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721B1 - Cord Blinding Device for Roll Blinds - Google Patents
Cord Blinding Device for Roll Blin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6721B1 KR101306721B1 KR1020110065340A KR20110065340A KR101306721B1 KR 101306721 B1 KR101306721 B1 KR 101306721B1 KR 1020110065340 A KR1020110065340 A KR 1020110065340A KR 20110065340 A KR20110065340 A KR 20110065340A KR 101306721 B1 KR101306721 B1 KR 1013067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d
- sprocket
- line
- roll
- gea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7 mechanical methods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6—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against unauthorised open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2—Roll-up scree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롤스크린(20)을 감거나 풀기 위해서 조작하는 루프 형태를 갖는 두 줄의 코드줄(40)을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코드줄(40) 상에는 두 줄의 코드줄(40)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코드줄(40) 사이를 메워주는 몸체부(50a)와 이 몸체부(50a)의 양 가장자리선을 따라 형성되어 두 줄의 코드줄(40)이 각각 관통되게 끼움 삽입되는 관부(50b)로 이루어져 코드줄(40)이 자유로이 상,하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간격유지부재(50)가 설치되고, 상기 코드줄(40)의 최하단 U자 형태의 루프 부위에는 코드줄 구동수단(60)이 장착되는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를 통해서 유아 및 아동이 상기 코드줄을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 부주의하여 코드줄이 유아 및 아동의 목에 감기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을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코드줄의 이동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d line spacing device for roll blin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 blind comprising two lines of cords 40 having a loop shape for manipulating or unwinding the roll screen 20. On the cord line 40, two lines are formed along the edges of the body portion 50a and the body portion 50a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cord lines 40 so as not to be spaced between the two cord lines 40. It consists of a tube portion 50b is inserted through each of the cord line 40 is inserted through the interval maintaining member 50 for guiding the cord line 40 to move freely, is installed, the cord of the cord 40 The lowermost U-shaped loop portion is to provide a cord line spacing device of a roll blind on which the cord line driving means 60 is mounted.
Thus, through the gap retaining member in the process of playing with the cord and the infant carelessly inadvertently prevent the safety accident that can occur while the cord is wound around the neck of the infant and child, the code line driving Through the mean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movement operation of the code line in the desired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스크린을 조절하는 루프 형태의 코드줄에 일정높이 및 좌우 폭을 갖는 간격유지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코드줄 사이가 벌어지지 않고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코드줄이 유아 및 아동의 목에 감기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child safety)를 미연에 방지하며, 상기 코드줄에 긴장을 부여하기 위해 장착되는 손잡이부 대신에 코드줄 구동수단을 설치하여 코드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d line spacing device for a roll blind,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space maintain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left and right widths in a loop-shaped code line for adjusting a roll screen,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cord lines does not open. By maintaining a certain interval to prevent the child safety that can occur when the cord is wrapped around the neck of infants and children, and instead of a handle that is mounted to tension the cor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d line spacing device for a roll blind provided with a driving means to easily perform an operation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line spacing.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란, 투명한 유리창 또는 유리벽 등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조절하거나, 외부에서 실내가 잘 보이지 않도록 차단하는 인테리어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roll blinds are installed in transparent glass windows or glass walls to block the light from the outside to adjust the atmosphere of the room, or to refer to the interior device to block the interior from the outside.
이러한 롤 블라인드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롤스크린이 하나의 권취봉에 감겨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의 싱글 타입 롤 블라인드와, 투광부와 불투광부가 교호되게 반복적으로 제작되어 전, 후방 두 장의 롤스크린을 서로 중첩되도록 두 개의 권취봉에 감아 배치함으로써, 롤 스크린의 중첩된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빛의 투과 또는 차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듀얼 타입 롤 블라인드가 개시되어 있다.These roll blinds are made of a single type roll bli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ingle roll screen is wound around one winding rod to block light, and a light emitting part and an opaque part are alternately repeatedly manufactured so that the front and rear roll screens overlap each other. A dual type roll blind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ssion or shading by adjusting the overlapping distance of the roll screen by winding the two winding rods is disclosed.
그 중에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0998173호(2010.12.07. 공고)에 개시된 듀얼 타입 롤 블라인드의 일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Among them, one embodiment of the dual type roll blind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998173 (December 7, 2010) is shown in FIG. 1.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타입의 롤 블라인드(100)는 창문의 폭에 따라 길이와 소정 폭을 가지는 프레임(110) 양단부에 각기 엔드플레이트(111,112)가 결합되고, 일측 엔드플레이트(111) 안쪽에 권취구동부(150)가 결합되어 권취구동부(150)와 타측 엔드플레이트(112) 사이에 두 장의 롤 스크린(130)이 각각 권취되는 권취봉(151)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권취봉(151)의 일단부가 권취구동부(150)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루프 형태의 코드줄(140)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코드줄(140)의 하단에 코드줄(140)의 긴장을 유지하는 동시에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141)가 설치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dual-type roll blind 100 has
이때, 상기 롤스크린(130)은 불투광부(131)와 투광부(13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고, 두 장의 롤스크린(130)의 상단은 권취봉(151)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하단은 루프(U자 형태) 형태로 하부로 늘어져 중량바(160)에 연결 고정됨에 따라 상기 중량바(160)의 하중에 의해서 롤스크린(130)이 항상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듀얼 타입의 롤 블라인드(100)는 코드줄(140)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조작함에 따라 권취봉(151)이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권취봉(151)에 각각 권취되어 있는 두 장의 롤스크린(130)이 권취봉(151)에서 풀리거나 감기면서 하단쪽으로 늘어지거나 상단쪽으로 상승하게 된다.Dual-type roll blind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the
이와 같은 롤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코드줄(140)은 볼체인이거나 줄을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 코드줄(140)이 롤스크린(130)의 길이에 대응되게 길게 루프 형태로 길게 두 줄로 늘어져 있는 관계로, 유아 및 아동이 길게 늘어진 상기 코드줄(140)을 잡고 놀다가 잠깐의 부주의로 인해 목에 감기면서 안전사고(child safety)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종종 있었다.In such a roll blind, the
이에 당해 분야에서 안전기준을 마련하여 코드줄(140)이 유아 및 아동의 목에 감기지 않도록 안전, 품질표시기준을 법제화하고 있다.In this field, safety standards are established in the field to enact safety and quality labeling standards so that th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창문 블라인드와 관련하여 마련되는 안전기준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코드줄 사이가 벌어지지 않고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간격유지부재를 코드줄 상에 마련함으로써, 코드줄이 유아 및 아동의 목에 감기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order to satisfy the safety standard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window blin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d line for maintai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cord line and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In order to provide a cord blind spacing device for a roll blind, a cord blind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while the cord is wound around the neck of an infant and a chil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드줄에 긴장을 부여하기 위해 장착되는 손잡이부 대신에 코드줄에 연계되는 코드줄 구동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코드줄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을 통해서 코드줄의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cord line driv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cord line instead of the handle portion mounted to give tension to the cord line, so that the cord line does not open while the cord line through the cord line driving means It is to provide a cord line spacing device of a roll blin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는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일측 엔드플레이트에 조립되어 코드줄에 의하여 구동되는 권취구동부와, 상기 권취구동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 엔드플레이트에 지지되게 조립되어 회동하는 권취봉과, 상기 권취봉에 상단이 끼워져 유리창을 개폐하는 롤스크린과, 상기 롤스크린의 하단에 설치되어 롤스크린의 긴장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중량부를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코드줄 상에는, 두 줄의 코드줄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코드줄 사이를 메워주는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양 가장자리선을 따라 형성되어 두 줄의 코드줄이 각각 관통되게 끼움 삽입되는 관부로 이루어져 코드줄이 자유로이 상,하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간격유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nd plate is integrally assembled at both ends of the frame, the winding drive unit is assembled to the one end plate and driven by a cord, and one end is fixed to the winding drive unit The other end of the roll blind includes a winding rod assembled to be supported by the other end plate and rotating, a roll screen having an upper end fitted to the winding rod to open and close a glass window, and a weight part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roll screen to maintain a tensioned state of the roll screen. In the code line, the body portion that fills the space between the two lines of code so as not to be spaced between the two lines, and formed along both edge lines of the body portion is inserted through each of the two lines of code It is composed of pipes and the cord holding member is installed to guide the cord to move up and down freely Provided is a cord line space keeping device of a roll blind.
