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415B1 - Braking appliance for window shades - Google Patents
Braking appliance for window shad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9415B1 KR101409415B1 KR1020130129612A KR20130129612A KR101409415B1 KR 101409415 B1 KR101409415 B1 KR 101409415B1 KR 1020130129612 A KR1020130129612 A KR 1020130129612A KR 20130129612 A KR20130129612 A KR 20130129612A KR 101409415 B1 KR101409415 B1 KR 1014094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pe
- cover
- button
- pin
- front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06010003497 Asphy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3443 Unconsci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2—Details of ladder-tapes or ladder chains, e.g. buckles for local shortening of t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라인드용 제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블라인드의 로프에 장착하여 유아의 목이 로프에 걸려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제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backgroun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블라인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블라인드의 로프에 유아의 목이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in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hild is caught in a rope of a blind by the background art.
일반적으로 창문을 통해서 입사(入射)되는 일광(日光)의 조사량(照射量)을 조절하기 위해서 창틀의 상부 천정에 블라인드(1)를 부착한다.In general, the
상기 블라인드(1)는 천정에 부착되는 바(bar) 형상의 프레임(1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보빈(4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빈(40)에 감기는 시트(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40)의 일측 단부에 부착된 기어(도면에 표시하지 않음)가 구성되며, 상기 기어에 감겨서 보빈(40)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로프(30)를 포함한다. 상기 로프(30)의 경우, 창틀의 측방 아래로 길게 드리워지는 것으로서 루프(loop) 모양으로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blind 1 has a bar-
따라서, 상기 로프(30)를 정역 방향으로 돌려서 보빈(40)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보빈(40)의 정역 회전에 의해서 시트(20)를 감거나 풀게 되어 시트(20)를 승강시키게 된다. Therefore, the
그런데, 상기 로프(20)의 경우, 하방으로 드리워지면서 하부가 U자 형으로 형성되므로, 유아들이 상기 로프(20)를 당기면서 놀다가 도 2에서처럼, 머리가 로프(20)를 통과하면서 목이 걸려서 질식사하거나 의식을 잃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본 발명은 유아들의 머리가 블라인드의 로프를 통과하면서 목이 걸려서 질식사하거나 의식을 잃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로프에 장착되어 승강하는 구조에 의해서 평소에는 하강시킨 상태에서 유아들의 머리가 로프 사이로 통과할 수 없도록 차단하고, 로프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상승시켜서 로프의 하방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블라인드용 제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mounted structure for lifting an infant's head in a state of being lowered normally by a structure mounted on the rope so as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suffocation or loss of consciousness when the head of the infant passes through the rope of the blind, And to open the lower portion of the rope by raising the rope when the rope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to provide a braking mechanism for a blind.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제동기구는, 블라인드용 로프에 끼워져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판상의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로프를 압박 및 압박 해제할 수 있는 제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braking mechanism for a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ate-shaped guide fitted on a rope for blind and elevated and lowered, and a braking portion mounted on the guide and capable of pressing and unbending the rope.
또한, 상기 가이드는, 판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좌우 측방에 형성되어 상기 로프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관(管)과, 상기 관의 상호 대향하는 부분에 관통되어 상기 로프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는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절개부에 노출된 로프를 압박 및 압박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guide may include a plate-like body, a tu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so as to allow the rope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brak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pressing and releasing the rope mounted on the body and exposed to the cutout portion.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절개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된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는,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게 상기 바디의 후면을 덮도록 구성된 후방커버와, 상기 후방커버에 대응하도록 상기 바디의 전방을 덮도록 구성된 전방커버와, 상기 전방커버에 상하방으로 길게 관통된 슬로트와, 상기 슬로트를 통해 상기 전방커버의 내부에서 외측방으로 노출된 버튼과, 상기 버튼의 상하방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절개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로프를 압박 및 압박해제하도록, 상기 전방커버와 상기 후방커버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ody may include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cut-out portions. The braking portion may include a rear cover configured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A button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through the slot and a button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over through the slot; And an operating portion accommodated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and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so as to press and unseat the rope exposed through the cutout by a room slide.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후방커버의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며 양측의 상기 절개부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나란히 배치된 핀과, 상기 핀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커버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는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에 지지되어 상방을 향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핀이 통과하고 상기 절개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로프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레버와,상기 레버에서 상기 핀이 통과된 부분의 안쪽(절개부의 반대쪽)을 통과하며 상기 버튼의 후면에 양측으로 나란하게 구성된 핀과, 상기 핀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버튼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을 압박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operating portion may include a fin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over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in so as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correspond to the cut-out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pin, and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over to be positioned below the pin A lever tha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rope passing through the pin and exposed through the cutout, and a pin extending from the lever to the pin, And a protrusion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button to press the compression spring and disposed below the pin so as to be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button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passed portion .
