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5895B1 -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895B1
KR101315895B1 KR1020110006219A KR20110006219A KR101315895B1 KR 101315895 B1 KR101315895 B1 KR 101315895B1 KR 1020110006219 A KR1020110006219 A KR 1020110006219A KR 20110006219 A KR20110006219 A KR 20110006219A KR 101315895 B1 KR101315895 B1 KR 101315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light emitting
cam
flash lamp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401A (ko
Inventor
히사카즈 하자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03B2215/0507Pop-up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구동환에는, 제1 플래쉬 램프 캠과 제2 플래쉬 램프 캠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래쉬 램프 캠은, 촬상장치가 촬상 가능 상태에 있을 때 발광 유닛을 사용 상태로 하고, 촬상장치가 촬상 불능 상태에 있을 때 발광 유닛을 수납 상태로 하는 발광 유닛과 맞물린다. 촬상장치가 촬상 가능 상태에 있을 때, 수동조작에 의해 발광 유닛을 상기 사용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 플래쉬 램프 캠은, 상기 발광 유닛과 상기 제1 플래쉬 램프 캠과의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그 발광 유닛과 맞물리고, 상기 발광 유닛이 수납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 가능상태로부터 촬상 불능상태로 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발광부를 갖는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발광부를 갖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발광 유닛은, 전원 오프(off)시등의 촬상장치의 촬상 불능상태에서는 수납 상태가 되고, 전원 온(on)시등의 촬상장치의 촬상 가능상태에서는, 촬상장치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사용 상태가 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07-199295호에는, 렌즈 경통의 수축(retracted) 위치로부터의 확대(extending) 동작과, 그 수축위치에의 수축동작과 연동하여, 발광 유닛을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촬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촬상장치에서는, 촬상장치가 렌즈 경통이 확대되는 촬상 가능상태에 있는 경우에, 발광 유닛은 항상 돌출한 사용 상태에 있고, 촬상장치가 렌즈 경통이 수축되는 촬상 불능상태에 있는 경우에, 발광 유닛은 항상 수납 상태에 있다.
발광 유닛이 전원 온과 동시에 돌출한 사용 상태로 되므로, 촬상장치는 촬영의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플래쉬 라이트(flash light)가 발광되지 않는 경우에도, 발광 유닛은 전원 온과 동시에 촬상장치로부터 돌출하여서, 피사체가 발광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유닛의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와의 사이의 이동을, 렌즈 경통의 수축위치와 확대위치와의 사이의 이동과 연동되면, 촬상장치가 촬상 가능상태인 경우에 발광 유닛이 그 촬상장치로부터 항상 돌출해버려, 촬상장치의 홀딩을 방해해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촬상장치는, 구동원; 상기 촬상장치를 촬상 불능상태로부터 촬상 가능상태로 할 때, 및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 가능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불능상태로 할 때에,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재; 및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재에는 상기 발광부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캠 및 제2 캠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1 캠이 맞물릴 때에,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 불능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가능상태로 하면,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발광부는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로 이동하는 반면에,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1 캠이 맞물릴 때에,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 가능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불능상태로 하면,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발광부는 상기 사용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이동하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1 캠이 맞물리고 상기 발광부가 상기 사용 상태에 있을 때에, 유저가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발광부를 상기 사용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1 캠과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상기 제2 캠과 맞물리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2 캠 이 맞물릴 때에,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 가능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불능상태로 하면,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발광부는 상기 수납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장치가 촬상 가능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 상태의 발광 유닛을 수동으로 수납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발광 유닛을 수납 상태로 한 채, 촬상장치가 촬상 불능상태가 될 수 있다(촬상 불능상태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국면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나타내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 내지 1d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 사시도다.
도 2는 렌즈 경통 유닛의 분해 사시도다.
도 3a 내지 3c는 렌즈 경통 유닛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발광 유닛의 분해 사시도다.
도 5는 발광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6c는 발광부가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는 구동환(30)에 형성되는 3개의 캠(cam)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8d는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9d는 상기 발광부가 어떻게 수동 조작되는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10d는 상기 발광부를 수동조작에 의해 수납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종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1d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촬상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는 것이며,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4개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a는, 촬상장치의 촬상 불능상태(촬상하기 위해 준비되지 않은 상태)일 때의 일례인 전원 오프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렌즈 경통 유닛L은 수축상태에 있고, 발광 유닛(1)은 수납 상태에 있다. 도 1b는, 촬상장치의 촬상 가능상태(촬상하기 위해 준비된 상태)일 때의 일례인 전원 온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렌즈 경통 유닛L은 확대상태에 있고, 발광 유닛(1)은 사용 상태에 있다.
