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96141B1 -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141B1
KR101296141B1 KR1020130072752A KR20130072752A KR101296141B1 KR 101296141 B1 KR101296141 B1 KR 101296141B1 KR 1020130072752 A KR1020130072752 A KR 1020130072752A KR 20130072752 A KR20130072752 A KR 20130072752A KR 101296141 B1 KR101296141 B1 KR 101296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voltage value
vehicle
voltage
ti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모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모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모아
Priority to KR102013007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14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차량 배터리의 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한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력부가 운전자의 상태 알림 요청 명령을 입력하며; 전압 검출부가 차량 엔진 상태를 검출하고, 차량 엔진 정지 상태에서 차량 배터리의 초기 전압 값과 현재 전압 값을 검출하며; 타이머부가 오프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오프 타이머와, 온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온 타이머를 구비하며; 제어부가 상기 전압 검출부의 차량 엔진 정지 상태 통보 시에 상기 오프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초기 전압 값을 입력받아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의 상태 알림 요청 명령 입력 시에 오프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아 오프 시간 및 초기 전압 값과 함께 출력하며; 메모리부가 상기 제어부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며; 알림부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전압 값, 오프 시간 및 초기 전압 값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Informing State of Batter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차량 배터리의 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한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 내지는 사용자는 자기 자신의 편의 및 도움을 제공받기 위해서, 많은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을 차량에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는 내비게이션, 하이패스 단말기, 자동시동장치, 경보기, DVR(Digital Video Recorder), 블랙박스 단말기 등이 있다.
이러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들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이 구동하고 있는 동안에 동작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의 엔진 정지와 함께 전원을 차단시켜 자동 오프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들 중에서 자동시동장치, 경보기, DVR(Digital Video Recorder), 블랙박스 단말기 등과 같은 상시 전원 구동 차량제품의 경우에는, 차량의 엔진이 정지된 경우에도 그 필요에 의해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상시 전원 구동 차량제품은 차량의 엔진이 정지된 후에도 차량 배터리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차량 배터리가 차량 엔진의 구동에 의한 충전 상태(즉, 만충전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상시 전원 구동 차량제품의 작동으로 인하여 차량 배터리가 방전될 수도 있다. 이에, 운전자 내지는 사용자는 차량 엔진이 꺼진 후에도 상시 전원 구동 차량제품을 작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최대한의 시간 동안만 상시 전원 구동 차량제품이 작동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2661호(2011.07.20 공개)는 시동이 꺼진 차량에서 작동되는 차량 DVR에 의한 차량의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는 차량 DVR에 의한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차량 DVR에 의한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차량 배터리 전압 측정부;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해 최소한으로 필요한 전압 값인 임계 전압 값이 저장되어 있는 임계 전압 값 저장부; 및 차량 배터리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한 차량 배터리의 측정 전압 값과 임계 전압 값 저장부에 저장된 임계 전압 값을 비교하여, 측정 전압 값이 임계 전압 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차량 DVR의 전원을 오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차량의 배터리 전압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 전압 값 이하가 되면 차량 DVR의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차량 DVR의 동작에 의한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최대한의 시간 동안 DVR의 영상 녹화를 유지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7735호(2011.06.03 공개)는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의 배터리 저전원 보호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의 배터리 저전원 보호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받아 복수의 전원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와, DC/DC 컨버터로부터 변환 출력된 전압의 저전압상태를 감지하는 저전압 감지부와,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물체의 근접상태를 감지하는 전,후방모션센서와,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좌 또는 우측으로부터 물체의 근접상태를 감지하는 좌,우측방모션센서와, 전,후방모션센서나 상기 좌,우측방모션센서로부터 물체의 근접상태 감지신호를 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모션레벨 컨버터와, 차량에 부딪히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충격센서로부터 충격감지신호를 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변환기와, 모션레벨 컨버터로부터 전,후방 또는 좌우측의 근접상태 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A/D변환기로부터 충격감지신호를 수신할 때 슬립모드를 해제하고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충격상태 감지위치나 물체의 근접상태 감지위치에 해당하는 카메라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저전압 감지부로부터 저전압 상태가 감지될 시 현재까지 녹화하고 있는 영상신호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시스템 다운모드로 들어가는 메인제어부와,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를 구동시켜 영상신호를 녹화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메인제어부로부터 저전압 감지에 따른 전원공급 차단제어신호를 받아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블랙박스 제어부와, 차량 블랙박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영상저장부와, DC/DC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차량 블랙박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차량의 충격이나 차량에 물체가 근접상태가 감지되어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전,후,좌,우방 카메라를 작동시켜 녹화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배터리의 전원을 체크하여 저전압 상태가 감지될 시 현재까지 녹화한 영상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슬립모드를 해제하고 시스템 다운모드로 진입하여 배터리가 더 이상 방전되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즉, 차량용 배터리의 상시 전원 구동 차량제품)은, 간단한 전압 검출 회로를 내부에 구비시켜 차량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고, 기 설정된 임계 전압과 비교하여 측정 전압 값이 임계 전압 값 이하인 경우에 전원을 오프시켜 줌으로써,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더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차량용 배터리의 상시 전원 구동 차량제품은, 차량 배터리의 실질적인 충전량을 정확하게 검출하여 해당 검출된 충전량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해 둔 임계 전압에 의해 단순히 비교 판단하는 것으로, 실질적인 차량 배터리 충전량의 판단에 있어 오류가 많을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차량 엔진의 시동을 걸기 위한 최소한의 차량 배터리 충전량을 실질적으로 알 수가 없으므로, 이로 인해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안 걸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단점을 가진다.
