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013B1 - wall-gree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all-green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6013B1 KR101316013B1 KR1020110073140A KR20110073140A KR101316013B1 KR 101316013 B1 KR101316013 B1 KR 101316013B1 KR 1020110073140 A KR1020110073140 A KR 1020110073140A KR 20110073140 A KR20110073140 A KR 20110073140A KR 101316013 B1 KR101316013 B1 KR 1013160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vegetation
- duct
- plate
- reservo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531891 Alburnus albur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 벽면에 설치하여 벽면에 식물을 심은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된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덕트(14)가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덕트(14)의 내부 또는 본체(10)의 전면에 식생블록(40) 또는 식생매트(50)가 구비되어, 식물을 상기 식생블록(40)이나 식생매트(50)에 심어 키울 수 있다. 따라서, 벽면이 식물로 덮인 느낌을 줄어 실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저수덕트(14)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30)이 구비되어 식물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므로,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송풍팬(20)을 이용하여 공기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device for wall greening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interior wall of the building to achieve the same effect as planting plants on the wall.
The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ater storage duct 14 on the front,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duct 14 or the vegetation block 40 or vegetation mat ( 50 is provided, the plant can be grown by planting in the vegetation block 40 or vegetation mat (50). Therefore, it is possible not only to improve the indoor environment by reducing the feeling of the wall covered with plants, but also does not take up much space. In particular, the water supply means 30 for supplying water to the low water duct 14 is provided to continuously supply water to the plant, not only easy to manage, but also forced circulation of air using the blower fan 20 By doing so, there is an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humidity in the room.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 벽면에 설치하여 벽면에 식물을 심은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된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device for wall greening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interior wall of the building to achieve the same effect as planting plants on the wall.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벽면은 인테리어 마감재로 마감이 되어 있으므로, 실내가 답답하거나 삭막한 느낌을 주게 된다.In general, the interior wall of the building is finished with an interior finish, so the interior feels stuffy or bleak.
따라서, 이러한 느낌을 없애기 위해 실내에 화분을 배치하여 여러 가지 식물을 기르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답답하거나 삭막한 느낌을 지우기에 충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분이 설치된 만큼 실내공간이 좁아져 거치적거리게 되며, 화분에 지속적으로 물을 주어야 하는 등 관리를 해 주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eliminate this feeling,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planters are placed indoors to grow various plants. In this case, not only is it not enough to erase the feeling of stuffiness or bleakness, but also the indoor space is narrowed as much as the pots are installed. Will be, because it must be managed, such as watering the pot constantly, there was a very troublesome problem.
또한, 이러한 화분에 식물을 심는 경우, 단순히 관상용으로서의 기능만 하게 되므로, 실용성이 떨어지는 한계성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843700호 등에서는 새로운 "벽면형 조경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In addition, when plants are planted in such pots, they merely serve as ornamentals, and thus have limited practicality.