도 1c는, 도 1b에 나타낸 상기 사용상태로부터, 발광 유닛(1)을 수동조작에 의해 수납 상태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렌즈 경통 유닛L은 확대상태에 있고, 발광(flash) 유닛(1)은 수납 상태로 된다. 도 1d는, 도 1a에 나타낸 수납상태로부터, 발광 유닛(1)을 수동조작에 의해 사용 상태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렌즈 경통 유닛L은 수축상태에 있고, 발광 유닛(1)은 사용 상태로 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도 1b에 나타낸 상기 상태로부터 수동조작에 의해, 도 1c에 나타낸 상태로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c의 상태로 전원을 오프했을 때에, 디지털 카메라는 도 1a의 상태로 되고 발광부S가 수납 상태 그대로 있다. 또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도 1a의 상태로부터 도 1d의 상태로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d의 상태에서 전원을 온할 때에, 디지털 카메라는 도 1b의 상태로 되고 발광부S는 사용 상태 그대로 있다.
도 2는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경통 유닛L의 분해 사시도다. 렌즈 경통 유닛L은, 제1렌즈 군, 제2렌즈 군 및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제3렌즈 군으로 구성된다. 제1렌즈 군은, 제1군 렌즈 홀더(10)에 의해 유지되고, 제2렌즈 군은 제2군 렌즈 홀더(11)에 의해 유지된다. 직선운동 안내판(12)에는, 제1군 렌즈 홀더(10)를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제1군 안내봉(13)이 형성되어 있다.
제1군 안내봉(13)은, 제1군 렌즈 홀더(10)의 내면에 형성되고 광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홈(groove)과 결합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직선운동 안내판(12)에는, 제2군 렌즈 홀더(11)를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제2군 안내봉(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군 안내봉(15)은, 제2군 렌즈 홀더(11)의 외주부에 설치된 제2군 직선운동 구멍(14)에 맞물리고, 제2군 렌즈 홀더(11)를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직선운동 안내판(12)에 형성된 제1군 안내봉(13) 및 제2군 안내봉(15)에 의해, 제1군 렌즈 홀더(10) 및 제2군 렌즈 홀더(11)는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또한, 직선운동 안내판(12)의 플랜지(flange)부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6)는, 고정 캠 환(17)의 내면에 설치되고 광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18)과 각각 맞물려, 직선운동 안내판(12)은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동 캠 환(19)의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을 3등분하도록 캠 폴로워(cam followers)(20)가 형성된다. 캠 폴로워(20)는 고정 캠 환(17)의 내면에 형성된 동일 형상의 3개의 캠(21)에 각각 맞물린다. 이에 따라, 이동 캠 환(19)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 폴로워(20)는 캠(21)을 트레이스(trace) 하고, 이동 캠 환(19)은 회전하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 캠 환(19)의 내주면 후단부에 형성된 맞물림 홈(22)에, 직선운동 안내판(12)의 훅(hook)(23)이 맞물려서, 직선운동 안내판(12)은 이동 캠 환(19)과 회전가능하게 맞물린다. 이에 따라, 이동 캠 환(19)의 광축방향으로의 이동을 따라, 직선운동 안내판(12)도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군 렌즈 홀더(10)의 외주면부에는, 외주면을 3등분하도록 제1군 캠 폴로워(24)가 형성된다. 제1군 캠 폴로워(24)는 이동 캠 환(19)의 내주면에 설치된 동일 형상의 3개의 제1군 캠(25)에 각각 맞물린다. 이에 따라, 이동 캠 환(19)의 회전에 따라 제1군 캠 폴로워(24)는 제1군 캠(25)을 트레이스 한다. 또한, 제1군 렌즈 홀더(10)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어 있으므로, 제1군 렌즈 홀더(10)는 이동 캠 환(19)의 회전에 따라 제1군 캠(25)의 광축방향으로의 변위량에 따라서 이동한다.
제2군 렌즈 홀더(11)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3등분하도록 제2군 캠 폴로워(26)가 형성된다. 제2군 캠 폴로워(26)는, 이동 캠 환(19)의 내주면에 설치된 동일 형상의 3개의 제2군 캠(27)에 각각 맞물린다. 이에 따라, 이동 캠 환(19)의 회전에 따라 제2군 캠 폴로워(26)는 제2군 캠(27)을 트레이스 한다. 또한, 제2군 렌즈 홀더(11)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어 있으므로, 제2군 렌즈 홀더(11)는 이동 캠 환(19)의 회전에 따라 제2군 캠(27)의 광축방향으로의 변위량에 따라서 이동한다.
이동 캠 환(19)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3등분하도록 구동 핀(28)이 형성된다. 구동 핀(28)은, 고정 캠 환(17)의 캠 구멍(29)을 관통하고, 고정 캠 환(17)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캠 구멍(29)은, 고정 캠 환(17)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으로 고정 캠 환(17)을 관통한다. 캠(21)과 캠 구멍(29)은 동일 형상이다. 이동 캠 환(19)의 고정 캠 환(17)에 대한 회전 및 확대 이동에 대하여, 구동 핀(28)은 캠 구멍(29)을 트레이스 해서 고정 캠 환(17)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를 유지한다.
구동부재로서의 구동환(30)은, 고정 캠 환(17)의 외주면에 끼워 맞춰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환(30)의 내주면에는, 광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홈(31)이 그 내주면을 3등분으로 분할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홈(31)에는 구동 핀(28)이 맞물린다. 이에 따라, 구동환(30)의 회전이 홈(31)과 구동 핀(28)을 통해 이동 캠 환(19)에 전달된다.