종래 차량용 배터리의 상시 전원 구동 차량제품은, 차량 엔진 정지 상태에서 차량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기능이 없고, 이에 사용자가 차량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차량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사용해서 구동해야 하는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가 많아, 결국 차량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이용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차량용 배터리의 상시 전원 구동 차량제품은, 단순 임계 전압과의 비교로는 차량 엔진 정지 상태에서 차량 배터리의 방전량 및 방전 시간을 알 수 없으며, 또한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었으므로, 차량 배터리의 상태가 나쁜 경우에 의해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빨리 발생하는 것에 대한 대책도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2661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7735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간단한 기준 전압 설정만으로 차량 배터리의 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한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운전자의 상태 알림 요청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차량 엔진 상태를 검출하고, 차량 엔진 정지 상태에서 차량 배터리의 초기 전압 값과 현재 전압 값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오프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오프 타이머와, 온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온 타이머를 구비한 타이머부; 상기 전압 검출부의 차량 엔진 정지 상태 통보 시에 상기 오프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초기 전압 값을 입력받아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의 상태 알림 요청 명령 입력 시에 오프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아 오프 시간 및 초기 전압 값과 함께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전압 값, 오프 시간 및 초기 전압 값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의 차량 엔진 정지 상태 통보 시, 또는 상기 입력부의 상태 알림 요청 명령 입력 시에,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기준 표시 전압 또는 한계 표시 전압을 판독하여, 현재 전압 값, 오프 시간 및 초기 전압 값과 함께 상기 알림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엔진 정지 상태에서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기준 전압 값을 판독하며, 현재 전압 값이 교체 기준 전압 값인지를 판단하여 제1 오프 시간을 확인하며, 그런 다음에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한계 표시 전압을 판독하며, 현재 전압 값이 한계 표시 전압인지를 판단하여 제2 오프 시간을 확인하며, 제2 오프 시간에서 제1 오프 시간을 뺀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판단 시간을 판독하며, 계산된 시간이 교체 판단 시간 이하인지를 확인하여 차량 배터리 교체시기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의 차량 엔진 가동 상태 통보 시에, 상기 온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상기 오프 타이머를 초기화시키며, 온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배터리 완충 시간을 판독하며, 온 시간이 배터리 완충 시간 이상인지를 비교하여 차량 배터리의 완충 상태로 판단하며, 그런 다음에 상기 전압 검출부의 차량 엔진 정지 상태 통보 시에, 상기 온 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 상기 오프 타이머를 구동시키며,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한계 표시 전압을 판독하며, 현재 전압 값이 한계 표시 전압인지를 판단하여 오프 시간을 확인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판단 시간을 판독하며, 오프 시간이 교체 판단 시간 이하인지를 확인하여 차량 배터리 교체시기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전압 검출부로부터 차량 엔진 정지 상태를 통보받아 오프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초기 전압 값을 입력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입력부로부터 상태 알림 요청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오프 타이머의 오프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아 상기 오프 시간 및 초기 전압 값과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방법은, 상기 차량 엔진 정지 상태를 통보받거나, 상기 상태 알림 요청 명령을 전달받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기준 표시 전압 또는 한계 표시 전압을 판독하여, 상기 현재 전압 값, 상기 오프 시간 및 상기 초기 전압 값을 방전 시간 및 방전 전압 값으로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방법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기준 전압 값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교체 기준 전압 값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교체 기준 전압 값인 경우에 제1 오프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한계 표시 전압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한계 표시 전압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한계 표시 전압인 경우에 제2 오프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오프 시간에서 상기 제1 오프 시간을 뺀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판단 시간을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시간이 상기 교체 판단 시간 이하인지를 확인하여 차량 배터리 교체시기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방법은,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차량 엔진 가동 상태를 통보받아 온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상기 오프 타이머를 초기화시키는 단계; 상기 온 타이머의 온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배터리 완충 시간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온 시간이 상기 배터리 완충 시간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온 시간이 상기 배터리 완충 시간 이상인 경우에 차량 배터리의 완충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차량 엔진 정지 상태를 통보받아 상기 온 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 상기 오프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한계 표시 전압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한계 표시 전압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한계 표시 전압인 경우에, 오프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판단 시간을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 시간이 상기 교체 판단 시간 이하인지를 확인하여 차량 배터리 교체시기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방법은, 상기 온 시간이 상기 배터리 완충 시간 이상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기준 전압 값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교체 기준 전압 값 이하로 떨어졌는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교체 기준 전압 값 이하인 경우에 제1 오프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한계 표시 전압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한계 표시 전압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한계 표시 전압인 경우에 제2 오프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오프 시간에서 상기 제1 오프 시간을 뺀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판단 시간을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시간이 상기 교체 판단 시간 이하인지를 확인하여 차량 배터리 교체시기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간단한 기준 전압 설정만으로 차량 배터리의 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비용이나 하드웨어 추가 없이도 차량 엔진 정지 상태에서 차량 배터리의 충전량을 알려 줄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차량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이용하는 기능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이 차량 엔진 정지 상태에서 차량 배터리의 방전량 및 방전 시간을 확인하고, 이에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해당 확인된 차량 배터리의 방전량 및 방전 시간과 교체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으며, 이에 차량 배터리의 상태가 나쁜 경우에 의해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빨리 발생하는 것에 대해서 미리 경고하여 불량한 차량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방법을 다른 예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100)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즉, 차량용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사용하여 구동되는 차량제품)에 구비되며, 입력부(110), 전압 검출부(120), 타이머부(130), 제어부(140), 메모리부(150), 알림부(16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운전자(또는, 사용자)가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 차량 배터리 상태를 알기 위한 상태 알림 요청 명령을 터치 패널, 키패드, 버튼 등과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상태 알림 요청 명령을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110)는, 운전자(또는, 사용자)가 LCD 터치 패널 등과 같은 입출력장치를 통해 다수 개의 한계 표시 전압(Vbd)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며, 해당 선택된 한계 표시 전압(Vbd)을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전압 검출부(120)는, 차량 엔진 상태(예를 들어, 차량 엔진 정지 상태 또는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상태(예를 들어, 차량 시동 오프 상태 또는 차량 시동 온 상태))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된 차량 엔진 상태(즉, 차량 시동 상태)를 제어부(140)에 통보하며, 또한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으로 공급되는 현재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된 초기 전압 값(Initial Voltage; Vi)을 제어부(140)에 입력하며, 또한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차량 배터리의 현재 전압 값(Present Voltage; Vp)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된 현재 전압 값(Vp)을 제어부(140)에 입력한다.
