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4095B1 -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및 화학강화유리 - Google Patents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및 화학강화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095B1
KR101314095B1 KR1020117024517A KR20117024517A KR101314095B1 KR 101314095 B1 KR101314095 B1 KR 101314095B1 KR 1020117024517 A KR1020117024517 A KR 1020117024517A KR 20117024517 A KR20117024517 A KR 20117024517A KR 101314095 B1 KR101314095 B1 KR 101314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ao
mgo
zro
si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454A (ko
Inventor
웨이 수운
추운차 숭
쇼오리 천
니임 천
쥐인 쇼오
차앙 리이
Original Assignee
시디지엠 글라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디지엠 글라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시디지엠 글라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09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0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7/00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C03C21/001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 C03C21/002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to perform ion-exchange between alkali 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therm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03C3/09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containing zinc or zirco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Surface property or characteristic of web, sheet or block
    • Y10T428/315Surface modified glass [e.g., tempered, strengthene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종의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는 중량이 55-60%인 SiO2, 중량이 0.1-2.5%인 B2O3, 중량이 11-16%인 Al2O3, 중량이 14-17%인 Na2O, 중량이 1-8%인 K2O, 중량이 0-8%인 ZrO2, 중량이 0-5%인 CaO, 중량이 0-5%인 MgO와 중량이 0-1%인 Sb2O3으로 구성되며, 또한 강화온도는 380-500℃이고, 강화시간은 4-12시간일 때, 유리의 표면 압축응력은 610-1100Mpa에 달하며, 응력층의 심도는 31-80um에 달하며, 이러한 유리는 핸드폰 패널과 PDA 패널에 사용된다.

Description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및 화학강화유리 {GLASS SUITABLE FOR CHEMICALLY TOUGHENING AND CHEMICALLY TOUGHENED GLASS}
본 발명은 일종의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및 그 화학강화유리에 관한 것이다.
유리의 표면은 생산, 가공과 사용과정에서 대량의 미소 균열이 나타나며, 이러한 미소 균열은 유리의 실제 강도를 이론 강도보다 작도록 한다. 보통 열강화 또는 화학강화의 방법을 통하여 유리의 표면에 압축응력을 산생케 하여, 유리의 강도를 향상시키며, 표면에 미소 균열의 확산을 억제한다.
유리의 화학강화는 알칼리를 함유한 가열된 유리를 용융 염욕에 담그고, 유리와 용융염사이의 이온 교환을 통하여 유리 표면의 화학구성을 개변시키며, 이는 유리 표면에 압축응력층을 형성시켜 유리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현재 두 개 종류의 이온교환 강화가 있으며, 첫 번째 종류는 고온형 처리기술이다. 이는 유리의 전이 온도보다 높고, 용융염에서 반경이 작은 이온으로 유리의 반경이 큰 이온을 치환하며, 또한 유리표면에는 열팽창 계수가 메인 유리보다 작은 박층이 형성되며, 냉각할 때 유리의 표면에 압축응력이 형성되며, 그 압축응력의 크기는 양자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점과 관련된다. 두 번째 종류는 저온형 처리기술이고, 주로 유리의 스트레인점 하에서 처리를 진행하며, 용융염에서 반경이 큰 이온(K+)으로 유리의 반경이 작은 이온(Na+)을 치환하며, 유리표면은 압착에 의하여 압축응력층이 형성되며, 그 응력의 크기는 교환 이온의 벌크효과와 관련된다.
두 번째 종류의 이온교환 강화의 기술은 외부의 큰 이온이 유리중의 비교적 작은 이온을 대체하여 표면 압축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전형적인 예는 리튬 알루미노 규산염 또는 나트륨-알루미늄-실리콘 시스템의 유리와 질산칼륨 용융염이 이온 교환을 진행하는 것이다. 리튬 알루미노 규산염 시스템의 유리는 화학강화를 거쳐 바람직한 압축응력을 산생시키지만, 이는 압축응력층의 깊이가 몇 마이크로미터일 때 나타나며, 교환층의 두께의 증가에 따라 응력은 연속으로 방출되며, 압축응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사용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얇은 압축응력층은 마모되거나 또는 긁히게 된다.
