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6201B1 -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201B1
KR101326201B1 KR1020110107771A KR20110107771A KR101326201B1 KR 101326201 B1 KR101326201 B1 KR 101326201B1 KR 1020110107771 A KR1020110107771 A KR 1020110107771A KR 20110107771 A KR20110107771 A KR 20110107771A KR 101326201 B1 KR101326201 B1 KR 101326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witches
drive device
seat bel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679A (ko
Inventor
앙투안느 푸이렐
로제 다라바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20041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2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6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electric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의 모터(9)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1)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구동 장치(1)는 H 브리지의 형태를 이루는 전압 공급 회로(6) 및 전압 부스트 회로(16)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전압 공급 회로(6) 및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는 제어부(17)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모터(9)가 시트 벨트(13)를 여유있게 감게 하지만 상기 모터(9)에 출력되는 전압을 증가시켜 상기 모터(9)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를 제어한다.

Description

구동 장치{A drive arrangement}
본 발명은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며, 좀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의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는, 예상되는 충돌 상황이 벌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차량 탑승자가 착용하는 시트 벨트를 여유있게 감도록 차량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한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는, 차량 탑승자에 대하여 훈련된 상태로 시트 벨트를 끌어당겨서 충돌 상황이 벌어질 경우에나 충돌 상황이 벌어질 때 시트 벨트에 대한 차량 탑승자의 움직임을 최소화시켜 준다.
대부분은,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가 충돌 상황이 막 벌어지게 될 수 있음을 탐지하는 사전-충돌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된다.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가 작동될 경우에 중요한 점은 충돌 상황에 대해 준비가 된 차량 탑승자에 대하여 시트 벨트가 정확히 끌어 당겨지도록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가 신속히 시트 벨트를 여유있게 감는다는 점이다.
어떤 경우에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탑승자의 위치를 재배치시키도록 충분한 힘으로 시트 벨트를 감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승자가 원하는 앉은 자세로 좌석에 기대어지기 위해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가 충분한 힘으로 좌석 벨트를 감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충돌 상황이 벌어지는 동안 시트 벨트에 의해 탑승자가 안전하게 제지를 받도록 탑승자의 위치가 재배치될 수 있다.
기존의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들은 대개, 12V 배터리인 것이 일반적인 차량의 주 전력 공급원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공교롭게도 차량 배터리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전류는 제한되며 이러한 전류 제한은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의 동작을 바람직스럽지 않게 제약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그러한 전류 제한 때문에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의 모터가 시트 벨트를 신속히 끌어당기도록 충분한 속도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다른 경우에는, 탑승자의 위치를 재배치시키도록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의 모터가 시트 벨트에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있게 할 정도로 충분히 전류가 높지 않다.
종전에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의 모터를 안전 벨트의 스풀(spool)에 연접시켜 줌으로써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의 모터가 충분히 높은 속도로 안전 벨트의 스풀을 회전하게 하는 기어비(gear ration)를 설정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기어비를 설정함으로 인해 시트 벨트에 가해지는 힘이 떨어지는데, 이는 바람직스럽지 않다. 변형적으로는, 감는 단계 동안에는 고속 기어비를 제공하고 탑승자의 위치를 재배치하는 단계 동안에는 저속이지만 높은 토크 기어비를 제공하도록 하는 가변 기어박스 장치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가변 기어박스 장치들은 비용이 많이 들며 설치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개선된 구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 회로로서, 상기 전력 공급 회로는 제1쌍의 스위치들 및 제2쌍의 스위치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쌍의 스위치들은 상기 제1쌍의 스위치들 사이에 제공되는 제1 출력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쌍의 스위치들은 상기 제2쌍의 스위치들 사이에 제공되는 제2 출력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출력 및 상기 제2 출력은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의 모터에 접속되어 있는, 전력 공급 회로;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출력 및 상기 제2 출력 양단 간의 전압을 출력시키도록 상기 스위치들에 접속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한 작동시, 상기 출력들에 접속된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출력들 양단 간의 전압을 증가시키는 전압 부스트 회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가 상기 전력 공급원 및 상기 전력 공급 회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인덕터를 포함한다.
편의상,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는 제1 부스트 스위치를 가지고 있다.
유리한 점으로는, 상기 제1 부스트 스위치가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전력 공급 회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는 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 공급 회로의 각각의 쌍의 스위치들의 한 단부가 서로 접속되며 상기 제1 부스트 스위치가 상기 쌍들의 스위치들 간의 접속부들 중 한 접속부와 직렬로 접속된다.