여기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코드줄의 조작거리를 확보하는 동시에 유아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과의 사이에 빈공간부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pace maintaining member, it is preferable to ensure that the empty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rame and to secure the operation distance of the cord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the infant.
그리고, 상기 코드줄의 최하단 U자 형태의 루프 부위에는 코드줄의 긴장을 유지시켜 주는 손잡이부가 장착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손잡이부 사이에서 상,하 유동되지 않도록 긴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관부 상에는 코드줄을 상, 하로 조작하기 위한 일정한 간격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most U-shaped loop portion of the cord string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cord string, and the gap maintaining member is tensioned so as not to flow up and down between the end plate and the handle portion. , On the pipe portion of the spacing member is preferably formed a cut portion of a constant interval for operating the cord string up and down.
이때, 상기 절개부는 양측 관부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하거나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한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outs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or formed in a zigzag form.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구로 간격유지부재에 형성된 고정공을 통해 벽면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holding member is fixed to the wall through a fixing hole formed in the gap holding member so as not to flow.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줄의 최하단 U자 형태의 루프 부위에는 손잡이부 대신에 코드줄을 자유로이 조작할 수 있게 상기 간격유지부재와 연계되는 코드줄 구동수단을 설치하는 데 그 특징을 두고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owermost U-shaped loop portion of the cord line to install the cord line driv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spacing member to freely manipulate the cord line instead of the handl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코드줄 구동수단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은, 상기 코드줄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호 끼움 조립되는 제1,2 케이스와, 상기 제1,2 케이스 내에 상기 코드줄의 루프형태의 최하단 부위를 감아서 이동시키도록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프로킷부재와, 상기 스프로킷부재의 일측과 맞물림 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잡고 돌려서 스프로킷부재를 회동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스 외부에 일체로 조립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He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ferred cord line dri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d line driving means, the first and second cases are assembled to be inserted into each other to allow the cord line access, and the first and second cases A sprocket member that is rotatably mounted to wind and move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loop form of the cord string in the first line, and the first case to be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sprocket member and to be grasped and rotated by the user to rotate the sprocket memb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member that is integrally assembl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회동부재는 원반형 몸체부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 두 개의 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앙 부위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단턱이 형성된 돌기공과, 상기 돌기공의 반대편인 몸체부의 내주면에 요홈 구조로 형성된 체결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스프로킷부재는 코드줄을 구동시키는 스프로킷과, 상기 제1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부재에 마련된 체결부에 맞물려서 회동부재의 회동력을 스프로킷부재에 전달하는 끼움체결부와, 상기 회동부재의 돌기공에 맞물림 끼워져 일체로 조립되도록 끼움체결부의 일측면에 후크 형태로 형성된 끼움결합부을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otating member has two wing portions protruding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disc-shaped body portion, and protruding holes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stepped portion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which are opposite to the protrusion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formed in a recess structure, the sprocket member is engaged with the sprocket for driving the cord and the fastening member provided in the rotating member protru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first case to rotat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emb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fitting engagement portion to be delivered to the sprocket member, and a fitting engagement portion formed in a hook shape on one side of the fitting engagement portion so as to be integrally assembled by being engaged with the projection hole of the pivot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코드줄 구동수단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은, 상기 코드줄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호 끼움 조립되는 제1,2케이스와, 상기 제1,2케이스 내에 상기 코드줄의 루프형태의 최하단 부위를 감아서 이동시키도록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프로킷부재와, 상기 제1케이스의 외부에 사용시 잡고 돌려서 상기 스프로킷부재를 회동시켜 줄 수 있도록 일체로 조립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시 그 회동거리에 대해서 상기 스프로킷부재에 감긴 코드줄의 이동거리를 상대적으로 늘릴 수 있도록 상기 스프로킷부재와 회동부재 사이에서 기어 조합을 통해 회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ferred cord line dri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d line driving means, the first and second cases are assembled to be inserted into each other to allow the cord line access, the first and second cases A sprocket member rotatably mounted so as to wind and move the loop-shaped lowermost portion of the loop in the cord string, and a pivot member integrally assembled to rotate the sprocket member by holding and rotating it when used outside the first case And a gear connec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hrough a gear combination between the sprocket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so as to increase the moving distance of the cord cord wound around the sprocket member relative to the rotating distance when the rotating member rotate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이때,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2케이스 내부에는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으로 상,하 구분되도록 원호형의 격벽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로킷부재는 제1수용공간에 회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제1,2케이스 내에서 코드줄을 구동시킬 수 있게 스프로킷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부재는 원반형 몸체부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 두 개의 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앙 부위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단턱이 형성된 돌기공과, 상기 돌기공의 반대편인 몸체부의 내주면에 요홈 구조로 형성된 체결부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기어 연결수단은, 상기 스프로킷부재의 일측면에 돌출되는 소기어인 제2기어와, 상기 제2케이스의 제2수용공간에 수납되도록 제1,2케이스에 회동되게 조립되는 대기어인 제1기어와 이 제1기어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1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부재에 마련된 체결부에 맞물려서 회동부재의 회동력을 전달하는 끼움체결부 및 상기 회동부재의 돌기공에 끼워져 일체로 조립되도록 끼움체결부의 일측면에 후크 형태로 형성된 끼움결합부를 갖춘 기어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rd line driving means, an arc-shaped partition wall is formed to protrude up and down into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and the sprocket member Sprockets are rotatably hous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to form a sprocket to drive the cor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and the pivot member has two wing portions protruding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disc shaped body part. And a projection hole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stepped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in a groove structure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pposite to the projection hole, wherein the gear connecting means includes the sprocket. A second gear, which is a small gear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ember, and an atmosphere that is pivotally assembled to the first and second cases to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of the second case; In the first gear and the one side of the first gear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to engage the fastening portion provided in the rotating member to the fitting fastening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proj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osed of a gear member having a fitting portion formed in a hook shape on one side of the fitting portion to be integrally assembled.
