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779Y1 - Dual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Dual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3779Y1 KR200413779Y1 KR2020060001305U KR20060001305U KR200413779Y1 KR 200413779 Y1 KR200413779 Y1 KR 200413779Y1 KR 2020060001305 U KR2020060001305 U KR 2020060001305U KR 20060001305 U KR20060001305 U KR 20060001305U KR 200413779 Y1 KR200413779 Y1 KR 20041377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d
- terminals
- smart card
- socket
- sm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1)은,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소켓프레임(10), 소켓프레임(1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스마트카드(3)를 장착하기 위한 카드삽입구(21)가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카드슬롯(20), 스마트카드(3)의 단자들(3A)에 접속되도록 스마트카드슬롯(20) 쪽으로 소켓프레임(10)의 일측면에 노출 형성된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 소켓프레임(10)을 사이에 두고 스마트카드슬롯(20)과 상하로 적층되도록 소켓프레임(10)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메모리카드(4)를 장착하기 위한 카드삽입구(41)가 형성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슬롯(40), 및 메모리카드(4)의 단자들(4A)에 접속되도록 메모리카드슬롯(40) 쪽으로 소켓프레임(10)의 타측면에 노출 형성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으로서, 스마트카드(3)의 8개의 단자들(3A)에 접속되도록 소켓프레임(10)에 인서트 사출로 설치된 8개의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켓프레임(10)에 형성된 8개의 관통구들(11), 및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이 삽입 설치되도록 소켓프레임(10)에 형성된 단자장착구들(12)을 포함하고, 단자당착구들(12)에 설치된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은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 중에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에 인접한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A)과 소켓프레임(10)의 두께에 의해 쇼트 되지 않는 상태로 오버랩 된다.The dual card socket 1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ocket frame 10, the socket frame 10, forming an overall skeleton and the card insertion hole for mounting the smart card ( Smart card slot 20 having 21 formed therein, terminals for smart card formed on one side of the socket frame 10 toward the smart card slot 20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s 3A of the smart card 3 3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ocket frame 10 so as to be stacked up and down with the smart card slot 20 with the socket frame 10 therebetween, and the card insertion hole 41 for mounting the memory card 4 is provided. Memory card slots 40 formed on the memory card slot 40 and the memory card terminals ex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ocket frame 10 toward the memory card slot 4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s 4A of the memory card 4. A dual card socket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50, a smart car Eight smart card terminals 30 installed by insert injection into the socket frame 10 to be connected to the eight terminals 3A of (3), and the socket fram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mart card terminals 30. Eight through holes 11 formed in the 10 and terminal mounting holes 12 formed in the socket frame 10 so that the terminals 50 for the memory card are inserted into the terminal fitting holes 12 The installed memory card terminals 50 are shorted by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smart card terminals 30A adjacent to the memory card terminals 50 and the socket frame 10 among the smart card terminals 30. It overlaps without being.
Descrip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듀얼 카드소켓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card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듀얼 카드소켓의 다른 방향 사시도, 2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 dual card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듀얼 카드소켓에 대한 스마트카드와 메모리카드의 장착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the smart card and memory card for a dual card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휴대전화기에 적용된 종래 듀얼 카드소켓의 개략도,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dual card socket applied to a mobile phone;
도5는 종래 듀얼 카드소켓의 사시도,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ual card socket,
도6은 표준화된 콤비칩의 단자 배치도. 6 is a terminal layout of the standardized combination chip.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본 고안의 듀얼 카드소켓 2: 이동통신단말기(휴대전화기)1: dual card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phone)
3: 스마트카드 3A: 스마트카드 단자3:
4: 메모리카드 4A: 메모리카드 단자4:
10: 소켓프레임 11: 관통구10: socket frame 11: through hole
11A: 제1 관통구 11B: 제2 관통구11A: first through
12: 단자장착구 13: 살부12: terminal fitting 13: flesh
20: 스마트카드슬롯 21: 스마트카드용 카드삽입구 20: Smart card slot 21: Card insertion slot for smart card
30: 스마트카드용 단자 30A: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30: terminal for
30B: 제2 스마트카드용 단자 40: 메모리카드슬롯 30B:
41: 메모리카드용 카드삽입구 50: 메모리카드용 단자 41: memory card insertion slot 50: memory card terminal
51: 메모리카드용 단자의 끝단 52: 메모리카드 인식단자 51: End of memory card terminal 52: Memory card recognition terminal
60, 70: 커버60, 70: cover
(기술분야)(Technology)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카드와 메모리카드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는 듀얼 구조의 카드소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card socket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d socket of a dual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mounted at the same time smart card and memory card.
