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111B1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6111B1 KR101316111B1 KR1020120084526A KR20120084526A KR101316111B1 KR 101316111 B1 KR101316111 B1 KR 101316111B1 KR 1020120084526 A KR1020120084526 A KR 1020120084526A KR 20120084526 A KR20120084526 A KR 20120084526A KR 101316111 B1 KR101316111 B1 KR 1013161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socket
- housing
- contact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 조립체는 제 1 부재에 장착된 소켓 및 제 2 부재에 연결되며 소켓과 기계적,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러그를 포함한다. 소켓은 제 1 종단과 제 2 종단이 개방된 내부 공간부를 갖는 소켓 하우징; 및 소켓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 1 부재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서 연장되며 소정의 높이 차이를 갖는 상부 콘택트 및 하부 콘택트를 포함하는 소켓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켓 터미널의 상부 콘택트의 선단부 하부면과 하부 콘택트의 선단부 상부면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된다. 소켓과 체결되는 플러그는 제 1 종단과 제 2 종단이 개방된 내부 공간부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 및 플러그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 2 부재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서 연장된 콘택트를 포함하는 플러그 터미널; 및 플러그 하우징의 선단부에서 연장되며, 내부에는 플러그 터미널의 콘택트가 위치하는 삽입 부재를 포함한다.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g mounted to a first member and a socket mounted to the first member, the plug being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ocket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he socket may include a socket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pen; And a socket terminal mounted inside the socket housing and extending from the base and the base fixed to the first member, the socket terminal including an upper contact and a lower contac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Here, a protruding piece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ntact of the socket termina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lower contact. The plug coupled to the socket may include a plug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having a first end and an open second end; And a plug terminal mounted inside the plug housing and including a base fixed to the second member and a contact extending from the base. And an insertion member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plug housing and having a contact of the plug terminal located therein.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시 클릭(click)감을 개선하고 록킹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구성 요소인 소켓을 다른 구조의 컨넥터 조립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컨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improving a click feeling and increasing locking force when a socket and a plug are coupled, and applying a socket as a component to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will be.
2개의 독립 부재 간의 데이터/신호의 고속 전송을 위하여 사용하는 컨넥터 조립체는 크게 보드 투 와이어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Board To Wire type connector assembly) 그리고 보드 투 보드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assembly)로 구분될 수 있다.The connector assembly used for high speed data /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wo independent members is largely a board to wire type connector assembly and a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assembly. It can be divided into.
이와 같은 보드 투 와이어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와 보드 투 보드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에서는, 보드에 장착된 소켓과 보드에 장착 또는 와이어가 결속된 플러그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소켓에 구비된 터미널과 플러그에 설치된 터미널이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와이어와 보드 또는 보드와 보드는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In such a board-to-wire connector assembly and a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a terminal mounted on a socket and a terminal installed on the plug are connected by connecting a socket mounted on a board and a plug attached or mounted on the board to each other. The wires and the board or the board and the board ar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이와 같은 보드 투 와이어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와 보드 투 보드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에서는, 터미널과 소켓 하우징 그리고 터미널과 플러그 하우징 간의 신뢰성 있는 록킹 및 소켓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의 견고한 결합이 요구된다. In such a board-to-wire connector assembly and a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a reliable lock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ocket housing and the terminal and the plug housing and the tight coupling of the socket housing and the plug housing are required.
또한,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시, 소켓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이 정확한 대응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소켓에 구비된 터미널과 플러그에 설치된 터미널의 전기적인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ocket and the plug are coupled,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socket and the terminal installed in the plug may be stably maintained only when the socket housing and the plug housing are maintained in the correct correspondence state.
이와 함께, 서로 결합된 상태의 소켓과 플러그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적인 수단이 필요하다. 특히, 일반적으로 보드 투 와이어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의 소켓과 보드 투 보드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의 소켓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소켓을 보드 투 와이어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의 소켓은 물론 보드 투 보드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의 소켓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작업의 효율 및 생산 설비의 절감면에서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al means that can simply disconnect the socket and plug in a state coupl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socket of the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and the socket of the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generally have different structures. Therefore, if the socket having the same structure can be used as the socket of the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as well as the socket of the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it is preferable in view of efficiency of work and reduction of prod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터미널이 각각 내부에 장착된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시 클릭감을 개선하고 록킹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컨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click feeling and increase the locking force when the terminal is coupled to each of the socket and the plug mounted therei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합된 상태의 플러그와 소켓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소켓에 대한 플러그의 정확한 안내를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컨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imply detaching a plug and a socket in a coupled state and enabling accurate guidance of the plug to the socke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 요소인 소켓을 다른 구조의 컨넥터 조립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컨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which can be applied to a connector assembly of another structure as a component socket.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 조립체는 제 1 부재에 장착된 소켓 및 제 2 부재에 연결되며 소켓과 기계적,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러그를 포함한다.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the socket and the second member mounted on the first member and a plug which is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ocket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nclude.