편의상,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는 상기 인덕터에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2 부스트 스위치를 가지고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부스트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 회로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부스트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 회로의 스위치들 중 하나의 스위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앞서 언급된 구성들 중 어느 한 구성에 따른 구동 장치가, 3가지 동작 단계들 중 한가지 동작 단계에서만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를 작동시키는 상기 제어부를 가지고 3가지 동작 단계들에서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편의상, 상기 제어부는 사전-충돌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한 점으로는, 각각의 스위치가 트랜지스터이라는 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장치가 모터를 지닌다.
편의상, 상기 전력 공급 회로는 H 브리지 회로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이하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 장치에 접속된 모터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이하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 장치에 접속된 모터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를 가지는 차량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선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좀더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예로써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압 부스트 회로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로서,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에 접속되어 있는 구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전압 부스트 회로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구동 장치의 3가지 동작 단계들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전압 부스트 회로가 작동될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구동 장치의 3가지 동작 단계들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첨부도면들 중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는 고전압 전력 공급 입력(2) 및 저전압 전력 공급 입력(3)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전압 전력 공급 입력(2) 및 상기 저전압 전력 공급 입력(3)은 자동차(도시되지 않음)의 전력 공급원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전압 전력 공급 입력(2) 및 상기 저전압 전력 공급 입력(3)은 고전압 전력 레일(4) 및 저전압 전력 레일(5)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데, 상기 고전압 전력 레일(4) 및 상기 저전압 전력 레일(5)은 H 브리지 회로(6)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전력 공급 회로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H 브리지 회로(6)는 제1쌍의 스위치들(S1,S2) 및 제2쌍의 스위치들(S3,S4)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스위치들(S1-S4)은 트랜지스터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쌍의 스위치들(S1,S2)은 상기 제1쌍의 스위치들(S1,S2) 사이에 제공되는 제1 출력(7)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2쌍의 스위치들(S3,S4)은 상기 제2쌍의 스위치들(S3,S4) 사이에 제공되는 제2 출력(8)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쌍의 스위치들(S1,S2;S3,S4)의 단들은 상기 고전압 전력 레일(4) 및 상기 저전압 전력 레일(5)에 서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출력들(7,8)은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의 전기 모터(9)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9)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seat belt retractor; 도시되지 않음)의 일부를 형성하는 기어박스(10)를 구동시키도록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는 또한 클러치(11) 및 벨트 스풀(12)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벨트(13)는 상기 벨트 스풀(12)에서부터 자동차의 시트(15) 상에 안착되는 탑승자(14) 주변에 이르기까지 연장된다.
상기 구동 장치(1)는 상기 고전압 전력 공급 입력(2) 및 상기 H 브리지 회로(6)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전압 부스트 회로(16)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는 상기 고전압 전력 레일(4)과 직렬로 이루어진 인덕터(L)를 가지고 있다. 제1 부스트 스위치(S5)는 상기 인덕터(L) 및 상기 H 브리지 회로(6)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는 상기 고전압 전력 레일(4) 및 상기 저전압 전력 레일(5) 양단간에, 상기 H 브리지 회로(6)와 병렬로 접속된 제2 부스트 스위치(S6)를 가지고 있다. 캐패시터(C)는 또한 상기 고전압 전력 레일(4) 및 상기 저전압 전력 레일(5) 양단에 병렬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H 브리지 회로(6)의 스위치들(S1-S4) 및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의 부스트 스위치들(S5,S6)은 제어부(17)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치들(S1-S6)이 트랜지스터들이며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상기 제어부(17)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들을 턴온 및 턴오프시키도록 접속되어 있다. 전류 분로(current shunt)용 저항기(RS)는 상기 모터(9)에 의해 인출되는 전류를 나타내는 입력을 상기 제어부(17)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7)는 자동차의 센서(18)로부터의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상기 센서(18)는 예상되는 충돌 상황을 감지하여 예상되는 충돌 상황이 벌어질 경우에 작동 신호를 상기 제어부(17)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사전-충돌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구동 장치(1)가 모터(9)를 구동시키는 가상 상황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가상 예에서는, 상기 제1 부스트 스위치(S5)가 상기 H 브리지 회로(6)를 상기 고전압 전력 레일(4)에 접속하도록 계속 스위치 온되지만, 상기 제2 부스트 스위치(S6)는 스위치 오프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 공급 전압이 부스트되지 않는다.