칼륨 이온으로 나트륨-알루미늄-실리콘 시스템의 유리중의 나트륨 이온을 대체하여 표면을 압축한 화학강화 방법은 종래의 기술이다. 미국 Corning 회사의 유리 0317이 바로 이러한 기술의 유리이고, 성능은 우수하지만, 융해의 온도는 너무 높아서(>1600℃) 생산이 어렵다. CN101337770A도 일종의 화학강화용 유리를 공개하였으며, 강화온도는 490℃이며, 강화시간은 3-8시간의 조건하에서 유리샘플에 대해 화학강화 처리를 진행하여, 강화후의 비커스경도는 638Mpa에 달한다. 그러나 유리성분에 대량의 Al2O3을 첨가하였기 때문에, Al2O3의 융점이 높아서 유리의 점도는 증가되며, 기포를 제거하기 어렵다. 또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융해 과정에 반드시 Sb2O3, SO3, As2O3과 불화물을 첨가해야 충분한 정화 효과를 얻게 되므로 제조기술의 난이도는 높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종의 저온에 적합한 이온 교환 기술과 융해가 용이한 실리카-알루미나-산화나트륨을 제공하여, 유리는 비교적 낮은 강화온도 및 비교적 짧은 강화시간 내에 더 깊은 응력층의 심도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깊은 응력층을 갖게 되는 동시에 비교적 높은 압축응력을 갖게 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의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60%이고, B2O3은 0.1-2.5%이며, Al2O3은 11-16%이며, Na2O은 14-17%이며, K2O은 1-8%이며, ZrO2은 0-8%이며, CaO은 0-5%이며, MgO은 0-5%이며, Sb2O3은 0-1%이다.
또한, 상기 유리의 융해의 온도는 1400-1550℃사이이고, 내산성은 1급이상이며, 내습성은 B급이상이다.
또한, 상기 Al2O3은 12-15%이다.
또한, 상기 Na2O은 15.1-17%이다.
또한, 상기 Al2O3은 12-15%이고, 상기 Na2O은 15.1-17%이다.
또한, 상기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60%이고, B2O3은 0.1-1.7%이며, Al2O3은 12-15%이며, Na2O은 15.1-17%이며, K2O은 2-6%이며, ZrO2은 1-4%이며, CaO은 0-3%이며, MgO은 0-3%이며, Sb2O3은 0-1%이다.
또한, 상기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60%이고, B2O3은 0.1-1.7%이며, Al2O3은 12-15%이며, Na2O은 15.1-17%이며, K2O은 2-6%이며, ZrO2은 1-4%이며, CaO은 1-3%이며, MgO은 1-3%이며, Sb2O3은 0-0.8%이다.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의 강화온도는 380-500℃이고, 강화시간은 4-12시간의 조건 하에서 표면 압축응력은 610-1100Mpa에 달하며, 응력층의 심도는 31-80um에 달한다.
또한, 상기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60%이고, B2O3은 0.1-2.5%이며, Al2O3은 11-16%이며, Na2O은 14-17%이며, K2O은 1-8%이며, ZrO2은 0-8%이며, CaO은 0-5%이며, MgO은 0-5%이며, Sb2O3은 0-1%이다.
또한, 상기 유리의 융해온도는 1400-1550℃사이이고, 내산성은 1급이상이며, 내습성은 B급이상이다.
또한, 상기 Al2O3은 12-15%이다.
또한, 상기 Na2O은 15.1-17%이다.
또한, 상기 Al2O3은 12-15%이고, 상기 Na2O은 15.1-17%이다.
또한, 상기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60%이고, B2O3은 0.1-1.7%이며, Al2O3은 12-15%이며, Na2O은 15.1-17%이며, K2O은 2-6%이며, ZrO2은 1-4%이며, CaO은 0-3%이며, MgO은 0-3%이며, Sb2O3은 0-1%이다.
