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6136B1 -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136B1
KR101326136B1 KR1020100021792A KR20100021792A KR101326136B1 KR 101326136 B1 KR101326136 B1 KR 101326136B1 KR 1020100021792 A KR1020100021792 A KR 1020100021792A KR 20100021792 A KR20100021792 A KR 20100021792A KR 101326136 B1 KR101326136 B1 KR 101326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frame
edge
l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664A (ko
Inventor
문기원
Original Assignee
(주)씨엔티코리아
문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티코리아, 문기원 filed Critical (주)씨엔티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2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13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1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통과 외통이 각각 금속과 플라스틱으로 이중사출 되어 뚜껑이 형성된 밀폐용기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용기로 외부용기가 빠지지 않도록 사출되어질 때 내부용기의 테두리부와 외부용기의 잠금테가 형성되는 부분에 홈테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출성형하여 이물질 등의 끼임등을 방지하여 용기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보관하는 밀폐용기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어 취급이 용이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토록 하고 있는 것으로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일 경우 고온에 취약하여 용기에 형태에 변형이 발생되고 또한 환경호르몬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고, 금속 재질의 용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뜨거운 음식을 담게 될 경우 열전도율이 높아 그대로 열이 용기체에 전달되어 용기의 취급이 불편한 것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내부용기를 금속재질로 사용하고 내부용기의 외부를 감싸도록 플라스틱 재질의 외부용기를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용기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용기의 조립이 쉽게 분리가 되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이탈이 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보완하여 내부용기의 상측 테두리부를 동그랗게 말아서 말려진 테두리부에 수지를 채워 넣음으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는 내부용기의 말려진 테두리부와 그 하단으로 뚜껑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 잠금날개가 결속되는 잠금테가 성형될 때 내측으로 요입된 홈테가 발생하게 되어 이러한 홈테로 이물질이 끼이게 될 경우에 이물질 제거를 위해 설겆이를 하여도 쉽게 제거가 되지 않게 되어 음식물을 담는 용기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용기의 테두리부와 외부용기의 잠금테 부분에 홈테가 형성되지 않도록 사출성형토록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를 해결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A airtight vessel}
본 발명은 내통과 외통이 각각 금속과 플라스틱으로 이중사출 되어 뚜껑이 형성된 밀폐용기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용기가 외부용기에서 빠지지 않으면서 뚜껑의 결합을 위하여 외부용기에 잠금테를 사출성형할 때 금속의 내부용기가 플라스틱의 외부용기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단이 말아진 부분과 그 하측으로 외부용기의 잠금테가 형성된 부분에 공간의 틈새를 없애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여 용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담는 밀폐용기는 플라스틱, 유리, 금속의 재질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용기는 대부분 취급이 용이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인체에 무해하도록 제작되고 또한 장시간 보관과 담겨진 음식으로 먼지 등의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이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유리재질의 용기의 경우에는 고급스러우나 가격이 비싸고 무거우며 또한 가공이 어렵고 충격에 쉽게 깨져 취급에 상당한 주의를 필요로 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어 대부분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와 금속재질의 용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플라스틱의 용기의 경우에는 가격이 싸고 가벼우며 쉽게 파손이 되지 않으면서 착색이 자유롭고 뛰어난 형태 및 모양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위생상태를 위하여 살균할 때 고온일 경우나 설겆이를 할 때 플라스틱에서 인체에 유해한 유해물질이 발산되어 음식물에 유입되어 보관되어 있는 음식물의 안전한 식생활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금속으로 제작되어진 용기는 프레스가공으로 찍어냄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단단하면서 가벼우나 