충돌 상황이 막 벌어지게 될 수 있음을 상기 센서(18)가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센서(18)는 작동 신호를 상기 제어부(17)에 전송한다. 상기 작동 신호의 수신시,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H 브리지 회로 스위치들(S1-S4)을 스위칭하여 상기 H 브리지 회로(6)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모터(9)가 상기 시트 벨트(13)를 감아서 상기 시트 벨트(13)를 끌어당기게 하도록 상기 모터(9)에 전력을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17)는 대략 20 KHz에서의 펄스폭 변조를 통해 상기 H 브리지 스위치들(S1-S4)을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모터(9)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한다.
상기 시트 벨트(13)를 끌어당기기 위해서는, 상기 제어부(17)가 스위치(S3)를 계속 턴온시키고 상보적인 스위칭을 통해 스위치들(S1,S2)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7)가 스위치(S2)를 계속 턴온시키고 상보적인 스위칭을 통해 스위치들(S3,S4)을 조절한다.
예상되는 충돌 상황이 벌어진 후에나 또는 더이상 예상되는 충돌 상황이 벌어지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H 브리지 회로(6)를 작동시켜서 상기 모터(9)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시트 벨트(13)의 끌어당김을 해제시킨다. 상기 시트 벨트(13)의 끌어당김을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어부(17)가 스위치(S1)를 계속 턴온시키고 상보적인 스위칭을 통해 스위치들(S3,S4)을 조절하거나, 상기 제어부(17)가 스위치(S4)를 계속 턴온시키고 상보적인 스위칭을 통해 스위치들(S1,S2)을 조절한다. 상기 H 브리지 회로(6)는 이리하여 상기 모터(9)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클러치(11)를 해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지금부터 첨부도면들 중 도 2를 참조하면, 그래프들(도 2a,도 2b)은 상기 구동 장치(1)가 시트 벨트(13)를 끌어당기도록 상기 모터(9)를 구동하고 있을 때 3가지 동작 단계들(Ph1-Ph3)이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제1 동작 단계(Ph1)에서는, 상기 모터(9)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상기 모터(9)의 역기전력이 작기 때문에 상기 모터(9) 양단에 걸린 전압은 상기 모터(9)에 의해 인출되는 전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어부(17)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제2 동작 단계(Ph2)에서는, 상기 모터(9)가 회전하고 있고 상기 모터(9)가 시트 벨트(13)를 여유있게 감는다. 이러한 제2 동작 단계(Ph2) 동안, 상기 모터 양단 간의 전압은 더이상 감소되지 않으며 상기 모터(9)에 공급되는 전류는 저레벨로 내려간다.
시트 벨트(13)에 더 이상 여유분이 없도록 상기 모터(9)가 시트 벨트(13)를 완전히 감은 경우에, 상기 모터(9)는 시트 벨트(13)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게 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제3 동작 단계(Ph3)에서 동작한다. 상기 제3 동작 단계(Ph3)에서는, 어떠한 역기전력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모터(9) 양단 간의 전압은 상기 모터(9)에 의해 인출되는 전력을 제한하도록 감소되어야 한다.
지금부터 첨부도면들 중 도 3을 참조하면, 전압 부스트 회로가 제2 동작 단계(Ph2) 동안 작동될 경우에, 상기 구동 장치(1)의 3가지 동작 단계들이 예시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실제로 동작하게 되는 방식이다.
제1 동작 단계(Ph1)에서는, 상기 제1 부스트 스위치(S5) 및 상기 스위치(S3)가 계속 턴온되며 상기 스위치들(S1,S2)이 상보적인 스위칭을 통해 조절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부스트 스위치(S5) 및 상기 스위치(S2)가 계속 턴온되고 상기 스위치들(S3,S4)이 상보적인 스위칭을 통해 조절된다.
