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947A - 3차원 안경 및 이에 적용되는 3차원 안경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안경 및 이에 적용되는 3차원 안경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9947A KR20120059947A KR1020100121464A KR20100121464A KR20120059947A KR 20120059947 A KR20120059947 A KR 20120059947A KR 1020100121464 A KR1020100121464 A KR 1020100121464A KR 20100121464 A KR20100121464 A KR 20100121464A KR 20120059947 A KR20120059947 A KR 201200599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ss
- unit
- image
- left eye
- right ey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3차원 안경이 개시된다. 3차원 안경은,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포함하는 글래스부, 글래스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3D 또는 2D 시청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부 및 모드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글래스부의 개폐 여부 또는 회전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3차원 안경 및 이에 적용되는 3차원 안경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되는 3차원 안경 및 이에 적용되는 3차원 안경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입체 영상 기술은 정보통신, 방송, 의료, 교육 훈련, 군사, 게임,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CAD, 산업 기술 등 그 응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여러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차세대 3차원 입체 멀티미디어 정보 통신의 핵심 기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지각하는 입체감은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의 위치에 따른 수정체의 두께 변화 정도, 양쪽 눈과 대상물과의 각도 차이, 그리고 좌우 눈에 보이는 대상물의 위치 및 형태의 차이, 대상물의 운동에 따라 생기는 시차, 그 밖에 각종 심리 및 기억에 의한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긴다.
그 중에서도 사람의 두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7㎝가량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양안 시차에 의해 대상물에 대한 각도 차이를 가지고 바라보게 되고, 이 차이로 인해 각각의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상을 갖게 되며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 두 개의 정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의 3차원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특수안경을 사용하는 안경식과 특수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비안경식으로 구분된다. 안경식은 상호 보색 관계에 있는 색 필터를 이용해 영상을 분리 선택하는 색필터 방식, 직교한 편광 소자의 조합에 의한 차광 효과를 이용해서 좌안과 우안의 영상을 분리하는 편광필터 방식 및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좌안과 우안을 교번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셔터 글래스 방식이 존재한다.
이 중 셔터 글래스 방식은 양쪽 눈의 시차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과 3차원 안경 좌우 양안의 온-오프를 동기화하여, 각각 다른 각도에서 관찰된 영상이 두뇌작용으로 인한 공간감을 인식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즉, 사용자는 3D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3차원 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하지만, 통상 영화나 드라마 또는 스포츠 중계와 같은 동영상 시청 활동을 댁내 거실과 같은 공간에서 2인 이상이 공유하는 형태로 발생한다. 이 경우 한 사람은 3D 시청을 지속하기를 원하고 다른 한 사람은 3D에 의한 시각적인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 현재의 3D 시청 환경에서는 각각의 시청자가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 출력 모드를 개인적으로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나라면 댁내 모든 시청자들은 3D 또는 2D 중 하나의 비디오 출력 모드를 선택하여 전원을 공유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D 또는 3D 시청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3차원 안경 및 이에 적용되는 3차원 안경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3차원 안경은,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포함하는 글래스부, 상기 글래스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3D 또는 2D 시청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부 및, 상기 모드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글래스부의 개폐 여부 또는 회전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3차원 안경은, 셔터 글래스 타입 또는 편광 글래스 타입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안경이 셔터 글래스 타입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2D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우안 영상 또는 좌안 영상이 차단되도록 상기 우안 글래스 및 좌안 글래스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안경이 편광 글래스 타입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2D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우안 영상 또는 좌안 영상이 차단되도록 상기 우안 글래스 또는 좌안 글래스를 회전시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안 글래스 또는 좌안 글래스를 90도 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에 대한 상기 3차원 안경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3차원 안경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설정부는, 사용자 명령 또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2D 시청 모드로 설정하여 디폴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3차원 안경의 제어 방법은,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포함하는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3D 또는 2D 시청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글래스부의 개폐 여부 또는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3차원 안경은, 셔터 글래스 타입 또는 편광 글래스 타입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안경이 셔터 글래스 타입인 경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2D 시청 모드로 설정되면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우안 영상 또는 좌안 영상이 차단되도록 상기 우안 글래스 및 좌안 글래스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안경이 편광 글래스 타입인 경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2D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우안 영상 또는 좌안 영상이 차단되도록 상기 우안 글래스 또는 좌안 글래스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우안 글래스 또는 좌안 글래스를 90도 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에 대한 상기 3차원 안경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센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산출된 상기 3차원 안경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는 