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4307B1 - 여과기 - Google Patents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307B1
KR101184307B1 KR1020100042839A KR20100042839A KR101184307B1 KR 101184307 B1 KR101184307 B1 KR 101184307B1 KR 1020100042839 A KR1020100042839 A KR 1020100042839A KR 20100042839 A KR20100042839 A KR 20100042839A KR 101184307 B1 KR101184307 B1 KR 101184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uction
discharge
cylinder
foreig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389A (ko
Inventor
이준호
김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인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인보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인보우
Priority to KR102010004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30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3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07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01D29/641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 B01D2201/165Multi-way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바닥판을 긁어내는 바닥 브러시를 장착한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과기{filter}
본 발명은 하우징의 바닥판을 긁어내는 바닥 브러시를 장착한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브러시의 회전축은 수동적으로 핸들을 돌리거나 기어모터 등의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시켜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하는데, 수동 세척인 경우 브러시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별도의 모터로 브러시의 회전축을 돌리는 경우에는 유증기나 분진 등에 의해 폭발할 우려가 크고, 전력선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여과기로서, 예컨대 특허문헌1,2에 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의 수차형 여과기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5')의 회전축(6')에 수차(19)를 장착하여, 수차(19)의 회전 접선방향으로 배치된 주입관(2)으로 주입되는 유입수가 수차(19)를 돌리면서 여과시킨다.
그런데, 유입수는 주입관(2) 1개로만 주입되기 때문에, 유입수가 들어오는 한 계속해서 수차(9)를 회전시키면서 여과통(4) 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수차(19)는 연속운전을 하기 때문에 브러시(5')가 계속 여과통(4)을 긁으면서 마찰이 이루어져 브러시(5')의 교체주기가 빨라진다.
또한, 주입관(2) 1개로만 유입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수차(19)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지 못해, 유입수의 유량이 많을 경우 큰 회전속도에 의해 회전축(6')에 무리를 주거나 브러시(5')의 마모속도를 높이고, 수차(19)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
또한, 유입수의 유량이 적을 경우에는 유입속도가 낮아 수차(19)에 압력을 가하지 못해 회전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특허문헌3에서는 도 13과 같이 이물질제거부(19)와 이물질흡입공(12)이 파이(ㅠ) 형상이어서, 이물질제거부(19)와 이물질흡입공(12)이 만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물질의 석션 흐름이 없어(즉 데드 존 형성) 여과통(11)의 전체 높이에 걸쳐 균일하게 이물질을 석션하지 못하여 이물질 제거 효율이 매우 낮다.
또한, 여과기본체(1)의 바닥판에 이물질이 붙거나 침적되는 경우 드레인 밸브를 열어 배출하는데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여 여과기 전체를 분해 청소하기 주기 및 시점이 짧아 유지보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특허문헌1 : 한국실용신안공고공보 제1995-0001300호 특허문헌2 :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21460호 특허문헌3 : 한국특허공고공보 제1996-0008252호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우징의 분해 청소하는 주기 및 시점을 대폭적으로 늘려 유지보수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인 여과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여과기는,
유입수가 주입되는 주입관과, 여과된 여과수가 출수되는 출수관이 측벽에 설치되고,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배출관이 바닥판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탑재되는 여과통; 상기 여과통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여과통과 상기 바닥판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이물질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한다.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의 분해 청소하는 주기 및 시점을 대폭적으로 늘려 유지보수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여과기는,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는 측면흡입구과 하면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통과, 상기 흡입통에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배출관으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접속관, 상기 흡입통의 측면측에 설치되는 여과통브러시; 상기 흡입통의 하면측에 설치되는 바닥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여과기는,
상기 흡입통체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단면적을 갖는 수직한 흡입통과, 흡입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한 배출접속관인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흡입통의 높이에 따라 단면적을 다르게 두어 석션이 정체되는 데드 존을 없애 여과통의 높이 전체를 통해 균일한 석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여과기는,
상기 배출접속관은 배출커플러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커플러는 상기 이물질배출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채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우징의 하판을 긁어내는 바닥 브러시가 흡입통체에 채택 결합됨으로써, 바닥판에 쌓이거나 붙어있는 이물질을 부유 제거하여 하우징의 분해 청소하는 주기 및 시점을 대폭적으로 늘려 유지보수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흡입통의 높이에 따라 단면적이 다르고, 배출접속관은 단면적이 큰 쪽의 상기 흡입통에 배치됨으로써, 흡입통의 높이에 따라 이물질의 유동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여과통의 높이 전체를 통해 석션을 통한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흡입통체가 L자 형상이기 때문에, 바닥 브러시의 설치위치가 알맞아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최대한 콤팩트하게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물질제거부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단속밸브와 수차회전속력제어부를 도시한 제1 및 제2구성도.
