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967B1 - Mobile terminal having shielding cap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having shielding c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5967B1 KR101305967B1 KR1020060090135A KR20060090135A KR101305967B1 KR 101305967 B1 KR101305967 B1 KR 101305967B1 KR 1020060090135 A KR1020060090135 A KR 1020060090135A KR 20060090135 A KR20060090135 A KR 20060090135A KR 101305967 B1 KR101305967 B1 KR 1013059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losing cap
- closing
- card
- mobile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 등 이동단말기용 카드가 삽착되는 카드소켓이 수용되도록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는 소켓수용부와; 소켓수용부에 실장된 카드소켓으로부터 이동단말기용 카드를 인출하도록 소켓수용부와 연통하며 단말기 본체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공과; 개구공을 개폐하는 개폐캡과; 개폐캡에 연결되어 개폐캡 삽탈시 소정부위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연결부와; 연결부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 말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캡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cket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the terminal body to accommodate a card socket into which a card for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emory card, is inserted; An opening hole formed i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socket accommodation portion to withdraw the card for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card socket mounted in the socket accommodation portion; An opening and closing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hole;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cap and a predetermined portion drawn out from the terminal body when the opening / closing cap is removed; It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ca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projection formed on th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is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메모리카드, 개폐캡, 데코레이션캡, 카드소켓 Memory Card, Opening Cap, Decoration Cap, Card Socket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종단면 사시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개폐캡 및 연결부의 측면도.Figure 3a is a side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cap and connecting portio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개폐캡 및 연결부의 평면도.Figure 3b is a plan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cap and connecting portio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결합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작동도.Figure 5 is an operatio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단말기 본체 110: 소켓수용부100: terminal body 110: socket receiving portion
120: 개구공 130a: 돌출부120:
130b: 요입부 140: 개폐캡130b: recessed part 140: opening and closing cap
142: 연결부 143: 걸림돌기142: connecting portion 143: engaging projection
144: 지지돌기 146: 고정돌기144: support protrusion 146: fixing protrusion
148: 누름돌기 150: 데코레이션캡148: push protrusion 150: decoration cap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 심(SIM)카드 등이 착탈되는 카드소켓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용 각종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소켓을 개폐하는 개폐캡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card socket to which a memory card, SIM (SIM) card and the like are detach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rd socket into which the various cards for the mobile terminal are inserted. will be.
휴대전화기를 비롯한 이동단말기들은 그 기능이 점차 다양해지고 확대되어짐에 따라 요구되는 저장용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As mobile phones and other mobile devices are increasingly diversified and expanded in function, the required storage capacity is increasing.
예를 들어 디지털카메라나 MP3 기능이 탑재된 휴대전화기의 경우, 휴대전화기에 요구되는 고유의 저장용량에 더하여 사진 데이터나 MP3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많은 추가의 메모리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런 이유로 휴대전화기에 메모리카드용 소켓을 구비시켜 사용자의 휴대전화기 사용 양태에 따라 취향에 맞게 별도의 확장 메모리카드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모델이 개발되어 있다.For example, a digital camera or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MP3 function requires a lot of additional memory to store photo data or MP3 data in addition to the inherent storage required for the mobile phone. A model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socket for a memory card is provided to selectively install and use a separate expansion memory card according to a user's usage pattern of a mobile phone.
이와 더불어 전통적으로 플라스틱카드 형태로 사용되어 오던 스마트카드도 휴대전화기에 소켓을 통해 장착됨으로써 휴대전화기와 기능적으로 결합하게 되었다. 저장기능, 연산기능 및 보안기능을 가지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 운영체계, 보안모듈, 메모리 등을 구비한 IC칩으로서, 금융, 통신, 교육, 행정, 교통 등 정보통신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정보의 기록이나 신원확인, 전자화폐, 신용카드 또는 전자통장 등의 결제수단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스마트카드가 휴대전화기와 기능적으로 통합됨에 따라, 별도로 스마트카드를 소지함이 없이 휴대전화기만으로 스마트카드 관련 제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smart cards, which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in the form of plastic cards, have been functionally combined with mobile phones by being mounted through sockets on mobile phones. IC chip equipped with microprocessor, operating system, security module, memory, etc. to have storage function, arithmetic function and security function. It is used to record information in almost all field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uch as finance, communication,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transportation. As smart cards, which are widely used as payment methods such as identity verification, electronic money, credit card or electronic bank account, are functionally integrated with mobile phones, they do not have a smart card. It can be implemented.