사용자 명령 또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2D 시청 모드로 설정하여 디폴트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서 복수의 시청자가 각각 자신이 원하는 시청 모드를 선택해서 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3D 안경(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2D 시청 모드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안경의 시청 모드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안경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3D 안경(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2D 시청 모드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안경의 시청 모드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안경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3D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3D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3D 안경(200)으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2D 영상 및 3D 영상을 모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D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차원 모니터, 3차원 영상 프로젝터 등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기존의 2D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로부터 수신된 3D 영상 또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방송국에서 편집/가공된 후 방송국에서 송출된 3D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한 후 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D 영상의 포맷을 참조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가공하고, 가공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시분할되어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3D 안경(200)는 액티브 타입의 셔터 글래스(shutter glass) 또는 패시브 타입의 편광 글래스로 구현될 수 있다. 셔터 글래스 방식은 양쪽 눈의 시차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과 3차원 안경 좌우 양안의 온-오프를 동기화하여, 각각 다른 각도에서 관찰된 영상이 두뇌작용으로 인한 공간감을 인식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셔터 글래스 방식의 원리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좌?우 영상 프레임과 3D 안경(200)에 장착된 셔터를 동기화하는 방식이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우 영상 신호에 따라 안경의 좌?우측 글래스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면서 3D 입체 영상이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편광 글래스 방식의 원리는 패시브 타입은 편광렌즈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좌?우 영상을 따로 받아들여 이를 뇌가 조합해 입체영상을 인식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은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미도시)는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촬영 장치의 일종으로서, 사용자의 좌안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사용자의 우안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촬영된 우안 영상을 생성한다. 즉, 3D 영상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교번적으로 제공되면서, 양안 시차에 의한 입체감이 발생되게 된다.
이를 위해, 카메라(미도시)는 좌안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좌안 카메라와 우안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우안 카메라로 구성되고, 좌안 카메라와 우안 카메라 간의 간격은, 사람의 두 눈 간의 이격 간격으로부터 고려되게 된다.
카메라(미도시)는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달한다. 특히, 카메라(미도시)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달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하나의 영상만으로 구성된 포맷으로 전달되거나,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되도록 구성된 포맷으로 전달될 수 있다.
카메라(미도시)는 다양한 3D 영상의 포맷들 중 하나의 포맷을 미리 결정하고, 결정된 포맷에 따라 3D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입체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10), 영상 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40), OSD 처리부(150), 저장부(1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 및 동기 신호 처리부(180)를 포함한다.
영상 수신부(11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2D 또는 3D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또한, 영상 수신부(110)는 카메라 등의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기기로부터 3D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외부기기는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S-Video, 컴포넌트, 컴포지트, D-Sub, DVI, HDMI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2D 영상 처리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에서는 3D 영상 처리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3D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으로서,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포함되거나 각 프레임이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으로 구성된 영상을 의미한다. 즉, 3D 영상은, 다양한 3D 포맷들 중 하나에 따라 생성된 영상이다.
따라서, 영상 수신부(110)로 수신되는 3D 영상은 다양한 포맷으로 될 수 있으며, 특히, 일반적인 탑-바톰(top-bottom) 방식,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방식, 수평 인터리브(horizontal interleave) 방식, 수직 인터리브(vertical interleave) 방식 또는 체커보드(checker board) 방식, 시퀀셜 프레임(sequential frame) 중 하나에 따른 포맷으로 될 수 있다.
영상 수신부(110)는 수신된 2D 영상 또는 3D 영상을 영상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수신부(110)로 수신된 2D 영상 또는 3D 영상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포맷 분석, 비디오 스케일링 등의 신호처리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 부가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특히,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수신부(110)로 입력된 2D 영상 또는 3D 영상의 포맷을 이용하여, 한 화면의 크기(예를 들어, 1920*1080)에 해당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생성한다.
예를 들어, 3D 영상의 포맷이 탑-바톰(top-bottom) 방식,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방식, 수평 인터리브(horizontal interleave) 방식, 수직 인터리브(vertical interleave) 방식 또는 체커보드(checker board) 방식, 시퀀셜 프레임(sequential frame)에 따른 포맷일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각 영상 프레임에서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을 각각 추출하여, 추출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확대 스케일링 또는 보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생성하게 된다.
