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0845B1 -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 - Google Patents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845B1
KR101310845B1 KR1020110051053A KR20110051053A KR101310845B1 KR 101310845 B1 KR101310845 B1 KR 101310845B1 KR 1020110051053 A KR1020110051053 A KR 1020110051053A KR 20110051053 A KR20110051053 A KR 20110051053A KR 101310845 B1 KR101310845 B1 KR 101310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pillar
slab
filler
yoke be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2743A (ko
Inventor
안호중
Original Assignee
(주)에이원알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원알폼 filed Critical (주)에이원알폼
Priority to KR102011005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84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2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84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6Dropheads supporting the concrete after removal of th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on beams specially adapted for drop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러빔이 상단부에 구비된 서포터와, 상기 필러빔의 전후방에 배열되는 멍에빔과, 상기 필러빔과 상기 멍에빔을 연결하는 고정부재와, 상부에 콘트리트가 타설되는 슬래브폼과, 상기 필러빔과 멍에빔에 형성된 경사부와 걸림부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락방지수단이 멍에빔의 낙하 시 멍에빔이나 슬래브폼과, 필러빔이나 필러빔 상호간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부재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자재의 재활용성을 높이고, 또한 추락방지수단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 없이 기존의 필러빔이나 멍에빔에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빔의 제작비용이나 설계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STRUCTURE OF BEAM FOR DROP DOWN OF SLAB FORM}
본 발명은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슬래브거푸집의 해체 시, 서포터(Supporter)에 의해 지지되던 멍에빔을 드롭다운(Drop Down)시킨 후에 슬래브폼과 멍에빔을 각각 분리 해체하게 되는데, 이때 분리 해체되는 슬래브폼, 멍에빔이 시공현장의 바닥면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건축자재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추락방지수단이 도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수단은 멍에빔의 낙하(드롭다운 작업) 시에, 멍에빔이나 슬래브폼과, 필러빔이나 서포터(Supporter) 상호간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부재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건축자재의 재활용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수단은 기존의 필러빔이나 멍에빔에 추가 구성요소를 부가하는 것만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전용 멍에빔이나 필러빔을 따로 제작할 필요 없이 기존의 필러빔이나 멍에빔을 개량하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드롭다운용 빔의 제작비용이나 설계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에서 드롭빔, 미들빔, 서포트 등의 골조를 토대로 슬래브폼들을 설치하고, 그 상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며,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완료되면, 미들빔 및 슬래브폼들을 해체하게 된다.
이러한 슬래브 시공에 따른 골조 구조에 대한 기술로는, 미국특허 제5,643,487호 "BEAM AND PROP SYSTEM FOR SUPPORTING CONCRETE FORMWORK"가 제시되고,
상기 미국특허는 미들빔 및 슬래브폼들을 해체하게 될 때에 양생된 콘크리트면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자유 낙하하여 그대로 바닥면에 나뒹굴게 됨으로써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또한 바닥면과의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뿐만 아니라, 미들빔 및 슬래브폼들이 파손되어 재이용할 수 없게 되고, 이러한 요인에 의해 자재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6555호 "드롭헤드 서포트"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여 시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드롭헤드 서포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지지부와, 전후에 배열되는 멍에재가 삽입되는 상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나선공과, 상기 나선공에 체결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 저면에 위치하는 링형너트와, 서포트를 지지하기 위한 접지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어,
상하부 플레이트에 삽입된 멍에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플레이트 저면에 위치한 링형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멍에재를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링형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며, 또 상기 링형너트를 체결/해제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기(工期)가 증가하게 되고,