이처럼 휴대전화기로 대표되는 이동단말기의 기능이 더욱 확대되고 다양해짐에 따라, 이동단말기에는 각종 메모리카드의 탈착을 위한 메모리카드용 소켓과 스 마트카드의 탈착을 위한 스마트카드용 소켓이 필요하게 되었고, 사용자는 본인이 요구하는 기능에 맞는 카드를 해당 카드소켓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었다.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represented by the mobile phone are further expanded and diversified, the mobile terminal needs a socket for a memory card for the removal of various memory cards and a socket for the smart card for the removal of the smart card. The user has installed a card that fits the function required by the user to the card socke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용 카드를 카드소켓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easily removable to the card for the mobile terminal card.
또한,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용 카드소켓을 개폐하는 개폐캡을 구비하되, 이동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이 통일성을 잃지 않고 수려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rd socket for the mobile terminal, to provide a beautiful mobile terminal without losing the appearance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 등 이동단말기용 카드가 삽착되는 카드소켓이 수용되도록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는 소켓수용부와; 소켓수용부에 실장된 카드소켓으로부터 이동단말기용 카드를 인출하도록 소켓수용부와 연통하며 단말기 본체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공과; 개구공을 개폐하는 개폐캡과; 개폐캡에 연결되어 개폐캡 삽탈시 소정부위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연결부와; 연결부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 말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캡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cket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the terminal body to accommodate a card socket into which a card for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emory card, is inserted; An opening hole formed i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socket accommodation portion to withdraw the card for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card socket mounted in the socket accommodation portion; An opening and closing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hole;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cap and a predetermined portion drawn out from the terminal body when the opening / closing cap is removed; It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ca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projection formed on th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is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부의 두께는 개폐캡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pening and closing cap.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부는 개폐캡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cap.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 측면 중 개구공이 형성되는 부위에는 계단형상의 턱부를 이루도록 돌출부와 요입부가 형성되고; 개폐캡의 바닥면 중 요입부에 대향에는 부위에는 요입부와 접촉되는 지지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ing portions and concave portions are formed at portions of the terminal body side in which opening holes are formed so as to form stepped jaw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rojection in contact with the indentation portion protrudes and formed at the portion opposite to the indentation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cap.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개폐캡의 바닥면 중 하단부에는 개구공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누름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cap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rotrusion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hole protrude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부의 재질은 우레탄(ureth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urethane (urethan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개폐캡의 측면과 이에 대향하는 단말기 본체 측면의 개구공이 형성되는 부위 중 어느 한 곳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개폐캡의 측면과 이에 대향하는 단말기 본체 측면의 개구공이 형성되는 부위 중 다른 한 곳에는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protrusion is formed at any one of a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cap and an opening hole i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opposite to the opening / closing