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705B1 - 안경 및 이를 채용한 3d 영상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경 및 이를 채용한 3d 영상표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9705B1 KR101309705B1 KR1020100103055A KR20100103055A KR101309705B1 KR 101309705 B1 KR101309705 B1 KR 101309705B1 KR 1020100103055 A KR1020100103055 A KR 1020100103055A KR 20100103055 A KR20100103055 A KR 20100103055A KR 101309705 B1 KR101309705 B1 KR 1013097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image
- left eye
- right eye
- fatigu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01497 Ag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1636 Body Temperature Chang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93 eyeblin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661 fatigu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93 hol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3D 영상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3D 영상표시 시스템에서 3D 모드의 안경으로 영상을 시청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3D 영상표시 시스템에서 2D 모드의 안경으로 영상을 시청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3D 영상표시 시스템에 채용되는 안경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표시 시스템에 채용되는 안경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안경을 채용한 3D 영상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3D 영상표시 시스템에서 2D/3D 전환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표시 시스템에 채용되는 안경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안경을 채용한 3D 영상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3D 영상표시 시스템에서 주시 선택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표시 시스템에 채용되는 안경을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안경을 채용한 3D 영상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4은 도 13의 3D 영상표시 시스템에서 주시 선택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표시 시스템에 채용되는 안경을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의 안경을 채용한 3D 영상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영상표시 시스템에서 2D/3D 전환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표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9는 도 18의 3D 영상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1, 300, 400, 500, 600, 700...안경
200, 800... 3D 영상표시 장치
110L, 310L, 410L, 510L, 601L, 710L...좌안 셔터
110R, 310R, 410R, 510R, 601R, 710R...우안 셔터
120, 320, 420, 520, 620, 720...안경 프레임
130, 330, 431, 432, 530, 630, 730...스위치
140, 340, 440, 540, 640, 740...표시부
160, 360, 460, 560, 660, 760...셔터 구동부
170, 370, 470, 570, 670, 770...제어부
171, 371, 471, 571, 671, 771...3D/2D 전환부
180...무선 수신부
210, 810...화상 패널
270, 870...제어부
280, 880...무선 송신부
350, 550, 650, 830...센서부
373, 473, 850...피로도 판정부
475...주시 선택부
575, 875...주시 판정부
Claims (28)
-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교대로 표시되는 3D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영상이 가시되도록 하는 안경에 있어서,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
상기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를 구동하는 셔터 구동부;
2D 모드에서 3D 영상표시 장치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 어느 한 영상만 보이도록 상기 셔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좌안 주시 모드와 우안 주시 모드 중 어느 한 모드가 선택가능한 주시 선택부;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주시 센서부; 및
상기 주시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생체 정보로부터 착용자의 주시를 판정하는 주시 판정부;를 포함하는 안경.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3D 모드 및 2D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3D/2D 전환부를 구비하는 안경.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3D/2D 전환부에서 2D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는 3D 영상표시 장치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어느 한 영상에만 동기되어 상기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개폐하도록 상기 셔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안경.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3D/2D 전환부에서 3D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는 3D 영상표시 장치의 좌안 영상에 동기되어 상기 좌안 셔터를 개폐하고, 3D 영상표시 장치의 우안 영상에 동기되어 상기 우안 셔터를 개폐하도록 상기 셔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안경. - 제2 항에 있어서,
3D 모드 및 2D 모드 중 어느 모드에 있는지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 - 제2 항에 있어서,
3D 영상표시 장치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동기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셔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안경.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부는 3D 영상표시 장치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어느 한 영상에만 동기되어 상기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개폐하는 안경.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3D 영상표시 장치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안경. - 제2 항에 있어서,