상술한 것처럼, 제1군 렌즈 홀더(10), 제2군 렌즈 홀더(11), 직선운동 안내판(12), 고정 캠 환(17), 이동 캠 환(19) 및 구동환(30)은 일체가 되고, 서로 연계해서 동작한다. 그리고, 그 일체가 된 부품은 렌즈 경통 베이스(32)에 내장된다. 한층 더, 이미지 센서를 유지하는 이미지 센서 홀더(33)는, 렌즈 경통 베이스(32)와 이미지 센서 홀더(33) 사이에 상기 고정 캠 환(17)의 플랜지 부분을 끼우도록 고정된다.
렌즈 경통 유닛L의 구동원(44)은 전력을 동력으로 변환하는 전자기 모터다. 구동원(44)의 동력은, 기어 열(train)(45)을 통해 구동환(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동환 기어(46)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전류가 구동원(44)에 인가되는 경우 구동환(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렌즈 경통 베이스(32)는 구동원(44) 및 기어 열(45)을 유지하고, 이동부재로서의 슬라이더(37)를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한다. 슬라이더(37)는 렌즈 경통 베이스(32)에 유지된 슬라이더 샤프트(38)에 의해 안내되어서, 그 슬라이더(37)는 렌즈 경통 베이스(32) 위에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37)에는, 슬라이더(37)의 내부에 진퇴가능한 폴로워로서의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형성되고, 그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압축 스프링(40)의 형태의 바이어싱(biasing) 수단에 의해 슬라이더(37)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구동환(30)의 외주면에는, 플래쉬 램프 폴로워(39)와 각각 맞물릴 수 있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 및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플래쉬 램프 캠 홈 각각은, 상기 구동환의 외주에 홈들로서 형성되고 안내수단으로서 작용한다.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 맞물리는 경우에는, 구동환(30)이 회전 함으로써, 슬라이더(37)는 렌즈 경통 베이스(32) 위에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3a 내지 3c는, 렌즈 경통 유닛L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렌즈 경통 유닛L의 외관 사시도다. 도 3a의 상태에서는, 렌즈 경통 유닛L은 수축상태에 있다.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 있어서의 렌즈 경통 유닛L의 외관 정면도다. 도 3c는 렌즈 경통 유닛L의 도 3b에 있어서의 선A-A를 따라 자른 단면도다.
도 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형 부분(37a)은, 슬라이더(37) 위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플래쉬 램프 홀더(408)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돌기(408b)를 끼운다. 도 3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7) 위에는, 구멍부가 형성된다. 구멍부는, 슬라이더(37)를 슬라이더 샤프트(38)에 의해 지지한 상태에서, 구동환(30)의 외주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된다. 이 구멍부에 플래쉬 램프 폴로워(39) 및 압축 스프링(40)이 삽입되어 있다. 도 3c의 상태에서는,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 맞물린다.
도 4a 및 4b는 디지털 카메라의 발광 유닛(1)의 분해 사시도다. 도 4a는 발광 유닛(1)의 분해 사시도다. 크세논 관(401)은, 리드선(lead wire)(402)에 의해, 도 4b에 나타낸 플렉시블 회로 기판(board)(40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403)은 발광 제어를 행하는 플래쉬 램프 기판(substrate)(404)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광 반사기(405)는 크세논 관(401)으로부터의 광을 모은다. 크세논 관 고무(406)는, 크세논 관(401)의 단자부의 절연을 행하고, 크세논 관(401)을 광 반사기(405)측에 가압한다. 프리즘 패널(407)은 크세논 관(401)과 광 반사기(405)로부터의 광을 원하는 범위에 조사한다.
크세논 관(401), 광 반사기(405), 크세논 관 고무(406) 및 프리즘 패널(407)을 플래쉬 램프 홀더(408)에 배치한 후, 플래쉬 램프 커버(2)를 플래쉬 램프 홀더(408)에 나사에 의해 단단하게 고정하여서, 발광 유닛(1)은 조립된다.
도 4b는, 발광 유닛(1)이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유지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발광 유닛(1)은, 플래쉬 램프 샤프트(302)에 의해 플래쉬 램프 베이스(30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플래쉬 램프 홀더(408)에는, 토글 스프링(409)의 일단을 걸려들게하는 샤프트(410)가 압입되어 있다. 토글 스프링(409)의 타단은, 플래쉬 램프 베이스(301)에 구비된 축(301a)에 걸려들게 된다. 토글 스프링(409)은, 플래쉬 램프 샤프트(302)를 회전 중심으로서 발광 유닛(1)을 사용 상태 및 수납 상태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로서 기능한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403), 플래쉬 램프 기판(404) 및 플래쉬 램프 커패시터(412)는 장착부재(411)에 부착된다. 플래쉬 램프 베이스(301)도, 나사에 의해 장착부재(411)에 부착된다.