뜨거운 음식을 담을 경우 금속재질의 특성상 열전도율이 높아 용기를 맨손으로 잡기가 어려워 손에 화상을 입는 부상을 당하게 되고 또한 금속 재질을 가공하여도 상단의 끝부분이 날카로워 손을 비이게 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태두리부(110)를 동그랗게 말아지도록 금속의 내부용기(100)를 성형한 후 사출금형기에 넣어서 내부용기(100)의 외측을 감싸면서 내부용기(100)의 동그랗게 말아지게 형성된 상측 테두리부(110)의 내측으로 수지가 채워지면서 그 하측으로 뚜껑의 잠금을 위한 잠금테(210)가 형성되도록 플라스틱 외부용기(200)를 성형토록 함으로써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가 빠지지 않도록 되면서 뚜껑을 결합하여 음식물의 보관이 용이하고 또한 음식으로의 유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안전한 식생활을 하게 됨과 동시에 뜨거운 음식을 담아도 용기의 취급이 용이하고 또한 다양한 디자인의 용기를 제공하도록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사출될 경우 내부용기(100)의 상단에 동그랗게 말려진 테두리부(110)로 수지가 채워져 외부용기(200)가 분리되지 않게 되면서 테두리부(110)의 하단으로 뚜껑이 결합되는 잠금테(210)를 형성한 외부용기가 사출성형 될 때 내부용기(100)의 테두리부(110)와 외부용기(200)의 잠금테(210) 사이에 내입되는 홈테(220)가 발생되는 것이고 이러한 홈테(220)로 이물질이 끼이게 되면 위생상 좋지 않으면서 또한 이러한 홈테(220) 부분으로 끼여진 이물질의 제거가 쉽지 않아 청결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금속의 내부용기에 플라스틱 외부용기에 인서트 사출성형할 때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분리가 되지 않게 하면서도 금속의 내부용기의 말려진 부분과 잠금테가 형성되는 플라스틱 외부용기의 부분에 홈테가 발생되지 않게 성형토록 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1차로 금속의 내부용기의 상측을 동그랗게 말려지게 절곡되게 성형한 상태에서 상기의 내부용기를 2차로 사출성형기에 넣어 외부용기 인서트 사출할 때 내부용기의 절곡부에서 외부용기의 잠금테가 형성되는 부분으로 홈테가 발생하지 않게 내부용기의 절곡부를 감싸면서 직립되게 사출성형으로 제작토록 함으로써 디자인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도 좋은 용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의 내부용기와 플라스틱 외부용기를 이중사출로 분리되지 않게 밀폐용기로 제조함으로써 고온에 의한 유해물질 발산이나 뜨거운 음식을 담을 때 화상 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또한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제조되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품질향상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부용기에 외부용기가 사출성형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밀폐용기의 제작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밀폐용기의 외관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이중밀폐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의 내부용기(10)에 플라스틱의 외부용기(20)가 이중사출로 성형되는 뚜껑(30)이 결합되는 밀폐용기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10)에 외부용기(20)가 사출되어질 때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가 분리되지 않도록 내부용기(10)의 상단에 동그랗게 말려진 컬링부(11a)를 갖는 테두리부(11)가 컬링부(11a)를 감싸면서 수직으로 형성되아 뚜껑(30)에 형성된 잠금날개(31)의 결합을 위한 잠금테(21) 사이에 홈테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출성형 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이러한 밀폐용기의 제작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계로 일정한 면적으로 된 금속의 얇은 판을 프레스로 가공하여 음식물이 담겨지는 수용부(12)를 형성되면서 상단에는 외부용기(20)가 인서트 사출성형될 때 외부용기(20)가 분리되지 않도록 테두리부(11)를 동그랗게 말아지도록 컬링부(11a)를 프레스 가공을 한 후 마무리 단계로 테두리 부분에 절단가공을 거쳐서 완전한 내부용기의 형태로 제조토록 한 것이다.
그리고 2단계로 상기와 같이 제조된 내부용기(10)를 외부용기(20)의 인서트 사출을 위하여 사출성형기(40)에 넣어서 고정토록 한 후 수지를 주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출성형기(40)는 내부용기(10)의 외측으로 수지가 채워지면서 상단 테두리부(11)의 내부와 그 하측으로 뚜껑(30)에 형성된 잠금날개(31)가 결합되도록 사출성형되는 외부용기(20)로 잠금테(21)가 성형될 때 홈테가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용기(10)의 테두리부(11)의 외부테의 끝단이 수직을 이루게 감싸지도록 수지가 채워지게 사출금형기(40)을 제작한 것이다.
따라서 금속으로 된 내부용기(10)의 외측으로 수지가 주입되면서 플라스틱으로 된 외부용기(20)가 일체로 성형되어 어떠한 충격이나 온도변화에도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가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또한 테두리부(11)와 잠금테(21) 사이에 살이 채워지게 됨으로써 이물질이 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내부용기(10)의 테두리부(11)와 뚜껑(30)의 잠금날개(31) 결합을 위한 외부용기(20)에 형성된 잠금테(21)가 형성된 부분으로 수지가 채워지게 됨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끔한 디자인을 제공하게 되고 또한 이물질이 끼임되지 않게 되어 위생적으로 용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내부용기 11: 테두리부
11a: 컬링부 12: 수용부
20: 외부용기 21: 잠금테
30: 뚜껑 31: 잠금날개
40: 사출성형기