특히, 상기 회동부재의 두 개의 날개부 중 어느 하나에 사용시 잡고 돌릴 수 있는 접철식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a folding handle which can be grasped and turned when used on any one of two wings of the pivot member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롤스크린을 감거나 풀기 위해서 조작하는 루프 형태를 갖는 두 줄의 코드줄을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코드줄 사이가 벌어지지 않고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간격유지부재를 코드줄 상에 마련함으로써, 유아 및 아동이 상기 코드줄을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 부주의하여 코드줄이 유아 및 아동의 목에 감기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ll blind including two lines of cords having a loop shape for manipulating or unrolling a roll screen, a cord hold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pace maintaining member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without being spaced between the cord lines. By providing a priz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advertently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can occur while the cord is inadvertently wound around the neck of the infant and child in the process of playing with the cor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코드줄에 긴장을 부여하기 위해 장착되는 손잡이부 대신에 코드줄에 연계되는 코드줄 구동수단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을 통해서 코드줄의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cord line driv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cord line instead of the handle portion mounted to give tension to the cord, it is possible to easily operate the cord line through the cord line driving means. It has an effect.
특히, 상기 스프로킷부재 및 회동부재 사이에 기어연결수단인 기어부재와 같은 치차 조합을 통한 회동력 전달을 확대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을 부가하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 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스프로킷부재의 회동 거리를 크게 하여 코드줄의 이동거리를 확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코드줄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when an additional configuration is added between the sprocket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through the gear combination, such as the gear member as the gear connecting means, the sprocket member may be relatively compared with the rotation distance of the rotating member. By increasing the rotation distance, the moving distance of the code line can be increased, and thus,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code l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업 타입 롤 블라인드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예에 따른 코드줄에 간격유지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부재의 제1실시예로써, 간격유지부재가 코드줄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드줄에 간격유지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부재의 제2실시예로써, 도 4에 도시된 간격유지부재에 일정간격을 두고 좌우 대칭되게 절개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코드줄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코드줄에 간격유지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부재의 제3실시예로써, 도 6에 도시된 간격유지부재에 일정간격을 두고 좌우 지그재그 형태로 대칭되게 절개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코드줄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에 도시된 간격유지부재를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의 제1실시예로써, 코드줄에 긴장을 부여하면서 코드줄을 이동 조작할 수 있는 코드줄 구동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0에 도시된 코드줄 구동수단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0에 도시된 코드줄 구동수단의 구성 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내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의 제2실시예로써, 코드줄에 긴장을 부여하면서 코드줄을 이동 조작할 수 있는 코드줄 구동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5에 도시된 코드줄 구동수단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의 제2실시예에서 코드줄의 이동거리를 확대시킬 수 있게 기어부재의 제1기어와 스프로킷부재의 제2기어가 기어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5에 도시된 코드줄 구동수단의 구성 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내부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uup type roll blind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acing member is mounted on a cord l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acing member is installed in a cord line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spac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acing member is mounted on a cord l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t line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cutout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gap maintaining member shown in FIG. 4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acing member is mounted on a cord li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spac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t line is formed symmetrically in the left and right zigzag for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spacing member shown in Figure 6 installed in the cord line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fixing to a wall surface by using the spacing member shown in FIG.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rd line driving means capable of moving and manipulating a cord line while applying tension to the cord line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cord line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rd string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rd line driving means shown in Fig.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ure 13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configuration of the cord line drive means shown in Fig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rd line driving means capable of moving and manipulating a cord line while applying tension to the cord line is mounted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rd line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rd driv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rd line driving means shown in Figure 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gear of the gear member and the second gear of the sprocket member are geared so as to enlarge the moving distance of the cor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rd string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cord string driving means shown in FIG. 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omit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Terms to be give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롤 블라인드는 듀얼 타입 롤 블라인드의 일실시예로써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블라인드 분야에서 두 줄 형태로 늘어지는 코드줄을 사용하는 제품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게 됨은 당연하다.Roll blin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is shown as an embodiment of the dual-type roll blinds,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duct using a cord line hanging in the form of two lines in the blind field Not surprisingly, all are applicable.
본 발명에 따른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블라인드에 있어서 롤스크린(20)이 두 개의 권취봉(12,13)에 권취된 상태에서 롤스크린(20)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해 마련되는 루프 형태를 갖고 두 줄로 늘어진 코드줄(40) 상에 설치되는 간격유지부재(50) 및 코드줄 구동수단(60)과 관련된 것이다.Cord line spacing device of the roll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즉, 통상의 듀얼 타입 롤 블라인드는, 종래 기술에서도 살펴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가 설치되는 장소의 폭에 맞춰 프레임(10)이 일정길이로 장착되고, 이 프레임(10) 내부에 롤스크린(20)을 권취하는 두 개의 권취봉(12,13)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권취구동부(14)를 통해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권취봉(12,13)의 양단부는 엔드플레이트(11)에 결합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dual type roll blinds are also examined in the prior art, and as shown in FIG. 2, the
여기서, 상기 권취봉(12,13)의 일단부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권취구동부(14)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루프 형태의 코드줄(40)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코드줄(40)의 하단에 코드줄(40)의 긴장을 유지하는 동시에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41)가 설치되어 있다.Here, one end of the take-up
