 중량%, 용해 보조제 0 ∼ 8 중량%, 약물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 5 중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착제에 유효 성분으로서 배합되는 약물은, 그 용도에 맞추어 여러 가지 약물이 선택되어 배합될 수 있다. 진통·항염증 성분으로는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이부프로펜, 페르비낙, 살리실산글리콜, 살리실산메틸,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디칼륨, β-글리시리진산 등을 들 수 있다.
혈액 순환 촉진 성분으로서 아세트산토코페롤, 고추 엑기스, 캅사이신, 노닐산바니릴아미드, 니코틴산벤질, 벤질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 항알레르기 성분으로는 염산디펜히드라민, 말레산클로르페닐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국소 자극 성분으로서 1-멘톨, 캠퍼, 박하유, 유칼리유 등, 또한 국소 마취 성분으로서 리도카인, 벤조카인, 디부카인, 테트라카인 등을 들 수 있다. 부착제에 사용되는 약물로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또 약물은 필요에 따라 2 종류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고체 중에 배합되는 약물의 배합량은,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에 미리 설정된 유효량을 환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파프제 등의 부착제의 종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 실시예가 되는 몇 개의 실시형태에 의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 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파프제 등의 부착제를 나타내었다. 도 1a 는 그 사시도이며, 도 1b 는 측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착제인 파프제 (1) 는, 신축성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2) 와, 그 지지체 (2) 의 표면의 대략 전체면에 전착된 고체 (3) 와, 및 고체 (3) 의 고체면에 부착되는 2 장의 박리 필름 (41 및 42) 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물로서의 기본적 구성을 갖는다.
본 파프제 (1) 의 고체 (3) 면에 부착되는 2 장의 박리 필름 중, 그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박리 필름 (41) 은, 그 중앙부에서 절곡된 V 형 박리 필름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절곡된 V 형 제 1 박리 필름 (41) 의 편면은, 절곡부 (44) 가 고체 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고체면의 단부로부터 부착되어 있으며, V 형 박리 필름의 타면은 손잡이부 (45) 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고체면에 부착되는 2 장의 박리 필름 중, 그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박리 필름 (42) 은, 그 중앙부에서 절곡된 V 형 박리 필름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절곡된 V 형 제 2 박리 필름 (42) 의 편면은, 남은 고체면을 부착함과 함께, 그 제 2 박리 필름의 절곡부 (47) 가 하측에 위치하는 V 형 제 1 박리 필름 (41) 의 절곡부 (44) 를 커버하도록 적층되며, 타면은 손잡이부 (46) 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지지체 (2) 의 표면의 대략 전체면에 전착된 고체 (3) 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체 (3) 로서, 고체 (3) 중에는, 약효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소염 진통제인 페르비낙 등의 약물이나 수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고체의 고체면에 부착되는 박리 필름 (41 및 42) 으로는,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두께 30 ∼ 50㎛ 를 갖는 무연신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튜브상 박리 필름이 대략 절반면에 부착된 중첩부 (48) 를 형성하고, 또한 다이어 무늬 엠보싱 가공이 실시된 상측 제 2 박리 필름 (42) 과, 남은 대략 절반면에 부착된 두께 30 ∼ 50㎛ 를 갖는 무연신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튜브상 박리 필름에 다이어 무늬 엠보싱 가공이 실시된 하측 제 1 박리 필름 (41)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박리 필름 (41) 및 제 2 박리 필름 (42) 모두, 튜브상 박리 필름을 반으로 자른 V 형 박리 필름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박리 필름 (42) 과 하측에 위 치하는 V 형 제 1 박리 필름 (41) 의 고체 (3) 에 대한 부착 면적 비율은 1 : 1 로 되어 있다. 또,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박리 필름 (42) 의 제 1 박리 필름에 대한 적층부가 되는 중첩부 (48) 는, 바람직하게는 15 ∼ 25mm 폭의 범위 내가 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근거하는 부착제인 파프제 (1)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공정의 개략도를 도 2 로서 나타내었다.
즉, 지지체 롤 (25) 로부터 인출되는 지지체 (2) 에 점착성을 갖는 고체 (3) 를 전착하고, 그 고체면을, 박리 필름 롤 (55) 로부터,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 (42) 이 되는 튜브상 박리 필름 및 하측의 제 1 박리 필름 (41) 이 되는 튜브상 박리 필름을 부착하여 적층체로 하고, 그 적층체를, 튜브상 박리 필름이 절단 (60) 되도록 반으로 자르고, 그 후 소정의 치수로 재단 (70)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근거하는 본 발명의 부착제인 파프제 (1) 를, 환부에 부착하는 경우의 사용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파프제 (1) 에 있어서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박리 필름 (42) 을 박리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파프제 (1) 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박리 필름 (42) 을 박리시켜, 거의 절반면의 고체 (3) 를 노출시킨 면을 환부에 부착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작업에 이어, 남은 하측에 위치하는 V 형 제 1 박리 필름 (41) 을 떼어내면서 고체 (3) 를 환부에 부착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 도이다.