플렉시블 회로 기판(403)에는, 레버식 검지 스위치(403a)가 설치되고, 발광 유닛(1)이 사용 상태에 있는 것인지, 수납 위치에 있는 것인지를 검지한다. 레버식 검지 스위치(403a)는, 장착부재(411)의 구멍(411a)으로부터 레버 부분이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발광 유닛(1)이 수납 상태에 있을 때에는, 플래쉬 램프 홀더(408)의 돌기(408a)가 검지 스위치(403a)의 레버 부분을 민다. 한편, 발광 유닛(1)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에는, 돌기(408a)는 검지 스위치(403a)의 레버 부분에 접촉하지 않는다. 검지 스위치(403a)가 발광 유닛(1)이 사용 상태에 있다는 것을 검지할 때만, 디지털 카메라는 발광 유닛(1)을 발광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도 5는 디지털 카메라의 발광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발광 유닛(1) 및 슬라이더(37)의 조합을 발광부라고 한다.
도 5에는, 렌즈 경통 베이스(32), 장착부재(411)등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환(30)이 회전하면,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을 트레이스(trace) 하고, 슬라이더(37)는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발광 유닛(1)은, 플래쉬 램프 베이스(30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래쉬 램프 홀더(408)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돌기(408b)는, 슬라이더(37)에 형성된 U형 부분(37a)에 들어간다. 슬라이더(37)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고, U형 부분(37a)의 벽 37a1 또는 벽 37a2가 돌기(408b)를 밀어서, 발광 유닛(1)은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도 6a 내지 6c는, 발광부가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발광 유닛(1)을 수납한 수납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수납상태에서는, 돌기(408b)가 U형 부분(37a)의 어느 쪽의 벽과도 접촉하고 있지 않지만, 발광 유닛(1)은 토글 스프링(409)에 의해, 수납 상태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발광 유닛(1)은 수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의 상태로부터 슬라이더(37)가 화살표Q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U형 부분(37a)의 벽(37a2)이 돌기(408b)와 접촉하고, 토글 스프링(409)의 가압력에 대하여 발광 유닛(1)을 사용 상태로 이동시킨다.
도 6b의 상태로부터 슬라이더(37)가 토글 스프링(409)의 가압력의 방향이 반전하는 지점까지 발광 유닛(1)을 이동시키면, 토글 스프링(409)의 가압방향이 반전하고, 발광 유닛(1)은 사용 상태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도 6c는 발광 유닛(1)이 사용 상태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돌기(408b)가 U형 부분(37a)의 어느쪽의 벽과도 접촉하고 있지 않지만, 발광 유닛(1)은 토글 스프링(409)에 의해, 사용 상태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발광 유닛(1)은 사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슬라이더(37)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상기 구동환(30)을 회전시킴으로써), 발광 유닛(1)은 수납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로 이동한다. 발광 유닛(1)을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6c의 상태로부터 슬라이더(37)를 도면 중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좋다.
도 7a 내지 7c는 구동환(30)에 형성된 3개의 캠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구동환(30)의 정면도 및 측면도다. 도 7b는, 도 7a의 선B-B를 따라 자른 단면도다. 도 7c는, 구동환(30)을 전개하는 경우,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 및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이 형성되는 부분의 확대도다.
도 8a 내지 8d는 발광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가 도 1a의 상태에 있을 때의 발광부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b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가 도 1b의 상태에 있을 때의 발광부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c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가 도 1c의 상태에 있을 때의 발광부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d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가 도 1d의 상태에 있을 때의 발광부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a∼7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동환(30)에는, 제1 캠으로서의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 제2 캠으로서의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 및 제3 캠으로서의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은, 렌즈 경통 유닛L이 수축상태로부터 확대상태가 될 때에, 발광 유닛(1)을 수납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로 하는 캠이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SINK"위치는 촬상 불능 상태에 해당한다. "WIDE" 위치는, 광각상태에 해당한다. "TELE" 위치는, 텔레포토 각도 상태에 해당한다.
또한,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은, 렌즈 경통 유닛L이 확대상태로부터 수축상태가 될 때에, 발광 유닛(1)을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하는 캠이다. 따라서, 발광부가 도 8a에 나타낸 상태와 도 8b에 나타낸 상태와의 사이에서 변화될 때, 슬라이더(37)의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을 트레이스 한다.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은, 렌즈 경통 유닛L이 확대상태에 있고 발광 유닛(1)이 수납 상태가 되었을 때에(수납 상태로 이동되었을 때에), 발광 유닛(1)이 수납 상태 그대로, 렌즈 경통 유닛L을 확대상태로부터 수축상태로 하는 캠이다. 또한,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은, 렌즈 경통 유닛L이 수축상태로부터 확대상태가 될 때에, 발광 유닛(1)을 눌러서 수납 상태 그대로, 렌즈 경통 유닛L을 수축상태로부터 확대상태로 하는 캠이다. 따라서, 발광부가 도 8c에 나타낸 상태와 도 8a에 나타낸 상태와의 사이에서 변화될 때, 슬라이더(37)의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을 트레이스 한다.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은, 렌즈 경통 유닛L이 수축상태에 있고, 발광 유닛(1)이 사용 상태가 되었을 때에, 발광 유닛(1)이 사용 상태 그대로, 렌즈 경통 유닛L을 수축상태로부터 확대상태로 하는 캠이다. 또한,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은, 렌즈 경통 유닛L이 확대상태로부터 수축상태가 될 때에, 발광 유닛(1)을 떠받쳐서(떠받치면서) 사용 상태 그대로, 렌즈 경통 유닛L을 확대상태로부터 수축상태로 하는 캠이다. 따라서, 발광부가 도 8b에 나타낸 상태와 도 8d에 나타낸 상태와의 사이에서 변화될 때, 슬라이더(37)의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을 트레이스 한다.