Accordingly,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43700, etc. discloses a new "wall landscape devic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의 실내 벽면에 설치하여 벽면에 식물을 심은 것과 같은 효과를 냄으로써,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인테리어 효과를 줄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개념의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installed on the interior wall of the building to effect the same as planting plants on the wall, a new concept wall recording that can give a sufficient interior effect without occupying a large spa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getation device for use.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면판(11)과, 상기 배면판(11)의 둘레부에 구비된 측판(12)과, 상기 배면판(11)의 전방에 배면판(11)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배면판(11)과의 사이에 통기통로(13a)를 형성하는 전면판(13)과, 상기 전면판(13)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14a)를 형성하는 저수덕트(14)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13)에는 상기 전면판(13)의 전방과 통기통로(13a)를 연결하는 통기공(13c)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저수덕트(14)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전면판(13)의 전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상기 통기통로(13a)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송풍팬(20)과; 집수부(31))와, 집수부(31)에 연결된 물펌프(32) 및 상기 물펌프(32)에 연결되어 집수부(3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덕트(14)로 공급하는 급수관(33)을 포함하는 물공급수단(30)과; 상기 저수덕트(14)의 내부 또는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된 식생블록(40) 또는 식생매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수덕트(14)의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 흘러 넘치는 오버플로우부(14d)가 형성되며, 상하에 위치된 저수덕트(14)의 오버플로우부(14d)는 좌우로 상호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상부의 저수덕트(14)에서 배수된 물이 하측의 저수덕트(14)를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흘러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면판(11)의 전면에는 단열부재(11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insulating member (11a)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plate (11).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식생블록(40)은 상기 저수덕트(14)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상면 후측에는 상기 통기공(13c)의 전면을 가리는 연장부(41)가 구비되어 상기 통기공(13c)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연장부(41)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식생매트(50)는 통기성 재질의 넓은 시트형상으로 구성된 매트본체(51)와, 상기 매트본체(5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2)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수부(14a)에는 내부 공간을 다수개로 나누는 구획판(14f)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는 전면에는 장식판(60)이 구비되며, 상기 물공급수단(30)은 상기 장식판(60)의 전면으로 물을 공급하여, 장식판(60)의 전면에 인공폭포를 연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덕트(14)가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덕트(14)의 내부 또는 본체(10)의 전면에 식생블록(40) 또는 식생매트(50)가 구비되어, 식물을 상기 식생블록(40)이나 식생매트(50)에 심어 키울 수 있다. 따라서, 벽면이 식물로 덮인 느낌을 줄어 실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저수덕트(14)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30)이 구비되어 식물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므로,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송풍팬(20)을 이용하여 공기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전면에 다수개의 저수부(14a)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팬(2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부(14a)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30)과, 상기 저수부(14a)의 내부에 설치되는 식생블록(40)으로 구성되어, 상기 식생블록(40)에 식물의 뿌리 부분을 고정하여 식물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1 to 3 illustrate a vegetation apparatus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배면판(11)과, 상기 배면판(11)의 둘레부에 구비된 측판(12)과, 상기 배면판(11)의 전방에 배면판(11)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배면판(11)과의 사이에 통기통로(13a)를 형성하는 전면판(13)과, 상기 전면판(13)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14a)를 형성하는 저수덕트(14)로 구성된다.In detail, the
상기 배면판(11)과 전면판(13)은 넓은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측판(12)은 상기 배면판(11)과 전면판(13)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면판(11)과 전면판(13)의 양측과 상하측 둘레부에 결합되어, 본체(10)가 사각형의 캐비넷 형태로 구성된다. The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면판(11)의 전면에는 단열부재(11a)가 부착된다. 상기 단열부재(11a)는 넓은 시트형상 또는 패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통기통로(13a)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배면판(11)의 후측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2, the heat insulating member (11a)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plate (11). The
또한, 상기 전면판(13)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3c)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13c)은 상기 저수부(14a)에 저장되는 물의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면판(13)의 전방과 상기 통기통로(13a)를 연통시키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상기 저수덕트(14)는 좌우로 길게 배치되는 바닥판(14b)과, 상기 바닥판(14b)의 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앞판(14c)으로 구성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14a)를 형성한다. The