(배경기술)(Background)
휴대전화기를 비롯한 이동통신단말기들은 그 기능이 점차 다양해지고 확대되어짐에 따라 요구되는 저장용량이 점점 커지고 있다. 예를 들어 화상을 촬영 및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나 MP3 기능이 탑재된 휴대전화기의 경우, 휴대전화기가 가지는 고유의 저장용량에 더하여 사진 데이터나 MP3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많은 추가의 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 As mobile phone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ecome more diverse and expanded in their functions, the required storage capacity is increasing. For example, a digital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nd storing images, or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n MP3 function requires a lot of additional memory to store photo data or MP3 data in addition to its own storage capacity. .
그러나 이런 부가적 기능에 소요되는 대용량의 메모리를 위해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내에 대용량의 메모리를 내장하는 것은, 단말기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대용량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에게는 낭비요소가 된다. However, embedding a large amount of memory in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large amount of memory required for such additional functions not only increases the price of the terminal, but also wastes the user who does not use the large capacity memory.
이런 이유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용량 메모리를 직접 내장하지 아니하고 이동통신단말기에 메모리카드용 소켓을 구비시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사용 양태에 따라 취향에 맞게 별도의 확장 메모리카드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모델이 출시되고 있다. For this reason, the model does not have a built-in large-capacity memory directl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has a memory card sock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electively install and use a separate expansion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user's mode of use. Is being released.
메모리카드는 주로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 카드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보안 디지털 카드(Secure Digital Card: SD 카드), 메모리스틱(Memory Stick: MS 카드), 스마트미디어카드(Smart Media Card : SMC 카드), 컴팩플래시카드(Compact Flash Card: CFC 카드), 멀티미디어카드(Multi Media Card: MMC 카드) 등으로 다양하게 표준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휴대전화기에는 소형으로 제작된 Mini SD 카드나 RS-MMC 카드 등이 사용된다. The memory card is mainly in the form of a card using flash memory. For example, a secure digital card (SD card), a memory stick (MS card), and a smart media card (SMC card). ), Compact Flash Card (CFC Card), Multimedia Card (Multi Media Card: MMC Card), etc. are standardized and used in various ways. Used.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저장기능, 연산기능 및 보안기능을 가지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 운영체계, 보안모듈, 메모리 등을 구비한 IC칩(스마트칩)이 장착되어 있는 스마트카드는, 금융, 통신, 교육, 행정, 교통 등 정보통신사회의 거의 전체 분야에서 정보의 기록이나 신원확인, 전자화폐, 신용카드 또는 전자통장 등의 결제수단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런 스마트카드는 스마트칩의 데이터가 읽히는 방식에 따라 접촉식카드, 비접촉식카드 및 접촉/비접촉 겸용카드(예, 콤비카드)로 구분되기도 한다. As is widely known, smart cards equipped with IC chips (smart chips) equipped with microprocessors, operating systems, security modules, and memory for storage, computing, and security functions can be used in financial, communications, education, It is widely used in almost all fields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ciety, such as administration and transportation, as a means of information recording, identity verification, electronic money, credit card or electronic bank account, etc. It may also be divided into contact cards, contactless cards, and contact / contactless cards (eg combination cards).
휴대전화기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들의 활용분야가 더욱 확대됨에 따라, 스마트카드를 전통적인 플라스틱카드 형태가 아닌 이동통신단말기(예, 휴대전화기) 에 내장 또는 착탈식으로 장착함으로써 스마트카드와 이동통신단말기를 기능적으로 통합시키고 있다. As the field of appli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ing mobile phones has been expanded, smart card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functionally mounted by attaching smart cards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g. mobile phones) rather than traditional plastic cards. Integrating.