도 7c에 있어서, 도 8a에 나타낸 렌즈 경통 유닛L이 수축상태가 되고(수축상태에 있고), 발광 유닛(1)이 수납 상태가 될 때(수납 상태에 있을 때), 슬라이더(37)의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포지션30a1에 위치한다. 도 8b에 나타낸 렌즈 경통 유닛L이 확대상태로서의 광각 상태가 되고(상태에 있고), 발광 유닛(1)이 사용 상태가 될 때(상태에 있을 때), 슬라이더(37)의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포지션30a2에 위치한다.
렌즈 경통 유닛L이 확대상태로서의 텔레포토(telephoto) 상태가 되고(상태에 있고), 발광 유닛(1)이 사용 상태가 될 때(사용 상태에 있을 때), 슬라이더(37)의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포지션30a3에 위치한다.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은, 포지션30a1과 포지션30a2와의 사이에서 발광 유닛(1)을 수납 상태와 사용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고, 포지션30a2와 포지션30a3과의 사이에서는 캠 리프트가 거의 0이 되도록 설치된다(그래서, 상기 캠 홈(30a)은 포지션30a2와 포지션30a3과의 사이의 슬라이더(37)에서, 광축방향으로 선형 움직임을 발생하지 않는다).
도 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7)의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포지션30a2에 위치할 때에, 발광 유닛(1)을 수동조작에 의해 수납 상태로 하면, 발광 유닛(1)은 도 8c에 나타낸 상태로 들어간다. 이 때,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 맞물림을 해제하고, 포지션30b2에서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과 맞물린다. 마찬가지로,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포지션30a3에 위치할 때에, 발광 유닛(1)을 수동조작에 의해 수납 상태로 하면,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그리고,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포지션30b3에서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과 맞물린다.
도 9a 내지 9d는 발광부가 수동 조작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슬라이더(37)의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포지션30a2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발광 유닛(1)이 수동조작에 의해 수납되면, 도 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7)에 화살표F1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압축 스프링(40)의 가압력에 대하여 화살표P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슬라이더(37)의 내부에 대피한다.
이에 따라,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슬라이더(37)는 화살표F1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더(37)가 도 9c에 나타낸 상태가 될 때에,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압축 스프링(40)의 가압력에 의해,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에 삽입된다. 이 때,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에 삽입될 때에, 플래쉬 램프 폴로워(39)의 선단(leading edge)이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의 경사면을 미끄러지고, 그에 따라 화살표F1 방향의 힘이 슬라이더(37)에 작용한다.
그리고, 도 9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과 맞물린다. 이렇게,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구동환(30)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는 슬라이더(37)의 구멍부에 진퇴하므로(진퇴하도록 배치되므로),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스트레스 없이 캠과의 맞물림과 그 맞물림의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과 맞물릴 때에, 렌즈 경통 유닛L이 확대상태로부터 수축상태가 되면,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도 7c에 나타낸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의 우단까지 트레이스 한다. 그리고,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과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도 7c의 화살표B1 방향으로 진행되고,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 맞물려 상기 포지션30a1에 위치한다.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포지션30a1에 위치할 때, 발광 유닛(1)을 눌러서 수납 상태 그대로, 렌즈 경통 유닛L을 수축상태로부터 광각 상태로 한다. 이 때,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도 7c의 화살표B2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과 맞물리고, 포지션30b2에 위치한다.
도 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포지션30a1에 위치할 때, 발광 유닛(1)을 수동조작에 의해 사용 상태로 하면, 발광 유닛(1)은 도 8d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 때,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포지션30c1에서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과 맞물린다.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포지션30c1에 위치할 때, 렌즈 경통 유닛L을 수축상태로부터 광각 상태로 하면,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과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화살표C1 방향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 맞물리고, 포지션30a2에 위치한다.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포지션30a2에 위치할 때, 발광 유닛(1)을 눌러서 사용 상태 그대로, 렌즈 경통 유닛L을 광각 상태로부터 수축상태로 한다. 이 때,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도 7c의 화살표C2 방향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플래쉬 램프 폴로워(39)는,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과 맞물려, 포지션30c1에 위치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과,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있다(서로 분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이 서로 연결되면,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포지션30a1에 위치하는 상태로부터 포지션30a2에 위치하는 상태로 할 때에, 포지션30b2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즉,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을 트레이스 하지 않고,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을 트레이스 한다. 그러므로,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과,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과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도 10a 내지 10d는 수납 상태의 발광부를, 수동조작에 의해 사용 상태까지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도 8a 또는 도 8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발광부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의 슬라이더(37)와 플래쉬 램프 홀더(408)의 돌기(408b)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0a에 나타낸 상태가 도 8a에 나타낸 상태에 해당할 때, 플래쉬 램프 캠 폴로워(39)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에 맞물린다. 도 10a에 나타낸 상태가 도 8c에 나타낸 상태일 때, 플래쉬 램프 캠 폴로워(39)는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에 맞물린다. 도 10a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돌기(408b)와 U형 부분(37a)의 벽(37a1)과의 사이에 제1 클리어런스(clearance) K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토글 스프링(409)이 발광 유닛(1)을 가압하는 방향S는, 토글 스프링(409)이 발광 유닛(1)을 수납 상태를 향해서 가압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도 10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발광 유닛(1)을 수동조작에 의해 사용 상태에 이동시킬 때, 플래쉬 램프 커버(2)에 형성된 돌기(2a)에 손가락을 놓으면서(손가락으로 돌기(2a)를 들어 올림으로써), 화살표R 방향으로 수동조작한다. 발광 유닛(1)을 수동조작에 의해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클리어런스K1이 없어지고, 돌기(408b)가 U형 부분(37a)의 벽(37a1)에 접촉한다.