Claims (2)

  1. 삭제
  2. 금속의 내부용기(10)에 플라스틱의 외부용기(20)가 이중사출로 성형되는 뚜껑(30)이 결합되는 밀폐용기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되는 외부용기(20)가 금속의 내부용기(10)와 분리되지 않도록 내부용기(10)의 상단에 말려지게 형성된 컬링부(11a)를 감싸면서 테두리부(11)와 수직으로 형성하여 뚜껑(30)의 결합을 위한 잠금테(21) 사이에 홈테가 발생하지 않도록 외부용기(20)가 형성되고,
    이러한 외부용기(20)는 내부용기(10)의 테두리부(11)와 외부용기(20)의 잠금테(21)에 홈테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작된 사출금형기(40)로 인서트사출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
KR1020100021792A 2010-03-11 2010-03-11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 Active KR101326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792A KR101326136B1 (ko) 2010-03-11 2010-03-11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792A KR101326136B1 (ko) 2010-03-11 2010-03-11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664A KR20110102664A (ko) 2011-09-19
KR101326136B1 true KR101326136B1 (ko) 2013-11-20

Family

ID=4495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792A Active KR101326136B1 (ko) 2010-03-11 2010-03-11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7382B (zh) * 2017-02-07 2019-02-15 广东好心情食品集团有限公司 一种塑料与金属的浇注一体工艺方法
KR101937790B1 (ko) * 2018-06-07 2019-01-14 유광희 방짜유기가 결합된 보관용기 및 그 보관용기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9Y1 (ko) * 2002-10-22 2003-01-14 주식회사 새샘 복층 구조를 갖는 조리용 볼
KR200374677Y1 (ko) 2004-10-27 2005-02-02 하나코비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KR20050069118A (ko) * 2003-12-30 2005-07-05 하나코비 주식회사 뚜껑을 밀폐 결합시킬 수 있는 비합성수지제의 용기몸체를 가지는 음식물 보관용기
KR200450325Y1 (ko) 2008-07-01 2010-09-24 주식회사 유유 2중 사출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9Y1 (ko) * 2002-10-22 2003-01-14 주식회사 새샘 복층 구조를 갖는 조리용 볼
KR20050069118A (ko) * 2003-12-30 2005-07-05 하나코비 주식회사 뚜껑을 밀폐 결합시킬 수 있는 비합성수지제의 용기몸체를 가지는 음식물 보관용기
KR200374677Y1 (ko) 2004-10-27 2005-02-02 하나코비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KR200450325Y1 (ko) 2008-07-01 2010-09-24 주식회사 유유 2중 사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664A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20605A1 (en) Drink bottle
KR20210084483A (ko) 일회용, 생분해성 및/또는 재활용 가능 재료로 제조된 단일 벽 일회용 쿨러
WO2011043956A3 (en) Plastic can package
KR200465164Y1 (ko)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
KR101326136B1 (ko)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
KR101358360B1 (ko) 일회용 밀폐용기
KR101092853B1 (ko) 신축구성을 갖는 일회용 용기
CN102765528B (zh) 一种瓶体组件
KR200462534Y1 (ko)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KR100999937B1 (ko) 식품보관용 이중 접합용기
KR100661495B1 (ko) 캔 뚜껑용 보호커버
KR20140059044A (ko)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포장용 용기
RU148225U1 (ru) Ложка-контейнер
KR200418272Y1 (ko) 캔 뚜껑용 보호커버
KR20130115424A (ko) 보관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KR20110011870U (ko) 보관용기
KR101358860B1 (ko) 교체 가능한 내부용기를 가지는 밀폐용기
KR200483289Y1 (ko) 밀폐형 식품 포장용기
KR200391632Y1 (ko) 다기능 랩커터박스
KR20110139498A (ko) 절첩되어지는 락수단이 구비된 스텐레스 용기뚜껑
KR101436940B1 (ko) 슬립 및 파손 방지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케이스
JP6188119B2 (ja) 鏡餅飾り
KR200452583Y1 (ko) 의자겸용 수납함
KR101167284B1 (ko) 휴대용 분식류 포장기구
KR101131617B1 (ko)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는 이중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4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3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0719

Appeal identifier: 2012101009280

Request date: 201210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029

Effective date: 20130719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0719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21029

Decision date: 20130719

Appeal identifier: 2012101009280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0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2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