또 상기 링형너트를 체결/해제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됨으로 인하여 체결부위가 손상되고, 이러한 손상으로 인해 제기능을 기대할 수 없어 나선공, 링형너트 및 접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구성품을 폐기 처리해야 함을 물론, 새로이 제작함으로써 자재비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등록권리자 박종역에 의한 등록특허 제10-0985865호(2010.09.30. 등록) "해체 시공이 향상된 드롭헤드 기능을 갖는 서포터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드롭빔, 미들빔, 서포트 그리고 연결부재를 그대로 이용하여 드롭다운 기능을 가지도록 하고,
미들빔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서포트에 형성된 제2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탈지지부재가 낙하하는 미들빔이 연결된 연결부재를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쐐기 형태의 삽탈지지부재만으로 낙하하는 미들빔들의 무게를 지탱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또한 삽탈지지부재와 미들빔들이 연결된 연결부재의 충돌 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유동에 의하여 연결부재가 삽탈지지부재에 거치되지 않고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슬래브거푸집의 해체 작업 과정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건축자재(슬래브폼, 멍에빔)의 추락 파손이나 시공현장의 바닥면 손상 등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추락방지수단을 도입하되,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수단은 멍에빔의 낙하(드롭다운 작업) 시에, 멍에빔이나 슬래브폼과, 필러빔이나 서포터(Supporter) 상호간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부재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자재의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수단은 기존의 필러빔이나 멍에빔에 추가 구성요소를 부가하는 것만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므로, 별도로 제작할 필요 없어 드롭다운용 빔의 제작비용이나 설계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추락방지수단이 구조가 단순하고 샘플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멍에빔의 낙하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멍에빔이 필러빔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는 필러빔(11)이 상단부에 구비된 서포터(Supporter)(10)와; 상기 필러빔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에 배열되는 멍에빔(20)과; 상기 필러빔과 상기 멍에빔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부재(30)와; 상기 필러빔과 상기 멍에빔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슬래브폼(40)과; 및 상기 멍에빔의 각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필러빔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51)와, 상기 필러빔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멍에빔의 낙하 시 상기 걸림돌기가 안내되어 거치되는 지지체(53)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락방지수단의 지지체는 상기 필러빔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연결된 한 쌍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추락방지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체의 일측 가이드부 또는 양측 가이드부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분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홈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러빔의 양단부와 상기 각 멍에빔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거 시, 상기 멍에빔의 자유 낙하가 가능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경계사면은 상기 필러빔을 향해 하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경사부에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는 슬래브거푸집의 해체 시 분리 해체되는 슬래브폼, 멍에빔이나 시공현장의 바닥면 등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추락방지수단이 도입되되,
추락방지수단이 멍에빔의 드롭다운 작업 시에 멍에빔이나 슬래브폼과, 필러빔 상호간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부재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건축자재의 재활용성을 높이고,
또한 추락방지수단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 없이 기존의 필러빔이나 멍에빔에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빔의 제작비용이나 설계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추락방지수단이 구조가 단순하고 샘플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멍에빔의 낙하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멍에빔이 필러빔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빔 구조의 필러빔과 멍에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빔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빔 구조에서 드롭다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멍에빔을 필러빔에서 분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빔 구조에 슬래브폼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는