도 10b는, 이 상태를 나타낸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도 10b에 나타낸 상태는, 발광 유닛(1)의 제1 상태라고 한다. 이 때, 플래쉬 램프 커버(2)와 본체 커버(901)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T가 형성된다. 도 10a의 상태로부터 도 10b의 상태까지는, 수동조작에 의해 발광 유닛(1)만이 이동하고, 슬라이더(37)는 이동하지 않는다.
도 10a의 상태로부터 도 10b의 상태로 이행하는데 필요한 수동조작력은, 토글 스프링(409)이 발광 유닛(1)을 수납 상태에 가압하는 가압력보다 커도 된다. 즉, 비교적 작은 조작력으로, 발광 유닛(1)은 도 10a에 나타낸 수납 상태로부터 도 10b의 상태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발광 유닛(1)을 한층 더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기(408b)가 U형 부분(37a)의 벽(37a1)을 누르고, 슬라이더(37)도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0c는 발광 유닛(1)의 플래쉬 램프 샤프트(302), 토글 스프링(409)이 걸려드는 샤프트(301a)와 샤프트(410)가 일직선 위에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위치를 초과하면, 토글 스프링(409)이 발광 유닛(1)을 가압하는 방향S는, 발광 유닛(1)을 사용 상태로 가압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도 10b의 상태로부터 도 10c의 상태로 이행하는데 필요한 수동조작력은, 토글 스프링(409)이 발광 유닛(1)을 수납 상태로 가압하는 가압력과, 슬라이더(37)를 이동시키는 힘과의 합력보다 큰 힘을 필요로 한다.
슬라이더(37)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플래쉬 램프 캠 폴로워(39)와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 또는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과의 맞물림은, 해제될 필요가 있다. 플래쉬 램프 캠 폴로워(39)와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간의 맞물림, 또는 플래쉬 램프 캠 폴로워(39)와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간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플래쉬 램프 폴로워(39)가 압축 스프링(40)의 가압력에 대하여, 슬라이더(37)의 내부로 대피시키는 힘이 필요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b의 상태로부터 도 10c의 상태로 이행하는데 필요한 수동조작력은, 도 10a의 상태로부터 도 10b의 상태로 이행하는데 필요한 수동조작력보다도 커진다. 도 10b의 상태에서는, 플래쉬 램프 커버(2)와 본체 커버(901)와의 사이에 형성된 클리어런스T에 자신의 손가락을 놓을 수 있으므로, 유저가 발광 유닛(1)에 힘을 가하는 것이 쉽다.
클리어런스T가 형성되지 않는 도 10a의 상태로부터 도 10b의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 유저가 플래쉬 램프 커버(2)의 돌기(2a)를 밀어 올리지 않으면 안되므로, 필요한 수동조작력을 비교적 작게 하고 있다. 돌기(2a)의 크기를 크게 하면, 수납 상태로부터 큰 힘으로 발광 유닛(1)을 밀어 올릴 수도 있다. 그렇지만, 돌기(2a)를 크게 하는 것은, 디지털 카메라의 디자인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발광 유닛(1)을 수납 상태로부터 제1 상태까지는 작은 돌기이여도, 수동조작 가능한 조작력이 되도록, 제1 클리어런스K1을 형성하고 있다.
도 10d는, 도 8b 또는 도 8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발광부가 수납 상태가 될 때의 슬라이더(37)와 플래쉬 램프 홀더(408)의 돌기(408b)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0d에 나타낸 상태가 도 8b에 나타낸 상태일 때, 플래쉬 램프 캠 폴로워(39)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에 맞물린다. 도 10d에 나타낸 상태가 도 8d에 나타낸 상태일 때, 플래쉬 램프 캠 폴로워(39)는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에 맞물린다.