또한, 3D 영상의 포맷이 일반적인 프레임 시퀀스 방식일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각 프레임에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한편,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는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가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3D 영상을 분석하여 포맷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게 된다. 반면,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가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포맷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거나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게 된다.
영상 처리부(120)는 추출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분할하여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로 전달한다. 즉, 영상 처리부(120)는 '좌안 영상(L1) -> 우안 영상(R1) -> 좌안 영상(L2) -> 우안 영상(R2) -> …'의 시간적 순서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0)로 전달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20)는 OSD 처리부(150)에서 생성된 OSD 영상을 블랙 영상에 삽입하여 처리하거나, 그 자체를 하나의 영상으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 또는 기설정된 옵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영상 수신부(110) 및 영상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3D 영상이 수신되고, 수신된 3D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각각이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크기로 스케일링 또는 보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의 편광 방향이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에 일치되게 스위칭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후술하는 OSD 처리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처리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는 2D 또는 3D 영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 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OSD 메시지는 2D 또는 3D 영상이 될 수 있다.
OSD 화면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경고 문구, 메뉴 화면, 시간이나 채널번호 등의 문자나 도형 등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영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옵션 또는 이벤트에 따라 경고 문구가 OSD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메뉴들로부터 선택하기 위해 조작 패널이나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입력 장치들을 조작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메인 메뉴, 서브 메뉴 등이 OSD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메뉴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선택할 수 있는 옵션 항목들을 포함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조정할 수 있는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처리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OSD 화면의 2D/3D, 투명도, 색상, 크기, 형태 및 위치 조정, 하이라이트, 애니메이션 효과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옵션(또는 기설정된 이벤트) 또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에서 3D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면, OSD 처리부(140)에서 생성된 기설정된 타입의 OSD 영상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D 방송 중임을 알리는 문구가 포함된 OSD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입체영상표시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장부는 제어부(140)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 제어부(140)의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는 리모콘, 입력 패널 등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저장부(160)는 입체영상표시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장부는 제어부(140)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 제어부(140)의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는 리모콘, 입력 패널 등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동기 신호 처리부(180)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맞추어 3D 안경(200)(예를 들어, 셔터 글래스 방식인 경우)의 좌안 셔터 글래스 및 우안 셔터 글래스를 교번적으로 개방시키도록 하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3D 안경(200)으로 전송한다. 이는, 3D 안경(200)이 교번적으로 개폐되어, 3D 안경(200)의 좌안 오픈 타이밍에 디스플레이부(130)에서 좌안 영상이 표시되고, 3D 안경(200)의 우안 오픈 타이밍에 영상 출력(130)에서 우안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동기 신호는 적외선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체영상표시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영상 수신부(110) 및 영상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3D 영상이 수신되고, 수신된 3D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각각이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크기로 스케일링 또는 보간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OSD 처리부(150)를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OSD가 생성되도록 하며, 동기 신호 처리부(180)를 제어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출력 타이밍과 동기된 동기신호가 생성 및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3D 안경 착용 시에 OSD 메시지가 인식되지 않고, 미착용 시에 OSD 메시지가 인식되도록,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의 디스플레이 타이밍 사이에 OSD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3D 안경(200)은 입체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에 따라 좌안 셔터 글래스와 우안 셔터 글래스를 교번적으로 개폐하여, 사용자가 좌안과 우안을 통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각각 시청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30)는 패널 구동부(미도시), 표시 패널부(미도시), 백라이트 구동부(미도시), 및 백라이트 발광부(미도시) 등의 세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3D 안경(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안경(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에 따르면, 3D 안경(200)은 IR 수신부(210), 제어부(220), 구동부(230), 및 글래스부(240)를 구비한다.
IR 수신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TV(100)의 동기 신호 처리부(180)로부터 3D 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한다. 특히, 동기 신호 처리부(180)는 직진성을 가진 적외선을 이용하여 동기신호를 방사하고, IR 수신부(210)는 방사된 적외선으로부터 동기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동기 신호 처리부(180)에서 IR 수신부(210)로 전달되는 동기신호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하이 레벨(high level)과 로우 레벨(low level)이 교번된 신호일 수 있고, 하이 레벨인 시간에서는 좌안 영상이 전송되고 로우 레벨인 시간에서는 우안 영상이 전송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IR 수신부(210)는 동기 신호 처리부(180)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를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제어부(220)는 3D 안경(200)의 전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20)는 IR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구동부(230)로 전달하여 구동부(230)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20)는 동기신호를 기초로, 글래스부(24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가 구동부(230)에서 생성되도록 구동부(230)를 제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30)는 셔터 구동부(232) 및 회전 구동부(234)를 포함한다. 셔터 구동부(232)는 글래스부(240)의 셔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이고, 회전 구동부(234)는 글래스부(240)의 글래스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이다.
