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6939B1 -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 - Google Patents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939B1
KR101316939B1 KR1020130055096A KR20130055096A KR101316939B1 KR 101316939 B1 KR101316939 B1 KR 101316939B1 KR 1020130055096 A KR1020130055096 A KR 1020130055096A KR 20130055096 A KR20130055096 A KR 20130055096A KR 101316939 B1 KR101316939 B1 KR 101316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udge
sewage
transfer pipe
pressure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자)한진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한진개발공사 filed Critical (자)한진개발공사
Priority to KR1020130055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9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수관에서 오니 제거시 개폐판 구동과 동시에 개폐판의 반경방향으로 동일 동력을 사용하여 브러싱 작업케 함으로써 개폐판의 회동불량을 막고, 원활한 오니 제거작업이 수행되도록 개선된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수관의 내부에 오니제거장치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상하수관의 내주면에 침전 및 퇴적된 오니(Sludge)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수돗물 또는 하수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폐구현상에 따른 상하수관에 균열(Crock)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상하수관의 내주면에 침전 및 퇴적된 오니(Sludge)를 제거되도록 함으로서 자칫 오니(Sludge)에 의해 나빠질 수 있는 수질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WATER AND SEWAGE PIPE LAID UNDER THE GROUND}
본 발명은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수관에서 오니 제거시 개폐판 구동과 동시에 개폐판의 반경방향으로 고압펌프를 사용하여 고압수를 분사하고 세척케 함으로써 개폐판의 회동불량을 막고, 원활한 오니 제거작업이 수행되도록 개선된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하수관은 지중에 매설되는 이송관을 이용하여, 수돗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하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말한다.
상기 상하수관은 시간이 지나면서 내부를 유동하는 수돗물 또는 하수 이외에 불순물도 함께 내포되어 있으며, 이러한 불순물이 내주면에 부착되거나 퇴적되면서 원활히 소통되어야 할 수돗물 또는 하수가 원활히 소통하지 못하게 되고, 퇴적량이 점차 증가되는 경우 심하게는 내부가 막혀 폐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폐구현상으로 인하여 수돗물 또는 하수가 오히려 역류하거나 역류도 힘든 경우에는 상하수관 내부에 내압이 급격히 상승되면서 상하수관 자체에 균열(Crock)이 발생되어 외부로 수돗물 또는 하수가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하수관은 대부분이 지중에 매설됨으로 한번 매설된 이후에는 내부에 퇴적된 오니(Sludge)를 제거할 만한 수단이 없어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상수관의 경우 내부에 침전 및 퇴적된 오니(Sludge)에 의해 수질이 나빠질 우려가 있어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956645호(2010. 04. 29.)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한 등록특허의 경우는 개폐판을 회동시킬 때 이미, 슬러지 등의 오니가 어느 정도 차 있는 경우에는 개폐를 위한 회전동작이 어렵고, 걸린 상태로 유지되면서 부하가 가중됨에 따라 구동모터가 타 버리는 등 많은 단점이 파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상하수관 내부에 침전 및 퇴적되는 오니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을 제공하되, 오니 제거를 위해 필수적으로 동작되는 개폐판의 회전유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회전유동과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고압수 분사를 통해 주변 오니를 세척함으로써 원활한 회전상태를 확보하도록 한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로 오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이송관(100)을 갖춘 상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100)의 내부 전방에 배치되어 일방으로 흐르는 오수의 유동 및 유량의 유입을 단속하는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이송관(100)의 내부 후방에 배치되어 일방으로 흐르는 오수의 유동 및 유량의 유출을 단속하는 제2유량제어밸브(200')와; 이송관(100)의 내부에 설치된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제2유량제어밸브(200')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은 이송관(100)의 외면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타단은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부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커버(310)가 구비된 지관(300)과;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제2유량제어밸브(200') 