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3622B1 -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 Google Patents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622B1
KR101323622B1 KR1020110145092A KR20110145092A KR101323622B1 KR 101323622 B1 KR101323622 B1 KR 101323622B1 KR 1020110145092 A KR1020110145092 A KR 1020110145092A KR 20110145092 A KR20110145092 A KR 20110145092A KR 101323622 B1 KR101323622 B1 KR 101323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member
vehicle
front side
cross
wel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485A (ko
Inventor
황정복
박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Priority to KR1020110145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6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62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견고하고 강한 강성을 확보하여 차체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시키고,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에 대하여 강한 강성을 제공함으로써 진동 절연에 유리하도록 하며, 차량의 충돌 사고시에는 좌굴되지 않고 차량 전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되는 변형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의 충돌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의 장착시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FRONT SIDE MEMB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사이드멤버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는 모노코크 타입의 차량 전방에 설치되어 차체에 작용하는 응력을 완화하고 엔진룸의 강성을 확보하도록 하며, 전방 충돌시 적절한 변형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으로서, 그 하측에는 서브프레임을 장착하여 엔진 및 변속기 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과 변속기가 장착되므로 상기 엔진과 변속기로부터의 진동과 소음이 상기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로 전달되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바, 이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의 하측에 진동 절연부재 등을 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는 상기 서브프레임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어야, 상기 서브프레임으로부터의 진동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는 차량의 전방 충돌시에는 적절한 변형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하며, 이와 같은 완충 작용을 위해서는 프론트사이드멤버가 좌굴되기 보다는 그대로 전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되면서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3-0090133 A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견고하고 강한 강성을 확보하여 차체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시키고,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에 대하여 강한 강성을 제공함으로써 진동 절연에 유리하도록 하며, 차량의 충돌 사고시에는 좌굴되지 않고 차량 전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되는 변형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의 충돌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의 장착시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는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형상으로 길게 압출되어 형성된 전방부재와;
상기 전방부재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전방부재보다 강한 강성으로 변형을 억제하도록 구비된 후방부재와;
상기 전방부재와 후방부재의 차체 내측방향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부재와 후방부재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내측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견고하고 강한 강성을 확보하여 차체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시키고,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에 대하여 강한 강성을 제공함으로써 진동 절연에 유리하도록 하며, 차량의 충돌 사고시에는 좌굴되지 않고 차량 전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되는 변형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의 충돌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의 장착시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프론트사이드멤버를 구성하는 전방부재와 후방부재 및 내측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전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전방부재에 장착된 웰딩너트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웰딩너트가 전방부재에 용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전방부재의 단면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웰딩너트가 결합된 부위의 전방부재 단면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형상으로 길게 압출되어 형성된 전방부재(1)와; 상기 전방부재(1)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전방부재(1)보다 강한 강성으로 변형을 억제하도록 구비된 후방부재(3)와; 상기 전방부재(1)와 후방부재(3)의 차체 내측방향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부재(1)와 후방부재(3)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내측부재(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대적으로 차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전방부재(1)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 좌굴되지 않고 차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수축되는 변형으로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압출재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약한 강성을 가지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후방부재(3)는 상기 전방부재(1)보다는 강한 강성으로 변형을 억제하여 지나친 변형으로 차량의 실내 공간의 침범을 억제하여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내측부재(5)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전방부재(1)와 후방부재(3)를 차체 내측에서 일체화하도록 결합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전방부재(1)는 서로 인접한 다수의 폐단면(7)을 내부에 형성하는 단면형상으로 길게 압출 형성된 압출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부재(3)는 상기 전방부재(1)와 연결된 부위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전방부재(1)의 단면적 보다 점차 확대되는 형상의 다이캐스팅 제품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전방부재(1)는 상기 다수의 폐단면(7)이 형성된 구조에 의해 보통의 상황에서는 차체에 필요한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압출재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쉽게 좌굴되지 않고 길이방향을 따라 찌그러지면서 수축하는 기계적 성질을 제공하여, 차량 충돌시에 후방으로 작용하는 충격 하중을 자체적인 변형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며, 이와는 반대로 상기 다이캐스팅으로 이루어진 후방부재(3)는 상기 전방부재(1)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차실내로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이상적인 차량의 충돌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전방부재(1)의 전방측에는 변형 강도를 약화시켜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폐단면(7)을 형성하는 격벽(9)의 일부 구간을 절개한 강도약화부(11)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전방부재(1) 중에서도 전방부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더 약화시켜서, 궁극적으로 차체의 전방측은 상대적으로 더 쉽게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신속히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강도를 강하게 하여 충격의 흡수와 지지 작용이 적절한 비율을 형성하여 탑승자의 보호에 더욱 효과적인 구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부재(1)는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폐단면(7)이 형성되는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측부재(5)는 상기 전방부재(1)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부재(1)의 상하방향 폐단면(7)들 내측방향으로 또 다른 폐단면들을 형성하는 패널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전방부재(1)와 함께 상기 내측부재(5)가 다수의 폐단면이 결합된 단면구조를 형성함에 의해 경량화를 이루면서도 차체에서 필요로 하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방부재(1)는 상기 다수개의 폐단면(7)을 형성하는 다수의 격벽(9)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방부재(1)의 하측에는 서브프레임의 장착을 위한 웰딩너트(13)가 삽입된 상태로 용접되며, 상기 웰딩너트(13)는 상기 전방부재(1)의 격벽(9)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로 상기 격벽(9)에 용접되어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웰딩너트(13)는 수직한 방향의 격벽(9)을 상측방향으로 절개하는 형상으로 상기 전방부재(1)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측의 보스부(15)는 원주면 양측에서 상기 격벽(9)에 용접되어 접합되고, 상기 보스부(15) 하측의 플랜지부(17)는 상기 전방부재(1)의 하측면에 면접촉한 상태로 용접되어 결합된 구조이다. 참고로 도 5와 도 7에서는 다수의 점으로 용접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웰딩너트(13)는 상기 격벽(9)에 의해 매우 강한 강성으로 상기 전방부재(1)에 고정됨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전방부재(1)의 웰딩너트(13)가 체결된 부위 자체의 강성이 매우 강하게 확보되게 되며, 이러한 강성의 확보는 서브프레임을 상기 웰딩너트(13)를 통해 장착하였을 때, 상기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진동 및 소음에 대하여 보다 강한 강성을 제공함으로써, 차체의 진동 절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은 웰딩너트(13)의 결합구조는 종래 프론트사이드멤버에 서브프레임을 장착하기 위해 부수적으로 소요되었던 각종 브라켓 등과 같은 다른 부품들을 최대한 배제한 상태에서 서브프레임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서브프레임의 조립성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전방부재
3; 후방부재
5; 내측부재
7; 폐단면
9; 격벽
11; 강도약화부
13; 웰딩너트
15; 보스부
17; 플랜지부