cap;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the cap and the terminal body side opposite to thi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jection is form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종단면도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종단면 사시도를,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개폐캡 및 연결부의 측면도를,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개폐캡 및 연결부의 평면도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결합사시도를,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작동도를 나타낸다.Figure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side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cap and connecting portion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A plan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cap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n operatio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단말기 본체(100)를 갖는다. 단말기 본체(100)에는 소켓수용부(11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도2를 참조하면 소켓수용부(110)는 카드소켓(210)이 수용되는 공간이며, 카드소켓(210)에는 메모리카드(310)가 횡방향으로 삽착된다. 카드소켓(210)은 메모리카드(310)를 누름에 따라 메모리카드(310)를 락킹(locking) 및 언락킹(unlocking)하는 푸시-락/푸시-언락(push-lock/push-unlock) 방식의 결합구조를 갖는 통상의 카드소켓이다.Referring to FIG. 2, the
도1, 도2 및 도5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100) 측면에는 개구공(120)이 형성된다. 개구공(120)은 카드소켓(210)이 소켓수용부(110)에 실장된 경우, 카드소켓(210)으로부터 메모리카드(310)가 인출 가능하도록, 소켓수용부(110)와 연통하며 단말기 본체(110) 측면에 형성된다.1, 2 and 5, the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100) 측면에는 돌출부(130a)와 요입부(130b)가 형성된다. 돌출부(130a)와 요입부(130b)는 단말기 본체(100) 측면 중 개구공(120)이 형성되는 부위가 계단형상의 턱부를 이루도록 형성된다.1 and 2,
도1, 도2를 참조하면 개구공(120)에는 개구공(120)을 개폐하는 개폐캡(140)이 착탈된다.1 and 2, the
도1, 도2 및 도3a를 참조하면 개폐캡(140)의 바닥면에는 지지돌기(144)가 돌출·형성된다. 지지돌기(144)는 개폐캡(140)의 바닥면 중, 개폐캡(140)이 개구공(120)에 삽착된 경우 요입부(130b)에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지지돌기(144)의 높이는 개폐캡(140)이 개구공(120)에 삽착된 경우 요입부(130b)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즉, 개폐캡(140)이 개구공(120)에 삽착된 경우 개폐캡의 바닥 상단부는 돌출부(130a)에 접촉·지지되고, 개폐캡(140)의 중·하단부는 지지돌기(144)가 요 입부(130b)에 접촉함으로써 지지된다.1, 2 and 3a, the
도3b를 참조하면 지지돌기(144)는 양측부(도면부호 미부여)가 돌출되고 중앙부(도면부호 미부여)가 요입되는 요철부로 형성된다. 중앙부(도면부호 미부여)는 개폐캡(140) 삽착시 요입부(130b)를 통해 돌출되는 메모리카드(310) 선단부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3B, the
도3b를 참조하면 개폐캡(140)의 바닥면 중 하단부에는 누름돌기(143)가 돌출·형성된다. 누름돌기(143)는 개구공(120)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B, the
도3a 및 도3b를 참조하면 개폐캡(140)의 측면에는 고정돌기(146)가 형성된다. 단말기 본체(100) 측면의 개구공이 형성되는 부위 중 개폐캡(140) 삽착시 고정돌기(146)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고정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고정홈(도면 미도시)은 고정돌기(146)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3A and 3B, a
도1, 도3a, 도3b를 참조하면 개폐캡(140)에는 연결부(142)가 연장·연결된다. 도2 및 도5를 참조하면 연결부(142)는 개폐캡(140)에 연결되어 개폐캡(140)이 개구공(120)에서 삽탈되어 개구공(120)을 개방하는 경우 단말기 본체(100)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도록 소정길이를 갖고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142)는 개폐캡(140)의 바닥면에 연결된다.1, 3A and 3B, the connecting
도2, 도3a 및 도5를 참조하면 연결부(142) 말단에는 걸림돌기(143)가 돌출·형성된다. 걸림돌기(143)는 연결부(142)가 단말기 본체(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부(143)가 인출되는 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2, 3A and 5, the engaging
도2, 도3a 및 도5를 참조하면 연결부(142)의 두께는 개폐캡(14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며, 그 재질은 유연성 있는 우레탄(urethane)으로 형성된다.2, 3A and 5, the thickness of the
이하 상기한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소켓수용부(110)에는 카드소켓(210)이 실장된다. 카드소켓(210)이 실장되면 연결부(142)의 소정부위 및 걸림돌기(143)를 단말기 본체(142) 안쪽에 위치시키고 단말기 본체를 조립한다.1 and 2, the
도5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100)가 조립뒤 단말기 본체(100) 내부에 위치한 연결부(142)의 소정부위를 인출한 뒤 개구공(120)을 통해 메모리카드(310)를 카드소켓(210)에 인입한다. 이때, 연결부(142) 말단에는 걸림돌기(14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부(142)가 단말기 본체(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카드소켓(210)에 삽착된 메모리카드(310)의 선단부는 요입부(130b) 밖으로 돌출된다.Referring to FIG. 5, after the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카드소켓(210)에 메모리카드(310)가 삽착된 뒤 연결부(142)의 소정부위를 단말기 본체(100)로 인입시키고, 개폐캡(140)을 개구공(120)에 삽착한다. 이때, 개폐캡(140)의 바닥면 상부는 돌출부(130a)와 접촉하고, 지지돌기(144)의 양측면(도면부호 미부여)는 요입부(130b)와 접촉한다. 따라서, 개폐캡(140)이 안정성 있게 개구공(120)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지지돌기(144)의 중앙부는 요입되어 요입부(130b) 밖으로 돌출된 메모리카드(310)의 선단부와 접촉하지 않거나 접촉하여도 개폐캡(140) 누름시 메모리카드(310)에 힘을 가하지 않게 되어 푸시-락/푸시-언락(push-lock/push-unlock) 방식의 카드소켓(210)으로부터 메모리카드(310)가 인출될 염려가 없게 된다.1 and 2, after the