이때, 상기 저수덕트(14)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판(13)의 전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At this time, the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덕트(14)의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 흘러 넘치는 오버플로우부(14d)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저수덕트(14)는 일단이 상기 측판(12)으로부터 이격되고, 이격된 쪽의 단부에는 마감판(14e)이 구비되어, 저수덕트(14)의 저수부(14a)에 저장된 물이 마감판(14e)을 넘어 하측으로 배수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an
이때, 상하에 위치된 저수덕트(14)의 오버플로우부(14d)는 좌우로 상호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상부의 저수덕트(14)에서 배수된 물은 하측의 저수덕트(14)의 저수부(14a)로 유입된 후 저수덕트(14)를 따라 반대쪽으로 흐른 후 상기 마감판(14e)을 넘어 하측으로 배수되어, 물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가장 하측에 위치된 저수덕트(14)에서 배수된 물은 상기 물공급수단(30)의 집수부(31)로 수집된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단과 하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상, 하부돌출부(15,16)가 형성되며, 상부돌출부(15)의 하측면에는 조명등(17)이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front and
상기 송풍팬(20)은 본체(10)의 상면의 측판(12)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12a)에 설치되는 것으로, 작동시 상기 통기공(13c)과 통기통로(13a)를 통해 측판(12)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관통공(12a)을 통해 본체(10)의 상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The blowing
상기 물공급수단(30)은 집수부(31)와, 집수부(31)에 연결된 물펌프(32) 및 상기 물펌프(32)에 연결되어 집수부(3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덕트(14)로 공급하는 급수관(33)으로 구성된다.The water supply means 30 is a
상기 집수부(31)는 상기 본체(10)의 하부돌출부(16)의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저수부(14a)에서 배수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집수부(31)는 하부돌출부(16)의 내부면을 방수처리하거나, 하부돌출부(16)의 내부에 별도의 탱크를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집수부(31)에는 수도관(31a)이 연결되며, 수도관(31a)의 단부에는 집수부(31)의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수도관(31a)을 개폐하는 수위조절밸브(31b)가 구비되어, 집수부(31)의 수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상기 물펌프(32)는 상기 집수부(31)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를 이용한다.The
상기 급수관(33)은 입력단이 상기 물펌프(32)에 연결되며 배출단은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저수덕트(14)의 저수부(14a)에 연결되어 저수부(14a)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The
따라서, 상기 물펌프(32)와 급수관(33)을 이용하여 집수부(31)에 저장된 물을 저수부(14a)에 공급하여, 물은 각 저수덕트(14)의 오버플로우부(14d)를 통해 하측으로 배수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집수부(31)에 수집되어 재 순환된다. 이때, 상기 물공급수단(30)에 의해 공급되는 물은 일반적인 물 또는 영양성분이 포함된 물을 이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 stored in the
상기 식생블록(40)은 예컨대, 오아시스라 불리는 흡수성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저수부(14a)의 내부에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부(14a)에 충분한 양의 물을 공급한 상태에서 식물을 상기 식생블록(40)에 심어 고정하면, 식물이 저수부(14a)의 물을 흡수하여 식생하게 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덕트(14)가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덕트(14)의 내부에는 식생블록(40) 또는 식생매트(50)가 구비되어, 식물을 상기 식생블록(40)이나 식생매트(50)에 심어 키울 수 있다. The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따라서, 벽면이 식물로 덮인 느낌을 줄어 실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not only to improve the indoor environment by reducing the feeling of the wall covered with plants, but also does not take up much space.
특히, 상기 저수덕트(14)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30)이 구비되어 식물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므로, 관리가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water supply means 30 for supplying water to the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통기통로(13a)와 연결되는 송풍팬(20)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13)에는 통기공(13c)이 형성되어, 송풍팬(20)을 작동시키면, 측판(12) 전방의 공기가 상기 통기공(13c)과 통기통로(13a)를 통해 흡입되어 관통공(12a)을 통해 본체(10)의 상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부(14a)에 저장된 물에 의해 공기가 효과적으로 가습되어 실내 공기를 가습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저수덕트(14)에는 물이 배수되는 오버플로우부(14d)가 상호 좌우방향으로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물이 각 저수덕트(14)를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흘러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가장 상부의 저수덕트(14)에만 물을 공급하므로 물공급수단(30)의 구조가 매우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각 저수부(14a)의 수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배면판(11)의 전면에는 단열부재(11a)가 구비되므로, 통기통로(13a)를 통해 흐르는 공기에 의해 통기통로(13a)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온도 차이에 의해, 배면판(11)의 배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저수부(14a)는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부(14a)의 내부에 다수개의 구획판(14f)을 설치하여, 저수부(14a)의 내부 공간을 다수개로 나누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저수덕트(14)는 바닥판(14b)과 앞판(14c)으로 구성된 L자 