즉, 먼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프제 (1) 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박리 필름 (42) 의 손잡이부 (46) 를 손가락 (도시 생략) 으로 잡고, 상측 제 2 박리 필름 (42) 을 박리해 나간다. 제 2 박리 필름 (42) 을 모두 박리하면, 제 2 박리 필름 (42) 이 부착되어 있던 고체 (3) 의 고체면 (고체 (3) 의 절반의 면) 이 노출된다.
이어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출된 고체면을 환부에 부착한 후, 지지체 (2) 와 하측에 위치하는 V 형 제 1 박리 필름 (41) 의 손잡이부 (45) 를 함께 잡는다.
그 후,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는 V 형 제 1 박리 필름 (41) 의 손잡이부 (45) 에 접촉한 손가락을, 파프제 외측 방향으로 미끄러뜨리면서, 제 1 박리 필름 (41) 을 떼어냄으로써, 노출되는 고체 (3) 가 자연스럽게 환부에 부착되게 된다.
이로써, 박리 필름의 박리부터 파프제의 부착까지의 작업을, 일련의 동작 중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고체에 손가락이 일절 닿지 않고,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2]
도 6 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파프제 등의 부착제를 나타내었다. 도 6a 는 그 사시도이며, 도 6b 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는, 도 1 에 나타낸 부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파프제 (1) 는, 그것을 구성하는 지지체 (2), 지지체 (2) 의 전체면에 전착되는 고체 (3), 및 고체 (3) 의 고체면에 부착되는 2 장의 박리 필름 (41, 42) 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물로서의 구성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지지체 (2) 의 표면의 대략 전체면에 전착된 고체 (3) 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체 (3) 로서, 고체 (3) 중에는 약효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소염 진통제인 인도메타신 등의 약물이나 수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 장의 박리 필름 (41, 42) 으로서,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 (42) 으로는, 30 ∼ 50㎛ 두께의 무연신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서, 추가로 거북이등껍질 무늬의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 박리 필름을 선택하고 있다.
한편, 하측의 제 1 박리 필름 (41) 으로는, 무연신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서, 추가로 다이어 무늬의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 튜브상 박리 필름을 반으로 자른 것을 선택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박리 필름 (42) 과 하측에 위치하는 V 형 제 1 박리 필름 (41) 의 고체 (3) 에 대한 부착 면적 비율은 1 : 1 로 되어 있다. 또,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박리 필름 (42) 의 제 1 박리 필름에 대한 적층부가 되는 중첩부 (48) 는, 바람직하게는 15 ∼ 25mm 폭의 범위 내가 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근거하는 부착제인 파프제 (1)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공정의 개략도를 도 7 로서 나타내었다.
즉, 지지체 롤 (25) 로부터 인출되는 지지체 (2) 에 점착성을 갖는 고체 (3) 를 전착하고, 그 고체면을, 제 2 박리 필름 롤 (55) 로부터,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 (42) 이 되는 튜브상 박리 필름, 및 제 1 박리 필름 롤 (55) 로부터, 하측의 제 1 박리 필름 (41) 이 되는 튜브상 박리 필름을 각각 인출하고 붙여 적층체로 하고, 그 적층체를, 튜브상 박리 필름이 절단 (60) 되도록 반으로 자르고, 그 후 소정의 치수로 재단 (70)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파프제 (1) 의 환부에 대한 부착 방법은, 상기한 앞의 실시예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된다.
또한, 도 8 에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파프제 (1) 에 있어서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박리 필름 (42) 을 박리하는 작업 상태를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나타내었는데, 그 후의 부착 조작은 앞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실시형태 3]
도 9 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파프제 등의 부착제를 나타내었다. 도 9a 는 그 사시도이며, 도 9b 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는, 도 1 에 나타낸 부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파프제 (1) 는, 그것을 구성하는 지지체 (2), 지지체 (2) 의 전체면에 전착되는 고체 (3), 및 고체 (3) 의 고체면에 부착되는 2 장의 박리 필름 (41, 42) 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물로서의 구성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또 지지체, 고체 및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 (42) 과 하측의 제 1 박리 필름 (42) 의 고체에 대한 부착 면적 비율, 나아가서는 각각의 손잡이부 치수는, 실시형태 2 와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2 와 상이한 것은,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 (42) 및 하측의 제 1 박리 필름 (41) 이, 모두 25 ∼ 38㎛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10 ∼ 30㎛ 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래미네이트하고, 추가로 실리콘 처리함과 함께, 다이어 무늬 엠보싱 가공 실시된 박리 필름을 선택한 것, 또한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 (41) 의 손잡이부 (46) 의 절단면을 파형으로 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근거하는 부착제인 파프제 (1)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공정의 개략도를 도 10 으로서 나타내었다.
