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0889B1 -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889B1
KR101330889B1 KR1020100043804A KR20100043804A KR101330889B1 KR 101330889 B1 KR101330889 B1 KR 101330889B1 KR 1020100043804 A KR1020100043804 A KR 1020100043804A KR 20100043804 A KR20100043804 A KR 20100043804A KR 101330889 B1 KR101330889 B1 KR 101330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hair growth
pharmaceutically acceptable
valproic ac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455A (ko
Inventor
김형준
박원석
고현주
박필준
김수나
최강열
윤주용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KR2010012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8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화장품 및 미용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losing hair or promotion of growing hair}
본 발명은 탈모를 억제하고 육모를 촉진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자연적 과정들을 통해 발생하거나, 암과 같은 증상들을 경감시키기 위해 고안된 특정 치료 약물의 사용을 통하여 화학적으로 촉진되는 문제이다. 이러한 탈모는 부분적 또는 완전한 대머리를 유발하는 모발 재성장의 결여를 수반한다.
최근 환경 오염, 스트레스, 다이어트, 피로, 올바르지 않은 식습관 등으로 인해 탈모증을 가진 현대인이 많아짐에 따라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탈모를 억제하고 육모를 촉진시키는 물질을 찾고자 노력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모를 억제하고 육모를 촉진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모를 억제하고 육모를 촉진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모를 억제하고 육모를 촉진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은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약학 조성물은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미용 조성물은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탈모를 억제 및 예방하며 육모를 촉진하는 효능이 인정되고, 약학, 화장품 및 미용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소듐 발프로에이트(sodium valproate)을 피하주사한 후 모발성장 경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소듐 발프로에이트를 경구투여 후 모발성장 경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소듐 발프로에이트를 경구투여 후 6 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털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소듐 발프로에이트를 피부도포 후 모발성장 경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소듐 발프로에이트를 피부도포 후 6 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털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탈모”는 두피로부터 모발이 탈락하는 현상 또는 모발이 성기거나 가늘어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탈모 방지”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은 탈모 현상을 예방하고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고, “육모 촉진”이라 함은 새로운 모발의 생성의 촉진뿐만 아니라 기존 모발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을 구성하는 화합물”은 그 유리형태(유리산 또는 염기 형태) 및 모든 프로드러그(prodrug), 다형체(polymorph), 수화물(hydrate), 용매화물(solvate), 토오토머(tautomer), 입체이성질체(stereoisomer) 등 및 달리 특정하지 않는다면 상기한 바와 같은 모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들을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의 모든 활성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적합한 활성 대사 산물(임의의 적합한 형태)도 여기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량”은 약 투여에서 대체적으로 적용되는 양으로, 이러한 용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실질적 심한 독성, 자극 또는 알러지 반응이 없이 피험체의 활성 부위에서 탈모를 방지하고 육모를 촉진하는 양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발프로산(Valproic acid, 2-propylpentanoic acid)은, 종래 간질 치료에 항경련제로 사용되었으며, 쌍극성 장애에 대하여 기분안정제(mood stabilizer)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발프로산은 다양한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경련을 경감하고 이상행동을 억제하는지는 아직 확실히 알려진 바가 없으며, 발프로산 투여시 부작용으로 탈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탈모를 방지하고 육모를 촉진하는데 있어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 효능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소듐 발프로에이트(sodium valproate)일 수 있다.