또한, 상기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60%이고, B2O3은 0.1-1.7%이며, Al2O3은 12-15%이며, Na2O은 15.1-17%이며, K2O은 2-6%이며, ZrO2은 1-4%이며, CaO은 1-3%이며, MgO은 1-3%이며, Sb2O3은 0-0.8%이다.
화학강화유리는 경화층의 심도와 인장응력 구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인장응력 구역 내의 유리의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60%이고, B2O3은 0.1-2.5%이며, Al2O3은 11-16%이며, Na2O은 14-17%이며, K2O은 1-8%이며, ZrO2은 0-8%이며, CaO은 0-5%이며, MgO은 0-5%이며, Sb2O3은 0-1%이다.
또한, 상기 유리의 융해온도는 1400-1550℃사이이고, 내산성은 1급이상이며, 내습성은 B급이상이다.
또한, 상기 Al2O3은 12-15%이다.
또한, 상기 Na2O은 15.1-17%이다.
또한, 상기 Al2O3은 12-15%이고, 상기 Na2O은 15.1-17%이다.
또한, 상기 인장응력 구역 내의 유리의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60%이고, B2O3은 0.1-1.7%이며, Al2O3은 12-15%이며, Na2O은 15.1-17%이며, K2O은 2-6%이며, ZrO2은 1-4%이며, CaO은 0-3%이며, MgO은 0-3%이며, Sb2O3은 0-1%이다.
또한, 상기 인장응력 구역 내의 유리의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60%이고, B2O3은 0.1-1.7%이며, Al2O3은 12-15%이며, Na2O은 15.1-17%이며, K2O은 2-6%이며, ZrO2은 1-4%이며, CaO은 1-3%이며, MgO은 1-3%이며, Sb2O3은 0-0.8%이다.
상기 화학강화유리로 제작된 핸드폰 패널이다.
상기 화학강화유리로 제작된 PDA 패널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종의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및 화학강화유리를 제공하여, 본 발명의 유리에는 실리카-알루미나-산화나트륨이 함유되며, 또한 합리한 성분을 통하여 유리제조의 난이도를 낮추고, 유리의 융해온도를 현저하게 내림으로써, 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며, 제품의 양품율도 향상시키며, 본 발명의 유리의 강화온도는 380-500℃이며, 강화시간은 4-12시간의 조건 하에서 표면 압축응력은 610-1100Mpa에 달하며, 응력층의 심도는 31-80um에 달하여, 유리는 강화되며, 내충격성은 우수하며, 또한 본 발명의 유리는 내마모성도 높아서, 핸드폰과 PDA 등의 고품격의 전자 디스플레이 제품의 보호성 유리재료에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유리에 함유되는 성분에 대해 설명하며, 각 성분의 함유율은 중량%로 표시한다.
SiO2은 유리를 형성시키는 주요 성분이고, 함유량이 높으면 높을수록 화학적 내구성 및 유리의 기계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함유량이 55%이하일 때 유리의 화학안정성은 떨어지며, 또한 함유량이 60%이상일 때 융화 온도는 너무 높게 된다. 그러므로 SiO2의 비율은 55-60%로 한정한다.
B2O3은 유리의 용융성을 향상시키고, 점도를 낮추는 주요 성분이며, 만약 함유량이 너무 높으면 유리의 이온 교환 속도를 저하시킨다. 그러므로 함유량은 0.1-2.5%로 한정하며, 바람직하게는 0.1-1.7%이다.
Al2O3은 유리 구성에서 유리 표면의 이온 교환에 성능을 제공하고, 동시에 유리의 화학안정성을 개선시키며, 유리결정의 추세를 낮추며, 또한 유리의 경도와 기계강도를 향상시키는 주요 성분이다. 만약 Al2O3은 11%이하일 때 교환 효과는 그다지 좋지 않으며, 유리의 화학안정성도 떨어지며, 만약 함유량이 16%보다 높을 때 유리의 점도는 증가되며, devitrification resistance은 악화된다. 그러므로 Al2O3의 함유량은 11-16%이며, 바람직하게는 12-15%이다.