셔터 구동부(232)는 제어부(22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셔터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후술할 글래스부(240)는 좌안 셔터 글래스(242) 및 우안 셔터 글래스(244)로 구성되기 때문에, 셔터 구동부(232)는 좌안 셔터 글래스(242)의 셔터를 구동하기 위한 좌안 셔터 구동신호와 우안 셔터 글래스(244)의 셔터를 구동하기 위한 우안 셔터 구동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좌안 셔터 구동신호를 좌안 셔터 글래스(242)로 전달하며 우안 셔터 구동신호를 우안 셔터 글래스(244)로 전달한다.
회전 구동부(234)는 제어부(220)로부터 수신된 회전 제어신호를 기초로 회전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회전 제어신호는 회전 각 정보 및 회전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 글래스부(240)는 좌안 셔터 글래스(242) 및 우안 셔터 글래스(244)로 구성되기 때문에, 회전 구동부(234)는 좌안 셔터 글래스(242)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좌안 회전 구동신호와 우안 셔터 글래스(244)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우안 회전 구동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좌안 회전 구동신호를 좌안 셔터 글래스(242)로 전달하며 우안 회전 구동신호를 우안 셔터 글래스(244)로 전달한다.
글래스부(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좌안 셔터 글래스(242) 및 우안 셔터 글래스(244)로 구성된다. 또한, 글래스부(240)는 셔터 구동부(232)로부터 수신된 셔터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의 글래스를 개폐하고, 회전 구동부(234)로부터 수신된 회전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의 글래스를 회전시킨다.
좌안 셔터 글래스(242) 및 우안 셔터 글래스(244)의 셔터는 액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글래스부(240)는 좌안 셔터 글래스(242) 및 우안 셔터 글래스(244)의 액정을 이용하여 셔터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모드 설정부(250)는 글래스부(240)의 동작 모드를 3D 또는 2D 시청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드 설정부(250)는 입력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글래스부(240)의 동작 모드를 3D 또는 2D 시청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모드 설정부(250)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글래스부(240)의 개폐 여부 또는 회전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동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글래스부(240)의 동작 모드가 2D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우안 영상 또는 좌안 영상이 차단되도록 상기 우안 글래스 및 좌안 글래스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3D 안경(200)은 셔터 글래스 타입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 기반의 2D 시청 모드일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좌안용 영상이 표시될 때 우안 글래스 및 좌안 글래스를 동시에 개방시키고, 우안용 영상이 표시될 때 우안 글래스 및 좌안 글래스를 동시에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우안 기반의 2D 시청 모드일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좌안용 영상이 표시될 때 우안 글래스 및 좌안 글래스를 동시에 폐쇄시키고, 우안용 영상이 표시될 때 우안 글래스 및 좌안 글래스를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글래스부(240)의 동작 모드가 2D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우안 영상 또는 좌안 영상이 차단되도록 우안 글래스 또는 좌안 글래스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3D 안경(200)은 편광 글래스 타입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안용 렌즈를 90도 회전시켜 우안용 영상이 완전히 차단되고, 좌안용 영상이 좌우 시각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좌안용 렌즈를 90도 회전시켜 좌안용 영상이 완전히 차단되고, 우안용 영상이 좌우 시각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또는, 편광 글래스 타입의 3D 안경을 설계할 때 좌안 및 우안 렌즈가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장착하여 2D 시청 모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3D 안경은 글래스부(240)의 동작 모드를 2D 시청 모드로 설정하여 디폴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자세와 관계없이 항상 2D 시청 모드로 글래스부(24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기타, 3D 안경(200)은 3차원 안경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미도시)의 전원 상태는 제어부(2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230)가 셔터 구동부(232) 및 회전 구동부(234)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구동부(230)는 셔터 구동부(232) 및 회전 구동부(234) 중 하나만 구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안경(200)이 셔터 글래스 타입인 경우 셔터 구동부(232)를 포함하고, 편광 글래스 타입인 경우 회전 구동부(234)를 구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D 안경(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b에 따르면, 3D 안경(200)은 IR 수신부(210), 제어부(220), 구동부(230), 글래스부(240), 모드 설정부(250), 입력부(260) 및 센싱부(270)를 구비한다. 