도3a, 도3b를 참조하면 개폐캡이 개구공(210)에 삽착된 경우 고정돌기(146)가 고정홈(도면 미도시)에 끼워지므로 개폐캡이 개구공(210)에 안정성 있게 삽착된다.3A and 3B, when the opening / closing cap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210, since the fixing
메모리카드(310)를 카드소켓(210)으로부터 인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A case where the
도2 및 도5를 참조하면 개폐캡(140)을 개구공(120)으로부터 삽탈하게 되면 연결부(142)가 단말기 본체(100)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이때, 연결부(142) 말단에는 걸림돌기(14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부(142)가 단말기 본체(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2 and 5, when the opening /
도2 및 도3b를 참조하면 누름돌기(148)로 요입부(130b) 밖으로 돌출된 메모리카드(310)의 선단부를 누르게 된다. 이때, 메모리카드(310)는 푸시-락/푸시-언락(push-lock/push-unlock) 방식의 카드소켓(210)으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즉, 도1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측면 외곽에서 카드소켓(210)의 선단부까지의 거리 d는 소정의 크기를 가질 수 밖에 없고, 거리 d에 따라 메모리카드(310)의 삽입위치가 결정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개구공(120)의 크기 또는 폭이 좁아 단말기 본체(100)의 최외각으로부터 소정깊이에 위치하는 메모리카드(310)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눌러 인출시키는데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본 발명은 누름돌기(148)를 이용하여 요입부(130b) 밖으로 돌출된 메모리카드(310)의 선단부를 누르게 되어 메모리카드(310)를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2 and 3B,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도5를 참조하면 인출되는 메모리카드(310)를 외부로 완전히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연결부(142)를 굽혀 개폐캡(140)이 개구공(120)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 다. 이때, 연결부(142)는 유연성 있는 우레탄재질이므로 용이하게 굴곡된다.Referring to FIG. 5, in order to completely withdraw the
또한, 본 발명은 누름돌기(148)를 이용하여 메모리카드(31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므로 개구공(120)의 폭을 넓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도4를 참조하면 개폐캡(140)의 너비를 데코레이션캡(150)의 너비와 같이 할 수 있고, 개폐캡(140)이 개구공(120)을 완전히 덮을 수 있으므로 외관 디자인의 통일성을 이룰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widen the width of the
본 발명은 카드소켓이 실장되면 연결부의 소정부위 및 걸림돌기를 단말기 본체 안쪽에 위치시키고 단말기 본체를 조립하고 개구공을 통해 메모리카드를 인입시키므로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asy assembly because the card socket is mounted to the predetermined portion and the locking projections inside the terminal body, the terminal body is assembled and the memory card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hole.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 말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부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nection is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because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또한, 본 발명은 지지돌기의 중앙부가 요입되어 있어 개폐캡 삽착시 개폐캡(140) 누르는 경우에도 메모리카드(310)에 힘을 가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is recessed so that even when pressing the opening and
또한, 본 발명은 누름돌기를 이용 메모리카드의 선단부를 눌러 메모리카드를 카드소켓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memory card can be easily withdrawn from the card socket by pressing the front end of the memory card using the pusher.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를 유연성 있는 우레탄재질로 하여 용이하게 굴곡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bent by the flexible urethane material connec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개구공의 폭을 넓게 할 필요가 없으며, 개폐캡의 너비를 데코레이션캡의 너비와 같이 할 수 있고, 개폐캡이 개구공을 완전히 덮을 수 있으므 로 외관 디자인의 통일성을 이룰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widen the width of the opening hole, the width of the opening and closing cap can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decoration cap,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ap can completely cover the opening hole so that it can achieve the uniformity of appearance design do.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0135A KR101305967B1 (en) | 2006-09-18 | 2006-09-18 | Mobile terminal having shielding ca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0135A KR101305967B1 (en) | 2006-09-18 | 2006-09-18 | Mobile terminal having shielding ca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5530A KR20080025530A (en) | 2008-03-21 |