도 10d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토글 스프링(409)이 발광 유닛(1)을 가압하는 방향S는, 발광 유닛(1)을 사용 상태를 향해서 가압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돌기(408b)와 U형 부분(37a)의 벽(37a2)과의 사이에 제2 클리어런스K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태가 도 10d에 나타낸 상태가 될 때, 발광 유닛(1)은 토글 스프링(409)에 의해 사용 상태를 향해서 가압되고, 플래쉬 램프 캠 폴로워(39)는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 또는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에 맞물린다. 플래쉬 램프 캠 폴로워(39)가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 또는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에 맞물리기 시작하면, 슬라이더(37)는 도 10d에서 우측 방향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것은, 압축 스프링(40)에 의해 가압된 플래쉬 램프 캠 폴로워(39)가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 또는 제3 플래쉬 램프 캠 홈(30c)에 삽입되어, 슬라이더(37)를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 10d에 나타낸 상태에서도, 돌기(408b)와 U형 부분(37a)의 벽(37a1)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된다.
도 10d에 나타낸 상태에서, 발광 유닛(1)을 수동조작에 의해 도 10a에 나타낸 상태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제2 클리어런스K2가 없어질 때까지 토글 스프링(409)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힘만으로, 발광 유닛(1)을 밀어 내릴 수 있다. 그 후, 돌기(408b)가 U형 부분(37a)의 벽(37a2)에 접촉하여 슬라이더(37)를 이동시키고, 도 10a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제2 클리어런스K2가 없어지고, 돌기(408b)가 U형 부분(37a)의 벽(37a2)에 접촉하는 상태를 제2 상태라고 한다.
도 10a의 상태에서, 압축 스프링(40)에 의해 가압된 플래쉬 램프 캠 폴로워(39)가 제1 플래쉬 램프 캠 홈(30a) 또는 제2 플래쉬 램프 캠 홈(30b)에 삽입되어서, 슬라이더(37)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돌기(408b)와 U형 부분(37a)의 벽(37a2)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면, 촬상불능상태의 일례인 전원 오프로부터 촬상 가능상태의 일례인 전원 온 상태로 했을 때에, 발광부는 수납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가 된다. 전원 온 상태에서 발광부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에, 발광부를 수동조작에 의해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할 수 있고, 디지털 카메라는 발광부가 수납 상태 그대로 있는 전원 오프 상태로 될 수 있다. 전원 오프 상태에서 발광부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에, 발광부를 수동조작에 의해 수납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로 할 수 있고, 디지털 카메라는 발광부가 사용 상태 그대로 있는 전원 온 상태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경통 유닛에 연동시켜서, 발광부를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전원 온 상태에서도 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수동조작에 의해 발광부를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한층 더, 수동조작에 의해 발광부를 이동시킨 후, 발광부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디지털 카메라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 온 상태동안 발광부를 수동조작에 의해 수납하고 나서, 전원을 끈 경우에도, 다음에 전원을 온 하면, 발광부는 수납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로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원 오프 상태동안 발광부를 수동조작에 의해 사용 상태로 하고 나서 전원을 온으로 하는 경우, 전원을 오프할 때, 발광부는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될 수 있다.
제1 클리어런스K1을 형성함으로써, 발광 유닛(1)을 수동조작에 의해, 수납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로 이동시킬 때, 슬라이더(37)를 이동시키지 않아, 발광 유닛(1)이 수납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유닛(1)과 슬라이더(37)가 일체가 되어서 움직이기 시작할 때에는, 클리어런스T가 형성되어, 발광 유닛(1)에 큰 힘을 가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7)

  1. 촬상장치로서,
    구동원;
    상기 촬상장치를 촬상 불능상태로부터 촬상 가능상태로 할 때, 및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 가능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불능상태로 할 때에,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재; 및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재에는 상기 발광부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캠 및 제2 캠 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1 캠이 맞물릴 때에,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 불능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가능상태로 하면,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발광부는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로 이동하는 반면에,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1 캠이 맞물릴 때에,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 가능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불능상태로 하면,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발광부는 상기 사용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이동하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1 캠이 맞물리고 상기 발광부가 상기 사용 상태에 있을 때에, 유저가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발광부를 상기 사용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1 캠과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상기 제2 캠과 맞물리며,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2 캠이 맞물릴 때에,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 가능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불능상태로 하면,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발광부는 상기 수납 상태를 유지하는, 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과 상기 제2 캠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2 캠이 맞물릴 때에,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 가능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불능상태로 하면,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2 캠과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상기 제1 캠에 맞물리는, 촬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사용 상태와 상기 수납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발광 유닛과, 상기 제1 캠 또는 상기 제2 캠과 맞물려 이동함으로써 상기 발광 유닛을 상기 사용 상태와 상기 수납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구비한, 촬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 캠 또는 상기 제2 캠과 맞물릴 수 있는 폴로워(follower)를 구비하고, 상기 폴로워는, 상기 제1 캠 또는 상기 제2 캠과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부재의 내부로 대피하도록 구성된, 촬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에는 제3 캠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1 캠이 맞물리고 상기 발광부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을 때에, 유저가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발광부를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1 캠과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상기 제3 캠과 맞물리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3 캠이 맞물릴 때에,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 불능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가능상태로 하면,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발광부는 상기 사용 상태를 유지하는, 촬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과 상기 제3 캠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3 캠이 맞물릴 때에,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 불능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가능상태로 하면,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3 캠과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상기 제1 캠에 맞물리는, 촬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수축상태와 확대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렌즈 경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 가능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불능상태로 하면,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렌즈 경통을 상기 수축상태로 구동하고, 상기 촬상장치를 상기 촬상 불능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가능상태로 하면,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렌즈 경통을 상기 확대상태로 구동하는, 촬상장치.