스마트카드 장착 휴대전화기는, 내장되는 스마트카드에 각종 인증에 관한 정보, 결제를 위한 신용카드에 관한 정보, 통장정보 등을 탑재하여, 식별모듈, 교통카드 또는 신용카드의 용도로 사용하기도 하고, 계좌조회, 이체, 출금, 수표조회와 같은 전자통장의 용도로 사용된다.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 smart card includes information on various authentications, information on a credit card for payment, a bankbook information, etc., and is used as an identification module, a traffic card, or a credit card.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electronic banking such as inquiry, transfer, withdrawal and check inquir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더욱 확대되고 다양해짐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는 각종 메모리카드의 탈착을 위한 메모리카드용 소켓과 스마트카드의 탈착을 위한 스마트카드용 소켓이 필요하게 되었고, 사용자는 본인이 요구하는 기능에 맞는 카드를 해당 카드소켓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further expanded and diversifi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eds a socket for a memory card for the removal of various memory cards and a socket for the smart card for the removal of the smart card. In this case, the user can install a card that fits the function required by the user to the card socket.
도4는 휴대전화기에 적용된 종래 카드소켓의 개략도이고, 도5는 종래 카드소켓의 사시도이다. 도5는 휴대전화기에 장착되는 방향(도4의 장착방향)을 그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메모리카드용 단자들이 명료하게 표현되도록 뒤집은 방향에서 도시한 것이다.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card socket applied to a cellular phone,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ard socket. FIG. 5 does not show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lephone is mounted (the mounting direction in FIG. 4), but in an inverted direction so that the terminals for the memory card are clearly expressed.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의 기판(101)에 장착되는 카드소켓(100)에는 메모리카드(102)와 스마트카드(103)가 상하로 층을 이루도록 중첩 장착된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상기 카드소켓(100)은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 소켓프레임(110), 소켓프레임(1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메모리카드(102)의 단자들(102A)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메모리카드용 단자들(121)이 형성된 메모리카드 용 소켓(120), 및 소켓프레임(110)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스마트카드(103)의 단자들(103A)과 접속되는 스마트카드용 단자들(131)이 형성된 스마트카드용 소켓(130)을 포함하며, 각각의 소켓(120, 130)에는 메모리카드(102)와 스마트카드(103)가 삽입 장착된다. 상기 단자들(121, 131)은 소켓프레임(110)을 제작한 후에 별도로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소켓프레임(110)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인서트 방식으로 소켓프레임(110)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The
도면번호 140은 소켓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메모리카드용 소켓(120)을 형성하는 커버이며, 소켓프레임(110)의 타측면 쪽에도 스마트카드용 소켓(130)을 형성하는 커버가 장착되나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카드소켓(100)은 메모리카드(102)와 스마트카드(103)를 상하 적층 방식으로 장착하는 듀얼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휴대전화기에서 카드소켓(100)이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휴대전화기의 사이즈증가와 제조원가상승을 최소화하고 있다. The
휴대전화기에의 스마트카드 적용은, 유럽 GSM 휴대전화기에서의 로밍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식별모듈로 사용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CDMA 휴대전화기는 휴대전화기 내에 가입자 식별정보가 탑재되어 있어서 소비자 마음대로 단말기를 바꿀 수 없지만 GSM 휴대전화기는 SIM 카드에 식별정보를 탑재하여서 SIM 카드만 휴대전화기에 장착하면 어떤 휴대전화기도 본인의 단말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런 식별모듈로서의 스마트카드로는, SIM 카드 이외에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이 있으며, 이들 식별모듈들은 비접촉 기능이 없는 접촉식 스마트카드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of smart cards to mobile phones can be said to begin with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rd used a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for roaming services in European GSM mobile phones. CDMA mobile phones are equipped with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mobile phone, so you can not change the device at your own convenience.However, GSM mobile phones can be equipp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SIM card. It can be characterized. In addition to the SIM card, a smart card as such an identification module includes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 user identity module (UIM) card, a 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RUIM) card, and the like. It's a kind of smart card.