또한, 상기 전방커버의 내측면에서 상기 슬로트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버튼의 하단에 구성된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a hook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below the slot and a hook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button to catch the hook.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핀과 돌출부가 후면에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커버의 내측에서 상기 슬로트에 걸리도록 크기가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로트를 통과하고 상기 슬로트 안에서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크기가 형성된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utton may include a plate having the pin and the protrusion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hook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sized to be caught by the slot at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And a block sized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in the slot.
또한, 상기 후방커버, 바디, 전방커버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피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ear cover, the body, and the front co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제동기구는, 블라인드용 로프를 따라 하강한 상태에서는 로프 사이를 커버하게 되어, 유아의 머리가 통과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목이 로프에 걸려서 질식사하거나 정신을 잃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상승시킨 상태에서는 로프 사이가 개방되므로 로프를 잡고 용이하게 당겨서 시트를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braking mechanism for bli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between the ropes in a state of being lowered along the rope for blinds, thereby preventing the head of the infant from passing throug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suffocation of the infant's neck from being caught by the rope or losing mind, and in the raised state, the space between the ropes is opened.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블라인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블라인드의 로프에 유아의 목이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제동기구가 블라인드의 로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제동기구가 블라인드의 로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제동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제동기구로서 가이드가 로프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의 후면에 후방커버가 조합되며, 상기 가이드의 전방으로 레버와 버튼 및 전방커버가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제동기구로서 전방커버를 이탈시킨 상태에서 버튼을 하강시켰다가 올려서 로프를 압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가이드를 제거하여 버튼을 하강시켰다가 올려서 로프를 압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in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eck of an infant is caught in a rope of a blin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aking mechanism for a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rope of a blin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king mechanism for bli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in a state where it is mounted on a rope of a blind.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F 'of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king mechanism for a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is mounted on a rope as a blind bra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cover is assemb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and a lever, a button and a front cover are detached from the front of the guide.
8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tton is lowered and then raised to press the rope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is detached, as the braking mechanism for a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tate of use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guide is lowered in the state of Fig. 8 and the button is lowered and then pressed to press the rope.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제동기구가 블라인드의 로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제동기구가 블라인드의 로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제동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제동기구로서 가이드가 로프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의 후면에 후방커버가 조합되며, 상기 가이드의 전방으로 레버와 버튼 및 전방커버가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제동기구로서 전방커버를 이탈시킨 상태에서 버튼을 하강시켰다가 올려서 로프를 압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가이드를 제거하여 버튼을 하강시켰다가 올려서 로프를 압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aking mechanism for bli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rope of a bli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aking mechanism for a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rope of a bli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king mechanism for a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raking mechanism for a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ever, a button, and a front cover are detached from the front of the guide,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ind bra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tton is lowered and then raised to urge the rope while the button is lower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rope is pressed.
일반적으로 블라인드에는 시트를 승강시키기 위해서 루프 형상의 블라인드용 로프(R)가 하방으로 드리워져 구성된다. Generally, the blinds are formed by dropping a loop-shaped blind rope R downward to raise and lower the sheet.
본 발명은 상기 블라인드용 로프(R)에 끼워져서 승강하도록 구성된 판상의 가이드(100)가 구성된다. 즉, 양측 로프(R)에 끼워져서 상하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양측 로프(R) 사이를 커버하므로 유아의 머리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ate-like guide (100)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raised by the blind rope (R). In other words, it is structured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two ropes R so as to be vertically transported, and to cover the space between the two ropes R, so that the head of the infant can not pass.