소켓은 제 1 종단과 제 2 종단이 개방된 내부 공간부를 갖는 소켓 하우징; 및 소켓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 1 부재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서 연장되며 소정의 높이 차이를 갖는 상부 콘택트 및 하부 콘택트를 포함하는 소켓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켓 터미널의 상부 콘택트의 선단부 하부면과 하부 콘택트의 선단부 상부면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된다.The socket may include a socket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pen; And a socket terminal mounted inside the socket housing and extending from the base and the base fixed to the first member, the socket terminal including an upper contact and a lower contac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Here, a protruding piece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ntact of the socket termina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lower contact.
또한, 플러그는 제 1 종단과 제 2 종단이 개방된 내부 공간부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 및 플러그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 2 부재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서 연장된 콘택트를 포함하는 플러그 터미널; 및 플러그 하우징의 선단부에서 연장되며, 내부에는 플러그 터미널의 콘택트가 위치하는 삽입 부재를 포함한다. The plug may further include a plug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pen; And a plug terminal mounted inside the plug housing and including a base fixed to the second member and a contact extending from the base. And an insertion member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plug housing and having a contact of the plug terminal located therein.
위와 같은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시, 플러그의 삽입 부재가 소켓 하우징의 내부 공간부 내로 진입하여 플러그 터미널의 콘택트가 소켓 터미널의 상부 콘택트와 하부 콘택트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소켓 터미널의 상부 콘택트의 돌출편과 플러그 하우징의 콘택트가 접촉하며, 소켓 터미널의 하부 콘택트의 돌출편은 삽입 부재에 형성된 관통공 내로 삽입된다.Upon engagement of the socket with the plug as above, the protruding piece of the upper contact of the socket terminal, with the insertion member of the plug entering the inner space of the socket housing, with the contact of the plug terminal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tacts of the socket terminal. And contacts of the plug housing come into contact, and the protruding pieces of the lower contact of the socket terminal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insertion member.
여기서, 플러그의 삽입 부재는 양 측면 부재 및 양 측면 부재를 연결하는 바닥 부재로 이루어져 양 측면 부재와 바닥 부재 간의 공간부에 플러그 터미널의 콘택트가 위치하며, 삽입 부재의 관통공은 바닥 부재에 형성되어 있다.Here, the insertion member of the plug is composed of both side members and bottom members connecting both side members, the contact of the plug terminal is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both side members and the bottom member, the through hole of the insertion member is formed in the bottom member have.
또한, 플러그는 플러그 하우징에서 삽입 부재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선단부 상부면에는 상향 돌출된 체결편이 형성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와 대응하여, 소켓 하우징의 상부 부재 내면에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어 플러그 하우징과 소켓 하우징의 결합시 플러그 하우징의 체결 부재의 체결편이 소켓 하우징의 돌출편과 접촉,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g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member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insertion member in the plug housing and having a fastening member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end surface. Correspondingly, a protruding piec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of the socket housing so that the fastening piece of the fastening member of the plug housing may contact and fasten to the protruding piece of the socket housing when the plug housing and the socket housing are coupled.