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GSK-3β 저해제로 작용하며, 모발 줄기세포 내의 베타-카테닌(β-catenin)을 안정화시키고, 이를 통해 세포의 분화 및 성장을 조절함으로써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경피 투여 제형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하주사 또는 피부외용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피하주사, 정맥주사, 경구투여 또는 피부 도포 등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효성분을 투입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피하주사 또는 피부 도포시에 탈모방지 및 육모촉진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발프로산의 염은 경구 투여시에는 오히려 모발 성장을 억제하는 반면, 경피로 적용한 경우(예를 들어, 피하주사 또는 피부 도포)에는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서는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함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상술한 바와 같은 범위로 포함될 경우, 부작용이 없이 탈모 억제와 육모 촉진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유효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충분한 탈모 억제 및 육모 촉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부작용의 발생되거나 내지 제형 안정성이 악화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정 부위에 국소적으로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국소제형일 수 있다. 상기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 조성물은 특정 부위에 국소적으로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국소 약물전달 체계(local drug delivery system)을 이용한 국소제형의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일 수 있다. 국소 약물전달체계는 소량의 약물만으로 원하는 위치에서 최대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높은 국소 농도(local concentration)를 유지할 수 있고, 전신투여에 따른 부작용을 제거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국소 약물전달체계는 다양한 종류의 생체적합성 고분자(biocompatible polymer)를 이용하여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국소제형의 피하주사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특정부위에 대한 패취, 패드, 겔 또는 연고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육모는 성장기 및 휴지기가 교차하는 것을 포함하는 활동 주기에 의해 일어나며,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로 알려져 있는 3개의 주요 단계들로 나눌 수 있다. 성장기는 세포의 빠른 증식과 함께 피부 안으로 깊이 모낭이 침투하는 것으로 특징지울 수 있는데, 이것은 모발 형성과는 구분된다. 다음 현상은 퇴행기인데 이것은 세포 분열의 중단이 두드러지는 과도기이며, 이 과정에서 모낭은 피부를 통해 퇴행하며 육모가 중단된다. 다음 현상인 휴지기에서는 퇴행 모낭은 조밀하게 찬 모유두(dermal papilla) 세포를 갖는 배(germ)를 포함한다. 휴지기에서 새로운 성장기 현상의 개시는 상기 배에서 빠른 세포 증식, 모유두의 팽창 및 기저막 요소의 합성에 의해 유도된다.
따라서, 성장기의 촉진 또는 연장에 의해 모발의 손실 방지, 즉 탈모를 방지하거나 모발의 재성장을 유발, 즉 육모를 촉진하는 것이 필요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모발이 빠지지 않게 하는 효과, 이미 존재하는 모발을 굵게 하는 등 개선시키는 효과, 및 새로운 모발을 생성하는 효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유두 세포를 활성화하여 모발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약학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두피에 국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량, 즉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1mg/kg/일 내지 1000mg/kg/일이 될 수 있고 1mg/kg/일 내지 40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피부외용제를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성인기준으로 1 ml씩 하루 2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국소제형으로 피하주사하는 경우에는 성인기준으로 1 ml씩 2 주에 1 회 투여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농도는 0.5~30%, 보다 구체적으로는 2~25%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미용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이에 따른 미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미용 조성물은 피부에 바르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고, 마이크로 니들 등을 이용하여, 피부 내부로 흡수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듐 발프로에이트(VPA; sodium valproate)을 피하주사한 경우,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생후 7 주된 마우스(C57BL/6) 암컷의 등 부위 털을 제거하였다. 털이 제거된 등 부위의 왼쪽에 소듐 발프로에이트(sodium valproate) 3% 용액을 3~4 일 간격으로 50 ㎕씩 총 7 회 피하주사 하였다. 실험 개시 후 1, 16 및 30 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모발성장 정도를 관찰하였다. 관찰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는 마우스 개체의 등의 왼쪽 부위(원으로 표시된 부위)에 소듐 발프로에이트를 피하주사하였다. 16 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각 마우스 개체의 등의 오른쪽(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발의 성장이 촉진되었고, 30 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새로운 모낭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프로산(VPA)을 경구 투여한 경우,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생후 7 주된 마우스(C57BL/6) 암컷의 등 부위 털을 제거하였다. 등 부위의 털이 제거된 각 그룹의 마우스 개체군에 대해서, 5 주간 매일 물질을 경구 투여하였다. 대조군(증류수, 메틸셀룰로오스 1%, 및 Tween 80TM 0.5% 혼합용액)과 소듐 발프로에이트(sodium valproate)는 1 회 투여시 0.2 g/kg씩 투여하였다.