알루미노 규산염유리로서 유리중에 대량의 중간체 산화물 Al2O3이 있고, 만약 알칼리 금속이 많으면 유리중의 알루미늄은 사면체로 존재하며, 그 용적도 실리카의 사면체보다 더욱 커서 큰 빈틈을 산생시키며, 이는 유리의 표면에 이온 교환을 더욱 용이하게 하며, 또한 교환의 심도도 더욱 크게 하여, 긁힘과 충격 파괴에 대해 억제하는 작용을 일으키며, 기계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킨다.
Na2O은 유리표층과 이온 교환 처리액중의 K이온이 이온 교환을 진행하여, 유리의 화학강화를 하는 필요 성분이다. 동시에 용해가 용이한 유리성분으로서, 유리의 용융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함유량이 14%이하일 때 devitrification resistance은 악화된다.
또한, 함유량은 17%보다 높을 때 화학안정성은 악화되고, 경도도 작아진다. 그러므로 Na2O의 함유량은 14-17%로 한정하고, 바람직하게는 15.1-17%이다.
K2O은 Na2O과의 혼합알칼리를 통하여, 유리의 용융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유리의 점도를 낮춘다. 그러므로 Na2O+K2O의 합계량은 15-25%로 한정하며, K2O의 함유량은 1-8%로 한정하며, 바람직하게는 2-6%이다.
ZrO2은 경도를 높이는 효과를 갖고 있으며, 함유량은 5%이하일 때 화학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5%를 초과할 때 유리의 devitrification resistance은 저하되고, 또한 용로 밑부분의 미용해물로 되기 용이하며, 침전 추세는 강하게 된다. 그러므로 ZrO2의 함유량은 0-8%로 한정하고, 바람직하게는 0-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이다.
알칼리 토류의 유리 성분의 MgO, CaO, SrO, BaO은 유리를 안정화시키고, 유리중에 결정의 발생을 방지하며, 또한 유리중 알칼리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MgO은 유리의 인장 탄성계수를 높이는 효과를 갖고 있고, 알칼리토 금속의 주요 원천이며, 함유량은 0-5%이며, 바람직하게는 1-3%이다.
CaO은 MgO와 같은 성분이고, 함유량은 0-5%이며, CaO의 함유량이 1%이상일 때 유리안정의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CaO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1-3%이다.
BaO, SrO도 유리를 안정화시키며, 또한 유리결정을 억제시키며, 합계량은 0-2%이다.
본 발명은 Sb2O3을 청징제로 사용하고, Sb2O3의 함유량은 0-1%이며, 바람직하게는 0-0.8%이다.
본 발명의 유리의 생산공정은 아래와 같다.
1) 중량비례에 따라 각 성분의 산화물, 탄산염과 질산염 등 유리의 원료를 측정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백금 도가니에 첨가시킨다.
2) 1450-1550℃에서 융화, 정제, 균질 후 냉각시킨다.
3) 용융유리액을 예열된 금속 몰드에 주입시키고, 유리와 금속 몰드를 같이 어니일링로에 넝어 아닐링하며, 냉각시킨다.
본 발명의 유리를 50×50×1mm의 규격으로 가공하고, 온도가 380-500℃의 KNO3용염 중에서 이온 교환 처리를 진행하며, 강화 소킹시간은 4-12시간이며, 유리표층의 Na이온과 상기 처리액 중의 K이온이 이온 교환을 진행하여 화학강화유리를 제조한다.
상기 화학강화유리는 경화층의 심도와 인장응력 구역을 갖고 있고, 상기 경화층의 심도는 화학강화의 유리표면에서 유리 내부의 압축응력이 0인 위치사이 와의 거리이며, 이 부분의 유리를 '압축구역 유리'라고 한다.