접촉식 기능뿐만 아니라 비접촉식 기능도 가지는 콤비카드(2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단자(C1), 초기화 입력단자(C2), 클럭단자(C3), 안테나단자(C4), 접지단자(C5), 프로그램 전압단자(C6: 현재 사용되지 않음), 직렬 데이터 입출력단자(C7) 및 안테나단자(C8)의 8개의 단자로 표준화되어 있다.
휴대전화기와의 전기적인 접촉만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촉식 스마트카드인 SIM 카드 등은 외부 판독기(예, 카드판독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없기 때문에 콤비카드(200)와는 달리 C4와 C8 단자를 제외한 6개의 단자만이 사용되며, 이런 이유로 SIM 카드를 휴대전화기에 장착하기 위한 종래 카드소켓(1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M 카드에서 사용되는 6개 단자에 대응하는 6개의 단자만이 배치되어 있다. SIM card, which is a contact smart card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nly through electrical contact with a mobile phone, has no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reader (for example, a card reader), so unlike the
이와 같이 종래 카드소켓(100)은 스마트카드(103)에 대응하는 단자가 6개이고 콤비카드의 2개의 안테나 단자에 대응하는 2개의 단자가 부족하므로 콤비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카드소켓(100)에 스마트카드(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카드용 단자로서 2개의 안테나 대응 단자를 추가하여 8개의 단자가 배치되도록 카드소켓(100)을 설계 변경하여야 하는바, 그러나 이런 설계 변경은 단지 2개의 단자만을 단순히 추가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설계상의 어려움이 수반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구체적으로, 스마트카드(103)와 그 단자(103A) 및 Mini SD 카드 등의 메모리카드(102)와 그 단자(102A)의 배치가 표준화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종래 카드소켓(100)의 사이즈와 대응하는 단자들(121, 131)의 위치도 카드들의 표준에 맞게 세팅되어 있으며, 한정된 카드소켓(100)의 공간 내에 메모리카드용 단자들(121)과 6개의 스마트카드용 단자들(131)이 실질적인 여유 공간 없이 타이트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스마트카드용 단자를 추가할 수 있는 공간이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Specifically, the arrangement of the
또한, 8개의 스마트카드용 단자가 수용될 수 있도록 종래 카드소켓(100)의 사이즈를 확대하면 공간부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카드(103)와 그 단자(103A) 및 메모리카드(102)와 그 단자(102A)에 부합하도록 카드소켓(100)의 사이즈와 대응하는 단자들(121, 131)의 위치가 세팅되어 있고, 더불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카드(103)는 배터리를 분리한 후 휴대전화기의 이면에서 장착하고 메모리카드(102)는 배터리의 분리 없이 휴대전화기의 측면으로부터 장착하도록 기판(101)에서의 카드소켓(100)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소켓(100)의 사이즈 확대하고 확장된 공간을 이용하여 추가된 2개의 스마트카드용 단자를 배치하게 되면, 카드소켓(100)과 스마트카드(103) 및 메모리카드(102)의 사이즈와 그 단자들의 배치관계가 일치하지 않게 되고, 또한 이미 종래 소켓(100)의 사이즈에 맞게 규격화된 휴대전화기의 회로배치설계도 변경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수반되므로, 결과적으로 카드소켓(100)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면 스마트카드(103) 및 메모리카드(102)의 사이즈와 그 단자들의 배치도 모두 수정할 수밖에 없고 휴대전화기의 소형화에도 어려움이 있으며, 이런 이유로 카드소켓(100)의 사이즈 확대는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힘들다. In addition, if the size of the
부가하여, 종래 카드소켓(100)의 소켓프레임(11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스마트카드용 단자들(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마트카드용 관통구(111)를 관통 형성하고 메모리카드용 단자(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메모리카드용 관통구(112)를 관통 형성하여서 스마트카드용 단자들(131)과 메모리카드용 단자들(121)이 상기 관통구들(111, 112)에서 상하로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들 단자들(131, 121)이 스마트카드(103)와 메모리카드(102)의 단자들과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고 있는 바, 상기 메모리카드용 관통구(112)가 6개의 스마트카드용 단자(131)에 바로 인접하여 직사각형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카드소켓(100)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는 2개의 스마트카드용 단자를 추가 배치할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 In addition, the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된 종래 듀얼 카드소켓에 대하여 스마트카드용 단자를 6개에서 8개로 증가시키는 것에 따른 설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 design problem cau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mart card terminals from six to eight for the conventional dual card socket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된 종래 듀얼 카드소켓에서 스마트카드용 단자를 6개에서 8개로 설계 변경함에 있어서, 기존의 카드소켓 사이즈와 스마트카드용 6개의 단자배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추가되는 2개의 스마트카드용 단자의 배치 공간을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 구 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design of the terminal for the smart card from six to eight in the conventional dual card socket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card socket size and six terminal arrangement for the smart card is added It is to provide a dual card socket structur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secure the space of the two smart card terminals securely.