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면이 개구된 U자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송풍팬(20)은 통기공(13c)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10)의 상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대로 본체(10) 상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통기공(13c)을 통해 본체(10)의 전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집수부(31)는 본체(10)의 하부돌출부(16) 내부에 설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집수부(31)를 본체(10)의 상부에 구비하거나, 배면판(11)과 전면판(13)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또한, 상기 식생블록(40)의 재질이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ㄷ다양한 식생기반이 적의 채택되어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식생블록(40)의 상면 후측에는 상기 통기공(13c)의 전면을 가리는 연장부(41)가 구비되어, 상기 통기공(13c)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연장부(41)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rear side of the
이를 위해 상기 식생블록(40)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성 재질로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는 상기 식생블록(40)의 후측에는 상기 통기공(13c)의 전면을 가리는 연장부(41)가 형성되어, 송풍팬(20)을 작동시키면 본체(10) 전방의 공기가 상기 연장부(41)를 통과하여 통기공(13c)으로 흡입되게 된다. 따라서, 공기중의 먼지가 연장부(41)에서 걸려져 제거되므로,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the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장부(41)는 식생블록(40)의 상면 후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식생블록(40)과 일체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연장부(41)를 식생블록(40)과 다른 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식생블록(40)의 상면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넓은 매트 형상의 식생매트(50)가 설치된다. Figure 6 shows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de mat-
상기 식생매트(50)는 넓은 시트형상으로 구성된 매트본체(51)와, 상기 매트본체(5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2)로 구성되며, 매트본체(51)의 배면에는 저수부(14a)에 저장된 물을 매트본체(51)로 공급하는 물공급부재(53)가 연결된다.The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식생매트(50)는 바람직하게, 식생기반을 원활히 제공할 수 있으면서 물을 잘 흡수하여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식물이 고정될 수 있는 지지대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물을 흡수하여 식물에 물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To describe this in detail, the
상기 지지부재(52)는 바람직하게, 와이어를 엮어 만든 그물망 형태로 구성되며, 매트본체(51)의 전후면에 고정되어 매트본체(51)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상기 물공급부재(53)는 길이가 긴 심지형태로 구성되어 기단부는 상기 매트본체(51)에 연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저수부(14a)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삼투압효과를 이용하여 물을 흡수하여 매트본체(51)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삼투압효과를 이용하여 물을 흡수하는 재질은 다양한 것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또한, 상기 집수부(31)의 상부에는 상기 식생매트(50)의 하단이 통과하는 개구부(31a)가 형성되어, 매트본체(51)에 흡수된 물이 개구부(31a)를 통해 저수부(14a)로 수집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는 본체(10)의 전면 전체가 식생매트(50)에 의해 덮이게 되므로, 벽 전체가 식물로 완벽하게 덮인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시각적인 인테리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또한, 습기를 머금은 식생매트(50)가 본체(10)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송풍팬(20)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때 공기가 넓은 식생매트(50) 전체면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가 더욱 효과적으로 가습되어 증진된 가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매트본체(51)의 후측면에는 물공급부재(53)가 구비되어 삼투압효과를 이용하여 저수부(14a)에 저장된 물을 식생매트(50)로 공급하도록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저수덕트(14)의 전방에 배수공(미도시)을 형성하여, 배수공을 통해 매트본체(51)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저수덕트(14)는 좌우 2개로 구성되어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좌, 우측 저수덕트(14)의 사이에는 장식판(60)이 구비되며, 상기 물공급수단(30)은 상기 장식판(60)의 전면으로 물을 공급하여, 장식판(60)의 전면에 인공폭포를 연출하도록 구성된다.7 shows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이때, 상기 장식판(60)의 전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무늬 또는 문양이 형성되며, 상기 물공급수단(30)은 급수관(33)을 통해 상기 장식판(60)의 전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 pattern or a pattern of various forms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는 단순히 식물을 기르는 것 이외에, 장식효과를 더욱 가미하여 실내 분위기를 한층 더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further upgrading the indoor atmosphere by adding a decorative effect, in addition to simply growing plants.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저수덕트(14)는 좌우 2개로 나누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좌측 또는 우측에만 저수덕트(14)를 설치하고, 나머지 공간에 상기 장식판(6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본체 14. 저수덕트
20. 송풍팬 30. 물공급수단
40. 식생블록 50. 식생매트10.