한편, 소켓 하우징의 돌출편은 전방면이 상부 부재 내면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후방면은 상부 부재 내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의 체결편은 플러그 하우징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경사면 및 경사면의 종단에서 체결 부재의 상부면으로 연장된 수직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플러그 하우징과 소켓 하우징의 결합시, 돌출편의 수직면과 체결편의 수직면이 서로 접촉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jecting piece of the socket housing is an inclined surface in which the front surface is inclin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and the rear surface is formed in a vertical surfac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In addition, the fastening piece of the plug housing is composed of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toward the plug housing and a vertical surfac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plug housing and the socket housing are coupled, the vertical surface of the protruding piece and the vertical surface of the fastening piece contact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 조립체에서, 플러그는 체결 부재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플러그 하우징에서 연장되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체결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압 부재는 하부면의 일부 영역이 체결 부재의 표면과 접촉하며, 상부면에는 가압편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fastening member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plug housing while being positioned above the fastening member.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contacts the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and a pressing piec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이러한 가압편은 바람직하게는 선단에서 플러그 하우징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경사부 및 경사부의 종단에서 플러그 하우징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 pressing piece may preferabl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upward toward the plug housing at the tip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toward the plug housing at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한편, 플러그 하우징에는 플러그 터미널이 각각 위치한 다수의 삽입 부재가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며, 인접한 2개의 삽입 부재는 체결 부재를 통하여 연결되되, 체결 부재의 상부 표면에는 체결편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lug hous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members each having a plug terminal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two adjacent insertion members are connected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the fastening pie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여기서, 플러그 하우징의 삽입 부재는 바닥 부재의 체결 부재에 인접한 부분의 반대 부분으로부터 소정 길이 하향 연장된 부분을 가지며, 소켓 하우징은 내부 공간 바닥부에 형성된 안내 부재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서, 플러그 하우징이 소켓 하우징과 결합할 때, 플러그 하우징의 삽입 부재의 연장된 부분이 소켓 하우징의 안내 부재와 소켓 하우징의 내부 벽면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의 삽입 부재가 소켓 하우징 내로 이동할 수 있다.Here, the insertion member of the plug housing has a portion extending downwar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opposite portion of the portion adjacent to the fastening member of the bottom member, and the socket housing has a guide member formed in the inner space bottom. In such a structure, when the plug housing engages with the socket housing, the insertion member of the plug housing moves into the socket housing with the extended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of the plug housing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member of the socket housing and the inner wall of the socket housing. Can be.
특히, 플러그 하우징에 장착된 플러그 터미널은 와이어와의 결속을 위하여 콘택트를 제외한 영역의 양 측단부가 전체 폭에 걸쳐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져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lug terminal mounted on the plug housing may have a shape in which both side ends of the region excluding the contact are bent in the same direction over the entire width for binding with the wir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투 와이어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 및 보드 투 보드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가 보드 상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플러그의 저면 사시도 및 평면 사시도.
도 4는 플러그와 소켓이 대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플러그와 소켓이 결합한 상태의 제 1 및 제 2 횡단면도.
도 6은 다른 형태의 플러그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선 7-7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또 다른 형태의 플러그의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또 다른 구조를 갖는 플러그 터미널의 측면도 및 사시도.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oard-to-wire connector assembly and a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on a board, respectively.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bottom and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plug shown in FIG. 2;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g and a socket correspond.