제2 동작 단계(Ph2)에서는, 상기 스위치들(S2,S3)이 계속 턴온되며 상기 제1 부스트 스위치(S5) 및 상기 제2 부스트 스위치(S6)가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를 작동시키도록 상보적인 스위칭을 통해 조절된다.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는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압을 증가시키고 상기 H 브리지 스위치들(S1-S4) 및 상기 캐패시터(C) 양단 간의 전압을 부스트한다. 상기 제1 부스트 스위치(S5)는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에서 제어용 다이오드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의 그래프들(도 3a,도 3b)은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에 의해 부스트되는 모터 전압의 결과로서 상기 제2 동작 단계(Ph2) 동안 공급 전류가 어떠한 방식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지를 예시한 것이다. 그래프(도 3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모터 전압은 현재 상기 제2 동작 단계(Ph2) 동안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모터(9)는 신속하게 회전하여 신속하게 시트 벨트(13)가 여유있게 감겨지게 할 수 있다. 상기 모터(9)의 회전 속도는 이리하여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비해 훨씬 빠르게 증가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9)는 신속히 시트 벨트(13)가 여유있게 감겨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로 인해 상기 모터(9)가 높은 속도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모터는 상기 제2 동작 단계(Ph2) 동안 높은 회전 운동 에너지를 축적한다. 그러한 높은 회전 운동 에너지는 상기 제3 동작 단계(Ph3) 동안 시트 벨트(13) 상에 가해지는 증가된 힘으로 변환된다. 이 때문에 시트 벨트(13)는 탑승자(14) 상에 대략 400N 이상의 힘을 가할 수 있고, 이러한 힘은 시트 벨트(13)가 탑승자(14)의 위치를 재배치시킬 정도로 충분히 높은 것이다.
지금부터 첨부도면들 중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9)는 위에서 설명한 구동 장치(1)와 여러 면에서 동일하다. 단지 예외적인 점은 이러한 부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의 제2 부스트 스위치(S6)가 생략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스트 스위치(S5)가 상기 H 브리지 회로(6)의 쌍들의 스위치들(S1,S2;S3,S4) 간의 접속부와 직렬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뿐이다.
이 때문에,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는 상기 H 브리지 회로(6)와 부분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부스트 스위치(S6)의 기능은 상기 H 브리지 회로(6)의 스위치들(S1-S4) 중 하나의 스위치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 장치(19)는 전압 부스트 회로를 가지고 있지만 상기 H 브리지 스위치들(S1-S4) 외에도 단지 하나의 과전압 부스트 스위치만을 필요로 한다.
상기 제1 동작 단계(Ph1) 동안, 상기 전압 부스트 스위치(S5) 및 상기 스위치(S3)는 계속 턴온되고 상기 스위치들(S1,S2)은 상보적인 스위칭을 통해 조절되거나, 또는 상기 전압 부스트 스위치(S5) 및 상기 스위치(S2)는 계속 턴온되고 상기 스위치들(S3,S4)은 상보적인 스위칭을 통해 조절된다.
상기 제2 동작 단계(Ph2)에서는, 스위치들(S2,S3)은 계속 턴온되고 스위치들(S1,S5)은 상기 제2쌍의 스위치들(S3,S4) 및 상기 캐패시터(C) 양단 간의 전압을 부스트하도록 상보적인 스위칭을 통해 조절된다.
상기 모터(9)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전압 부스트 스위치(S5) 및 상기 스위치(S1)는 계속 턴온되며 스위치들(S3,S4)은 상보적인 스위칭을 통해 조절되거나, 또는 상기 전압 부스트 스위치(S5) 및 상기 스위치(S4)는 계속 턴온되고 상기 스위치들(S1,S2)은 상보적인 스위칭을 통해 조절된다.