KR1020110006219A 2010-01-26 2011-01-21 촬상장치 KR101315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4499 2010-01-26
JP2010014499A JP5534836B2 (ja) 2010-01-26 2010-01-26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401A KR20110088401A (ko) 2011-08-03
KR101315895B1 true KR101315895B1 (ko) 2013-10-08

Family

ID=4365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219A KR101315895B1 (ko) 2010-01-26 2011-01-21 촬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00559B2 (ko)
EP (1) EP2360909B1 (ko)
JP (1) JP5534836B2 (ko)
KR (1) KR101315895B1 (ko)
CN (1) CN1021357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4800S1 (en) 2013-10-08 2015-07-21 Jonathan P. Ive Camera
USD732595S1 (en) 2013-10-08 2015-06-23 Jonathan P. Ive Camera
JP1534697S (ko) * 2015-03-19 2015-10-13
JP1534696S (ko) * 2015-03-19 2015-10-13
CN106325023B (zh) * 2015-06-19 2023-09-08 江西镭博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盒
USD829799S1 (en) * 2016-04-17 2018-10-02 C & A Marketing, Inc. Camera
USD829798S1 (en) * 2016-04-17 2018-10-02 C & A Marketing, Inc. Camera
USD796565S1 (en) * 2016-04-17 2017-09-05 C & A Marketing, Inc. Camera
JP1584970S (ko) * 2017-03-27 2017-09-04
USD838303S1 (en) 2017-08-30 2019-01-15 C & A Marketing, Inc. Camera
USD849083S1 (en) * 2017-09-15 2019-05-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mera
JP6976803B2 (ja) * 2017-10-06 2021-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1612028S (ko) * 2017-11-24 2018-08-27
USD865835S1 (en) * 2018-04-30 2019-11-05 Furrion Property Holding Limited Camer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8694A1 (en) * 2001-04-05 2003-03-05 Scalar Corporation Camera and unit for camera
US20040109083A1 (en) * 2002-12-09 2004-06-10 Pentax Corporation Digital camera comprising white-balance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295A (ja) 1993-12-28 1995-08-04 Canon Inc カメラ
JPH11183978A (ja) * 1997-12-22 1999-07-09 Nikon Corp 閃光制御装置
US6493510B2 (en) * 2000-03-31 2002-12-10 Fuji Photo Optical Co., Ltd. Camera having zoom flash device
JP2002031832A (ja) * 2000-07-14 2002-01-31 Canon Inc カメラ
JP2002099030A (ja) * 2000-09-21 2002-04-05 Canon Inc カメラ
JP2006010743A (ja) * 2004-06-22 2006-01-12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
JP4732044B2 (ja) * 2005-07-19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鏡筒及び撮像装置
JP5268438B2 (ja) * 2008-06-13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トロボ装置、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566123B2 (ja) * 2010-01-26 2014-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574728B2 (ja) * 2010-02-03 2014-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574732B2 (ja) * 2010-02-05 2014-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8694A1 (en) * 2001-04-05 2003-03-05 Scalar Corporation Camera and unit for camera
US20040109083A1 (en) * 2002-12-09 2004-06-10 Pentax Corporation Digital camera comprising white-balanc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401A (ko) 2011-08-03
CN102135702B (zh) 2013-08-07
JP5534836B2 (ja) 2014-07-02
CN102135702A (zh) 2011-07-27
EP2360909B1 (en) 2012-09-05
US8400559B2 (en) 2013-03-19
JP2011155383A (ja) 2011-08-11
EP2360909A1 (en) 2011-08-24
US20110181771A1 (en)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895B1 (ko) 촬상장치
CN102890327B (zh) 镜头单元
JP5574728B2 (ja) 撮像装置
US8422880B2 (en) Filter adapter
JP4194569B2 (ja) 光学機器
JP5566123B2 (ja) 撮像装置
JP5455680B2 (ja) 撮像装置
EP2717083B1 (en) Zoom lens barrel assembly and capt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574732B2 (ja) 撮像装置
JP2013015668A (ja) 撮像装置
JP2012185391A (ja) 撮像装置
CN213903921U (zh) 照相机装置
JP2008175962A (ja) 光学機器
JP2016128850A (ja) 内蔵ストロボのバウンス機構
JP2013073059A (ja) 撮像装置
JP2015141366A (ja)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US939560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light emitting section
JP2012133141A (ja) ストロボ装置
JP2007034070A (ja) レンズ駆動装置
CN114830028A (zh) 照相机装置
JP2007079385A (ja) ズーム操作装置
JP2011075840A (ja) カメラ
JP2016142768A (ja) 電子機器
JP2006189709A (ja) 撮像装置
JP2014112167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1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