3D 모드에서 착용자의 3D 시청 피로도를 감지하는 피로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도 감지부는,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피로도 센서부;와
상기 피로도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생체 정보로부터 피로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피로도와 기준값을 비교하는 피로도 판정부;를 포함하는 안경.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도 판정부에서 피로도가 기준값을 초과한다고 판정되면 착용자의 피로도를 표시하는 피로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도 판정부에서 피로도가 기준값을 초과한다고 판정되면 3D 모드에서 2D 모드로 전환시킬 것인지를 표시하는 전환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 - 제12 항에 있어서,
3D 모드와 2D 모드 사이에서 모드 전환시키는 전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안경.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3D/2D 전환부는 상기 피로도 판정부에서 피로도가 기준값을 초과한다고 판정되면 자동적으로 3D 모드에서 2D 모드로 전환시키는 안경.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안 주시 모드에서 3D 영상표시 장치의 좌안 영상에만 동기되어 상기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개폐하도록 셔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우안 주시 모드에서 3D 영상표시 장치의 우안 영상에만 동기되어 상기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를 동시에 개폐하도록 셔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안경.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주시 모드와 상기 우안 주시 모드 중 중 어느 한 모드를 수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안경. - 제17 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피로도 센서부;와
상기 피로도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생체 정보로부터 피로도를 연산하는 피로도 연산부와;
상기 피로도 연산부에서 연산된 피로도와 기준값을 비교하는 피로도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시 판정부는, 3D 영상표시 장치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어느 한 영상에만 동기되어 좌안 셔터를 온시키고 우안 셔터를 오프시키면서 사용자의 좌안의 주시여부를 판정하는 좌안 테스트 모드와, 3D 영상표시 장치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어느 한 영상에만 동기되어 좌안 셔터를 오프시키고 우안 셔터를 온시키면서 사용자의 우안의 주시여부를 판정하는 우안 테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안경. -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테스트 모드와 상기 우안 테스트 모드를 표시하는 주시 모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시 판정부에서 판정된 착용자의 주시에 따라 상기 좌안 주시 모드와 상기 우안 주시 모드 중 어느 한 모드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되는 안경. - 제1 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피로도 센서부;와
상기 피로도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생체 정보로부터 피로도를 연산하는 피로도 연산부와;
상기 피로도 연산부에서 연산된 피로도와 기준값을 비교하는 피로도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 -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도 센서부는 상기 주시 센서부와 겸용으로 사용되는 안경. -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교대로 표시되는 3D 영상표시 장치; 및
상기 3D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영상이 가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 항 내지 제14항, 제16항 내지 제18항, 및 제20항 내지 제2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경;을 포함하는 3D 영상표시 시스템. -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교대로 표시되는 3D 영상표시 장치; 및
상기 3D 영상표시 장치로부터 영상이 가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와, 상기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를 구동하는 셔터 구동부와, 2D 모드에서 3D 영상표시 장치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 어느 한 영상만 보이도록 상기 셔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경;을 포함하며,
상기 3D 영상표시 장치는 시청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3D 영상표시 장치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생체 정보로부터 착용자의 주시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시 판정부에서 판정된 착용자의 주시에 따라 상기 좌안 주시 모드와 상기 우안 주시 모드 중 어느 한 모드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되는 3D 영상표시 시스템. -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표시 장치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생체 정보로부터 피로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피로도와 기준값을 비교하는 피로도 판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로도 판정부에서 피로도가 기준값을 초과한다고 판정되면 3D 모드에서 2D 모드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시키는 3D 영상표시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3055A KR101309705B1 (ko) | 2010-10-21 | 2010-10-21 | 안경 및 이를 채용한 3d 영상표시 시스템 |
US13/277,281 US20120099195A1 (en) | 2010-10-21 | 2011-10-20 | Eyewear,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of allowing viewing of im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3055A KR101309705B1 (ko) | 2010-10-21 | 2010-10-21 | 안경 및 이를 채용한 3d 영상표시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1556A KR20120041556A (ko) | 2012-05-02 |