타이머부(130)는, 오프 시간(Toff)을 카운팅하기 위한 오프 타이머(131)와, 온 시간(Ton)을 카운팅하기 위한 온 타이머(132)를 구비하여,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시간을 카운팅하여 해당 카운팅한 시간을 제어부(140)에게 통보한다. 오프 타이머(131)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에서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로 전환된 시점부터 경과한 시간(즉, 오프 시간(Toff))을 카운팅하고, 해당 카운팅한 오프 시간(Toff)을 제어부(140)에게 통보한다. 온 타이머(132)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로 전환된 시점부터 경과한 시간(즉, 온 시간(Ton))을 카운팅하고, 해당 카운팅한 온 시간(Ton)을 제어부(140)에게 통보한다.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상태(즉, 차량 시동 상태)를 통보받으며,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최초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를 통보받는 경우에, 초기 상태의 오프 타이머(131)를 구동시켜 오프 시간(Toff)을 카운팅하도록 함과 동시에,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초기 전압 값(Vi)을 입력받아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두며, 그런 후에 입력부(110)로부터 상태 알림 요청 명령을 전달받는 경우에,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오프 시간(Toff)을 확인함과 동시에, 전압 검출부(120)를 제어하여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현재 전압 값(Vp)을 입력받으며, 메모리부(150)로부터 초기 전압 값(Vi)을 판독하며, 해당 확인된 카운팅 오프 시간(Toff),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 및 해당 판독한 초기 전압 값(Vi)을 알림부(160)에 출력(또는,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해당 확인된 카운팅 오프 시간(Toff) 및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을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입력부(110)로부터 한계 표시 전압(Vbd)을 전달받아 메모리부(150)에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최초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를 통보받는 경우에,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입력받은 초기 전압 값(Vi)을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50)로부터 기준 표시 전압(Vsd)(또는, 한계 표시 전압(Vbd))을 판독할 수 있으며,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입력받은 초기 전압 값(Vi)과 해당 판독한 기준 표시 전압(Vsd)(또는, 한계 표시 전압(Vbd))을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해 둔 시간 간격으로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오프 시간(Toff)을 확인함과 동시에, 전압 검출부(120)를 제어하여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현재 전압 값(Vp)을 입력받아, 해당 확인된 카운팅 오프 시간(Toff) 및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을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50)로부터 초기 전압 값(Vi)을 판독하여, 해당 확인된 카운팅 오프 시간(Toff),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 및 해당 판독한 초기 전압 값(Vi)을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50)로부터 기준 표시 전압(Vsd)(또는, 한계 표시 전압(Vbd))을 판독할 수 있으며, 이에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확인한 카운팅 오프 시간(Toff),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 및 메모리부(150)로부터 판독한 초기 전압 값(Vi)을 해당 판독한 기준 표시 전압(Vsd)(또는, 한계 표시 전압(Vbd))과 함께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에 대응하는 차량 배터리의 예측 충전량(또는, 전력량)을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차량 배터리의 예측 충전량(또는, 전력량)을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 전압 검출부(120)를 제어하여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현재 전압 값(Vp)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메모리부(150)로부터 교체 기준 전압 값(Vcs)을 판독하며,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과 해당 판독한 교체 기준 전압 값(Vcs)을 비교하며, 해당 비교 결과로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이 해당 판독한 교체 기준 전압 값(Vcs)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며, 이때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이 해당 판독한 교체 기준 전압 값(Vcs)인 경우에, 이때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제1 오프 시간(Toff1)을 확인하며, 그런 다음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현재 전압 값(Vp)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메모리부(150)로부터 한계 표시 전압(Vbd)을 판독하며,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과 해당 판독한 한계 표시 전압(Vbd)을 비교하며, 해당 비교 결과로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이 해당 판독한 한계 표시 전압(Vbd)으로 떨어진 경우에, 이때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제2 오프 시간(Toff2)을 확인하도록 하며, 차량 배터리의 전압이 교체 기준 전압 값(Vcs)에서 한계 표시 전압(Vbd)으로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즉, 제2 오프 시간(Toff2)에서 제1 오프 시간(Toff1)을 뺀 시간(Toff2-1))을 계산한 후에, 메모리부(150)로부터 교체 판단 시간(Tcs)을 판독하며, 해당 계산된 시간(Toff2-1)이 해당 판독한 교체 판단 시간(Tcs) 이하인지를 비교하며, 해당 비교 결과로 해당 계산된 시간(Toff2-1)이 해당 판독한 교체 판단 시간(Tcs) 이하인 경우에 차량 배터리를 교체해야 할 시기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임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알림 신호를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를 통보받는 경우에,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를 통보받는 시점 바로 이전의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오프 시간(Toff)과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을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카운팅 오프 시간(Toff)과 현재 전압 값(Vp)을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둠과 동시에, 오프 타이머(131)를 초기화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를 통보받는 경우에, 초기 상태의 온 타이머(132)를 구동시켜 온 시간(Ton)을 카운팅하도록 하며, 그런 후에 온 타이머(132)로부터 카운팅된 온 시간(Ton)을 확인함과 동시에, 메모리부(150)로부터 배터리 완충 시간(Tfull)을 판독하며, 해당 확인된 카운팅 온 시간(Ton)이 해당 판독한 배터리 완충 시간(Tfull) 이상으로 경과되었는지를 비교하며, 해당 비교 결과로 해당 확인된 카운팅 온 시간(Ton)이 해당 판독한 배터리 완충 시간(Tfull) 이상으로 경과된 경우에 차량 배터리가 완충(즉, 만충)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판단한 차량 배터리의 상태(즉, 완충 상태)를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를 통보받더라도 