물질 투여후, 1 주일 간격으로 모발성장을 관찰하였고, 5 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제모 후 털 무게(hair weight)를 측정하였다. 모발성장을 관찰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고, 털 무게를 측정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조군(control)에 비해 소듐 발프로에이트를 경구투여한 경우에 오히려 모발 성장이 지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대조군의 경우에는 털무게가 85 mg 정도인데 반해, 소듐 발프로에이트를 처리한 경우에는 65 mg에 불과하다. 도 2 및 3의 결과로부터 소듐 발프로에이트를 경구투여한 경우에는 모발성장이 지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프로산(VPA)을 피부의 외피에 도포한 경우에 모발의 생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생후 7 주된 마우스(C57BL/6) 암컷의 등 부위 털을 제거하였다. 등 부위의 털이 제거된 각 그룹의 마우스 개체군에 대해서, 매일 2 회씩 7.2% 소듐 발프로에이트(sodium valproate)를 도포하였다. 대조군(control)으로는 프로플린글리콜/에탄올/물(5:3:2) 혼합 용액을 사용하였다.
물질 도포 후, 1 주일 간격으로 모발성장을 관찰하였고, 6 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제모 후 털 무게를 측정하였다. 모발성장을 관찰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고, 털 무게(hair weight)를 비교 측정한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대조군(control)에 비해 소듐 발프로에이트를 경구 투여한 경우에 오히려 모발 성장이 지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대조군의 경우에는 털무게가 35 mg 정도지만, 소듐 발프로에이트를 처리한 경우에는 80 mg이 넘는 것으로 확인된다. 도 4 및 5의 결과로부터 소듐 발프로에이트를 피부에 도포한 경우에는 모발성장이 현저히 촉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피부 외용제 중 연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발프로산 0.1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주사제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성분 함량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발프로산 10.0
pH 조절제 적량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제형예 3]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발프로산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발프로산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영양크림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발프로산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마사지 크림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발프로산 0.1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팩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발프로산 0.1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6.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상기의 예시 및 제형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9)

  1. 유효성분으로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경피투여 제형 또는 국소투여 제형의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소듐 발프로에이트(sodium valproate)인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발프로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25 중량%인 조성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하주사제 또는 피부외용제인 조성물.
  7. 삭제
  8.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모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43804A 2009-05-12 2010-05-11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Active KR101330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1442 2009-05-12
KR1020090041442 2009-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455A KR20100122455A (ko) 2010-11-22
KR101330889B1 true KR101330889B1 (ko) 2013-11-18

Family

ID=4308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804A Active KR101330889B1 (ko) 2009-05-12 2010-05-11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52060B2 (ko)
EP (1) EP2431031B1 (ko)
JP (1) JP5866279B2 (ko)
KR (1) KR101330889B1 (ko)
CN (1) CN102421428B (ko)
AU (1) AU2010248292B2 (ko)
CA (1) CA2761732C (ko)
ES (1) ES2585253T3 (ko)
WO (1) WO2010131887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621A (ko)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프로테인웍스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90003857A (ko) 2019-01-04 2019-01-09 주식회사 프로테인웍스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995367B1 (ko) 2018-12-26 2019-07-02 주식회사 프로테인웍스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00058730A (ko)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프로테인웍스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0873A (zh) * 2014-12-05 2016-06-08 四川科瑞德制药有限公司 一种丙戊酸钠注射液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10555893B2 (en) * 2017-02-28 2020-02-11 L'oreal Leave-on hair styl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WO2019055662A1 (en) * 2017-09-14 2019-03-21 Follica, Inc. METHODS FOR PROMOTING HAIR GROWTH USING VALPROIC ACID
CN113995742B (zh) * 2021-10-22 2023-12-29 中国医学科学院皮肤病医院(中国医学科学院皮肤病研究所) 包含丙戊酸的美白组合物及其用途
CN116836066A (zh) * 2023-06-29 2023-10-03 韩冰峰 胆碱基丙戊酸离子液体及制备方法、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3810A2 (en) 2002-01-29 2003-08-07 The Gillette Company Reduction of hair growth
US20070207950A1 (en) * 2005-12-21 2007-09-06 Duke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gulating HDAC6 a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6022B1 (en) * 1995-06-07 2001-11-13 Noven Pharmaceuticals, Inc. Transdermal compositions containing low molecular weight drugs which are liquid at room temperatures