Claims (6)

  1.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형상으로 길게 압출되어 형성된 전방부재(1);
    상기 전방부재(1)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전방부재(1)보다 강한 강성으로 변형을 억제하도록 구비된 후방부재(3);
    상기 전방부재(1)와 후방부재(3)의 차체 내측방향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부재(1)와 후방부재(3)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내측부재(5)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재(1)는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폐단면(7)이 형성되는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측부재(5)는 상기 전방부재(1)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부재(1)의 상하방향 폐단면(7)들의 내측방향으로 또 다른 폐단면들을 형성하는 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재(1)는 서로 인접한 다수의 폐단면(7)을 내부에 형성하는 단면형상으로 길게 압출 형성된 압출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부재(3)는 상기 전방부재(1)와 연결된 부위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전방부재(1)의 단면적 보다 점차 확대되는 형상의 다이캐스팅 제품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재(1)는 상기 다수개의 폐단면(7)을 형성하는 다수의 격벽(9)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방부재(1)의 하측에는 서브프레임의 장착을 위한 웰딩너트(13)가 삽입된 상태로 용접되며;
    상기 웰딩너트(13)는 상기 전방부재(1)의 격벽(9)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로 상기 격벽(9)에 용접되어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웰딩너트(13)는 수직한 방향의 격벽(9)을 상측방향으로 절개하는 형상으로 상기 전방부재(1)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측의 보스부(15)는 원주면 양측에서 상기 격벽(9)에 용접되어 접합되고, 상기 보스부(15) 하측의 플랜지부(17)는 상기 전방부재(1)의 하측면에 면접촉한 상태로 용접되어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재(1)의 전방측에는 변형 강도를 약화시켜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격벽(9)의 일부 구간을 절개한 강도약화부(11)를 더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KR1020110145092A 2011-12-28 2011-12-28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Expired - Fee Related KR101323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092A KR101323622B1 (ko) 2011-12-28 2011-12-28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092A KR101323622B1 (ko) 2011-12-28 2011-12-28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485A KR20130076485A (ko) 2013-07-08
KR101323622B1 true KR101323622B1 (ko) 2013-11-08

Family

ID=4899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0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3622B1 (ko) 2011-12-28 2011-12-28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6881B2 (en) 2015-12-14 2018-10-02 Hyundai Motor Company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249A (ko) * 2002-10-24 2004-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론트사이드멤버의 충격흡수구조
KR20070061628A (ko) * 2005-12-10 2007-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방 차체의 보강 구조
JP2007253733A (ja) * 2006-03-22 2007-10-04 Toyota Motor Corp 車体前部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249A (ko) * 2002-10-24 2004-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론트사이드멤버의 충격흡수구조
KR20070061628A (ko) * 2005-12-10 2007-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방 차체의 보강 구조
JP2007253733A (ja) * 2006-03-22 2007-10-04 Toyota Motor Corp 車体前部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6881B2 (en) 2015-12-14 2018-10-02 Hyundai Motor Company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485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6451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5581389B2 (ja) 車体前部構造
US8720984B2 (en)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5790333B2 (ja) 車両の車体構造
WO2018163815A1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KR101339253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 하우징 지지장치
JP6052408B2 (ja) 車体の前部構造
JP6156169B2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及び車両前部構造
KR20170068326A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조립 구조
JP6544635B2 (ja) 車両側部構造
WO2012023303A1 (ja) 車両のボディ構造
JP2008260364A (ja) 自動車のバンパ構造
JP2009051251A (ja) 車両前部構造
JP2017030602A (ja) 車体構造
JP6034729B2 (ja) 車両用衝撃吸収機構
JP6575317B2 (ja) 車両前部構造
JP6488760B2 (ja) 車体構造
KR101323622B1 (ko) 차량의 프론트사이드멤버
KR101006053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KR101714200B1 (ko) 차량 언더바디 구조체
JP6234992B2 (ja) 前部の衝撃を吸収するために最適化された自動車のシャーシ
JP2020509967A (ja) 自動車両本体構造
JP6156306B2 (ja) 車両カウル構造
JP2009096437A (ja) 車体の前部構造
JP5093094B2 (ja) ダッシュパネルとトンネル部との結合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