또한, 상기 가이드(100)에 장착되어 상기 로프(R)를 압박 및 압박 해제할 수 있는 제동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로프(R)를 회전시켜서 시트를 승강시킬 때에는 상기 가이드(100)를 올려서 제동시키고, 로프(R)를 사용한 후에는 제동을 풀어서 상기 가이드(100)를 내릴 수 있도록 구성한다.And a
상기 가이드(100)는 일례로서, 판상의 바디(110)로서 상기 로프(R) 사이에 개재되는 형상의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좌우 측방에 형성되어 상기 로프(R)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관(120, 管)이 구성된다. 따라서, 로프(R)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바디(110)는 로프(R) 사이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120)의 상호 대향하는 부분에 관통되어 상기 로프(R)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절개부(123)가 구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작동부(240)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110)에 관통구(113)가 구성되는데, 양측 절개부(123) 사이에 배치된다. The
상기 제동부(200)는 상기 바디(110)에 장착되어 상기 절개부(123)에 노출된 로프(R)를 압박 및 압박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관통구(113)에 대응하도록 상기 바디(110)의 후면을 덮도록 후방커버(2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커버(210)에 대응하도록 상기 바디(110)의 전방을 덮도록 전방커버(2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커버(220)에 상하방으로 길게 관통된 슬로트(223)가 구성되고, 상기 슬로트(223)를 통해 상기 전방커버(220)의 내부에서 외측방으로 노출된 버튼(2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230)의 상하방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절개부(123)를 통해 노출된 상기 로프(R)를 압박 및 압박해제하도록, 상기 전방커버(220)와 상기 후방커버(210)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구(113)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작동부(240)가 구성된다.The
상기 작동부(240)는 일례로서, 상기 후방커버(210)의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관통구(113)를 통과하며 양측의 상기 절개부(123)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나란히 배치된 2개의 핀(24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핀(24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커버(210)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구(113)를 통과하는 서포터(242)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242)에 지지되어 상방을 향하는 압축스프링(243)이 구성된다. 상기 서포터(242)는 일례로서, 돌출된 블록 형상으로서 압축스프링(243)에 끼워지는 돌기(도면에 표시하지 않음)가 더 구성되어 압축스프링(243)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또한, 상기 핀(241)이 통과하고 상기 절개부(123) 쪽으로 회동하여 노출된 상기 로프(R)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레버(244)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244)에서 상기 핀(241)이 통과된 부분의 안쪽(절개부의 반대쪽)을 통과하며 상기 버튼(230)의 후면에 양측으로 나란하게 구성된 핀(245)이 구성된다. 즉, 상기 레버(244)에는 후방커버(210)의 핀(241)이 관통하는 핀홀(Q)이 구성되고, 상기 핀홀(Q)에서 안쪽(절개부의 반대쪽)에 전방커버(220)의 핀(245)이 통과하는 핀홀(P)이 구성된다. A
상기 구성에 의해, 후방커버(210)에 연결된 양측 핀(241)의 피치가, 전방커버(220)에 연결된 양측 핀(245)의 피치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버튼(230)이 상승하게 되면 레버(244)가 바깥으로 회동하면서 절개부(123)를 통과하여 로프(R)를 압박하게 되고, 버튼(230)을 하강시키면 양측 레버(244)가 오므라들면서 절개부(123)에서 이탈하게 된다. 상기 버튼(230)은 후크(249)가 걸림홈(247)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압축스프링(243)에 의해서 상승한 상태가 되어 양측 레버(244)는 절개부(123)를 통과하여 로프(R)를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The pitch of the
또한, 상기 핀(245)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버튼(230)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243)을 압박하는 돌출부(2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246)에는 일례로서 압축스프링(243)이 삽입되는 홀(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이 구성되어 압축스프링(243)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nd a
또한, 상기 전방커버(220)의 내측면에서 상기 슬로트(223)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걸림홈(247)을 구성하고, 상기 걸림홈(247)에 걸리도록 상기 버튼(230)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249)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버튼(230)을 하강시켜서 후크(249)가 걸림홈(247)에 걸리게 하면 버튼(230)의 상승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The
상기 버튼(230)은 일례로서, 상기 핀(245)과 돌출부(246)가 후면에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후크(249)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커버(220)의 내측에서 상기 슬로트(223)에 걸리도록 크기가 형성된 플레이트(23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31)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로트(223)를 통과하여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크기가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푸시할 수 있는 블록(235)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231)에 의해서 버튼(230)이 슬로트(223) 밖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블록(235)을 눌러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또한, 상기 후방커버(210), 바디(110), 전방커버(220)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피스(300)를 구성하므로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since the
즉, 상기 후방커버(210)와 바디(110)를 관통하는 피스홀(217, 117)이 구성되고, 상기 피스홀(217, 117)에 대응하도록 전방커버(220)의 후면에 돌출된 돌기(227)가 구성되고 상기 돌기(227)에 피스(300)가 체결되는 탭홀(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홀(217, 117)을 피스(300)가 통과한 후, 상기 탭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That is, the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도 8 및 도 9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먼저, 상기 후크(249)가 걸림홈(247)에서 이탈된 상태가 되면 압축스프링(243)이 버튼(230)을 밀어올리게 되어 레버(244)를 외측방을 회동시켜서 상기 절개부(123)를 통과하여 로프(R)를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100)는 제동된 상태가 유지되어 로프(R)를 따라 이송하는 현상이 방지된다.When the