필러빔(11)이 상단부에 구비된 서포터(10)와; 상기 필러빔(11)의 길이방향으로 전후방에 배열되는 멍에빔(20)과; 상기 필럽러빔(11)과 상기 멍에빔(20)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부재(30)와; 상기 필러빔(11)과 상기 멍에빔(2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슬래브폼(40)과; 및 상기 멍에빔(20)의 각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필러빔(11)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51)와, 상기 필러빔(11)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51)가 삽입되고, 상기 멍에빔(20)의 낙하 시 상기 걸림돌기(51)가 안내되어 거치되는 지지체(53)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에서, 상기 서포터(Supporter)(10)는,
상단부에는 필러빔(11)이 구비되고, 필러빔의 하부에는 바닥면이 지지되는 지주(支柱)로 구성되는데, 상기 서포터(10)는 상기 필러빔(11)에 연결되는 멍에빔(20)과, 상기 필러빔(11)과 멍에빔(20)에 배열된 슬래브폼(40)으로 이루어진 거푸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서포터(10)는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해 다수 구비되고, 상기 서포터(10)의 상단부에는 상기 필러빔(11)이 연결되는데,
상기 서포터(10)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볼트(미도시)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필러빔(11)의 하면부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 삽입되는 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공의 상부로 돌출된 볼트에 너트(미도시)를 체결하여 상기 서포터(10)의 지주 상단에 필러빔(11)을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필러빔(11)은 양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중공(12)이 형성되고,
상기 필러빔(11)의 양측벽면 하부에는 제1 안치홈(1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고정부재(30)가 수용되며,
상기 필러빔(11)의 양측벽면 상부에는 제2 안치홈(14)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슬래브폼(40)이 안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에서, 상기 멍에빔(20)은
상기 필러빔(11)의 전후단에 연결되고, 양측면부에 슬래브폼(40)을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멍에빔(20)은 양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멍에빔(20)의 양측벽면 하부에는 상기 필러빔(11)의 제1 안치홈(13)과 이어지는 제1 안착홈(21)에 형성되어 고정부재(30)가 수용되며,
상기 멍에빔(20)의 양측벽면 상부에는 상기 필러빔(11)의 제2 안치홈(14)와 이어지는 제2 안착홈(23)이 형성되어 슬래브폼(40)이 안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안착홈(21)이 형성된 멍에빔(20)의 양측면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수용홀(2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홈(23)이 형성된 멍에빔(20)의 양측벽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수용홀(23a)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에서,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필러빔(11)과 멍에빔(20)을 연결하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일정한 길이로 갖도록 막대형상을 이루어져 상기 필러빔(11)의 제1 안치홈(13)과 상기 멍에빔(20)의 제1 안착홈(21)에 수용되는데,
상기 고정부재(30)에는 상기 멍에빔(20)의 제1 수용홀(21a)에 상응하도록 관통홀(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0)를 상기 필러빔(11)과 멍에빔(20)의 양측벽면(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필러빔(11)의 양측벽면과, 상기 필러빔(11)의 양단부에 인접한 각 멍에빔(20)의 단부 양측벽면의 일정 부분을 덧대어진 상태), 즉 상기 제1 안치홈(13)과 제1 안착홈(21)에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일측 방향에서 상기 멍에빔(20)의 제1 수용홀(21a)과 고정부재(30)의 관통홀(31)을 통하여 고정쐐기(33)를 삽입하게 되면 타측 방향의 제1 수용홀(21a)과 관통홀(31)을 통하여 고정쐐기(33)가 노출되고,
이때 고정쐐기(33) 단부에 형성된 고정홀(33a)에 고정핀(33b)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재(30)를 필러빔(11)과 멍에빔(20)에 고정시켜 필러빔(11)과 멍에빔(20)을 연결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기 고정부재(30)를 필러빔(11)과 멍에빔(20)에서 제거하게 되면, 상기 필러빔(11)은 서포터(10) 지주에 의해 그대로 슬래브를 지지하게 되는 반면, 상기 멍에빔(20)은 타설된 콘크리트에 부착되어 있어 이들을 떼거나, 또는 자중에 의하여 낙하를 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에서, 상기 슬래브폼(40)은
상기 필러빔(11)과 멍에빔(20)의 양측부에 다수 연결되어 천정 거푸집을 형성하여 그 상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슬래브폼(40)(또는 거푸집 패널)은 다양한 사이즈와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슬래브폼(40)에는 상기 멍에빔(20)의 제2 수용홀(23a)에 대응하는 홀들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쐐기나 고정핀을 이용하여 상기 필러빔(11)과 멍에빔(20)의 양측면에 고정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슬래브거푸집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래브폼(40)은 상기 고정부재(30)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멍에빔(20)과 함께 낙하한 후, 이들을 분리수거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에서, 상기 추락방지수단(50)은
상기 필러빔(11)과 멍에빔(20)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재(30)의 제거 시, 멍에빔(20)과 슬래브폼(40)이 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멍에빔(20)과 슬래브폼(40)이 그대로 구조물의 바닥면을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추락방지수단(50)은 상기 멍에빔(20)의 각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필러빔(11)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51)와,