즉, 지지체 롤 (25) 로부터 인출되는 지지체 (2) 에 점착성을 갖는 고체 (3) 를 전착하고, 그 고체면을, 제 2 박리 필름 롤 (55) 로부터,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 (42) 이 되는 박리 필름, 및 제 1 박리 필름 롤 (55) 로부터, 하측의 제 1 박리 필름 (41) 이 되는 튜브상 박리 필름을 각각 인출하고 부착하여 적층체로 하고, 그 적층체를 튜브상 박리 필름이 절단 (60) 되도록 반으로 자르고, 그 후 소정의 치수로 재단 (70)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 (42) 의 단부는, 파형이 되도록 컷트 (80)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 3 의 부착제에 있어서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2 와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 (42) 과 하측의 제 1 박리 필름 (41) 의 소재를, 25 ∼ 38㎛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한 경우에는, 무연신폴리프 로필렌 필름보다 내굴곡성이 높기 때문에, 상하의 제 2 및 제 1 박리 필름의 손잡이부를 잡을 때에, 특히 상측의 제 2 박리 필름 (42) 이 실수로 손가락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부의 절단면을 파형으로 함으로써, 손가락이 손상될 가능성을 매우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의 단부의 형상은, 본 실시예와 같은 파형에 한정되지 않고, 산형의 곡선 혹은 그들의 조합 형상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러한 변형예를,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었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부착제는, 고체면을 제 1 박리 필름 및 제 2 박리 필름의 2 장의 박리 필름에 의해 부착하고, 양 박리지에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이 손잡이부를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음으로써, 약한 힘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박리 필름을 떼어낼 수 있어, 한 손으로 박리부터 부착까지의 일련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박리 필름의 박리부터 환부에 대한 부착까지의 작업 중에서 고체가 손가락 등에 일절 닿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는 면에서, 고체 자체의 점착력 및 피부 추종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며, 고체로의 오염이 없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산업상의 공헌도는 상당히 크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파프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 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파프제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실시예에 근거하는 부착제인 파프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파프제에 있어서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박리 필름을 박리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파프제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박리 필름을 박리시켜, 거의 절반면의 고체를 노출시킨 면을 환부에 부착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의 작업에 이어, 남은 하측에 위치하는 V 형 제 1 박리 필름을 떼어내면서 고체를 환부에 부착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파프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 는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파프제의 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근거하는 부착제인 파프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근거하는 부착제인 파프제에 있어서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박리 필름을 박리하는 작업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파프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 는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파프제의 측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근거하는 부착제인 파프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11 은 손잡이부의 단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손잡이부의 단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는 종래의 파프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b 는 종래의 파프제의 측면도이다.
도 14 는 종래의 파프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15a 는 다른 종래의 파프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b 는 다른 종래의 파프제의 박리지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c 는 다른 종래의 파프제의 측면도이다.
도 16 은 다른 종래의 파프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공정의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파프제 (부착제)
2 지지체
3 고체
4 박리 필름
41 제 1 박리 필름
42 제 2 박리 필름
44 절곡부
45 손잡이부
46 손잡이부
48 중첩부

Claims (7)

  1. (a) 고체면에 부착되는 박리 필름이 2 장의 박리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b) 제 1 박리 필름은, 그 중앙부에서 절곡된 V 형 박리 필름 형상을 가짐과 함께, 그 절곡된 V 형 박리 필름의 편면이 절곡부를 고체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상기 고체면에 부착되고,
    (c) 남은 고체면에는 제 2 박리 필름이 부착됨과 함께, 그 제 2 박리 필름의 단부가 상기 V 형의 제 1 박리 필름의 절곡 부분을 커버하는 것인,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일면의 거의 전체면에 전착된 점착성을 갖는 고체와, 그 고체면에 부착되는 박리 필름의 적층 구조를 갖는 부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전착된 고체면의 적어도 절반을 튜브상 박리 필름으로 부착하고, 그 튜브상 박리 필름을 반으로 자름으로써, 그 중앙부에서 절곡된 V 형의 제 1 박리 필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제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남은 고체면에 부착하는 제 2 박리 필름이 시트상의 박리 필름으로서, 제 1 박리 필름의 절곡부를 커버하는 단부 형상이, 직선, 파형 또는 산형의 곡선 혹은 그들의 조합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제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남은 고체면에 부착하는 제 2 박리 필름이 튜브상 박리 필름으로서, 그 튜브상 박리 필름을 반으로 자름으로써 절곡된 V 형의 제 2 박리 필름 형상으로 하고, 당해 절곡부가 제 1 박리 필름의 절곡부를 커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제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박리 필름 및/또는 제 2 박리 필름이, 무연신폴리프로필렌, 연신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 합성지, 합성 수지를 단일체 또는 래미네이트한 복합 필름, 혹은 알루미늄 박, 증착 필름을 래미네이트한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부착제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박리 필름 및/또는 제 2 박리 필름이 실리콘 가공된 것인 부착제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박리 필름 및/또는 제 2 박리 필름이 엠보싱 가공된 것인 부착제의 제조 방법.