사이에 위치되어 이송관(100)의 내부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행거(H1, H2)와, 이송관(100)의 내부 중심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행거(H1, H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관(100)의 내면에 안착된 오니(S)를 긁어 제거하는 스크래퍼본체(410)와, 이송관(100)의 내면에 설치된 행거(H1, H2)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이송관(100)의 내면을 따라 스크래퍼본체(410)를 회전되도록 하는 스크래퍼구동모터(420)를 구비한 오니제거장치부(400)와; 일측에 지관(300)의 외면을 관통하여 이송관(100)의 저면까지 굴대 설치되어 오니(S) 및 하수의 혼합물을 강제흡입하는 유입관(510)이 설치되고, 타측에 지면으로 돌출되어 유입관(510)을 통해 강제흡입된 오니(S) 및 하수의 혼합물을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배출관(520)이 설치된 펌프(500)와; 이송관(100)의 내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제2유량제어밸브(200')를 각각 또는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고,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부착된 오니(S)가 강제 이탈되도록 이송관(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오니제거장치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며, 이탈되어 교반된 하수와 오니(S)의 혼합물을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와; 제어부(600)의 작동을 통제하는 입력부(7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관체(210,210')의 내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고압수유로(910)를 더 구성하고, 상기 고압수유로(910) 상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고압수유로(910) 보다 큰 직경의 구형상을 갖는 다수의 고압수챔버(920)를 더 구성하며, 상기 고압수챔버(920)에는 그 둘레를 따라 여러방향으로 고압수분사구(930)를 형성하되, 상기 고압수분사구(930)의 끝은 뾰족하게 구성하고, 상기 고압수유로(910)에는 플렉시블한 주름관 혹은 벨로우즈관으로 이루어진 고압수공급관(SP)을 연결하며, 상기 고압수공급관(SP)의 단부는 고압수공급펌프(900)와 연결하고, 상기 개폐판(230,230')의 외테두리 폭 중앙에는 반원형상의 고무링설치홈(950)을 요입 형성하며, 상기 고무링설치홈(950)에는 고무링(940)이 끼워져 개폐판(230,230')과 지지관체(210,210')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수관의 내부에 오니제거장치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상하수관의 내주면에 침전 및 퇴적된 오니(Sludge)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수돗물 또는 하수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폐구현상에 따른 상하수관에 균열(Crock)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상하수관의 내주면에 침전 및 퇴적된 오니(Sludge)를 제거되도록 함으로서 자칫 오니(Sludge)에 의해 나빠질 수 있는 수질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의 정단면도,
도 2a 내지 도 2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에서 유량제어밸브를 따로 발췌하여 그 요부를 보인 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에서 오니제거장치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의 구성요소 간에 상호연결관계를 보인 블럭,
도 5a 내지 도 5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의 작동관계를 보인 사용상태도,
그리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추가 실시 예로서 개폐판 주변에 브러쉬가 설치된 예를 보인 예시도 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956645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956645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956645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개폐판의 구조를 개선한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956645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은, 지중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게 설치되는 이송관(100)과; 이송관(100)의 내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유량의 유입과 유출을 단속하는 제1유량제어밸브(200) 및 제2유량제어밸브(200')와; 이송관(100)의 외면에 굴절 설치되어 지상에서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된 지관(300)과;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제2유량제어밸브(200')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침전 및 퇴적된 오니(S)를 제거하는 오니제거장치부(400)와; 교반된 하수와 오니(S)의 혼합물을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500)와; 각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와; 제어부(600)의 작동을 통제하는 입력부(70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관(100)은, 장방형에 내부가 연통된 중공관으로 재질은 콘크리트 재질이며 지중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된다.