도 3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3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중복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입력부(260)는 글래스부(240)의 시청 모드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260)는 버튼 형태, 스위치 형태 등으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이를 조작하여 글래스부(240)의 시청 모드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센싱부(270)는 중력 방향에 대한 3차원 안경(200')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센싱부(270)에 의해 산출된 3차원 안경(200')의 기울기에 따라 글래스부(220)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70)는 중력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중력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자세가 바로 서 있는지, 옆으로 누워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270)는 중력 방향에 대한 3차원 안경(200)의 기울기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중력 방향에 대한 3차원 안경(200)의 기울기가 특정 범위 이내인 경우 글래스부(220)의 동작 모드를 3D 시청 모드로 제어하고, 중력 방향에 대한 3차원 안경(200)의 기울기가 특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글래스부(220)의 동작 모드를 2D 시청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중력 방향에 대한 3차원 안경(200)의 기울기가 특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사용자가 누워 있다고 판단하고, 글래스부(220)의 동작 모드를 2D 시청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중력 방향에 대한 3차원 안경(200)의 기울기가 특정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 있다가 바로 섰다고 판단하고, 글래스부(220)의 동작 모드를 2D 시청 모드에서 3D 시청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260)는 글래스부(240)의 동작 모드를 2D 시청 모드로 설정하여 디폴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자세와 관계없이 항상 글래스부(240)가 2D 시청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2D 시청 모드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는 셔터 글래스 방식에 있어 좌안 영상 기반의 2D 시청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따르면, 우안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3D 안경의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모두 폐쇄시키고, 좌안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3D 안경의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모두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3D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 3D 안경을 제어하여 2D 시청 모드로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4b는 셔터 글래스 방식에 있어 우안 영상 기반의 2D 시청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에 따르면, 우안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3D 안경의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모두 개방시키고, 좌안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3D 안경의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모두 폐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3D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 3D 안경 자체를 제어하여 2D 시청 모드로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패시브 타입의 편광 글래스의 경우 좌안 글래스 또는 우안 글래스를 90도 회전시킴으로써 2D 시청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안 글래스를 90도 회전시킬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안 영상이 완전히 차단되고, 좌안 영상이 좌안 및 우안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좌안 글래스는 90도 회전시킬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이 완전히 차단되고, 좌안 영상이 좌안 및 우안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3D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 3D 안경 자체를 제어하여 2D 시청 모드로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안경의 시청 모드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안경의 기울기와 중력 방향이 동일한 경우 사용자의 자세가 바로 서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3D 시청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안경의 기울기와 중력 방향이 180도 차이가 나는 경우나, 90도 차이가 나는 경우 등에는 사용자가 누워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3D 안경의 모드를 2D 시청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특정 각도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할 수 있는 각도는 당업자의 수준에서 자명하게 설계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안경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3차원 안경의 제어 방법은, 우선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포함하는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3D 또는 2D 시청 모드로 설정한다(S610). 이 경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사용자 명령 또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글래스부의 개폐 여부 또는 회전 방향을 제어한다(S620).
여기서, 3차원 안경은, 셔터 글래스 타입 또는 편광 글래스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3차원 안경이 셔터 글래스 타입인 경우, 제어 단계(S620)는,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2D 시청 모드로 설정되면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우안 영상 또는 좌안 영상이 차단되도록 우안 글래스 및 좌안 글래스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안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3D 안경의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모두 폐쇄시키고, 좌안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3D 안경의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모두 개방시킬 수 있다.