도 7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차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입통체의 단면도.
도 11은 가이드판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수차 여과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종래 다른 여과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과기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에 탑재되는 여과통(200),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00), 회전축(300)과 함께 회전하면서 여과통(200)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300), 회전축(40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측벽(111)과 바닥판(113)으로 구성되는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의 상면을 덮는 커버(120)로 이루어진다. 커버(120)에는 미도시된 에어 벤트용 밸브, 압력 게이지 및 압력 스위치용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측벽(111)의 일측에는 유입수가 주입되는 주입관(130)이 설치되고, 측벽(111)의 타측에는 여과수가 출수되는 출수관(150)이 설치되어 있다.
바닥판(113)에는 여과통(200)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배출관(1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물질배출관(140)에는 이물질배출밸브(15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판(113)에는 배출관(145)이 더 설치되어, 내부 수리 등을 위해 용기본체(110) 내부의 이물질 등을 드레인 시킬 때 임시로 열어 사용한다.
주입관(130)은 여과통(200)의 상단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출수관(150)은 여과통(200)의 측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과통(200)은 둘레가 스크린 필터, 금속 또는 비금속의 망 또는 웨지 와이어(wedge wire) 등의 상하 개방형 원통관으로서, 여과통(200)의 하단은 바닥판(113)의 안착홈(114)에 안착되고, 여과통(200)의 상단은 측벽(111)의 내주면에 고정된 안착턱(112)에 안착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여과통(200)은 내통, 용기본체(110)는 외통의 역할을 하여 여과통(200)을 통과한 여과수가 출수관(150)을 통해 출수된다.
회전축(300)의 상부는 탑 부시(121)의 개재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커버(120)에 지지되고, 회전축(300)의 하부는 후술된 배출커플러(470)에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300)의 최상부는 커버(120)의 상면에서 돌출하여 있고, 이 돌출된 최상부는 핸들(미도시)을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다각형 머리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각형 머리부(310)에는 실링을 위해 투시창(33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볼 때 밀폐형 구조가 가능하다. 특히 후술되는 수차(510)를 이용하여 회전축(300)을 회전시킬 때 외부에서 회전축(300)이 회전 여부 확인이 불가능하다. 다각형 머리부(310)와 투시창(330)은 회전축(300)의 회전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각형 머리부(310)는 단순히 회전축(300)의 회전을 파악하는 가능 이외에, 농업용 같이 갈수기와 홍수기의 유량의 차이가 커 이물질 유입이 쉽거나, 이외의 상황에 의해 급격한 이물질이 증가에 의한 여과통(200)에 많은 이물질에 부착되면, 수차(510)의 회전이 어려워진다. 이때, 여과기를 분해 및 정비하는 대신에 투시창(330)만 분해하고 이때 노출된 다각형 머리부(310)에 핸들(미도시)을 끼우고 강제적으로 회전축(300)을 회전시키면 이물질제거부(400)도 회전시키면서 이물질배출관(140)(필요 시 드레인 밸브를 동시 작동시킴)을 열면 분해 및 청소하지 않고 쉽게 긴급 조치 및 보수가 가능하다.
이물질제거부(400)는 흡입통체(410)와 브러시(440)(450)로 이루어진다.
흡입통체(4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421)(423)가 형성되는 흡입통(420)과, 흡입통(420) 내의 이물질을 이물질배출관(140)으로 배출하는 배출접속관(430)으로 구성하여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흡입통체(410)는 높이에 따라 단면적이 다른 수직한 흡입통(420)과, 단면적이 큰 쪽의 수직한 흡입통(420)에 수평한 배출접속관(430)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여과통브러시(440)가 여과통(200)을 긁어내면 여과통(200)의 위에서 아래까지의 이물질이 흡입통(420) 높이 전체를 통해 측면흡입구(421)에서 균일하게 흡입통(420) 내부로 석션이 가능하여, 흡입통(420)의 전체 높이를 통해 석션이 되지 않는 데드 존(dead zone; 비유동구간)을 없애 이물질제거효율이 매우 높다. 측면흡입구(421)는 여과통(200)을 바라보는 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접속관(430)은 배출커플러(470)에 접속되어 있다.