상기 이송관(100)의 내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하수의 유입 및 유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된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제2유량제어밸브(200')는, 내부가 연통된 원통형으로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억지끼움되어 고정설치되는 지지관체(210,210')와, 이송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지지관체(210,210')와 동일수직선상으로 장전된 축핀(P,P')을 축 회전되도록 하는 밸브구동모터(220,220')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지지관체(210,210')의 내주면에 위치되고 축핀(P)에 의해 고정되어 밸브구동모터(220,220')에 의해 축 회전되는 개폐판(230,230')으로 구성되며, 이를 도 2a 내지 도 2b와 같이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밸브구동모터(220,220')의 외측에는 밀폐커버(C,C')를 씌워주어 습기 또는 지중으로 유입된 빗물에 의해 밸브구동모터(220,220')가 오 작동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상기 이송관(100)의 외면에 굴절 설치되는 지관(300)은, 일단이 이송관(100)의 외면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타단이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부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커버(3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관(300)은 콘크리트재질로 상부에 안착된 커버(310)를 통해 외부로 퇴적된 오니(S)를 배출하거나 작업자가 수시로 내부의 하수 유동상태 및 오니(S)의 퇴적유무 및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관(300)을 통해 역류되는 하수의 구간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폐구된 부분의 오니(S)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전방에 배치된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후방에 배치된 제2유량제어밸브(200')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침전 및 퇴적된 오니(S)를 제거하는 오니제거장치부(400)는, 전방에 배치된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후방에 배치된 제2유량제어밸브(200') 사이에 위치되어 이송관(100)의 내부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행거(H1, H2)와, 이송관(100)의 내부 중심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행거(H1, H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관(100)의 내면에 안착된 오니(S)를 긁어 제거하는 스크래퍼본체(410)와, 이송관(100)의 내면에 설치된 행거(H1, H2)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이송관(100)의 내면을 따라 스크래퍼본체(420)를 회전되도록 하는 스크래퍼구동모터(42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관(100)의 내부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행거(H1, H2)는, 상부가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하부에는 케이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내부에는 스크래퍼구동모터(420) 또는 베어링(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실장되게 되며, 스크래퍼구동모터(420)가 내부에 실장되는 경우 실장된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실링(Sealing)처리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는 유체 및 오물에 부식되지 않는 알루미늄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시켜 주는 바람직하다.
상기 행거(H1, H2)에 양 단이 각각 장전되어 축 회전됨과 동시에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퇴적된 오니(S)를 제거하는 스크래퍼본체(410)는, 장방형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이송관(100)의 내주면과 나란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부(411)와, 수평지지부(411)의 양단이 대응되게 절곡되고 하측이 외향으로 재차 절곡된 수직지지부(412)와, 수평지지부(41)의 외면에 돌출되게 장착되고,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가지며,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퇴적된 오니(S)를 긁어 이탈되도록 하는 패드부(413)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부(411)에 양단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나란하게 절곡된 수직지지부(412)의 외향으로 돌출부분이 행거(H1, H2)의 내부에 실장된 스크래퍼구동모터(420)와 베어링(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각각 장전되어 스크래퍼구동모터(42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이를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특히, 패드부(413)의 형상은 본 실시 예에서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태의 편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직사각형태의 편 이외에도 수평지지부(411)의 외면을 감착하여 오니(S)를 제거할 수 있는 여러 수단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의 구성요소 간에 상호연결관계를 보인 블럭도이다.
상기 지중에 매립되어 이송관(100) 또는 지관(30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펌프(500)는, 일측이 지관(300)의 외면을 관통하여 이송관(100)의 저면까지 굴절 설치되어 내부에 혼합된 오니(S) 및 하수의 혼합물을 강제흡입하는 유입관(510)과, 일단이 펌프(500)의 외면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타측은 지면으로 돌출되어 유입관(510)을 통해 강제유입되는 오니(S) 및 하수의 혼합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배출관(5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600)와 입력부(7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100)의 전방에 후방에 각각 설치된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제2유량제어밸브(200')의 밸브구동모터(220,220')를 각각 또는 동시에 작동시켜 최소 0°에서부터 최고 90°까지만 회전되도록 제어하고,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부착된 오니(S)가 강제 이탈될 수 있게 이송관(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래퍼본체(410)를 강제회전시켜 주는 스크래퍼구동모터(420)의 작동을 제어하며, 이탈되어 교반된 하수와 오니(S)의 혼합물을 유입관(510)을 통해 강제흡입하고, 배출관(52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5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00)의 작동은 입력부(700)에 의해 통제된다.