상기 필러빔(11)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51)가 삽입되고, 상기 멍에빔(20)의 드롭다운 작업 시에, 상기 걸림돌기(51)가 안내되어 거치되는 지지체(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걸림돌기(51)는 상기 멍에빔(20)의 각 단부, 즉 상기 필러빔(11)의 양단부에 인접한 인접 단부에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51)는 상기 각 멍에빔(20)의 상부벽면 하면부에 용접이나 볼트체결 방식으로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체(53)는 상기 필러빔(11)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53a)와,
상기 가이드부(53a)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추락방지턱(5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필러빔(11)의 양단부와 상기 각 멍에빔(20)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30)의 제거 시, 상기 멍에빔(20)의 자유 낙하가 가능하도록 경사부(55)가 형성되고,
이때 상기 필러빔(11)에 형성된 경사부(55)가 제1 경사부(55a), 상기 각 멍에빔(20)에 형성된 경사부(55)가 제2 경사부(55b)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55)의 경계사면, 즉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55b)의 경계사면은 상기 서포터(10)를 향해 하부방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재(30)를 제거하는 경우 상기 필러빔(11)에서 상기 멍에빔(20)이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30)를 상기 필러빔(11)과 각 멍에빔(20)에서 제거하게 되면 상기 경사부(55)에 의하여 멍에빔(20)이 필러빔(11)에서 분리되어 하부방향으로 자유 낙하를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돌기(51)도 상기 지지체(53)의 가이드부(53a)를 따라 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51)는 상기 지지체(53)의 추락방지턱(53b)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멍에빔(20)과 슬래브폼(40)이 구조물의 바닥면으로 직접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각 멍에빔(20)과 슬래브폼(40)의 낙하 이동거리가 짧아 부재에 가해지는 충격이 종래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물보다 적어 부재에 손상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락방지수단(50)에 의하여 상기 각 멍에빔(20)과 슬래브폼(40)이 낙하하여 필러빔(11)으로부터 분리한 후에는 상기 추락방지수단(50)에서 상기 각 멍에빔(20)을 분리 및 해체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체(53)의 일측 가이드부(53a) 또는 양측 가이드부(53a)에는 상기 걸림돌기(51)를 분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홈(53c)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홈(53c)은 상기 가이드부(53a)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약, 상기 배출홈(53c)이 상기 가이드부(53a)의 하부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각 멍에빔(20)이 낙하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51)와 추락방지턱(53b)이 충돌을 하게 되고, 이 때 그 충돌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기(51)가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하부에 형성된 배출홈(53c)을 통하여 걸림돌기(51)가 이탈하여 멍에빔(20)이 추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멍에빔(20)이 낙하하면서 상기 걸림돌기(51)와 추락방지턱(53b)이 충돌하더라도 상기 가이드부(53a)가 걸림돌기(51)를 가이드하여 상기 걸림돌기(51)가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출홈(53c)은 상기 가이드부(53a)의 중간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멍에빔(2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홈(53c)을 상기 가이드부(53a)의 중간 부분 정도에 형성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51)가 배출홈(53c)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데,
다만 상기 배출홈(53c)을 상기 가이드부(53a)의 상부 부분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에는 상기 걸림돌기(51)를 분리 배출시키기 위해 멍에빔(20)을 상부까지 들어 올려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 배출홈(53c)에 상기 걸림돌기(51)를 분리 배출하는 방식은 상기 멍에빔(20)에 낙하여 상기 걸림돌기(51)가 상기 추락방지턱(53b)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멍에빔(20)의 일단부 측을 약간 들어 올려 상기 걸림돌기(51)를 상기 배출홈(53c)의 위치에 맞춘 후, 상기 멍에빔(20)을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출홈(53c)에 상기 걸림돌기(51)를 분리해내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배출홈(53c)은 상기 일측 가이드부(53a)에 형성되는 것보다, 양측 가이드부(53a)에 형성하여 어느 방향에서든지 상기 걸림돌기(51)를 배출홈(53c)에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에서 가장자리에는 수직지지대(3)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지지대(3)의 상단부에는 인코너(1)가 연결되어 상기 멍에빔(20)의 단부에 연결되는데,
이 경우 상기 인코너(1)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51)가 멍에빔(20) 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멍에빔(20)의 단부에는 상기 수용체(5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멍에빔(20)이 필러빔(11)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경우 상기 멍에빔(20)의 수용체(53)도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인코너(1)의 걸림돌기(51)가 상기 수용체(53)의 상단면 걸쳐지면 상기 멍에빔(20)이 인코너(1)의 걸림돌기(51)에 거치된다.