5A and 5B are first and seco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lug and socket shown in FIG. 4 in a coupled stat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type of plu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7-7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type of plug.
9A and 9B are side and perspective views of a plug terminal having yet another structur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 조립체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투 와이어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100)의 사시도로서, 보드 투 와이어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100)는 (표면에 회로 패턴이 형성되고 전자 요소가 실장된) 보드(1)에 장착된 소켓(100) 및 와이어(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플러그(200)를 포함한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ard-to-
또한,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투 보드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100)의 사시도로서, (회로 패턴이 형성되고 전자 요소가 실장된) 제 1 보드(1)에 장착된 소켓(100) 및 (회로 패턴이 형성되고 전자 요소가 실장된) 제 2 보드(2)에 장착된 플러그(200)를 도시하고 있다.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ard-to-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로서, 컨넥터 조립체는 소켓(100) 및 소켓(100)에 결합되는 플러그(200)를 포함한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A and 1B, wherein the connector assembly includes a
여기서, 소켓(100)은 보드(도시되지 않음) 상에 장착되며, 플러그(200)는 또 다른 보드(도시되지 않음) 상에 장착되거나,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소켓(100)은 소켓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소켓 하우징(110)은 양 종단인 제 1 종단(110-1)과 제 2 종단(110-2)이 개방된 내부 공간부를 가지며, 제 1 종단(110-1)에는 플러그(200)가 결합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소켓 터미널(190)이 제 2 종단(110-2)을 통하여 소켓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된다.The
소켓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 특히 바닥벽에는 각 소켓 터미널(190)을 보호하고 좌우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소정 높이의 보호부(121 및 122)가 형성되어 있다. 각 보호부(121 및 122)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소켓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수직 부재로 이루어진다. 소켓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된 각 소켓 터미널(190)의 일부 영역은 대응하는 각 보호부(121 및 122) 내에 위치한다. In the inner space of the
각 소켓 터미널(190)은 소켓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보드(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는 베이스(193) 및 베이스(193)에서 연장되며 소정의 높이 차이를 갖는 상부 콘택트(191) 및 하부 콘택트(192)를 포함한다. 상부 콘택트(191) 및 하부 콘택트(192)의 선단부 하면 및 상면에는 서로를 향하여 돌출된 소정 높이의 돌출편(191-1 및 19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Each
여기서, 소켓 터미널(190)의 일부분, 즉 베이스(193)와 선단부 사이의 영역이 대응하는 보호부(121 또는 122) 내에 위치한다.Here, a portion of the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플러그의 저면 사시도 및 평면 사시도로서, 도 2에 도시된 플러그(200)의 전체 구성 및 플러그 터미널(290)이 장착된 상태를 시하고 있다. 한편, 도 3a에서는 플러그(200)에 장착된 플러그 터미널(290)과 접촉된 소켓 터미널(190)을 함께 도시하고 있다. 3A and 3B are bottom and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plug illustrated in FIG. 2, illustrat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플러그(20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210), 플러그 하우징(210)의 제 1 종단부(즉, 소켓(100)의 제 1 종단(110-1)과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삽입부(220) 및 체결 부재(230)를 포함한다.The
삽입부(220)는 소정 간격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부재(221 및 222)로 이루어지며, 이 삽입 부재(221 및 222)는 소켓 하우징(110)의 2개의 보호부(121 및 122)에 각각 대응한다. 한편, 각 삽입 부재(221 및 222)는 양 측면 부재(예를 들어, 221에서의 221-1 및 221-2) 및 양 측면 부재(221-1 및 221-2)를 연결하는 바닥 부재(221-3)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후술할 플러그 터미널(290)의 특정 부분(콘택트)이 위치한다.The inserting
체결 부재(230)는 플러그 하우징(210)의 제 1 종단부에서 연장된 부재로서, 2개의 삽입 부재(221 및 222) 사이에 배치된다. 체결 부재(230)의 선단부 상부면에는 소정 높이의 체결편(2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편(231)은 플러그 하우징(210)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소정 길이의 경사면 및 경사면의 종단에서 체결 부재(231)의 상부면으로 연장된 수직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여기서 체결 부재(230)는 삽입 부재(221 및 222)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캔틸레버보 형태이며, 그 상부면은 인접한 삽입 부재(221 및 222)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룬다. 또한 체결 부재(230)는 인접한 삽입 부재(221 및 222)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체결 부재(230)의 (체결편(231)이 형성된) 자유단부는 삽입 부재(221 및 222)에 대하여 소정 범위의 독립적인 이동(눌려짐)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한편, 플러그 하우징(210)의 (제 1 종단부의 반대 종단부인) 제 2 종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211 및 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 터미널(290)은 이 슬롯(211 및 212)을 통하여 플러그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러그 터미널(290)은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보드에 고정되거나 또는 와이어가 결속되는 베이스(291) 및 베이스(291)에서 연장된 콘택트(292)를 포함한다. 각 플러그 터미널(290)의 콘택트(292)는 플러그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연장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삽입 부재(221 또는 222) 내에 위치한다. As shown in FIG. 2, each