인장응력 구역은 유리내부의 심도는 경화층의 심도보다 큰 내부 유리이며, 즉 상기 '압축구역 유리'외의 부분을 '인장응력 구역 유리'라고 한다. '압축구역 유리'와 '인장응력 구역 유리'는 다른 구성을 갖고 있으며, 원인은 '압축구역 유리'중의 나트륨이온이 '인장응력 구역 유리'중의 나트륨이온보다 많다.
유리 표면의 압축응력 및 응력층의 심도는 FSM-6000 응력측정기에서 측정을 진행한다.
강화의 유리샘플(50×50×1mm)을 닦은 후, 굴절액을 묻힌(굴절액의 굴절률은 1.64보다 큼) 유리 측정대에 놓는다. FSM-6000은 강화 샘플의 표면층의 광도파 효과를 이용하여 표면의 압축응력과 응력층의 심도를 측정한다.
강화의 유리샘플(50×50×1mm)을 측정대에 놓고, 드릴로 일정 시간 동안 힘을 가한 후 꺼낸다. 현미경을 사용하여 자국의 길이를 측정하면 유리의 비커스 경도를 검측해 낼 수 있다.
전이 온도, 팽창계수는 GB/T7962.16-1987 <무색광학유리측정방법 팽창계수, 전이 온도>에 근거하여 측정된다.
또한, GB/T7962.14-1987 <무색광학유리측정방법 내산>에 근거하여 유리의 내산성을 측정한다.
또한, GB/T7962.15-1987 <무색광학유리측정방법 내습>에 근거하여 유리의 내습 등급을 측정한다.
표 1과 표 2는 본 발명의 10개 실시예이다.
표 1
Figure 112011081276730-pct00001
표 2
Figure 112011081276730-pct00002
실시예 1-10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유리는 저온 이온 교환 처리를 거치고, 이온 교환율은 높으며, 표면 압축응력은 610-1100Mpa에 달할 수 있으며, 이온 교환층은 31-80um에 달할 수 있다.
또한, 내산 및 내습성은 각각 1급과 B급이상이며, 유리의 내후성도 우수하다.

Claims (24)

  1.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59.8%이고, B2O3은 0.1-2.5%이며, Al2O3은 11-16%이며, Na2O은 14-17%이며, K2O은 1-8%이며, ZrO2은 0-8%이며, CaO은 0-5%이며, MgO은 0-5%이며, Sb2O3은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융해온도는 1400-1550℃사이이고, 내산성은 1급이상이며, 내습성은 B급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l2O3은 12-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Na2O은 15.1-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l2O3은 12-15%이고, 상기 Na2O은 15.1-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59.8%이고, B2O3은 0.1-1.7%이며, Al2O3은 12-15%이며, Na2O은 15.1-17%이며, K2O은 2-6%이며, ZrO2은 1-4%이며, CaO은 0-3%이며, MgO은 0-3%이며, Sb2O3은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59.8%이고, B2O3은 0.1-1.7%이며, Al2O3은 12-15%이며, Na2O은 15.1-17%이며, K2O은 2-6%이며, ZrO2은 1-4%이며, CaO은 1-3%이며, MgO은 1-3%이며, Sb2O3은 0-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8. 삭제
  9. 강화온도는 380-500℃이고, 강화시간은 4-12시간의 조건 하에서 표면 압축응력은 610-1100Mpa에 달하며, 응력층의 심도는 31-80um이되;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59.8%이고, B2O3은 0.1-2.5%이며, Al2O3은 11-16%이며, Na2O은 14-17%이며, K2O은 1-8%이며, ZrO2은 0-8%이며, CaO은 0-5%이며, MgO은 0-5%이며, Sb2O3은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융해온도는 1400-1550℃사이이고, 내산성은 1급이상이며, 내습성은 B급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11. 제 9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l2O3은 12-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12. 제 9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a2O은 15.1-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13. 제 9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l2O3은 12-15%이고, 상기 Na2O은 15.1-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14. 제 9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59.8%이고, B2O3은 0.1-1.7%이며, Al2O3은 12-15%이며, Na2O은 15.1-17%이며, K2O은 2-6%이며, ZrO2은 1-4%이며, CaO은 0-3%이며, MgO은 0-3%이며, Sb2O3은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15. 제 9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59.8%이고, B2O3은 0.1-1.7%이며, Al2O3은 12-15%이며, Na2O은 15.1-17%이며, K2O은 2-6%이며, ZrO2은 1-4%이며, CaO은 1-3%이며, MgO은 1-3%이며, Sb2O3은 0-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16. 경화층의 심도와 인장응력 구역을 갖고 있는 화학강화유리이며, 상기 인장응력 구역 내의 유리의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59.8%이고, B2O3은 0.1-2.5%이며, Al2O3은 11-16%이며, Na2O은 14-17%이며, K2O은 1-8%이며, ZrO2은 0-8%이며, CaO은 0-5%이며, MgO은 0-5%이며, Sb2O3은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유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융해온도는 1400-1550℃사이이고, 내산성은 1급이상이며, 내습성은 B급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유리.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Al2O3은 12-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유리.