특히, 상기 제어부(600)와 입력부(700)는 지상에 설치된 제어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각각 설치되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지관(300)과 인접하게 설치하였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의 작동관계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지중에 매립된 이송관(100)을 통해 하수는 유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하수의 내부에 포함된 오니(S) 역시 함께 유동되다가 점진적으로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침전되면서 퇴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니(S)가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침전되어 퇴적되게 되면 하수는 원활히 흐르지 못하게 되면서 이송관(100) 자체가 페구되어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관(300)의 상부에 장착되는 커버(310)를 일정 주기로 개방하여 이송관(100)을 통과하는 하수가 원활히 유동되는지 확인을 하게 되는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오니(S)가 침전되어 퇴적이 어느 정도 진행된 것을 확인한 이후에는 제어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설치된 제어부(600)를 통해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제2유량제어밸브(200') 및 오니제거장치부(400)를 작동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600)가 작동되면 개방되어 있던 이송관(100)의 후방에 설치된 개폐판(230')을 밸브구동모터(220')와 축핀(P')에 의해 강제 회전되어 내부를 유통하는 하수의 흐름을 차단하여 더 이상 유체가 제2유량제어밸브(200')가 설치된 구간을 지나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에 설치된 제2유량제어밸브(200')에 의해 하수가 점점 이송관(100)의 내부에 충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유량제어밸브(200')를 통해 하수의 흐름을 차단한 상태에서 이송관(100)의 전방에 설치된 제1유량제어밸브(200)를 작동하여 내부에 더 이상 하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해주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유량제어밸브(200)의 개폐판(230)은 밸브구동모터(220)와 축핀(P)에 의해 강제 회전되어 폐구되도록 하여 주며, 상기 오니제거장치부(400)를 작동시켜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침전 및 퇴적된 오니(S)를 제거시켜줌과 동시에 교반되도록 한다.
상기 오니제거장치부(400)의 작동관계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측행거(H1)와 타측 행거(H2)에 각각 장전되어 설치된 스크래퍼본체(410)는 일측 행거(H1)의 케이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 내부에 실장된 스크래퍼구동모터(420)를 통해 강제 회전시켜 주게 되면 타측 케이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 내부에 실장된 베어링(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함께 축 회전하게 된다.
상기 오니제거장치부(400)의 작동은 도 3과 같이 된다.
이때 스크래퍼본체(410)의 수평지지부(411)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수평지지부(411)의 외면에 돌출되게 장착된 패드부(413)는 스크래퍼본체(410)에 의해 함께 회전되면서 이송관(100)의 외면에 침전 및 퇴적된 오니(S)를 강제로 긁어 부착된 오니(S)를 이탈시켜 주며 스크래퍼구동모터(420)에 장착된 스크래퍼본체(410)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하수와 오니(S)는 서로 뒤섞이게 되면서 교반이 이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어느 정도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침전된 오니(S)가 제거되면 하수와 오니(S)의 교반물을 펌프(5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지관(300)에 굴절 설치된 유입관(510)을 통해 하수와 오니(S)의 교반물을 강제 흡입하고, 펌프(500)의 타측에 장착된 배출관(52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며, 이를 도 5b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회전되고 있는 오니제거장치부(400)의 작동을 멈춰주고, 이송관(100)의 내부로 하수가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된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제2유량제어밸브(200')의 개폐판(230,230')을 밸브구동모터(220,220')를 이용해 개방하여 하수가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해주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개폐판(230,230')의 동작 전후에서 주변에 쌓인 오니가 있을 경우, 개폐판(230,230')이 간섭되면서 회전구동되지 못해 밀폐력을 상실하고, 나아가 밸브구동모터(220,220')에 과부하가 걸려 코일이 타는 등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개폐판(230,230') 구동전에 고압수를 펌핑하여 미리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추가로 더 포함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테 형태의 지지관체(210,210') 내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고압수유로(910)가 더 형성된다.
상기 고압수유로(910)는 관상으로 형성되며, 고압수유로(910) 상에는 구형상의 고압수챔버(920)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압수챔버(920)는 상기 고압수유로(910)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고압수가 체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기 때문에 고압수가 모이게 되고, 모인 고압수는 일종의 버퍼 기능이 수행되어 균일 압력을 유지한 채 고압 분사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압수챔버(920)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고압수분사구(930)가 형성된다.