배출커플러(470)는 엔드 부시(471)와 탑 부시(473)를 개시한 상태에서 이물질배출관(1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배출커플러(470)의 상부에는 회전축(300)의 하단측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300)이 회전하면 배출커플러(470)와 흡입통체(410)가 여과통(20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물질은 흡입통체(410), 배출커플러(470), 이물질배출관(140)을 통해 배출된다.
흡입통체(410)는 배출커플러(470)에 배출접속관(430)이 접속된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어, 회전에 따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흡입통(420)에 고정된 지지바(425)가 회전축(300)에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바(425)와 배출커플러(470)가 상하에서 흡입통(4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여과통브러시(440)는 여과통(200)에 걸려있는 이물질을 긁어내는 주 브러시이다.
여과통브러시(4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통(420)의 전면에 고정된 지지블록(460)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블록(460)은 凹단면 형상의 블록이다.
이때, 여과통브러시(440)는 여과통(200)을 향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48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여과통(200)의 금속여과망이 제조시 중심에 반지름이 항상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여과통브러시(400)가 여과통(200)에 접촉하도록 밀어주는 게 바람직하다.
탄성부재(480)는 지지블록(460)의 일단(461)과 여과통브러시(440)의 플랜지(445)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481)이다. 여과통브러시(440)는 브러시(441)와 이 브러시(441)를 지지하는 브러시지지체(443)로 구성되고, 플랜지(445)는 브러시지지체(443)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블록(460)의 일단(461)과 플랜지(445)는 스프링(481)의 양단 시트를 형성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통(420)의 후면에는 가이드판(49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판(490)은 흡입통(420)에 용접한 머리없는 볼트(493)에 끼운 후 와셔(495)와 너트(497)로 체결 고정한다.
가이드판(490)은 여과통(200)의 사이에 간격(d)을 형성하여, 도 4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여과통(200)을 긁어낸 이물질이 브러시(441), 여과통(200) 및 가이드판(490) 사이에 머물게 되어, 이물질의 비산과 여과통(200)으로 재부착을 막아 측면흡입구(421)로의 석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490)에는 간격(d)을 조정할 수 있게 장공(49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공(491)의 길이만큼 원하는 간격(d)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큰 경우에는 간격(d)을 넓게 하고, 이물질이 작은 경우에는 간격(d)을 좁게 하여 이물질의 석션 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물질이 다시 여과통(200)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여 필터의 효율을 높이고, 적은 유량으로 이물질을 배출시킴으로써 유입수의 손실을 줄이고 또한 배출된 유입수의 처리 비용을 절감시키는 자원 절감, 에너지 절감 및 친환경적인 장치가 된다.
한편, 대부분의 여과기는 여과통(200)에 붙어있는 이물질의 제거에 주안점을 두고 설계 및 제작되어 있어, 이물질이 하우징(110)의 바닥판(114)에 붙어있거나 침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드레인 밸브를 열어 배출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여 통상 분해 청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분해 청소하는 주기 및 시점을 늘리기 위하여, 바닥브러시(450)가 흡입통(420)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브러시(450)도 여과통브러시(440)와 마찬가지로 브러시(451)와 브러시지지체(453)로 구성하여 있다.
그러나 바닥브러시(450)는 여과통브러시(440)와는 달리 바닥판(113)을 향해 탄성을 가할 필요는 없는데, 그 이유는 바닥판(113)의 표면은 거의 평면이고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흡입통(420)의 하면에는 하면흡입구(423)가 형성되어, 바닥판(113)에서 부유한 이물질을 압력 차이에 의해 석션하여 배출시킨다.
또한, 전술한 측면측 가이드판(490)과 같은 기능을 하는 하면측 가이드판(미도시)이 추가되거나 측면측 가이드판(490)의 맨 아래쪽단을 바닥판(113)에 가깝게 배치하여 바닥브러시(450)와 함께 설치되어도 좋다.
이러한 바닥브러시(450)는 전술한 'L'자형 흡입통체(410)의 레이아웃에 매우 유용하게 설치되어, 콤팩트한 장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통체(410')는 상부와 하부는 좁고 중간부는 넓은 단면적을 갖는 수직한 흡입통(420')과, 흡입통(420')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수평한 배출접속관(430')인 '┤'자 형상으로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자 형상의 흡입통(420')이 사용되는 경우 별도의 흡입통을 만들어 바닥브러시를 설치하여도 좋다.
동력전달부(500)는 회전축(30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300)에 결합된 수차(510)와, 이 수차(510)를 회전시키는 구동주입관(530)으로 구성하여 있다.