20. Blowing
40. Vegetation Blocks 50. Vegetation Mats
Claims (7)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상기 통기통로(13a)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송풍팬(20)과;
집수부(31))와, 집수부(31)에 연결된 물펌프(32) 및 상기 물펌프(32)에 연결되어 집수부(3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덕트(14)로 공급하는 급수관(33)을 포함하는 물공급수단(30)과;
상기 저수덕트(14)의 내부 또는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된 식생블록(40) 또는 식생매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The back plate 11, the side plate 12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back plate 11, and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ck plate 11 in front of the back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1 and Between the front plate 13 to form a ventilation passage (13a) between, and the water storage duct 14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13 to form a reservoir 14a for storing water It includes, the front plate 1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 holes (13c) for connecting the front and the vent passage 13a of the front plate 13 to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 low duct 1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in body 1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of the front plate (13);
A blowing fan 2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passage 13a;
A water collecting pipe 31, a water pump 32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31,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pump 32 to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31 to the low water duct 14 ( Water supply means (30) comprising a;
The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getation block (40) or vegetation mat (50) tha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storage duct 14 or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상기 저수덕트(14)의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 흘러 넘치는 오버플로우부(14d)가 형성되며,
상하에 위치된 저수덕트(14)의 오버플로우부(14d)는 좌우로 상호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상부의 저수덕트(14)에서 배수된 물이 하측의 저수덕트(14)를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흘러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reservoir duct 14 is formed with an overflow portion 14d overflowing with water stored therein,
The overflow portions 14d of the reservoir ducts 14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alternately formed left and right, so that water drained from the upper reservoir duct 14 flows in the zigzag direction along the lower reservoir duct 14.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sequentially to the lower side.
상기 배면판(11)의 전면에는 단열부재(11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g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insulating member (11a)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back plate (11).
상기 식생블록(40)은 상기 저수덕트(14)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상면 후측에는 상기 통기공(13c)의 전면을 가리는 연장부(41)가 구비되어 상기 통기공(13c)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연장부(41)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egetation block 40 is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low water duct 14, the upper surface rear side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ortion 41 to cover the front of the vent hole (13c) air passing through the vent hole (13c) The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xtension (41).
상기 식생매트(50)는 통기성 재질의 넓은 시트형상으로 구성된 매트본체(51)와, 상기 매트본체(5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2)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egetation mat 50 is composed of a mat body 51 formed of a wide sheet shape of a breathable material, and a support member 52 for supporting the mat body 51, so as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상기 저수부(14a)에는 내부 공간을 다수개로 나누는 구획판(14f)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storage unit (14a) is a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tion plate (14f) for dividing the interior space into a plurality.
상기 본체(10)에는 전면에는 장식판(60)이 구비되며,
상기 물공급수단(30)은 상기 장식판(60)의 전면으로 물을 공급하여,
장식판(60)의 전면에 인공폭포를 연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decorative plate 60 on the front,
The water supply means 30 supplies water to the front of the decorative plate 60,
Vegetation device for wall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to produce an artificial waterfall on the front of the decorative plate (6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3140A KR101316013B1 (en) | 2011-07-22 | 2011-07-22 | wall-green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3140A KR101316013B1 (en) | 2011-07-22 | 2011-07-22 | wall-green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1757A KR20130011757A (en) | 2013-01-30 |
KR101316013B1 true KR101316013B1 (en) | 2013-10-10 |
Family
ID=4784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314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6013B1 (en) | 2011-07-22 | 2011-07-22 | wall-green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601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98080A (en) * | 2015-04-10 | 2016-12-01 |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Energy saving device for planting shelf and method for the same |