또한, 종래 기술에서 살펴 본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롤스크린(20)은, 투광부(21)와 불투광부(2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 장의 롤스크린(20)의 상단은 두 개의 권취봉(12,13)에 각각 고정됨과 아울러, 그 하단은 루프(U자 형태) 형태로 하부로 늘어져 중량바(30)에 연결 고정됨에 따라 상기 중량바(30)의 하중에 의해서 롤스크린(20)이 항상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통상의 롤 블라인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첫 번째 구성적 특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스크린(20)을 감거나 풀기 위해 일측 엔드플레이트(11) 쪽에서 롤스크린(20)을 따라 루프 형태를 갖고 두 줄로 길게 늘어진 코드줄(40) 상에 끼워져 두 줄 형태의 코드줄(40) 사이가 벌어지지 않고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간격유지부재(50)를 장착함에 있다.In a conventional roll blind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structur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is a roll screen on one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부재(50)는, 두 줄 형태로 늘어진 코드줄(40)의 간격과 동일한 폭을 갖는 판상구조의 몸체부(50a)와, 이 몸체부(50a)의 양 가장자리 부위에 마련된 파이프 형태의 관부(5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줄 형태의 코드줄(40)이 상기 관부(50b)에 자유롭게 상하 이동 가능하게 각각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Her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이때, 상기 관부(50b)는 원형 파이프와 같은 원통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사각 단면이나 다각단면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코드줄(40)이 관통 삽입될 수 있는 형상 구조를 가지면 무방한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pe part 50b has a cylindrical structure such as a circular pi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r a polygonal cross-sectional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이러한 간격유지부재(50)는 실리콘 재질, 고무재질,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과 같은 가볍고 플렉시블한 재질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부재(50)는 코드줄(40)의 최하단부터 상방향으로 60㎝ 이상되는 길이까지 코드줄(40)을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는 상기 간격유지부재(50)가 롤 블라인드에 매달려 있는 코드줄(40)을 가지고 노는 유아 및 아동의 목에 코드줄(40)이 감기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임으로, 두 줄 형태의 코드줄(40) 사이의 간격을 메워 코드줄(40)이 유아 및 아동의 목에 감길 수 없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다만, 상기 간격유지부재(50)는 구조적으로 판상의 몸체부(50a)가 아니더라도 두 줄의 코드줄(40)을 각각 끼울 수 있는 상기 관부(50b)를 갖추면서 코드줄(4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몸체부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며, 이처럼 상기 간격유지부재(5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첨부도면에서 제시하고 있는 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됨은 당연하다.However, the
한편, 상기 간격유지부재(50)가 코드줄(40)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간격유지부재(50)의 자중에 의해 코드줄(40)의 최하단 루프 형태 (즉, U자 형태) 부위까지 내려오게 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50)의 길이가 코드줄(40)의 최하단부터 상방향으로 60㎝ 이상되는 길이를 가지고 있는 관계로, 상기 간격유지부재(50)가 코드줄(4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코드줄(40)을 잡고 롤스크린(20)을 감거나 풀어주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pacing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간격유지부재(50)가 코드줄(40)에 끼워진 상태에서 코드줄(40)을 이동 조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드줄(40)의 조작거리를 확보하는 동시에 유아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0)의 하단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코드줄(40)이 노출될 수 있게 간격유지부재(50)가 존재하지 않는 빈공간부(h)를 두고 있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ace that can be operated to move the
즉, 상기 빈공간부(h)는 사용자가 간격유지부재(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코드줄(40)을 조작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련된 공간으로, 상기 코드줄(40)에 끼워져 있는 간격유지부재(50)를 상기 빈공간부(h) 만큼 사용자가 밀어 올리게 되면, 그만큼 코드줄(40)의 하단쪽에서 코드줄(40)이 노출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코드줄(40)을 잡고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empty space portion (h) is a space provided for the user to easily operate the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간격유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빈공간부(h)를 대신하여 상기 코드줄(40)에 간격유지부재(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코드줄(4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in other embodiments of the gap maintaining member illustrated in FIGS. 4 to 7, the
즉,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간격유지부재(50)에는 상기 관부(50b)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절개부(51)를 둠으로써, 상기 절개부(51)를 통해 상기 관부(50b)에 끼워진 코드줄(4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있다.That is, the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절개부(51)를 통해서 노출된 코드줄(40)을 잡고 코드줄(40)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이때,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절개부(51)가 좌우측 관부(50b)에서 서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형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절개부(51)가 좌우측 관부(50b)에서 서로 비대칭 혹은 지그재그 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된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그리고, 도 3 및 도 8에는 상기 간격유지부재(50)가 코드줄(40)에 설치된 상태에서 간격유지부재(5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면서 코드줄(40)을 벽면(W) 쪽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간격유지부재(50)에 형성된 고정공(52)를 이용하여 벽면(W)에 고정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3 and 8, the
즉, 창문 블라인드의 안전기준에 따르면, 코드줄의 하단부분을 벽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어야 하며, 설치되었을 때 줄과 벽간의 간격은 20㎝ 이내이어야 한다. 또한 하단부분의 줄이 벽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코드줄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라고 안전요건을 두어, 코드줄을 벽면에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권고하고 있고, 다만 코드줄을 벽면에 밀착하여 고정시키기 힘든 경우, 코드줄 및 연결고리(tessel)에 재하 하중을 주어 재하 하중이 98N이상을 만족하도록 하고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safety standards of window blinds, the bottom part of the cord should be able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and when installed, the distance between the cord and the wall should be within 20cm.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cords not be operated when the lower part of the cord is separated from the wall.It is recommended that the cords be fixed to the wall, but the cords are fixed to the wall. If it is difficult to do so, the load is applied to the cord and the linkage so that the load is satisfied more than 98N.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안전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요건을 부여하는 방안의 하나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부재(50) 상에 형성된 고정공(52)을 통해 별도의 고정구(53)를 관통시켜 벽면(W)에 간격유지부재(50)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간격유지부재(5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면서 코드줄(40)을 벽면(W) 쪽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one of the methods for giving a requirement to satisfy the safety standards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8, a separate fastener through the fix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간격유지부재(50)가 코드줄(40)에 끼워진 상태에서 코드줄(4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방안으로, 상기 코드줄(40)에 끼워지는 손잡이부(41) 대신에 코드줄(40)을 조작할 수 있는 코드줄 구동수단(60)을 갖추도록 함에 그 두번째 특징을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method for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the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 길게 늘어지는 코드줄(40)을 벽면에 밀착하여 고정시키기 힘든 경우, 코드줄(40)이 팽팽하게 긴장감을 유지할 수 있게 재하 하중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는 바, 이렇게 재하 하중을 부여하는 일환으로 무게추 역할을 하는 손잡이부(41)를 두고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처럼, 상기와 같은 코드줄(40)의 최하단에 장착되어 무게추 역할을 하는 손잡이부(41)를 장착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9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41) 대신에 코드줄(40)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코드줄 구동수단(60)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As such, in the case where the
여기서, 도 9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60)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나, 그 구체적인 실시양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as shown in Figures 9 to 18, the code line driv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looking at the specific embodiment as follows.