수차(510)는 회전축(300)에 결합되는 보스(511), 복수의 블레이드(513), 보스(511)와 복수의 블레이드(513)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체(515)로 구성한다. 물론, 블레이드(513) 자체를 회전축(300)에 직접 결합하여도 좋다.
구동주입관(530)은 수차(510) 보다 정확하게는 블레이드(513)의 회전 접선방향을 향하게 측벽(111)에 설치된다.
블레이드(513)는 판 형상의 패드로 부착되어도 좋지만, 도 8 및 도 9와 같이 오목한 형태의 블레이드(513a) 또는 볼록한 형태의 블레이드(513b)로 구현할 수 있다.
이것은 유입수의 유량(유속)이 낮거나 회전하는 힘이 많이 필요한 경우 오목한 모양이 유입수를 수렴하는 형태로 압력을 집중시켜 유리하고, 유입수의 유량(유속)이 크거나 회전하는 힘이 적게 필요한 경우 볼록한 모양이 유입수를 발산시키는 형태로 압력을 분산시켜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입관(130)이 구동주입관(530)과 같은 높이에 있다.
즉, 주입관(130)이 수차(510)를 향하는 높이에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입관(130)을 통해 주입되는 유입수가 수차(510)에 충격을 주어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보호판(135)이 주입관(13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판(135)은 유입수가 직접 수차(510)에 부딪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보호판(135)을 설치하지 않으려면 구동주입관(530)의 위쪽 또는 아래쪽, 바람직하게는 아래쪽에 주입관(130)이 설치되는 것이 수차 임의적 회전 및 수차 보호 측면에서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주입관(130)이 구동주입관(530)보다 아래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둘 다 직경이 작은 경우에 유리하다. 이것은 주입관(130)이 직경이 큰 경우 구동주입관(530)과 여과통(200)의 상단 사이를 벗어나면 벗어난 부분만큼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유입수가 여과통 내부로 직접 들어가지 못하는 공간)가 형성되어 수차 임의적 회전 및 수차 보호 측면에 비해 비효율적이다.
또한, 이러한 데드 스페이스를 해소하고 수차 임의적 회전 및 수차 보호 측면 모두를 만족시키기 위해 주입관(130)이 구동주입관(530) 위에 배치되면 하우징이 그만큼 더 높아져야 한다.
따라서, 관경과 데드 스페이스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여과용량이 큰 경우라면 관경이 클 것이고 그러면 주입관(130)은 구동주입관(530)과 같은 높이로 설계하고, 여과용량이 작다면 관경이 작을 것이고 그러면 주입관(130)은 구동주입관(530)과 여과통(20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도록 설계하면 좋다.
한편, 주입관(130)과 구동주입관(530)을 별개로 두었기 때문에, 유입수를 선택적으로 주입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입수단속밸브(6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수단속밸브(600)는 도 5와 같이 주입관(130)과 구동주입관(530) 각각에 단속밸브(610)(620)를 두어 제어하거나, 도 6과 같이 분기점에 3-웨이 밸브(630)를 두어 유입수를 주입관(130) 또는 구동주입관(530)으로 주입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수차(510)의 회전속력을 제어하는 수차회전속력제어부(65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차회전속력제어부(6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주입관(530)에서 분기되어 주입관(130)에 연결되는 분기관(651), 분기관(651)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653) 및 체크밸브(655)로 이루어진다. 체크밸브(655)는 주입관(130)에서 구동주입관(530)으로 유입되는 역류를 막는다.