한편, 도 2에서의 미설명 부호 "S"는 소켓 하우징(110)에 형성된 관통 슬릿(S1)을 관통하여 수단으로서, 이 고정 수단(S)은 보드(도시되지 않음) 표면에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소켓 하우징(110)은 보드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플러그(200)를 보드에 고정하기 위하여 플러그 하우징(210)에도 고정 수단(S)이 관통하는 관통 슬릿(S2)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S" in Figure 2 is a means through the through slit (S1) formed i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 조립체의 조립 과정 및 각 부재의 기능을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nnector assembly and the function of each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200)와 소켓(100)이 대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플러그 터미널(290)이 장착된 플러그(200)와 소켓 터미널(190)이 장착된 소켓(100)이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플러그(200)의 플러그 하우징(210)의 제 1 종단부에 형성된 체결 부재(230) 및 2개의 삽입 부재(221 및 222)는 소켓(100)의 소켓 하우징(110)의 제 1 종단부(110-1)의 바닥면에 형성된 안내 부재(121 및 122)와 각각 대응하며, 플러그 하우징(210)의 체결 부재(230)는 소켓 하우징(110)의 2개의 안내 부재(121 및 122) 에 의하여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함). The
이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210)을 소켓 하우징(110)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플러그 하우징(210)의 2개의 삽입 부재(221 및 222)는 소켓 하우징(110)의 보호부(121 및 122) 내에 각각 위치하며, 플러그 하우징(210)의 체결 부재(230)는 소켓 하우징(110)의 2개의 보호부(121 및 122)에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In this state, when the
이와 동시에 소켓(100)의 소켓 터미널(190)과 플러그(200)의 플러그 터미널(290)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를 도 5a에 도시하였다.At the same time, the
도 5a는 도 4의 선 5a-5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소켓 터미널(190)과 플러그 터미널(290)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다.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위의 설명과 같이 플러그 하우징(210)과 소켓 하우징(110)이 결합하면, 소켓 터미널(190)의 상부 콘택트(191)는 플러그 터미널(290)의 콘택트(292) 위에 위치하며, 이때, 상부 콘택트(191)의 선단부 하면에 형성된 돌출편(191-1)은 플러그 터미널(290)의 콘택트(292)와 접촉한다. 따라서, 소켓(100)의 소켓 터미널(190)과 플러그(200)의 플러그 터미널(29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When the
한편, 소켓 터미널(190)의 하부 콘택트(192)는 플러그(200)의 각 삽입 부재(단면도인 도 5b에서는 221만이 도시됨)의 바닥 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때 하부 콘택트(192)의 선단부 상면에 형성된 돌출편(192-1)은 삽입 부재(221)의 바닥 부재에 형성된 관통공(221a) 내로 삽입된다. 하부 콘택트(192)의 돌출편(192-1)의 관통공(221a) 내로의 삽입 상태가 도 3a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소켓 터미널(190), 즉 상부 콘택트(191)와 하부 콘택트(192)는 탄성을 갖는 금속 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부 콘택트(191)의 돌출편(191-1)과 플러그 터미널(290)의 접촉 그리고 하부 콘택트(192)의 돌출편(192-1)의 관통공(221a) 내로의 삽입은 무리 없이 이루어진다. Here, since the
도 5b는 도 4의 선 5b-5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플러그 하우징(210)의 체결 부재(230)와 소켓 하우징(110)의 관계를 도시한다.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210)과 소켓 하우징(110)이 결합하면, 플러그 하우징(210)의 제 1 종단부에 배치된 체결 부재(230)는 소켓 하우징(110)의 내부로 진입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110)의 상부 부재 내면에는 소정 높이 하향 돌출된 돌출편(1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편(110-1)은 전방면(즉, 제 1 종단부(110-1))에 대응하는 면)이 상부 부재의 내면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방면은 상부 부재 내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b,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of the
따라서, 플러그 하우징(210)의 체결 부재(230)가 소켓 하우징(110)의 내부로 진입할 때, 플러그 하우징(230)의 체결 부재(230)에 형성된 체결편(231)의 경사면이 소켓 하우징(110)의 돌출편(110-1)의 경사면과 접촉한다. Therefore, when the
이후, 플러그 하우징(210)과 소켓 하우징(110)의 결합이 완료되면, 플러그 하우징(230)의 체결 부재(230)에 형성된 체결편(231)의 수직면과 소켓 하우징(110)의 돌출편(110-1)의 수직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며 (도 5b의 상태), 따라서 플러그 하우징(210)과 소켓 하우징(110)의 결합은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하여 해제되지 않는다. Then, when the coupling of the
도 5a 및 도 5b 그리고 위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플러그 하우징(210)과 소켓 하우징(110)의 결합은 이중 결합 구조, 즉 소켓 하우징(110)에 장착된 소켓 터미널(190)과 플러그 하우징(210)의 결합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210)의 체결 부재(230)와 소켓 하우징(110)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따라서 플러그 하우징(210)과 소켓 하우징(110)은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5A and 5B and the above description, the coupling of the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 조립체에서의 각 부재에 의한 부가적인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additional function by each member i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이에 관련된 설명에서와 같이, 각 삽입 부재(예를 들어, 221)는 수직의 내측면 및 외측면 부재(221-1 및 221-2) 및 측면 부재(221-1 및 221-2)를 연결하는 바닥 부재(221-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삽입 부재(221)의 내부 공간에는 플러그 터미널(290)의 특정 부분이 위치하며, 개방된 선단을 통하여 소켓 터미널(190)의 콘택트(191)가 진입함으로써 플러그 터미널(290)과 소켓 터미널(190)이 접촉한다.As shown in FIG. 3B and in the description related thereto, each insertion member (eg, 221) has a vertical inner and outer surface members 221-1 and 221-2 and a side member 221-1. And a bottom member 221-3 connecting the 221-2. A specific portion of the