본 고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al card socket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은,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소켓프레임, 상기 소켓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스마트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카드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카드슬롯, 상기 스마트카드의 단자들에 접속되도록 상기 스마트카드슬롯 쪽으로 상기 소켓프레임의 일측면에 노출 형성된 스마트카드용 단자들, 상기 소켓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스마트카드슬롯과 상하로 적층되도록 상기 소켓프레임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메모리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카드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슬롯, 및 상기 메모리카드의 단자들에 접속되도록 상기 메모리카드슬롯 쪽으로 상기 소켓프레임의 타측면에 노출 형성되어 있는 메모리카드용 단자들을 포함한다. Dual card socket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cket frame forming an overall skeleton, a smart card slo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ocket frame and the card insertion slot for mounting a smart card, the smart card Smart card terminals exposed on one side of the socket frame toward the smart card slot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ocket frame to be stacked up and down with the smart card slot with the socket frame therebetween And a memory card slot in which a card insertion port for mounting a memory card is formed, and terminals for memory card ex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ocket frame toward the memory card slot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memory card.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본 고안의 카드소켓은, 상기 스마트카드의 8개의 단자들에 접속되도록 상기 소켓프레임에 인서트 사출로 설치된 8개의 상기 스마트카드용 단자들, 상기 스마트카드용 단자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소켓프레임에 형성된 8개의 관통구들, 및 상기 메모리카드용 단자들이 삽입 설치되도록 상기 소켓프레임에 형성된 단자장착구들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d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eight terminals for the smart card and the terminals for the smart card installed by insert injection into the socket frame to be connected to the eight terminals of the smart card. Eight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ocket frame at the position, and the terminal mounting holes formed in the socket frame so that the terminals for the memory card is inserted.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단자당착구들에 설치된 상기 메모리카드용 단자들은 상기 스마트카드용 단자들 중에 상기 메모리카드용 단자들에 인접한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들과 상기 소켓프레임의 두께에 의해 쇼트 되지 않는 상태로 오버 랩 되어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s for the memory card installed in the terminal fitting holes are shorted by the thickness of the socket frame and the first smart card terminals adjacent to the memory card terminals among the smart card terminals. It is not overlapped.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카드의 단자들과 접속되는 접점이 위치하는 상기 메모리카드용 단자들의 끝단은, 상기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들에 대응하는 제1 관통구와 상기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들에 인접한 제2 스마트카드용 단자들에 대응하는 제2 관통구 사이에 있는 살부에 위치한다. Preferably, the ends of the terminals for the memory card in which the contacts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memory card are located are adjacent to the first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s for the first smart card and the terminals for the first smart card. It is located in the rib between the second through-hol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s for the second smart card.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카드슬롯에 삽입되는 스마트카드는 6개의 단자를 가지는 스마트카드이고, 8개의 상기 스마트카드용 단자들 중에 상기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들은 설치되지 않는다. Preferably, the smart card inserted into the smart card slot is a smart card having six terminals, and among the eight smart card terminals, the terminals for the first smart card are not installed.