이 수차회전속력제어부(650)는 여과기의 사용 유량이 많거나 회전 속도를 줄이기 위해 구동주입관(530)으로 들어오는 유입수의 일부를 주입관(130)으로 보내어 수차(510)에 전해지는 유입수의 량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와 같이, 수차회전속력제어부(650')가 구동주입관(530)의 출구(651')를 유선 형상의 노즐로 구현하면, 여과기의 사용 유량이 적을 경우 유리하다.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차회전속력제어부(650'')가 구동주입관(530)의 내부에 별도로 장착된 노즐(655'')로 구현되어도 여과기의 사용 유량이 적을 경우 유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산업용 자동 여과기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100 : 하우징 110 : 용기본체
111 : 측벽 112 : 안착턱
113 : 바닥판 114 : 안착홈
120 : 커버 121 : 탑 부시
130 : 주입관 135 : 보호판
140 : 이물질배출관 145 : 배출관
150 : 출수관 155 : 이물질배출밸브
200 : 여과통 300 : 회전축
310 : 다각형 머리부 330 : 투시창
400 : 이물질제거부 410,410' : 흡입통체
420,420' : 흡입통 421 : 측면흡입구
423 : 하면흡입구 425 : 지지바
430,430' : 배출접속관 440 : 여과통브러시
441 : 브러시 443 : 브러시지지체
445 : 플랜지(스프링시트) 450 : 바닥브러시
451 : 브러시 453 : 브러시지지체
460 : 지지블록 461 : 스프링시트(일단)
470 : 배출커플러 471 :엔드 부시
473 : 탑 부시 480 : 탄성부재
481 : 스프링 490 : 가이드판
491 : 장공 493 : 볼트
495 : 와셔 497 : 너트
500 : 동력전달부 510 : 수차
511 : 보스 513 : 블레이드
515 : 연결체 530 : 구동주입관
600 : 유입수단속밸브 610 : 주입단속밸브
620 : 회전주입단속밸브 630 : 3-웨이밸브
650,650',650'' : 수차회전속력제어부 651 : 분기관
653 : 유량조절밸브 655 : 체크밸브
651' : 노즐형상출구 655'' : 노즐
d : 간격

Claims (4)

  1. 유입수가 주입되는 주입관과, 여과된 여과수가 출수되는 출수관이 측벽에 설치되고,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배출관이 바닥판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탑재되는 여과통;
    상기 여과통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여과통과 상기 바닥판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이물질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는 측면흡입구과 하면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배출관에 접속되는 흡입통체와,
    상기 흡입통체의 측면측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통을 긁어내는 여과통브러시와,
    상기 흡입통체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을 긁어내는 바닥브러시를 포함하는 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통체는 상기 측면흡입구과 상기 하면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통과, 상기 흡입통에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배출관으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접속관으로 구성되는 여과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통체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단면적을 갖는 수직한 흡입통과, 흡입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한 배출접속관인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여과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접속관은 배출커플러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커플러는 상기 이물질배출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채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여과기.
KR1020100042839A 2010-05-07 2010-05-07 여과기 Active KR101184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839A KR101184307B1 (ko) 2010-05-07 2010-05-07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839A KR101184307B1 (ko) 2010-05-07 2010-05-07 여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89A KR20110123389A (ko) 2011-11-15
KR101184307B1 true KR101184307B1 (ko) 2012-09-21

Family

ID=4539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839A Active KR101184307B1 (ko) 2010-05-07 2010-05-07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512B1 (ko) 2020-07-22 2020-12-29 에이치씨테크(주)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517B1 (ko) * 2012-09-27 2016-11-04 주식회사 이엠이 폐수열원 히트펌프 열교환기의 오염물질제거를 위한 전처리장치
KR102167093B1 (ko) * 2019-07-25 2020-10-16 주식회사 청류 분뇨 처리 장치
KR102527637B1 (ko) * 2022-06-17 2023-05-02 (주) 디케이금속 여과장치가 구비된 밸브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512B1 (ko) 2020-07-22 2020-12-29 에이치씨테크(주) 자동 세척이 가능한 여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89A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307B1 (ko) 여과기
CN205613145U (zh) 前置管道过滤器
CN208884181U (zh) 一种气流染色机染液过滤器
KR101154426B1 (ko) 여과기
CN104941283A (zh) 一种反冲洗滤水器
CN107854085A (zh) 用于水槽洗碗机的过滤器和具有其的水槽洗碗机
KR101185436B1 (ko) 여과기
CN220706087U (zh) 一种防堵水泵
CN110584191A (zh) 一种带有无动力旋转清洁干燥装置的烟草真空罐
CN214940901U (zh) 一种建筑施工用排水装置
CN112378072A (zh) 一种中央空调节能控制系统
KR100882776B1 (ko)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CN110813949A (zh) 一种消防水带清洗机
CN212479594U (zh) 一种耐腐蚀的离心泵
CN210869841U (zh) 一种带有无动力旋转清洁干燥装置的烟草真空罐
CN113926233A (zh) 一种低负载启动的过滤器
CN206382273U (zh) 用于清洁空调室内机的滤网的清洁装置和空调室内机
CN208995766U (zh) 一种气流染色机的回流设备
CN106076942A (zh) 一种紧固件清洗机
CN214808814U (zh) 一种具备控流功能的流体输送装置
CN213855308U (zh) 一种用于喷射器的防堵塞机构
CN117122964A (zh) 一种生物载体拦截滤筒装置
CN209163017U (zh) 一种水利生态储水装置
CN211865953U (zh) 智能清洁机器人的清洗组件
CN207897632U (zh) 一种猪舍用自动清粪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