이러한 부가적인 실시예의 구동 장치(19)는 위에서 설명한 이점들과 동일한 이점들을 제공하지만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로부터의 하나의 스위치를 생략함으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구동 장치(1)에 비해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부가적인 실시예의 구동 장치(19)는 설치 비용이 적게 들고 동작 효율면에서 훨씬 효과적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 및 그들의 변형된 용어들의 의미는 특정된 특징들, 단계들 또는 완전체들이 포괄되는 것이다. 그러한 용어들은 다른 특징들, 단계들 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특정 형태로나 또는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과 관련하여 표기된, 앞서 언급된 설명, 또는 이하의 청구항들, 또는 첨부도면들에 개시된 특징들, 또는 개시된 결과를 적절하게 획득하기 위한 방법 또는 프로세스는 개별적으로나 또는 그러한 특징들을 조합해서 본 발명을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 회로(6)로서, 상기 전력 공급 회로(6)는,
    제1쌍의 스위치들(S1,S2) 및 제2쌍의 스위치들(S3,S4)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쌍의 스위치들(S1,S2)은 상기 제1쌍의 스위치들(S1,S2) 사이에 제공되는 제1 출력(7)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쌍의 스위치들(S3,S4)은 상기 제2쌍의 스위치들(S3,S4) 사이에 제공되는 제2 출력(8)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출력(7) 및 상기 제2 출력(8)은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의 모터(9)에 접속되어 있는, 전력 공급 회로(6);
    상기 스위치들(S1-S4)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출력(7) 및 상기 제2 출력(8) 양단 간의 전압을 출력시키도록 상기 스위치들(S1-S4)에 접속된 제어부(17); 및
    상기 제어부(17)에 의한 작동시, 상기 출력들(7,8)에 접속된 모터(9)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출력들(7,8) 양단 간의 전압을 증가시키는 전압 부스트 회로(16);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장치는, 3가지 동작 단계들(Ph1-Ph3) 중 한가지 동작 단계(Ph2)에서만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를 작동시키는 상기 제어부(17)를 가지고 3가지 동작 단계들(Ph1-Ph3)에서 모터(9)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고,
    3가지 동작 단계들(Ph1-Ph3) 중, 제1 동작 단계(Ph1)는 모터(9)를 회전시키기 시작하도록 이루어지며, 제2 동작 단계(Ph2)는 모터(9)를 회전시켜 모터(9)가 시트 벨트를 감아서 상기 시트 벨트를 끌어당기게 하도록 이루어지고, 제3 동작 단계(Ph3)는 모터(9)를 회전시켜 모터(9)가 상기 시트 벨트의 끌어당김을 해제시키게 하도록 이루어지는,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는 상기 전력 공급원 및 상기 전력 공급 회로(6)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인덕터(L)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는 제1 부스트 스위치(S5)를 가지고 있는,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스트 스위치(S5)는 상기 인덕터(L) 및 상기 전력 공급 회로(6)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구동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회로(6)의 각각의 쌍의 스위치들(S1-S4)의 한 단부가 서로 접속되며 상기 제1 부스트 스위치(S5)가 상기 쌍들의 스위치들(S1-S4) 간의 접속부들 중 한 접속부와 직렬로 접속되는, 구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부스트 회로(16)는 상기 인덕터(L)에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부(17)에 의해 제어되는 제2 부스트 스위치(S6)를 가지고 있는,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스트 스위치(S6)는 상기 전력 공급 회로(6)와 병렬로 접속되는, 구동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스트 스위치(S6)는 상기 전력 공급 회로(6)의 스위치들 중 하나의 스위치인, 구동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7)는 사전-충돌 센서(18)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위치(S1-S6)는 트랜지스터인, 구동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모터(9)를 지니는, 구동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회로(6)는 H 브리지 회로인, 구동 장치.
  14. 제1항의 구동 장치에 접속된 모터(9)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15. 제1항의 구동 장치에 접속된 모터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를 가지는, 차량.
KR1020110107771A 2010-10-21 2011-10-21 구동 장치 Active KR101326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88383.3A EP2444289B1 (en) 2010-10-21 2010-10-21 A drive arrangement
EP10188383.3 2010-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679A KR20120041679A (ko) 2012-05-02
KR101326201B1 true KR101326201B1 (ko) 2013-11-07

Family

ID=4373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771A Active KR101326201B1 (ko) 2010-10-21 2011-10-21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12098B2 (ko)
EP (1) EP2444289B1 (ko)
JP (1) JP5479425B2 (ko)
KR (1) KR101326201B1 (ko)
CN (1) CN102452374B (ko)
ES (1) ES254159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2455B (zh) * 2011-08-24 2015-11-2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座椅安全带装置
JP6055486B2 (ja) * 2012-12-18 2016-12-27 ボルボトラ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電源装置
DE102014008547A1 (de) * 2014-06-16 2015-12-17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Verfahren zur Regelung der Motordrehzahl eines elektrischen Aufrollermotors eines Gurtaufrollers
JP2016060259A (ja) * 2014-09-12 2016-04-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JP6211136B1 (ja) * 2016-05-26 2017-10-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制御装置
JP2018030454A (ja) * 2016-08-24 2018-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2018030456A (ja) * 2016-08-24 2018-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装置