또는, 우안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3D 안경의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모두 개방시키고, 좌안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3D 안경의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모두 폐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3D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 3D 안경 자체를 제어하여 2D 시청 모드로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3차원 안경이 편광 글래스 타입인 경우, 제어 단계(S620)는,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2D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우안 영상 또는 좌안 영상이 차단되도록 우안 글래스 또는 좌안 글래스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우안 글래스 또는 좌안 글래스를 90도 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안 글래스를 90도 회전시킬 경우 우안 영상이 완전히 차단되고, 좌안 영상이 좌안 및 우안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좌안 글래스는 90도 회전시킬 경우 좌안 영상이 완전히 차단되고, 좌안 영상이 좌안 및 우안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3D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 3D 안경 자체를 제어하여 2D 시청 모드로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력 방향에 대한 상기 3차원 안경의 기울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3차원 안경의 기울기에 따라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력 방향에 대한 3차원 안경의 기울기가 특정 범위 이내인 경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3D 시청 모드로 제어하고, 중력 방향에 대한 3차원 안경의 기울기가 특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2D 시청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2D 시청 모드로 설정하여 디폴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명령에 따라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2명 이상의 시청자가 하나의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유하고 있는 댁내 시청 환경에서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적합한 시청 모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한 명은 바른 자세로 서거나 앉아서 3D 영상을 감상 중이고, 나머지 한 명은 소파 또는 방바닥에 누워서 머리를 옆으로 하고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응시하고 있는 경우 누워있는 사람은 3D 효과를 느낄 수가 없게 된다. 옆으로 누워 있는 사람에게 3D 효과를 느끼세 하기 위해서는 세로 방향으로의 양안 시차를 가지는 영상 소스를 취득해야 하며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시해 줘야 하는데 현재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3D 영상 소스는 전부 가로축을 기준으로 2시점에서 취득한 동영상 시퀀스에 기반한 3D 효과이므로 가까운 미래에 옆으로 누워있는 시청자에게 3D 효과를 제공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누워있는 시청자에게는 3D 영상이 2D 영상으로 보이도록 3D 안경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서 복수의 시청자가 각각 자신이 원하는 시청 모드를 선택해서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영상 수신부 120: 영상 처리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제어부
150: OSD 처리부 160: 저장부
17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80: 동기 신호 처리부
210: IR 수신부 220: 제어부
230: 구동부 240: 글래스부
250: 모드 설정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제어부
150: OSD 처리부 160: 저장부
17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80: 동기 신호 처리부
210: IR 수신부 220: 제어부
230: 구동부 240: 글래스부
250: 모드 설정부
Claims (16)
-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3차원 안경에 있어서,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포함하는 글래스부;
상기 글래스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3D 또는 2D 시청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부; 및
상기 모드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글래스부의 개폐 여부 또는 회전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3차원 안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안경은,
셔터 글래스 타입 또는 편광 글래스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안경이 셔터 글래스 타입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2D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우안 영상 또는 좌안 영상이 차단되도록 상기 우안 글래스 및 좌안 글래스를 동시에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안경이 편광 글래스 타입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2D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우안 영상 또는 좌안 영상이 차단되도록 상기 우안 글래스 또는 좌안 글래스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안 글래스 또는 좌안 글래스를 90도 만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 - 제1항에 있어서,
중력 방향에 대한 상기 3차원 안경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3차원 안경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부는,
사용자 명령 또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2D 시청 모드로 설정하여 디폴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 -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3차원 안경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를 포함하는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3D 또는 2D 시청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글래스부의 개폐 여부 또는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안경의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안경은,
셔터 글래스 타입 또는 편광 글래스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의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안경이 셔터 글래스 타입인 경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2D 시청 모드로 설정되면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우안 영상 또는 좌안 영상이 차단되도록 상기 우안 글래스 및 좌안 글래스를 동시에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의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안경이 편광 글래스 타입인 경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상기 2D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
3차원 영상을 구성하는 우안 영상 또는 좌안 영상이 차단되도록 상기 우안 글래스 또는 좌안 글래스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의 제어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우안 글래스 또는 좌안 글래스를 90도 만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의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중력 방향에 대한 상기 3차원 안경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센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산출된 상기 3차원 안경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의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는 사용자 명령 또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 -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글래스부의 동작 모드를 2D 시청 모드로 설정하여 디폴트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안경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1464A KR20120059947A (ko) | 2010-12-01 | 2010-12-01 | 3차원 안경 및 이에 적용되는 3차원 안경 제어방법 |