차량 배터리의 상태(즉, 완충 상태)를 유지시켜 주다가,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를 다시 통보받는 경우에, 차량 배터리의 상태를 초기화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를 통보받는 경우에, 온 타이머(132)를 초기화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를 통보받는 경우에, 메모리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하며, 이때 해당 확인된 상태가 차량 배터리의 완충 상태로 확인한 경우에 메모리부(150)로부터 한계 표시 전압(Vbd)을 판독하며,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과 해당 판독한 한계 표시 전압(Vbd)을 비교하며, 해당 비교 결과로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이 해당 판독한 한계 표시 전압(Vbd)으로 떨어진 경우에, 이때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에서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로 전환된 후에 차량 배터리의 전압이 한계 표시 전압(Vbd)으로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즉,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오프 시간(Toff))을 확인하도록 하며, 메모리부(150)로부터 교체 판단 시간(Tcs)을 판독하며, 해당 확인된 카운팅 오프 시간(Toff)이 해당 판독한 교체 판단 시간(Tcs) 이하인지를 비교하며, 해당 비교 결과로 해당 확인된 카운팅 오프 시간(Toff)이 해당 판독한 교체 판단 시간(Tcs) 이하인 경우에 차량 배터리를 교체해야 할 시기임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알림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알림 신호를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가 완충 상태가 아닌 경우에, 전압 검출부(120)를 제어하여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현재 전압 값(Vp)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메모리부(150)로부터 교체 기준 전압 값(Vcs)을 판독하며,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과 해당 판독한 교체 기준 전압 값(Vcs)을 비교하며, 해당 비교 결과로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이 해당 판독한 교체 기준 전압 값(Vcs)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며, 이때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이 해당 판독한 교체 기준 전압 값(Vcs)인 경우에, 이때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제1 오프 시간(Toff1)을 확인하며, 그런 다음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현재 전압 값(Vp)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메모리부(150)로부터 한계 표시 전압(Vbd)을 판독하며,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과 해당 판독한 한계 표시 전압(Vbd)을 비교하며, 해당 비교 결과로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이 해당 판독한 한계 표시 전압(Vbd)으로 떨어진 경우에, 이때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제2 오프 시간(Toff2)을 확인하도록 하며, 차량 배터리의 전압이 교체 기준 전압 값(Vcs)에서 한계 표시 전압(Vbd)으로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즉, 제2 오프 시간(Toff2)에서 제1 오프 시간(Toff1)을 뺀 시간(Toff2-1))을 계산한 후에, 메모리부(150)로부터 교체 판단 시간(Tcs)을 판독하며, 해당 계산된 시간(Toff2-1)이 해당 판독한 교체 판단 시간(Tcs) 이하인지를 비교하며, 해당 비교 결과로 해당 계산된 시간(Toff2-1)이 해당 판독한 교체 판단 시간(Tcs) 이하인 경우에 차량 배터리를 교체해야 할 시기임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알림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알림 신호를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특히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초기 전압 값(Vi), 카운팅 오프 시간(Toff) 및 현재 전압 값(Vp)을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50)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최소한의 차량 배터리의 충전량(또는, 전력량)을 보장하기 위한 한계 표시 전압(Bound Display Voltage; Vbd)(예를 들어, 11.8V)을 실험 및 테스트 등에 의해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이때, 한계 표시 전압(Vbd)은, 차량 배터리의 상태(예를 들어, 사용 기간, 용량, 품질 등)에 따라 각기 다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다수 개(예를 들어, 11.9V, 11.8V, 11.7V, 11.6V, 11.5V 등)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부(110)를 통해 다수 개 중 하나로 선택되어 메모리부(150)에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50)는, 차량의 시동이 통상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최소한의 차량 배터리의 충전량(또는, 전력량)과 차량 배터리를 통상적으로 만충했을 때의 만충 충전량(또는, 만충 전력량) 간의 평균에 해당하는 기준 표시 전압(Standard Display Voltage; Vsd)(예를 들어, 12.5V)을 실험 및 테스트 등에 의해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50)는, 미리 설정해 둔 시간 간격으로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카운팅 오프 시간(Toff) 및 현재 전압 값(Vp)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50)는, 전압 값에 대응하는 차량 배터리의 예측 충전량(또는, 전력량)을 실험 및 테스트 등에 의해 미리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50)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가 나쁜 경우에 의해 차량 배터리의 방전이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예측하기 위해서, 차량 배터리의 방전 시간 카운팅을 시작하는 시점에 해당하는 기준 전압 값(즉, 교체 기준 전압 값(Vcs))(예를 들어, 12V)과, 교체 기준 전압 값(Vcs)에서 한계 표시 전압(Vbd)(예를 들어, 11.9V, 11.8V, 11.7V, 11.6V, 11.5V 등)까지 걸리는 방전 시간(즉, 교체 판단 시간(Tcs)(예를 들어, 10분)을 실험 및 테스트 등에 의해 미리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50)는,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로 전환되기 바로 직전의 시점 또는 전환되는 시점에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카운팅 오프 시간(Toff)과 현재 전압 값(Vp)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50)는, 최초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된 후에 차량 발전기에 의해 차량 배터리가 충분히 완충될 수 있는 시간(즉, 배터리 완충 시간(Tfull)(예를 들어, 30분))에 대해서 실험 및 테스트 등에 의해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50)는,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즉, 완충 상태)를 저장해 둘 수 있다.