  19.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Na2O은 15.1-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유리.
  20.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Al2O3은 12-15%이고, 상기 Na2O은 15.1-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유리.
  21.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응력 구역 내의 유리의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59.8%이고, B2O3은 0.1-1.7%이며, Al2O3은 12-15%이며, Na2O은 15.1-17%이며, K2O은 2-6%이며, ZrO2은 1-4%이며, CaO은 0-3%이며, MgO은 0-3%이며, Sb2O3은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유리.
  22.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응력 구역 내의 유리의 중량 백분율의 구성은 SiO2은 55-59.8%이고, B2O3은 0.1-1.7%이며, Al2O3은 12-15%이며, Na2O은 15.1-17%이며, K2O은 2-6%이며, ZrO2은 1-4%이며, CaO은 1-3%이며, MgO은 1-3%이며, Sb2O3은 0-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유리.
  23.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강화유리로 제작된 핸드폰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유리.
  24.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강화유리로 제작된 PDA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강화유리.
KR1020117024517A 2009-03-31 2009-07-16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및 화학강화유리 Active KR101314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03012404A CN101508524B (zh) 2009-03-31 2009-03-31 适于化学钢化的玻璃及其化学钢化玻璃
CN200910301240.4 2009-03-31
PCT/CN2009/072787 WO2010111850A1 (zh) 2009-03-31 2009-07-16 适于化学钢化的玻璃及化学钢化玻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454A KR20120009454A (ko) 2012-02-01
KR101314095B1 true KR101314095B1 (ko) 2013-10-04

Family

ID=4100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517A Active KR101314095B1 (ko) 2009-03-31 2009-07-16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및 화학강화유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28545B2 (ko)
EP (1) EP2415724B1 (ko)
JP (1) JP5416273B2 (ko)
KR (1) KR101314095B1 (ko)
CN (1) CN101508524B (ko)
WO (1) WO2010111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2940A (zh) 2009-12-11 2011-06-15 肖特公开股份有限公司 用于触摸屏的铝硅酸盐玻璃
KR101872536B1 (ko) * 2010-01-07 2018-06-2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내충격성-내손상성 유리 시트
CN102167509A (zh) * 2010-02-26 2011-08-31 肖特玻璃科技(苏州)有限公司 能进行后续切割的化学钢化玻璃
CN102249542B (zh) 2010-05-18 2015-08-19 肖特玻璃科技(苏州)有限公司 用于3d精密模压和热弯曲的碱金属铝硅酸盐玻璃
CN103097315B (zh) * 2010-09-27 2015-10-14 旭硝子株式会社 化学强化用玻璃、化学强化玻璃及显示装置用玻璃板
JP5612233B1 (ja) * 2010-12-24 2014-10-22 旭硝子株式会社 化学強化用ガラス
CN103459337B (zh) * 2011-03-31 2015-11-25 日本板硝子株式会社 适于化学钢化的玻璃组合物、及化学钢化玻璃物品
KR20140074914A (ko) * 2011-10-04 2014-06-18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커버 유리
US9850162B2 (en) * 2012-02-29 2017-12-26 Corning Incorporated Glass packaging ensuring container integrity
JP2015091737A (ja) * 2012-02-28 2015-05-14 旭硝子株式会社 積層強化ガラス
US9359251B2 (en) 2012-02-29 2016-06-07 Corning Incorporated Ion exchanged glasses via non-error function compressive stress profiles
CN103420610B (zh) * 2012-05-21 2016-08-03 中国南玻集团股份有限公司 玻璃基板、玻璃板及其制备方法
CN103508674A (zh) * 2012-06-27 2014-01-15 成都光明光电股份有限公司 玻璃增强方法
DE102013103573B4 (de) * 2013-04-10 2016-10-27 Schott Ag Chemisch vorspannbares Glaselement mit hoher Kratztoleran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Glaselementes