FR2754177B1 (fr) * 1996-10-07 1999-08-06 Sanofi Sa Microspheres pharmaceutiques d'acide valproique pour administration orale
US6528090B2 (en) * 1998-12-18 2003-03-04 Abbott Laboratories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 of divalproex sodium
CN1335769A (zh) * 1998-12-18 2002-02-13 艾博特公司 双丙戊酸钠的控释制剂
CA2508855A1 (en) * 2002-12-16 2004-07-01 Frank Slade Abbott Valproic acid analogu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20080227868A1 (en) 2004-03-26 2008-09-18 Volker Schehlmann Composition Comprising an Hdac Inhibitor in Combination with a Retinoid
CA2566445C (en) * 2004-05-12 2016-02-02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s related to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and inflammatory conditions
CN101528679A (zh) 2006-02-14 2009-09-09 哈佛大学校长及研究员协会 组蛋白去乙酰化酶抑制剂
CN100493556C (zh) 2006-06-01 2009-06-03 张宝山 一种治疗抑郁情绪障碍性疾病的药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3810A2 (en) 2002-01-29 2003-08-07 The Gillette Company Reduction of hair growth
US20070207950A1 (en) * 2005-12-21 2007-09-06 Duke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gulating HDAC6 activity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 41, No. 2, 116-125, 2009. 2. *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 41, No. 2, 116-125, 2009. 2.*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54, 6-11, 2009. 4. *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54, 6-11, 2009. 4.*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621A (ko)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프로테인웍스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00058730A (ko)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프로테인웍스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995367B1 (ko) 2018-12-26 2019-07-02 주식회사 프로테인웍스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90003857A (ko) 2019-01-04 2019-01-09 주식회사 프로테인웍스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26799A (ja) 2012-11-01
EP2431031A2 (en) 2012-03-21
CN102421428B (zh) 2014-01-29
EP2431031B1 (en) 2016-06-08
KR20100122455A (ko) 2010-11-22
JP5866279B2 (ja) 2016-02-17
ES2585253T3 (es) 2016-10-04
CA2761732A1 (en) 2010-11-18
EP2431031A4 (en) 2012-10-03
AU2010248292A1 (en) 2011-12-01
WO2010131887A3 (ko) 2011-03-24
US20120065262A1 (en) 2012-03-15
WO2010131887A2 (ko) 2010-11-18
AU2010248292B2 (en) 2014-06-12
CN102421428A (zh) 2012-04-18
CA2761732C (en) 2017-03-21
US8952060B2 (en) 201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889B1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EP2498783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hair growth
KR100603237B1 (ko)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제
KR101698922B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10019571A (ko) 헥사미딘류 및 레티노이드류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KR20110017599A (ko)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20150072797A (ko) 고농도 카페인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10060529A (ko)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00064309A (ko) 탈모 또는 피부 염증 억제용 조성물
US20060100287A1 (en) Insulin-like growth factor-1 secretagogue
KR101733189B1 (ko) 손톱 또는 발톱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465464B1 (ko) 비타젠을 포함하는 헤어케어용 조성물
KR20140119452A (ko) 멘톨 및 그 유사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20150025984A (ko)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10039069A (ko)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949855B1 (ko) 4-n-부틸레조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반응 억제 조성물
KR101984276B1 (ko) 베르베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성장 저해용 조성물
KR20150051075A (ko) 팔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성장 저해용 조성물
KR20160050898A (ko) Atp를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200137493A (ko) 피부 탄력 강화용 조성물
HK123176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hair growth
HK1174270B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hair growth
HK1174270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hair grow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9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5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9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9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5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10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9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5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