즉,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줄 구동수단(60)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60)은, 상호 끼움 조립되는 제1,2 케이스(61,62)와, 상기 제1,2 케이스(61,62) 내부에서 상기 코드줄(40)의 최하단 U자형 루프 부위를 감아서 이동시켜 주도록 상기 제1,2 케이스(61,62)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프로킷부재(64)와, 상기 제1케이스(61) 상에 마련된 관통공(61b)을 통해 스프로킷부재(64)의 일측과 맞물림 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잡고 돌려서 상기 스프로킷부재(64)를 회동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스(61)의 외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회동부재(63)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9 to 1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rd string driving means 60, the cord string driving means 60 may include the first and
여기서, 상기 제1,2케이스(61,62)는 평면 형태의 상단면을 중심으로 둥근 원반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내부에 상기 스프로킷부재(64)를 장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고 있다.Here, the first and
즉, 상기 제1,2케이스(61,62)가 형성하는 수용 공간의 내주면에는 스프로킷부재(64)가 밀착되게 삽입되고, 상기 제1케이스(61)의 외주면에는 관통공(61b)을 포함하면서 단차진 요홈 구조로 회동면(61a)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면(61a) 상에는 상기 스프로킷부재(64)와 연동되는 회동부재(63)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 조립되게 된다.That is, the
이때, 상기 제1,2케이스(61,62)의 평판 상의 상단면에는 루프 형태를 갖는 두 줄의 코드줄(40)이 각각 관통 삽입될 수 있는 연결공(67)이 마련되어 있고, 제1,2케이스(61,62)가 서로 맞대어지는 가장자리 선단면에는 각각 서로 일대일 대응되는 다수의 끼움돌기(62b)와 끼움공(61c)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물론, 상기 제1,2케이스(61,62)를 서로 맞물려 조립하는 데 있어서 끼움돌기(62a) 및 끼움공(61c)을 통해 분할된 두 개의 케이스(혹은 부재)를 구조적으로 결합하는 방식 외에도 이미 주지 관용되고 있는 다양한 결합 방식를 채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Of course, in the assembling of the first and
상기 제1케이스(61)의 외주면에 형성된 회동면(61a)에 안착 조립되는 회동부재(63)는 상기 스프로킷부재(64)와 상호 끼움 조립을 통해서 고정 지지되는 바, 상기 회동부재(63)는 사용자가 코드줄(40)을 원하는 방향으로 당기기 위해 조작하는 부재로써, 사용자에 의한 회동 작업을 통해서 상기 제1,2케이스(61,62) 내부에 장착된 스프로킷부재(64)를 회동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즉,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63)는 원반형 몸체부(63a)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칭되게 두 개의 날개부(63b,63c)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63a)의 중앙 부위에는 내주면에 단턱이 형성된 돌기공(63d)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공(63d)의 반대편인 몸체부(63a)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스프로킷부재(64)의 끼움체결부(64b)와 대응 맞물려 결합되는 사각의 체결부(63e)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이때, 상기 회동부재(63)의 양 날개부(63b,63c)를 통해서 형성되는 전체길이는 상기 제1케이스(61)의 회동면(61a)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overall length formed through both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63)의 양 날개부(63b,63c)의 각 끝단이 상기 회동면(61a)의 외벽과 미세한 간격을 두고 맞물린 상태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each end of both wing parts (63b, 63c) of the rotating member (63) is rotated in a state of being engaged at a minute interval with the outer wall of the rotating surface (61a).
여기서, 상기 날개부(63b,63c)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채꼴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Here, the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63)의 양 날개부(63b,63c) 중 일측 날개부(63c)상에는 접철식 손잡이(65)가 구비되어 있다. In addition, a
상기 손잡이(65)는 사용자가 회동부재(63)를 회동시킬 때 잡고 돌릴 수 있도록 하는 부위로써, 평소에는 날개부(63c) 내에서 돌출되지 않게 나란하게 접어서 수용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회동부재(63)를 돌리고자 할 때 접혀 있던 손잡이(65)를 세워서 돌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The
상기 스프로킷부재(64)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구조를 가지고 있는 바, 상기 스프로킷부재(64)의 원주면에는 볼체인 형태의 코드줄(40)에 대응되는 스프로킷(64c)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스프로킷(64c) 상에 볼체인 형태의 코드줄(40)과 맞물려 일정간격으로 이동시키는 결합돌기(도시안됨)가 형성되어 있다.The
특히, 상기 스프로킷부재(64)는 제1케이스(61)의 관통공(61b)을 통해 상기 회동부재(63)와 상호 맞물림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63)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도록 배치되게 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스프로킷부재(64)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동부재(63)의 돌기공(63d)에 맞물림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 형태의 끼움결합부(64a)와, 이 끼움결합부(64a)를 일체로 지지 고정하면서 상기 회동부재(63)에 마련된 사각의 체결부(63e)에 맞물려 회동부재(63)의 회동력을 스프로킷부재(64)에 그대로 전달하게 되는 사각의 끼움체결부(64b)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로킷부재(64)의 타측면에는 제2케이스(62)의 내주면(62a)에 형성된 구멍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끼움축(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이와 같은 스프로킷부재(64)는 블라인드 분야에서 볼체인 형태의 코드줄을 감아서 이동시키는 부재로써 이미 주지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부재임으로, 그 구체적인 형상 및 동작 상태에 대해서 이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60)은,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케이스(61,62) 내부에 스프로킷부재(64)가 장착되고, 상기 스프로킷부재(64)에 상기 제1,2케이스(61,62)의 연결공(67)을 통해 출입되는 코드줄(40)의 최하단 U자형 루프 부위가 맞물린 상태로 연결 조립되며, 상기 회동부재(63)가 상기 제1케이스(61)의 회동면(61a)에서 상기 스프로킷부재(64)와 회동 가능하게 맞물림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간격유지부재(50)가 코드줄(40)에 끼워져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60)을 통해서 코드줄(40)을 용이하게 이동 조작할 수 있는 용도와 함께 코드줄(40)에 재하 하중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rd line driv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9 to 13, the
한편, 상기 간격유지부재(50)를 통해서 코드줄(40)을 벽면(W)에 고정시키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드줄(40)의 최하단에 코드줄 구동수단(60)이 장착되게 되면,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60)의 일측면을 통해서 필요에 따라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벽면(W)에 고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similar to the method of fixing the
그리고, 도 14 내지 도 1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14 to 18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code line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60)은, 코드줄(40)을 이동 조작할 때, 사용자에 의한 한 번의 회동변위에 대해 상대적으로 코드줄(40)의 이동거리를 최대한 길게 늘릴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특징을 두고 있다.That is, referr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de line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line driv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moving the
이는 통상적인 기어열의 조합을 통해서 작은 회동에도 많은 이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기구적인 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60)은, 상기 기어열의 조합을 통한 기구적인 방법이 구체적으로 구현된 실시예인 것이다.This is to apply a mechanical method that can ensure a large moving distance even in a small rota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conventional gear train, the cord drive means 6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ation of the gear train Through the mechanical method is an embodiment specifically implemented.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60)은,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60)에서 상기 스프로킷부재(64)와 회동부재(63)가 직접 맞물림 결합되는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스프로킷부재(64)와 회동부재(63) 사이에 별도의 기어부재(73)를 배치하여 기어 결합에 의한 회동부재(63)의 회동 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스프로킷부재(64)의 회동 거리를 크게 하여 코드줄(40)의 이동거리를 최대한 늘릴 수 있도록 기어연결수단(70)을 두고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14 to 18, the cord line driv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cord line driv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By chang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여기서, 상기 기어연결수단(70)은 공지된 기어 조합을 통해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코드줄 구동수단(60)의 제2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기어부재(73)를 이용하고 있는 실시양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Here, th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60)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60)을 구성하는 제1,2케이스(61,62)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격이 커진 제1,2케이스(71,72)를 갖추고 있다.The cord line driv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first and