이러한 구조의 삽입 부재(221)에서는 플러그 터미널(290)이 양 측면 부재(221-1 및 221-2)와 바닥 부재(221-3)에 의하여 보호를 받으며, 따라서 플러그 터미널(290)에는 외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아 형상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In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00)의 플러그 하우징(210)의 제 1 종단부에 형성된 체결 부재(230) 및 2개의 삽입 부재(221 및 222)는 소켓(100)의 소켓 하우징(110)의 개방된 제 1 종단부(110-1)를 통하여 소켓 하우징(110) 내로 삽입된다. As shown in FIG. 2, the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의 내측면 및 외측면 부재(221-1 및 221-2) 및 바닥 부재(221-3)로 이루어진 삽입 부재(예를 들어, 221)는 바닥 부재(221-3)의 외측부,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재(230)에 인접한 부분의 반대 부분으로부터 소정 길이 하향 연장된 부분(221-1a)을 갖는다. 이 연장된 부분(221-1a)은 소켓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 바닥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안내 부재(예를 들어, 121)와 소켓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벽면 사이에 대응한다. 따라서, 플러그 하우징(210)이 소켓 하우징(110)과 결합할 때, 플러그 하우징(210)의 삽입 부재(221 및 222)는 이 안내 부재(121 및 122)에 의하여 안내된 상태로 소켓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한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member (for example, 221) consisting of the vertical inner and outer surface members 221-1 and 221-2 and the bottom member 221-3 is the bottom member 221-3. ) Has a portion 221-1a extending downward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adjacent to the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구조 및 기능을 갖는 플러그를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lugs having different structures and functions will be described.
도 6은 다른 형태의 플러그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선 7-7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7에서는 편의상 소켓에 결합된 플러그를 도시하였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type of plug,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7-7 of FIG. 6. On the other hand, Figure 7 shows a plug coupled to the socket for convenience.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플러그(120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플러그(200)의 구성과 유사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플러그(1200) 역시 플러그 하우징(1210)의 제 1 선단부에 형성된 2개의 삽입 부재(1221 및 1222) 사이에 배치된 체결 부재(1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체결 부재(1230)의 기능은 위에서 설명한 플러그(200)의 체결 부재(230)의 기능과 동일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플러그(1200)의 가장 큰 특징은 플러그 하우징(1210)의 체결 부재(1230) 상부에 가압 부재(1240)가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가압 부재(1240)는 플러그 하우징(1210)의 제 1 종단부에서 연장된 부재로서, 2개의 삽입 부재(1221 및 1222) 사이 그리고 체결 부재(1230)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가압 부재(1240)는 그 길이가 체결 부재(1230)의 길이보다 작다. The biggest feature of the
가압 부재(1240)의 선단부 상부면에는 소정 높이의 가압편(12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압편(1241)은 체결 부재(1230)의 중앙 부분에 대응한다. A
여기서 가압 부재(1240)는 삽입 부재(1221 및 1222)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캔틸레버보 형태이며, 그 하부면의 일부 영역은 체결 부재(1230)의 표면과 접촉한다. 또한, 가압 부재(1240)는 인접한 삽입 부재(1221 및 1222)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가압 부재(1240)의 (가압편(1241)이 형성된) 자유단부는 삽입 부재(1221 및 1222)에 대하여 소정 범위의 독립적인 이동(눌려짐)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pressing
이러한 구조에서, 가압편(1241)에 가해진 외력이 가압 부재(1240)에 전달되어 가압 부재(1240)가 아래로 눌려질 때, 체결 부재(1230) 역시 눌려지며, 따라서 체결 부재(1230)의 선단부 상부면에 형성된 체결편(1231)이 아래로 이동하여 소켓 하우징(110)의 돌출편(110-1)의 수직면과의 접촉이 해제된다(도 5b 참조). In this structure,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편(1241)은 선단에서 플러그 하우징(1210)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소정 길이의 경사부 및 경사부의 종단에서 플러그 하우징(1210)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고 있음으로써, 가압편(1241)에 수직 방향(도 7의 B 방향)의 외력은 물론, 수평 방향(도 7의 A 방향)의 외력이 작용할지라도 그 외력에 의하여 가압 부재(1240)는 눌려지며, 따라서 체결 부재(1230)도 눌려져 플러그 하우징(1200)과 소켓 하우징(100)의 분리가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2개의 플러그 터미널(290)이 장착된 플러그 하우징(200 및 1200)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예를 들어, 플러그 하우징에 3개 이상의 플러그 터미널이 장착되는 경우, 각 플러그 터미널이 위치하는 삽입 부재의 개수 역시 3개 이상이 구성되어야 한다. For example, when three or more plug terminals are mounted in the plug housing, the number of insert members in which each plug terminal is positioned should also be three or more.