DE102017212975B4 (de) 2017-07-27 2021-11-11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omotors
DE102019106303B4 (de) * 2019-03-12 2021-05-06 Hs Products Engineering Gmbh Sicherheitsvorrichtung sowie Sicherheit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mit zusätzlicher Antriebsbatteriekopplung und Verfahr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4205A1 (en) * 2008-05-13 2009-11-19 Denso Corporation Motor driving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judgment on state of motor driv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8939A (en) * 1994-04-04 1996-10-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system
US5890779A (en) * 1997-04-08 1999-04-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ical communication between parts of a vehicle
US6550810B1 (en) * 1998-03-19 2003-04-2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US6025783A (en) * 1998-04-30 2000-02-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Wireless switch detection system
US6588532B1 (en) * 1998-08-14 2003-07-08 Kerry J. Adams Rescue assist safety system
US6142524A (en) * 1998-12-14 2000-11-0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pretensioner apparatus
US6520541B1 (en) * 1998-12-22 2003-02-18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Vehicle safety seat system
US6155601A (en) * 1999-04-30 2000-12-05 Arcca Incorporated Seat-mounted occupant crash protection system
US6206416B1 (en) * 1999-10-01 2001-03-27 Trw Inc. Vehicle safety system
US6369529B1 (en) * 2000-06-01 2002-04-09 Tachi-S Engineering, U.S.A. Inc. Remote power seat control system and method
JP4614414B2 (ja) * 2000-09-12 2011-01-19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弛み除去システム
US20020070635A1 (en) * 2000-10-13 2002-06-13 Morrison Gerald O. Self-powered wireless switch
US6700310B2 (en) * 2000-10-13 2004-03-02 Lear Corporation Self-powered wireless switch
US6817629B2 (en) * 2002-10-29 2004-11-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our-point seat belt system having occupant lockable retractors
US6916045B2 (en) * 2003-08-20 2005-07-12 Key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torsion rod activity sensor
DE202004009949U1 (de) * 2004-06-24 2004-10-14 Key Safety Systems, Inc., Lakeland Aufwickel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s Fahrzeugs
DE102004054078B4 (de) * 2004-11-09 2013-03-07 Key Safety Systems, Inc. Verfahren zum Blockieren einer Wickelwelle eines Sicherheitsgurtaufrollers
US7343999B2 (en) * 2005-04-07 2008-03-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belt retractor system
DE502005003234D1 (de) * 2005-11-09 2008-04-24 Delphi Tech Inc Sicherheitsgurtvorrichtung
JP2009201185A (ja) * 2008-02-19 2009-09-03 Denso Corp 駆動制御装置
JP2010028878A (ja) * 2008-07-15 2010-02-04 Hitachi Ltd モータ制御装置,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用モータ制御装置及び電子制御スロットル用モータ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4205A1 (en) * 2008-05-13 2009-11-19 Denso Corporation Motor driving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judgment on state of motor dri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52374A (zh) 2012-05-16
JP2012086834A (ja) 2012-05-10
EP2444289A1 (en) 2012-04-25
US8612098B2 (en) 2013-12-17
ES2541595T3 (es) 2015-07-22
US20120098324A1 (en) 2012-04-26
CN102452374B (zh) 2014-11-05
KR20120041679A (ko) 2012-05-02
JP5479425B2 (ja) 2014-04-23
EP2444289B1 (en)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201B1 (ko) 구동 장치
KR102052951B1 (ko) 구동 장치
JP4885773B2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巻取方法
AU2012327858B2 (en) Boat anchor winch
JP4472299B2 (ja) モータ付シートベルト巻き取り装置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2010111334A (ja) シートベルト装置、シートベルト制御装置、シートベルト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25374A5 (ko)
WO2007139053A1 (ja) 牽引装置及び牽引装置の牽引力制御方法
JP2011105155A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モータ制御プログラム
JP5765138B2 (ja) 拘束装置
JP2009100488A (ja) 車両用発電制御装置
US8783725B2 (en) Restraint device
JP2009219246A (ja) 車両用発電制御装置
JP4372797B2 (ja) 電動シートベルト装置
JP4894565B2 (ja) 電源制御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6114207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5120442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9165616A (ja) 乗車支援装置
JP5233966B2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モータ制御プログラム
JP2009261090A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05151687A (ja) モータ駆動4wd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6514344B2 (ja) モータ駆動制御装置およびシートベルト用モータ駆動制御装置
EP3235694B1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JP5879330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8056207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