즉,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60)의 제1,2케이스(71,72) 내부에는 스프로킷부재(64)가 안착되는 제1수용면(72a)과 기어부재(73)가 안착되는 제2수용면(72b)으로 분할하는 원호형 격벽(72c)이 마련되어 있다.That is, the
상기 격벽(72c)은 제1수용면(72a)과 제2수용면(72b)을 구분하는 경계선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프로킷부재(64)의 스프로킷(64c)에 코드줄(40)이 감겨진 상태에서 제2수용면(72b) 쪽으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The
즉, 상기 제1,2케이스(71,72)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상측 제1수용면(72a)에는 스프로킷부재(64)가 안착되고, 그 하측 제2수용면(72b)에는 기어부재(73)가 안착되게 된다.That is, the
물론, 상기 제1,2케이스(71,72)의 상단면 상에는 코드줄(40)이 삽입되는 연결공(74)이 구비되어 있다.Of course, the
그리고,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60)의 구성에서는 상기 스프로킷부재(64)가 회동부재(63)와 직접 맞물려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기어부재(73)가 회동부재(63)와 직접 맞물려 결합된 상태에서 이 기어부재(73)에 구비된 제1기어(73c)와 스프로킷부재(64)에 마련된 제2기어(64d)가 기어 결합되어 회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60)에서 보여주는 스프로킷부재(64)와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60)에서 보여주는 스프로킷부재(64)사이에는 구성적으로 약간의 차이를 두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rd string driv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즉,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프로킷부재(64)의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제1기어(73c)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소기어인 제2기어(64d)가 배치됨과 동시에 제1,2케이스(71,72)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고정할 수 있는 고정축(도면부호 미병기)이 마련되어 있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기어부재(73)는, 원형의 몸체부(73d)의 원주면상에 상기 제2기어(64d)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대기어인 제1기어(73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73d)의 일측면에 제1케이스(7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부재(63)의 돌기공(63d)에 맞물림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 형태의 끼움결합부(73a)와, 이 끼움결합부(73a)를 일체로 지지 고정하면서 상기 회동부재(63)에 마련된 사각의 체결부(63e)에 맞물려 회동부재(63)의 회동력을 그대로 전달하게 되는 사각의 끼움체결부(73b)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73d)의 타측면에는 제2케이스(72)의 제2수용면(72b)에 형성된 구멍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끼움축(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기어부재(73)가 안착되는 제1케이스(71)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회동부재(63)가 안착되는 회동면(71b)이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처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60)은 기어부재(73)를 스프로킷부재(64)와 회동부재(63) 사이에 배치하여 기어 결합을 통해 연결한다는 데 구성적 특징을 두고 있는 관계로, 전체적인 결합구조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따른 코드줄 구동수단(60)의 결합구조와 다소 차이를 두고 있으나, 도면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각 구성요소의 배치관계에 다소 차이를 보여주고 있을 뿐 전반적인 결합관계는 제1실시예에 대동소이하다 할 것이다.As such, the cord string driv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따라서, 각 구성요소간의 결합관계 및 그 작동 관계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 나탄 코드줄 구동수단(60)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음으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refore, as to the coupling relationship and the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if the coupling relationship and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Nathan codeline driving means 60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understoo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Let's do it.
다만, 상기 기어부재(73)의 제1기어(73c)가 스프로킷부재(64)의 제2기어(64d)에 보다 치차 직경이 크고, 치차수에 차이를 두고 있어, 상기 회동부재(63)를 통해 기어부재(73)의 제1기어(73c)를 조그만 회동시켜도 상기 스프로킷부재(64)의 제2기어(64d)가 전달받는 회동거리가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코드줄(40)의 이동거리를 상대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 및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할 것이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and is claimed in the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such changes will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프레임 12,13 : 권취봉
20 : 롤스크린 30 : 중량바
40 : 코드줄 41 : 손잡이부
50 : 간격유지부재 51 : 절개부
60 : 코드줄 구동수단 61, 71 : 제1케이스
62, 72 : 제2케이스 63 : 회동부재
64 : 스프로킷부재 65 : 손잡이
70 : 기어연결수단 73 : 기어부재10
20: roll screen 30: weight bar
40
50: spacing member 51: incision
60: code line driving means 61, 71: first case
62, 72: second case 63: rotating member
64
70: gear connecting means 73: gear member
Claims (12)
상기 코드줄(40) 상에는, 두 줄의 코드줄(40)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코드줄(40) 사이를 메워주는 몸체부(50a)와, 이 몸체부(50a)의 양 가장자리선을 따라 형성되어 두 줄의 코드줄(40)이 각각 관통되게 끼움 삽입되는 관부(50b)로 이루어져 코드줄(40)이 자유로이 상,하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간격유지부재(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An end plate 11 integrally assembled at both ends of the frame 10, a winding driving unit 14 assembled to the one end plate 11, and driven by a cord 40, and the winding driving unit 14. One end is fixed to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is assembled to be supported on the other end plate and the rotating rod, the upper end is fitted to the winding rod roll screen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lass window, and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roll screen 20 roll screen ( In the roll blind comprising the weight portion 30 to maintain the tense state of 20),
On the cord line 40, a body portion 50a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cord lines 40 so as not to be spaced between two lines of cords 40, and formed along both edge lines of the body portion 50a. Roll blind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holding member 50 is installed to guide the cord line 40 is freely moved up and down, consisting of a tube portion 50b is inserted through each of two lines of cord 40 is inserted through Code line spacing.
상기 간격유지부재(50)는, 코드줄(40)의 조작거리를 확보하는 동시에 유아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0)과의 사이에 빈공간부(h)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pace maintaining member 5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mpty space portion (h) is formed between the frame 10 in order to ensure the operation distance of the cord string 40 and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the infant. Line spacing of roll blinds.
상기 코드줄(40)의 최하단 U자 형태의 루프 부위에는 코드줄(40)의 긴장을 유지시켜 주는 손잡이부(41)가 장착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50)는 상기 엔드플레이트(11)와 손잡이부(41) 사이에서 상,하 유동되지 않도록 긴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50)의 관부(50b) 상에는 코드줄(40)을 상, 하로 조작하기 위한 일정한 간격의 절개부(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most U-shaped loop portion of the cord line 40 is equipped with a handle portion 41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cord line 40,
The gap holding member 50 is installed to be tensioned so as not to flow up and down between the end plate 11 and the handle portion 41, and the cord 40 on the pipe portion 50b of the gap holding member 50. Cord line spacing device for a roll blind,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 portions 5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or operating the up and down).
상기 절개부(51)는 양측 관부(50b)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하거나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한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cut portion 51 is a cord line spacing device of the roll blin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either side of the tube portion (50b)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or formed in a zigzag form.