EP20110181141 EP2461596A1 (en) | 2010-12-01 | 2011-09-13 |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3/283,109 US20120140050A1 (en) | 2010-12-01 | 2011-10-27 |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1464A KR20120059947A (ko) | 2010-12-01 | 2010-12-01 | 3차원 안경 및 이에 적용되는 3차원 안경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9947A true KR20120059947A (ko) | 2012-06-11 |
Family
ID=4494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1464A Withdrawn KR20120059947A (ko) | 2010-12-01 | 2010-12-01 | 3차원 안경 및 이에 적용되는 3차원 안경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140050A1 (ko) |
EP (1) | EP2461596A1 (ko) |
KR (1) | KR20120059947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20270B2 (en) | 2013-07-10 | 2016-08-16 | Samsung Display Co., Ltd. | 3D glasses including a color coordinate controller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US12003697B2 (en) | 2021-05-06 | 2024-06-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utputting three-dimensional imag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9319A (ko) * | 2009-09-15 | 2011-03-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처리 시스템 및 영상 처리 방법 |
CN103718148B (zh) * | 2013-01-24 | 2019-09-20 | 华为终端有限公司 | 屏幕显示模式确定方法及终端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21989A (en) * | 1990-06-11 | 1998-10-13 | Vrex, Inc. | Stereoscopic 3-D viewing system and glasses having electrooptical shutters controlled by control signals produced using horizontal pulse detection withi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pulse period of computer generated video signals |
CN102293004B (zh) * | 2009-01-22 | 2014-05-07 | 日本电气株式会社 | 三维影像鉴赏系统、显示系统、光学快门,和三维影像鉴赏方法 |
US9285599B2 (en) * | 2009-01-22 | 2016-03-15 | Nec Corporation | Three-dimensional video viewing system, display system, optical shutter, and three-dimensional video viewing method |
KR20110071410A (ko) * | 2009-12-21 | 2011-06-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3차원 안경 및 이에 적용되는 3차원 안경 제어방법 및 전원 제어 방법 |
KR20110116447A (ko) * | 2010-04-19 | 2011-10-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시스템,셔터방식의 3d안경 및 그 구동방법 |
-
2010
- 2010-12-01 KR KR1020100121464A patent/KR20120059947A/ko not_active Withdrawn
-
2011
- 2011-09-13 EP EP20110181141 patent/EP2461596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1-10-27 US US13/283,109 patent/US20120140050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20270B2 (en) | 2013-07-10 | 2016-08-16 | Samsung Display Co., Ltd. | 3D glasses including a color coordinate controller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US12003697B2 (en) | 2021-05-06 | 2024-06-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utputting three-dimensional ima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61596A1 (en) | 2012-06-06 |
US20120140050A1 (en) | 2012-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559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
US9414041B2 (en) | Method for changing play mode, method for changing display mode,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 |
US20110248989A1 (en) | 3d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setting display mode, and 3d display system | |
JP2011193460A (ja) | 3d映像画質調整方法、3dディスプレイ装置、3dメガネ及び3d映像提供システム | |
KR20110071410A (ko) | 3차원 안경 및 이에 적용되는 3차원 안경 제어방법 및 전원 제어 방법 | |
KR20110101944A (ko) | 3d 안경, 3d 안경의 구동방법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 |
KR20110080035A (ko) | 3d 글래스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3d 글래스와 3d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110254829A1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view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as well as method for operat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viewing system | |
KR20110114260A (ko) |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gui 설정 방법, 그리고 3d 안경 | |
KR2011008999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3d 영상 제공 방법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 |
KR20120132240A (ko) | 복수의 사용자에게 복수의 영상을 제공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방법 및 듀얼 뷰 안경 구동 방법,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듀얼 뷰 안경 | |
KR20120066891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 |
KR20120020477A (ko) |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KR20120059947A (ko) | 3차원 안경 및 이에 적용되는 3차원 안경 제어방법 | |
US20110018882A1 (en) | 3-dimensional image providing and receiving apparatuses, 3-dimensional image providing and receiving methods using the same, and 3-dimensional image system | |
KR20120040947A (ko) |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3차원 영상 처리방법 | |
KR101768538B1 (ko) | 3d 영상 화질 조정 방법, 3d 디스플레이 장치, 3d 안경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 |
KR101638959B1 (ko) | 출력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 | |
JP2011259338A (ja) | シャッター式メガネ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システム | |
US8830150B2 (en) | 3D glasses and a 3D display apparatus | |
KR20120017653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 | |
KR20110136326A (ko) | 삼차원 입체안경의 수평각 정보를 반영한 삼차원 스테레오스코픽 렌더링 시스템 | |
KR20120015831A (ko) | 3d 안경, 3d 안경의 구동방법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 |
KR20110062983A (ko) | 3d 영상의 입체감 조절 요소를 설정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gui 제공 방법 | |
KR2011005795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gui 제공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