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068B1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83068B1 KR0183068B1 KR1019940033307A KR19940033307A KR0183068B1 KR 0183068 B1 KR0183068 B1 KR 0183068B1 KR 1019940033307 A KR1019940033307 A KR 1019940033307A KR 19940033307 A KR19940033307 A KR 19940033307A KR 0183068 B1 KR0183068 B1 KR 0183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battery
- voltage
- charge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91—Battery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2)
- 배터리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배터리 온도 감지 수단과; 배터리의 주위 온도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배터리 주위 온도 감지 수단과;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배터리 전압 감지 수단과; 배터리의 충/방전시의 전류를 측정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감지 수단과; 배터리의 충전 방식인 80% 충전 방식, 3단계 충전 방식 그리고 정전류/정전압/정전류 충전 방식을 설정하는 충전 모드 설정 스위치와; 전원이 인가되면 배터리의 과방전 상태를 검출하고, 모든 전류 충전 방식의 공통 단계인 1단계 정전류 충전 신호를 출력하고 충전 제한 온도 방식에 따라 1단계 만충전 상태를 검출한 다음,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충전 방식을 판별하여 설정된 충전 방식이 80% 충전 방식인 경우에 충전 주위 온도 및 충전 효율에 따라 보상 충전 신호를 출력하고, 설정된 충전 방식이 3단계 정전류 충전 방식인 경우에는 2단계 정전류 충전 신호를 출력하고 충전 제한 온도 방식에 따라 2단계 만충전 상태를 검출한 다음, 다시 3단계 정전류 충전신호를 출력하고 충전 제한 온도 방식과 전압 제한 방식 그리고 전압 강하 검출 방식에 따라 만충전 상태를 검출하고, 설정된 충전 방식이 정전류/정전압/정전류 방식인 경우에는 2단계 정전압 충전 신호를 출력하고 충전 제한 온도 방식에 따라 2단계 만충전 상태를 감지한 다음, 3단계 정전류 충전을 수행한 다음 상기한 모든 충전 종료 제어 방식에 따라 만충전 상태를 검출한 다음, 상기에서 충전 동작에 따라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가 감지되면 충전 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제어 수단과;' 상기 충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배터리 충전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현재 배터리의 충전 상태와 설정된 충전 방식 및 충전 종료 제어 방식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충전 제어 수단, 배터리의 과방전 상태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초기의 배터리 전압을 측정한 다음, 0.2C(20A)의 정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일정 시간 후에 배터리 전압을 측정한 다음, 초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과 충전 일정 시간 후의 배터리 전압차를 연산하여, 연산된 전압차가 설정 전압(0.1×N, N : 탑재된 배터리 수)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과방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충전 제어 수단은, 1단계 정전류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0.2C의 정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 다음, 충전 제한 온도 방식에 따라 만충전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배터리의 현재 전압을 측정하여 설정 전압(1.430×N)과 비교 판단한 다음, 측정된 배터리 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1단계 충전 신호를 출력하면서 현재 충전 단계가 1단계임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신호를 출력하고,축정된 배터리 전압이 설정 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배터리 내부에 가스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가스 발생 표시 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1단계 최대 충전 전압(1.450×N)과 비교판단하여 측정되는 배터리 전압이 1단계 최대 충전 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1단계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충전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된 충전 방식이 80% 충전 방식인 경우에 충전시의 주위 온도와 충전 효율에 따른 충전 손실을 보충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주위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배터리 주위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설정 시간 동안 다시 0.2C의 정전류로 보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측정된 배터리 주위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2설정 시간 동안 다시 0.2C의 정전류로 보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 다음, 충전을 종료하고 충전이 종료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충전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된 충전 방식이 3단계 정전류 충전 방식인 경우에, 0.1C의 정전류로 2단계 충전 신호를 출력한 다음, 충전 제한 방식에 따라 1단계 만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만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현재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측정하여 측정된 충전 전압이 2단계 최대 충전 전압(1.4V×N)보다 작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2단계 충전 신호를 출력하면서, 현재 배터리 충전이 2단계 수행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측정된 충전 전압이 2단계 충전 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2단계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0.05C의 정전류로 3단계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충전 제한 방식, 전압 제한 방식, 전압 강하 검출 방식 그리고 플랫 타임 리미팅 방식에 따라 3단계 만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만충전 상태가 검출되면 충전을 종료하고 사용된 충전 종료 제한 방식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충전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된 충전 방식이 정전류/정전압/정전류 충전 방식인 경우에, 1.45×N V의 정전압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충전 제한 온도 방식에 따라 만충전 상태를 판단하고, 만충전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충전 전류를 측정한 다음, 측정된 충전 전류가 정전압 충전시의 제한 전류값이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전압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일정전류로 정전류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 다음, 다시 충전 제한 온도 방식, 전압 제한 방식, 전압 강하 검출 방식 그리고 플랫 타임 리미팅 방식에 따라 만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만충전 상태가 검출되면 충전을 종료하고 사용된 충전 종료 제한 방식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한 장치.