상기 고압수분사구(930)는 단부가 뾰족한 첨단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분사압을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체(210,210')의 둘레, 즉 테두리를 따라 집중적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경사각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수유로(910)의 일부에는 고압수공급관(SP)이 연결 배관되며, 상기 고압수공급관(SP)은 외부에 설치된 고압수공급펌프(900)와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고압수공급관(SP)은 플렉시블한 신축관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지지관체(210,210')가 설치된 지점이 항상 물이 흐르는 곳이기 때문에 유동성 불량에 따른 단선이나 파단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한 신축관으로는 플락스틱 주름관 혹은 벨로우즈관이 좋다.
덧붙여, 상기 지지관체(210,210')의 내주면과 상기 개폐판(230,230')의 외주면 사이의 밀폐력 향상을 위해, 상기 개폐판(230,230')의 둘레를 따라 폭 중심에는 반원형상의 고무링설치홈(950)이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링설치홈(950)에는 원형상의 고무링(940)이 끼워진다.
그러면, 상기 지지관체(210,210')의 내주면과 상기 개폐판(230,230') 사이에는 상기 고무링(940)이 개재되어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밀폐력이 더욱 더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개폐판(230,230')이 회동되는 지점의 지지관체(210,210') 전,후에서 회동시점에 오니가 쌓여 있을 경우 회동불량을 야기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개폐판(230,230')이 회동되기 전에 먼저 고압수공급펌프(900)를 가동시켜 고압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고압수가 고압수분사구(930)를 통해 개폐판(230,230')의 원주방향으로 고압 분사되면서 주변 오니를 말끔하게 세척해 주므로 회동시 간섭이나 끼임에 의한 회동 불량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본 발명에서는 개폐판(230,230')의 둘레를 따라 고무링(940)을 삽입설치하고, 고무링(940)을 통해 지지관체(210,210')의 내테두리와의 씰링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작업의 원활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00: 이송관 200. 200': 유량제어밸브
210. 210': 지지관체 220. 220': 구동모터
230. 230': 개폐판 300: 지관
310: 커버 400: 오니제거장치부
410: 스크래퍼본체 500: 펌프
600: 제어부 700: 입력부

Claims (1)

  1.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로 오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이송관(100)을 갖춘 상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100)의 내부 전방에 배치되어 일방으로 흐르는 오수의 유동 및 유량의 유입을 단속하는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이송관(100)의 내부 후방에 배치되어 일방으로 흐르는 오수의 유동 및 유량의 유출을 단속하는 제2유량제어밸브(200')와; 이송관(100)의 내부에 설치된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제2유량제어밸브(200')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은 이송관(100)의 외면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타단은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부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커버(310)가 구비된 지관(300)과;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제2유량제어밸브(200') 사이에 위치되어 이송관(100)의 내부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행거(H1, H2)와, 이송관(100)의 내부 중심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행거(H1, H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관(100)의 내면에 안착된 오니(S)를 긁어 제거하는 스크래퍼본체(410)와, 이송관(100)의 내면에 설치된 행거(H1, H2)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이송관(100)의 내면을 따라 스크래퍼본체(410)를 회전되도록 하는 스크래퍼구동모터(420)를 구비한 오니제거장치부(400)와; 일측에 지관(300)의 외면을 관통하여 이송관(100)의 저면까지 굴대 설치되어 오니(S) 및 하수의 혼합물을 강제흡입하는 유입관(510)이 설치되고, 타측에 지면으로 돌출되어 유입관(510)을 통해 강제흡입된 오니(S) 및 하수의 혼합물을 외부로 강제배출하는 배출관(520)이 설치된 펌프(500)와; 이송관(100)의 내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 제1유량제어밸브(200)와 제2유량제어밸브(200')를 각각 또는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고,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부착된 오니(S)가 강제 이탈되도록 이송관(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오니제거장치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며, 이탈되어 교반된 하수와 오니(S)의 혼합물을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와; 제어부(600)의 작동을 통제하는 입력부(7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관체(210,210')의 내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고압수유로(910)를 더 구성하고,