KR101305967B1 true KR101305967B1 (en) | 2013-09-12 |
Family
ID=3941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01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5967B1 (en) | 2006-09-18 | 2006-09-18 | Mobile terminal having shielding ca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596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82821B (en) * | 2018-10-18 | 2023-03-10 |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 Card holds in palm and contains its mobile termina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8657Y1 (en) * | 2004-09-08 | 2004-11-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ceptacle cap fastening structure for mobile phone |
KR20050056666A (en) * | 2003-12-10 | 2005-06-16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An apparatus for earjack cov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20060040358A (en) * | 2004-11-05 | 2006-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vable Bluetooth antenna |
-
2006
- 2006-09-18 KR KR1020060090135A patent/KR10130596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6666A (en) * | 2003-12-10 | 2005-06-16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An apparatus for earjack cov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200368657Y1 (en) * | 2004-09-08 | 2004-11-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ceptacle cap fastening structure for mobile phone |
KR20060040358A (en) * | 2004-11-05 | 2006-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vable Bluetooth antenn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5530A (en) | 2008-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0576B1 (en) | External Card Remover | |
KR100717739B1 (en) | Dual card type connecto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US7798858B1 (en) | Chip card holder | |
KR101641104B1 (en) | Connector Apparatus with Contact Failure Preventing Function | |
CN101019133A (en) | Memory card connector | |
KR101489490B1 (en) | Connector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 |
KR101305967B1 (en) | Mobile terminal having shielding cap | |
KR102141911B1 (en) | Card paymant terminal | |
US20180332725A1 (en) | Connector device | |
KR100683835B1 (en) | Dual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37579B1 (en) | Dual connection device for storage media connec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ame | |
KR100573284B1 (en) | Card mounting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468956B1 (en) | Dual card type socket | |
KR100984137B1 (en) | Card type USB device | |
KR100749161B1 (en) | Card connector | |
JP4170745B2 (en) | SIM reader / writer | |
KR200350772Y1 (en) | Socket for Installing Card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976768B1 (en) | Connector of IC Card Reader | |
KR20100045101A (en) | Usim card of mobile telephone for withdrawal out easy | |
KR200446196Y1 (en) | Card type USB device | |
WO2008004214A2 (en) | Electrical adapter for coupling to a portable card and a portable card integral with such an adapter | |
KR200413779Y1 (en) | Dual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576031B1 (en) | Dual connection device for storage media connec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ame | |
KR20070098313A (en) | Grounding structure of dual card connecto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413889Y1 (en) |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guide structure of sli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8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9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3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0731 Appeal identifier: 2013101004010 Request date: 20130529 |
|
AMND | Amendmen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06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12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13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70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