이 상태에서 상기 버튼(230)을 하방으로 내리면, 압축 스프링(243)이 압축되면서 후크(249)가 상기 걸림홈(247)에 걸리게 되면 버튼(230)의 하강 상태가 유지되면서 레버(244)는 안쪽으로 회동하여 오므라들게 되므로 절개부(123)를 빠져나오게 되어 제동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100)는 로프(R)를 따라 이송하는 현상이 가능하다.When the
따라서, 도 3에서처럼, 블라인드용 제동기구(90)가 로프(R)를 따라 하강한 상태에서는 로프(R) 사이를 커버하게 되어, 유아의 머리가 통과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목이 로프(R)에 걸려서 질식사하거나 정신을 잃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처럼, 상승시킨 상태에서는 로프(R) 사이가 개방되므로 로프(R)를 잡고 용이하게 당겨서 시트를 승강시킬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90: 블라인드용 제동기구 100: 가이드
110: 바디 113: 관통구
117: 피스홀 120: 관
123: 절개부 200: 제동부
210: 후방커버 217: 피스홀
220: 전방커버 223: 슬로트
227: 돌기 230: 버튼
231: 플레이트 235: 블록
240: 작동부 241, 245: 핀
242: 서포터 243: 압축스프링
244: 레버 246: 돌출부
247: 걸림홈 249: 후크
300: 피스 90: Blind braking mechanism 100: Guide
110: Body 113: Through hole
117: piece hole 120: tube
123: incision section 200:
210: rear cover 217: piece hole
220: Front cover 223: Slot
227: projection 230: button
231: Plate 235: Block
240:
242: Supporter 243: Compression spring
244: Lever 246:
247: latching groove 249: hook
300: piece
Claims (7)
상기 바디(110)의 좌우 측방에 형성되어 블라인드용 로프(R)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관(120, 管)과,
상기 관(120)의 상호 대향하는 부분에 관통되어 상기 로프(R)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절개부(123)와,
상기 절개부(123)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110)에 형성된 관통구(1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로프(R)에 끼워져서 승강하는 판상의 가이드(100) 및,
상기 관통구(113)에 대응하게 상기 바디(110)의 후면을 덮도록 구성된 후방커버(210)와,
상기 후방커버(210)에 대응하도록 상기 바디(110)의 전방을 덮도록 구성된 전방커버(220)와,
상기 전방커버(220)에 상하방으로 길게 관통된 슬로트(223)와,
상기 슬로트(223)를 통해 상기 전방커버(220)의 내부에서 외측방으로 노출된 버튼(230)과,
상기 버튼(230)의 상하방 슬라이드에 의해 상기 절개부(123)를 통해 노출된 상기 로프(R)를 압박 및 압박해제하도록 상기 전방커버(220)와 상기 후방커버(210)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구(113)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작동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바디(110)에 장착돼 상기 절개부(123)에 노출된 로프(R)를 압박 및 압박 해제할 수 있는 제동부(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제동기구. A plate body 110,
A tube 120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10 so as to allow the blind rope R to pass therethrough,
A cutout 123 configured to penetrate the mutually opposing portions of the tube 120 to expose the rope R,
A guide 100 having a plate shape and including a through hole 113 formed in the body 110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cutouts 123 and to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rope R,
A rear cover 210 configured to cover a rear surface of the body 110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3,
A front cover 220 configured to cover the front of the body 110 to correspond to the rear cover 210,
A slot 223 formed in the front cover 220 so as to pass through the front cover 220 vertically,
A button 230 exposed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220 through the slot 223,
The front cover 220 and the rear cover 210 are accommodated between the front cover 220 and the rear cover 210 to press and release the rope R exposed through the cutout 123 by sliding the button 230 upward and downward, And an actuating part 240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13. The body part 110 includes a body 110 mounted on the body 110 and capable of pressing and releasing the rope R exposed to the cut- And an eccentric portion (200).
상기 작동부(240)는, 상기 후방커버(210)의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관통구(113)를 통과하며 양측의 상기 절개부(123)에 대응되도록 양측에 나란히 배치된 핀(241)과,
상기 핀(24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커버(210)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구(113)를 통과하는 서포터(242)와,
상기 서포터(242)에 지지되어 상방을 향하는 압축스프링(243)을 포함하고,
상기 핀(241)이 통과하고 상기 절개부(123)를 통해 노출된 상기 로프(R)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레버(244)와,
상기 레버(244)에서 상기 핀(241)이 통과된 부분의 안쪽(절개부의 반대쪽)을 통과하며 상기 버튼(230)의 후면에 양측으로 나란하게 구성된 핀(245)과,
상기 핀(245)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버튼(230)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243)을 압박하는 돌출부(2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제동기구.The method of claim 3,
The operating portion 240 includes a pin 24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over 210 and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3 and aligned on both sid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t-
A supporter 242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over 210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pin 241 and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3,
And a compression spring (243) supported by the supporter (242) and facing upward,
A lever 244 configured to press the rope R through which the pin 241 passes and exposed through the cutout 123,
A pin 245 passing through the lever 244 in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pin 241 is passed (the opposite side of the cutout) and being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button 230,
And a protrusion (246)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button (230) so as to be disposed below the pin (245) and pressing the compression spring (243).