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출력(또는, 전달)되는 카운팅 오프 시간(Toff), 현재 전압 값(Vp) 및 초기 전압 값(Vi)을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최초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 차량 배터리의 방전 시간(Tc) 및 방전 전압 값(Vc)을 운전자(또는, 사용자)에게 알려 주며, 이에 차량 배터리의 방전량을 예측할 수 있고, 또한 차량 배터리의 방전 시간(Tc)에 따른 방전량 예측으로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도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방전 시간(Tc)은 카운팅 오프 시간(Toff)과 동일하며, 방전 전압 값(Vc)은 초기 전압 값(Vi)에서 현재 전압 값(Vp)을 뺀 전압 값과 동일하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160)는, 최초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초기 전압 값(Vi)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초기 전압 값(Vi)을 기준 표시 전압(Vsd)(또는, 한계 표시 전압(Vbd))과 함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카운팅 오프 시간(Toff), 현재 전압 값(Vp) 및 초기 전압 값(Vi)을 기준 표시 전압(Vsd)(또는, 한계 표시 전압(Vbd))과 함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차량 배터리의 예측 충전량(또는, 전력량)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알림 신호에 따라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초기 전압 값(Vi), 또는 카운팅 오프 시간(Toff), 또는 현재 전압 값(Vp), 또는 기준 표시 전압(Vsd), 또는 한계 표시 전압(Vbd), 또는 차량 배터리의 예측 충전량(또는, 전력량), 또는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스피커 등과 같은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100)는,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 초기 전압 값(Vi) 및 현재 전압 값(Vp)을 카운팅 오프 시간(Toff)과 함께 알려주며, 또한 기준 표시 전압(Vsd)(또는, 한계 표시 전압(Vbd))과 함께 차량 배터리의 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비용이나 하드웨어 추가 없이도 차량 엔진 정지 상태에서 차량 배터리의 충전량을 알려 줄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차량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배터리의 상시 전원을 이용하는 기능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100)는, 카운팅 오프 시간(Toff)과 초기 전압 값(Vi)에서 현재 전압 값(Vp)을 뺀 전압 값을 방전 시간(Tc)과 방전 전압 값(Vc)으로 알려 줌으로써, 차량 배터리의 방전 시간과 방전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해당 확인된 차량 배터리의 방전 시간, 방전량 및 교체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배터리의 상태가 나쁜 경우에 의해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빨리 발생하는 것에 대해서 미리 경고하여 불량한 차량 배터리를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압 검출부(120)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으로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여 차량 엔진 상태(즉, 차량 시동 상태)를 판단하고, 해당 판단된 차량 엔진 상태(즉, 차량 시동 상태)를 제어부(140)에 통보하도록 하는데, 이때 차량 엔진 상태로 차량 엔진 정지 상태 또는 차량 엔진 가동 상태를 제어부(140)에 통보해 주거나, 차량 시동 상태로 차량 시동 오프 상태 또는 차량 시동 온 상태를 제어부(140)에 통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운전자(또는, 사용자)가 LCD 터치 패널 등과 같은 입출력장치를 통해 다수 개의 한계 표시 전압(Vbd)(예를 들어, 11.9V, 11.8V, 11.7V, 11.6V, 11.5V 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입력부(110)는 입출력 장치를 통해 선택된 한계 표시 전압(Vbd)(예를 들어, 11.8V)을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제어부(140)는 입력부(110)로부터 한계 표시 전압(Vbd)을 전달받아 메모리부(150)에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상태(즉, 차량 시동 상태)를 통보받는데(S201), 이때 해당 단계 S201에서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최초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를 통보받는 경우에, 초기 상태의 오프 타이머(131)를 구동시켜 오프 시간(Toff)을 카운팅하도록 한다(S202).
오프 타이머(131)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에서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로 전환된 시점부터 경과한 시간을 오프 시간(Toff)으로 카운팅하고, 일정한 주기마다 또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카운팅한 오프 시간(Toff)을 제어부(140)에게 통보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온 타이머(132)를 초기화시켜 줄 수 있다.
전압 검출부(120)는,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140)에 통보함과 동시에, 차량 배터리로부터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으로 공급되는 현재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된 초기 전압 값(Vi)을 제어부(140)에 입력한다. 이에,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초기 전압 값(Vi)을 입력받아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둔다(S203).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입력받은 초기 전압 값(Vi)을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초기 전압 값(Vi)을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스피커 등과 같은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둔 기준 표시 전압(Vsd)(예를 들어, 12.5V)(또는, 한계 표시 전압(Vbd)(예를 들어, 11.8V))을 더 판독할 수 있으며, 해당 판독한 기준 표시 전압(Vsd)(또는, 한계 표시 전압(Vbd))을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입력받은 초기 전압 값(Vi)과 함께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에,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초기 전압 값(Vi)을 기준 표시 전압(Vsd)(또는, 한계 표시 전압(Vbd))과 함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해 줄 수도 있다.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운전자(또는, 사용자)가 차량 배터리 상태를 알기 위한 상태 알림 요청 명령을 터치 패널, 키패드, 버튼 등과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게 되면, 입력부(11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상태 알림 요청 명령을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알림 요청 명령이 있는지를 확인하는데(S204), 이때 해당 단계 S204에서 상태 알림 요청 명령을 전달받는 경우에, 전압 검출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전압 검출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차량 배터리의 현재 전압 값(Vp)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된 현재 전압 값(Vp)을 제어부(140)에 입력한다.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현재 전압 값(Vp)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오프 시간(Toff)을 확인하며(S205), 또한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둔 초기 전압 값(Vi)을 판독한 다음에(S206),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 해당 확인된 카운팅 오프 시간(Toff), 및 해당 판독한 초기 전압 값(Vi)을 알림부(160)에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해당 확인된 카운팅 오프 시간(Toff) 및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을 초기 전압 값(Vi)과 함께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둘 수도 있다.