도 8은 또 다른 형태의 플러그의 사시도로서, 3개의 플러그 터미널(도 8에서는 콘택트(292)가 도시됨)이 장착되는 플러그를 도시하고 있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type of plug, showing a plug to which three plug terminals (contact 292 is shown in FIG. 8) are mounted.
플러그(2200)의 플러그 하우징(2210)에는 3개의 삽입 부재(2221, 2222 및 2223)가 소정의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각 삽입 부재(2221, 2222 및 2223)에 플러그 터미널(290)이 각각 장착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각 삽입 부재(2221, 2222 및 2223)의 구성 및 기능은 위에서 설명한 삽입 부재(221, 222 및 1221, 1222))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함).Three inserting
2개의 인접한 삽입 부재(예를 들어, 2221과 2222 그리고 2222와 2223)는 체결 부재(2231 그리고 223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각 체결 부재(2231 및 2232)의 상부 표면에는 체결편(2231-1 및 223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Two adjacent insertion members (e.g., 2221 and 2222 and 2222 and 2223) are connected via
각 삽입 부재(2221, 2222 및 2223), 체결 부재(2231 및 2232) 그리고 체결편(2231-1 및 2232-1)의 기능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플러그의 삽입 부재, 체결 부재 그리고 체결편의 기능과 동일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unctions of the
한편, 플러그 하우징(2210)에 3개 이상의 플러그 터미널이 장착된 플러그(2200)가 결합되는 소켓의 소켓 하우징에 플러그 터미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소켓 터미널이 장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Meanwhile, of course, the same number of socket terminals as the number of plug terminals should be mounted on the socket housing of the socket to which the
도 9a 및 도 9b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플러그 터미널(290)과는 다른 구조를 갖는 플러그 터미널(290a)의 측면도 및 사시도로서, 보드 투 와이어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의 플러그에 적용될 수 있는 플러그 터미널을 도시한다.9A and 9B are side views and perspective views of a
플러그 터미널이 기판(실질적으로 기판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에 접속되는 보드 투 보드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의 플러그 터미널과는 달리, 보드 투 와이어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의 플러그에는 와이어가 결속되며, 따라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구조의 플러그 터미널을 사용할 수 없다. Unlike the plug terminal of the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plu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conductive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wire is bound to the plug of the board-to-wire connector assembly, and thus, FIGS. The plug terminal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8 cannot be used.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플러그 터미널(290a) 역시 플러그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플러그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어 케이블에 연결 또는 보드에 부착되는 베이스(291a) 및 소켓의 소켓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의 콘택트에 접촉/연결되는 콘택트(292a)를 포함한다.The
본 플러그 터미널(290a)의 가장 큰 특징은 콘택트(292a)를 제외한 부분(베이스(291a)를 포함)의 양 측단부가 전체 폭에 걸쳐 동일한 방향,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굴곡져 있는 형상을 갖는 것이다. The biggest feature of this
이러한 구조를 갖는 플러그 터미널(290a)의 베이스(291a)에는 와이어가 결속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평판 형태의 플러그 터미널(290)과 비교하여,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플러그 터미널(290a)은 비교적 큰 기계적인 강도를 갖게 되며, 따라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도면 기준)의 외력이 작용할지라도 변형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A wire is bound to the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들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설명된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예를 들어, 도면에는 2개의 플러그 터미널과 2개의 소켓 터미널, 그리고 3개의 플러그 터미널이 플러그 하우징과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동일한 개수라면 플러그 터미널과 소켓 터미널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e drawing, two plug terminals, two socket terminals, and three plug terminals are mounted in a plug housing and a socket housing, but the number of plug terminals and socket terminals is not limited. .
또한, 플러그 하우징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 조립체를 보드 투 와이어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 또는 보드 투 보드 방식의 컨넥터 조립체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board-to-wire connector assembly or a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plug housing.