KR20220060112A (en) | 2020-11-04 | 2022-05-11 | (주) 에스피데이타 | Vegetation Apparatus |
KR20220146139A (en) | 2021-04-23 | 2022-11-01 | (주) 에스피데이타 | Soil Vegetation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54486B (en) * | 2017-04-24 | 2022-07-12 | 曹俊 | Vertical greening device for high-rise outer wall |
CN110732449A (en) * | 2018-07-18 | 2020-01-31 | 苏州园林营造产业股份有限公司 | An ecological wall structure |
CN111108957B (en) * | 2020-01-17 | 2025-01-10 | 刘杰 | A greening device and a building template assembly |
KR102229646B1 (en) * | 2021-01-04 | 2021-03-18 | 나홍식 | Green wall vegetation structure |
CN112796440B (en) * | 2021-01-18 | 2025-01-07 | 华侨大学 | Water storage sunshade grid system for passive cooling of building exterior walls |
KR20220108251A (en) | 2021-01-25 | 2022-08-03 | 에스그린랩 주식회사 | Multi function veretation apparatus for individual control of irrigation |
CN112655419A (en) * | 2021-01-28 | 2021-04-16 | 义乌市正乔科技有限公司 | Wall cultivated in a pot |
KR20220146144A (en) | 2021-04-23 | 2022-11-01 | (주) 에스피데이타 | Multi-Functional Vegetation Device Of Multi-Faceted Type |
KR20220147334A (en) | 2021-04-27 | 2022-11-03 | (주) 에스피데이타 | Multi Function Vegetation Apparatus |
CN113348902A (en) * | 2021-07-23 | 2021-09-07 | 重庆道合园林景观规划设计有限公司 | Landscape wall combined with greening planting groove |
KR102721698B1 (en) * | 2021-07-27 | 2024-10-25 |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 A wall greening structure using rainwater |
KR102761455B1 (en) * | 2021-10-27 | 2025-02-05 |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 Indoor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moss and mis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29846A (en) * | 2004-11-09 | 2006-05-25 | Okumura Corp | Planting block tray for wall greening equipment |
KR100947487B1 (en) * | 2009-10-30 | 2010-03-17 | (주)범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An afforestation system for face of wall |
KR100960340B1 (en) * | 2010-02-12 | 2010-05-28 | 장원봉 | Cultivation device of plant |
KR101033876B1 (en) * | 2010-10-07 | 2011-05-11 |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Wall front green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2011
- 2011-07-22 KR KR1020110073140A patent/KR10131601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29846A (en) * | 2004-11-09 | 2006-05-25 | Okumura Corp | Planting block tray for wall greening equipment |
KR100947487B1 (en) * | 2009-10-30 | 2010-03-17 | (주)범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An afforestation system for face of wall |
KR100960340B1 (en) * | 2010-02-12 | 2010-05-28 | 장원봉 | Cultivation device of plant |
KR101033876B1 (en) * | 2010-10-07 | 2011-05-11 |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Wall front green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98080A (en) * | 2015-04-10 | 2016-12-01 |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Energy saving device for planting shelf and method for the same |
KR20220060112A (en) | 2020-11-04 | 2022-05-11 | (주) 에스피데이타 | Vegetation Apparatus |
KR20220146139A (en) | 2021-04-23 | 2022-11-01 | (주) 에스피데이타 | Soil Vegeta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1757A (en) | 2013-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6013B1 (en) | wall-greening apparatus | |
KR100785930B1 (en) | Automated Greenhouse System for Indoor Air Purification | |
KR101074931B1 (en) | Vertical garden for wall greening and air purification | |
KR100858993B1 (en) | Indoor garden system for air cleaning using moss wall and indoor plants | |
CN100407896C (en) | Seedling device | |
KR200464819Y1 (en) | wall-greening and air cleaning apparatus | |
KR100771486B1 (en) | Landscaping Planter Assemblies | |
KR101400375B1 (en) | Plant culturing apparatus | |
CN110012750B (en) | Multilayer partition 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plant cultivation system | |
US20030150394A1 (en) | Self-contained tropical rainforest vivarium system | |
KR101074994B1 (en) | Building exterior wall vertical garden box with wall greening and air purification | |
KR101074329B1 (en) | Building exterior wall vertical garden box for wall greening and air purific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460596B1 (en) | pot for air-condition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 with the same | |
KR102076358B1 (en) | Wall greening system and air purification system | |
JP2015029426A (en) | Air purification wall surface greening device | |
JP6242621B2 (en) | Air purification wall greening device | |
KR101652488B1 (en) | Body of indoor landscaping hydroponic equipment | |
KR101395194B1 (en) | Interior hydroponic apparatus | |
KR20090127454A (en) | Improved cold and hot air fan | |
KR101043699B1 (en) | Waterless Plant Cultivator | |
KR102324733B1 (en) | The vertical garden | |
KR20190140127A (en) | Wall garden equipment | |
JP2003219736A (en) | Opened air conditioner for raising seedling | |
KR102158978B1 (en) | Air cleaning plant cultivator | |
KR102798071B1 (en) | Planter assembly for wall gree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