상기 전방커버(220)의 내측면에서 상기 슬로트(223)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걸림홈(247)과,
상기 걸림홈(247)에 걸리도록 상기 버튼(230)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24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제동기구.5. The method of claim 4,
An engaging groove 247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220 to be positioned below the slot 223,
And a hook (249)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utton (23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atching groove (247).
상기 버튼(230)은, 상기 핀(245)과 돌출부(246)가 후면에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후크(249)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커버(220)의 내측에서 상기 슬로트(223)에 걸리도록 크기가 형성된 플레이트(231)와,
상기 플레이트(231)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로트(223)를 통과하여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크기가 형성된 블록(23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제동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utton 230 is formed such that the pin 245 and the protrusion 246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and the hook 249 is formed at the lower end and is caught by the slot 223 from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220. [ A size-formed plate 231,
And a block (235)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231) and sized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through the slot (223).
상기 후방커버(210), 바디(110), 전방커버(220)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피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제동기구.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And a piece (300) for passing through the rear cover (210), the body (110), and the front cover (2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9612A KR101409415B1 (en) | 2013-10-29 | 2013-10-29 | Braking appliance for window shad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9612A KR101409415B1 (en) | 2013-10-29 | 2013-10-29 | Braking appliance for window shad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9415B1 true KR101409415B1 (en) | 2014-06-27 |
Family
ID=5113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96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9415B1 (en) | 2013-10-29 | 2013-10-29 | Braking appliance for window shad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941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853411A (en) * | 2022-05-31 | 2023-03-28 | 斯替斯西恩必有限公司 | A roller shutter driving device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s caused by driving rop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8879B1 (en) * | 2006-09-21 | 2007-12-27 | 이우정 | Opening and Closing Handles for Vertical Blinds |
KR20130003780A (en) * | 2011-07-01 | 2013-01-09 | 변태웅 | The distance maintain apparatus for code wire of roll blind |
-
2013
- 2013-10-29 KR KR1020130129612A patent/KR10140941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8879B1 (en) * | 2006-09-21 | 2007-12-27 | 이우정 | Opening and Closing Handles for Vertical Blinds |
KR20130003780A (en) * | 2011-07-01 | 2013-01-09 | 변태웅 | The distance maintain apparatus for code wire of roll blin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853411A (en) * | 2022-05-31 | 2023-03-28 | 斯替斯西恩必有限公司 | A roller shutter driving device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s caused by driving rop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75861B2 (en) | Brake for a cordless blind | |
US8820385B2 (en) | Control device for cordless blind with willful stop | |
US9359815B2 (en) | Device for controlling the actuation of a group for moving a curtain/awning | |
CN106539474A (en) | Pull-rope-free curtain control device | |
US20160168907A1 (en) | Safety device of blind cord | |
WO2012088219A1 (en) | Window treatment with cord guard | |
JP2009121232A (en) |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mechanism of the cover of the building opening | |
JP2008002193A (en) | Operating code safety mechanism of solar insolation shading device | |
KR101409415B1 (en) | Braking appliance for window shades | |
DK2993298T3 (en) | Control device, especially for a shading system, for operation with a string element | |
KR101619728B1 (en) | Elevator car rescue device with illumination | |
US20230313607A1 (en) | Chain shroud for roller shade | |
US2175977A (en) | Cord-locking mechanism for venetian blinds | |
US20150246788A1 (en) | Device for collecting cord | |
KR20190085326A (en) | Edge Type LED Lighting Device | |
US20060175022A1 (en) | Pulling cord winder for venetian blind | |
US2223403A (en) | Cord locking mechanism for venetian blinds | |
US4724556A (en) | Latch for crib dropside | |
JP3909472B2 (en) | Smoke shield | |
KR200456204Y1 (en) | Lock on the safety window | |
JP5576780B2 (en) | Roll screen | |
JP2018003440A (en) | Automatic hoisting type grip and shielding device | |
KR20120000337U (en) | automatic locking device of a fly net | |
KR20120121506A (en) | A window fixing device | |
JP2500895Y2 (en) | Area latt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2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