-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충전 제어 수단은, 만충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충전 제한 온도 방식에 있어서, 배터리의 온도를 다수 측정한 다음, 측정된 다수의 배터리 온도중 최대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된 최대 온도와 배터리 제작에 따라 설정된 충전 제한 온도와의 관계를 판단하여, 배터리의 최대 온도가 충전 제한 온도 이상인 경우에 충전 종료 신호를 출력하고, 현재 사용된 충전 종료 방식이 충전 온도 제한 방식임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충전 제어 수단은, 충전 제한 온도 방식에 따라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전압 제한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감지하여 충전 제한 전압과의 관계를 판단하여, 측정되는 충전 전압이 충전 제한 전압 이상인 경우에 충전 종료 신호를 출력한 다음, 현재 사용된 충전 제한 방식이 전압 제한 방식임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충전 제어 수단은, 전압 제한 방식에 따라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전압 강하 검출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압 제한 방식을 수행하는 경우에 측정된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일정 시간후에 측정되는 충전전압의 전압차를 연산하고, 연산된 전압차가 0V 이상 나는 경우에는 충전을 종료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 다음, 현재 사용된 충전 제한 방식이 전압 강하 검출 방식임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충전 제어 수단은, 전압 강하 검출 방식에 따라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플랫 타임 리미팅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강하 검출방식에 따라 측정된 전압차가 충전 제한 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고 일정 전압을 유지하는 경우에, 충전을 종료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 다음, 현재 사용된 충전 제한 방식이 플랫 타임 리미팅 방식임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장치.
- 전원이 인가되면 모든 사용 변수를 초기화한 다음, 배터리의 초기 전압과 충전 일정 시간 후의 전압 차이에 따라 배터리 과방전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모든 충전 방식의 공통 단계인 1단계 정전류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 충전 제한 온도 방식에 따라 1단계 만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1단계 충전이 종료되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충전 방식을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설정된 충전 방식이 80% 충전 방식인 경우에 충전 주위 온도와 충전 효율에 따라 손실된 충전량을 보충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설정된 충전 방식이 3단계 정전류 충전 방식인 경우에 2단계 정전류 충전 동작을 수행한 다음, 충전 제한 온도 방식에 따라 2단계 만충전 상태를 검출하고, 2단계 충전이 종료되면 3단계 정전류 충전 동작을 수행한 다음 충전 제한 온도 방식과 전압 제한 방식 그리고 전압 강하 검출 방식에 따라 3단계 만충전 상태를 검출하여, 3단계 충전이 종료되면 3단계 정전류 충전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설정된 충전 방식이 정전류/정전압/정전류 충전 방식인 경우에 2단계 정전압 충전 동작을 수행한 다음, 충전 제한 온도 방식에 따라 2단계 만충전 상태를 검출하고, 2단계 정전압 충전이 종료되면 3단계 정전류 충전 동작을 수행한 다음 충전 제한 온도 방식과 전압 제한 방식 그리고 전압 강하 검출 방식에 따라 3단계 만충전 상태를 검출하여, 3단계 충전이 종료되면 3단계 정전류 충전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현재 배터리의 충전 상태와 설정된 충전 방식 및 충전 종료 제어 방식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과방전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에 있어서, 초기의 배터리 전압을 측정한 다음, 0.2C(20A)의 정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일정 시간 후의 배터리 전압을 측정한 다음, 초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과 충전 일정 시간 후의 배터리 전압차를 연산하여, 연산된 전압차가 설정 전압(0.1×N, N : 탑재된 배터리 수)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과방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1단계 정전류 충전을 수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1단계 0.2C의 정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 다음, 충전 제한 온도 방식에 따라 만충전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배터리의 현재 전압을 측정하여 설정 전압(1.430×N)과 비교 판단한 다음, 측정된 배터리 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1단계 충전 신호를 출력하면서 현재 충전 단계가 1단계임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신호를 출력하고, 축정된 배터리 전압이 설정 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배티러 내부에 가스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가스 발생 표시 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1단계 최대 충전전압(1.450×N)과 비교 판단하여 측정되는 배터리 전압이 1단계 최대 