알림부(160)는, 최초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카운팅 오프 시간(Toff), 현재 전압 값(Vp) 및 초기 전압 값(Vi)을 차량 배터리의 방전 시간(Tc) 및 방전 전압 값(Vc)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여 운전자(또는,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S207), 운전자(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 배터리의 방전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차량 배터리의 방전 시간(Tc)에 따른 방전량 예측으로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도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방전 시간(Tc)을 카운팅 오프 시간(Toff)과 동일하게 표시되도록 알림부(16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방전 전압 값(Vc)을 초기 전압 값(Vi)에서 현재 전압 값(Vp)을 뺀 전압 값과 동일하게 표시되도록 알림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초기 전압 값(Vi), 또는 카운팅 오프 시간(Toff), 또는 현재 전압 값(Vp)을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해 줄 수도 있으며, 또한 차량 배터리의 방전 시간(Tc) 및 방전 전압 값(Vc)을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해 둔 시간 간격으로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오프 시간(Toff)을 확인함과 동시에, 전압 검출부(120)를 제어하여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현재 전압 값(Vp)을 입력받아, 해당 확인된 카운팅 오프 시간(Toff) 및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을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50)로부터 초기 전압 값(Vi)을 판독하여, 해당 판독한 초기 전압 값(Vi)을 해당 확인된 카운팅 오프 시간(Toff) 및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과 함께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에,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초기 전압 값(Vi), 카운팅 오프 시간(Toff) 및 현재 전압 값(Vp)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상술한 단계 S206에서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둔 기준 표시 전압(Vsd)(예를 들어, 12.5V)(또는, 한계 표시 전압(Vbd)(예를 들어, 11.8V))을 더 판독할 수 있으며, 해당 판독한 기준 표시 전압(Vsd)(또는, 한계 표시 전압(Vbd))을 현재 전압 값(Vp), 카운팅 오프 시간(Toff), 및 초기 전압 값(Vi)과 함께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에,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카운팅 오프 시간(Toff), 현재 전압 값(Vp) 및 초기 전압 값(Vi)을 기준 표시 전압(Vsd)(또는, 한계 표시 전압(Vbd))과 함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상술한 단계 S206에서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에 대응하는 차량 배터리의 예측 충전량(또는, 전력량)을 더 판독할 수 있으며, 해당 판독한 차량 배터리의 예측 충전량(또는, 전력량)을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에,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차량 배터리의 예측 충전량(또는, 전력량)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상술한 단계 S206에서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둔 교체 기준 전압 값(Vcs)(예를 들어, 12V)을 더 판독할 수 있으며, 이때 해당 판독한 교체 기준 전압 값(Vcs)을 상술한 단계 S206에서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즉, 제1 현재 전압 값(Vp1))과 비교할 수 있는데, 이때 해당 비교 결과로 해당 입력받은 제1 현재 전압 값(Vp1)이 해당 판독한 교체 기준 전압 값(Vcs)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6에서 입력받은 제1 현재 전압 값(Vp1)이 교체 기준 전압 값(Vcs)인 경우에, 제어부(140)는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제1 오프 시간(Toff1)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에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현재 전압 값(Vp)(즉, 제2 현재 전압 값(Vp2))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둔 한계 표시 전압(Vbd)(예를 들어, 11.8V)을 판독할 수 있는데, 이때 해당 입력받은 제2 현재 전압 값(Vp2)과 해당 판독한 한계 표시 전압(Vbd)을 비교할 수 있다.
상술한 비교 결과로 제2 현재 전압 값(Vp2)이 한계 표시 전압(Vbd)으로 떨어진 경우에, 제어부(140)는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제2 오프 시간(Toff2)을 확인할 수 있으며, 차량 배터리의 전압이 교체 기준 전압 값(Vcs)에서 한계 표시 전압(Vbd)으로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즉, 제2 오프 시간(Toff2)에서 제1 오프 시간(Toff1)을 뺀 시간(Toff2-1))을 계산한 후에,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둔 교체 판단 시간(Tcs)(예를 들어, 10분)을 판독할 수 있는데, 이때 해당 계산된 시간(Toff2-1)이 해당 판독한 교체 판단 시간(Tcs) 이하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상술한 비교 결과로 계산된 시간(Toff2-1)이 교체 판단 시간(Tcs) 이하인 경우에, 제어부(140)는 차량 배터리를 교체해야 할 시기임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임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알림 신호를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알림 신호에 따라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방법을 다른 예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압 검출부(120)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으로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여 차량 엔진 상태(즉, 차량 시동 상태)를 판단하고, 해당 판단된 차량 엔진 상태(즉, 차량 시동 상태)를 제어부(140)에 통보하도록 하는데, 이때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를 통보받는다(S301).
도 2에 있는 단계 S201, 또는 상술한 단계 S301에서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를 통보받는 경우에, 제어부(140)는, 초기 상태의 온 타이머(132)를 구동시켜 온 시간(Ton)을 카운팅하도록 한다(S302).
온 타이머(132)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로 전환된 시점부터 경과한 시간(즉, 온 시간(Ton))을 카운팅하고, 일정한 주기마다 또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카운팅한 온 시간(Ton)을 제어부(140)에게 통보한다.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를 통보받는 시점 바로 이전의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과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오프 시간(Toff)을 확인하고(S303), 해당 확인된 이전의 현재 전압 값(Vp)과 카운팅 오프 시간(Toff)을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둠과 동시에, 오프 타이머(131)를 초기화시켜 준다(S304).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둔 배터리 완충 시간(Tfull)(예를 들어, 30분)을 판독함과 동시에, 온 타이머(132)로부터 카운팅된 온 시간(Ton)을 확인한다(S305).
제어부(140)는, 상술한 단계 S305에서 확인된 카운팅 온 시간(Ton)이 상술한 단계 S305에서 판독한 배터리 완충 시간(Tfull) 이상으로 경과되었는지를 비교한다(S306).
상술한 단계 S306에서 카운팅 온 시간(Ton)이 배터리 완충 시간(Tfull) 이상으로 경과된 경우에, 제어부(140)는 차량 배터리가 완충(즉, 만충)된 상태로 판단하며, 해당 판단한 차량 배터리의 상태(즉, 완충 상태)를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준다(S307). 이때,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를 통보받더라도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둔 차량 배터리의 상태(즉, 완충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를 다시 통보받는 경우에, 차량 배터리의 상태(즉, 완충 상태)를 초기화시켜 줄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를 통보받는데(S308), 이때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를 통보받는 경우에 온 타이머(132)를 초기화시켜 주고, 오프 타이머(131)를 구동시켜 오프 시간(Toff)을 카운팅하며,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입력받은 초기 전압 값(Vi)을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주며(S309), 메모리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한다(S310).