    상기 고압수유로(910) 상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고압수유로(910) 보다 큰 직경의 구형상을 갖는 다수의 고압수챔버(920)를 더 구성하며,
    상기 고압수챔버(920)에는 그 둘레를 따라 여러방향으로 고압수분사구(930)를 형성하되, 상기 고압수분사구(930)의 끝은 뾰족하게 구성하고,
    상기 고압수유로(910)에는 플렉시블한 주름관 혹은 벨로우즈관으로 이루어진 고압수공급관(SP)을 연결하며,
    상기 고압수공급관(SP)의 단부는 고압수공급펌프(900)와 연결하고,
    상기 개폐판(230,230')의 외테두리 폭 중앙에는 반원형상의 고무링설치홈(950)을 요입 형성하며,
    상기 고무링설치홈(950)에는 고무링(940)이 끼워져 개폐판(230,230')과 지지관체(210,210')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
KR1020130055096A 2013-05-15 2013-05-15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 Active KR101316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096A KR101316939B1 (ko) 2013-05-15 2013-05-15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096A KR101316939B1 (ko) 2013-05-15 2013-05-15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939B1 true KR101316939B1 (ko) 2013-10-11

Family

ID=4963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096A Active KR101316939B1 (ko) 2013-05-15 2013-05-15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9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697A (ko) 2014-09-25 2016-04-05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오니제거형 지하 매설형 상하수관
WO2016075094A1 (en) * 2014-11-10 2016-05-19 Vetco Gray Scandinavia As A system for enabling cold flow of wax and hydrate prone hydrocarbon flu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6365U (ko) * 1992-12-26 1994-07-2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침전물 이송용 슬러지(Sludge) 펌프
KR200362543Y1 (ko) 2004-06-11 2004-09-22 주식회사 아이엔텍 협잡물 종합처리기
KR20050117714A (ko) * 2004-06-11 2005-12-15 주식회사 아이엔텍 협잡물 종합처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6365U (ko) * 1992-12-26 1994-07-2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침전물 이송용 슬러지(Sludge) 펌프
KR200362543Y1 (ko) 2004-06-11 2004-09-22 주식회사 아이엔텍 협잡물 종합처리기
KR20050117714A (ko) * 2004-06-11 2005-12-15 주식회사 아이엔텍 협잡물 종합처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697A (ko) 2014-09-25 2016-04-05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오니제거형 지하 매설형 상하수관
KR101645701B1 (ko) * 2014-09-25 2016-08-08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오니제거형 지하 매설형 상하수관
WO2016075094A1 (en) * 2014-11-10 2016-05-19 Vetco Gray Scandinavia As A system for enabling cold flow of wax and hydrate prone hydrocarbon flu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514B1 (ko) 상수도관의 내부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645701B1 (ko) 오니제거형 지하 매설형 상하수관
JP5313139B2 (ja) 井戸洗浄装置
JP7412736B2 (ja) 管路洗浄システム及び管路洗浄方法
KR101276759B1 (ko) 하수관 청소장치
CN104652437B (zh) 旋挖桩孔清孔器及其施工方法
KR101316939B1 (ko)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
JP7255830B2 (ja) 管路洗浄方法及び管路洗浄システム
KR100956631B1 (ko) 밀폐식 상하수관
KR101303487B1 (ko) 상수도 비굴착 관로 경화공법 및 경화장치
CN207727726U (zh) 一种市政道路工程防堵清淤系统
KR100855016B1 (ko) 압력식 하수배관의 클리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KR100956645B1 (ko)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
US10654192B1 (en) Concrete washout and water recycling apparatus
CN106476768A (zh) 一种汽车美容用轿车底盘冲洗设备
CN112879708B (zh) 一种市政下水道修复装置及其修复方法
KR101184307B1 (ko) 여과기
KR100727854B1 (ko) 준설차
KR100706581B1 (ko) 몰탈 타설장치
JP2001342661A (ja) ホース引上げ装置及びホース引上げ装置を用いた排水管洗浄装置、排水管の洗浄方法、並びに汚水飛散防止具
CN204919748U (zh) 防堵塞马桶
CN205242506U (zh) 安装于无负压供水设备稳流补偿罐中的清洁装置
CN2412911Y (zh) 自排式滚筒洗衣机
KR100675577B1 (ko)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
CN109944307A (zh) 一种自动直冲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