충전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1단계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충전 방식이 80% 충전 방식을 수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충전시의 주위 온도와 충전 효율에 따른 충전 손실을 보충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주위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배터리 주위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설정 시간 동안 다시 0.2C의 정전류로 보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측정된 배터리 주위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2설정 시간 동안 다시 0.2C의 정전류로 보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 다음, 충전을 종료하고 충전이 종료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충전 방식이 3단계 정전류 충전 방식을 수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0.1C의 정전류로 2단계 충전 신호를 출력한 다음, 충전 제한 방식에 따라 1단계 만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만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현재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측정하여 측정된 충전 전압이 2단계 최대 충전전압(1.4V×N)보다 작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2단계 충전 신호를 출력하면서, 현재 배터리 충전이 2단계 수행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측정된 충전 전압이 2단계 충전 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2단계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0.05C의 정전류로 3단계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충전 제한 방식, 전압 제한 방식, 전압 강하 검출 방식 그리고 플랫 타임 리미팅 방식에 따라 3단계 만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만충전 상태가 검출되면 충전을 종료하고 사용된 충전 종료 제한 방식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한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충전 방식이 정전류/정전압/정전류 충전 방식을 수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1.45×N V의 정전압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충전 제한 온도 방식에 따라 만충전 상태를 판단하고, 만충전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충전 전류를 측정한 다음, 측정된 충전 전류가 정전압 충전시의 제한 전류값이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전압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일정전류로 정전류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 다음, 다시 충전 제한 온도 방식, 전압 제한 방식, 전압 강하 검출 방식 그리고 플랫 타임 리미팅 방식에 따라 만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만충전 상태가 검출되면 충전을 종료하고 사용된 충전 종료 제한 방식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한 방법.
-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만충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충전 제한 온도 방식을 수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배터리의 온도를 다수 측정한 다음, 측정된 다수의 배터리 온도중 최대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된 최대 온도와 배터리 제작에 따라 설정된 충전 제한 온도와의 관계를 판단하여, 배터리의 최대 온도가 충전 제한 온도 이상인 경우에 충전 종료 신호를 출력하고, 현재 사용된 충전 종료 방식이 충전 온도 제한 방식임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감지하여 충전 제한 전압과의 관계를 판단하여, 측정되는 충전 전압이 충전 제한 전압 이상인 경우에 충전 종료 신호를 출력한 다음, 현재 사용된 충전 제한 방식이 전압 제한 방식임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한 방식에 따라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전압 강하 검출 방식을 사용하는 단계에 있어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압 제한 방식을 수행하는 경우에 측정된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일정 시간후에 측정되는 충전전압의 전압차를 연산하고, 연산된 전압차가 0V이상 나는 경우에는 충전을 종료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 다음, 현재 사용된 충전 제한 방식이 전압 강하 검출 방식임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강하 검출 방식에 따라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플랫 타임 리미팅 방식을 사용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강하 검출 방식에 따라 측정된 전압차가 충전 제한 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고 일정 전압을 유지하는 경우에, 충전을 종료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 다음, 현재 사용된 충전 제한 방식이 플랫 타임 리미팅 방식임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33307A KR0183068B1 (ko) | 1994-12-08 | 1994-12-08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33307A KR0183068B1 (ko) | 1994-12-08 | 1994-12-08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27130A KR960027130A (ko) | 1996-07-22 |