Claims (10)
소켓은,
제 1 종단과 제 2 종단이 개방된 내부 공간부를 가지며 상부 부재의 내면에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 하우징; 및
소켓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 1 부재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서 연장되며 소정의 높이 차이를 갖는 상부 콘택트 및 하부 콘택트를 포함하되, 상부 콘택트의 선단부 하부면과 하부 콘택트의 선단부 상부면에는 소정 높이의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 터미널을 포함하며,
플러그는,
제 1 종단과 제 2 종단이 개방된 내부 공간부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 및
플러그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 2 부재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서 연장된 콘택트를 포함하는 플러그 터미널;
플러그 하우징의 선단부에서 연장되며, 내부에는 플러그 터미널의 콘택트가 위치하는 삽입 부재; 및
플러그 하우징에서 연장되며, 상부면에는 상향 돌출된 체결편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시, 플러그의 삽입 부재가 소켓 하우징의 내부 공간부 내로 진입하여 플러그 터미널의 콘택트가 소켓 터미널의 상부 콘택트와 하부 콘택트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소켓 터미널의 상부 콘택트의 돌출편과 플러그 하우징의 콘택트가 접촉하며, 소켓 터미널의 하부 콘택트의 돌출편은 삽입 부재에 형성된 관통공 내로 삽입되고 플러그 하우징의 체결 부재의 체결편이 소켓 하우징의 돌출편과 접촉,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조립체. A socket mounted to the first member and a plug connected to the second member, the plug being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ocket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he socket is
A socket housing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having an open inner space and a protruding piec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And
A top contact and a bottom contact mounted in the socket housing and extending from the base and the base fixed to the first member, the upper contact and the lower contac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wherein the bottom end of the upper contact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tact are predetermined. A socket terminal having a protruding piece of height,
The plug,
A plug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pen; And
A plug terminal mounted inside the plug housing and including a base fixed to the second member and a contact extending from the base;
An insertion member extending from a distal end of the plug housing and having a contact of the plug terminal located therein; And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plug housing,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protruding upwards,
Upon engagement of the socket with the plug, the plug's insertion member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socket housing so that the contact of the plug terminal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tacts of the socket terminal, and the plug and protrusion of the upper contact of the socket terminal. And a contact of the housing contacts the protruding piece of the lower contact of the socket terminal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sertion member and the fastening piece of the fastening member of the plug housing is in contact with and engaged with the protruding piece of the socket housing.
소켓 하우징의 돌출편은 전방면이 상부 부재 내면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후방면은 상부 부재 내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 하우징의 체결편은 플러그 하우징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경사면 및 경사면의 종단에서 체결 부재의 상부면으로 연장된 수직면으로 이루어져,
플러그 하우징과 소켓 하우징의 결합시, 돌출편의 수직면과 체결편의 수직면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rusion of the socket housing is an inclined surface in which the front surface is inclin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and the rear surface is formed in a vertical surfac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The fastening piece of the plug housing consists of a slope inclined upward toward the plug housing and a vertical plan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slope to the top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When the plug housing and the socket housing are coupled, the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surface of the projecting piece and the vertical surface of the fastening piece contact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4526A KR101316111B1 (en) | 2012-08-01 | 2012-08-01 | Connector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4526A KR101316111B1 (en) | 2012-08-01 | 2012-08-01 | Connector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6111B1 true KR101316111B1 (en) | 2013-10-11 |
Family
ID=4963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4526A Active KR101316111B1 (en) | 2012-08-01 | 2012-08-01 | Connector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6111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7979A (en) * | 2008-05-12 | 2009-11-17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
-
2012
- 2012-08-01 KR KR1020120084526A patent/KR10131611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7979A (en) * | 2008-05-12 | 2009-11-17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68405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8475218B2 (en) | Sinking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improved mounting member | |
EP2903093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20200005646A (en) | Electrical connector device | |
US8021187B2 (en) | Electric connector | |
JP5302283B2 (en) | Connector device | |
JP5363447B2 (en) | Connector device | |
EP2733793B1 (en) |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 |
JP2011100123A (en) | Optical connector and plug for mating with the same | |
JP2010262294A (en) | Connector device | |
US8942007B2 (en) | Electrical component | |
KR100886624B1 (en) | Floating connector | |
JP3134262U (en) | Surface mount connector | |
CN104253337A (en) |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included in the same | |
CN101118993A (en) | Thin connector | |
JP2012234773A (en) | Connector terminal and card edge type connector containing connector terminal | |
KR101452626B1 (en) | Connector assembly for perpendicularly connecting two substrates | |
CN104253345A (en) |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included in the same | |
CN107623216B (en) | Small pluggable cable connector capable of protecting welding spots | |
KR101307483B1 (en) | Connector | |
KR101316111B1 (en) | Connector assembly | |
KR101606775B1 (en) | Electric connector | |
KR20210117457A (en) | plug connector | |
JP6264921B2 (en) |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 |
JP2012195250A (en) |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