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카드용 카드삽입구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 쪽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마트카드용 카드삽입구와 상기 메모리카드용 카드삽입구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Preferably, the memory card insertion slot is formed toward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mart card insertion slot and the memory card insertion slot are formed at right ang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소켓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dual card socket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card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듀얼 카드소켓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듀얼 카드소켓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듀얼 카드소켓에 대한 스마트카드와 메모리카드의 장착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card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direction of a dual card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n example of mounting a smart card and a memory card to the dual card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 diagram.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듀얼 카드소켓(1)은, 휴대전화기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2: 이하, 휴대전화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에 스마트카드(3)와 메모리카드(4)를 장착하기 위한 소켓으로서, 종래의 듀얼 카드소켓과 마찬가지로, 기본적 으로 소켓프레임(10), 스마트카드슬롯(20),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 메모리카드슬롯(40) 및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As shown, the
도1은 본 고안의 듀얼 카드소켓(1)이 휴대전화기(2)에 장착되는 예시적인 방향 그대로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이 잘 보이도록 도1의 카드소켓(1)을 뒤집은 방향에서 도시한 것이다. FIG. 1 shows an exemplary direction in which the
본 고안에 따른 듀얼 카드소켓(1)은, 하나의 소켓프레임(10)에 스마트카드슬롯(20)과 메모리카드슬롯(40)이 상하의 층으로 형성된 듀얼 구조이며, 바람직하게 배터리가 장착되는 휴대전화기(2)의 이면 쪽에 마련된 소켓설치부에 설치된다. The
상기 소켓프레임(10)은 카드소켓(1)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부재로서,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The
상기 스마트카드슬롯(20)은 스마트카드(3)가 삽입되는 슬롯으로서 소켓프레임(1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도1과 도3은 스마트카드슬롯(20)은 장착된 배터리와 마주보는 쪽인 소켓프레임(10)의 표면(일측면, 도1에서 상면)에 형성되고, 메모리카드슬롯(40)은 소켓프레임(10)의 이면(타측면, 도1에서 하면)에 형성된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The
스마트카드슬롯(20)에는 스마트카드(3)를 장착하기 위한 카드삽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도1 및 도3의 구체예는 스마트카드용 카드삽입구(21)가 소켓프레임(10)의 상측으로 개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본 구체예에서 스마트카드(3)는 배터리를 분리하고 스마트카드슬롯(20)에 위로부터 아래로 삽입한다. 물론 스마트카드용 카드삽입구(21)가 소켓프레임(10)의 다른 쪽으로 개방되도록 구성 할 수도 있다. The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를 분리하지 않으면 스마트카드(3)를 카드소켓(1)에 장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각종 정보가 내장된 스마트카드(3)를 휴대전화기(2)에 보다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If the battery is not removed as shown in FIG. 3, the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은 스마트카드용 카드삽입구(21)에 삽입된 스마트카드(3)의 단자(3A)가 접속되는 단자이다. 본 고안의 듀얼 카드소켓(1)은 기본적으로는 콤비카드와 같이 8개의 단자를 가지는 스마트카드(3)를 장착하기 위한 소켓이므로,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은 상하 4개씩의 8개의 단자로 구성된다. The
물론 상기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 중에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에 인접한 2개의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A)을 생략하고 나머지 6개의 단자들(30)만을 장착하면, SIM 카드와 같이 6개의 단자만을 가지는 스마트카드도 본 고안의 듀얼 카드소켓(1)에 사용할 수 있다. Of course, if the two first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은 스마트카드슬롯(20) 쪽으로 그 접점이 향하도록 소켓프레임(10)의 일측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소켓프레임(10)을 사출 성형할 때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설치된다.