상기 간격유지부재(50)가 유동되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구(53)로 간격유지부재(50)에 형성된 고정공(52)을 통해 벽면(W)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The method of claim 3,
Cord line spacing of the roll blind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holding member 5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W) through the fixing hole 52 formed in the spacing holding member 50 with a separate fastener 53 so as not to flow Retaining device.
상기 간격유지부재(50)는 실리콘,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pacing member 50 is a cord line spacing device of a roll blin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ny one of silicon, rubber material.
상기 코드줄(40)의 최하단에는 U자 형태의 루프 부위가 형성되고, 여기에 코드줄(40)을 자유로이 조작할 수 있게 간격유지부재(50)와 연계되는 코드줄 구동수단(60)이 설치되며,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60)은, 상기 코드줄(4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호 끼움 조립되는 제1,2 케이스(61,62)와, 상기 제1,2 케이스(61,62) 내에 상기 코드줄(40)의 루프형태의 최하단 부위를 감아서 이동시키도록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프로킷부재(64)와, 상기 스프로킷부재(64)의 일측과 맞물림 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잡고 돌려서 스프로킷부재(64)를 회동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스(61) 외부에 일체로 조립되는 회동부재(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U-shaped loop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rd cord 40, and cord cord driving means 60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spacing member 50 so that the cord cord 40 can be freely manipulated. ,
The cord line driving means 60 includes first and second cases 61 and 62 which are fitted to each other to allow the cord line 40 to enter and exit from the first and second cases 61 and 62. The sprocket member 64 is rotatably mounted so as to wind and move the loop-shaped lowermost portion of the cord string 40, and the sprocket member 64 is engaged by the user while being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sprocket member 64. Cord line spacing device for a roll bli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member (63) integrally assembled outside the first case (61) to rotate.
상기 회동부재(63)는 원반형 몸체부(63a)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 두 개의 날개부(63b,63c)와, 상기 몸체부(63a)의 중앙 부위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단턱이 형성된 돌기공(63d)과, 상기 돌기공(63d)의 반대편인 몸체부(63a)의 내주면에 요홈 구조로 형성된 체결부(63e)를 갖추고 있고,
상기 스프로킷부재(64)는 코드줄(40)을 구동시키는 스프로킷(64c)과, 상기 제1케이스(61)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부재(63)에 마련된 체결부(63e)에 맞물려서 회동부재(63)의 회동력을 스프로킷부재(64)에 전달하는 끼움체결부(64b)와, 상기 회동부재(63)의 돌기공(63d)에 맞물림 끼워져 일체로 조립되도록 끼움체결부(64b)의 일측면에 후크 형태로 형성된 끼움결합부(64a)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pivot member 63 has two wing parts 63b and 63c protruding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disc shaped body part 63a, and protrudes outward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body part 63a. A projection hole 63d having a stepped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fastening portion 63e formed in a recess structure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63a opposite to the projection hole 63d,
The sprocket member 64 rotates by being engaged with a sprocket 64c for driving the cord string 40 and a fastening portion 63e provided in the pivot member 63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first case 61. The fitting fastening portion 64b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ember 63 to the sprocket member 64 and the fitting fastening portion 64b so as to be integrally assembled by being engaged with the protrusion hole 63d of the rotating member 63. Cord line spacing device for a roll blin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itting portion (64a) formed in the shape of a hook on one side.
상기 코드줄(40)의 최하단에는 U자 형태의 루프 부위가 형성되고, 여기에 코드줄(40)을 자유로이 조작할 수 있게 간격유지부재(50)와 연계되는 코드줄 구동수단(60)이 설치되며,
상기 코드줄 구동수단(60)은, 상기 코드줄(4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호 끼움 조립되는 제1,2 케이스(71,72)와, 상기 제1,2 케이스(71,72) 내에 상기 코드줄(40)의 루프형태의 최하단 부위를 감아서 이동시키도록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프로킷부재(64)와, 상기 제1케이스(61)의 외부에 사용시 잡고 돌려서 상기 스프로킷부재(64)를 회동시켜 줄 수 있도록 일체로 조립되는 회동부재(63)와, 상기 회동부재(63)의 회동시 그 회동거리에 대해서 상기 스프로킷부재(64)에 감긴 코드줄(40)의 이동거리를 상대적으로 늘릴 수 있도록 상기 스프로킷부재(64)와 회동부재(63) 사이에서 기어 조합을 통해 회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연결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U-shaped loop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rd cord 40, and cord cord driving means 60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spacing member 50 so that the cord cord 40 can be freely manipulated. ,
The cord line driving means 60 includes first and second cases 71 and 72 which are fitted to each other to allow the cord line 40 to enter and exit from the first and second cases 71 and 72. The sprocket member 64, which is rotatably mounted so as to be wound around the loop-shaped lower end portion of the cord string 40, and when used outside the first case 61, is rotated to rotate the sprocket member 64. Rotating member (63) integrally assembled so as to be made,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cord (40) wound on the sprocket member (64) relative to the rotational distance dur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63) can be relatively increased. Cord line spacing device of the roll bli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ear connec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gear combination between the sprocket member (64) and the rotating member (63).
상기 제1,2케이스(71,72) 내부에는 제1수용공간(72a)과 제2수용공간(72b)으로 상,하 구분되도록 원호형의 격벽(72c)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로킷부재(64)는 제1수용공간(72a)에 회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제1,2케이스(71,72) 내에서 코드줄(40)을 구동시킬 수 있게 스프로킷(64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부재(63)는 원반형 몸체부(63a)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 두 개의 날개부(63b,63c)와, 상기 몸체부(63a)의 중앙 부위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단턱이 형성된 돌기공(63d)과, 상기 돌기공(63d)의 반대편인 몸체부(63a)의 내주면에 요홈 구조로 형성된 체결부(63e)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기어 연결수단(70)은, 상기 스프로킷부재(64)의 일측면에 돌출되는 소기어인 제2기어(64d)와, 상기 제2케이스(72)의 제2수용공간(72b)에 수납되도록 제1,2케이스(71,72)에 회동되게 조립되는 대기어인 제1기어(73c)와 이 제1기어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1케이스(61)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부재(63)에 마련된 체결부(63e)에 맞물려서 회동부재(63)의 회동력을 전달하는 끼움체결부(73b) 및 상기 회동부재(63)의 돌기공(63d)에 끼워져 일체로 조립되도록 끼움체결부(73b)의 일측면에 후크 형태로 형성된 끼움결합부(73a)를 갖춘 기어부재(7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0,
An arc-shaped partition wall 72c protrudes from the first and second cases 71 and 72 so as to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by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72a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72b.