WO2014166250A1 (en) * 2013-04-10 2014-10-16 Schott Glass Technologies (Suzhou) Co. Ltd. Chemically toughened glass
US11079309B2 (en) 2013-07-26 2021-08-03 Corning Incorporated Strengthened glass articles having improved survivability
US10941071B2 (en) 2013-08-02 2021-03-09 Corning Incorporated Hybrid soda-lime silicate and aluminosilicate glass articles
DE102013019003A1 (de) * 2013-11-13 2015-05-13 Taiwan Glass Ind. Corp. Alkali-Alumino-Silikatglas
CN104326666A (zh) * 2013-12-31 2015-02-04 东旭集团有限公司 一种显示器件用铝硅酸盐玻璃保护盖板的原料配方
US10118858B2 (en) 2014-02-24 2018-11-06 Corning Incorporated Strengthened glass with deep depth of compression
WO2015127583A1 (en) * 2014-02-25 2015-09-03 Schott Ag Chemically toughened glass article with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TWI852054B (zh) 2014-06-19 2024-08-11 美商康寧公司 無易碎應力分布曲線的玻璃
KR20200126017A (ko) 2014-10-08 2020-11-05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금속 산화물 농도 구배를 포함한 유리 및 유리 세라믹
US10150698B2 (en) 2014-10-31 2018-12-11 Corning Incorporated Strengthened glass with ultra deep depth of compression
US10239784B2 (en) 2014-11-04 2019-03-26 Corning Incorporated Deep non-frangible stress profiles and methods of making
US9630873B2 (en) 2015-03-16 2017-04-25 Guardian Industries Corp. Float glass composition adapted for chemical strengthening
CN104909392B (zh) * 2015-05-26 2017-06-13 武汉理工大学 一种能够加快硝酸钾熔液澄清与除杂的方法及添加剂
JP6774614B2 (ja) * 2015-07-01 2020-10-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強化用ガラス及び強化ガラス
US9701569B2 (en) 2015-07-21 2017-07-11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exhibiting improved fracture performance
US11613103B2 (en) 2015-07-21 2023-03-28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exhibiting improved fracture performance
DE202016008722U1 (de) 2015-12-11 2019-03-21 Corning Incorporated Durch Fusion bildbare glasbasierte Artikel mit einem Metalloxidkonzentrationsgradienten
US10043903B2 (en) 2015-12-21 2018-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s with source/drain stress liner
DE202017007024U1 (de) 2016-04-08 2019-03-25 Corning Incorporated Glasbasierte Artikel einschließlich eines Spannungsprofils, das zwei Gebiete umfasst
US10017417B2 (en) 2016-04-08 2018-07-10 Corning Incorporated Glass-based articles including a metal oxide concentration gradient
JP6897270B2 (ja) * 2017-04-20 2021-06-30 Agc株式会社 化学強化ガラス
CN111936439B (zh) 2018-10-26 2022-07-29 成都光明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盖板用微晶玻璃制品和微晶玻璃
CN109704564A (zh) * 2019-03-21 2019-05-03 南通向阳光学元件有限公司 一种高强度超薄玻璃的制备方法
JP7174788B2 (ja) * 2021-02-17 2022-11-17 株式会社オハラ 結晶化ガラス基板
CN114956550B (zh) * 2022-07-05 2024-01-05 四川虹科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防静电玻璃及其制备方法
CN119774873A (zh) * 2024-12-24 2025-04-08 河北昂瑞自动化设备技术有限公司 玻璃、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2135A (en) 1969-07-10 1973-11-13 Asahi Glass Co Ltd Glass strengthened by ion exchang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2009057271A (ja) 2007-08-03 2009-03-1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強化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135A (en) * 1887-10-25 Charles emmbl