소켓프레임(10)에는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들(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관통구들(11)은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의 탄성적인 이동을 허용하여 스마트카드(3)의 단자들(3A)이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The through-
메모리카드슬롯(40)은 메모리카드(4)를 장착하기 위한 슬롯으로서 소켓프레임(10)의 타측면(이면, 하면)에 형성되며, 이로써 메모리카드슬롯(40)은 소켓프레임(10)을 사이에 두고 스마트카드슬롯(20)과 층을 이루어 중첩 배치된다. The
메모리카드슬롯(40)에는 메모리카드(4)를 장착하기 위한 카드삽입구(41)가 형성되어 있다. 도1과 도3의 구체예는 메모리카드용 카드삽입구(41)가 소켓프레임(10)의 우측에서 개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메모리카드(4)는 배터리를 분리하지 아니하고 휴대전화기(2)의 측면에 노출된 메모리카드용 카드삽입구(41)를 통해 바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메모리카드용 카드삽입구(41)가 소켓프레임(10)의 다른 방향에서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e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은 메모리카드용 카드삽입구(41)에 삽입된 메모리카드(4)의 단자(4A)가 접속되는 단자이다.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은 메모리카드슬롯(40) 쪽으로 그 접점이 향하도록 소켓프레임(10)의 타측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소켓프레임(10)에 설치된다. The
본 고안의 듀얼 카드소켓(1)은 한정된 소켓프레임(10)의 면적 내에 종래에 6개이던 스마트카드용 단자(30)를 8개로 배치하는 것임에 따라,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은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 중에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에 인접하는 쪽에 추가되는 2개의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30A)와 오버랩 된다. Since the
이와 같이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30A)와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이 소켓프레임(10)의 한정된 두께 내에서 상하로 중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을 스마트카드용 단자(30)와 같이 소켓프레임(10)에 인서트 사출로 일체로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게 되며,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도 인서트 사출로 일체로 설치할 경우에는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과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30A) 사이에 쇼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커지게 되므로 제품 불량을 피할 수 없게 된다. Thus, since the terminal 30A for the first smart card and the
따라서 본 고안의 듀얼 카드소켓(1)은 단자들(30, 50)을 소켓프레임(10)에 설치함에 있어서,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을 종래와 같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소켓프레임(10)에 일체로 설치하지만,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은 소켓프레임(10)을 성형한 후에 별도의 공정으로 설치한다. Therefore, in the
이를 위해 소켓프레임(10)을 성형할 때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을 설치하기 위한 단자장착구들(12)을 미리 형성해 두며, 성형된 소켓프레임(10)의 단자장착구들(12)에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을 삽입 장착함으로써 소켓프레임(10)에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을 설치하게 된다. To this end, when the
이때, 메모리카드(4)의 단자(4A)에 접촉되는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의 접점이 위치하는 쪽은 소켓프레임(10)의 타측면에 형성된 메모리카드슬롯(40)으로 노출되어 있고,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A)은 소켓프레임(10)의 두께를 사이에 두고 소켓프레임(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스마트카드슬롯(20)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이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A)과 오버랩 되는 상태로 배치되어도 소켓프레임(10)의 두께에 의해 이들 단자들은 쇼트 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the side where the contacts of the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과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의 쇼트를 더욱 방지하 기 위해, 메모리카드(4)의 단자들(4A)과 접속되는 접점이 위치하는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의 끝단(51)을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이 노출되어 있지 않은 위치까지 신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further prevent a short between the
즉,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의 끝단(51)은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A)에 대응하는 제1 관통구(11A)와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A)에 인접한 제2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B)에 대응하는 제2 관통구(11B) 사이에 있는 소켓프레임(10)의 살부(13)에 위치하는 길이로 설정된다. That is, the
이와 같이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의 끝단(51)의 위치를 설정함에 따라, 삽입된 메모리카드(4)에 의해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이 스마트카드용 단자(30) 쪽으로 눌려져도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이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에 접근하는 것을 상기 살부(13)가 차단하게 되므로, 메모리카드용 단자들(50)과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들(30A)이 오버랩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자간의 쇼트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B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30A)가 추가됨에 따라 앞서 종래의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 메모리카드용 단자를 위한 관통구(112: 도5 참조)는 소켓프레임(10)에 형성할 수 없으며, 따라서 본 고안의 듀얼 카드소켓(1)에는 스마트카드용 단자(30)를 위한 관통구들(11)은 존재하지만 메모리카드용 단자(50)를 위한 관통구는 존재하지 아니한다. As the first