  7. 삭제
KR1020087018067A 2005-12-28 2006-04-25 부착제 및 그 제조 방법 Active KR101332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7554 2005-12-28
JP2005377554A JP4769575B2 (ja) 2005-12-28 2005-12-28 貼付剤及びその製造方法
PCT/JP2006/308630 WO2007077640A1 (ja) 2005-12-28 2006-04-25 貼付剤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064A KR20080081064A (ko) 2008-09-05
KR101332999B1 true KR101332999B1 (ko) 2013-11-25

Family

ID=3822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067A Active KR101332999B1 (ko) 2005-12-28 2006-04-25 부착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298788A1 (ko)
EP (1) EP1967171B1 (ko)
JP (1) JP4769575B2 (ko)
KR (1) KR101332999B1 (ko)
CN (1) CN101351181B (ko)
AU (1) AU2006333989B2 (ko)
CA (1) CA2634272C (ko)
DK (1) DK1967171T3 (ko)
ES (1) ES2386730T3 (ko)
WO (1) WO20070776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8355B1 (en) 2008-02-27 2020-01-2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atch
US8329210B2 (en) * 2008-09-23 2012-12-11 Pharmapatch, Llc Twin transdermal drug delivery patch
CN101983075B (zh) * 2008-12-26 2015-07-15 相贺正刚 外用贴剂
WO2011002034A1 (ja) * 2009-07-01 2011-01-06 凸版印刷株式会社 針状体
DE102010000661A1 (de) * 2010-01-04 2011-07-07 Acino Ag, 83714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überlappenden Schutzfolie für ein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KR20130046437A (ko) * 2010-07-29 2013-05-07 쓰키오카 필름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약제 부착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US20110066124A1 (en) * 2010-10-18 2011-03-17 Weiru Shao Multilayer Medical Sponge
US8939953B2 (en) 2010-10-18 2015-01-27 Weiru Shao Methods of using multilayer medical sponges
DE102011080389B4 (de) * 2011-08-03 2019-02-14 Luye Pharma Ag Schutzfolienwechsler
DE102011080390B3 (de) * 2011-08-03 2012-07-12 Acino Ag Applikationshilfe
US9170178B2 (en) * 2012-04-16 2015-10-27 Edward Sobek Composition, device, and method for biological air sampling
DK2952337T3 (en) 2014-06-02 2018-11-19 Siemens Ag Process for preparing a composite product
JP2017164191A (ja) * 2016-03-15 2017-09-21 凸版印刷株式会社 経皮投与デバイス
DE102017107468B4 (de) * 2017-04-06 2019-02-21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nsbesondere oralen, wirkstofflaminats und wirkstofflaminat, insbesondere orales wirkstofflaminat
CN109330887B (zh) * 2018-09-21 2021-10-22 甘肃祖师麻制药有限公司 下丹装置、自动下丹系统及膏药炼制设备
CN112675036B (zh) * 2021-01-07 2021-12-03 黑龙江省医院 一种中医护理药膏加工设备
CN117860576A (zh) * 2023-03-01 2024-04-12 安徽美邸康药业有限公司 一种即产即用式膏药贴后处理设备
WO2025039345A1 (zh) * 2023-08-23 2025-02-27 江西百康药业有限公司 一种贴剂生产用成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622A (ja) * 1999-01-29 2000-08-08 Toko Yakuhin Kogyo Kk パップ剤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3083A (en) * 1955-01-04 1955-03-01 William J Gross Adhesive bandage
US3900027A (en) * 1974-01-02 1975-08-19 Pall Corp Process for preparing integral absorbent pad bandages and product
GB2131299B (en) * 1982-10-20 1987-05-07 Smith & Nephew Ass Adhesive film dressing
JP2768494B2 (ja) * 1988-05-05 1998-06-25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 ドレッシングシステム
US4867821A (en) * 1988-07-11 1989-09-19 Morgan Burton D Process for fabricating self-adhesive bandages
US5266371A (en) * 1988-08-11 1993-11-30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dressing sheet
DE68908313T2 (de) * 1988-09-07 1994-01-05 Smith & Nephew Klebverbände, ihre Herstellung und Anwendung.