KR0183068B1 true KR0183068B1 (ko) | 1999-04-15 |
Family
ID=1940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33307A KR0183068B1 (ko) | 1994-12-08 | 1994-12-08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8306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0873B1 (ko) * | 2000-03-10 | 2002-06-20 | 곽정소 | 차량용 배터리의 온도 보상회로 |
KR101296141B1 (ko) * | 2013-06-25 | 2013-08-19 | 주식회사 카모아 |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
KR20160103463A (ko) * | 2015-02-24 | 2016-09-0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상태 측정 방법 |
KR20230011876A (ko) * | 2021-07-14 | 2023-01-25 | 주식회사 아이스 | 재사용 배터리 충전을 위한 디더 충전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1754B1 (ko) * | 1999-10-11 | 2002-06-24 | 이계안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
KR20010059086A (ko) * | 1999-12-30 | 2001-07-06 | 이계안 | 전기 자동차의 전원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
KR100387492B1 (ko) * | 2000-12-30 | 2003-06-1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방법 |
KR100426518B1 (ko) * | 2001-12-14 | 2004-04-08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충전방법 |
KR100473908B1 (ko) * | 2002-08-06 | 2005-03-10 |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 밧데리 보호 시스템 |
JP2007020245A (ja) * | 2005-07-05 | 2007-01-25 | Ricoh Co Ltd | 充電回路及びその充電回路を備えた半導体装置 |
JP5089883B2 (ja) * | 2005-12-16 | 2012-12-05 |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 蓄電池管理装置 |
-
1994
- 1994-12-08 KR KR1019940033307A patent/KR01830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0873B1 (ko) * | 2000-03-10 | 2002-06-20 | 곽정소 | 차량용 배터리의 온도 보상회로 |
KR101296141B1 (ko) * | 2013-06-25 | 2013-08-19 | 주식회사 카모아 |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
KR20160103463A (ko) * | 2015-02-24 | 2016-09-0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상태 측정 방법 |
KR20230011876A (ko) * | 2021-07-14 | 2023-01-25 | 주식회사 아이스 | 재사용 배터리 충전을 위한 디더 충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27130A (ko) | 1996-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009510B (zh) | 固定蓄电系统和控制方法 | |
JP3580828B2 (ja) | パルス充電方法及び充電装置 | |
KR0180390B1 (ko) | 전기 자동차의 밧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KR100209532B1 (ko) | 축전지의 상태관리시스템 | |
JPH11299122A (ja) | 充電状態制御方法及び装置 | |
WO2009107335A1 (ja) |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 |
US7135839B2 (en) | Battery pack and method of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same | |
KR0183068B1 (ko)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KR100341754B1 (ko)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 |
US6310464B1 (en) | Electric car battery charging device and method | |
JP2001021625A (ja) | 温度を考慮したガッシング電圧を用いたバッテリの容量測定装置 | |
JP2012034425A (ja) | 二次電池の充放電制御回路、電池パック、及び電池電源システム | |
JP2001289924A (ja) |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容量推定方法、劣化判定方法および劣化判定装置ならびにリチウムイオン電池パック | |
JP3157687B2 (ja) | 蓄電池の充電制御装置 | |
CN1941546B (zh) | 二次电池的充电方法 | |
JPH10210675A (ja) | 充電制御方法および充電制御装置 | |
JPH11136875A (ja) | バッテリー用管理装置 | |
JP2020031470A (ja) | 二次電池の充電制御方法及び充電制御システム | |
JPH0956080A (ja) | 充電装置 | |
JP3157688B2 (ja) | 組電池の充電制御方法及び充電制御装置 | |
JP3822334B2 (ja) | バッテリーの充電制御装置 | |
JP3693000B2 (ja) | 2次電池の充電制御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 |
JP2001008375A (ja) | 二次電池の状態管理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た電池パック | |
JPH10201111A (ja) | 充電制御方法および充電制御装置 | |
JP3238938B2 (ja) | 電池の充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1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4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1210 |