상술한 단계 S310에서 확인된 상태가 차량 배터리의 완충 상태로 확인한 경우에,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둔 한계 표시 전압(Vbd)을 판독하며(S311),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과 해당 판독한 한계 표시 전압(Vbd)을 비교한다(S312).
상술한 단계 S312에서 비교 결과로 현재 전압 값(Vp)이 한계 표시 전압(Vbd)으로 떨어진 경우에, 제어부(140)는 차량 엔진 가동 상태(즉, 차량 시동 온 상태)에서 차량 엔진 정지 상태(즉, 차량 시동 오프 상태)로 전환된 후에 차량 배터리의 전압이 한계 표시 전압(Vbd)으로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즉,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오프 시간(Toff))을 확인하도록 하며(S313),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둔 교체 판단 시간(Tcs)을 판독하며(S314), 해당 확인된 카운팅 오프 시간(Toff)이 해당 판독한 교체 판단 시간(Tcs) 이하인지를 비교한다(S315).
상술한 단계 S315에서 비교 결과로 카운팅 오프 시간(Toff)이 교체 판단 시간(Tcs) 이하인 경우에, 제어부(140)는 차량 배터리를 교체해야 할 시기임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알림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알림 신호를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알림 신호에 따라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S316).
상술한 단계 S310에서 확인된 상태가 차량 배터리의 완충 상태가 아닌 경우에,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20)를 제어하여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현재 전압 값(Vp)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메모리부(150)로부터 교체 기준 전압 값(Vcs)을 판독하며(S317),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과 해당 판독한 교체 기준 전압 값(Vcs)을 비교한다(S318).
상술한 단계 S318에서 비교 결과로 현재 전압 값(Vp)이 교체 기준 전압 값(Vcs)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한 경우에, 제어부(140)는 차량 배터리를 교체해야 할 시기임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하여(S319) 알림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알림 신호를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림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알림 신호에 따라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S320).
상술한 단계 S319에서 차량 배터리를 교체해야 할 시기임으로 판단하는 동작은,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제1 오프 시간(Toff1)을 확인하며, 그런 다음에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전압 검출부(120)로부터 현재 전압 값(Vp)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메모리부(150)에 저장해 둔 한계 표시 전압(Vbd)을 판독하며,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과 해당 판독한 한계 표시 전압(Vbd)을 비교한다. 이때, 비교 결과로 해당 입력받은 현재 전압 값(Vp)이 해당 판독한 한계 표시 전압(Vbd)으로 떨어진 경우에, 오프 타이머(131)로부터 카운팅된 제2 오프 시간(Toff2)을 확인하도록 하며, 차량 배터리의 전압이 교체 기준 전압 값(Vcs)에서 한계 표시 전압(Vbd)으로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즉, 제2 오프 시간(Toff2)에서 제1 오프 시간(Toff1)을 뺀 시간(Toff2-1))을 계산한 후에, 메모리부(150)로부터 교체 판단 시간(Tcs)을 판독하며, 해당 계산된 시간(Toff2-1)이 해당 판독한 교체 판단 시간(Tcs) 이하인지를 비교하며, 해당 비교 결과로 해당 계산된 시간(Toff2-1)이 해당 판독한 교체 판단 시간(Tcs) 이하인 경우에 차량 배터리를 교체해야 할 시기임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알림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알림 신호를 알림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110: 입력부
120: 전압 검출부
130: 타이머부
140: 제어부
150: 메모리부
160: 알림부

Claims (9)

  1. 운전자의 상태 알림 요청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차량 엔진 상태를 검출하고, 차량 엔진 정지 상태에서 차량 배터리의 초기 전압 값과 현재 전압 값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오프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오프 타이머와, 온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온 타이머를 구비한 타이머부;
    상기 전압 검출부의 차량 엔진 정지 상태 통보 시에 상기 오프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초기 전압 값을 입력받아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의 상태 알림 요청 명령 입력 시에 오프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아 오프 시간 및 초기 전압 값과 함께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전압 값, 오프 시간 및 초기 전압 값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의 차량 엔진 정지 상태 통보 시, 또는 상기 입력부의 상태 알림 요청 명령 입력 시에,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기준 표시 전압 또는 한계 표시 전압을 판독하여, 현재 전압 값, 오프 시간 및 초기 전압 값과 함께 상기 알림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엔진 정지 상태에서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기준 전압 값을 판독하며, 현재 전압 값이 교체 기준 전압 값인지를 판단하여 제1 오프 시간을 확인하며, 그런 다음에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한계 표시 전압을 판독하며, 현재 전압 값이 한계 표시 전압인지를 판단하여 제2 오프 시간을 확인하며, 제2 오프 시간에서 제1 오프 시간을 뺀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판단 시간을 판독하며, 계산된 시간이 교체 판단 시간 이하인지를 확인하여 차량 배터리 교체시기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의 차량 엔진 가동 상태 통보 시에, 상기 온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상기 오프 타이머를 초기화시키며, 온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배터리 완충 시간을 판독하며, 온 시간이 배터리 완충 시간 이상인지를 비교하여 차량 배터리의 완충 상태로 판단하며, 그런 다음에 상기 전압 검출부의 차량 엔진 정지 상태 통보 시에, 상기 온 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 상기 오프 타이머를 구동시키며,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한계 표시 전압을 판독하며, 현재 전압 값이 한계 표시 전압인지를 판단하여 오프 시간을 확인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판단 시간을 판독하며, 오프 시간이 교체 판단 시간 이하인지를 확인하여 차량 배터리 교체시기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5. 전압 검출부로부터 차량 엔진 정지 상태를 통보받아 오프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초기 전압 값을 입력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입력부로부터 상태 알림 요청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오프 타이머의 오프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아 상기 오프 시간 및 초기 전압 값과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엔진 정지 상태를 통보받거나, 상기 상태 알림 요청 명령을 전달받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기준 표시 전압 또는 한계 표시 전압을 판독하여, 상기 현재 전압 값, 상기 오프 시간 및 상기 초기 전압 값을 방전 시간 및 방전 전압 값으로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기준 전압 값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교체 기준 전압 값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교체 기준 전압 값인 경우에 제1 오프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한계 표시 전압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한계 표시 전압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한계 표시 전압인 경우에 제2 오프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오프 시간에서 상기 제1 오프 시간을 뺀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판단 시간을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시간이 상기 교체 판단 시간 이하인지를 확인하여 차량 배터리 교체시기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차량 엔진 가동 상태를 통보받아 온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상기 오프 타이머를 초기화시키는 단계;