US4908213A (en) * 1989-02-21 1990-03-13 Schering Corporation Transdermal delivery of nicotine
GB8928927D0 (en) * 1989-12-21 1990-02-28 Smiths Industries Plc Adhesive dress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dressing
JPH04120727U (ja) * 1991-04-18 1992-10-28 大協薬品工業株式会社 剥離ライナ−を具備した貼付剤
JPH0546784A (ja) * 1991-08-20 1993-02-26 Nec Corp 四辺形のシエーデイング方式
DK0612232T3 (da) * 1991-11-06 1999-11-08 Bioderm Inc Tillukkende sårforbinding samt applikator
NZ250994A (en) * 1993-05-27 1995-09-26 Ndm Acquisition Corp Wound dressing comprising a hydrogel layer bound to a porous backing layer which is bound to a thin film layer by adhesive
CA2186163A1 (en) * 1994-03-23 1995-09-28 Owen L. Johns Dressings
US6607799B1 (en) * 1998-10-15 2003-08-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rgical dressing with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285198B2 (ja) * 1999-05-13 2013-09-11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JP2000351727A (ja) * 1999-06-09 2000-12-19 Hitoshi Saito 貼用薬及びその製造装置
FR2794969B1 (fr) * 1999-06-16 2002-01-18 Technosphere Sarl Pansement adhesif
JP5334346B2 (ja) * 1999-08-10 2013-11-06 久光製薬株式会社 ロール状外用貼付剤
JP2001219622A (ja) 2000-02-10 2001-08-14 Sony Corp 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用ヘッド
JP3967675B2 (ja) * 2002-12-12 2007-08-29 株式会社カナエテクノス 貼付剤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2004215743A (ja) * 2003-01-10 2004-08-05 Toa Kiko Kk 絆創膏包装体、絆創膏包装体の製造装置及び絆創膏包装体の製造方法。
JP5137286B2 (ja) * 2003-06-10 2013-02-06 帝國製薬株式会社 フェンタニル含有口腔粘膜貼付剤
JP4365624B2 (ja) * 2003-06-24 2009-11-18 日東電工株式会社 皮膚貼付用粘着シート及び救急絆創膏
JP2006271533A (ja) * 2005-03-28 2006-10-12 Hiroshima Industrial Promotion Organization 治癒促進材料、治癒促進用具、治癒促進装置、治癒促進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622A (ja) * 1999-01-29 2000-08-08 Toko Yakuhin Kogyo Kk パップ剤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333989B2 (en) 2011-09-08
AU2006333989A1 (en) 2007-07-12
JP4769575B2 (ja) 2011-09-07
EP1967171B1 (en) 2012-06-13
CA2634272C (en) 2014-08-26
CA2634272A1 (en) 2007-07-12
CN101351181B (zh) 2012-02-01
CN101351181A (zh) 2009-01-21
EP1967171A1 (en) 2008-09-10
EP1967171A4 (en) 2011-06-08
JP2007175300A (ja) 2007-07-12
KR20080081064A (ko) 2008-09-05
DK1967171T3 (da) 2012-07-16
ES2386730T3 (es) 2012-08-28
WO2007077640A1 (ja) 2007-07-12
HK1121367A1 (en) 2009-04-24
US20100298788A1 (en)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999B1 (ko) 부착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81065A (ko) 부착제
KR101511414B1 (ko) 첩부제
KR101488143B1 (ko) 첩부제
JP3192333B2 (ja) 貼付剤
JP5546092B2 (ja) 貼付剤の製造方法
JP3566960B2 (ja) 貼付剤
JP3689807B2 (ja) 剥離シート
HK1121367B (en) Production method of an adhesive patch
HK1120205A (en) Adhesive patch
HK1120205B (en) Adhesive patch
HK1171937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dhesive patch
HK1171936B (en) Adhesive patch
JP2004024904A (ja) 貼付剤
JP2012144562A (ja) 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