The sprocket member 64 is rotatably hous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72a, and the sprocket 64c is formed to drive the cord 40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71 and 72. ,
The pivot member 63 has two wing parts 63b and 63c protruding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disc shaped body part 63a, and protrudes outward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body part 63a. A projection hole 63d having a stepped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fastening portion 63e formed in a groove structure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63a opposite to the projection hole 63d,
The gear connecting means 70 is to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gear 64d which is a small gear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procket member 64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72b of the second case 72. The first gear 73c, which is an air gear assembled to be rotat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71 and 72, and protrudes from the one side of the first gear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61 to rotate the rotation member 63. Engaged in the fastening portion (63e) provided in the fitting fastening portion (73b)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ember (63) and the fitting fastening portion (73b) to be integrally assembled to fit into the projection (63d) of the rotating member (63). Cord line spacing device for a roll bli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gear member (73) having a fitting portion (73a) formed in a hook shape on one side.
상기 회동부재(63)의 두 개의 날개부(63b,63c)중 어느 하나에 사용시 잡고 돌릴 수 있는 접철식 손잡이(6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의 코드줄 간격유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1,
Cord line spacing device for a roll blind,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handle 65 that can be grasped and turned when used in any one of the two wings (63b, 63c) of the rotating member (6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5340A KR101306721B1 (en) | 2011-07-01 | 2011-07-01 | Cord Blinding Device for Roll Blin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5340A KR101306721B1 (en) | 2011-07-01 | 2011-07-01 | Cord Blinding Device for Roll Blind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3780A KR20130003780A (en) | 2013-01-09 |
KR101306721B1 true KR101306721B1 (en) | 2013-09-10 |
Family
ID=4783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5340A KR101306721B1 (en) | 2011-07-01 | 2011-07-01 | Cord Blinding Device for Roll Blin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6721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8143A (en) * | 2015-04-28 | 2016-11-07 | 홍문기 | Blind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 |
KR101950984B1 (en) * | 2018-04-19 | 2019-02-21 | 우드뱅크 주식회사 | Hand-held blind motorized lifting device |
JP2019078127A (en) * | 2017-10-27 | 2019-05-23 | 株式会社ティアンドデイ | Closing device |
KR101977140B1 (en) * | 2018-04-19 | 2019-08-28 | 우드뱅크 주식회사 | Blind line accident prevention device and safety blind using the same |
KR20190122129A (en) * | 2018-04-19 | 2019-10-29 | 우드뱅크 주식회사 | Hand-held blind motorized lifting device |
KR20230034049A (en) | 2021-09-02 | 2023-03-09 | 이신흥 | button type blind line safety cover |
KR102533086B1 (en) | 2022-10-07 | 2023-05-16 | 김필립 | Combi roller blind with fine adjustment function for shad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9398B1 (en) | 2013-08-05 | 2016-09-23 | 권중곤 | safety apparatus for blind line and blind including the same |
KR101409415B1 (en) * | 2013-10-29 | 2014-06-27 | (주)우드림썬브라인드 | Braking appliance for window shades |
CA3153589A1 (en) * | 2022-03-29 | 2023-09-29 | Philip Ng | Chain shroud for roller shade |
US11591851B1 (en) * | 2022-06-16 | 2023-02-28 | Tser Wen Chou | Free hanging safety bead chain tension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38093B2 (en) | 2005-01-18 | 2010-03-24 | トーソー株式会社 | Operation cord type lifting mechanism of solar shading device |
KR100994401B1 (en) | 2010-04-13 | 2010-11-15 | 곽재석 | Safety roll screen blind apparatus |
JP2011006926A (en) | 2009-06-25 | 2011-01-13 | Tachikawa Blind Mfg Co Ltd | Operation cord |
-
2011
- 2011-07-01 KR KR1020110065340A patent/KR10130672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38093B2 (en) | 2005-01-18 | 2010-03-24 | トーソー株式会社 | Operation cord type lifting mechanism of solar shading device |
JP2011006926A (en) | 2009-06-25 | 2011-01-13 | Tachikawa Blind Mfg Co Ltd | Operation cord |
KR100994401B1 (en) | 2010-04-13 | 2010-11-15 | 곽재석 | Safety roll screen blind apparatus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8143A (en) * | 2015-04-28 | 2016-11-07 | 홍문기 | Blind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 |
KR101682804B1 (en) | 2015-04-28 | 2016-12-12 | 홍문기 | Blind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 |
JP2019078127A (en) * | 2017-10-27 | 2019-05-23 | 株式会社ティアンドデイ | Closing device |
JP7040751B2 (en) | 2017-10-27 | 2022-03-23 | 株式会社ティアンドデイ | Switchgear |
KR101950984B1 (en) * | 2018-04-19 | 2019-02-21 | 우드뱅크 주식회사 | Hand-held blind motorized lifting device |
KR101977140B1 (en) * | 2018-04-19 | 2019-08-28 | 우드뱅크 주식회사 | Blind line accident prevention device and safety blind using the same |
KR20190122129A (en) * | 2018-04-19 | 2019-10-29 | 우드뱅크 주식회사 | Hand-held blind motorized lifting device |
KR102525651B1 (en) * | 2018-04-19 | 2023-04-27 | 우드뱅크 주식회사 | Hand-held blind motorized lifting device |
KR20230034049A (en) | 2021-09-02 | 2023-03-09 | 이신흥 | button type blind line safety cover |
KR102533086B1 (en) | 2022-10-07 | 2023-05-16 | 김필립 | Combi roller blind with fine adjustment function for shad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3780A (en) | 2013-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6721B1 (en) | Cord Blinding Device for Roll Blinds | |
AU2008210887B2 (en) | Control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s with reversible drive and single operating element | |
CA2959784C (en) | Enclosed blind control | |
JP5107869B2 (en) | Blind drive | |
US7287570B2 (en) | Window covering lifting system and method | |
US7523777B2 (en) | Roman shade | |
JP2017514041A (en) | Unlaced window shade and its spring drive system | |
US11105149B2 (en) | Enclosed blind control with opening and sliding member, and profile and multiple sprocket | |
JP2019504956A (en) | Window shade | |
KR20180115640A (en) | Window shade | |
US2702081A (en) | Window shade | |
JP2002089154A (en) | Blind apparatus and double glazing with built-in blind | |
US5054535A (en) | Vertical blind | |
US11866992B2 (en) | Cordless operating safety blind | |
JP6473313B2 (en) | Shielding device | |
CA2980064C (en) | Enclosed blind control with opening and sliding member, and profile and multiple sprocket | |
JP7250975B2 (en) | Shielding device | |
JP7329646B2 (en) | Shielding device | |
KR101647483B1 (en) | Roll blind | |
US11988037B2 (en) | Window blind lifting and tilting system | |
US20240279986A1 (en) | Controller for controlling ascending/descending of a roller shade | |
JP6282064B2 (en) | Solar shading material lifting device | |
JP2024084121A (en) | Roll screen device | |
AU2019204383A1 (en) | Enclosed Blind Control | |
JP2008088797A (en) | Blind, longitudinal blind and lateral bli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03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