US2848393A (en) 1955-11-08 1958-08-19 Hanson Van Winkle Munning Co Bright cadmium plating
US2894413A (en) 1955-12-13 1959-07-14 Schmid Leopold Frenz Steering wheel
GB796216A (en) 1955-12-19 1958-06-04 Air Preheater Pellet type heat exchanger
JP2872899B2 (ja) 1993-11-26 1999-03-24 株式会社オハラ 光学ガラス
JP4530618B2 (ja) * 2002-09-27 2010-08-2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ガラス組成物及びガラス基板
US7727917B2 (en) * 2003-10-24 2010-06-01 Schott Ag Lithia-alumina-silica containing glass compositions and glasses suitable for chemical tempering and articles made using the chemically tempered glass
CN1785872A (zh) * 2004-12-07 2006-06-14 刘明志 低膨胀透明黑色微晶玻璃及其制备方法
CN101454252A (zh) * 2006-05-25 2009-06-10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强化玻璃及其制造方法
EP2075237B1 (en) * 2006-10-10 2019-02-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Reinforced glass substrate
JP2008195602A (ja) * 2007-01-16 2008-08-2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強化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強化ガラス基板
US7666511B2 (en) * 2007-05-18 2010-02-23 Corning Incorporated Down-drawable,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for cover plate
CN101679105B (zh) * 2007-06-07 2015-06-17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强化玻璃基板及其制造方法
EP3392220A1 (en) * 2007-11-29 2018-10-24 Corning Incorporated Glasses having improved toughness and scratch resistance
EP3138822B1 (en) * 2008-02-26 2023-07-26 Corning Incorporated Fining agents for silicate glasses
CN101337770B (zh) 2008-08-18 2011-06-22 苏州新吴硝子科技有限公司 高强度铝硅酸盐玻璃及其化学钢化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2135A (en) 1969-07-10 1973-11-13 Asahi Glass Co Ltd Glass strengthened by ion exchang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2009057271A (ja) 2007-08-03 2009-03-1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強化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5724A9 (en) 2018-04-11
KR20120009454A (ko) 2012-02-01
CN101508524B (zh) 2010-06-30
WO2010111850A1 (zh) 2010-10-07
EP2415724A1 (en) 2012-02-08
JP5416273B2 (ja) 2014-02-12
EP2415724B1 (en) 2020-03-18
EP2415724A4 (en) 2015-08-19
JP2012521961A (ja) 2012-09-20
US20120015197A1 (en) 2012-01-19
CN101508524A (zh) 2009-08-19
US8828545B2 (en) 2014-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095B1 (ko) 화학강화에 적용되는 유리 및 화학강화유리
JP7327533B2 (ja) 化学強化用ガラス、化学強化ガラスおよび化学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
JP7136096B2 (ja) 化学強化ガラス、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学強化用ガラス
KR102292273B1 (ko) 화학 강화 유리 및 화학 강화용 유리
US9060435B2 (en) Glass plate for display device, plate glass for display devic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JP4888845B2 (ja) 強化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65854A (ko) 리튬-지르코늄계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강화유리, 이의 제조방법 및 표시장치
WO2011007785A1 (ja) ディスプレイ装置用ガラス板
WO2016104446A1 (ja) ガラス及び化学強化ガラス
US20230049035A1 (en) Cover glass
US9789665B2 (en) Alkali-aluminosilicate glass
JP7335557B2 (ja) 強化ガラス及び強化用ガラス
US20230060972A1 (en)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335541B2 (ja) 強化ガラス及び強化用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