도1과 도2에 도시된 커버(쉘: 60, 70)는 소켓프레임(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조립되어 소켓프레임(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스마트카드슬롯(20)과 메모리카 드슬롯(40)을 형성한다. 도1과 도2에서 도면부호 52는 메모리카드 인식단자로서, 메모리카드(4)의 삽입여부를 검출하는 작용을 한다. Covers (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에 의하면, 스마트카드용 단자를 6개 설치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종래의 듀얼 카드소켓에 대하여 카드소켓의 크기와 기존의 스마트카드용 6개의 단자의 배치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추가되는 2개의 스마트카드용 단자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스마트카드용 단자와 메모리카드용 단자의 오버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쇼트의 위험성도 배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ual card socket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card socket and the six terminals for the conventional smart card with respect to the conventional dual card socket standardized to install six smart card terminals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in which two additional smart card terminals can be arranged while maintaining the arrangement state, and the risk of short circuit caused by the overlap between the smart card terminal and the memory card terminal can be eliminated. .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에 의하면, 추가의 제1 스마트카드용 단자(30A)에 대응하는 제1 관통구(11A)에 추가의 스마트카드용 단자(30A)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6개의 스마트카드용 단자(30)만을 설치하면, 6개의 단자만이 사용되는 SIM 카드와 같은 접촉식 스마트카드도 본 고안의 듀얼 카드소켓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ual card socket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1305U KR200413779Y1 (en) | 2006-01-16 | 2006-01-16 | Dual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1305U KR200413779Y1 (en) | 2006-01-16 | 2006-01-16 | Dual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4573A Division KR100683835B1 (en) | 2006-01-16 | 2006-01-16 | Dual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3779Y1 true KR200413779Y1 (en) | 2006-04-13 |
Family
ID=4929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1305U KR200413779Y1 (en) | 2006-01-16 | 2006-01-16 | Dual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3779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7270B1 (en) | 2006-05-16 | 2008-02-28 | 스톤 테크놀로지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Dual-interface converter of miniature memory card |
-
2006
- 2006-01-16 KR KR2020060001305U patent/KR200413779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7270B1 (en) | 2006-05-16 | 2008-02-28 | 스톤 테크놀로지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Dual-interface converter of miniature memory car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7574B1 (en) | SM, SM Holder, IC Module, IC Card and IC Card Holder | |
CN101174312B (en) | Dual Interface Subscriber Identification Card Adapter with Removable Antenna | |
EP1688867B1 (en) | Dual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system for a portable device | |
US8583179B2 (en) |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battery and a near-field communication module | |
JP4109029B2 (en) | Mobile device with IC card replacement function | |
JP4240989B2 (en) | IC module with 3 types of interface, 3 way SIM and SIM holder, 3 way IC card and IC card holder | |
EP1797527B1 (en) | Mini-plug sim card with improved positioning capacibility | |
KR100747570B1 (en) | Card mounting socke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 |
US20090111522A1 (en) | Smart C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Card | |
KR100629470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ith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 |
KR100683835B1 (en) | Dual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20042748A (en) | Portable telephone having smartcard which non-contact interface is transferred into break contact point | |
KR200413779Y1 (en) | Dual card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493334B1 (en) | A battery pack having a dual-type smart card interface | |
KR100573284B1 (en) | Card mounting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4240977B2 (en) | SIM holder with USB interface and SIM | |
KR200438503Y1 (en) | Smart Card Adapter for Mobile Devices | |
KR200350772Y1 (en) | Socket for Installing Card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410342Y1 (en) | Card socket installation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05149355A (en) | Uim adapter | |
KR200341101Y1 (en) | Smart Card Socke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 |
CN201289649Y (en) | Integrated circuit chip expansion device | |
KR200339123Y1 (en) | Structure for Installing Card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411918Y1 (en) | Memory card recognition switch terminal structure of mobile terminal card socket | |
KR200347744Y1 (en) | Monolithic Socket for Installing Card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6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4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11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42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Patent event date: 20061114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UC2102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