KR101309705B1 true KR101309705B1 (ko) | 2013-09-17 |
Family
ID=45972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3055A Active KR101309705B1 (ko) | 2010-10-21 | 2010-10-21 | 안경 및 이를 채용한 3d 영상표시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099195A1 (ko) |
KR (1) | KR10130970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3576B1 (ko) * | 2011-09-22 | 2013-02-19 | 케이디씨 주식회사 | 2d 또는 3d 전환용 셔터 안경 |
KR20140007708A (ko) * | 2012-07-10 | 2014-0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안경장치 |
US9117120B2 (en) * | 2013-05-24 | 2015-08-25 | Honda Motor Co., Ltd. | Field of vision capture |
KR20160017854A (ko) * | 2014-08-06 | 2016-02-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의 블링크 장치 및 블링크 유도 방법 |
US9699436B2 (en) | 2014-09-16 | 2017-07-04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Display with eye-discomfort reduction |
JP7413758B2 (ja) * | 2019-12-19 | 2024-01-16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USD968401S1 (en) | 2020-06-17 | 2022-11-01 | Focus Labs, LLC | Device for event-triggered eye occlusion |
EP4167019A4 (en) * | 2020-09-03 | 2023-12-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changing settings of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5808A (ja) * | 1998-06-04 | 1999-12-24 | Olympus Optical Co Ltd | 映像システム |
JP2002010300A (ja) * | 2000-06-26 | 2002-01-11 | Katsunori Okajima | 多人数対応複数視点映像表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21989A (en) * | 1990-06-11 | 1998-10-13 | Vrex, Inc. | Stereoscopic 3-D viewing system and glasses having electrooptical shutters controlled by control signals produced using horizontal pulse detection withi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pulse period of computer generated video signals |
AU785226B2 (en) * | 2001-09-25 | 2006-11-16 | United States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schizophrenia and schizophrenia subtype |
US8094927B2 (en) * | 2004-02-27 | 2012-01-10 | Eastman Kodak Company | Stereoscopic display system with flexible rendering of disparity map according to the stereoscopic fusing capability of the observer |
-
2010
- 2010-10-21 KR KR1020100103055A patent/KR101309705B1/ko active Active
-
2011
- 2011-10-20 US US13/277,281 patent/US20120099195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5808A (ja) * | 1998-06-04 | 1999-12-24 | Olympus Optical Co Ltd | 映像システム |
JP2002010300A (ja) * | 2000-06-26 | 2002-01-11 | Katsunori Okajima | 多人数対応複数視点映像表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099195A1 (en) | 2012-04-26 |
KR20120041556A (ko) | 2012-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9705B1 (ko) | 안경 및 이를 채용한 3d 영상표시 시스템 | |
JP5404246B2 (ja) | 3次元映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US8203599B2 (en) |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detected eye information | |
US8596792B2 (en) | Optotype presenting apparatus | |
US20100085424A1 (en) | Switchable 2-d/3-d display system | |
TW201143369A (en) | Glasses for viewing stereo images | |
US20120127572A1 (en) |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 |
KR102237238B1 (ko) | 융합기능 개선을 위한 시력훈련장치 | |
WO2012160745A1 (ja) | 立体映像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 | |
US912488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 |
EP2532168B1 (en) | Stereoscopic display system based on glasses using photochromatic lenses | |
JP5474530B2 (ja) | 立体画像表示装置 | |
US20120120051A1 (en) |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 |
JP2013024910A (ja) | 観察用光学機器 | |
KR20120059947A (ko) | 3차원 안경 및 이에 적용되는 3차원 안경 제어방법 | |
KR20120040947A (ko) |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3차원 영상 처리방법 | |
JP2012244466A (ja) | 立体画像処理装置 | |
KR101638959B1 (ko) | 출력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 | |
KR20110136326A (ko) | 삼차원 입체안경의 수평각 정보를 반영한 삼차원 스테레오스코픽 렌더링 시스템 | |
WO2013042392A1 (ja) | 立体画像評価装置 | |
US20120081523A1 (en) | 2d/3d compatible display system which automatically switches operational modes | |
KR101274325B1 (ko) | 다시점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 |
JPH07140415A (ja) | 映像表示装置 | |
KR101979196B1 (ko)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WO201410115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an im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0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