그리고 상기 멍에빔(20)을 분리해내는 작업은 상기 필러빔(11) 쪽에서 먼저 멍에빔(20)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멍에빔(20)을 필러빔(11)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용체(53)에서 상기 걸림돌기(51)를 빼내면 상기 멍에빔(20)은 완전히 분리 배출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인코너 3 : 수직지지대
10 : 서포터 11 : 필러빔
12 : 중공 13 : 제1 안치홈
14 : 제2 안치홈
20 : 멍에빔 21 : 제1 안착홈
21a : 제1 수용홀 23 : 제2 안착홈
23a : 제2 수용홀
30 : 고정부재 31 : 관통홀
33 : 고정쐐기 33a : 고정홀
33b : 고정핀
40 : 슬래브폼
50 : 추락방지수단 51 : 걸림돌기
53 : 지지체 53a : 가이드부
53b : 추락방지턱 53c : 배출홈
55 : 경사부 55a : 제1 경사부
55b : 제2 경사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필러빔(11)이 상단부에 구비된 서포터(10);
    상기 필러빔 전후방에 배열되는 멍에빔(20);
    상기 필러빔과 상기 멍에빔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고정부재(30);
    상기 필러빔과 상기 멍에빔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슬래브폼(40); 및
    상기 멍에빔(20)의 각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필러빔(11)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51)와,
    상기 필러빔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51)가 삽입되고, 상기 멍에빔을 드롭다운할 때, 상기 걸림돌기가 안내되어 거치되는 지지체(53)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수단(50);을 포함하는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로서,

    상기 추락방지수단의 지지체(53)는,
    상기 필러빔(11)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연결된 한 쌍의 가이드부(53a)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추락방지턱(53b)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의 일측 가이드부 또는 양측 가이드부에는 상기 걸림돌기(51)를 분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홈(53c)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 상기 멍에빔(20)을 낙하시키는 경우에 상기 멍에빔(20)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51)가 상기 필러빔(11)에 형성된 지지체(53)의 추락방지턱(53b)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빔(11)의 양단부와 상기 각 멍에빔(20)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거 시, 상기 멍에빔의 자유 낙하가 가능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경계사면은 상기 서포터를 향해 하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
KR1020110051053A 2011-05-30 2011-05-30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310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053A KR101310845B1 (ko) 2011-05-30 2011-05-30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053A KR101310845B1 (ko) 2011-05-30 2011-05-30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743A KR20120132743A (ko) 2012-12-10
KR101310845B1 true KR101310845B1 (ko) 2013-09-25

Family

ID=4751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0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0845B1 (ko) 2011-05-30 2011-05-30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6975A (zh) * 2014-02-28 2014-06-18 苏鸿飞 建筑模板的安装方法及所使用的铝模板连接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395B1 (ko) * 2013-12-30 2015-04-23 주식회사 주신산업개발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967A (ko) * 2003-09-24 2005-03-29 고려개발 주식회사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지지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슬라브 거푸집 시공방법
KR100985865B1 (ko) * 2008-06-17 2010-10-08 박종역 해체 시공성이 향상된 드롭헤드 기능을 갖는 서포터 및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967A (ko) * 2003-09-24 2005-03-29 고려개발 주식회사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지지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슬라브 거푸집 시공방법
KR100985865B1 (ko) * 2008-06-17 2010-10-08 박종역 해체 시공성이 향상된 드롭헤드 기능을 갖는 서포터 및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6975A (zh) * 2014-02-28 2014-06-18 苏鸿飞 建筑模板的安装方法及所使用的铝模板连接件
CN103866975B (zh) * 2014-02-28 2016-02-03 苏鸿飞 建筑模板的安装方法及所使用的铝模板连接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743A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865B1 (ko) 해체 시공성이 향상된 드롭헤드 기능을 갖는 서포터 및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US10590665B2 (en) Adjustable support device and shoring system
CN100434640C (zh) 混凝土板成型系统
CN113015833B (zh) Alphadeck-大面积平板模板系统
KR101776113B1 (ko)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US12291881B2 (en) Support head with quick release for formwork system
KR100893765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1310845B1 (ko) 슬래브거푸집의 드롭다운을 위한 빔 구조
KR20120037696A (ko) 헤드 분리형 드롭헤드를 이용한 슬래브 폼 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940859B1 (ko) 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슬림플로어
KR101180845B1 (ko) 슬래브 거푸집의 단계적 승하강을 위한 개량형 거푸집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217613B1 (ko) 데크 난간대
KR20160106879A (ko) 거푸집패널 조기 회수형 바닥 거푸집패널 지지장치
KR101819196B1 (ko) 거푸집 시스템
KR101278686B1 (ko) 슬래브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2042462B1 (ko) 가스스토퍼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하강장치
KR101653940B1 (ko) 드롭형 멍에빔을 갖는 거푸집시스템
KR101341864B1 (ko)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KR101673907B1 (ko) 건축물 슬라브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KR200442897Y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20180015821A (ko) 건축현장의 철근콘크리트 또는 철골 구조물 안전망 설치용 브라켓
KR20190111589A (ko) 슬라브 거푸집 드롭 다운 방지장치
KR20100120031A (ko) 갱폼 상승유도기 및 이의 사용방법
KR102758866B1 (ko) 슬라브 판넬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