    상기 온 타이머의 온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배터리 완충 시간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온 시간이 상기 배터리 완충 시간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온 시간이 상기 배터리 완충 시간 이상인 경우에 차량 배터리의 완충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차량 엔진 정지 상태를 통보받아 상기 온 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 상기 오프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한계 표시 전압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한계 표시 전압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한계 표시 전압인 경우에, 오프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판단 시간을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 시간이 상기 교체 판단 시간 이하인지를 확인하여 차량 배터리 교체시기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 시간이 상기 배터리 완충 시간 이상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기준 전압 값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교체 기준 전압 값 이하로 떨어졌는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교체 기준 전압 값 이하인 경우에 제1 오프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현재 전압 값을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한계 표시 전압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한계 표시 전압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압 값이 상기 한계 표시 전압인 경우에 제2 오프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오프 시간에서 상기 제1 오프 시간을 뺀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해 둔 교체 판단 시간을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시간이 상기 교체 판단 시간 이하인지를 확인하여 차량 배터리 교체시기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방법.
KR1020130072752A 2013-06-25 2013-06-25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96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752A KR101296141B1 (ko) 2013-06-25 2013-06-25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752A KR101296141B1 (ko) 2013-06-25 2013-06-25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141B1 true KR101296141B1 (ko) 2013-08-19

Family

ID=4922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7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296141B1 (ko) 2013-06-25 2013-06-25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1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860A (ko) * 2013-10-31 2015-05-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가용 용량 연산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6324515A (zh) * 2016-08-26 2017-01-11 深圳市智慧车联科技有限公司 检测汽车电瓶性能的方法
KR101828685B1 (ko) 2016-06-30 2018-02-12 (주)에이티솔루션즈 오티피토큰의 배터리 교체 관리 방법
KR101852911B1 (ko) 2016-09-13 2018-04-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기기의 전원 트랙킹 시스템 및 방법
US10879710B2 (en) 2016-11-09 2020-12-29 Hyundai Autron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discharge of batte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972B1 (ko) * 1993-06-26 1998-10-01 김광호 배터리 잔량표시방법 및 장치
KR0183068B1 (ko) * 1994-12-08 1999-04-15 전성원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8143475A (ja) 2006-12-13 2008-06-26 Toyota Motor Corp バッテリ状態報知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状態報知方法
JP2009040070A (ja) 2007-08-06 2009-02-26 Panasonic Corp バッテリの状態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972B1 (ko) * 1993-06-26 1998-10-01 김광호 배터리 잔량표시방법 및 장치
KR0183068B1 (ko) * 1994-12-08 1999-04-15 전성원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8143475A (ja) 2006-12-13 2008-06-26 Toyota Motor Corp バッテリ状態報知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状態報知方法
JP2009040070A (ja) 2007-08-06 2009-02-26 Panasonic Corp バッテリの状態検出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860A (ko) * 2013-10-31 2015-05-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가용 용량 연산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77723B1 (ko) * 2013-10-31 2020-11-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가용 용량 연산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828685B1 (ko) 2016-06-30 2018-02-12 (주)에이티솔루션즈 오티피토큰의 배터리 교체 관리 방법
CN106324515A (zh) * 2016-08-26 2017-01-11 深圳市智慧车联科技有限公司 检测汽车电瓶性能的方法
CN106324515B (zh) * 2016-08-26 2023-12-15 深圳智慧车联科技有限公司 检测汽车电瓶性能的方法
KR101852911B1 (ko) 2016-09-13 2018-04-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기기의 전원 트랙킹 시스템 및 방법
US10879710B2 (en) 2016-11-09 2020-12-29 Hyundai Autron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discharge of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141B1 (ko)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US6437540B2 (en) Battery pack
CN102077408B (zh) 利用车辆起动期间的电池电压监测电池健康状态的方法
KR101315645B1 (ko)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0694880B1 (ko) 배터리 충전장치
CN102395893B (zh) 电源装置
EP28870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 low battery level
US9836110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learning a critical voltage of a microprocessor control unit
KR20070107971A (ko) 배터리 관리 방법 및 장치
US10126371B2 (en) Determination of battery type
JP2008014951A (ja) 電池残量警告回路
JP4374982B2 (ja) 蓄電池の劣化判別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蓄電池
JP4812368B2 (ja) 電力用コンデンサの寿命診断機能付き充電装置
JP2007024825A (ja) 電流センサの故障診断装置
KR101298467B1 (ko) 차량 배터리의 충전량 알림 장치 및 방법
CN107403970A (zh) 机动车辆的能量存储单元以及安装能量存储单元的方法
JP2807793B2 (ja) 電源システム
JP2005094855A (ja) 二次電池充電方法及び装置
JPH06310179A (ja) 電池の負荷装置、充電装置及び電池パック
JP2007151329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の充電方法
KR100942756B1 (ko) 차량용 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
KR100278400B1 (ko) 배터리 종류 식별장치 및 방법
JP2007329038A (ja) バッテリー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JP3105797B2 (ja) 電池判定装置
JP5067643B2 (ja) 緊急地震速報端末および位置移動警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42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1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